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290A -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290A
KR20210009290A KR1020200088457A KR20200088457A KR20210009290A KR 20210009290 A KR20210009290 A KR 20210009290A KR 1020200088457 A KR1020200088457 A KR 1020200088457A KR 20200088457 A KR20200088457 A KR 20200088457A KR 20210009290 A KR20210009290 A KR 20210009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contact
container inle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ublication of KR2021000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top rim or the top edges or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65D41/042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and combined with integral sealing means contacting other surfaces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등이 담기는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의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용기마개(20)로서,
상기 용기입구(12)에 접촉되는 복수의 밀접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접접촉부는,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입구(12)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Vessel closure and vess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등이 담기는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용기마개는, 음료 등의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와,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로 구성된다.
그런데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는, 용기입구와의 공차에 의하여 미세한 틈이 형성되고, 그 틈을 통하여 음료 등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습기, 세균 등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되거나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지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1) 용기입구 상부면에 실링부재를 장착하거나, 2) 용기마개의 내부 하부면에 이너링을 형성하거나, 3) 용기 마개의 내부 공간에 패킹을 장착하고 있다.
그런데 1)의 방법은 가장 안전한 방법이지만, 실링부재를 용기입구 상부면에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공정이 추가가 됨에 따라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과 다른 재질이 결합되어 있어서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2)의 방법은,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결합될 때 용기 내벽 또는 외벽과 용기마개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이너링 간의 공차 발생으로 습기, 외기, 세균 등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습기, 외기, 세균 등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용기입구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기 입구와 용기 마개가 결합 시에 차단 기능 들을 가질 수 있도록 결합하는 여러 부위의 구조들을 변경하여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의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용기마개(20)로서, 상기 용기입구(12)에 접촉되는 복수의 밀접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접접촉부는,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입구(12)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내용물이 담기며 용기입구(12)를 가지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용기마개(2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마개(20) 및 상기 용기입구(12)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복수의 밀접접촉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밀접접촉부는,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입구(12)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개시한다.
상기 용기는, 내용물이 담기며 용기입구(12)를 가지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용기마개(2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마개(20)는,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본체부(26)와; 상기 본체부(26)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4)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4)가 형성된 측벽부(25)와; 상기 본체부(26)는, 상기 본체부(26)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용기입구(12)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이너링(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입구(12)는, 내주면에 상기 용기마개(20)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이너링(10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이너링(100)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내주측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마개(20)는, 상기 용기마개(20)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용기마개(20)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마개(2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이너링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마개(20)는,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에 원을 이루어 형성된 오목홈(220)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마개(20)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하나 이상의 상기 밀접접촉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부(26)의 저면에 형성된 미들링(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은, 상기 오목홈(220)을 중심으로 내측의 상단(221)이 외측의 상단(22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입구(12)의 내측 및 외측의 상단(222) 중 적어도 하나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마개(20)는, 상기 용기마개(20)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곡면에 접촉되는 사면(21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는, 용기입구와 접촉되는 밀접접촉부가 폐곡선을 이루며, 밀접접촉부가 복수로 형성되어 습기, 외기, 세균 등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용기입구에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는, 용기입구와 접촉되는 밀접접촉부가 폐곡선을 이루며, 밀접접촉부가 복수로 형성되어 외기, 세균 등을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용기의 밀봉력을 향상시켜 용기에 담을 수 있는 내용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내용물의 종류들을 보다 다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는, 용기입구와 접촉되는 밀접접촉부가 폐곡선을 이루며, 밀접접촉부가 복수로 형성되어 외기, 세균 등을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용기 밀봉을 위한 실링부재가 불필요하여 용기를 포함한 상품의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하고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는, 용기입구와 접촉되는 밀접접촉부가 폐곡선을 이루며, 밀접접촉부가 복수로 형성되어 외기, 세균 등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며, 합성수지제(예 : PE, PP, PET 등)에 있어서 단일의 재질을 용기 및 용기 마개에 동시에 사용함에 따라서 용기마개의 재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는, 용기 및 용기마개를 합성수지제와 같은 단일의 재질이 사용됨에 따라서 용기마개 및 각종 용기의 재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서 Ⅰ-Ⅰ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용기마개가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서 A1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B1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용기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B2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에서 B3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d는, 도 5a에서 Ⅱ-Ⅱ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4a에 도시된 부분의 변형례, 도 5b에 도시된 변형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에서 C1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변형례로서, 유연성 부여홈이 벽체부에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d는, 도 8a의 변형례로서, 유연성 부여홈이 스커드 결합돌부에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에서 D1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d는, 도 10c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9에서 D1부분의 변형례로서, 용기의 밀봉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E1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용기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은, 도 14에서 E2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h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용기입구의 구조의 예들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들이다.
