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543A -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543A
KR20080000543A KR1020070063960A KR20070063960A KR20080000543A KR 20080000543 A KR20080000543 A KR 20080000543A KR 1020070063960 A KR1020070063960 A KR 1020070063960A KR 20070063960 A KR20070063960 A KR 20070063960A KR 20080000543 A KR20080000543 A KR 20080000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stopper
container in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ublication of KR2008000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25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B65D41/3419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the tamper element being formed separately but connected to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2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30Tamper-ring remaining connected to closure after initial removal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입구에 결합되고 하단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마개 본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연결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마개 본체를 용기 입구에 장착하면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로 구성되어, 한 번의 조립공정으로 용기입구에 밀폐부를 포함한 용기마개를 장착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축소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마개 {CLOSURE OF VESS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올려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올려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봉하고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용기입구에서 분리되는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용기마개는 액체, 분말, 알갱이 등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맹독성 약물이 저장된 용기, 세제 등이 저장된 용기, 일반 가정 의약품이 저장되는 용기 등에는 어린이가 쉽게 개봉하기 어렵게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CRC)의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용기마개는 용기에 장착된 후 최초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확인 기능 등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용기마개에 CRC의 기능 또는 개봉여부확인 기능이 부가되면서 그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서 용기마개의 용기와의 조립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마개를 용기입구에 장착하면 밀폐부재가 용기입구에 밀폐되게 결합되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를 용기입구에 한 번의 조립공정으로 결합하면 밀폐부재가 용기입구에 장착됨으로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마개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커트부를 한번 조립공정으로 용기입구에 장착할 수 있는 용기마개 및 보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입구에 결합되고 하단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마개 본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연결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마개 본체를 용기 입구에 장착하면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로 구성되는 보조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끼움 결합되고, 그 상단에는 밀폐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제1연결리브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스커트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리브와 제2연결리브는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일정 힘을 가하면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부는 용기입구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어 용기입구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내면에 원판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입구를 밀폐하는 밀폐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판에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커트부는 그 내면에 용기입구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 본체의 상단에는 마개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의 용기입구에 결합되고 상단 내주면에 밀폐부 장착부가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 하단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마개 본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연결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마개 본체를 용기 입구에 장 착하면 상기 지지부와 분리되어 밀폐부 장착부에 장착되고 용기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로 구성되는 보조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이너캡과, 상기 이너캡의 외주면에 이너캡과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아우터캡과, 상기 이너캡과 아우터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캡를 일정 힘 이상으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만 아우터캡의 회전력을 상기 이너캡으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이너캡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연결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마개 본체를 용기 입구에 장착하면 상기 지지부와 분리되어 이너캡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수납홈에 장착되고 용기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로 구성되는 보조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마개는 은 용기의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의 하단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에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연결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마개 본체를 용기 입구에 장착하면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올려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용기입구(10)에 체결되는 마개 본체(20)와, 마개 본체(20)의 하단 내면에 끼워지는 보조 마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개 본체(20)는 그 외주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하는 돌기들(22)이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용기입구(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 본체(20)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면에는 보조마개(30)가 끼워지는 수용홈(26)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마개(30)는 수용홈(26)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의 상단에 연결되고 용기입구(10)에 결합되는 밀폐부(34)와, 상기 지지부(32)의 하단에 연결되고 용기입구(10)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10)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36)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2)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연결리브들(38,40)이 형성되어 밀폐부(34)의 외주면 및 스커트부(36)과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부(32)의 상단은 밀폐부(34)의 외주면과 제1연결리브(38)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32)의 하단은 스커트부(36)의 상단과 제2연결리브(40)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리브(38,40)는 얇은 막 또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 힘을 가하면 뜯겨지면서 지지부(32)와 밀폐부(34) 사이를 분리시키고 지지부(32)와 스커트부(36) 사이를 분리시킨다.
