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302A -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302A
KR20040041302A KR1020020069500A KR20020069500A KR20040041302A KR 20040041302 A KR20040041302 A KR 20040041302A KR 1020020069500 A KR1020020069500 A KR 1020020069500A KR 20020069500 A KR20020069500 A KR 20020069500A KR 20040041302 A KR20040041302 A KR 2004004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neck
stopper
container
bott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이학수
Original Assignee
이창수
이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수, 이학수 filed Critical 이창수
Priority to KR102002006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1302A/ko
Publication of KR2004004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30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65D41/042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and combined with integral sealing means contacting other surfaces of a container n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산가스 등이 함유된 음료수의 용기에 적합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 병목(2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나사결합부(31)와, 상기 나사결합부(31)의 내주연에서 나사결합부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 환형테(32)가 내측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환형테(32)의 내측에는 상면에 일정깊이의 오목부(35)가 가공된 받침턱(3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마개(30); 상기 마개(30)가 병목(20)에 완전히 결합되는 경우 상기 환형테(32)가 내측에 수용됨과 동시에 환형테(32)의 선단부가 내측 저면(26)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공간부와 깊이를 갖으며, 상기 받침턱(33)의 오목부(35) 표면이 그 상단에 밀착되도록 병목(20)의 내주연 일정깊이에서 병목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돌출 형성되는 보조병목(22); 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개가 병목에 결합되어 용기의 병목을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병목(22)과 병목(20)의 높이차에 의해 인출시 음료수가 보조병목과 병목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일부 유입되어 마개의 완전밀폐시 보조병목(22)의 내측에서 일정한 수막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탄산가스 등이 누출되어 음료수의 맛이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Sealing Structure of the bottleneck using the liquid-contents of a bottle}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산가스가 용해된 음료수 및 기타 소다수 등과 같은 용기의 병목에 형성되어 한번 개방된 마개를 재 밀폐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된 후에도 음료수에 용해된 가스가 방출되지 않아 용기에 저장된 음료수의 맛이 최초상태와 거의 동등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음료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상단에 형성된 병목(20)의 외주연에 나사결합부(21)가 형성되고, 이 나사결합부(21)에 마개(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결합부(31)가 상호 결합되어 용기의 개방된 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나사결합 구조의 용기 밀폐구조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마개(30)와 병목(20)의 나사결합부(21)(31)가 한번 개방된 후에 다시밀폐되어 반복 사용되는 경우, 그 기밀성이 완벽하게 보장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용기(10)의 내부에 채워진 액상의 음용수에는 음료의 독특한 맛을 살릴 수 있도록 탄산가스 등이 용해된 액체상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마개를 자주 개폐하게되면 음용수에 함유된 탄산가스 등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며, 또한 용기의 마개를 개봉하여 한번 사용한 경우에는 마개를 자주 개폐하지 않더라도 음용수에 포함된 탄산가스 등이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마개와 병목의 나사결합부를 통해 자연 누출되어 최초 음료수의 맛을 느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에서 용기 내용물인 액체가 누출되는 것만을 막기 위한 용기의 뚜껑이 다수 안출된 바 있으며, 이렇게 안출된 종래 발명(고안)의 경우에도 단지 뚜껑이나 캡이 용기의 목부에 결합시 다중밀폐구조를 갖도록 하여 음용수의 누출이 최대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불편하고 그 실용성에 있어서 다소 문제가 있었으며, 다중밀폐구조를 갖는다 하더라도 용기나 뚜껑의 개폐에 따른 미세한 변형이나 틈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완벽한 차단이 어렵고 특히 음용수에 탄산가스 등이 포함된 경우 승화된 기체상태의 가스 누출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는 제공하기 어려웠다.
