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797A - 안전용기 캡 - Google Patents

안전용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797A
KR20100029797A KR1020100015061A KR20100015061A KR20100029797A KR 20100029797 A KR20100029797 A KR 20100029797A KR 1020100015061 A KR1020100015061 A KR 1020100015061A KR 20100015061 A KR20100015061 A KR 20100015061A KR 20100029797 A KR20100029797 A KR 20100029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cap
fixing part
rot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두영
Original Assignee
양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두영 filed Critical 양두영
Priority to KR102010001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9797A/ko
Publication of KR2010002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30Tamper-ring remaining connected to closure after initial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고정부의 내면에 용기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돌기에 걸어지는 이탈방지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회전고정부가 용기의 상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개방부와 회전고정부를 연결하고 개방부가 회전고정부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꺾임 동작시에 발생되는 휨력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는 접힘고정편이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개방부와 회전고정부의 완전 분리되어 개방부가 회전고정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어린아이가 음용해서는 않되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음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고정부의 일면에 확개홈이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시에 회전고정부의 벌어짐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성인의 완력으로 쉽게 안전용기 캡을 회전시켜 용기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안전용기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용기(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돌기(2)에 체결되는 나사체결홈(11)이 내면에 형성된 개방부(10)와, 상기 개방부(10)의 하부측에 연결 구성되어 용기(1)의 상부 외면에 고정되는 회전고정부(20)로 구성되는 안전용기 캡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0)와 회전고정부(20)를 연결하는 절곡연결편(21)의 내측에는 상기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꺾임 동작시에 절곡연결편(21)측으로 가해지는 휘어짐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도록 접힘고정편(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고정부(20)의 내면에는 상기 용기(1)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걸림턱(1a)에 걸어지는 이탈방지돌기(23)가 더 형성되며, 상기 회전고정부(20)의 측면에는 개방부(10)와 회전고정부(20)의 회전시에 회전고정부(20)의 벌어짐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확개홈(24)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용기 캡{SAFETY CAP FOR VESSEL}
본 발명은 안전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용약이나 화장품 또는 세정제와 같은 액상 및 겔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상부에 구성되어 캡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들이 내용물을 복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방부와 회전고정부가 봉인된 상태로 용기에 구성되도록 하며 개방부가 회전고정부로부터 분리시에 '딱' 하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여 개방부의 열림상태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부와 회전고정부가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안전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는 중공된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캡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용기부의 상단 개구부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주연에는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홈부가 나선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상기 캡이 용기부의 상단부로부터 분리되거나 체결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할 때 캡을 용기부로부터 분리하여 용기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사산과 나사홈부 방식에 의해 캡이 용기부의 상단으로부터 탈착되는 방식은, 캡과 용기부와의 이탈이 쉽게 이루어짐에 따라, 예컨대, 용기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안약 등과 같은 약물이거나 또는 복용시에 심한 2차적인 의료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화장품류이거나 할 경우에, 어린아이들이 쉽게 캡을 용기부로부터 분리하여 내용물을 복용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항상 노출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용기의 상단에 체결되어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수단인 캡을 용기에 고정되는 이중구조로 구성하여 어린아이들이 쉽게 용기와 캡을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용기 캡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용기 캡은, 용기의 상단에 체결되는 회전고정부와 상기 회전고정부로부터 연장형성된 결합편에 의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개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개방부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소정의 힘을 가해 상기 개방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개방부와 회전고정부를 연결하는 상기 결합편들이 상기 회전고정부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부가 용기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개방부를 돌려 용기를 개방할 때 완력이 적은 어린아이들은 쉽게 개방부를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와 회전고정부를 연결하는 결합편들이 일측단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개방부를 회전고정부로부터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비교적 완력이 적은 어린아이들이 돌릴 경우에는 상기 개방부의 결합편들이 상기 회전고정부를 그대로 타고 넘어가도록 하여 개방부가 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있어,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안전용기 캡은, 용기와의 체결이 회전고정부의 하단측이 용기의 상단부에 말리는 형상으로 체결되거나 또는 용기의 하단측에 언더컷이 형성되어 용기와 체결되고 있는 바, 종래 안전용기 캡들은 강제적으로 취출되기 때문에 언더컷 부위의 깊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개방부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회전고정부의 체결돌기(언더 컷)가 강제적으로 취출됨으로써 언더컷 부위의 깊이를 조절할 수 없음에 따라, 개방부와 함께 용기의 상단에 체결된 회전고정부가 용기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안전용기 캡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방부가 회전고정부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부가 회전고정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연결편이 더 형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절곡연결편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절곡연결편이 끊어지게 되어 개방부가 회전고정부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어 어린아이들이 쉽게 개방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제20-0386627호인 어린이 보호용 안전 캡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나사와 체결되는 나사가 원통벽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캡과 내부에 입구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려 상기 내부캡이 입구를 향하는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수용된 외부캡으로 구성되고, 외부캡이 상기 나사가 체결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면 상기 내부캡이 상기 