상기 밀폐부(34)는 용기입구(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용기를 밀폐시키는 구성으로서, 제1연결리브(38)에 의해 지지부(32)의 상단에 연결되고, 용기입구(10)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어 용기입구(10)에 고정되는 장착부(42)와, 상기 장착부(42)의 내면에 원판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입구(10)를 밀폐하는 밀폐판(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장착부(42)는 용기입구(10)의 상면에 삽입하면 일측이 용기입구(10)의 상단 외면에 밀착되고, 타측이 용기입구(10)의 상단 내면에 밀착되며, 일정 탄성력을 보유한 상태로 되어 용기입구(10)에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장착부(42)의 끝부분에는 밀착용 돌기(46)가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용기입구(1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장착부(42)가 용기입구(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장착부(42)와 용기입구(10) 사이의 밀착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장착부(42)의 양쪽 측면 이외에 상기 장착부(42)의 상측 내 면에도 밀착용 돌기(4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폐판(44)에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판(4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밀폐판(44)에 다수의 구멍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통로(52)를 갖을 수 있다. 즉,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배출통로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42)의 상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밀봉용 돌기(56)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마개 본체(20)의 상측 내면에는 밀봉용 돌기(56)가 끼움 결합되는 밀봉용 그루브(5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마개본체(20)가 용기입구(10)에 장착하게 되면 밀봉용 돌기(56)가 밀봉용 그루브(58)에 끼움되어 밀봉시킨다. 그러면 배출통로(50)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커트부(36)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32)의 하단에 제2연결리브(4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내면에는 용기입구(10)에 형성된 걸림돌기(60)에 걸림되는 걸림홈(6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홈(62)의 내면에는 걸림돌기(60)에 형성된 톱니(61)와 맞물리는 톱니부(64)가 형성되어 스커트부(36)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조립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마개 본체(20)와 보조 마개(30)를 별도로 제조한다. 이때, 보조 마개(30)는 지지부(32)와 밀폐부(34)와 스커트부(36)가 각각 제1연결리브(38) 및 제2연결리브(40)에 의해 연결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 본체(20)의 내면에 보조 마개(30)를 끼움 결합한다. 그러면 보조마개(30)의 지지부(32)가 마개 본체(20)에 형성된 수용홈(26)에 끼움 결합되어 마개 본체(20)와 보조마개(30)가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의 제조된 마개를 생산 공정에 투입시킨다. 그리고,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채운 후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0)의 상면에 올려놓고 하측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러면 밀폐부(34)의 장착부(42)가 용기 입구(20)의 상단이 끼워지고, 지지부(32)와 밀폐부(34) 사이에 연결되는 제1연결리브(38)가 끊어지면서 마개 본체(20)가 용기입구(1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마개본체(2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4)가 용기입구(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2)에 끼워지고 스커트부(36)에 형성되는 걸림홈(62)이 용기입구(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60)에 걸림된다.
그리고, 밀폐부(34)의 상면에 형성되는 밀봉용 돌기(56)가 마개 본체(20)의 상단 내면에 형성된 밀봉용 그루브(58)에 삽입되어 용기 내부를 밀봉시킨다.
이와 같이, 용기 마개를 한번의 공정으로 용기입구(10)에 장착하면 용기 마개가 용기입구(10)에 장착되면서, 용기입구(10)에 밀폐부(34)가 밀봉 가능하게 장 착되고 스커트부(36)가 용기입구(10)에 체결된다.
따라서, 용기 마개를 용기입구에 장착하는 작업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입구(10)에 용기마개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 마개 본체(20)의 외주면을 잡고 돌리면 스커트부(36)와 지지부(32) 사이에 연결되는 제2연결리브(40)가 마개를 돌리는 힘에 의해 뜯겨지면서 두 부재 사이가 분리된다. 따라서,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0)에서 최초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마개 본체(20)를 더 돌리면 마개 본체(2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기입구(1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용기를 기울이면 밀폐판(44)에 형성된 배출통로(50)를 통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을 완료한 후 마개 본체(20)를 용기입구(10)에 장착하면 밀폐부(34)의 상면에 형성되는 밀봉용 돌기(56)가 마개 본체(20)의 상측 내면에 형성된 밀봉용 그루브(58)에 삽입되어 용기를 밀봉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와 같이, 마개 본체(70)와 보조 마개(71)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 본체(70)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마개 본체(2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다만 상측 내면 둘레면에는 보조마개(71)의 밀폐부(72)가 장착되는 밀폐부(72)가 마개 본체(70)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부 장착부(7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마개(71)는 마개 본체(70)에 형성된 수용홈(75)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부(76)와, 상기 지지부(76)의 상단에 연결되고 용기입구(10)를 밀봉하는 밀폐부(72)와, 상기 지지부(76)의 하단에 연결되고 용기입구(10)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마개 본체(70)가 용기입구(10)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7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76)와 스커트부(77)의 구조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지부(32)와 스커트부(36)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밀폐부(72)는 그 외주면이 지지부(76)의 상단에 제1연결리브(78)에 의해 연결되고, 그 가장자리가 용기입구(10)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마개 본체(70)에 형성되는 밀폐부 장착부(74)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밀폐부(72)의 중앙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비해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용기입구(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72)는 마개 본체(70)를 용기입구(10)에 장착하면 지지부(76)에서 분리된 후 마개 본체(70)에 형성된 밀폐부 장착부(74)에 장착되어 마개 본체(7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용기마개는 마개 본체(70)를 용기입구(10)에서 개방하면 용기입구(10)가 완전히 개방되는 형태이고, 마개 본체(70)를 용기 입구(10)에 닫으면 마개 본체(70) 내부에 장착된 밀폐부(72)가 용기입구(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용기를 밀폐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장착 공정을 살펴보면,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채운 후 마개 본체(70)를 용기입구(10)의 상면에 올려놓고 하측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러면 지지부(76)와 밀폐부(72) 사이에 연결되는 제1연결리브(78)가 끊어지면서 마개 본체(70)가 용기입구(1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마개 본체(7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80)가 용기 입구(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81)에 끼워지고 스커트부(77)에 형성되는 걸림홈(82)이 용기입구(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83)에 걸림된다.