도 19a 내지 19c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용기마개의 구조의 예들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들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조들의 예들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들이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조들의 예들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용기에서 용기마개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서 G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있어서 용기마개 및 용기입구 사이의 접촉구조들의 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있어서 용기마개의 측벽부 하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링들 및 그에 접하는 용기입구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마개와 용기입구와의 결합 만으로 외기, 세균 등이 용기 내로 유입되거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규한 용기마개 및 용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내용물이 담기며 용기입구(12)를 가지는 용기본체(10)와;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용기마개(20)를 포함하며, 이때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복수의 밀접접촉부들이 형성되고, 밀접접촉부는,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용기입구(12)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10)는, 음료와 같은 액상물질들은 물론이고 가루, 타블릿, 그래뉼 등이 내용물로 담기는 구성으로서, 액상, 분말, 알갱이 등 그 형상 및 재질에 따라 합성수지 재질, 유리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용기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와의 조합을 위하여 용기마개(20)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PP, PE, PET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밀접접촉부는,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 중 적어도 하나에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여 제시되는 밀접접촉부는,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회전 및/또는 하강(예 : 1 피스 또는 2 피스 원터치 캡 및 언더컷 캡(스냅식 캡))에 의하여 결합될 때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하강하는 힘에 의하여 두 부재가 밀접하게 접촉됨으로써, 습기, 외기, 세균 등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용기입구에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는, 용기마개(20)와 결합되는 부분인 용기입구(12)가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이 기본형이며, 나머지 부분은 설계 및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입구(12)는,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용기본체(10)에 형성된 배출구이며, 용기마개(20)와 결합되는바 용기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용기입구(12)는, 주요 제품들의 용기마개(20)가 회전에 의하여 결합되는바 부분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1피스 원터치 캡(일명 : 듀마 캡), 힌지에 의하여 덮개와 몸체 부위가 일체형인 2 피스 원터치 캡 및 언더컷 만으로 결합하는 언더컷 캡(대표 제품 : 유산균 요구르트 제품 류) 처럼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하강함으로써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제품의 용기들에도 원통형상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마개(20)는, 용기본체(10)의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용기입구(12)를 향하는 쪽이 개방되며 용기입구(12)의 형상에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이 기본형이다.
예로서, 상기 용기마개(20)는, 용기입구(12)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본체부(26)와; 본체부(26)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입구(12)와 결합되는 측벽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6)는, 용기입구(12)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용기마개(20)의 외형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로서, 원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마개(20)는, 용기본체(10)의 밀봉력을 높이기 위하여, 본체부(26)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용기입구(12)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이너링(100), 소위 링 가스켓(ring gask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링(100)은, 용기본체(10)의 밀봉력을 높이기 위하여, 본체부(26)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용기입구(12)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용기입구(12)와의 접촉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측벽부(25)는, 본체부(26)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입구(12)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용기입구(12)와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측벽부(25)는, 용기입구(12)와 스크류 결합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4)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입구(12)와의 결합에 있어서 실시예에 따라서 스냅식 결합구조(예 : 1피스 및 2 피스원터치 캡과 언더컷 캡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입구(12)는, 외주면에 링형상의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측벽부(25)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링형상의 결합요홈이 내부면에 형성됨으로써, 용기마개(20)는, 용기입구(1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20)는, 용기입구(12)와의 상대적 밀접 접촉에 의하여 용기입구(12)와 밀접하게 접촉되는 복수의 밀접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접접촉부는,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용기입구(12)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이루며, 밀접접촉부의 형성위치, 형성구조 및 숫자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용기마개(20)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된 스커드 결합돌부(13)에 결림되어 결합되는 스커트부(27)가 측벽부(25)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27)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된 스커트 결합돌부(13)에 결림되어 결합되도록 측벽부(25)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용기마개(20)의 최초 개봉시 측벽부(25)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스커트부(27)는, 스커트 결합돌부(13)와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27)는, 측벽부(25)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절개라인에 의하여 연결되어 형성되거나, 복수의 브리지들에 의하여 측벽부(25)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입구(12)는, 스커트부(27)의 하단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용기마개(20)가 의도치 않게 용기입구(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돌기(15)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돌기(15)는, 스커트부(27)의 하단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용기마개(20)가 의도치 않게 용기입구(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입구(12)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용기마개(20)의 측벽부(25)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마개(2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다수의 돌기(2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특징적인 부분을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 별로 설명하였으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서로 상충되지 않는 범위에서 병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링(100)이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이너링(10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이너링(100)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내주측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주측 돌출부(121)는, 이너링(10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이너링(100)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용기입구(12)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주측 돌출부(121)는, 용기입구(12)의 길이방향의 단면이 이너링(100)의 외주면과 선접촉보다는 면접촉을 이루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마개(20)는, 앞서 설명한 내주측 돌출부(121)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용기마개(20)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용기마개(2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이너링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링 돌출부는,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용기마개(20)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용기마개(2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구성으로서, 