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361A -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361A
KR20200033361A KR1020180112009A KR20180112009A KR20200033361A KR 20200033361 A KR20200033361 A KR 20200033361A KR 1020180112009 A KR1020180112009 A KR 1020180112009A KR 20180112009 A KR20180112009 A KR 20180112009A KR 20200033361 A KR20200033361 A KR 20200033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
wiring
touch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671B1 (ko
Inventor
한인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671B1/ko
Priority to US16/287,289 priority patent/US20200089350A1/en
Priority to CN201910374673.6A priority patent/CN110928434A/zh
Publication of KR20200033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터치 감지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신호 배선, 및 상기 신호 배선에 연결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감지 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배선은 상기 전극 패턴의 일 단부과 연결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감지 전극부를 우회하여 배치되는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1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감지 전극부의 상기 단부의 법선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2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배선폭은 상기 제1 배선폭보다 크다.

Description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투 바디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표시장치, 예컨대 스마트폰의 스피커 모듈 또는 광학 센서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모두 표시 영역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은 평면상 노치 또는 트렌치 형상을 갖도록 비정형화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에 터치 감지 유닛이 개재될 수 있는데, 터치 감지 유닛은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신체의 일부를 표시장치의 터치 활성화 영역에 누르거나 터치하여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의 한 종류이다.
표시장치에 터치 이벤트를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드 스페이스가 감소되면서, 감지 패턴의 감도 증가를 위한 보상 설계가 적용된 터치 감지 유닛 및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이 포함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유닛은, 신호 배선, 및 상기 신호 배선에 연결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감지 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배선은 상기 전극 패턴의 일 단부과 연결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감지 전극부를 우회하여 배치되는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1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감지 전극부의 상기 단부의 법선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2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배선폭은 상기 제1 배선폭보다 크다.
상기 전극 패턴의 상기 단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곡선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폭은 15μm 내지 25μm이고, 상기 제2 배선폭은 90μm 내지 110μm일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접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선폭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배선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15μm 내지 25μm일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상기 배선부와 상기 감지 전극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드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상기 감지 전극부 및 상기 신호 배선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전기 방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구동 감지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센싱 감지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센싱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감지 패턴은 상기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부는 상기 제1 구동 전극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구동 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동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구동 감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 전극은 상기 제1 구동 전극을 가로지르되, 상기 제2 구동 전극을 가로지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신호 배선은 서로 다른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신호 배선 사이에 컨택홀을 포함하는 절연 물질이 개제되고,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신호 배선은 상기 절연 물질의 상기 컨택홀을 통해 직접 접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둥근 코너를 포함하는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비감지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층, 상기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 및 상기 비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둥근 코너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은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신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접합부 및 상기 감지 영역을 우회하여 배치되는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1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배선폭보다 폭이 넓은 제2 배선폭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에 의해 복수의 단위 감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감지 영역은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이 차지하는 면적비가 서로 다른 제1 단위 감지 영역 및 제2 단위 감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위 감지 영역의 상기 면적비는 상기 제1 단위 감지 영역의 상기 면적비보다 크고,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제1 단위 감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영역은 제1 감지 영역, 및 상기 제1 감지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제2 감지 영역과 제3 감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영역은 둥근 코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을 포함하는 제1 터치 도전층, 상기 제1 터치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터치 도전층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컨택홀을 포함하는 제1 터치 절연층, 및 상기 제1 터치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터치 도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도전층과 상기 제2 터치 도전층은 상기 복수의 컨택홀을 통해 접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부분과 중첩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와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은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컨택홀을 통해 접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비감지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층, 상기 감지 영역과 상기 비감지 영역의 경계에 인접하고, 상기 감지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감지 전극 패턴 및 제2 감지 전극 패턴, 상기 비감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신호 배선, 및 상기 비감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2 신호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1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배선은 상기 제2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는 제1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1 배선부는 제2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2 접합부는 제3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제4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1 배선폭은 상기 제2 배선폭 및 상기 제3 배선폭 보다 크고, 상기 제3 배선폭은 상기 제4 배선폭 보다 크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터치 활성 영역이 둥근 코너를 갖거나 노치 또는 트렌치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에서, 터치 신호를 효과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터치 감지 유닛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배치도이다.
도 4는 베이스층의 각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감지 전극부를 따로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3의 FF1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I1-I1’라인에 대응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감지 전극부를 단위 감지 영역으로 구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FF2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I2-I2’라인에 대응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FF3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I3-I3’라인에 대응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터치 감지 유닛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배치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터치 감지 유닛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배치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또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및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표시장치로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액정 표시장치, 전계 방출 표시장치, 전기영동장치, 양자점 발광 표시장치 또는 마이크로 LED 표시장치와 같은 다른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dr2)보다 제1 방향(dr1)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테두리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장변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테두리는 인접하는 장변과 단변 사이에 곡선의 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면상 세로방향을 제1 방향(dr1)으로 정의하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을 제2 방향(dr2)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제2 방향(dr2)은 도면상 가로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상호 교차하는 상대적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은 제1 방향(dr1)의 일 측, 하측은 제1 방향(dr1) 타 측, 좌측은 제2 방향(dr2) 일 측, 우측은 제2 방향(dr2) 타 측으로 정의하지만,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은 자명하다.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정의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표시 영역(DA)에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나 지문을 인식하는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일 실시예에서 일 측 엣지(예컨대, 도 1 기준 상측 엣지)가 부분적으로 만입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의 제1 방향(dr1) 일 측 엣지가 평면상 만(bay), 노치(notch) 또는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도록 비정형화된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DA)의 비정형 일 측 엣지는 표시 영역(DA)의 외측으로 돌출된 두개의 돌출 부분과 상기 돌출 부분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표시 영역(DA)의 내측으로 만입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제1 방향(dr1) 일 측으로 돌출된 제2 표시 영역(DA2) 및 제3 표시 영역(DA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상,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표시 영역(DA1)의 좌상단에 배치되는 영역이고, 제3 표시 영역(DA3)은 제1 표시 영역(DA1)의 우상단에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과 제3 표시 영역(DA3)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영역(DA)의 비정형 엣지의 두 돌출 부분은 제2 표시 영역(DA2)과 제3 표시 영역(DA3)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만입된 부분은 제2 표시 영역(DA2)과 제3 표시 영역(DA3) 사이의 제1 표시 영역(DA1) 상측 엣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의 둥근 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하는 엣지 사이에 둥근 코너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은 좌측 엣지와 상측 엣지가 만나는 곳, 상측 엣지와 우측 엣지가 만나는 곳, 우측 엣지와 하측 엣지가 만나는 곳, 및 하측 엣지와 좌측 엣지가 만나는 곳에 둥근 코너가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둥근 코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코너와 인접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일 실시예에서, 둥근 코너를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를 갖는 링 형태일 수 있으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비표시 영역(NDA)의 외측 테두리는 형상은 둥근 코너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이고, 내측 태두리는 표시 영역(DA)의 만입부(TA)에 의해 표시 영역(DA)을 향하여 침투하도록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 영역에 스피커 모듈(MD1), 카메라 모듈(MD2) 및 센서 모듈(MD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MD1), 카메라 모듈(MD2) 및 센서 모듈(MD3)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상술한 돌출된 부분의 외측 테두리와 인접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스피커 모듈(MD1), 카메라 모듈(MD2) 및 센서 모듈(MD3)을 우회하는 각종 배선들이 상술한 비표시 영역(NDA)에서 내측 테두리의 돌출된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MD3)은 일 실시예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MD1), 카메라 모듈(MD2) 및 센서 모듈(MD3)의 배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일 실시예에서, 기판(10), 기판(10) 상에 배치되는 회로층(20), 회로층(20) 상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층(30), 발광소자층(30)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40), 봉지층(40) 상에 배치되는 터치층(50) 및 터치층(50) 상에 배치되는 커버층(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층은 다층 및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이 더 추가되거나, 일부 층이 생략될 수도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적층 구조에 대해 도 7, 도 10 및 도 12에서 후술된다.