그리고, 밀폐부(72)는 마개 본체(70)에 형성되는 밀폐부 장착부(74)에 장착되고 밀폐부(72)가 용기입구(10)의 상단에 밀착되어 용기를 밀봉시켜 실링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용기입구(10)에 마개 본체(7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 마개 본체(70)의 외주면을 잡고 돌리면 스커트부(77)와 지지부(76) 사이에 연결되는 제2연결리브(79)가 마개를 돌리는 힘에 의해 뜯겨지면서 두 부재 사이가 분리된다. 따라서, 용기 마개를 용기입구에서 최초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마개 본체(70)를 더 돌리면 마개 본체(7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기입구(1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용기를 기울이면 용기입구를 통해 용기 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72)는 마개 본체(70)에 형성되는 밀폐부 장착부(74)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의 구조와 동일하고, 다만 마개 본체(86)의 상면에 마개 본체(86)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85)가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입구(10)에 장착되는 마개 본체(86)와, 상기 마개 본체(86)의 내면에 장착되는 보조 마개(30)로 구성되고, 상기 마개 본체(86)의 상면에는 마개 본체(86)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8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개 본체(86)의 상단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 본체(86)의 상단 일측에 덮개(85)가 힌지 리브(91)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덮개(85)의 타측에는 덮개(85)를 개방할 때 손으로 잡고 당기는 손잡이부(90)가 형성되고, 덮개(85)의 타측과 마개 본체(86)의 타측 사이에는 덮개(85)가 마개 본체(86)에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부(88,8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88,89)는 덮개(85)의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록킹홈(88)과, 상기 록킹홈(88)이 삽입되도록 상기 마개 본체(86)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록킹돌기(89)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덮개(85)를 마개 본체(86)에서 개방하면 배출통로(50)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마개 본체(86) 전체를 용기입구(10)에서 개방하지 않고 덮개(85)만 개방하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마개 본체(93)의 상면에 덮개(94)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덮개(94)와 마개 본체(93) 사이가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물론 나사결합 이외에 돌기 및 홈에 의한 스냅식 결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제4실시예에 따른 마개 본체(93)의 상단 외주면에는 수나사부(95)가 형성되고, 덮개(94)의 내면에는 암나사부(96)가 형성되어 덮개(94)를 마개 본체(93)의 상단에 올려놓고 일방향으로 돌리면 덮개(94)가 마개 본체(93)에 장착되고, 타방향으로 돌리면 덮개(94)가 마개 본체(93)에서 분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마개 본체에 실링기능 및 스커트를 가지는 보조마개를 결합시켜 용기에 용기마개를 결합시킬 때 실링부재 및 스커트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구성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의 형상 구조 및 기능은 일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물론 CRC와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올려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 면도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어린이가 쉽게 개봉하기 어렵도록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중의 일예로서, 어린이 보호용 마개에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조마개의 구조를 결합한 구성을 갖는다.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100)는 상기 용기(5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0)에 장착되는 이너캡(120)과, 상기 이너캡(120)의 외주면에 이너캡(120)과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아우터캡(110)과, 상기 이너캡(120)과 아우터캡(11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캡(110)를 일정 힘 이상으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만 아우터캡(110)의 회전력을 상기 이너캡(120)으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이너캡(120)에 내부에 장착되는 보조마개(2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500)는 물, 음료, 양주, 소주 등과 같은 주류 등 액체는 물론 맹독성 약물, 세제, 일반 가정 의약품 등 어린이에게 해를 입힐 수 있는 내용물이 저장된다.
상기 아우터캡(110)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 돌조(128)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단 내주면에는 이너캡(120)이 아우터캡(110)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돌기(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캡(120)은 아우터캡(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용기입구(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3)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이너캡(1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키(111)들과, 제1키(111)들과 기어 물림되고 아우터캡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키들(121)로 구성된다.