용기입구(12)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링 돌출부는, 용기입구(12)의 길이방향의 단면이 용기입구(12)의 내주면과 선접촉보다는 면접촉을 이루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에 대한 밀봉력을 높이기 위하여 용기마개(20)는, 용기입구(12)의 상단에 원주를 따라서 일체를 이루어 형성된 오목홈(220)에 삽입되며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본체부(26)의 저면에 형성된 미들링(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들링(210)은, 용기입구(12)의 상단에 원주를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오목홈(220)에 삽입되며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본체부(26)의 저면에 형성되는 링으로서, 오목홈(220)과의 접촉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미들링(210)은, 수직단면이 역삼각형 또는 역사다리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들링(210)의 끝단은 평면 또는 곡면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미들링(210)이 삽입되는 오목홈(220)은, 미들링(2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미들링(210)이 삽입되면서 밀접되도록 미들링(210)의 단면 형상의 폭이 감소되는 정도가 폭의 감소가 더 크게 감소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목홈(220) 및 미들링(210)은, 밀봉력에 따라서 2개 이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오목홈(220)의 형성에 있어서, 용기입구(12)의 상단부를 이루는 2개(내측 및 외측)의 상단부분(221, 222)에 의하여 오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상단부분(221, 222)은, 오목홈(220)을 이루는 부분에서 경사를 이루며 탄력성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상단부분(221, 222) 중 적어도 하나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용기마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분(221, 222)의 외주면 곡면에 접촉되는 사면(215)이 형성됨으로써,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가 밀접하게 접촉, 즉 하나 이상의 밀접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 즉 2개의 상단부분(221, 222)은, 오목홈(220)을 중심으로 내측의 상단(221)이 외측의 상단(22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도 4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접촉지지면(310, 320)에 의하여 지지되는 밀봉접촉부(330)가 용기마개(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지지면(310, 320)는,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밀봉접촉부(33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밀봉접촉부(33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접촉지지면(310, 320)는, 도 4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결합돌부(13)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커트 결합돌부(13)는,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밀봉접촉부(330)의 하단부분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링형상의 그루브(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그루브(330)의 측면이 접촉지지면(310, 320)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루브(330)는, 밀봉접촉부(330)의 하단부분, 예를 들면 모서리 부분이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으로 접촉지지면(310, 320)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지지면(310)은, 내측에 위치된 제1접촉지지면(310), 외측에 위치된 제2접촉지지면(320)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접촉지지면을 이루는 경우 외측에 위치된 제2접촉지지면(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커트 결합돌부(13)는, 스커트부(27)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스커트부(27)가 밀봉접촉부(330)의 하단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스커트부(27)가 그루브(330)를 관통하여 스커트 결합돌부(1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커트부(27)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연결된 링구조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다수의 스커트부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각 스커트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루브(330)에는 각 스커트부분에 대응되어 다수의 관통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스커트부(27)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결합돌부(13)의 외측을 넘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밀봉접촉부(330)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접촉지지면(310, 32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용기마개(20)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접촉지지면(310, 320)의 접촉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밀봉접촉부(330)는, 벽체부(25)의 하단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벽체부(25)의 하단부분 자체를 이루거나, 앞서 설명한 스커트부(27)의 연결구조를 고려하여 벽체부(25)의 하단부분에서 벽체부(25)의 단면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돌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봉접촉부(330)는, 용기마개(20)의 회전에 의하여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하강할 때 접촉지지면(310, 320)의 경사구조에 밀접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봉접촉부(330)는, 용기마개(20)의 회전에 의하여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하강할 때 접촉지지면(310, 320)을 형성하는 그루브(330)에 삽입되어 접촉지지면(310, 320)의 경사구조에 밀접된다.
한편 상기 접촉지지면(310, 32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밀봉접촉부(330)는, 한 쌍의 접촉지지면(310, 320)이 이루는 최소폭보다 큰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봉접촉부(330)는, 하단부분의 단면의 각 모서리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봉접촉부(330)는, 접촉지지면(310, 320)에 밀접하게 접촉될 때 유연성을 높여 그 밀봉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밀봉접촉부(33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지지면(310, 320)에 접하는 접촉부분에 인접되는 하나 이상의 변형그루브(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그루브(160)는, 접촉지지면(310, 320)에 접하는 접촉부분에 인접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의 그루브로 형성되어 접촉지지면(310, 320)에 접하는 접촉부분이 접촉지지면(310, 320)에 접촉될 때 변형됨으로써 유연성을 부여하여 그 밀봉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에 더하여 또는 별도로,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과 밀접될 수 있도록 본체부(26)의 하단에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접촉링(150, 160)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링(150, 160)은,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과 밀접될 수 있도록 본체부(26)의 하단에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링형상을 이룰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촉링(150, 160)은,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링(150) 및 외측링(1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 제3실시예
한편 상기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의 밀봉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경우 용기의 밀봉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용기입구(12)에 하나 이상의 유연성 부여홈(231, 232, 233, 234)이 형성되고, 용기마개(20)에 유연성 부여홈(231, 232, 233, 234)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가압 접촉되는 가압접촉부(241, 242, 243, 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연성 부여홈(231, 232, 233, 234)은,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서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용기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홈으로,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면 모두 형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유연성 부여홈은, 도 7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의 상단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1)은, 용기입구(12)의 상단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홈으로써 제1실시예에 제시된 오목홈(220)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1)은, 용기마개(20)와의 접촉시 변형이 가능하도록 용기입구(12)의 상단에서 내주면(도 7 및 도 8a) 또는 외주면(도 8b)에 가깝게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4)이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의 상단에서 내주면에 가깝게 형성된 경우, 용기마개(20)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면(215) 등의 형성에 의하여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가압접촉부(215)로서 유연성 부여홈(234)이 형성된 부분을 가압접촉될 수 있다.