터치층(5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유닛(50a)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터치층(50)을 이루는 구성들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터치 감지 유닛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배치도이다. 도 4는 베이스층의 각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감지 전극부를 따로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3의 FF1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I1-I1’라인에 대응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우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감지 유닛(50a)은 감지 전극부(IE1, IE2), 신호 배선부(TX, RX, ES, GL), 및 패드 단자부(TPA)를 포함하고,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터치 감지 유닛(50a)이 배치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한다. 신호 배선부(TX, RX, ES, GL)의 적어도 일부는 일 단에서 감지 전극부(IE1, IE2)와 직접 연결되고, 타 단에서 패드 단자부(TPA)와 직접 연결되어 감지 전극부(IE1, IE2)와 패드 단자부(TPA)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신호 배선부(TX, RX, ES, GL)는 감지 전극부(IE1, IE2)를 둘러싸는 형태로 주로 후술되는 비감지 영역(NAA)에 배치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신호 배선부가 배치된 비감지 영역(NAA)의 공간을 도면상 다소 과장되게 도시하였다.
베이스층은 감지 전극부(IE1, IE2), 신호 배선부(TX, RX, ES, GL) 및 패드 단자부(TPA)가 배치되는 기초 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층은 도 2의 봉지층(40)에 해당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베이스층으로서 터치 기재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기재는 봉지층(4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터치 기재는 유리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층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은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형상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는 감지 영역(AA) 및 감지 영역(AA)의 외측을 둘러 싸는 비감지 영역(NAA)이 정의될 수 있다. 감지 영역(AA)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영역들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 영역(AA)은 제1 내지 제3 감지 영역(AA1, AA2, AA3)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영역(AA)은 실질적으로 표시 영역(DA)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감지 영역(AA)은 감지 영역(AA)의 일 측에 내 측으로 만입된 부분을 포함하는 비정형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정형 엣지는 도면상 감지 영역(AA)의 상측 엣지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감지 영역(AA1, AA2, AA3)은 표시 영역(DA)의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에 대응하여 각각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즉, 감지 영역(AA)은 제1 감지 영역(AA1)과, 제1 감지 영역(AA1)으로부터 제1 방향(dr1) 일 측으로 돌출된 제2 감지 영역(AA2) 및 제3 감지 영역(A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영역(AA2)과 제3 감지 영역(AA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중첩될 수 있다.
감지 영역(AA)은 표시 영역(DA)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둥근 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감지 영역(AA)은 좌측 엣지와 비정형 상측 엣지가 만나는 곳에 형성되는 제1 코너(EG1), 비정형 상측 엣지와 우측 엣지가 만나는 곳에 형성되는 제2 코너(EG2), 하측 엣지와 좌측 엣지가 만나는 곳에 형성되는 제3 코너(EG3) 및 우측 엣지와 하측 엣지가 만나는 곳에 형성되는 제4 코너(EG4)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 감지 영역(AA1)의 좌하측 및 우하측에 각각 제3 코너(EG3)와 제4 코너(EG4)가 위치할수 있고, 제2 감지 영역(AA2)의 좌상측에 제1 코너(EG1)가 위치할 수 있고, 제3 감지 영역(AA3)의 우상측에 제2 코너(EG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감지 영역(AA2)의 우상측과 우하측 코너, 제3 감지 영역(AA3)의 좌상측과 좌하측 코너에도 둥근 코너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감지 영역(AA2)의 우하측 코너는 제2 감지 영역(AA2)의 우측 엣지에서 제1 감지 영역(AA1)의 상측 엣지와 인접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감지 영역(AA3)의 좌하측 코너는 제3 감지 영역(AA3)의 좌측 엣지에서 제1 감지 영역(AA1)의 상측 엣지와 인접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감지 영역(AA)이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둥근 코너에 대응하여 상술한 제1 내지 제4 코너(EG4)를 갖도록 형성하는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코너가 각진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감지 영역(AA)이 둥근 코너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감지 영역(AA)은 감지 전극부(IE1, IE2)가 형성된 영역으로 정의된다. 감지 전극부(IE1, IE2)는 감지 영역(AA)의 내부에 주로 배치될 수 있다.
비감지 영역(NAA)은 감지 영역(AA)이 아닌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감지 영역(NAA)은 제1 내지 제3 감지 영역(AA1, AA2, AA3)을 둘러싸는 형태이며, 실질적으로 비표시 영역(NDA)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비감지 영역(NAA)에는 주로 신호 배선부(TX, RX, ES, GL) 및 패드 단자부(TPA)가 배치될 수 있다.
감지 전극부(IE1, IE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및 복수의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하는 복수의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감지 전극부(IE1, IE2)는 센싱 전극과 구동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감지 전극부(IE1, IE2) 또는 감지 전극은 센싱 전극과 구동 전극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터치 감지 전극(IE1)이 구동 전극이고,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이 센싱 전극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복수의 제1 터치 감지 전극(IE1)은 5개의 제1 내지 제5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을 포함하고,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은 9개의 제1 내지 제9 센싱 전극 (RE1 내지 RE9)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제1 터치 감지 전극(IE1)과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의 개수는 상기 예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제2 방향(dr2)보다 제1 방향(dr1)으로 긴 형태인 경우, 제1 터치 감지 전극(IE1)의 제1 방향(dr1) 길이는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의 제2 방향(dr2) 길이보다 대체로 길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1 터치 감지 전극(IE1)은 일 실시예에서, 제2 감지 영역(AA2) 으로부터 제1 방향(dr1) 타 측으로 연장되는 제1 구동 전극(TE1), 제3 감지 영역(AA3)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타 측으로 연장되는 제5 구동 전극(TE5) 및 제1 감지 영역(AA1)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은 각각 제2 감지 영역(AA2)과 제3 감지 영역(AA3)으로부터 제1 감지 영역(AA1)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터치 감지 전극(IE1)은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이 제2 방향(dr2)으로 차례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은 감지 영역(AA)의 제2 방향(dr2) 일 측 엣지와 타 측 엣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전극(IE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길이가 서로 다른 구동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제2 감지 영역(AA2) 및 제3 감지 영역(AA3)으로부터 제1 감지 영역(AA1)까지 연장된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의 제1 방향(dr1) 길이는 제1 감지 영역(AA1)에서만 연장된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의 제1 방향(dr1)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각 구동 전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감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차례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내지 제9 구동 감지 패턴(TE11 내지 TE19, TE51 내지 TE5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차례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내지 제8 구동 감지 패턴(TE21 내지 TE28, TE31 내지 TE38, TE41 내지 TE4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11, TE51)은 각각 제2 감지 영역(AA2) 및 제3 감지 영역(AA3)에 배치되고, 그로 인하여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과 제2 방향(dr2)으로 중첩(overlap)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의 제2 내지 제9 구동 감지 패턴(TE12 내지 TE19, TE52 내지 TE59)은 각각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의 제1 내지 제8 구동 감지 패턴(TE21 내지 TE28, TE31 내지 TE38, TE41 내지 TE48)과 제2 방향(dr2)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전극(TE1)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12)은 제2 감지 영역(AA2)과 제1 감지 영역(AA1)의 경계를 포함하도록 제2 감지 영역(AA2)과 제1 감지 영역(AA1)에 배치될 수 있고, 제5 구동 전극(TE5)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52)은 제3 감지 영역(AA3)과 제1 감지 영역(AA1)의 경계를 포함하도록 제3 감지 영역(AA3)과 제1 감지 영역(A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은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과 제2 방향(dr2)으로 중첩되는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은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서로 제2 방향(dr2)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은 제1 감지 영역(AA1)의 제2 방향(dr2) 일 측 엣지로부터 타 측 엣지까지 제2 방향(dr2)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a) 및 제2 감지 영역(AA2)과 제3 감지 영역(AA3)에 배치되고, 대체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형상인 제2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a) 및 제2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b)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a)는 제1 내지 제7 센싱 전극(RE1 내지 RE7)을 포함하고, 제2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b)는 제8 센싱 전극(RE8) 및 제9 센싱 전극(RE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a)는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7 