이너캡(120)의 내주면 최상단에는 후술할 보조마개(200)의 밀폐부(220)가 수납되도록 수납홈(113)이 형성되며, 최하단에는 보조마개(200)의 지지부(210)가 끼어질 수 있도록 수용홈(101)이 형성된다.
이너캡(120) 및 아우터캡(110)은 닫힘방향으로는 이너캡(120) 및 아우터캡(110)이 함께 회전되며, 개방방향으로는 서로 공회전되며 아우터캡(110)을 이너캡(120) 쪽으로 눌렀을때 이너캡(120) 및 아우터캡(110)가 함께 회전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키들(111) 및 제2키들(121)은 아우터캡(120)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키들(111) 및 제2키들(121)이 기어물림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아우터캡(110)이 눌려졌을 때 상기 제1키들(111) 및 제2키들(121)이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거리유지부재(290)가 이너캡(120) 및 아우터캡(1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리유지부재(290)는 아우터캡(120)의 상단 저면에 쉽게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거리유지부재(290)가 쉽게 휘어지도록 거리유지부재(290)가 휘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면(291)이 이너캡(1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너캡(120) 및 아우터캡(110)은 닫힘방향으로 이너캡(120) 및 아우터캡(11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이너캡(120)의 측면 외주면에는 개방방향으로 경사면(281)을 이루며 닫힘방향으로는 턱(282)을 이루는 제 1 경사돌기(280)가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캡(120)의 내주면에는 제 1 경사돌기(280)에 대응되어 개방방향으로는 경사면(281)을 타고 넘어가 아우터캡(110)이 이너캡(120)에 대하여 공회전하며, 닫힘방향으로는 턱(282)에 걸려 아우터캡(110)의 회전력이 이너캡(120)에 전달되는 제 2 돌기(2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경사돌기(270)는 제 1 경사돌기(280)에 대응되어 닫힘방향으로는 경사면(271)이 형성되며, 개방방향으로는 턱(27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캡(120)의 하단에는 제 1 경사돌기(280) 및 제 2 경사돌기(270)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마개(110)는 이너캡의 수용홈(101)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용기입구(10)를 밀봉하는 밀폐부(220)와, 상기 지지부(2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용기입구(10)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100)가 용기입구(10)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1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면이 하면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연결리브들(224,23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리브들(224,233)는 지지부(210)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밀폐부(220)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제1연결리 브(224)와, 지지부(210)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스커트부(230)의 상단이 연결되는 제2연결리브(233)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리브(224,233)는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 힘을 가하면 뜯겨지면서 지지부(210)의 상단과 밀폐부(220) 사이를 분리시키고 지지부(210)의 하단과 스커트부(230) 사이를 분리시킨다.
상기 밀폐부(220)는 그 외주면이 지지부(210)의 상단에 제1연결리브(224)에 의해 연결되고, 그 가장자리가 용기입구(10)의 상면에 밀착되고 이너캡(110)에 형성되는 수납홈(113)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밀폐부(114)의 중앙(22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비해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용기입구(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밀폐부(220)는 용기마개(100)를 용기입구(10)에 장착하면 지지부(210)에서 분리된 후 용기마개(100)에 형성된 수납홈(113)에 장착되어 용기마개(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스커트부(23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210)의 하단에 제2연결리브(233)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내면에는 용기입구(10)에 형성된 걸림돌기(236)에 걸림되는 걸림홈(237)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용기마개의 작동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용기마개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용기(50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지 되지 않고 용기마개가 용기입구(10)에 장착된 상태일 때에는 거리유지부재(290)에 의해 아우터캡(110)에 형성되는 제1키(111)와 이너캡(120)에 형성되는 제2키(121)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되어 아우터캡(110)의 회전력이 이너캡(120)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아우터캡(110)를 회전시켜 용기마개(100)를 용기입구(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아우터캡(110)을 하측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거리유지부재(290)가 탄성 변형되어, 제1키(111) 및 제2키(121)는 열림방향으로도 기어물림되어 아우터캡(110)의 회전력이 이너캡(1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1키(111) 및 제2키(121)가 열림방향으로 서로 기어물림되도록 하여 아우터캡(110)의 회전에 의하여 이너캡(120)으로 전달되어 용기마개(100)가 용기입구(10)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보조마개의 작용은 상기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보조마개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일실시예에 설명된 보조마개의 구성은 제5실시예에 따른 CRC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한번의 조립과정에 의하여 밀폐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한번의 조립과정에 의하여 용기마개의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커트부를 구비하는 용기마개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하측으로 힘을 가했을 때 용기마개가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1)

  1. 용기의 용기입구에 결합되고 하단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마개 본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연결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마개 본체를 용기 입구에 장착하면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로 구성되는 보조마개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끼움 결합되고, 그 상단에는 밀폐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제1연결리브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스커트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리브와 제2연결리브는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일정 힘을 가하면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용기입구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어 용기입구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내면에 원판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입구를 밀폐하는 밀폐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용기입구의 상면에 외주면 및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끝부분의 내측면에는 용기입구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밀봉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마개 본체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밀봉용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밀봉용 그루브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에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밀폐판의 중앙에 하나 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구멍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그 내면에 용기입구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의 상단에는 마개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그 일단이 힌지리브에 의해 마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이 마개 본체의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마개 본체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돌리면 마개 본체에서 분리되고 타방향으로 돌리면 마개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3. 