KR2021001073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733A
KR20210010733A KR1020190087160A KR20190087160A KR20210010733A KR 20210010733 A KR20210010733 A KR 20210010733A KR 1020190087160 A KR1020190087160 A KR 1020190087160A KR 20190087160 A KR20190087160 A KR 20190087160A KR 20210010733 A KR20210010733 A KR 20210010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ridge
electrode
dispos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준
안준용
엄누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733A/ko
Priority to US16/829,901 priority patent/US11068096B2/en
Priority to CN202010528005.7A priority patent/CN112241218A/zh
Priority to EP20182628.6A priority patent/EP3767443A1/en
Publication of KR2021001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7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H01L27/323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메인 영역,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과 상기 서브 영역 사이에 위치한 벤딩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 전극 내지 제4 터치 전극; 상기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제1 터치 전극 내지 상기 제4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제4 터치 신호 라인;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터치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3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제2 브릿지 전극; 및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연결하는 제3 브릿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영역은 제1 브릿지 영역과 상기 제1 브릿지 영역보다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먼 제2 브릿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부재가 표시 장치에 적용되고 있는데, 상기 터치 부재는 표시 패널에 직접 형성되어 공정 단순화 및 표시 장치의 박막화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상기 터치 부재의 터치 전극들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개수를 저감하기 위해 하나의 도전층을 이용하여 터치 전극들을 형성하는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부재의 패드수가 줄어든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메인 영역,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과 상기 서브 영역 사이에 위치한 벤딩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 전극 내지 제4 터치 전극; 상기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제1 터치 전극 내지 상기 제4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제4 터치 신호 라인;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터치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3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제2 브릿지 전극; 및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연결하는 제3 브릿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영역은 제1 브릿지 영역과 상기 제1 브릿지 영역보다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먼 제2 브릿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서브 영역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보다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멀고 패드가 배치된 패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3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패드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 연결 전극, 상기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 배치된 소스 연결 전극, 및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과 제1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과 제2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되, 상기 제1 콘택홀은 상기 제2 콘택홀보다 상기 메인 영역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연결 전극은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서 제3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제3 콘택홀은 상기 제1 콘택홀보다 상기 메인 영역에 멀고, 상기 제2 콘택홀보다 상기 메인 영역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서 상기 제3 브릿지 전극과 제4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4 콘택홀은 상기 제2 콘택홀보다 상기 메인 영역에 멀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 내지 상기 제4 터치 전극은 구동 전극이고,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구동 전극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구동 터치 신호 라인일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 내지 상기 제4 터치 전극은 감지 전극이고,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감지 전극으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 감지 신호 라인일 수 있다.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서브 영역에 배치된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된 전원 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은 상기 전원 전압 라인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서브 브릿지 영역과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5 터치 전극, 제6 터치 전극, 상기 제5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5 터치 신호 라인, 및 상기 제6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6 터치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5 터치 신호 라인 및 상기 제6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서 상기 제5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6 터치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제4 브릿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3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서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7 터치 전극, 제8 터치 전극, 상기 제7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7 터치 신호 라인, 및 상기 제8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8 터치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터치 신호 라인 및 상기 제8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서 상기 제7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8 터치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제5 브릿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3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5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4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서 제6 브릿지 전극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6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5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제3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3 터치 연결 전극과 제7 브릿지 전극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은 상기 전원 전압 라인의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서브 브릿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메인 영역,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과 상기 서브 영역 사이에 위치한 벤딩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된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2 도전층;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배치된 제2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3 도전층; 상기 제3 도전층 상에 배치된 제3 절연층; 및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4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도전층은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 전극 내지 제4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내지 상기 제4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제4 터치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층 또는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터치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3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제2 브릿지 전극, 및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연결하는 제3 브릿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 영역은 제1 브릿지 영역과 상기 제1 브릿지 영역보다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먼 제2 브릿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 연결 전극, 상기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 배치된 소스 연결 전극, 및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도전층은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 및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층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도전층과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상기 봉지층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터치 전극들과 연결된 복수의 터치 신호 라인들이 패드로 연장되면서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브릿지 전극들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터치 패드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패널 상에 구동 집적 회로가 실장될 영역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또, 터치 패드부에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메인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부재, 및 터치 부재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6은 감지 전극과 구동 전극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8은 도 7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I-X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XII-X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18은 도 17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호 교차한다. 도 1의 평면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세로 방향인 제1 방향(DR1)과 가로 방향인 제2 방향(DR2)이 정의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 일측은 평면도상 상측 방향을, 제1 방향(DR1) 타측은 평면도상 하측 방향을, 제2 방향(DR2) 일측은 평면도상 우측 방향을 제2 방향(DR2) 타측은 평면도상 좌측 방향을 각각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모든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전자 시계, 스마트 워치,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이 표시 장치(1)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활성 영역(AAR)과 비활성 영역(NAR)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부분을 표시 영역으로,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부분을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하고, 터치 입력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터치 영역으로 정의하면, 표시 영역과 터치 영역은 활성 영역(AAR)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영역과 터치 영역은 중첩할 수 있다. 즉, 활성 영역(AAR)은 표시도 이루어지고 터치 입력의 감지도 이루어지는 영역일 수 있다. 활성 영역(AAR)의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일 수 있다. 예시된 활성 영역(AAR)의 형상은 모서리가 둥글고 제1 방향(DR1)이 제2 방향(DR2)보다 긴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활성 영역(AAR)은 제2 방향(DR2)이 제1 방향(DR1)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R)은 활성 영역(AAR)의 주변에 배치된다. 비활성 영역(NAR)은 베젤 영역일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R)은 활성 영역(AAR)의 모든 변(도면에서 4변)을 둘러쌀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활성 영역(AAR)의 상측변 부근이나, 좌우 측변 부근에는 비활성 영역(NAR)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활성 영역(NAR)에는 활성 영역(AAR)(표시 영역이나 터치 영역)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배선이나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R)은 표시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비활성 영역(NAR)은 터치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활성 영역(NAR)은 일부의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해당 영역에 압력 센서 등과 같은 센서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활성 영역(AAR)은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완전히 동일한 영역이 되고, 비활성 영역(NAR)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과 완전히 동일한 영역이 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패널(1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의 예로는 유기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 나노 LED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계방출 표시 패널, 전기영동 표시 패널, 전기습윤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의 일 예로서, 유기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가능하다면 다른 표시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부재는 표시 패널(10)과 별도의 패널이나 필름으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10) 상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표시 패널(10) 내부에 터치층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부재가 표시 패널 내부에 마련되어 표시 패널(1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표시 패널(10)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 패널(10)은 휘어지거나, 절곡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패널이 벤딩되는 영역인 벤딩 영역(BR)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R)을 중심으로 표시 패널(10)은 벤딩 영역(BR)의 일측에 위치하는 메인 영역(MR)과 벤딩 영역(BR)의 타측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SR)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은 메인 영역(MR) 내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영역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영역(MR)에서 표시 영역의 주변 에지 부분, 벤딩 영역(BR) 전체 및 서브 영역(SR) 전체가 비표시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벤딩 영역(BR) 및/또는 서브 영역(SR)도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인 영역(MR)은 대체로 표시 장치(1)의 평면상 외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영역(MR)은 일 평면에 위치한 평탄 영역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메인 영역(MR)에서 벤딩 영역(BR)과 연결된 에지(변)를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에지가 휘어져 곡면을 이루거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메인 영역(MR)에서 벤딩 영역(BR)과 연결된 에지(변)를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에지가 곡면을 이루거나 절곡되어 있는 경우, 해당 에지에도 표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곡면 또는 절곡된 에지는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이 되거나, 해당 부위에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이 혼재될 수도 있다.