센싱 전극(RE1 내지 RE7)은 제1 방향(dr1)으로 차례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b)는 제1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a)에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8 센싱 전극(RE8)과 제9 센싱 전극(RE9)은 제1 센싱 전극(RE1)과 제1 방향(dr1) 일 측으로 인접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내지 제7 센싱 전극(RE1 내지 RE7)은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a)와 제2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b)의 제2 방향(dr2)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a)의 제2 방향(dr2) 길이는 제2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b)의 제2 방향(dr2)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2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b)는 제1 센싱 전극(RE1)의 중간 부분 일부가 절단된 것과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b)는 제1 센싱 전극(RE1)의 일 단을 포함하는 일부 및 타 단을 포함하는 일부만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서브 터치 감지 전극부(IE2b)는 제2 감지 영역(AA2)에 배치된 제8 센싱 전극(RE8) 및 제3 감지 영역(AA3)에 배치된 제9 센싱 전극(RE9)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과 제9 센싱 전극(RE9)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동일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8 센싱 전극(RE8)과 제9 센싱 전극(RE9)은 제2 방향(dr2)으로 중첩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 센싱 전극(RE1 내지 RE9)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감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7 센싱 전극(RE1 내지 RE7)은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차례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내지 6 센싱 감지 패턴(RE11 내지 RE16, RE21 내지 RE26, RE31 내지 RE36, RE41 내지 RE46, RE51 내지 RE56, RE61 내지 RE66, RE71 내지 RE76)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 및 제9 센싱 전극(RE9)은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센싱 감지 패턴(RE81, RE91) 및 제2 센싱 감지 패턴(RE82, RE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81) 및 제2 센싱 감지 패턴(RE82)의 넓이는 다를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81)의 넓이는 제2 센싱 감지 패턴(RE82)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9 센싱 전극(RE9)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91) 및 제2 센싱 감지 패턴(RE92)의 넓이는 다를 수 있으며, 제2 센싱 감지 패턴(RE92)의 넓이가 제1 센싱 감지 패턴(RE91)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
한편, 각 센싱 전극(RE1 내지 RE9)에서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센싱 감지 패턴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센싱 감지 패턴을 연결하는 연결부(CP)는 제1 터치 감지 전극(IE1)의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각 구동 감지 패턴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인접한 각 구동 감지 패턴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전극(RE1)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11)과 제2 센싱 감지 패턴(RE12)은 연결부(CP)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상기 연결부(CP)에 의해 제1 구동 전극(TE1)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12)과 제3 구동 감지 패턴(TE13)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구동 감지 패턴은 브릿지 배선(BE)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81)과 제2 센싱 감지 패턴(RE82)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11)과 제2 구동 감지 패턴(TE12)사이를 가로지르며 이들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9 센싱 전극(RE9)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91)과 제2 센싱 감지 패턴(RE92)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제5 구동 전극(TE5)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51)과 제2 구동 감지 패턴(TE52)사이를 가로지르며 이들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 제8 센싱 전극(RE8)의 제2 센싱 감지 패턴(RE82)과 제9 센싱 전극(RE9)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91)은 제1 구동 전극(TE1)과 제5 구동 전극(TE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은 제1 구동 전극(TE1)만 가로지르고, 제2 내지 제5 구동 전극(TE2 내지 TE5)은 가로지르지 않을 수 있다. 제9 센싱 전극(RE9)은 제5 구동 전극(TE5)만 가로지르고, 제1 내지 제4 구동 전극(TE1 내지 TE4)은 가로지르지 않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7 센싱 전극(TE1 내지 TE7)은 모든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을 가로지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및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의 일 단과 타 단에 배치된 감지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감지 패턴은 대략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및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의 일 단과 타 단에 배치된 감지 패턴은 상기 마름모 형상을 반으로 자른 이등변 삼각 형상일 수 있다. 각 구동 감지 패턴(TE11 내지 TE59) 및 각 센싱 감지 패턴(RE11 내지 RE92)은 적어도 하나의 지그재그 형상의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름모 형상의 구동 감지 패턴(예를 들어, TE12) 및 센싱 감지 패턴(예를 들어 RE12)의 각 변은 모두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이등변 삼각 형상의 구동 감지 패턴(예를 들어, TE11) 및 센싱 감지 패턴(예를 들어, RE11)의 두 등변은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고, 나머지 일변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각 구동 감지 패턴(TE11 내지 TE59) 및 각 센싱 감지 패턴(RE11 내지 RE92)이 지그재그 형상의 변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무아레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아레로 인한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감지 영역(AA)이 둥근 코너(EG1 내지 EG4)를 포함함에 따라, 감지 영역(AA)의 둥근 코너(EG1 내지 EG4)에 인접한 감지 전극부(IE1, IE2)는 감지 영역(AA)의 둥근 코너(EG1 내지 EG4)의 형상에 맞추어 잘린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11)과 제9 구동 감지 패턴(TE19), 제5 구동 전극(TE5)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15)과 제9 구동 감지 패턴(TE59), 제7 센싱 전극(RE7)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71)과 제6 센싱 감지 패턴(RE76), 제8 센싱 전극(RE8)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81)과 제2 센싱 감지 패턴(RE82) 및 제9 센싱 전극(RE9)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91)과 제2 센싱 감지 패턴(RE92)은 감지 영역(AA)의 둥근 코너(EG1 내지 EG4)의 형상에 맞추어 잘린 형태일 수 있다. 감지 전극부(IE11, IE12)가 잘리는 위치와 면적은 감지 영역(AA)의 둥근 코너(EG1 내지 EG4)의 곡률반경 값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추가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감지 영역(AA)에는 제2 터치 감지 전극(IE2) 내부에 위치하며 제2 터치 감지 전극(IE2)과 절연되어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아일랜드 전극(IS1, IS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내 인접하는 구동 감지 패턴은 아일랜드 전극(IS1, IS2)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 제1 센싱 전극(RE1)과 제1 구동 전극(TE1)이 교차하는 부분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7)과 각 센싱 전극(RE1 내지 RE9)이 교차하는 곳에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 영역(AA)에는 제1 센싱 전극(RE1)의 제1 센싱 감지 패턴(RE11)과 제2 센싱 감지 패턴(RE1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아일랜드 전극(IS1) 및 제2 아일랜드 전극(I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아일랜드 전극(IS1)은 제1 센싱 전극(RE1) 내부에서 제1 센싱 감지 패턴(RE11)과 연결부(CP)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아일랜드 전극(IS2)은 제1 센싱 전극(RE1) 내부에서 제2 센싱 감지 패턴(RE12)과 연결부(CP)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12)과 제1 아일랜드 전극(IS1)은 제1 브릿지 배선(BE1)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구동 전극(TE1)의 제3 구동 감지 패턴(TE13)과 제1 아일랜드 전극(IS1) 제2 브릿지 배선(BE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 전극(TE1)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12)과 제2 아일랜드 전극(IS2)은 제3 브릿지 배선(BE3)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구동 전극(TE1)의 제3 구동 감지 패턴(TE13)과 제2 아일랜드 전극(IS2) 제4 브릿지 배선(BE4)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12)과 제3 구동 감지 패턴(TE13)은 제1 아일랜드 전극(IS1), 제2 아일랜드 전극(IS2) 및 제1 내지 제4 브릿지 배선(BE1 내지 BE4)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구동 전극(TE1)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12)과 제3 구동 감지 패턴(TE13) 사이에 두개의 아일랜드 전극(IS1, IS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브릿지 배선(BE1 내지 BE4)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제1 구동 전극(TE1)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12)과 제3 구동 감지 패턴(TE13)은 여전히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아일랜드 전극(IS1, IS2)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이아몬드 형상일 수 있으나, 형상에 제한되지는 않고, 정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일랜드 전극(IS1, IS2)을 통해 제1 감지 전극(IE1)의 각 구동 감지 패턴을 연결할 경우, 제1 감지 전극(IE1)의 각 구동 감지 패턴이 아일랜드 전극을 거치지 않고 하나의 브릿지 배선으로 연결하는 경우보다 브릿지 배선의 마진(margin)을 줄일 수 있다. 즉, 브릿지 배선(BE1 내지 BE4)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브릿지 배선(BE1 내지 BE4)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표시 영역(DA)을 줄임으로써 투과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 전극(IE1)과 브릿지 배선(BE1 내지 BE4)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이들 간의 접촉 저항을 개선할 수 있다.