외부캡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걸리는 랫치수단이 상기 내부캡과 외부캡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캡이 탄성지지된 방향과는 반대의 축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캡이 상기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내부캡이 상기 외부캡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걸리는 구동수단이 상기 내부캡과 외부캡에 구비된 어린이 보호용 안전캡에 있어서, 상기 랫치수단은 상기 외부캡의 바닥벽의 내면 또는 상기 내부캡의 바닥벽의 외면 중 어느 일측에 축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된 탄성랫치와, 상기 외부캡의 바닥벽의 내면 또는 상기 내부캡의 바닥벽의 외면 중 상기 탄성랫치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서 상기 탄성랫치와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구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외부캡의 바닥벽의 내면과 상기 내부캡의 바닥벽의 외면 각각에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게 형성된 기어치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캡은 상기 탄성랫치에 의해 상기 외부캡의 입구를 향하는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어린아이가 쉽게 용기의 뚜껑을 열지 못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음에 따라 안전용기 캡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어린아이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안전용기 캡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안전용기 캡을 용기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회전고정부와, 이 회전고정부로부터 연결되어 개방되는 개방부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고정부와 개방부를 연결하여 회전고정부와 개방부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곡연결편의 내측에 접힘고정편을 더 구성하여 절곡연결편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고정부에 확개홈을 더 형성하여 안전용기 캡을 개방할 때 회전고정부의 벌어짐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성인의 완력으로 안전용기 캡을 개방할 경우, 회전고정부와 개방부간의 봉인편들이 쉽게 끊어져 개방부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회전고정부의 내면에 이탈방지돌기를 더 형성하여 회전고정부가 용기의 상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용기 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안전용기 캡은, 용기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돌기에 체결되는 나사체결홈이 내면에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하부측에 연결 구성되어 용기의 상부 외면에 고정되는 회전고정부로 구성되는 안전용기 캡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와 회전고정부를 연결하는 절곡연결편의 내측에는 상기 개방부가 회전고정부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꺾임 동작시에 절곡연결편측으로 가해지는 휘어짐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도록 접힘고정편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고정부의 내면에는 상기 용기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어지는 이탈방지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회전고정부의 측면에는 개방부와 회전고정부의 회전시에 회전고정부의 벌어짐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확개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안전용기 캡은, 회전고정부의 내면에 용기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돌기에 걸어지는 이탈방지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회전고정부가 용기의 상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개방부와 회전고정부를 연결하고 개방부가 회전고정부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꺾임 동작시에 발생되는 휨력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는 접힘고정편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고정부에 형성된 확개홈에 의해 개방부와 회전고정부의 완전 분리되어 개방부가 회전고정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어린아이가 음용해서는 않되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음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고정부의 일면에 확개홈이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시에 회전고정부의 벌어짐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성인의 완력으로 쉽게 안전용기 캡을 회전시켜 용기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안전용기 캡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안전용기 캡의 구성요부인 개방부가 개방된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안전용기 캡이 용기의 상부에 장착되어 개방부가 개방된 상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안전용기 캡은, 용기(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돌기(2)에 체결되는 나사체결홈(11)이 내면에 형성된 개방부(10)와, 상기 개방부(10)의 하부측에 연결 구성되어 용기(1)의 상부 외면에 고정되는 회전고정부(20)로 구성되는 안전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방부(10)와 회전고정부(20)를 연결하는 절곡연결편(21)의 내측에는 상기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꺾임 동작시에 절곡연결편(21)측으로 가해지는 휘어짐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도록 접힘고정편(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고정부(20)의 내면에는 상기 용기(1)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걸림턱(1a)에 걸어지는 이탈방지돌기(23)가 더 형성되며, 상기 회전고정부(20)의 측면에는 개방부(10)와 회전고정부(20)의 회전시에 회전고정부(20)의 벌어짐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확개홈(24)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개방부(10)와 회전고정부(20) 사이에는 봉인편(25)이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이 봉인편(25)은, 용기(1)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개방부(10)를 잡고 돌릴 때 봉인편(25)이 끊어지면서 개방부(10)와 회전고정부(20)의 개방이 이루어져 개방부(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젖혀짐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개방부(10)돌려 회전고정부(20)로부터 개방부(10)가 개방될 때 봉인편(25)의 끊어짐에 의한 '딱' 하는 소리가 발생되어 사용자가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로부터 분리됨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접힘고정편(22)은, 상기 절곡연결편(21)이 형성되는 회전고정부(20)와 개방부(10) 사이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와 분리되어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의 일방향으로 젖혀질 때 발생되는 휨력이 상기 접힘고정편(22)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절곡연결편(21)이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곡연결편(21)에 끊어지더라도 상기 접힘고정편(22)에 의해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로부터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부(10)가 완전히 회전고정부(20)에 대하여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접힘고정편(22)에 의해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로부터 개방되어 일방향으로 벌어지는 벌어짐 위치를 고정하여 줌으로써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에 대하여 완전히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안전용기 캡은, 사용자가 용기(1)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또는 사용할 경우, 소정의 완력으로 상기 회전고정부(20)의 양측면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10)를 돌려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로부터 개방되도록 하여 용기(1)의 상부를 개방하면 된다.
이 때, 상기 회전고정부(20)의 일면에 형성된 확개홈(24)에 의해 회전고정부(20)의 벌림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져 성인의 완력으로 개방부(10)를 회전고정부(20)로부터 분리함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용기 2 : 나사체결돌기
10 : 개방부 11 : 나사체결홈
20 : 회전고정부 21 : 절곡연결편
22 : 접힘고정편 23 : 이탈방지돌기
24 : 확개홈 25 : 봉인편