벤딩 영역(BR)은 메인 영역(MR)의 제1 방향(DR1) 일측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R)은 메인 영역(MR)의 하측 단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벤딩 영역(BR)의 폭은 메인 영역(MR)의 폭(단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메인 영역(MR)과 벤딩 영역(BR)의 연결부는 L자 커팅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벤딩 영역(BR)에서 표시 패널(10)은 두께 방향으로 하측 방향, 다시 말하면 표시면의 반대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고 벤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R)은 일정한 곡률 반경은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간별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이 벤딩 영역(BR)에서 벤딩됨에 따라 표시 패널(10)의 면이 반전될 수 있다. 즉, 상부를 항하는 표시 패널(10)의 일면이 벤딩 영역(BR)을 통해 외측을 항하였다가 다시 하부를 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은 벤딩 영역(BR)으로부터 연장된다. 서브 영역(SR)은 벤딩이 완료된 이후부터 시작하여 메인 영역(MR)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은 표시 패널(10)의 두께 방향으로 메인 영역(MR)과 중첩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의 폭(제2 방향(DR2)의 폭)은 벤딩 영역(BR)의 폭과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 영역(SR)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 영역(PA1), 및 제1 패드 영역(PA1)보다 평면상 벤딩 영역(SR)보다 멀게 위치하는 제2 패드 영역(PA2)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의 제1 패드 영역(PA1)에는 구동칩(70)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칩(70)은 표시 패널(10)을 구동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적 회로는 디스플레이용 집적 회로 및/또는 터치 유닛용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집적 회로와 터치 유닛용 집적 회로는 별도의 칩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하나의 칩에 통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의 서브 영역(SR)의 제2 패드 영역(PA2)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신호 배선 패드 및 터치 신호 배선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서브 영역(SR)의 제2 패드 영역(PA2)에는 구동 기판(90)이 연결될 수 있다. 구동 기판(9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이나 필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표시 부재(20), 터치 부재(30), 편광 부재(40), 및 벤딩 보호막(BPL, 5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부재(20)는 메인 영역(MR), 벤딩 영역(BR), 및 서브 영역(SR)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부재(20)는 도 3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기판부(도 4의 '101' 참조),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된 회로층(도 4의 'TR' 참조),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된 발광층(도 4의 '122' 참조),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도 4의 '117' 참조)을 포함한다. 표시 부재(20)는 상기 발광층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전극(도 4의 '121' 참조), 상기 발광층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전극(도 4의 '123'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상기 발광층, 및 상기 제2 전극은 발광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각 화소마다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부재(20)의 평면 형상은 상술한 표시 패널(10)의 평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표시 부재(20)는 메인 영역(MR), 벤딩 영역(BR), 및 서브 영역(SR)의 평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치 부재(30)는 표시 부재(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부재(30)는 메인 영역(MR), 벤딩 영역(BR), 및 서브 영역(SR)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부재(30)는 표시 부재(20)의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부재(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치 절연층, 및 상기 터치 절연층 상에 배치된 터치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부재(40)는 터치 부재(30)의 메인 영역(MR) 상에 배치되고, 벤딩 보호막(50)은 터치 부재(30)의 벤딩 영역(B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부재(30)의 평면 형상은 표시 부재(20)의 평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터치 부재(30)는 메인 영역(MR), 벤딩 영역(BR), 및 서브 영역(SR)의 평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부재(40)는 메인 영역(MR)과 대체로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벤딩 영역(BR)에는 비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막(50)은 벤딩 영역(BR)에 완전히 중첩 배치될 수 있고, 인접한 메인 영역(MR), 및 서브 영역(SR)의 일부에도 확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40)와 벤딩 보호막(50)은 대향하는 측면들이 상호 접할 수 있다. 즉, 편광 부재(40)와 벤딩 보호막(50)의 측면들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비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막(50)의 일측면과 편광 부재(40)의 일측면 간의 경계는 메인 영역(MR)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편광 부재(40)의 평면 형상은 상술한 터치 부재(30)의 메인 영역(MR)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40)는 터치 부재(30)보다 평면상 크기가 작아, 메인 영역(MR)에 대응하는 터치 부재(30)의 테두리의 일부를 노출할 수도 있다.
벤딩 보호막(50)의 평면 형상은 상술한 터치 부재(30)의 벤딩 영역(BR)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벤딩 보호막(50)의 평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딩 보호막(50)은 터치 부재(30)보다 평면상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즉, 벤딩 보호막(50)의 제2 방향(DR2) 폭이 터치 부재(30)의 제2 방향(DR2) 폭보다 작을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메인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부재, 및 터치 부재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6은 감지 전극과 구동 전극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기판부(101)는 제1 지지 기판(102), 제1 지지 기판(102) 상에 배치된 제2 지지 기판(103), 및 제1 지지 기판(102)과 제2 지지 기판(103) 사이에 배치된 배리어층(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02)과 제2 지지 기판(10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지 기판(102)과 제2 지지 기판(103)은 각각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름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지 기판(102)과 제2 지지 기판(103)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부(101)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리어층(104)은 제1 지지 기판(102)과 제2 지지 기판(103)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 기판(102)과 제2 지지 기판(103)을 결합하는 동시에,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지지 기판(102, 103)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리어층(104)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부(101) 상에는 버퍼층(111)이 배치된다. 버퍼층(111)은 제2 지지 기판(10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11)은 기판부(101)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고, 수분 또는 외부 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버퍼층(111)은 무기막일 수 있다. 버퍼층(111)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버퍼층(111)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화소마다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층(CH),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버퍼층(111) 상에 반도체층(CH)이 배치된다. 반도체층(CH)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폴리 실리콘(poly silicon),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반도체층(CH)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도체층(CH)은 채널 영역과, 채널 영역의 양 측에 배치되며,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CH)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12)이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112)은 무기막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2)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2) 상에는 제1 도전층(DC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층(DCL1)은 게이트 전극(GE), 및 유지 커패시터의 제1 전극(CE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DCL1)은 복수의 주사 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상기 복수의 주사 라인들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전층(DCL1)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전층(DCL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DCL1)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제1 도전층(DCL1) 상에는 제1 층간 절연막(113)이 배치된다. 층간 절연막(113)은 무기막일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13)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13) 상에는 제2 도전층(DCL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전층(DCL2)은 유지 커패시터의 제2 전극(CE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커패시터의 제2 전극(CE2)은 제1 층간 절연막(113)을 유전체로 하여 제1 도전층(DCL1)의 유지 커패시터의 제1 전극(CE1)과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전층(DCL2)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층(DCL2)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제2 도전층(DCL2) 상에는 제2 층간 절연막(11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14)은 무기막일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14)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14) 상에는 제3 도전층(DCL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도전층(DCL3)은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및 소스 연결 전극(SC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도전층(DCL2)은 고전위 전압 배선, 저전위 전압 배선,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제1 층간 절연막(113), 제2 층간 절연막(114) 및 게이트 절연막(112)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CH)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연결 전극(SCE)은 각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연결 전극(SCE)은 터치 부재(30)와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도전층(DCL3)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3 도전층(DCL3)은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몰리브덴(Mo)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장치(1)는 기판부(101) 상에 스토리지 커패시터 및 스위치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층(DCL3) 및 제2 층간 절연막(114) 상에 보호층(115)이 배치된다. 