아일랜드 전극(IS1, IS2), 브릿지 배선(BE1 내지 BE4), 각 구동 감지 패턴, 각 센싱 감지 패턴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다른 소자들과의 적층 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단위 감지 영역과 감지 전극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3의 감지 전극부를 단위 감지 영역으로 구분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의 구동 감지 패턴들과 센싱 전극(RE1 내지 RE9)의 센싱 감지 패턴들은 단위 감지 영역(SUT)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1 내지 TE5)과 센싱 전극(RE1 내지 RE9)이 교차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2개의 구동 감지 패턴(예를 들어, TE22 및 TE32)의 절반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2개의 센싱 감지 패턴(예를 들어, RE13 및 RE23)의 절반은 하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구동 감지 패턴들과 센싱 감지 패턴들의 절반 영역에 의해 정의된 영역은 하나의 단위 감지 영역(SUT)이 될 수 있다. 각 단위 감지 영역(SUT)에서는 인접한 구동 감지 패턴들과 센싱 감지 패턴들 사이의 커패시턴스 값을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위치를 터치 입력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터치 감지는 뮤추얼 캡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단위 감지 영역(SUT)은 화소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감지 영역(SUT)은 복수개의 화소에 대응할 수 있다. 단위 감지 영역(SUT)의 한 변의 길이는 4~5mm의 범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복수의 단위 감지 영역(SUT)은 행과 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행과 열 방향은 각각 제2 방향(dr2) 및 제1 방향(dr1)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단위 감지 영역(SUT)은 8행 5열의 행렬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단위 감지 영역(SUT) 중 일부는 감지 전극부(IE1, IE2)가 없는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행 2열, 1행 3열, 1행 4열의 영역은 감지 영역(AA)의 비정형 엣지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감지 전극부(IE1, IE2)가 배치되지 않고,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위 감지 영역(SUT)의 배열 형태는 8행 5열의 행렬 중 1행 2열, 1행 3열, 1행 4열이 생략된 형태일 수 있다.
각 단위 감지 영역(SUT) 내 감지 전극부(IE1, IE2)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감지 영역(AA)이 비정형 엣지를 포함하고, 둥근 코너를 포함하는 형태이므로, 비정형 엣지를 포함하는 단위 감지 영역(SUT) 및 둥근 코너를 포함하는 단위 감지 영역(SUT)에서, 이들을 포함하지 않는 단위 감지 영역(SUT)에서보다 감지 전극부(IE1, IE2)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작을 수 있다.
단위 감지 영역(SUT) 내 감지 전극부(IE1, IE2)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하, 면적비)이 감지 전극부(IE1, IE2)가 잘리지 않는 단위 감지 영역(SUT)(예를 들어, 2행 2열의 단위 감지 영역(SUT))에서 1로 정의한다면, 일 실시예에서, 감지 전극부(IE1, IE2)가 잘린 단위 감지 영역(SUT)(예를 들어, 제1 코너(EG1)를 포함하는 단위 감지 영역(SUT)으로서 1행 1열의 단위 감지 영역(SUT))의 면적비는 0.6 내지 0.8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 전극부(IE1, IE2)가 잘린 단위 감지 영역(SUT)의 면적비는 다른 실시예에서, 1미만의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각 단위 감지 영역(SUT) 내 감지 전극부(IE1, IE2)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높을수록 터치 감도가 좋아지고, 터치 성능이 좋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의 면적비를 가진 단위 감지 영역(SUT)에서의 터치 감도는 0.6의 면적비를 가진 단위 감지 영역(SUT)에서의 터치 감도보다 더 좋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면적비가 1인 단위 감지 영역(SUT)을 제1 단위 감지 영역부(SUT1)로 명칭하고, 면적비가 1미만인 단위 감지 영역(SUT)을 제2 단위 감지 영역부(SUT2)로 명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2 단위 감지 영역부(SUT2)는 제1 내지 제4 코너(EG4)를 포함하는 단위 감지 영역(1행 1열, 1행 5열, 8행 1열, 8행 5열의 단위 감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위 감지 영역부(SUT1)는 예를 들어, 3행 2열의 단위 감지 영역(SUT)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위 감지 영역부(SUT2)는 제1 단위 감지 영역(SUT)부만큼 터치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상 설계가 필요할 수 있다. 우선, 신호 배선부(TX, RX, ES, GL)와 감지 전극부(IE1, IE2)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3의 FF2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I2-I2’라인에 대응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을 통해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에 구동 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을 통해 각 센싱 전극(RE1 내지 RE9)에 센싱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은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에는 복수의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이 연결될 수 있다. 즉,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은 더블 라우팅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은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의 하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및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는 주로 비감지 영역(NAA) 제2 방향 일 측에 배치되고,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은 주로 비감지 영역(NAA) 제2 방향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은 패드 단자부(TPA) 로부터 제2 방향(dr2) 일 측 및/또는 타 측으로 연장되어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의 하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은 패드 단자부(TPA)로부터 제2 방향(dr2) 일 측으로 연장되고 표시 영역(DA)의 좌측 엣지를 우회하고, 표시 영역(DA)의 돌출 부분를 포함하는 상측 엣지를 우회하여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의 상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중 적어도 일부는 감지 영역(AA)의 상측 엣지를 우회할 때, 제2 감지 영역(AA2), 제3 감지 영역(AA3) 및 비표시 영역(NDA)에서 스피커 모듈(MD1), 카메라 모듈(MD2) 및 센서 모듈(MD3) 등이 배치되는 영역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구동 전극(TE1 내지 TE5)에 연결되는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은 감지 영역(AA)의 상측 엣지를 우회할 때, 대략적으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되, 스피커 모듈(MD1), 카메라 모듈(MD2) 및 센서 모듈(MD3) 등이 배치되는 영역을 우회하기 위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에 연결되는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2 내지 제4 배선(TX2_2 내지 TX4_2)은 제8 센싱 전극(RE8)과 제9 센싱 전극(RE9)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에 연결되는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2 내지 제4 배선(TX2_2 내지 TX4_2)은 제8 센싱 전극(RE8) 및 제9 센싱 전극(RE9)과 제2 방향(dr2)으로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은 각 센싱 전극(RE1 내지 RE9)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7 센싱 전극(RE1 내지 RE7) 및 제9 센싱 전극(RE9)은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과 달리 각각 한쪽 단부에만 터치 센싱 배선이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7 센싱 전극(RE1 내지 RE7) 및 제9 센싱 전극(RE9)에 연결되는 각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은 패드 단자부(TPA)로부터 비감지 영역(NAA)의 하측에서 제2 방향(dr2) 타 측으로 연장되고, 감지 영역(AA)의 우측 엣지의 외측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1 내지 제7 센싱 전극(RE1 내지 RE7) 및 제9 센싱 전극(RE9)의 우측 단부(예를 들어, RE16, RE26, RE36, RE46, RE56, RE76, RE92)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7 센싱 전극(RE1 내지 RE7)에는 각각의 제6 센싱 감지 패턴(RE16, RE26, RE36, RE46, RE56, RE76)의 단부에만 터치 센싱 배선(RX2_1 내지 RX8_1)이 연결되고, 제9 센싱 전극(RE9)에는 제9 센싱 전극(RE9)의 제2 센싱 감지 패턴(RE92)의 단부에만 터치 센싱 배선(RX1_1)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8 센싱 전극(RE8)과 제9 센싱 전극(RE9)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배선(RX1_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배선(RX1_2)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일부를 가로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배선(RX1_2)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2 내지 제4 배선(TX2_2 내지 TX4_2)을 가로지를 수 있다. 