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1)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의 상단에서 외주면에 가깝게 형성된 경우, 용기마개(20)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면(241) 등의 형성에 의하여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가압접촉부(241)로서 유연성 부여홈(231)이 형성된 부분을 가압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마개(20)에서 가압접촉부(241)를 형성함에 있어서 단순 경사면 이외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접촉부(241)는, 제2실시예에 제시된 외측링(16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유연성 부여홈(232)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마개(20)에 가압되는 유연성 부여홈(232)의 형성을 위하여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유연성부여돌기(230)가 형성되고, 유연성 부여홈(232)이 유연성부여돌기(230)에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유연성 부여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마개(20)는, 유연성 부여홈(232)에 대응되어 용기마개(20)의 내주면에 가압접촉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접촉부(242)는,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용기마개(20)의 하강에 의하여 유연성부여돌기(230) 중 유연성 부여홈(232)이 형성된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향경사를 이루어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유연성 부여홈(233)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의 외주면, 특히 스커드 결합돌부(13)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마개(20)에 가압되는 유연성 부여홈(233)은, 스커드 결합돌부(13)에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유연성 부여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마개(20)는, 유연성 부여홈(233)에 대응되어 용기마개(20)의 벽체부(25)에 가압접촉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접촉부(243)는,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용기마개(20)의 하강에 의하여 스커드 결합돌부(13) 중 유연성 부여홈(233)가 형성된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향경사를 이루어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접촉부(241, 242, 243, 21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마개(20)에 형성되어 유연성 부여홈(231, 232, 233, 234)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가압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유연성 부여홈(231, 232, 233, 234)이 형성된 부분을 가압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접촉부(241, 242, 243, 215)는,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회전 및 또는 하강에 의하여 하강하고 하강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유연성 부여홈(231, 232, 233, 234)이 형성된 부분을 가압함을 고려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가압접촉부(241, 242, 243, 215)는, 하강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유연성 부여홈(231, 232, 233, 234)이 형성된 부분을 가압할 수 있으면, 경사면 이외에 돌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4실시예
한편 본 발명은,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의 결합시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는 부분을 의도적으로 증가시켜 용기의 밀봉력을 향상시킴에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도 9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마개(20)는,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구성과 대비하여,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 및 이너링(100) 사이에 보조이너링(19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이너링(190)은,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 및 이너링(100) 사이에서 용기마개(20), 특히 본체부(26)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이너링(190)은, 이너링(10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너링(100)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이너링(190)은,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을 향하는 면이 경사를 이루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 또한 보조이너링(190)과 접하는 부분에서 가압접촉부(241)로서 경사면을 이루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입구(12)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링(100)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주측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용기는,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 사이의 접촉부분을 증가시켜 용기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도 10a의 변형례로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여홈(234)이 형성된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접촉부(241)로서, 보조이너링(190)의 구성 대신에 이너링(100)의 일부-이너링(100) 및 보조이너링(190)가 서로 일체화 된 것으로 볼 수 있음)로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연성 부여홈(231) 또는 오목홈(220)의 형성과 관련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의 높이는 같거나 어느 하나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0a 및 도 10b에서 상기 내측 상단부분(222)의 높이는, 외측 상단부분(22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도 10a의 변형례로서, 유연성 부여홈(234)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의 상단 중 외주면 쪽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마개(20)는, 유연성 부여홈(234)이 형성된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접촉부(215)로서 경사면(2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c에서 상기 외측 상단부분(221)의 높이는, 내측 상단부분(222)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b의 변형례로서, 유연성 부여홈(234)이 형성된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접촉부로서, 용기마개(20)에 돌기(244a)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용기의 밀봉력 향상에 있어서,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 및 용기마개(20) 사이의 접촉부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복수의 접촉부분은, 서로 연결된 것보다는 용기 외부로부터 용기 내부로 이르는 경로를 기준으로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예로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제시된 이너링(100) 및 이너링(10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주측 돌출부(121)에 더하여, 용기마개(20)는,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과 밀접되는 보조이너링(19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이너링(190)은,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 및 이너링(100) 사이에서 용기마개(20), 특히 본체부(26)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이너링(190)은, 이너링(10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너링(100)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이너링(190)은,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의 단면이 곡면을 이룸이 바람직하며,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의 내주면이 보조이너링(19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내주측 보조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예로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a에 도시된 구조 중 보조이너링(190) 및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이 서로 접하는 면들 중 적어도 일면이 경사면(180, 241a)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제1예 및 제2예에서 보조이너링(190)은, 용기입구(12)의 상단 및 이너링(100) 사이의 위치 대신에 용기입구(12)의 상단 및 벽체부(25) 사이에 위치되고 대응 구성이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예로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b의 구조에서 상기 유연성 부여홈(231)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입구(12)의 내주면에는, 도 11a와 같은 보조돌기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4예로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a의 구조에서 상기 유연성 부여홈(231)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5예로서,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d의 구조에서, 용기입구(12)의 상단에서 내주측 돌출부(121)에 이르기까지 경사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입구(12)는, 내주면이 상단에서 내주측 돌출부(121)에 이르기까지 내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하강될 때 보조링(190)의 외주면이 용기입구(12)의 상단 및 내주측 돌출부(121) 사이에서 서로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다.