여기서, 보호층(115)은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는 픽셀 회로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보호층(115)은 평탄화막일 수 있다. 평탄화막은 아크릴, 폴리이미드와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115) 상에 복수의 제1 전극(121)이 배치된다. 제1 전극(121)은 화소마다 배치된 화소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21)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21)은 보호층(115)을 관통하는 비아홀을 통해 기판부(101)에 배치된 드레인 전극(DE)(또는 소스 전극(S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121)은 일함수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121)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 산화아연(Zinc Oxide: ZnO), 산화인듐(Induim Oxide: In2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도전성 물질들은 상대적으로 일함수가 크면서도, 투명한 특성을 갖는다.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전면 발광형일 경우, 상기 예시된 도전성 물질 이외에 반사성 물질, 예컨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납(Pd), 금(Au), 니켈(Ni), 네오듐(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121)은 상기 예시된 도전성 물질 및 반사성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구조를 갖거나, 이들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121) 상에는 화소 정의막(116)이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116)은 제1 전극(121)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화소 정의막(116)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 정의막(116)은 포토 레지스트,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화합물, 폴리아크릴계 수지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16)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121) 상에는 유기 발광층(122)이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122)은 특정한 색을 발광하는 색 발광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층(122)은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층(122_1),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층(122_2),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122_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색 발광층은 각 화소마다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1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기 발광층(122)은 화소의 구분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22)은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색 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층(122)은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일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발광층(122)에서 출광된 광들의 색 변환을 위해 유기 발광층(122) 상부에 파장 변환 패턴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22) 상에는 제2 전극(123)이 배치된다. 제2 전극(123)은 화소의 구별없이 전체에 걸쳐 배치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23)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123)은 일함수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123)은 Li, Ca, LiF/Ca, LiF/Al, Al, Mg, Ag, Pt, Pd, Ni, Au Nd, Ir, Cr, BaF, Ba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123)은 보조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물질이 증착되어 형성된 막, 및 상기 막 상에 투명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 산화아연(Zinc Oxide: ZnO), 인듐-주석-아연-산화물 (Indium-Tin-Zinc-Ox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전면 발광형일 경우, 제2 전극(123)으로서 일함수가 작은 도전층을 박막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투명한 도전막, 예컨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층,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층, 산화아연(Zinc Oxide: ZnO)층, 산화인듐(Induim Oxide: In2O3)층 등을 적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21), 유기 발광층(122) 및 제2 전극(123)은 발광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전극(121)과 유기 발광층(122) 사이에는 정공 주입층 및/또는 정공 수송층이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과 제2 전극(123) 사이에는 전자 수송층 및/또는 전자 주입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123) 상에는 봉지층(117)이 배치된다. 봉지층(117)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11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봉지 무기층(117a), 봉지 유기층(117b) 및 제2 봉지 무기층(117c)을 포함하는 다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봉지 무기층(117a), 및 제2 봉지 무기층(117c)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봉지 유기층(117b)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117) 상에 터치 부재(30)가 배치된다. 터치 부재(30)는 봉지층(117)의 제2 봉지 무기층(117c)의 상면에 직접 접할 수 있다.
터치 부재(30)는 터치 절연층(310), 및 터치 절연층(310) 상에 배치된 터치 도전층(TCL)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절연층(310)은 제2 봉지 무기층(117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절연층(310)은 제2 봉지 무기층(117c)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절연층(310)은 터치 도전층(TCL)과 표시 부재(20)의 복수의 도전층을 상호 절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터치 절연층(310)은 일 실시예로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 물질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터치 절연층(31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기 물질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도전층(TCL)은 터치 절연층(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도전층(TCL)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도전층(TCL)은 복수의 구동 전극(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들은 터치 구동 회로로부터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TS)를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을 통해 전달받고, 인접한 감지 전극(RE)들과 상호 커패시턴스를 형성할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S)가 인가된 복수의 구동 전극(TE)들과 인접 배치된 복수의 감지 전극(RE)들은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을 통해 상호 커패시턴스가 반영된 정전 용량 값을 상기 터치 구동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S)는 복수의 구동 펄스들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기판(90) 상에 배치된 구동칩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터치 구동 신호(TS)가 인가된 복수의 구동 전극(TE)과 그와 인접 배치된 감지 전극(RE)들의 정전 용량 값들에 따라 터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가 입력된 터치 좌표들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터치 부재(30)는 상술한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이들과 연결된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과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이 배치된 터치 센서 영역(TSA), 및 터치 센서 영역(TSA)의 주변에 배치된 터치 비센서 영역(NSA)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영역(TSA)은 주로 표시 장치(1)의 메인 영역(MR)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터치 비센서 영역(NSA)은 메인 영역(MR)의 테두리부, 및 터치 센서 영역(TSA)의 제1 방향(DR1) 하단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비센서 영역(NSA)은 표시 장치(1)의 벤딩 영역(BR), 및 서브 영역(SR)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 영역(SR)에 위치한 터치 비센서 영역(NSA)은 복수의 영역들을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영역(SR)의 터치 비센서 영역(NSA)은 복수의 브릿지 영역(MBR1~MBR4), 및 복수의 패드 영역(TPP1, TPP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브릿지 영역(MBR1~MBR4)들은 터치 센서 영역(TSA), 또는 메인 영역(MR)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 및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들이 후술할 브릿지 전극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역이고, 복수의 패드 영역(TPP1, TPP2)들은 상기 전기적으로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 및 복수의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들이 패드 영역(TPP1, TPP2)들에 배치된 복수의 패드들과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영역(SR)의 중심부에는 상술한 구동칩(70)이 배치되고, 평면상 구동칩(70)을 중심으로 서브 영역(SR)의 제2 방향(DR2) 타측, 및 서브 영역(SR)의 제2 방향(DR1) 일측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브릿지 영역(MBP1), 제3 브릿지 영역(MBP3), 및 제1 패드 영역(TPP1)은 서브 영역(SR)의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하고, 제2 브릿지 영역(MBP2), 제4 브릿지 영역(MBP4), 및 제2 패드 영역(TPP2)은 서브 영역(SR)의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브릿지 영역(MBP1)과 제2 브릿지 영역(MBP2)은 구동칩(70)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3 브릿지 영역(MBP3)과 제4 브릿지 영역(MBP4)은 구동칩(70)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패드 영역(TPP1)과 제2 패드 영역(TPP2)은 구동칩(70)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 영역(TSA)에는 상술한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들은 하나의 감지 전극(RE)과 정전 용량 값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전극(RE)과 