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410B1 -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410B1
KR0124410B1 KR1019950016592A KR19950016592A KR0124410B1 KR 0124410 B1 KR0124410 B1 KR 0124410B1 KR 1019950016592 A KR1019950016592 A KR 1019950016592A KR 19950016592 A KR19950016592 A KR 19950016592A KR 0124410 B1 KR0124410 B1 KR 012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motors
headlamp
gear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843A (ko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1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410B1/ko
Publication of KR97000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2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mitted light
    • F21S41/125Colour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21S41/295Attachment thereof specially adapted to 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에 빔을 조사시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한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헤드 램프의 전구로부터 전방으로 빔을 조사하는 방법은 그 광색이 단일색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안개등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리의 상하 내부면에 설치된 힌지에 양측단이 핀설되고, 그 양측단을 연장하여 형성한 절곡편의 끝단으로 부채형 기어부를 형성하여 회전되게 한 제1,2색판과; 상기 기어부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축기어가 형성된 제1,2모터와; 대시판넬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면서 이에 연설된 센서에 신호를 보내 상기 제1,2모터를 필요에 따라 선별 구동할 수 있게 된 선택 스위치(140)로 구성된 것으로, 자동차 주행중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색판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안전등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별도로 전구의 색깔을 할 필요가 없어 빔의 색깔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헤드 라이트를 보인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는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헤드 램프 102 : 렌즈
104 : 전구 106 : 반사경
108 : 유리 109,109a : 힌지,
110,110a : 제1,2색판 112,112a : 절곡편
114,114a : 기어부 120,120a : 제1,2모터
122,122a : 축기어 130 : 센서
140 : 선택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에 빔을 조사시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한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선택 스위치에 의해 구동부를 동작하여 헤드 램프 내측으로 설치된 색판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안개등 및 각종 색깔이 필요할 때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 램프 광색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주행을 안전하게 하려면 조명 이외에도 신호 또는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들의 조명 장치는 각기 자기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정에 대하여 안전 기준에 규정되어 있다.
이들 조명 장치 중 헤드 램프(Head lamp)는 야간 주행을 위한 조명등이며, 일반적으로 전방 100m 이상 앞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나라에 따라 성능 기준이 다르다. 이 램프는 빔을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의무화되어 있으며, 전조등이라고도 한다.
이형(異形) 헤드 램프는 보통 헤드 램프라고 하며 종전에는 둥근것이 태반이었으나, 보디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것에 맞는 헤드 램프가 장착되게 되었다. 그러므로 그 차에만 부착되는 특별한 형을 이형 램프라고 부르고 있다. 공기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하여 램프가 부착되는 그릴 높이가 작아지는 경향에 따라 이형 램프의 사용이 많아지고 둥근 램프의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안개등(Fog lamp)은 보조 램프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그 이름과 같이 안개 등으로 시야가 보이지 않을 때 쓰인다. 헤드 램프보다 가까운 곳을 조명하지만, 폭넓게 비춰주고, 대향차(對向車)에서의 확인이 우수하다는 점이다. 백색 또는 황색이 많고, 범퍼 윗면이나 아랫면에 부착되어 있다. 보조 전조등이라고 한다.
이상의 조명 장치 중에서 헤드 램프에 있어, 종래 기술 구성을 볼 때 도면 제1도에 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헤드 램프(1)는 전방으로 빔이 투과되는 렌즈(2), 후방으로 전구(4)가 설치된 반사경(6), 그리고 이들 사이에 몸체를 이루는 유리(8)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렇게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 램프(1)를 온시키게 되면, 일단 헤드 램프(1)의 전구(4)에서는 빔이 조사된다. 그 빔의 일부는 전방의 렌즈(2)를 통해 직접 통과되면서 나머지 빔은 후방의 반사경(6)에 반사되어 전장의 렌즈(2)를 통과하여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 헤드 램프(1)의 전구(4)로부터 전방으로 빔을 조사하는 방법은 그 광색이 단일색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안개등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벌브 코팅 색(Bulb coating color)을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 스위치에 의해 모터로 구동되는 여러개의 색판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색으로 빔을 조사시키도록 함으로써 안개등이나 기타 색깔이 필요할 경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광색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리의 상하 내부면에 설치된 힌지에 양측단이 핀설되고, 그 양측단을 연장하여 형성한 절곡편의 끝단으로 부채형 기어부를 형성하여 회전되게 한 제1,2색판과; 상기 기어부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축기어가 형성된 제1,2모터와; 대시판넬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면서 이에 연설된 센서에 신호를 보내 상기 제1,2모터를 필요에 따라 선별 구동할 수 있게 된 선택 스위치(140)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광색 변환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서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보여지는 것처럼, 본 발명 헤드 램프의 광색 변환 장치는 제1,2색판(110)(110a)과, 제1,2모터(120)(120a) 그리고 선택 스위치(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색판(110)(110a)에는, 유리(108)의 상하 내부면에 설치된 힌지(109)(109a)에 양측단이 핀설되고, 그 양측단을 연장하여 형성한 절곡편(112)(112a)의 끝단으로 부채형 기어부(114)(114a)를 형성하여 회전되게 한다.