-제5실시예
한편 본 발명은,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의 결합시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는 부분을 의도적으로 증가시켜 용기의 밀봉력을 향상시킴에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특히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 및 용기마개(20)에 접하는 접촉부분을 개선하게 되면 용기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가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에 의하여 중앙에 오목홈(220)이 형성되고, 용기마개(20)가 내측 상단부분(222)의 내측부분 및 외측 상단부분(221)의 외측부분에 접하는 내측 경사면(241) 및 외측경사면(24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입구(12)는, 상단부분이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에 의하여 중앙에 오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상단부분(222)의 내측부분 및 외측 상단부분(221)의 외측부분은, 내측 경사면(241) 및 외측경사면(242)에 밀접하게 접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의 상단부가 오목홈(220)의 폭이 좁아지는 쪽으로의 변형, 즉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이 서로 오므라들도록 변형이 용이하도록, 오목홈(220)의 측벽 부분은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은, 'V'자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마개(20)는, 내측 상단부분(222)의 내측부분 및 외측 상단부분(221)의 외측부분에 접하는 내측 경사면(241) 및 외측경사면(242)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 경사면(241) 및 외측경사면(242)은, 내측 상단부분(222)의 내측부분 및 외측 상단부분(221)의 외측부분에 접하도록 용기마개(20)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내측 경사면(241)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링(100)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경사면(241)는, 보조이너링(190)이 있는 경우 보조이너링(190)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5실시예는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나사식 결합구조 이외에 스냅식 결합구조(예 : 1피스 및 2 피스원터치 캡과 언더컷 캡 구조)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5실시예는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6)가 벽체부(25)의 일부에 대하여 힌지회전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용기마개가 채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마개(2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25)에 형성된 절개부(170)에 의하여 벽체부(25)의 일부가 원주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25) 중 절개되지 않은 부분은, 도 15에서 우측 부분에 위치된 힌지부분(17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171은, 절개부를 벽체부(25)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설치된 손잡이를 가리킨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가 서로 대응되는 구성이 교환되는 구조를 가지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마개(2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오목홈(192)을 형성하여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접촉링(190) 및 외측접촉링(1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접촉링(190) 및 외측접촉링(191)은, 대향오목홈(192)을 형성하여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용기마개(2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내측접촉링(190) 및 외측접촉링(191)은, 본체부(26)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접촉링(190) 및 외측접촉링(191)은,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기 내측접촉링(190) 및 외측접촉링(191)의 하단부가 대향오목홈(192)의 폭이 넓어지는 쪽으로의 변형, 즉 내측접촉링(190) 및 외측접촉링(191)이 서로 벌어지는 변형이 용이하도록, 대향오목홈(192)의 측벽 부분은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측접촉링(190) 및 외측접촉링(191)은, 하측을 향하여 역 'V'자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은, 내측접촉링(190) 및 외측접촉링(191)에 의하여 형성되는 대향오목홈(19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은, 대향오목홈(19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최상단을 기준으로 내측 및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193, 194)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용기는, 도 15에 도시된 용기의 변형례로서 앞서 설명한 절개부(170)를 구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은, 특히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제시된 실시예들이 상충되지 않는 부분(도 3 중 내주측 돌출부(121) 구조, 도 4b 또는 도 5b에 도시된 구조 등)을 제외하고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 제6실시예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용기의 밀봉력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가 서로 접하는 접촉부분을 증가, 특히 용기입구(12)의 상단부분 및 용기마개(20) 사이의 접촉부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분은, 서로 연결된 것보다는 용기 외부로부터 용기 내부로 이르는 경로를 기준으로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복수의 접촉부분들의 형성에 있어서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의 구조의 변형에 의하여 달성되며, 다양한 각도와 구조의 경사면, 유연성 부여홈 등의 형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용기마개(20) 및 용기입구(12)의 구조를 서로 맞바꾸어 구성하여 상기 복수의 접촉부분들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복수의 접촉부분들을 용기 외부로부터 용기 내부로 이르는 경로를 기준으로 복수로 형성하기 위한 용기입구(12)의 다양한 변형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용기입구(12)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220)을 중심으로 상단부분에서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홈(220)은, 내측 또는 외측에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 중 어느 하나가 용기마개(20)와의 접촉에 의하여 변형이 용이하도록 나머지 하나보다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의 높이는 서로 같거다 다를 수 있다.
도 18a의 경우 상기 내측 상단부분(222)의 폭이 외측 상단부분(22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220)은, 상측으로 가면서 그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8b는, 도 18a 도시된 용기입구(12)의 변형례이다.
도 18b에 도시된 용기입구(12)는, 내측 상단부분(222)의 높이가 외측 상단부분(221)의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용기입구(12)의 내주면에는, 용기마개(20)와의 접촉부분을 늘리기 위하여 미세한 링돌기(22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8c는, 도 18a 도시된 용기입구(12)의 변형례이다.
도 18c에 도시된 용기입구(12)는, 도 18a의 오목홈(2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 돌출 상단부분(225)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앙 돌출 상단부분(225)은,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홈(220)을 2개의 분할오목홈(220a, 22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용기마개(20)는, 중앙 돌출 상단부분(225)이 삽입되는 링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d는, 도 18a 도시된 용기입구(12)의 변형례이다.
도 18d에 도시된 용기입구(12)는, 내측 상단부분(222)이 외측 상단부분(221)보다 높게 형성되고 폭이 작게 형성되며, 내측에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보다 작은 단턱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8e는, 도 18a 도시된 용기입구(12)의 변형례이다.
도 18e에 도시된 용기입구(12)는, 도 18a의 반대의 경우로서 외측 상단부분(221)이 내측 상단부분(222)보다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d는,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내측상단부분(222) 또는 외측 상단부분(221)이 용기마개(20)의 가압 또는 뜨거운 내용물의 충전에 의하여 차단 구조가 변형이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 구조로서, 용기입구(12)는, 제3실시예의 도 8a 및 도 8b의 구조 이외에 도 18e 및, 도 18f, 도 18g, 도 21a, 도 21b, 도 21c, 도 26a, 도 26b와 같은 구조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8d 및 도 1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여홈(233)이 용기입구(12)의 외주면, 특히 스커드 결합돌부(13)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마개(20)에 가압되는 유연성 부여홈(233)은, 스커드 결합돌부(13)에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유연성 부여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연성 부여홈(233)은, 상측으로 연장된 홈형성돌기링(237)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유연성 부여홈은, 도 18g 및 도 1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드 결합돌부(13) 및 용기입구(12)의 상단 사이에서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c 및 도 1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여홈(232)이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마개(20)에 가압되는 유연성 부여홈(232)의 형성을 위하여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유연성부여돌기(230)가 형성되고, 유연성 부여홈(232)이 유연성부여돌기(230)에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유연성 부여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연성 부여홈(232)은, 상측으로 연장된 홈형성돌기링(238)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서, 도 1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여홈(235)이 용기입구(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유연성 부여홈(23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마개(20)에 가압되는 유연성 부여홈(235)의 형성을 위하여 용기입구(12)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내측유연성부여부(250)가 형성되고, 유연성 부여홈(232)이 내측유연성부여부(250)에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유연성 부여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연성 부여홈(235)은, 상측으로 연장된 홈형성돌기링(239)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용기마개(20)은, 홈형성돌기링(239)을 가압하기 위한 경사면 또는 이너링과 같은 구조를 구비한다.