대응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TE)들은 각각 다른 터치 구동 신호(TS)가 인가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감지 전극(RE)의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길이는 그와 대응되는 구동 전극(TE)의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전극(RE)과 대응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TE)들은 하나의 감지 전극(RE)의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들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전극(RE)과 그에 대응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TE)들은 터치 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터치 셀들은 터치 센서 영역(TSA)에서 행렬 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터치 셀을 구성하는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구동 전극(TE)들에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 및 복수의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이 연결되는데,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30)는 하나의 터치 도전층(TCL)에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 및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이 배치되기 때문에 패드 영역(TPP1, TPP2)에까지 각 전극(RE, TE)들에 연결된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과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들이 연장되면, 이들과 접속되는 터치 패드들의 개수 많아질 수 있다. 패드 영역(TPP1, TPP2)에 배치된 상기 터치 패드들의 개수가 많아지면 제2 방향(DR2)으로의 폭이 증가하여 벤딩 영역(BR)에서 상술한 L컷 형상부에 의한 만입 영역에 배치될 다른 구성물(예컨대, 스타일러스 펜 실장부)들이 배치될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베젤 영역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서브 영역(SR)에서 구동칩(70)이 배치될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들은 표시 부재(20)의 활성 영역(AAR)에서 출력되는 광의 투과를 위하여 메쉬(mesh)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다수의 메쉬 홀(EA)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쉬 홀(EA)에 의하여 터치 절연층(310)의 일부는 노출된다.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들의 메쉬 홀(EA)들은 표시 부재(20)의 발광 영역과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메쉬 홀(EA)들의 면적은 표시 부재(20)의 발광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부재(20)의 활성 영역(AAR) 상에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들이 위치하여도,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들에 메쉬 홀(EA)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표시 부재(20)의 활성 영역(AAR)에서 출력되는 광이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나아가,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들과 연결된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n), 및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n)들도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들과 마찬가지로 메쉬 홀(E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고, 도 8은 도 7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XI-X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XII-X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의 배치, 및 터치 전극들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도시된 것과 달리 다양한 복수의 신호 라인들의 배치와 복수의 터치 전극들의 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브릿지 영역(MBP1)에 배치된 터치 신호 라인들의 배치는 제2 브릿지 영역(MBP2)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감지 전극(RE)은 제1 감지 전극(RE1) 내지 제6 감지 전극(RE6)들을 포함하고, 구동 전극(TE)은 제1 감지 전극(RE1)과 대응되는 제1-1 구동 전극(TE11) 내지 제1-3 구동 전극(TE13), 제2 감지 전극(RE2)과 대응되는 제2-1 구동 전극(TE21) 내지 제2-3 구동 전극(TE13), 제3 감지 전극(RE3)과 대응되는 제3-1 구동 전극(TE31) 내지 제3-3 구동 전극(TE33), 제4 감지 전극(RE4)과 대응되는 제4-1 구동 전극(TE41) 내지 제4-3 구동 전극(TE43), 제5 감지 전극(RE5)과 대응되는 제5-1 구동 전극(TE51) 내지 제5-3 구동 전극(TE53), 및 제6 감지 전극(RE6)과 대응되는 제6-1 구동 전극(TE61) 내지 제6-3 구동 전극(TE63)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n)들은 상술한 각 감지 전극(RE1~RE6)들과 연결되고,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n)들은 상술한 각 구동 전극(TE11~TE63)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은 제1 감지 전극(RE1)과 연결되고,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은 제2 감지 전극(RE2)과 연결되고,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은 제3 감지 전극(RE3)과 연결되고,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은 제4 감지 전극(RE4)과 연결될 수 있고, 제2-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2)은 제2-3 구동 전극(TE23)과 연결되고,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은 제3-1 구동 전극(TE31)과 연결되고,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은 제5-1 구동 전극(TE51)과 연결되고,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은 제6-1 구동 전극(TE61)과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부재(30)는 터치 비센서 영역(NSA)에 배치된 복수의 접지 라인(GRL1~GRL4)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지 라인(GRL1)은 터치 부재(30)의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의 제2 방향(DR2) 타측의 터치 비센서 영역(NSA)에 배치되고, 제2 접지 라인(GRL1)은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과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 사이에 배치되고, 나아가 구동칩(70)을 기준으로 제2 방향(DR2) 타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접지 라인(GRL3)은 터치 부재(30)의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의 제2 방향(DR2) 일측의 터치 비센서 영역(NSA)에 배치되고, 제4 접지 라인(GRL4)은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과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 사이에 배치되고, 나아가 구동칩(70)을 기준으로 제2 방향(DR2) 일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 제2-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2), 및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은 서브 영역(SR)의 제1 브릿지 영역(MBP1), 및 제3 브릿지 영역(MBP3)을 지나갈 수 있고,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 및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은 제2 브릿지 영역(MBP2)을 지나갈 수 있다. 나아가, 제1 접지 라인(GRL1), 및 제2 접지 라인(GRL2)은 제1 브릿지 영역(MBP1), 및 제3 브릿지 영역(MBP3)을 지나라고, 제2 접지 라인(GRL2), 및 제4 접지 라인(GRL4)은 제2 브릿지 영역(MBP2), 및 제4 브릿지 영역(MBP4)을 지나갈 수 있다.
한편, 구동칩(70)과 메인 영역(BR) 사이의 서브 영역(SR) 상에는 전원 전압 라인(SL_VDD)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전원 전압 라인(SL_VDD)은 인쇄 회로 기판(90)으로부터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활성 영역(AAR)의 복수의 화소에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원 전압 라인(SL_VDD)은 평면상 제1 브릿지 영역(MBP1)과 제2 브릿지 영역(MBP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브릿지 영역(MBP1)과 제3 브릿지 영역(MBP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브릿지 영역(MBP2)과 제4 브릿지 영역(MBP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전압 라인(SL_VDD)은 도 4에서 상술한 제3 도전층(DCL3)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지 라인(GRL1)과 제2 접지 라인(GRL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접지 라인(GRL1)과 제2 접지 라인(GRL2)은 벤딩 영역(BR)을 지나 제1 브릿지 영역(MBP1)에 이를 수 있다.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제1 접지 라인(GRL1)과 제2 접지 라인(GRL2)은 제1 브릿지 전극(BE1)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릿지 전극(BE1)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릿지 전극(BE1)과 연결된 제1 연결 라인(CL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3 브릿지 영역(MBP3)을 지나 제1 터치 패드(TP1)와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다. 제1 연결 라인(CL1)은 제1 접지 라인(GRL1), 및 제2 접지 라인(GR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라인(CL1)은 제1 브릿지 전극(BE1)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접지 라인(GRL1, GRL2)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접지 라인(GRL3), 및 제4 접지 라인(GRL4)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접지 라인(GRL3)과 제4 접지 라인(GRL4)은 벤딩 영역(BR)을 지나 제2 브릿지 영역(MBP2)에 이를 수 있다.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제3 접지 라인(GRL3)과 제4 접지 라인(GRL4)은 제2 브릿지 전극(BE2)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브릿지 전극(BE2)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릿지 전극(BE2)과 연결된 제2 연결 라인(CL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4 브릿지 영역(MBP4)을 지나 제2 터치 패드(TP2)와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다. 제2 연결 라인(CL2)은 제3 접지 라인(GRL3), 및 제4 접지 라인(GRL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라인(CL2)은 제2 브릿지 전극(BE2)을 사이에 두고 제3 및 제4 접지 라인(GRL3, GRL4)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과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과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은 벤딩 영역(BR)을 지나 제1 브릿지 영역(MBP1)에 이를 수 있다.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과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은 제3 브릿지 전극(BE3)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브릿지 전극(BE3)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브릿지 전극(BE3)과 연결된 제3 연결 라인(CL3)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3 브릿지 영역(MBP3)에 이를 수 있다. 