이 때,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2 내지 제4 배선(TX2_2 내지 TX4_2)과 연결 배선(RX1_2)이 쇼트되는 것을 방지 하기위해,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으로부터 연장된 구동 브릿지 전극부(예를 들어, TE31a)를 통해, 제2 내지 제4 구동 전극(TE2 내지 TE4)과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2 내지 제4 배선(TX2_2 내지 TX4_2)은 각각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선(RX1_2)은 구동 브릿지 전극부(TE31a)를 가로지를 수 있으며, 제8 센싱 전극(RE8)과 제9 센싱 전극(RE9) 사이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동 브릿지 전극부(TE31a)와 연결 배선(RX1_2) 사이에 절연 물질(예를 들어, 제1 터치 절연층(511))이 게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8 센싱 전극(RE8)은 패드 단자부(TPA)와 연결된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과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과 제9 센싱 전극(RE9)은 연결 배선(RX1_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9 센싱 전극(RE9)에 연결된 터치 센싱 배선(RX8_1)이 패드 단자부(TPA)에 연결되어 있어, 제8 센싱 전극(RE8)과 제9 센싱 전극(RE9)은 동일한 센싱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한편,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에 제공되는 구동 전압 신호는 각 센싱 전극(RE1 내지 RE9)에 제공되는 센싱 전압 신호보다 높은 전압 레벨의 구동 전압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에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 레벨의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배선과의 연결된 거리에 따라 터치 감지 전극내 전압 레벨이 위치별로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의 일 측 단부에만 하나의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이 연결되는 경우, 제1 구동 감지 패턴(예를 들어, TE11, TE21)에서의 전압 레벨과 제8 또는 제9 구동 감지 패턴(예를 들어, TE19, TE28)에서 전압 레벨이 크게 차이날 수 있다.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에 복수의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이 연결되어, 각 구동 전극(TE1 내지 TE5)의 각 서브 감지 패턴의 전압 레벨 수준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감지 전극부(IE1, IE2)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 및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의 최외곽에는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은 제1 정전기 방지 배선(ES1) 및 제2 정전기 방지 배선(E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은 표시 영역(DA),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 및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들을 링 형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제1 정전기 방지 배선(ES1)과 제2 정전기 방지 배선(ES2)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정전기 방지 배선(ES1)은 표시 영역(DA)의 우측 및 하측의 일부에 위치하는 배선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정전기 방지 배선(ES2)은 표시 영역(DA)의 좌측, 상측 및 하측의 나머지 일부에 위치하는 배선을 커버할 수 있다.
각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은 제1 기준 전압 신호가 흐르는 배선일 수 있다. 각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은 외부로부터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 및 감지 전극부(IE1, IE2)에 가해질 수 있는 정전기적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가드 배선(GL1 내지 GL4)은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과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의 사이, 및/또는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및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과 각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 사이에 배치된다. 가드 배선(GL1 내지 GL4)은 제1 가드 배선(GL1), 제2 가드 배선(GL2), 제3 가드 배선(GL3) 및 제4 가드 배선(GL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드 배선(GL1)은 비감지 영역(NAA)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과 제1 정전기 방지 배선(ES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드 배선(GL2)은 제1 터치 감지 전극(IE1)의 하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과 비감지 영역(NAA)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가드 배선(GL3)은 비감지 영역(NAA) 하측에서 제1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과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비감지 영역(NAA) 좌측에서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과 감지 전극부(IE1, I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비감지 영역(NAA) 좌측에서, 제3 가드 배선(GL3)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1 배선(TX1_2)의 제1 배선부(도 11의 'TX1_2a)와 감지 전극부(IE1, I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가드 배선(GL4)은 제1 터치 감지 전극(IE1)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과 제2 정전기 방지 배선(E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 가드 배선(GL1 내지 GL4)은 제2 기준 전압 신호가 흐르는 배선일 수 있다. 각 가드 배선(GL1 내지 GL4)은 인접한 배선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패드 단자부(TPA)는 일 실시예에서, 비감지 영역(NAA) 하단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 단자부(TPA)는 위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터치 감지 유닛(50a) 외 다른 소자와의 전기적 결합관계에 따라 패드 단자부(TPA)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패드 단자부(TPA)는 복수의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과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 복수의 가드 배선(GL1 내지 GL4) 및 복수의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 각각에 연결되는 패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단위 감지 영역부의 보상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단위 감지 영역부(SUT2) 중 제1 코너(EG1)를 포함하는 1행 1열의 단위 감지 영역(SUT)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3의 FF3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I3-I3’라인에 대응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11)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1 배선(TX1_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1 배선(TX1_2)은 제1 배선폭(L1)을 갖는 제1 배선부(TX1_2a)와 제1 배선폭(L1) 보다 선폭이 큰 제2 배선폭(L2)을 갖는 제1 접합부(TX1_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부(TX1_2b)는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1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2 내지 제5 배선(TX2_2 내지 TX5_2)은 제1 배선(TX1_2)과 마찬가지로 각각 배선부와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선폭(L2)은 제1 배선폭(L1)과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1 배선(TX1_2)과 인접한 제4 가드 배선(GL4)의 배선폭의 합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배선폭(L2)은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11)과 제1 접합부(TX1_2b)가 중첩되는 영역의 폭(L3)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합부(TX1_2b)의 제1 배선폭(L1)은 비감지 영역(NAA) 상측에서 전체 신호 배선이 배치되는 영역의 폭(L3)의 3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비감지 영역(NAA) 중 신호 배선이 배치되는 전체 폭(L3)은 약 250μm 내지 350μm 일 수 있다. 상기 전체 폭(L3)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 제4 가드 배선(GL4) 및 제2 정전기 방지 배선(ES2)이 차지하는 폭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각 신호 배선 사이의 간격이 포함된 폭일 수 있다.
제1 배선부(TX1_2a)의 제1 배선폭(L1)은 약 15μm 내지 25μm일 수 있다. 제1 배선부(TX1_2a)는 제1 접합부(TX1_2b)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되며, 제1 코너(EG1)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에서 곡선의 형태이며, 비감지 영역의 좌측 엣지를 따라 연장하는 부분에서 직선의 형태이며, 제3 코너(EG3)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에서 곡선의 형태일 수 있다.
제1 접합부(TX1_2b)의 제2 배선폭(L2)은 약 90μm 내지 110μm일 수 있다. 제2 배선폭(L2)은 제1 코너(EG1)의 연장방향의 법선(normal line) 방향으로 제1 접합부(TX1_2b)가 차지하는 폭일 수 있다. 제1 접합부(TX1_2b)는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전극 패턴(TE11)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부(TX1_2b)와 제2 배선폭(L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절연층의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전극 패턴(TE11)과 제1 접합부(TX1_2b)는 상기 중첩하는 부분에서 접할 수 있다.
제1 컨택홀(CNT1)은 일 실시예에서, 제1 코너(EG1)와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컨택홀(CNT1)은 제2 배선폭(L2)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컨택홀(CNT1)은 제1 코너(EG1)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접합부(TX1_2b)와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전극 패턴(TE11)이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부분의 폭(L4)은 일 실시예에서, 약 15μm 내지 25μ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제3 구동 전극(TE3)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31)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3 배선(TX3_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3 배선(TX3_2)은 제3 배선폭(L5)을 갖는 제2 배선부(TX3_2a)와 제3 배선폭(L5) 보다 선폭이 큰 제4 배선폭(L6)을 갖는 제2 접합부(TX3_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합부(TX3_2b)는 제3 구동 전극(TE3)의 구동 브릿지 전극부(TE31a)와 연결될 수 있다.