한편 이하 상기 복수의 접촉부분들을 용기 외부로부터 용기 내부로 이르는 경로를 기준으로 복수로 형성하기 위하여 용기입구(12)에 더하여 또는 별도로 용기막개(20)의 다양한 변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a에 도시된 용기마개(20)는, 도 5c 또는 도 8b에 도시된 용기마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9b에 도시된 용기마개(20)는, 도 19a의 변형례로서 접촉링(150) 및 이너링(100)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링(150)의 끝단은, 이너링(100)보다 더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입구(12)는, 접촉링(150)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경사면, 돌기링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c는, 도 19의 변형례로서, 접촉링(150)이 본체부(26)의 저면 대신에 측벽부(25)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입구(12)는, 접촉링(150)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경사면, 돌기링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다양한 구조의 용기마개 및 용기입구가 결합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a는, 도 18g에 도시된 용기입구의 구조에 용기마개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예로서, 도 8c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b는, 도 18a의 용기입구의 구조로부터 변형된 용기입구에 도 10a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 구조의 용기마개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c에 도시된 용기는, 다른 실시예의 용기구조와 비교하여, 용기입구(12)가 상단에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 더 나아가 보조 상단부분(220d)가 형성되고, 용기마개(20)가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목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링(199)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입구(12)는, 내측 상단부분(222)의 내측에는, 내측 상단부분(222) 및 외측 상단부분(221)보다 높이가 낮은 보조 상단부분(220d)가 형성되어 내측 상단부분(222)와 함께 추가 오목홈(220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0d에 도시된 용기는, 도 8b에 도시된 용기의 구조에 대비하여 접촉링(150)의 형상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21a에 도시된 용기는, 스커트 결합돌부(13), 분리방지돌기(15) 등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외기 차단을 위한 복수의 접촉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커트 결합돌부(13), 분리방지돌기(15) 등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는,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홈(271, 272)가 형성되고, 용기마개(20)의 측벽부(25)에는 하나 이상의 오목홈(271, 272)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링(2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링(273)은, 스커트 결합돌부(13), 분리방지돌기(15) 등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형성된 링 형상의 오목홈(271, 272)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접촉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1b에 도시된 용기는, 용기마개(20)의 내주면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오목홈(275)를 형성하는 밀봉링(274)이 형성되고 이때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는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밀봉링(274)을 가압하는 가압부분(27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링(274)은, 용기마개(20)의 내주면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오목홈(275)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용기마개(20)의 측벽부(25)의 내주면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분(276)은,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밀봉링(274)을 가압(차단성 강화)하도록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1c에 도시된 용기는, 도 21b의 변형례로서, 스커트 결합돌부(13), 분리방지돌기(15) 등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상측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278)가 형성되고, 이때 용기마개(20)는, 돌출부(278)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돌출부(278)가 삽입되는 삽입요홈링(277)이 형성될 수 있다.
- 제7실시예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서로 상충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되거나 대체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마개의 경우 도시된 실시예들 이외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도 22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마개(20)의 측벽부(25)가 이중으로 형성되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이 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마개(20)는, 본체부(26)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측벽부(25)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본체부(26)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보조측벽부(25a)를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측벽부(25a)는, 본체부(26)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측벽부(25)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본체부(26)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앞서 설명한 스커드 결합돌부(13)에 결합되는 스커트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스커트 구조 및 도 5b에 도시된 스커트 구조는, 보조측벽부(25a)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측벽부(25a)는,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와 결합될 때 용기입구(12)에 형성된 접촉부분(440)과 접촉되는 접촉돌기링(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링(430)은, 보조측벽부(25a)에 형성되어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와 결합될 때 용기입구(12)에 형성된 접촉부분(440)과 접촉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접촉돌기링(430)은, 보조측벽부(25a)의 하단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지기 위하여 단면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접촉돌기링(430)은, 끝단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분(440)은, 용기입구(12)에 형성되어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와 결합될 때 접촉돌기링(410)이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경사면, 돌기부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촉부분(440)은, 스커드 결합돌부(13)에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25)는,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와 결합될 때 용기입구(12)에 형성된 접촉부분(420)과 접촉되는 접촉돌기링(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링(410)는, 측벽부(25)에 형성되어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와 결합될 때 용기입구(12)에 형성된 접촉부분(420)과 접촉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접촉돌기링(410)는, 측벽부(25)의 하단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지기 위하여 단면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접촉돌기링(410)는, 끝단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링(410)은, 측벽부(25)의 하단에서 외주면에 복수의 단차로 단면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분(420)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되어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와 결합될 때 접촉돌기링(410)이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경사면, 돌기부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25)에 형성된 접촉돌기링(410)과 접촉되는 접촉부분(420)은, 스커드 결합돌부(13)보다 상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링(234)가 형성되고, 용기마개(20)에는 돌출링(234)에 접촉되는 경사면(244)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용기마개 및 용기입구가 서로 접촉될 때 돌기-돌기 접촉, 돌기-요홈 접촉 등이 다양한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5에 도시된 구조들은, 유연한 부위와 유연한 부위 또는 딱딱한 부위와 유연한 부위가 서로 마주 닿아서 차단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있어서 용기마개의 측벽부 하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링(451, 452, 453, 454)들 및 그에 접하는 용기입구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들이다.