제3 연결 라인(CL3)은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과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 라인(CL3)은 제3 브릿지 전극(BE3)을 사이에 두고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 및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과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과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은 벤딩 영역(BR)을 지나 제1 브릿지 영역(MBP1)에 이를 수 있다.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과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은 제4 브릿지 전극(BE4)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브릿지 전극(BE4)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브릿지 전극(BE4)과 연결된 제4 연결 라인(CL4)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3 브릿지 영역(MBP3)에 이를 수 있다. 제4 연결 라인(CL4)은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과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연결 라인(CL4)은 제4 브릿지 전극(BE4)을 사이에 두고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 및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제3 연결 라인(CL3), 및 제4 연결 라인(CL4)은 제7 브릿지 전극(BE7)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7 브릿지 전극(BE7)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7 브릿지 전극(BE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7 연결 라인(CL7)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1 패드 영역(TPP1)에 이를 수 있다. 제1 패드 영역(TPP1)에서 제7 연결 라인(CL7)은 제3 터치 패드(TP3)와 접속될 수 있다. 제7 연결 라인(CL7)은 제3 및 제4 연결 라인(CL3, CL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7 연결 라인(CL7)은 제7 브릿지 전극(BE7)을 사이에 두고 제3 및 제4 연결 라인(CL3, CL4)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2)과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2)과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은 벤딩 영역(BR)을 지나 제1 브릿지 영역(MBP1)에 이를 수 있다.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제2-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2)과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은 제6 브릿지 전극(BE6)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 브릿지 전극(BE6)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브릿지 전극(BE6)과 연결된 제5 연결 라인(CL5)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3 브릿지 영역(MBP3)에 이를 수 있다. 제5 연결 라인(CL5)은 제2-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2)과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 연결 라인(CL5)은 제6 브릿지 전극(BE6)을 사이에 두고 제2-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2)과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과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과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은 벤딩 영역(BR)을 지나 제2 브릿지 영역(MBP2)에 이를 수 있다.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과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은 제5 브릿지 전극(BE5)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 브릿지 전극(BE5)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브릿지 전극(BE5)과 연결된 제6 연결 라인(CL6)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2 브릿지 영역(MBP2)과 제4 브릿지 영역(MBP4) 사이에서 다시 제2 방향(DR2)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3 브릿지 영역(MBP3)에 이를 수 있다. 제6 연결 라인(CL6)은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과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 연결 라인(CL6)은 제5 브릿지 전극(BE5)을 사이에 두고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과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제5 연결 라인(CL5), 및 제6 연결 라인(CL6)은 제8 브릿지 전극(BE8)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8 브릿지 전극(BE8)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8 브릿지 전극(BE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56 연결 라인(CL56)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1 패드 영역(TPP1)에 이를 수 있다. 제1 패드 영역(TPP1)에서 제56 연결 라인(CL56)은 제4 터치 패드(TP4)와접속될 수 있다. 제56 연결 라인(CL56)은 제5 및 제6 연결 라인(CL5, CL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6 연결 라인(CL56)은 제8 브릿지 전극(BE8)을 사이에 두고 제5 및 제6 연결 라인(CL5, CL6)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 제2-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2), 및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 제1 접지 라인(GRL1), 및 제2 접지 라인(GRL2)은 각각 메인 영역(MR)에 배치된 제1 터치 연결 전극(TCE1), 및 제1 콘택홀(CNT1)을 통해 제1 터치 연결 전극(TCE1)과 콘택하는 소스 연결 전극(S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연결 전극(TCE1)은 터치 도전층(TCL)에 배치되고, 소스 연결 전극(SCE)은 제3 도전층(DCL3)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콘택홀(CNT1)은 터치 절연층(310), 봉지층(117), 화소 정의막(116), 및 보호층(115)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터치 연결 전극(TCE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터치 연결 전극(TCE1)은 메인 영역(MR)으로부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평면상 벤딩 영역(BR)과 인접한 메인 영역(MR)에서 제1 콘택홀(CNT1)을 통해 소스 연결 전극(S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연결 전극(SCE)은 벤딩 영역(BR), 및 서브 영역(S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연결 전극(SCE)은 서브 영역(SR)의 제1 브릿지 영역(MBP1), 및 제2 브릿지 영역(MBP2)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벤딩 영역(BR)에는 기판부(101) 상에 배치된 비아층(VIA0)이 배치되고, 비아층(VIA0) 상에는 소스 연결 전극(SCE)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비아층(VIA0)은 소스 연결 전극(SCE)과 기판부(1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R)에는 도 4에서 상술한 무기막들이 제거되고 비아층(VIA0)이 배치됨으로써 벤딩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지 라인(GRL1, GRL2)의 소스 연결 전극(SCE)은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1 브릿지 전극(BE1)과 제21 콘택홀(CNT21) 및 제22 콘택홀(CNT2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제1 연결 라인(CL1)을 통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1 콘택홀(CNT21) 및 제22 콘택홀(CNT2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113, 1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접지 라인(GRL3, GRL4)DML 소스 연결 전극(SCE)은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2 브릿지 전극(BE2)과 제61 콘택홀(CNT61) 및 제62 콘택홀(CNT6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제2 연결 라인(CL2)을 통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61 콘택홀(CNT61) 및 제62 콘택홀(CNT6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113, 1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과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의 소스 연결 전극(SCE)은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3 브릿지 전극(BE3)과 제31 콘택홀(CNT31) 및 제32 콘택홀(CNT3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제3 연결 라인(CL3)을 통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1 콘택홀(CNT31) 및 제32 콘택홀(CNT3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113, 1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과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의 소스 연결 전극(SCE)은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4 브릿지 전극(BE4)과 제41 콘택홀(CNT41) 및 제42 콘택홀(CNT4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제4 연결 라인(CL4)을 통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41 콘택홀(CNT41) 및 제42 콘택홀(CNT4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113, 1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2-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22)과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의 소스 연결 전극(SCE)은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6 브릿지 전극(BE6)과 제51 콘택홀(CNT51) 및 제52 콘택홀(CNT5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제5 연결 라인(CL5)을 통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51 콘택홀(CNT51) 및 제52 콘택홀(CNT5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113, 1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5-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52)과 제6-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62)의 소스 연결 전극(SCE)은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5 브릿지 전극(BE5)과 제71 콘택홀(CNT71) 및 제72 콘택홀(CNT7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제6 연결 라인(CL6)을 통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71 콘택홀(CNT71) 및 제72 콘택홀(CNT7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113, 1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연결 라인(CL1) 내지 제6 연결 라인(CL6)의 소스 연결 전극(SCE)들은 각각 제1 및 제2 브릿지 영역(MBP1, MBP2)의 제1 방향(DR1) 타측 일단에 이르러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과 제8 콘택홀(CNT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8 콘택홀(CNT8)은 평면상 서브 영역(SR)에 배치되고, 평면상 제1 및 제2 브릿지 영역(MBP1, MBP2)에 배치될 수 있다. 제8 콘택홀(CNT8)은 제1 콘택홀(CNT1)과 마찬가지로 터치 절연층(310), 봉지층(117), 화소 정의막(116), 및 보호층(115)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은 터치 도전층(TCL)에 배치되고 제1 터치 연결 전극(TCE1)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은 제1 및 제2 브릿지 영역(MBP1, MBP2)과 제3 및 제4 브릿지 영역(MBP3, MBP4)에까지 연장되고, 더 나아가 제1 및 제2 패드 영역(TPP1, TPP2)에까지 연장되어 복수의 터치 패드들과 접속될 수 있다.