상기 제1,2모터(120)(120a)에는, 기어부(114)(114a)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축기어(122)(122a)가 형성된다.
상기 선택 스위치(140)는 대시판넬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면서 이에 연설된 센서(130)에 신호를 보내 상기 제1,2모터(120)(120a)를 필요에 따라 선별 구동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설치 및 작동 상태를 보면서 이에 따른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계기판 따위가 설치되는 대시판넬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그 대시판넬에는 본 발명의 선택 스위치(140)가 설치되고, 그 선택 스위치(140)에는 센서(130)가 연설되는 것이다. 이후 그 센서(130)에는 각각의 모터(120)(120a)가 연설되고, 그 모터(120)(120a)위 축기어(122)(122a)에는 헤드 램프(100)의 유리(108) 상하 내부면에 돌설된 힌지(109)(109a)에 양단이 핀설되어 회전시키도록 된 제1,2색판(110)(110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그 작동 상태를 보면,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색깔이 제1색판(110)이라고 가정해 보면, 이를 작동시키기 위해 선택 스위치(140)을 온시킴에 따라 그 신호를 받게 되는 센서(130)는 제1모터(11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그 제1모터(110)는 구동되고 그 선단의 축기어(122)로 따라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축기어(122)와 치합된 제1색판(110)의 절곡편(122) 끝단에 형성된 기어부(114)가 회전됨에 따라 제1색판(110)이 하향으로 회전한 이후 전구(104)를 막아 선 상태로 된다. 이렇게 되면, 전구(104)에서 조사되는 빔은 제1색판(110)을 통과하게 되므로 그 제1색판(110)의 색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색이 제2색판(110a)이라면; 선택스위치(140), 센서(130)를 통한 제2모터(120a)의 구동으로 제2색판(110a)의 색을 가진 빔이 투과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광색 변환 장치에 따르면, 자동차 주행중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색판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안전등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별도로 전구의 색깔을 할 필요가 없어 빔의 색깔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전방으로 빔이 투과되는 렌즈(102), 후방으로 전구가(104)가 설치된 반사경(106), 그리고 이들 사이에 몸체를 이후는 유리(108)로 구성되는 헤드 램프(100)에 있어서, 상기 유리(108)의 상하 내부면에 설치된 힌지(109)(109 a)에 양측단이 핀설되고, 그 양측단을 연장하여 형성한 절곡편(112)(112 a)의 끝단으로 부채형 기어부(114)(114 a)를 형성하여 회전되게 한 제1,2색판(110)(110 a)과; 상기 기어부(114)(114 a)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축기어(122)(122 a)가 형성된 제1,2모터(120)(120 a)와; 대시판넬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면서 이에 연설된 센서(130)에 신호를 보내 상기 제1,2모터(120)(120 a)를 필요에 따라 선별 구동할 수 있게 된 선택 스위치(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광색 변환 장치.
KR1019950016592A 1995-06-21 1995-06-21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KR0124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592A KR0124410B1 (ko) 1995-06-21 1995-06-21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592A KR0124410B1 (ko) 1995-06-21 1995-06-21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43A KR970000843A (ko) 1997-01-21
KR0124410B1 true KR0124410B1 (ko) 1997-12-01

Family

ID=1941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592A KR0124410B1 (ko) 1995-06-21 1995-06-21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237B1 (ko) * 1996-12-30 2004-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전조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43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9021577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per veicoli
CN107499225B (zh) 车灯照明装置、车灯总成及汽车
KR0124410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GB2367122A (en) Anti-Dazzle Headlamp for a Motor Vehicle
KR100501653B1 (ko) 맵기능과 룸기능을 동시에 갖는 오버헤드 콘솔램프
CN215908993U (zh) 一种汽车侧滑门导轨外饰氛围灯
KR910006270Y1 (ko) 자동차의 중간전조등장치
CN212195721U (zh) 摩托车前照灯装置和摩托车
KR0145377B1 (ko) 자동차용 라이트스위치의 조절노브구조
JP2001351411A (ja) 自動車用フォグランプ
KR0129335Y1 (ko) 자동차용 코너링램프의 보조 반사장치
KR0112379Y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트의 렌즈이동장치
KR0150399B1 (ko) 자동차의 가시거리 확장용 전조등장치
KR100228115B1 (ko) 차량의 헤드램프용 주사빔 전환장치
KR0135484Y1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 램프 구조
KR200145162Y1 (ko) 헤드램프 표시등
KR200179506Y1 (ko) 자동차 후진용 조명등
KR0136903Y1 (ko) 버스의 사이드 턴 시그널 램프용 커버
KR200147157Y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
KR200145179Y1 (ko) 색상변조가능한 자동차의 안개등장치
KR0170824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US6462479B1 (en) Vehicle headlamp system
KR200207415Y1 (ko) 경광등용 난반사체 고정장치
CA2060093C (en) Rear vehicle courtesy bright light dimming signal system
KR200461322Y1 (ko) 자동차용 실내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