감지 영역(AA)에 의해 제3 구동 전극(TE3)의 제1 구동 전극 패턴(TE31)이 잘리는 경우, 단위 감지 영역(SUT) 내 면적비가 1미만이 되므로 보상 설계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 배선폭(L6)이 조절될 수 있다.
제4 배선폭(L6)은 구동 브릿지 전극부(TE31a)와 제2 접합부(TX3_2b)가 중첩하는 폭(L7)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4 배선폭(L6)은 제2 배선폭(L2) 이하일 수 있다.
이하, 도 7,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터치 감지 유닛(50a)의 적층 구조와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나머지 부재와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터지 감지 유닛(50a)을 포함하는 터치층(50)은 봉지층(40, 자세하게는, 후술되는 봉지층(450)) 상에 차례로 배치되는 제1 터치 도전층, 제1 터치 절연층(511), 제2 터치 도전층 및 제2 터치 절연층(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도전층은 봉지층(40) 상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제1 터치 도전층은 후술되는 제2 무기막(45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도전층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듐(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도전층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제1 터치 도전층은 상술한 브릿지 배선(BE1, BE2),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과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 연결 배선(RX1_2), 가드 배선(GL1 내지 GL4) 및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브릿지 배선(BE1, BE2),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과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 가드 배선(GL1 내지 GL4) 및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은 같은 층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511)은 제1 터치 도전층 상에 배치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터치 절연층(511)은 브릿지 배선(BE1, BE2),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과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컨택홀(CNT1, CNT2, CNT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511)은 일 실시예에서, 기판 전면에 걸처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절연층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511)은 단일막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일 수 있다.
제2 터치 도전층은 제1 터치 절연층(511) 상에 배치된다. 제2 터치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도전층은 상술한 구동 브릿지 전극부(예를 들어. TE31a)를 포함한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제2 터치 감지 전극(IE2), 더미 전극(DE) 및 아일랜드 전극(IS1, I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제2 터치 감지 전극(IE2), 더미 전극(DE) 및 아일랜드 전극(IS1, IS2)은 같은 층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및 제2 터치 감지 전극(IE2)의 일 측 및/또는 타 측의 단부에서 제1 터치 절연층(511)에 형성된 복수의 컨택홀(예를 들어, CNT1, 및 CNT3)을 통해 각각 대응되는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과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절연층(512)은 제2 터치 도전층 상에 배치된다. 제2 터치 절연층(512)은 제1 터치 절연층(51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절연층은 제1 터치 절연층(511)에서 예시된 물질 중 하나 또는 예시된 물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터치 절연층(512)은 단일막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터치 절연층(512) 자체가 터치 감지 유닛(50a)의 표면을 평탄화 시키는 평탄화 막일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 유닛(50a)은 제2 터치 절연층(512) 상에 표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평탄화 막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101)은 경성(rigid) 또는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기판(101)이 경성(rigid) 기판인 경우, 유리 기판, 석영 기판, 유리 세라믹 기판 및 결정질 유리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101)이 가요성(flexible) 기판인 경우,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름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101)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101)에는 상술한 표시 영역(DA), 비표시 영역(NDA), 감지 영역(AA) 및 비감지 영역(NAA)이 정의될 수 있다.
도 7,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베이스 기판(101)은 도 2의 기판(10)에 대응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01) 상에는 버퍼층(201)이 배치된다. 버퍼층(201)은 베이스 기판(101)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고, 수분 또는 외부 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버퍼층(201)은 무기막일 수 있다. 버퍼층(201)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버퍼층(201) 상에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TR1)가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및 제3 박막 트랜지스터(TR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화소마다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 화소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화소는 적색, 녹색, 청색 화소 대신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화소일 수도 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각각 반도체층(예를 들어, A1), 게이트 전극(예를 들어, G1), 소스 전극(예를 들어, S1), 드레인 전극(예를 들어, D1)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버퍼층(201) 상에 반도체층(A1)이 배치된다. 반도체층(A1)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폴리 실리콘(poly silicon),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 silicon) 및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반도체층(A1)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도 있다.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도체층(A1)은 채널 영역과, 채널 영역의 양 측에 배치되며,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1)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211)이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211)은 무기막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11)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11) 상에는 게이트 전극(G1)이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G1)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G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1)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G1) 상에는 층간 절연막(212)이 배치된다. 층간 절연막(212)은 무기막일 수 있다. 층간 절연막(212)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층간 절연막(212) 상에는 소스 전극(S1)과, 드레인 전극(D1)이 배치된다. 소스 전극(S1)과 드레인 전극(D1)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소스 전극(S1)과 드레인 전극(D1)은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몰리브덴(Mo)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S1)과 드레인 전극(D1)은 층간 절연막(212) 및 게이트 절연막(21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A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베이스 기판(101) 상에 스토리지 커패시터 및 스위치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S1), 드레인 전극(D1) 및 층간 절연막(212) 상에 보호층(213)이 배치된다. 여기서, 보호층(213)은 박막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하는 픽셀 회로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보호층(213)은 패시베이션막 또는 평탄화막일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은 SiO2, SiNx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평탄화막은 아크릴, 폴리이미드와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213)은 패시베이션막과 평탄화막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스 전극(S1), 드레인 전극(D1) 및 층간 절연막(212) 상에 패시베이션막이 배치되고, 패시베이션막 상에 평탄화막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213)의 상면은 평탄할 수 있다.
도 7,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버퍼층(201) 내지 보호층(213)은 도 2의 회로층(20)에 대응될 수 있다.
보호층(213) 상에 복수의 제1 화소 전극(311)이 배치된다. 제1 화소 전극(311)은 화소마다 배치된 화소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전극(311)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311)은 보호층(213)을 관통하는 비아홀을 통해 베이스 기판(101)에 배치된 드레인 전극(D1)(또는, 소스 전극(S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311)은 일함수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311)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 산화아연(Zinc Oxide: ZnO), 산화인듐(Induim Oxide: In2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311) 상에는 화소 정의막(320)이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320)은 제1 화소 전극(311)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화소 정의막(32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 정의막(320)은 포토 레지스트,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화합물, 폴리아크릴계 수지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20)에 의해 노출된 제1 화소 전극(311) 상에는 유기 발광소자층(312)이 배치된다.
유기 발광소자층(312) 상에는 제2 화소 전극(313)이 배치된다. 제2 화소 전극(313)은 화소의 구별없이 전체에 걸쳐 배치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 전극(313)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제2 화소 전극(313)은 일함수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화소 전극(313)은 Li, Ca, LiF/Ca, LiF/Al, Al, Mg, Ag, Pt, Pd, Ni, Au Nd, Ir, Cr, BaF, Ba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화소 전극(313)은 제1 화소 전극(311)과 같은 층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원 배선(301)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화소 전극(311), 유기 발광소자층(312) 및 제2 화소 전극(313)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제1 화소 전극(311) 내지 제2 화소 전극(313)은 도 2의 발광소자층(30)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화소 전극(313) 상에는 봉지막(450)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막(450)은 무기막 및 유기막을 포함한다. 봉지막(450)은 복수의 적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봉지막(45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막(451), 유기막(452) 및 제2 무기막(453)을 포함하는 다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기막(451) 및 제2 무기막(453)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유기막(452)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봉지막(450)은 도 2의 봉지층(40)에 대응될 수 있다.