제3 연결 라인(CL3)의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과 제4 연결 라인(CL4)의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은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7 브릿지 전극(BE7)과 제91 콘택홀(CNT91) 및 제92 콘택홀(CNT9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제7 연결 라인(CL7)을 통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91 콘택홀(CNT91) 및 제92 콘택홀(CNT9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113, 114), 터치 절연층(310), 봉지층(117), 화소 정의막(116), 및 보호층(115)을 관통할 수 있다.
제5 연결 라인(CL5)의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과 제6 연결 라인(CL6)의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은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8 브릿지 전극(BE8)과 제101 콘택홀(CNT101) 및 제102 콘택홀(CNT10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제56 연결 라인(CL56)을 통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01 콘택홀(CNT101) 및 제102 콘택홀(CNT10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113, 114), 터치 절연층(310), 봉지층(117), 화소 정의막(116), 및 보호층(115)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연결 라인(CL1) 내지 제6 연결 라인(CL6)의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은 전원 전압 라인(SL_VDD)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전원 전압 라인(SL_VDD)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도전층(DCL3)에 배치되고, 제1 연결 라인(CL1) 내지 제6 연결 라인(CL6)의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도전층(DCL3)과 다른층인 터치 도전층(TCL)에 배치되기 때문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30)는 하나의 터치 도전층(TCL)에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 및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이 배치되기 때문에 패드 영역(TPP1, TPP2)에까지 각 전극(RE, TE)들에 연결된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n1)과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n2)들이 연장되면, 이들과 접속되는 터치 패드들의 개수 많아질 수 있다. 패드 영역(TPP1, TPP2)에 배치된 상기 터치 패드들의 개수가 많아지면 제2 방향(DR2)으로의 폭이 증가하여 벤딩 영역(BR)에서 상술한 L컷 형상부에 의한 만입 영역에 배치될 다른 구성물(예컨대, 스타일러스 펜 실장부)들이 배치될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베젤 영역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서브 영역(SR)에서 구동칩(70)이 배치될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터치 전극들과 연결된 복수의 터치 신호 라인들이 패드로 연장되면서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브릿지 전극들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터치 패드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브릿지 전극들이 배치된 브릿지 영역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브릿지 영역과 제2 브릿지 영역과 같이 우선적으로 터치 신호 라인들을 병합하는 부분과, 병합된 터치 신호 라인들이 재차 병합되는 제3 브릿지 영역과 제4 브릿지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터치 패드들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칩(70)을 기준으로 제2 방향(DR2) 타측부에 위치한 제1 브릿지 영역(MBP1)과 제2 방향(DR2) 일측부에 위치한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터치 신호 라인들이 각각 병합되고,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병합된 라인들이 제3 브릿지 영역(MBP3)으로 연장되어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병합된 터치 신호 라인들과 병합됨으로써 더욱 터치 패드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표시 부재(20) 상에 구동칩(70)이 실장될 영역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또, 터치 패드부에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브릿지 전극들이 제2 도전층(DCL2)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는 브릿지 전극들이 제2 도전층(DCL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브릿지 전극(BE3_1), 및 제7 브릿지 전극(BE7_1)은 제2 도전층(DCL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브릿지 전극(BE3_1) 및 제7 브릿지 전극(BE7_1)만 제2 도전층(DCL2)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30)에서 상술한 다른 브릿지 전극들도 제2 도전층(DCL2)에 배치될 수 있고, 나아가, 터치 부재의 브릿지 전극들 중 일부 브릿지 전극들은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되고 터치 부재의 브릿지 전극들 중 다른 일부 브릿지 전극들은 제2 도전층(DCL2)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연결 라인들의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들이 제3 도전층(DCL3)에 배치된 브릿지 전극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연결 라인들의 제2 터치 연결 전극(TCE2)들이 제3 도전층(DCL3)에 배치된 브릿지 전극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7 브릿지 전극(BE7_1)은 제3 도전층(DCL3)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8 브릿지 전극도 제3 도전층(DCL3)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부재의 브릿지 전극들 중 일부 브릿지 전극들은 제1 도전층(DCL1) 또는 제2 도전층(DCL2)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 브릿지 전극들은 제3 도전층(DCL3)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고, 도 18은 도 17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XIX-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브릿지 전극들이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브릿지 전극들이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3 브릿지 전극(BE3), 및 제4 브릿지 전극(BE4_1)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3 브릿지 전극(BE3)은 예를 들어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되고, 제4 브릿지 전극(BE4_1)은 제2 도전층(DCL2)에 배치되어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더라도 단락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제3 브릿지 전극(BE3)은 제2 도전층(DCL2)에 배치되고, 제4 브릿지 전극(BE4_1)은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층에 브릿지 전극들을 배치하고 브릿지 전극들을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함으로써 브릿지 전극들이 차지하는 평면상 면적을 줄일 수 있게된다.
도 17에서는 제3 브릿지 전극(BE3) 및 제4 브릿지 전극(BE4_1)들이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브릿지 전극들은 다양한 조합을 갖고 이와 같은 구조를 채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3 및 제4 브릿지 영역(MBP3, MBP4)에 배치된 브릿지 전극들은 제1 도전층(DCL1), 제2 도전층(DCL2), 및 제3 도전층(DCL3)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도 16에서 상술하였다. 따라서, 제3 및 제4 브릿지 영역(MBP3, MBP4)에 배치된 브릿지 전극들 중 제1 도전층(DCL1) 내지 제3 도전층(DCL3) 중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브릿지 전극들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복수의 신호 라인들이 제1 브릿지 영역(MBP1) 및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각각 병합되고,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병합된 배선이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병합된 배선과 다시 병합되어,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다른 병합된 배선과 다시 병합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지 전극은 제7 및 제8 감지 전극(RE7, RE8)을 더 포함하고, 구동 전극은 제7 감지 전극(RE7)과 대응되는 제7-1 내지 제7-3 구동 전극(TE71~TE73)을 더 포함하고, 제8 감지 전극(RE8)과 대응되는 제8-1 내지 제8-3 구동 전극(TE81~TE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72)은 제7-1 구동 전극(TE71)과 연결되고, 제8-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82)은 제8-1 구동 전극(TE81)과 연결될 수 있다.
제7-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72), 및 제8-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82)은 서브 영역(SR)의 제1 브릿지 영역(MBP1), 및 제3 브릿지 영역(MBP3)을 지나갈 수 있다.