용기의 용기입구에 결합되고 상단 내주면에 밀폐부 장착부가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 하단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마개 본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연결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마개 본체를 용기 입구에 장착하면 상기 지지부와 분리되어 밀폐부 장착부에 장착되고 용기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로 구성되는 보조마개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끼움 결합되고, 그 상단에는 밀폐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제1연결리브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스커트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리브와 제2연결리브는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일정 힘을 가하면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그 가장자리가 용기입구의 상면에 밀착되고 그 중앙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비해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용기입구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6.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이너캡과;
    상기 이너캡의 외주면에 이너캡과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아우터캡과;
    상기 이너캡과 아우터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캡를 일정 힘 이상으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만 아우터캡의 회전력을 상기 이너캡으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이너캡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연결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마개 본체를 용기 입구에 장착하면 상기 지지부와 분리되어 이너캡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수납홈에 장착되고 용기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로 구성되는 보조마개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이너캡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키들과, 제1키들과 기어 물림되고 아우터캡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키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캡과 아우터 캡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아우터캡을 누르면 상기 제1키들와 제2키들 사이가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거리유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끼움 결합되고, 그 상단에는 밀폐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제1연결리브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스커트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리브와 제2연결리브는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일정 힘을 가하면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그 가장자리가 용기입구의 상면에 밀착되고 그 중앙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비해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용기입구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1. 용기의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의 하단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에 끼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연결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마개 본체를 용기 입구에 장착하면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보조마개.
KR1020070063960A 2006-06-27 2007-06-27 용기마개 KR200800005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352 2006-06-27
KR20060058352 2006-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43A true KR20080000543A (ko) 2008-01-02

Family

ID=3884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960A KR20080000543A (ko) 2006-06-27 2007-06-27 용기마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00543A (ko)
WO (1) WO20080020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03A1 (ko) * 2016-12-14 2018-06-21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가려움증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WO2021010779A1 (ko) * 2019-07-16 2021-01-21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0004459A (es) * 2007-10-24 2010-10-07 Jin Hee Ahn Tapa de enva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3185A (en) * 1973-03-07 1975-12-02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Pouring container with double cap protector for sterile dispensing lip
US3980195A (en) * 1974-11-18 1976-09-14 Owens-Illinois, Inc. Tamper-proof closure
JP4005208B2 (ja) * 1998-03-10 2007-11-07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200194244Y1 (ko) * 2000-03-31 2000-09-01 박인식 밀폐용기용 이중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03A1 (ko) * 2016-12-14 2018-06-21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가려움증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WO2021010779A1 (ko) * 2019-07-16 2021-01-21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2079A1 (en)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2528B2 (ja) ヒンジキャップ
EP1712480B1 (en) Cap element for a beverage can
WO2008048039A1 (en) Container device with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loss of closure plug
JP6116474B2 (ja) 不正開封防止キャップ
KR20080000543A (ko) 용기마개
KR20080114429A (ko) 용기마개
JP4881670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398918Y1 (ko) 안전마개
KR20100029797A (ko) 안전용기 캡
JP6422717B2 (ja) 二剤混合キャップ
JP6682142B2 (ja) 安全キャップ
KR200385312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JPH11240552A (ja) 飲料用容器のふた
KR200385310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JP3914532B2 (ja) キャップ
JP2004106856A (ja) 副容器を備えた容器蓋
KR200308972Y1 (ko) 용기 마개
JPH06362Y2 (ja) 容器のキャップ
KR200261828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130068740A (ko) 용기마개
JPH074331U (ja) 内容器が交換可能な二重容器
KR200396093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KR200385311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100650317B1 (ko) 접착제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