또한, 탄산가스등이 포함된 음료수의 용기를 흔들거나 기온의 변화에 따라 용기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서 음료수의 상면과 마개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단일의 빈공간부에 과팽창된 용기가 내재된 상태에서 용기의 마개를 개봉하게 되면 마개의 개봉과 동시에 과팽창된 내부 공기가 배출되면서 음료수의 일부가 함께 튀어나와 사용자의 손이나 의류에 묻는 경우가 많아 음료수 용기의 개봉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용기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음료수에 용해된 가스가 마개의 개봉후에 다시 밀폐 보관되는 경우에도 마개와 병목의 나사결합부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음용수 최초의 맛과 거의 동등한 상태로 장시간 보존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용기의 내외부 사이를 마개와 병목의 접촉식 구조에 의해서만 그 밀폐가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마개와 병목 사이에 수봉(수막)현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용수에 포함된 가스의 누출조차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종래 용기가 갖는 마개와 병목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면서 적용 가능한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용기의 개봉전·후에 용기의 흔들림이나 외부 기온의 변화에 따라 용기내의 음료수에 용해된 가스가 용기내에서 과팽창된 상태에서 용기의 마개를 분리하더라도 액상의 내용물이 과팽창된 내부 공기와함께 배출되어 사용자의 손이나 의류에 튀는 것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이용편리성을 향성시킬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는 병목의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는 주결합부와, 상기 주결합부의 내주연에는 주결합부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 환형테가 내측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환형테의 내측에는 상면에 일정깊이의 오목홈이 가공된 받침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마개; 상기 마개가 병목에 완전히 결합되는 경우 상기 환형테가 내측에 수용됨과 동시에 환형테의 선단부가 내측 저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공간부와 깊이를 갖으며, 상기 받침턱의 오목부 표면이 그 상단에 밀착되도록 병목의 내주연 일정깊이에서 병목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돌출 형성되는 보조병목; 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개가 병목에 결합되어 용기의 병목이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병목과 병목의 높이차에 의해 인출시 음료수가 보조병목과 병목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일부 유입되어 마개의 완전밀폐시 보조병목의 내측에서 일정한 수막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환형테의 외주연 중간 높이에는 마개의 개봉시 용기내의 과팽창공기가 유출되는 경우 액상의 욤료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개의 병목 결합시 병목 내주연에 긴밀히 접촉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돌출차단막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용기의 밀폐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음료용기의 병목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병목과 마개의 분리/결합상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음료용기에서 음료수를 취출한 후에 마개가 병목에 결합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밀폐구조가 적용된 마개 및 병목의 분리 및 결합상태 상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환형테에 돌출차단막이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밀폐구조가 적용된 용기의 마개와 병목의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용기 20 : 병목
22 : 보조병목 23 : 걸림턱
24, 25 : 내외부몸통부 26 : 내측저면
30 : 마개 32 : 환형테
33 : 받침턱 35 : 오목부
37 : 돌출차단막 40 : 음료수
본 발명은 종래에 고안된 다수의 발명과 같이 다중(多重)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기술적 사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액체상태의 내용물의 누출방지는 물론 다양한 음료 및 소다수 등에 사용되어 음료의 독측한 맛을 내는 가스가 용해된 음료수를 한번 개봉 후 재밀폐후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액체상에 용해된 음료용 가스가 마개가 밀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누출되어 재 음용시에 음료 본래의 맛을 느낄 수 없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밀폐된 용기의 병목부에 액체상태의 음료가 잔류하면서 용기의 내외측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여 가스의 누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밀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사상에 주안점을 두고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을 향상시킨 용기의 밀폐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2a 및 도 2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밀폐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병목(20)과 마개(30)의 분리 및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밀폐구조는 용기(10)의 병목(20)과 이 병목(20)에 나사결합되는 마개(30)의 내측에 그 특징적인 구조가 이루어져 있다.