제7-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72), 및 제8-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8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7-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72), 및 제8-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82)은 벤딩 영역(BR)을 지나 제1 브릿지 영역(MBP1)에 이를 수 있다.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제7-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72), 및 제8-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82)은 제8 브릿지 전극(BE8)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8 브릿지 전극(BE8)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도전층(DC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8 브릿지 전극(BE8)과 연결된 제78 연결 라인(CL78)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78 연결 라인(CL78)은 제7-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72), 및 제8-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8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78 연결 라인(CL78)은 제8 브릿지 전극(BE8)을 사이에 두고 제7-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72), 및 제8-1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82)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연결 라인(CL6)은 제5 연결 라인(CL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 연결 라인(CL6)은 제5 연결 라인(CL5)과 브릿지 전극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제5 및 제6 연결 라인(CL5, CL6)이 병합된 제56 연결 라인(CL56)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제78 연결 라인(CL78)과 제9 브릿지 전극(BE9)을 통해 병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브릿지 전극들이 배치된 브릿지 영역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브릿지 영역과 제2 브릿지 영역과 같이 우선적으로 터치 신호 라인들을 병합하는 부분과, 병합된 터치 신호 라인들이 재차 병합되는 제3 브릿지 영역과 제4 브릿지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터치 패드들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칩(70)을 기준으로 제2 방향(DR2) 타측부에 위치한 제1 브릿지 영역(MBP1)과 제2 방향(DR2) 일측부에 위치한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터치 신호 라인들이 각각 병합되고,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병합된 라인들이 제3 브릿지 영역(MBP3)으로 연장되어 제1 브릿지 영역(MBP1)에서 병합된 터치 신호 라인들과 병합됨으로써 더욱 터치 패드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표시 부재(20) 상에 구동칩(70)이 실장될 영역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또, 터치 패드부에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제1 브릿지 영역(MBP1)과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병합된 신호 라인들과 제2 브릿지 영역(MBP2)과 제4 브릿지 영역(MBP4)에서 병합된 신호 라인들이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다시 병합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제1 브릿지 영역(MBP1)과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병합된 신호 라인들과 제2 브릿지 영역(MBP2)과 제4 브릿지 영역(MBP4)에서 병합된 신호 라인들이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다시 병합될 수 있다. 감지 전극은 제9 및 제10 감지 전극(RE9, RE10)을 더 포함하고, 구동 전극은 제9 감지 전극(RE9)과 대응되는 제9-1 내지 제9-3 구동 전극(TE91~TE9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0 감지 전극(RE10)과 대응되는 제10-1 내지 제10-3 구동 전극(TE101~TE1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9-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92)은 제9-1 구동 전극(TE91)과 연결되고, 제10-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102)은 제10-3 구동 전극(TE103)과 연결될 수 있다.
제9-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92), 및 제10-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102)은 서브 영역(SR)의 제2 브릿지 영역(MBP2), 및 제4 브릿지 영역(MBP4)을 지나갈 수 있다.
제9-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92), 및 제10-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102)은 제2 브릿지 영역(MBP2)에서 제10 브릿지 전극(BE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다. 제10 브릿지 전극(BE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921 연결 라인(CL921)은 제9-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92), 및 제10-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921 연결 라인(CL921)은 일 실시예엣 상술한 제6 연결 라인(CL6)과 제4 브릿지 영역(MBP4)에서 제11 브릿지 전극(BE1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다. 제11 브릿지 전극(BE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9211 연결 라인(CL9211)은 제3 브릿지 영역(MBP3)으로 연장된 다음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7 연결 라인(CL7)과 제12 브릿지 전극(BE1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다. 제12 브릿지 전극(BE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92111 연결 라인(CL92111)은 제1 패드 영역(TPP1)에 배치된 제5 터치 패드(TP5)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역, 벤딩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전원 전압 라인(SL_VDD) 메인 영역(MR)을 지나는 접속부들 사이에 제5 브릿지 영역(MBP5)이 더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와 상이하다.
제5 브릿지 영역(MBP5)은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브릿지 영역(MBP1) 또는 제2 브릿지 영역(MBP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영역일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제1 브릿지 영역(MBP1)이 전원 전압 라인(SL_VDD_1)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부재는 제1 브릿지 영역(MBP1)이 전원 전압 라인(SL_VDD_1)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전원 전압 라인(SL_VDD_1)에 의해 제1 브릿지 영역(MBP1)은 제1 서브 브릿지 영역(MBP11), 및 제2 서브 브릿지 영역(MBP12)으로 분할될 수 있고, 제2 브릿지 영역(MBP2)은 제3 서브 브릿지 영역(MBP21), 및 제4 서브 브릿지 영역(MBP22)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2 서브 브릿지 영역(MBP12)은 제1 서브 브릿지 영역(MBP11)과 제3 서브 브릿지 영역(MBP21)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서브 브릿지 영역(MBP21)은 제2 서브 브릿지 영역(MBP12)과 제4 서브 브릿지 영역(MBP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4에서 예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과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은 제1 서브 브릿지 영역(MBP11)에서 제13 브릿지 전극(BE1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고,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과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은 제2 서브 브릿지 영역(MBP12)에서 제14 브릿지 전극(BE1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다. 제13 브릿지 전극(BE1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된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과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은 제8 연결 라인(CL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4 브릿지 전극(BE1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된 제3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31)과 제4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41)은 제9 연결 라인(CL9)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8 연결 라인(CL8)과 제9 연결 라인(CL9)는 제3 브릿지 영역(MBP3)에서 제15 브릿지 전극(BE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고, 제15 브릿지 전극(BE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된 제8 연결 라인(CL8)과 제9 연결 라인(CL9)은 제6 터치 패드(TP6)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1-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12)과 제3-2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2)은 각각 서브 브릿지 영역(MBP11, MBP12)에서 연장되어, 서브 브릿지 영역(MBP11, MBP12)와 제3 브릿지 영역(MBP3)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서 서로 제16 브릿지 전극(BE1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다.
또한, 제3-3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33)과 제4-3 터치 구동 신호 라인(SL43)은 각각 서브 브릿지 영역(MBP12, MBP21)에서 연장되어, 서브 브릿지 영역(MBP12, MBP21)와 제3 브릿지 영역(MBP3)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서 서로 제17 브릿지 전극(BE17)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영역에 배치된 신호 라인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5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51)과 제6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61)은 제3 서브 브릿지 영역(MBP21)에서 제16 브릿지 전극(BE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고, 제7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71)과 제8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81)은 제4 서브 브릿지 영역(MBP22)에서 제17 브릿지 전극(BE1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다. 제16 브릿지 전극(BE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된 제5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51)과 제6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61)은 제11 연결 라인(CL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7 브릿지 전극(BE1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된 제7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71)과 제8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81)은 제12 연결 라인(CL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1 연결 라인(CL11)과 제12 연결 라인(CL12)은 제4 브릿지 영역(MBP4)에서 제18 브릿지 전극(BE18)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다. 또한, 제18 브릿지 전극(BE18)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된 제11 및 제12 연결 라인(CL11, CL12)과 제15 브릿지 전극(BE15)에 의해 병합된 제8 및 제9 연결 라인(CL8, CL9)은 제19 브릿지 전극(BE1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될 수 있다.