봉지막(450) 상에 차례로 터치 감지 유닛(50a)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층(50) 상에 윈도우 부재(601)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601)는 외부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발광소자층(30)이나 회로층(20) 또는 터치층(50)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601)는 광학적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적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과 같은 접착 부재(610)에 의해 터치층(5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601)는 접착 부재(610)를 포함하여 도 2의 커버층(60)에 대응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윈도우 부재(601)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반사 방지 필름 또는 편광 필름과 같은 광학 부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다음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와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3 내지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각각 도 7, 도 10 및 도 12의 변형예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2)는 도 7, 도 10 및 도 12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 대비, 제1 터치 도전층과 제2 터치 도전층이 서로 바뀐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제1 터치 도전층은 봉지층(40) 상에 배치된다. 제1 터치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도전층은 상술한 구동 브릿지 전극부(예를 들어. TE31a)를 포함한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제2 터치 감지 전극(IE2), 더미 전극(DE) 및 아일랜드 전극(IS1, I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제2 터치 감지 전극(IE2), 더미 전극(DE) 및 아일랜드 전극(IS1, IS2)은 같은 층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511)은 제1 터치 도전층 상에 배치된다. 제1 터치 절연층(511)은 구동 브릿지 전극부(TE31a)를 포함한 제1 터치 감지 전극(IE1), 제2 터치 감지 전극(IE2), 더미 전극(DE) 및 아일랜드 전극(IS1, IS2)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컨택홀(CNT1, CNT2, CNT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도전층은 제1 터치 절연층(511) 상에 배치된다. 제2 터치 도전층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듐(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도전층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제2 터치 도전층은 브릿지 배선(BE1, BE2),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과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 연결 배선(RX1_2), 가드 배선(GL1 내지 GL4) 및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브릿지 배선(BE1, BE2), 터치 구동 배선(TX1_1 내지 TX5_1, TX1_2 내지 TX5_2)과 터치 센싱 배선(RX1_1 내지 RX8_1), 가드 배선(GL1 내지 GL4) 및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은 같은 층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도전층 상에 윈도우 부재(601)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601)는 접착 부재(610)에 의해 제2 터치 도전층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변형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도 11의 유기발광 표시장치 대비, 제1 컨택홀(CNT1)이 분할된 형태인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제1 컨택홀(CNT1)은 제1 내지 제4 서브 컨택홀(CNT1_1a 내지 CNT1_1d)로 분할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절연층(511)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1 배선(TX1_2)의 제1 접합부(TX1_2b)를 노출하는 제1 내지 제4 서브 컨택홀(CNT1_1a 내지 CNT1_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511)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1 배선(TX1_2)과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11)은 제1 내지 제4 서브 컨택홀(CNT1_1a 내지 CNT1_1d)을 통해 서로 접할 수 있다.
복수개의 컨택홀(CNT1_1a 내지 CNT1_1d)을 두어 어느 하나의 컨택홀(예를 들어, CNT1_1a)이 단선되더라도, 나머지 컨택홀(예를 들어, CNT1_1b 내지 CNT1_1d)에 의해 제1 터치 절연층(511)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1 배선(TX1_2)과 제1 구동 전극(TE1)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11)은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터치 감지 유닛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배치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터치 감지 유닛(50a_1)은 도 3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터치 감지 유닛(50a) 대비, 다른 형태의 감지 전극부(IE1, IE2)를 갖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된 터치 감지 유닛(50a_1)은 도 3에 비해 제2 감지 영역(AA2)과 제3 감지 영역(AA3)이 제2 방향(dr2)으로 넓이가 더 넒을 수 있다.
제2 구동 전극(TE2) 및 제4 구동 전극(TE4)의 제1 방향(dr1) 길이는 제1 구동 전극(TE1) 및 제5 구동 전극(TE5)의 제1 방향(dr1)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제2 구동 전극(TE2)은 제1 내지 제9 구동 감지 패턴(TE21 내지 TE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전극(TE2)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21)은 제2 감지 영역(A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동 전극(TE2)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22)은 제2 감지 영역(AA2)과 제1 감지 영역(AA1)에 모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동 전극(TE2)의 제3 내지 제9 구동 감지 패턴(TE23 내지 TE29)은 제1 감지 영역(A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구동 전극(TE4)은 제1 내지 제9 구동 감지 패턴(TE41 내지 TE49)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구동 전극(TE4)의 제1 구동 감지 패턴(TE41)은 제3 감지 영역(AA3)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구동 전극(TE4)의 제2 구동 감지 패턴(TE42)은 제3 감지 영역(AA3)과 제1 감지 영역(AA1)에 모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4 구동 전극(TE4)의 제3 내지 제9 구동 감지 패턴은(TE43 내지 TE49) 제1 감지 영역(A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은 제1 구동 전극(TE1) 및 제2 구동 전극(TE2)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은 제1 내지 제3 센싱 전극 패턴(RE81 내지 RE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RE8)의 제2 센싱 전극 패턴(RE82)과 제3 센싱 전극 패턴(RE83)은 제2 구동 전극(TE2)의 제1 구동 전극 패턴(TE21)과 제2 구동 전극 패턴(TE22) 사이를 가로지를 수 있다.
제9 센싱 전극(RE9)은 제4 구동 전극(TE4) 및 제5 구동 전극(TE5)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9 센싱 전극(RE9)은 제1 내지 제3 센싱 전극 패턴(RE91 내지 RE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9 센싱 전극(RE9)의 제1 센싱 전극 패턴(RE91)과 제2 센싱 전극 패턴(RE92)은 제4 구동 전극(TE4)의 제1 구동 전극 패턴(TE41)과 제2 구동 전극 패턴(TE42) 사이를 가로지를 수 있다. 제9 센싱 전극(RE9)의 제2 센싱 전극 패턴(RE92)과 제3 센싱 전극 패턴(RE93)은 제5 구동 전극(TE5)의 제1 구동 전극 패턴(TE51)과 제2 구동 전극 패턴(TE52) 사이를 가로지를 수 있다.
제8 센싱 전극의 제3 센싱 전극 패턴(RE83)과 제9 센싱 전극의 제1 센싱 전극 패턴(RE91)은 연결 배선(RX1_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1행 2열 및 1행 4열의 단위 감지 영역(SUT) 내 면적비가 1미만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터치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상 설계가 필요하고,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2 및 제4 배선(TX2_2 및 TX4_2)의 각각 접합부는 배선부보다 선폭이 넓은 배선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터치 감지 유닛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배치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터치 감지 유닛(50a_2)은 도 3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터치 감지 유닛(50a) 대비, 다른 형태의 감지 전극부를 갖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된 터치 감지 유닛(50a_2)은 도 3에 비해, 감지 영역(AA)의 비정형 일 측 엣지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감지 영역(AA)의 내측으로 만입된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감지 영역(AA)과 비감지 영역(NAA)의 경계에 의해, 도 3의 제2 구동 전극(TE2), 제4 구동 전극(TE4)의 각 구동 감지 패턴 및 제2 센싱 전극(RE2)의 각 센싱 감지 패턴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2행 2열 내지 4열의 단위 감지 영역(SUT) 내 면적비가 1미만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터치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상 설계가 필요하고,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내지 TX5_2)의 제2 내지 제4 배선(TX2_2 내지 TX4_2)의 각각 접합부는 배선부보다 선폭이 넓은 배선폭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기판
20: 회로층
30: 발광층
40: 봉지층
50: 터치층
60: 커버층
101: 베이스 기판
201: 버퍼층
211: 게이트 절연막
212: 층간 절연막
213: 보호층
311: 제1 화소 전극
312: 유기 발광층
313: 제2 화소 전극
320: 화소 정의막
330: 스페이서
340: 밀봉 부재
450: 봉지막
511: 제1 터치 절연층
512: 제2 터치 절연층
601: 윈도우 부재
610: 접착 부재
AA1 내지 AA3: 제1 내지 제3 감지 영역
DA: 표시 영역
DE: 더미 전극
ES1, ES2: 제1 및 제2 정전기 방지 배선
GL1 내지 GL4: 제1 내지 제4 가드 배선
IE1, IE2: 감지 전극부, 또는 제1 및 제2 터치 감지 전극
NAA: 비감지 영역
NDA: 비표시 영역
RE1 내지 RE9: 제1 내지 제9 센싱 전극
RX1_1 내지 RX8_1: 터치 센싱 배선
RX1_2: 연결 배선
TE1 내지 TE5: 제1 내지 제5 구동 전극
TX1_1 내지 TX5_1: 제1 터치 구동 배선
TX1_2 내지 TX5_2: 제2 터치 구동 배선
TX1_2a: 제1 배선부
TX1_2b: 제1 접합부
TR1: 박막 트랜지스터

Claims (20)

  1. 신호 배선; 및
    상기 신호 배선에 연결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감지 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배선은 상기 전극 패턴의 일 단부과 연결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감지 전극부를 우회하여 배치되는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1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감지 전극부의 상기 단부의 법선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2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배선폭은 상기 제1 배선폭보다 큰 터치 감지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의 상기 단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곡선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폭은 15μm 내지 25μm이고,
    상기 제2 배선폭은 90μm 내지 110μm인 터치 감지 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접합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선폭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배선폭보다 좁은 터치 감지 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15μm 내지 25μm인 터치 감지 유닛.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감지 전극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드 배선을 더 포함하는 터치 감지 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 및 상기 신호 배선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전기 방지 배선을 더 포함하는 터치 감지 유닛.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구동 감지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센싱 감지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센싱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감지 패턴은 상기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유닛.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상기 제1 구동 전극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구동 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동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구동 감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 전극은 상기 제1 구동 전극을 가로지르되, 상기 제2 구동 전극을 가로지르지 않는 터치 감지 유닛.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신호 배선은 서로 다른층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 유닛.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신호 배선 사이에 컨택홀을 포함하는 절연 물질이 개제되고,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신호 배선은 상기 절연 물질의 상기 컨택홀을 통해 직접 접하는 터치 감지 유닛.