즉, 이를 다시 설명하면 용기(10)의 병목(20) 상단의 외주연의 나사결합부(21)에 결합되는 주결합부(31)가 구비된 마개(30)의 내측에는 상기 주결합부(31)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 환형테(32)가 내주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환형테(32)의 내측에는 상면에 일정깊이의 오목부(35)가 가공된 받침턱(3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마개(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환형테(32)의 높이와 주결합부(31)의 높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단차가 발생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개(30)가 결합되는 용기(10)의 병목(20)에는 그 상단 내주연에 보조병목(32)이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병목(32)은 병목(20)의 내주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내주면과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저면(26)은 병목(20)의 나사결합부(21)의 깊이와 거의 동등한 깊이를 갖도록 병목(20)의 내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병목(22)의 상단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20)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마개(30)의 환형테(32)와 주결합부(31)의 단차와 동일한 높이차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개(30)가 병목(20)에 결합시 각각의 나사결합부(21)(31)에 의해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마개(30)의 환형테(32)는 보조병목(22)의 내측에 삽입되어져 그 저면(26)에 밀착되고, 보조병목(22)의 상단부는 마개(30)의 받침턱(33)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35) 표면에 상호 긴밀히 밀착되어 용기(10)의 병목을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환형테(32)의 선단부가 접촉되는 보조병목(22)의 저면(26)은 마개(30)의 결합으로 인해 환형테(32)의 하단부가 자연스럽고 긴밀하게 밀착되어 밀폐가 유지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경사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이나 직각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마개(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받침턱(33) 상면의 오목부(35)의 단면도 타원형이나 직각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병목(20)의 내주연에 보조병목(22)이 형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용기(10)의 내부에 채워진 음료수를 인출하기 위해 마개(30)를 개봉한 후에 용기(10)를 기울여 용기(10)내의 음료수를 따른 후에 남아 있는 음료수를 다시 보관하는 경우, 음료수의 인출시 기울어졌던 용기(10)를 세우는 과정에서 용기(10)의 병목(20)에 흐르는 음료수(40)의 일부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의 단차가 형성된 보조병목(22)과 병목(20) 사이의 공간부에 유입하게 되며, 음료수(40)의 일부가 유입된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30)를 병목(20)에 결합시키게 되면, 마개(30)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테(32)가 보조병목(22)과 병목(2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되고, 환형테(32)의 삽입으로 보조병목(22)의 내측에 유입된 음료수중 일부는 환형테(32)가 차지하는 체적분에 해당하는 만큼 보조병목(22)과 병목(20)의 높이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용기(10)의 내부로 일부 유입되고 나머지의 음료수(40)는 마개(30)의 결합후에도 내부 공간부에 그대로 잔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밀폐구조를 갖는 용기(10)의 병목은 다중 밀폐구조를 갖게 되는데, 1차적인 밀폐는 나사결합부(21)(31)에 의해 이루어지고, 2차적인 밀폐구조는 보조병목(22)과 마개(30)의 내측에 형성된 받침턱(33)의 오목부(35) 상면과의 밀착에 의한 밀폐구조를 갖게 되며, 3차적인 밀폐는 환형테(32)가 보조병목(22)의 저면(26)에 밀착되는 밀폐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마개(30)와 병목(20)의 수회에 걸친 직접적인 접촉으로 용기(10)의 내·외부가 차단되어 밀폐되는 구조 이외에도,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음료수의 취출중에 일부 유입된 음료수(40)가 보조병목(22)의 내측에 잔류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수봉현상을 가져오는 4차적인 밀폐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마개(30)와 병목(20)의 직접접촉에 따른 음료수의 누출 방지는 물론 음료수(40)의 액상에 용존되어 있는 가스조차도 수봉현상에 의해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최초 용기(10)의 마개(30)를 개봉하여 맛본 음료수와 한번 개봉된 후에 다시 마개를 밀폐시켜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그때의 음료수의 맛이 최초의 맛과 거의 동등한 상태가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마개(30)의 결합으로 보조병목(22)의 내측에 포함된 음료수(40)는 받침턱(33)의 오목부(35)와 보조병목(22)의 상면이 긴밀히 밀착되어 있고, 또한 받침턱(33)의 외측면이 병목(20)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부인 수봉(수막)현상을 유지하는 매개체인 보조병목(22)내의 잔존하는 음료수가 용기가 기울어지고 넘어짐에도 불구하고 마개(30)의 밀폐후에 용기(10)의 내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어 안전한 수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에는 상술한 마개와 병목에 구비된 환형테(32)와 보조병목(22)이 마개(30)와 병목(20)으로부터 각각 분리 구성된 후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개(30)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조마개(30′)의 경우에는 