제19 브릿지 전극(BE1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된 제18 브릿지 전극(BE18)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병합된 제11 및 제12 연결 라인(CL11, CL12)과 제15 브릿지 전극(BE15)에 의해 병합된 제8 및 제9 연결 라인(CL8, CL9)은 제7 터치 패드(TP7)와 접속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11)과 제2 터치 감지 신호 라인(SL21)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20: 표시 부재
30: 터치 부재

Claims (22)

  1. 메인 영역,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과 상기 서브 영역 사이에 위치한 벤딩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 전극 내지 제4 터치 전극;
    상기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제1 터치 전극 내지 상기 제4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제4 터치 신호 라인;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터치 신호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3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브릿지 전극; 및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연결하는 제3 브릿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영역은 제1 브릿지 영역과 상기 제1 브릿지 영역보다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먼 제2 브릿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역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보다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멀고 패드가 배치된 패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3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패드와 접속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 연결 전극, 상기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 배치된 소스 연결 전극, 및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과 제1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과 제2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되,
    상기 제1 콘택홀은 상기 제2 콘택홀보다 상기 메인 영역에 가깝게 배치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연결 전극은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서 제3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제3 콘택홀은 상기 제1 콘택홀보다 상기 메인 영역에 멀고, 상기 제2 콘택홀보다 상기 메인 영역에 가깝게 배치된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서 상기 제3 브릿지 전극과 제4 콘택홀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4 콘택홀은 상기 제2 콘택홀보다 상기 메인 영역에 멀게 위치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전극 내지 상기 제4 터치 전극은 구동 전극이고,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구동 전극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구동 터치 신호 라인인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전극 내지 상기 제4 터치 전극은 감지 전극이고,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감지 전극으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 감지 신호 라인인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서브 영역에 배치된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된 전원 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은 상기 전원 전압 라인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서브 브릿지 영역과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제5 터치 전극, 제6 터치 전극, 상기 제5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5 터치 신호 라인, 및 상기 제6 터치 전극과 연결된 제6 터치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5 터치 신호 라인 및 상기 제6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서 상기 제5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6 터치 신호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 브릿지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브릿지 전극과 연결된 제3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서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과 직접 연결된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제7 터치 전극, 제8 터치 전극, 상기 제7 터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7 터치 신호 라인, 및 상기 제8 터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8 터치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터치 신호 라인 및 상기 제8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브릿지 영역에서 상기 제7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8 터치 신호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5 브릿지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브릿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5 브릿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서 제6 브릿지 전극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6 브릿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5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제3 브릿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터치 연결 전극과 제7 브릿지 전극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은 상기 전원 전압 라인의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서브 브릿지 영역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메인 영역,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과 상기 서브 영역 사이에 위치한 벤딩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된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2 도전층;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배치된 제2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3 도전층;
    상기 제3 도전층 상에 배치된 제3 절연층; 및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4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도전층은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 전극 내지 제4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내지 상기 제4 터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터치 신호 라인 내지 제4 터치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층 또는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터치 신호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3 터치 신호 라인과 상기 제4 터치 신호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브릿지 전극, 및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브릿지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역은 제1 브릿지 영역과 상기 제1 브릿지 영역보다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먼 제2 브릿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신호 라인은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 연결 전극, 상기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브릿지 영역에 배치된 소스 연결 전극, 및 상기 제2 브릿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과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도전층은 상기 제1 터치 연결 전극 및 상기 제2 터치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층은 상기 소스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층과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상기 봉지층에 직접 배치된 표시 장치.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릿지 전극과 상기 제2 브릿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087160A 2019-07-18 2019-07-18 표시 장치 KR20210010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60A KR20210010733A (ko) 2019-07-18 2019-07-18 표시 장치
US16/829,901 US11068096B2 (en) 2019-07-18 2020-03-25 Display device
CN202010528005.7A CN112241218A (zh) 2019-07-18 2020-06-11 显示装置
EP20182628.6A EP3767443A1 (en) 2019-07-18 2020-06-2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60A KR20210010733A (ko) 2019-07-18 2019-07-1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33A true KR20210010733A (ko) 2021-01-28

Family

ID=7126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160A KR20210010733A (ko) 2019-07-18 2019-07-1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68096B2 (ko)
EP (1) EP3767443A1 (ko)
KR (1) KR20210010733A (ko)
CN (1) CN1122412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844A1 (ko) * 2021-07-27 2023-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8800B (zh) * 2019-09-25 2024-0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KR20220010622A (ko) * 2020-07-16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30367A (ko) * 2020-08-2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40001734A (ko) * 2022-06-24 2024-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7813575A (zh) * 2022-07-29 2024-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4036636A1 (zh) * 2022-08-19 2024-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和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8529B2 (ja) * 2008-10-03 2013-02-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タッチパネル
US20100214247A1 (en) * 2009-02-20 2010-08-26 Acrosense Technology Co., Ltd. Capacitive Touch Panel
JP5396333B2 (ja) 2010-05-17 2014-01-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US8711570B2 (en) * 2011-06-21 2014-04-29 Apple Inc. Flexible circuit routing
KR101993220B1 (ko) 2012-10-29 2019-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TW201616323A (zh) 2014-10-17 2016-05-0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內嵌式互電容觸控面板及其佈局
KR102349436B1 (ko) 2015-01-06 2022-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296147B2 (en) 2015-02-02 2019-05-2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81121B1 (ko) 2015-02-02 2022-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I740908B (zh) * 2016-03-11 2021-10-01 南韓商三星顯示器有限公司 顯示設備
CN105975129B (zh) 2016-05-04 2018-08-2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测试方法、使用方法
TWI584177B (zh) 2016-05-25 2017-05-21 Hon Hai Prec Ind Co Ltd 觸摸面板及具有該觸摸面板之顯示裝置
KR101913394B1 (ko) * 2016-07-29 2018-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8386B1 (ko) 2016-09-30 2023-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15687B1 (ko) * 2016-11-15 2023-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41411B1 (ko) 2017-03-31 2021-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그의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2311316B1 (ko) * 2017-04-24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67724B1 (ko) 2017-06-21 2022-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369337B1 (ko) 2017-07-11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432386B1 (ko) 2017-07-12 2022-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27667B1 (ko) * 2017-09-26 2022-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4428B1 (ko) 2017-11-29 2023-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844A1 (ko) * 2021-07-27 2023-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41218A (zh) 2021-01-19
US11068096B2 (en) 2021-07-20
EP3767443A1 (en) 2021-01-20
US20210019007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0733A (ko) 표시 장치
KR102543918B1 (ko) 표시 장치
US11256357B2 (en) Display device
US11355561B2 (en) Display device having reduced thicknes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isplay device
KR20200033363A (ko)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117101A (ko) 표시 장치
KR20200033361A (ko)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13506A (ko) 표시 장치
US11366537B2 (en) Substrate including touch structure lay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3010048A (zh) 显示设备
US1155213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289178A (zh) 显示装置
US11842019B2 (en) Touch substrate and display panel
KR20210070456A (ko) 표시 장치
KR20210093420A (ko) 표시 장치
KR20210130896A (ko) 표시 장치
US11822744B2 (en) Display device
KR20220063774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917875B2 (en) Display device
US2022023109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44044A (ko) 표시 장치
KR20240049705A (ko) 표시 장치
KR20230144679A (ko) 표시 장치
KR20220120770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