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111A -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111A
KR20210010111A KR1020190087575A KR20190087575A KR20210010111A KR 20210010111 A KR20210010111 A KR 20210010111A KR 1020190087575 A KR1020190087575 A KR 1020190087575A KR 20190087575 A KR20190087575 A KR 20190087575A KR 20210010111 A KR20210010111 A KR 2021001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witch assembly
function switch
lever bod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1020190087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111A/ko
Publication of KR2021001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핸들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조작부가 구비된 레버 본체와; 레버 본체의 선단부에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 이동 시 각각 차량에 장착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 작동부를 동작시키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노브와; 레버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회로 구성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PCB)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LED 모듈과; 조작노브와 레버 본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LED 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을 가이드하여 빛이 외부로 투과되어 적어도 일 부분에 발광되도록 구비되는 데코링을 포함하여 야간에도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 부근에 설치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부근에는 두 개의 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레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연결된 스티어링 컬럼이 관통하는 컬럼 하우징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컬럼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상기 컬럼 하우징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컬럼 하우징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레버는 야간운행 또는 안개지역 등의 시야가 좁고 어두운 지역을 운행할 경우 라이트 전원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데 사용되는 레버고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레버는 운행 중 눈 또는 비가 올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 및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앞유리 및/또는 뒷 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를 조절하는 레버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레버는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조명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기 위한 다양한 스위치 관련 부품들이 구비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레버는 상기 와이퍼의 작동을 온/오프 및 작동 속도를 조절하는 하기 위한 다양한 스위치 관련 부품들이 구비되므로, 그 기능이 다양하여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로 불리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레버 본체(1)와, 레버 본체의 선단부에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3)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작동부를 동작시키는 조작 노브(2)와, 조작 노브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의 선택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2a)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서 표시부(2a)는 조작 노브(2)의 일측에 인쇄만 되어 구비되므로, 야간에 조작 노브의 선택 위치를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려워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3)의 작동 여부를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버 본체와 조작 노브 사이에 무드 조명 데코링을 구비하여 야간에도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스티어링 핸들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조작부가 구비된 레버 본체와; 레버 본체의 선단부에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 이동 시 각각 차량에 장착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 작동부를 동작시키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노브와; 레버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회로 구성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PCB)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LED 모듈과; 조작노브와 레버 본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LED 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을 가이드하여 빛이 외부로 투과되어 적어도 일 부분에 발광되도록 구비되는 데코링을 포함한다.
또한, LED 모듈은,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데코링의 외부에 투과되는 빛은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의 작동 여부에 따라 ON/OFF 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노브는 조작 노브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여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가 지시하는 위치에 대응되게 데코링의 외부로 빛이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데코링은 LED 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레버 본체와 조작 노브 사이에 외부로 빛이 발광되는 데코링을 구비함으로써 야간에도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데코링 내부에 LED 모듈을 구비하여 외부로 빛이 발광 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작 노브의 선택 위치에 따른 데코링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인 경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핸들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조작부가 구비된 레버 본체(100)와; 레버 본체(100)의 선단부에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 이동 시 각각 차량에 장착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 작동부(110)를 동작시키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노브(200)와; 레버 본체(100)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회로 구성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PCB)(300)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LED모듈(310)과; 조작 노브(200)와 레버 본체(100)의 사이에 구비되어 LED 모듈(310)에서 발광하는 빛을 가이드하여 빛이 외부로 투과되어 적어도 일 부분에 발광되도록 구비되는 데코링(400)을 포함를 포함한다.
레버 본체(100)는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관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주면에 운전자가 식별 가능한 심볼 등이 표시되어 있고, 심볼을 따라 운전자가 자동차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 등을 작동할 수 있도록 조작 노브(200)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 본체(10)는 조작 노브(200)의 회전되는 동작으로 차량에 설치된 각 기능 작동부에 소정의 전기적인 작동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110)는 턴시그널, 상향전조등, 혼, 비상등, 미등, 전조등, 안개등, 워셔, 와이퍼, 운행정보표시장치 및 정속주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110)는 자동차의 전조등 모드(111), 안개등 모드(112), 자동 모드(113), OFF 모드(1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노브(200)는 레버 본체(100)의 선단부에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 이동 시 각각 차량에 장착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 작동부(110)를 동작시키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작 노브(200)는 조작 노브(200)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여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110)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PCB)(300)는 레버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0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LED 모듈(310)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00)은 레버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레버 샤프트(120)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중앙에 관통홀(300a)이 형성될 수 있다.
LED 모듈(310)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LED 모듈(310)은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110)의 개수와 동일하게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 모듈(310)은 자동차의 전조등 모드(111), 안개등 모드(112), 자동 모드(113)에만 구비되었으나, OFF 모드(114)에도 LED 모듈(310)이 구비될 수 있다.
데코링(400)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조작 노브(200)와 레버 본체(1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데코링(400)은 LED 모듈(310)에서 발광하는 빛을 가이드하여 빛이 외부로 투과되어 적어도 일 부분에 발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데코링(400)의 외부로 투과되는 빛은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1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ON/OFF 될 수 있다.
즉, 표시부(210)가 지시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빛이 투과되어 데코링(400)의 외부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데코링(400)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소정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데코링(400)은 LED 모듈(310)에서 발광하는 빛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10)는 LED 모듈(310)에서 방출되는 빛을 가이드하여 데코링(400)의 외부로 빛을 가이드하는데, LED 모듈(310)이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10)는 LED 모듈(310)이 구비된 측면으로부터 데코링(400)이 구비된 상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410)는 LED 모듈(310)의 개수와 되응되게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절곡되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LED 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을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4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작 노브의 선택 위치에 따른 데코링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자동차 운전자가 조작 노브(200)를 회전시켜 자동모드(113)에 위치시키고, 표시부(210)가 자동모드(113)에 위치하면 자동모드(113)에 위치된 LED 모듈(310)이 발광하고 데코링(400)의 외부에 빛이 투과되어 발광된다. 이때, 표시부(210)와 데코링(400)에 발광되는 빛과 자동 모드(113) 심볼이 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 노브(200)를 작동시키면 전조등이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자동차 운전자가 조작 노브(200)를 회전시켜 안개등모드(112)에 위치시키고, 표시부(210)가 안개등 모드(112)에 위치하면 안개등 모드(112)에 위치된 LED 모듈(310)이 발광하고 데코링(400)의 외부에 빛이 투과되어 발광된다. 이때, 표시부(210)와 데코링(400)에 발광되는 빛과 안개등 모드(112) 심볼이 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 노브(200)를 작동시키면 안개등이 점등된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자동차 운전자가 조작 노브(200)를 회전시켜 전조등모드(111)에 위치시키고, 표시부(210)가 전조등 모드(111)에 위치하면 전조등 모드(111)에 위치된 LED 모듈(310)이 발광하고 데코링(400)의 외부에 빛이 투과되어 발광된다. 이때, 표시부(210)와 데코링(400)에 발광되는 빛과 전조등 모드(111) 심볼이 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 노브(200)를 작동시키면 전조등이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홀더 암을 구비하는 대신 레버 홀더에 리브를 형성하고, 스위칭 케이스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부품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공정에서의 조립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레버 본체
200: 조작 노브 210: 표시부
300: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310: LED 모듈
400: 데코링 410: 가이드부