병목(20)에 나사결합되는 마개(30)의 나사결합부(31)보다 소구경으로 이루어져 마개(30)의 내측 중심에 결합되는 상면 접합부(34)와, 상기 접합부(34)의 상면테두리부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일정깊이의 오목부(35)가 형성된 받침턱(33)과, 마개(30)의 내측에 결합시 그 최상단 높이가 주결합부(31)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기 받침턱(33)의 상면에 일정높이로 환형테(3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병목(20)에 결합 구성되는 보조병목(22)의 경우에는 병목(20)의 상면에 걸쳐질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갖는 걸림턱(23)과, 상기 걸림턱(23)의 내주연 하단으로 병목(20) 내측에 일정깊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와 깊이를 갖는 원통형 외부몸통부(25)와, 상기 외부몸통부(24)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공간부와 깊이를 갖도록 국자형으로 이루어지는 내부몸통부(24)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몸통부(24)의 최상단 높이는 병목의 높이보다 다소 낮아 병목(20)과 일정한 단차가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보조마개(30′)와 보조병목(22)이 결합된 마개(30)와 병목(20)이 상호 결합되어 용기(10)의 병목(20)을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병목(22)과 병목(20)의 높이차에 의해 인출시 음료수가 보조병목(22)의 내외부몸통부(24)(25) 사이에 일부 유입되어 마개(30)의 완전밀폐시 내외부몸통부(24) (25) 사이에서 일정한 수막이 형성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적용된 마개(30)의 환형테(32)에 돌출차단막(37)이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료수(40)가 채워진 용기(10)에서 용기의유동이나 기타 외부기온의 변화에 따라 용기(10)의 내부에 존재하는 탄산가스 등이 과팽창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이때 마개(30)를 완전히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과팽창공기(가스)가 보조병목(22)의 내측에 잔류하는 음료수를 밖으로 밀어내게 되어 보조병목 내측에 잔류하는 음료수가 마개의 완전개방으로 병목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테(32)의 외주연 중간부위에 마개(30)의 병목(20) 결합시 병목(20)의 내주연에 긴밀히 접촉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돌출차단막(37)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마개(10)를 약 2/3정도 개봉한 상태가 되면 환형테(32)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차단막(37)이 병목(20)의 상단 이상까지 풀리게 되고, 이런 상태가 되면 용기내에 과팽창된 공기(가스)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병목(22)의 내측에 채워진 잔류 음료수의 상면인 환형테(32)의 저면 및 환형테(32)의 외측면과 병목(20)의 내주연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병목(20) 상단의 밀폐된 공간으로 일단 배출되면서 용기내의 압축력이 감소되고, 마개(30)가 완전히 개봉될 때는 감소된 압축상태의 팽창가스가 배출되므로 팽창가스와 함께 배출될 수 있는 액상의 음료수가 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밀폐구조가 적용된 음료용기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밀폐구조를 갖는 마개와 병목은 종래의 음료용기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용기에 적용하더라도 용기의 외형을 변형하지 않고 그 적용이 가능하여 소비자들의 심미감을 해치지 않게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을 향상시킨 용기의 밀폐구조는 용기의 내외부를 차단하는 목부와 마개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그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실샐활에 적용이 용이하며, 특히 탄산가스 등이 포함된 음료용기에 적용되는 경우 내용물의 액체 누수는 물론 액상에 용존하는 가스 누출까지도 차단할 수 있는 밀폐구조를 제공하며, 수회에 걸쳐서 마개를 개봉하거나 한번 개봉된 후에 마개를 밀폐하여 음료수를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항상 최초의 맛과 거의 동등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용기내의 가스가 팽창된 경우 마개를 개방시킬때 액상의 음료수가 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의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병목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의 내주연에서 나사결합부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 환형테가 내측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환형테의 내측에는 상면에 일정깊이의 오목부가 가공된 받침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마개; 상기 마개가 병목에 완전히 결합되는 경우 상기 환형테가 내측에 수용됨과 동시에 환형테의 선단부가 내측 저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공간부와 깊이를 갖으며, 상기 받침턱의 오목부 표면이 그 상단에 밀착되도록 병목의 내주연 일정깊이에서 병목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돌출 형성되는 보조병목; 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병목과 병목의 높이차에 의해 용기내의 음료수 인출시 보조병목과 병목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음료수의 일부가 유입되어 마개의 완전밀폐시 보조병목의 내측에서 일정한 수막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2. 