상기 돌기링(451, 452, 453, 454)들은, 측벽부(25) 또는 보조측벽부(25a)의 하단 부분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용기입구(12)에 형성된 접촉부분(461, 462, 463, 464)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분(461, 462, 463, 464)은, 용기마개(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돌기링(451, 452, 453, 454)이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경사면, 돌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용기본체 12 : 용기입구
20 : 용기마개

Claims (8)

  1. 용기본체(10)의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용기마개(20)로서, 상기 용기입구(12)에 접촉되는 복수의 밀접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접접촉부는,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입구(12)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 내용물이 담기며 용기입구(12)를 가지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용기마개(2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마개(20) 및 상기 용기입구(12)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복수의 밀접접촉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밀접접촉부는,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입구(12)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내용물이 담기며 용기입구(12)를 가지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용기마개(2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마개(20)는,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본체부(26)와;
    상기 본체부(26)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4)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4)가 형성된 측벽부(25)와;
    상기 본체부(26)는, 상기 본체부(26)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용기입구(12)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이너링(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기입구(12)는, 내주면에 상기 용기마개(20)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이너링(10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이너링(100)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내주측 돌출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기마개(20)는,
    상기 용기마개(20)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용기마개(20)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마개(2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이너링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기마개(20)는,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에 원을 이루어 형성된 오목홈(220)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마개(20)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하나 이상의 상기 밀접접촉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부(26)의 저면에 형성된 미들링(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은, 상기 오목홈(220)을 중심으로 내측의 상단(221)이 외측의 상단(222)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기입구(12)의 내측 및 외측의 상단(222) 중 적어도 하나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마개(20)는, 상기 용기마개(20)가 상기 용기입구(1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곡면에 접촉되는 사면(2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200088457A 2019-07-16 2020-07-16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KR202100092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62 2019-07-16
KR20190087162 2019-07-16
KR1020190129355 2019-10-17
KR20190129355 2019-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290A true KR20210009290A (ko) 2021-01-26

Family

ID=7421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457A KR20210009290A (ko) 2019-07-16 2020-07-16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81648A1 (ko)
EP (1) EP4001155A4 (ko)
JP (2) JP7471390B2 (ko)
KR (1) KR20210009290A (ko)
CN (1) CN114174185A (ko)
WO (1) WO2021010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632A1 (ko) 2021-09-06 2023-03-09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H719938A1 (de) * 2022-07-28 2024-02-15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Behälter aus einem Kunststoffmaterial mit Schraubkappe.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0349C (de) * 1949-02-08 1951-08-09 Hans Klee Verschlusskoerper fuer Flaschen
US2818204A (en) * 1956-01-27 1957-12-31 Continental Can Co Plastic nozzle and screw cap assembly
US3074579A (en) * 1960-01-15 1963-01-22 Formold Plastics Inc Combination closure cap and stopper
US3335774A (en) * 1965-12-03 1967-08-15 Ivan H Newton Plastic containers and closure members therefor
US3441161A (en) * 1967-03-09 1969-04-29 Paul S Van Baarn Bottle cap
US3428208A (en) * 1967-04-10 1969-02-18 John Kosar Direct seals between receptacles and closures therefor
US3494496A (en) * 1968-01-08 1970-02-10 Jay G Livingstone Closure cap and container-and-cap assembly
US3474884A (en) * 1968-03-14 1969-10-28 Briggs & Stratton Corp Extended oil filler tube
AT284649B (de) * 1968-11-26 1970-09-25 Empla Gmbh Behälter mit Verschlußstopfen
US3568871A (en) * 1969-05-12 1971-03-09 Jay G Livingstone Closure cap
US3707240A (en) * 1970-08-27 1972-12-26 Polytop Corp Closure with tear-off skirt
US3770156A (en) * 1971-11-26 1973-11-06 Growth Int Ind Corp Tamper proof closure
JPS493782A (ko) * 1972-05-02 1974-01-14
US3815771A (en) * 1972-06-07 1974-06-11 Anchor Cap & Closure Corp Linerless closure cap
DE2236528A1 (de) * 1972-07-21 1974-01-31 Dichter Hans Joachim Glasbehaelter mit verschlusstopfen
US3844439A (en) * 1972-07-28 1974-10-29 Consumers Glass Co Ltd Linerless closures
US3833141A (en) * 1972-08-23 1974-09-03 Leer Verpackungen Gmbh Container
US3881627A (en) * 1973-05-09 1975-05-06 Ethyl Dev Corp Vial container and closure
US3944104A (en) * 1974-11-25 1976-03-16 Consumers Glass Company Limited Threaded wine bottle stopper
FR2339540A1 (fr) * 1976-01-28 1977-08-26 Bouchons Plastiques Perfectionnements aux bouchons a vis
JPS5512041A (en) * 1978-07-04 1980-01-28 Hokoku Jushi Kogyo Cap attaching structure
GB2050320A (en) * 1979-05-29 1981-01-07 Stayne Products Sa Closure for container
US4322012A (en) * 1980-05-09 1982-03-30 Dairy Cap Corporation Threaded plastic bottle cap
SE444301B (sv) * 1980-08-19 1986-04-07 Bjoerk Lars Behallare med lock
EP0093690A1 (de) * 1982-05-04 1983-11-09 Crown Obrist AG Verschlusskappe für Behälter
US4560077A (en) * 1984-09-25 1985-12-24 Sun Coast Plastics, Inc. Plastic closure cap
DE9416093U1 (de) * 1994-10-06 1996-02-01 Rosberg Franz Kunststoffverschluß für eine Wulstrandflasche
US5725115A (en) * 1995-02-21 1998-03-10 Crown Cork Ag Closure cap with tether
DE29623290U1 (de) * 1995-10-31 1998-02-19 Safety Cap System Ag Verschluß für eine Flasche o.dgl.