Claims (1)

  1. 용기(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돌기(2)에 체결되는 나사체결홈(11)이 내면에 형성된 개방부(10)와, 상기 개방부(10)의 하부측에 연결 구성되어 용기(1)의 상부 외면에 고정되는 회전고정부(20)로 구성되는 안전용기 캡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0)와 회전고정부(20)를 연결하는 절곡연결편(21)의 내측에는 상기 개방부(10)가 회전고정부(20)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꺾임 동작시에 절곡연결편(21)측으로 가해지는 휘어짐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도록 접힘고정편(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고정부(20)의 내면에는 상기 용기(1)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걸림턱(1a)에 걸어지는 이탈방지돌기(23)가 더 형성되며,
    상기 회전고정부(20)의 측면에는 개방부(10)와 회전고정부(20)의 회전시에 회전고정부(20)의 벌어짐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확개홈(24)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기 캡.
KR1020100015061A 2010-02-19 2010-02-19 안전용기 캡 KR20100029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061A KR20100029797A (ko) 2010-02-19 2010-02-19 안전용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061A KR20100029797A (ko) 2010-02-19 2010-02-19 안전용기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797A true KR20100029797A (ko) 2010-03-17

Family

ID=4217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061A KR20100029797A (ko) 2010-02-19 2010-02-19 안전용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97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7153A3 (en) * 2018-04-26 2020-03-19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losure
WO2020144183A1 (de) * 2019-01-07 2020-07-16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Verschlusskappe zum verschliessen eines behälters
CN113853343A (zh) * 2019-04-05 2021-12-28 耐普罗公司 栓系盖和喷口
US11485550B2 (en) 2019-05-13 2022-11-01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7153A3 (en) * 2018-04-26 2020-03-19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losure
GB2588011A (en) * 2018-04-26 2021-04-14 Obrist Closures Switzerland Closure
GB2588011B (en) * 2018-04-26 2023-08-09 Obrist Closures Switzerland Closure
WO2020144183A1 (de) * 2019-01-07 2020-07-16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Verschlusskappe zum verschliessen eines behälters
CN113853343A (zh) * 2019-04-05 2021-12-28 耐普罗公司 栓系盖和喷口
US11485550B2 (en) 2019-05-13 2022-11-01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8181B1 (en) Side press-type safety cap
JP6588469B2 (ja) 容器用安全クロージャ
KR20080035708A (ko) 용기의 마개
KR20100029797A (ko) 안전용기 캡
JP6202528B2 (ja) ヒンジキャップ
US3857508A (en) Safety closure and container
PT2925626T (pt) Fecho inviolável
ES2964001T3 (es) Elemento de vertido resellable para envases compuestos de cartón/plástico con un anillo de anclaje para sujetar de manera segura una tapa roscada
EA031019B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тролем вскрытия
KR101518258B1 (ko) 열림 방지용 용기 마개
JP2008222249A (ja) キャップおよび閉止装置ならびに飲料入り閉止装置
JP5736240B2 (ja) 薬液容器
JP5229569B2 (ja) 付け替え容器
JP3124569U (ja) 容器の口栓装置
KR200445674Y1 (ko) 안전마개
JP3906382B2 (ja) 振出容器
JP4721218B2 (ja) 二種収納物混合容器
JP4756494B2 (ja) 着脱蓋体付き容器
JP4409204B2 (ja) 混合物収納部を設けた混合容器
JP3906383B2 (ja) 振出容器
CN102837884A (zh) 内部毁瓶密封装置及使用该装置的防伪容器
KR20130068740A (ko) 용기마개
KR200400630Y1 (ko) 다목적 이중 보호캡
KR200396093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KR200416612Y1 (ko) 안전용기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