  12. 둥근 코너를 포함하는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비감지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층;
    상기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 및
    상기 비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둥근 코너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은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신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접합부 및 상기 감지 영역을 우회하여 배치되는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1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배선폭보다 폭이 넓은 제2 배선폭을 가지는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에 의해 복수의 단위 감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감지 영역은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이 차지하는 면적비가 서로 다른 제1 단위 감지 영역 및 제2 단위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감지 영역의 상기 면적비는 상기 제1 단위 감지 영역의 상기 면적비보다 크고,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제1 단위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영역은 제1 감지 영역, 및 상기 제1 감지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제2 감지 영역과 제3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영역은 둥근 코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제1 감지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을 포함하는 제1 터치 도전층;
    상기 제1 터치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터치 도전층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컨택홀을 포함하는 제1 터치 절연층; 및
    상기 제1 터치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터치 도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도전층과 상기 제2 터치 도전층은 상기 복수의 컨택홀을 통해 접하는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부분과 중첩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와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은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컨택홀을 통해 접하는 표시장치.
  20.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비감지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층;
    상기 감지 영역과 상기 비감지 영역의 경계에 인접하고, 상기 감지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감지 전극 패턴 및 제2 감지 전극 패턴;
    상기 비감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신호 배선; 및
    상기 비감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2 신호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제1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1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배선은 상기 제2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는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는 제1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1 배선부는 제2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2 접합부는 제3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제4 배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1 배선폭은 상기 제2 배선폭 및 상기 제3 배선폭 보다 크고,
    상기 제3 배선폭은 상기 제4 배선폭 보다 큰 표시장치.
KR1020180112009A 2018-09-19 2018-09-19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611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09A KR102611671B1 (ko) 2018-09-19 2018-09-19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6/287,289 US20200089350A1 (en) 2018-09-19 2019-02-27 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0374673.6A CN110928434A (zh) 2018-09-19 2019-05-07 触摸感测单元和包括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09A KR102611671B1 (ko) 2018-09-19 2018-09-19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361A true KR20200033361A (ko) 2020-03-30
KR102611671B1 KR102611671B1 (ko) 2023-12-08

Family

ID=6977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009A KR102611671B1 (ko) 2018-09-19 2018-09-19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89350A1 (ko)
KR (1) KR102611671B1 (ko)
CN (1) CN1109284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99B1 (ko) * 2017-05-31 2022-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533131B1 (ko) * 2018-05-08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CN109669573B (zh) * 2018-12-17 2022-04-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10767834B (zh) * 2019-03-29 2020-09-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
KR20210034202A (ko) * 2019-09-20 2021-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방법
CN113539837B (zh) * 2020-04-17 2023-06-23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结构引线的制备方法及半导体结构
KR20210143983A (ko) * 2020-05-20 2021-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2027575A1 (en) * 2020-08-07 2022-02-1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panel
KR20220051901A (ko) * 2020-10-19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4721534A (zh) * 2021-01-04 2022-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3238683B (zh) * 2021-05-27 2024-02-0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8935A (ja) * 2008-04-16 2009-11-05 Hitachi Displays Ltd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面入力型表示装置
KR20110002164U (ko) * 2009-08-25 2011-03-04 민리드 엘티디. 매트릭스 터치 패널
JP2013045246A (ja) * 2011-08-23 2013-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部材および座標検出装置
KR20130046263A (ko) * 2011-10-27 2013-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50120169A (ko) * 2014-04-17 2015-10-27 (주)티메이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20180046442A (ko) * 2016-10-27 2018-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8509076A (zh) * 2018-03-14 2018-09-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触控方法及触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6967B2 (en) * 2008-09-25 2014-08-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 hav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flex circuit
KR101706232B1 (ko) * 2010-06-29 2017-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TWI459870B (zh) * 2012-01-02 2014-11-01 Shih Hua Technology Ltd 印刷線路及觸摸屏之印刷線路
CN103376928B (zh) * 2012-04-17 2017-04-1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281109B1 (ko) * 2013-12-31 2021-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139104A (ko) * 2014-06-02 2015-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60798B1 (ko) * 2014-11-13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TWI539347B (zh) * 2014-11-21 2016-06-21 業成光電(深圳)有限公司 觸控面板
KR102394724B1 (ko) * 2015-10-29 2022-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CN106293255B (zh) * 2016-09-27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基板及触控显示装置
KR102333396B1 (ko) * 2017-06-01 2021-1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JP7054345B2 (ja) * 2018-01-12 2022-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1831156A (zh) * 2018-01-24 2020-10-27 祥达光学(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与触控传感器卷带
US20190286272A1 (en) * 2018-03-14 2019-09-1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Touch control display panel, touch control method and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KR102054934B1 (ko) * 2018-05-29 2019-12-12 일진디스플레이(주) 투명 유연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9211933A (ja) * 2018-06-01 2019-1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近接検出方法
US10782832B2 (en) * 2018-07-09 2020-09-2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Mobile terminal and touch screen with a notch area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8935A (ja) * 2008-04-16 2009-11-05 Hitachi Displays Ltd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面入力型表示装置
KR20110002164U (ko) * 2009-08-25 2011-03-04 민리드 엘티디. 매트릭스 터치 패널
JP2013045246A (ja) * 2011-08-23 2013-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部材および座標検出装置
KR20130046263A (ko) * 2011-10-27 2013-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50120169A (ko) * 2014-04-17 2015-10-27 (주)티메이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20180046442A (ko) * 2016-10-27 2018-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8509076A (zh) * 2018-03-14 2018-09-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触控方法及触控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28434A (zh) 2020-03-27
KR102611671B1 (ko) 2023-12-08
US20200089350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671B1 (ko)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543918B1 (ko) 표시 장치
KR102650309B1 (ko)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275476B2 (en) 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71154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11382B1 (ko)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39862A (ko) 표시장치
EP3599542B1 (en) Touch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4177719A1 (en) Display device
EP3712753B1 (en) Display device
KR20200117101A (ko) 표시 장치
KR20200110569A (ko) 터치 감지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117300A (zh) 显示装置及用于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CN113010048A (zh) 显示设备
CN112289178A (zh) 显示装置
KR20210013506A (ko) 표시 장치
EP4130944A1 (en) Touch-control structure, touch-control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20012455A (ko) 표시 장치
CN112181191A (zh) 触摸检测单元
KR2021009968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2756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822744B2 (en) Display device
US20220246880A1 (en) Display device
US1180326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member and antistatic line
KR20240049705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