US5630522A (en) * 1996-02-09 1997-05-20 Rexam Closures, Inc. Dual contact plug seal for threaded closure
WO1997033802A1 (en) * 1996-03-12 1997-09-18 Jeong Min Lee Bottle cap made of synthetic resin
US5954215A (en) * 1996-12-11 1999-09-21 James A. Schwartz Leak-proof container
US7086551B2 (en) * 2000-01-27 2006-08-08 Von Holdt Jr John W Plastic container and lid construction
JP2002104452A (ja) * 2000-09-29 2002-04-10 Asahi Soft Drinks Co Ltd 容 器
DE60011112T2 (de) * 2000-12-22 2005-07-28 Prispa Holding S.A. Verschluss für Behälter flüssiger Produkte
US20030026508A1 (en) * 2001-08-03 2003-02-06 Mark Smith Push-on/screw-off cap assembly
JP2003175948A (ja) * 2001-12-11 2003-06-24 Alcoa Closure Systems Japan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EP1327587A1 (en) * 2001-12-20 2003-07-16 GEFIT S.p.A. Closure system for bottles
EP1350733B1 (en) * 2002-04-05 2005-08-31 Plamatec AG Container screw-closure cap
KR20040041302A (ko) * 2002-11-11 2004-05-17 이창수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US20060151423A1 (en) * 2004-03-11 2006-07-13 Seidita Thomas M Closure having tapered sealing plug
EP1679267B1 (en) * 2004-12-16 2011-03-30 Japan Crown Cork Co. Ltd. Plastic cap featuring excellent sealing and venting
CN101142126A (zh) * 2005-03-14 2008-03-12 克雷诺瓦通用密封有限公司 瓶盖
US7651004B2 (en) * 2005-05-12 2010-01-26 Rexam Closure Systems Inc. Linerless closure and package
US7922017B2 (en) * 2005-05-12 2011-04-12 Rexam Prescription Products Inc. Child-resistant closure, container and package convertible to non-child-resistant operation
KR20080000543A (ko) * 2006-06-27 2008-01-02 노희권 용기마개
US8083094B2 (en) * 2006-08-10 2011-12-27 Capitol Vial Inc. Container and cap assembly
DE102006047023B4 (de) * 2006-10-02 2010-02-25 Fabian Schellenbach Verschluss
JP6026725B2 (ja) * 2011-04-28 2016-11-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密閉キャップ及び密閉容器
JP6163367B2 (ja) * 2013-06-27 2017-07-12 株式会社Csiジャパン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KR101631438B1 (ko) * 2014-12-12 2016-06-24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JP6808911B2 (ja) * 2015-03-26 2021-01-06 凸版印刷株式会社 蓋付き容器
KR20160132757A (ko) * 2015-05-11 2016-11-21 성보연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GB201601232D0 (en) * 2016-01-22 2016-03-09 Rieke Packaging Systems Ltd Dispensing closures and dispensers
WO2019159528A1 (ja) * 2018-02-19 2019-08-2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酸素遮断性を有する容器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1155A4 (en) 2023-08-09
EP4001155A1 (en) 2022-05-25
CN114174185A (zh) 2022-03-11
JP2022542812A (ja) 2022-10-07
WO2021010779A1 (ko) 2021-01-21
JP7471390B2 (ja) 2024-04-19
US20220281648A1 (en) 2022-09-08
JP2024038362A (ja)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110B1 (ko) 화장품 용기
JPH09511726A (ja) 不正開栓防止片付き閉栓キャップ
KR20210009290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N1915757B (zh) 分配封盖
MXPA04003248A (es) Cierre para surtir liquido.
KR20070070230A (ko) 어린이-대항용 분배 밀폐구와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CN102803089B (zh) 盖和具有盖的容器
KR20000071108A (ko) 덮개 캡을 갖는 음료수 캔 리드
JPH04227208A (ja) 容器
KR20010049352A (ko) 탬퍼-인디케이팅 마개와 그 제조 방법
JPS5918267B2 (ja) 側部封止閉鎖体
US20060213860A1 (en) Child-resistant, molded plastic closure, package incorporating same and container therefor
US20220017279A1 (en) Glass container
US5950851A (en) Safety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biasing means
US4429802A (en) Linerless closure cap
ES2923553T3 (es) Envase moldeado por inyección con un recipiente que tiene un reborde superior plegado
US1706007A (en) Paper container
US6343705B1 (en) Closure having back-angled lugs
US20240051714A1 (en)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same coupled thereto
CN114929589A (zh) 合成树脂制容器盖
WO2018047711A1 (ja) 樹脂製キャップ
RU2272765C2 (ru) Вы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блокировкой и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выл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2189640B1 (ko)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KR200336224Y1 (ko) 마개를 열 때 분리 보관된 내용물이 혼합되는 이중 용기조립체
CN1997561A (zh) 用于容器,尤其是用于瓶子的封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