병목에 나사결합되는 마개보다 소구경으로 이루어져 마개의 내측 중심에 결합되는 상면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면 테두리부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일정깊이의 오목부가 형성된 받침턱과, 마개의 내측에 결합시 그 최상단 높이가 나사결합부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기 받침턱의 상면으로 일정높이 형성되어지는환형테가 구비된 보조마개; 병목의 상면에 걸쳐질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갖는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내주연 하단으로 병목 내측에 일정깊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와 깊이를 갖는 원통형 외부몸통부와, 상기 외부몸통부의 하단에서 내측과 상단으로 연속 절곡되어 국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병목의 높이보다 다소 낮아 병목과 단차가 발생되는 내부몸통부로 이루어져 상기 병목의 내주연 상단에 결합되는 보조병목; 상기 보조병목과 병목의 높이차에 의해 인출시 음료수가 보조병목의 내외부몸통부 사이에 일부 유입되어 보조마개가 결합된 마개의 완전밀폐시 내외부몸통부 사이에서 일정한 수막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병목 결합시 환형테의 선단부가 접촉되는 보조병목의 내측 저면은 경사면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테의 외주연 중간 높이에는 마개의 병목 결합시 병목 내주연에 긴밀히 접촉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돌출차단막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KR1020020069500A 2002-11-11 2002-11-11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KR20040041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00A KR20040041302A (ko) 2002-11-11 2002-11-11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00A KR20040041302A (ko) 2002-11-11 2002-11-11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596U Division KR200304802Y1 (ko) 2002-11-11 2002-11-11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302A true KR20040041302A (ko) 2004-05-17

Family

ID=3733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500A KR20040041302A (ko) 2002-11-11 2002-11-11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13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79A1 (ko) * 2019-07-16 2021-01-21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4104A (en) * 1974-11-25 1976-03-16 Consumers Glass Company Limited Threaded wine bottle stopper
JPS57187638U (ko) * 1981-05-25 1982-11-29
KR100190528B1 (ko) * 1996-12-26 1999-06-01 박연준 기밀유지수단을 갖는 음료용기
KR200185435Y1 (ko) * 1998-04-20 2000-07-01 김종찬 탁주병용 뚜껑
KR200203047Y1 (ko) * 2000-06-05 2000-11-15 삼화왕관주식회사 플라스틱 병마개 및 속마개
KR200265142Y1 (ko) * 2001-09-10 2002-02-21 방준석 가스유출방지트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4104A (en) * 1974-11-25 1976-03-16 Consumers Glass Company Limited Threaded wine bottle stopper
JPS57187638U (ko) * 1981-05-25 1982-11-29
KR100190528B1 (ko) * 1996-12-26 1999-06-01 박연준 기밀유지수단을 갖는 음료용기
KR200185435Y1 (ko) * 1998-04-20 2000-07-01 김종찬 탁주병용 뚜껑
KR200203047Y1 (ko) * 2000-06-05 2000-11-15 삼화왕관주식회사 플라스틱 병마개 및 속마개
KR200265142Y1 (ko) * 2001-09-10 2002-02-21 방준석 가스유출방지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79A1 (ko) * 2019-07-16 2021-01-21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EP4001155A4 (en) * 2019-07-16 2023-08-09 Jin Hee Ahn CONTAINER CAP AND CONTAINER COMBINE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US5853093A (en) Reclosable, two-part cap assembly for soda bottles
CA2482390A1 (en) A capsule containing a mixer substance for bottles containing pressurised liquids
US8672156B2 (en) Bottle and cap
KR20010020113A (ko) 이중성분용기
RU2001130052A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судов,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бутылок
JP2004106888A (ja) ボトルキャップ
EP2773571B1 (en) Bottle including a hollow removable closure
KR200304802Y1 (ko)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US20140263154A1 (en) Bottle and cap
KR20040041302A (ko)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KR200328710Y1 (ko)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KR200203047Y1 (ko) 플라스틱 병마개 및 속마개
JP2019131216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210142253A (ko) 탄산가스밀봉캡
JP52693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4155430A (ja) 二重蓋付き容器及び二重蓋
KR200364973Y1 (ko) 가스 누출 방지 용기
KR200300118Y1 (ko) 이중 밀봉 기능이 구비된 마개장치
KR200313473Y1 (ko) 음료 용기
KR20210055127A (ko) 휴대용 향수 토출 장치
KR200208790Y1 (ko) 음료병의 가스방출 방지장치
KR200301401Y1 (ko) 음료용 병구와 병마개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RU30340U1 (ru) Пробка-клапан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здачи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