Claims (7)

  1. 스티어링 핸들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조작부가 구비된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선단부에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 이동 시 각각 차량에 장착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 작동부를 동작시키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노브와;
    상기 레버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회로 구성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PCB)과;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LED 모듈과;
    상기 조작노브와 상기 레버 본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LED 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을 가이드하여 상기 빛이 외부로 투과되어 적어도 일 부분에 발광되도록 구비되는 데코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링의 외부에 투과되는 빛은 상기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의 작동 여부에 따라 ON/OFF 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는 상기 조작 노브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지시하는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데코링의 상기 빛이 발광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링은 상기 LED 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LED 모듈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20190087575A 2019-07-19 2019-07-19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210010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575A KR20210010111A (ko) 2019-07-19 2019-07-19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575A KR20210010111A (ko) 2019-07-19 2019-07-19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11A true KR20210010111A (ko) 2021-01-27

Family

ID=7423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575A KR20210010111A (ko) 2019-07-19 2019-07-19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1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0707A1 (en) * 2021-06-24 2022-12-2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ype switch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0707A1 (en) * 2021-06-24 2022-12-2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ype switch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8721B2 (ja) 照明部を有する自動車用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スイッチ
US4835512A (en) Steering wheel high beam headlight indicator
US10137823B2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EP3342643B1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CN211139179U (zh) 汽车外后视镜及车辆
KR20210010111A (ko)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EP2445753B1 (en) Light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09987022B (zh) 车载阅读灯
KR200492552Y1 (ko) 헤드램프 각도조절 스위치 장치
CN106476967B (zh) 开关装置
JP2001354064A (ja) 車両用コラムスイッチの照明構造
JP2011152857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6451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2118449B1 (ko)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0738372B1 (ko) 발광다이오드의 잔상효과를 이용한 와이퍼
JP7263928B2 (ja) 方向指示器及び方向指示器の制御方法
JP200452466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装着された多機能レバーストークスイッチアセンブリ
JP2011075764A (ja) 表示装置
CN210760442U (zh) 一种车载灯具
KR0145377B1 (ko) 자동차용 라이트스위치의 조절노브구조
KR20220001839U (ko) 차량 헤드라이트 구조체
JP2002205658A (ja) 車両用ハンドル及び車両用ハンドルカバー
KR970001130Y1 (ko) 하향전조등점등상태표시장치
KR0124410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KR100813760B1 (ko) 차량의 컨트롤모드 조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