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250A -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250A
KR20210009250A KR1020190086046A KR20190086046A KR20210009250A KR 20210009250 A KR20210009250 A KR 20210009250A KR 1020190086046 A KR1020190086046 A KR 1020190086046A KR 20190086046 A KR20190086046 A KR 20190086046A KR 20210009250 A KR20210009250 A KR 20210009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th
container
food material
food
ingred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도
Original Assignee
정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환도 filed Critical 정환도
Priority to KR102019008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250A/ko
Publication of KR2021000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8Boilers or utensils with sieves inserted therein, e.g. potato-coo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로서, 육수 및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부 및 용기부의 안쪽 일 영역에 형성되서 식재료만을 수용하는 식재료 수용부를 포함하고, 식재료 수용부는, 육수의 유출입을 허용하지만 식재료의 유출입을 차단하는 육수 유출입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국물을 이용한 요리가 발달한 곳에서는 고기, 채소, 해산물, 면류, 만두 또는 국수 등 각종의 식재료를 일정 시간 육수에 담궜다 익히거나 데워서 먹는 요리도 발달하였다.
이러한 조리 방식은 식재료를 익히거나 데침으로써 식재료에 육수가 침투하거나 흡수되도록 하여 식재료의 고유의 맛을 증대시키고, 식재료부터 추출된 성분이 육수와 혼합됨으로써 육수의 풍미를 향상시킨다.
다만, 이러한 조리 방식의 경우에는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육수를 혼탁하게 하거나 육수에 부유물을 발생시킴으로써 취식자가 육수를 섭취할 경우에 조리된 육수의 풍미를 제대로 느낄 수 없고, 식재료가 부유됨으로써 소실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재료의 고유의 맛을 우려내면서도 식재료의 소실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조리 용기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선행문헌 1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172호 (2004년06월04일) 선행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0756225호 (2007년09월11일) 선행문헌 3 :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9419호 (1986년 8월 8일) 선행문헌 4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17077호 (2008년 02월 25일)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육수에 함침되서 조리되는 과정에서 식재료와 육수의 혼합 공간을 제공하지만 식재료가 유실되서 육수로 부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는, 육수 및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안쪽 일 영역에 조립 체결되서 상기 식재료를 수용하는 식재료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재료 수용부는, 상기 육수의 유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식재료의 유출입을 차단하는 육수 유출입 부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상기 식재료 수용부는, 하단에 상기 용기부의 중심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용기부에 고정되서 상기 식재료를 수용하는 컨테이너 부재 및 상기 컨테이너 부재의 적어도 일 영역에 구성된 상기 육수 유출입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용기부의 표면에 구비된 양각 체결 부재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체결되는 음각 체결 부재이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부재는, 저면이 상기 용기부의 중심 영역에 접촉하고, 높이가 상기 용기부의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더 높으며,상부가 개방되서 상기 식재료를 취출할 수 있는 측면에 상기 유수 유출입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육수를 통과시킨다.
한편, 상기 육수 유출입 부재는, 상기 컨테이버 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기 결정된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과 상기 홀을 덮는 메쉬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육수 유출입 부재는, 상기 홀의 직경이 홀은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쉬망을 구성하는 공극의 직경 크기는 물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에 있어서, 육수 및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내부의 일 영역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식재료를 보관하는 공간을 구비한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일측 종단에 연결되서 상기 용기부에 수용되는 육수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상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마감부재로 구성되는 식재료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재료 수용부는, 상기 육수가 채워질 경우에 상기 메쉬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의 경계선이 상기 육수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육수에 함침되서 조리되는 과정에서 식재료와 육수의 혼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식재료의 고유의 성분과 육수를 혼합시켜 육수의 풍미를 향상시키고 식재료를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가 손실되서 육수로 부유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육수 섭취시에 거부감을 줄여주고, 취식자가 소실 없이 식재료를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낭비를 줄여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해도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에 육수가 채워진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식재료를 추가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재료와 육수의 조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조리 용기(100)는 육수 및 식재료를 모두 수용하는 용기부(110)와 식재료만을 수용하는 식재료 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용기부(110)는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좁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용기부(110)는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용기부(110)는 중심 영역에 식자재 수용부(130)가 연결 체결되는 양각 체결부재(112)를 구비한다. 양각 체결부재(112)는 용기부(110)의 안쪽 하부면에서 10mm 내외의 높이로 돌출된 원형, 부채꼴형, 호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양각 체결부(112)는 식재료 수용부(130)의 하부에 구비된 음각 체결 부재에 삽입체결됨으로써 식재료 수용부(130)가 용기부(11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식재료 수용부(130)는 하부에 구비된 연결부재(131), 연결부재(131)에 연장되서 형성된 컨테이너 부재(133) 및 컨테이너 부재(133)의 측면 일 영역에 형성된 육수 유출입 부재(135)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31)는 용기부(110)에 구비된 양각 체결부재(112)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31)는 양각 체결부재(112)의 형태에 맞춰서 음각 체결부재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용기부(110)의 중심 영역에 양각 체결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식재료 수용부(1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음각 방식이 아니라 양각 방식으로 설계함으로써, 세척후 음식 찌거기가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1)는 음각 체결부재 방식으로 설계하되, 식재료 수용부(130)는 조리 용기(100)에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음각 체결방식을 채택하더라도 음식 찌거기가 잔여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컨테이너 부재(133)는 연결부재(131)의 일 측에 연장되서 조리 용기(100)의 높이 방향으로 신장되고, 단면형태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식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 부재(133)는 연결부재(131)와 일체화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는 컨테이너 부재(133)는 연결부재(131)와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컨테이너 부재(133)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육수 유출입 부재(135)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컨테이너 부재(133)는 메쉬 타입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메쉬를 구성하는 복수의 공극이 육수 유출입 부재(135)로 기능할 수 있다.
육수 유출입 부재(135)는 컨테이너 부재(133)에 형성된 일정한 직경을 갖는 홀과 해당 홀을 커버하는 일정 직경을 갖는 거름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홀의 직경은 수 mm에서 수 cm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거름망의 직경은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이고, 식재료의 종류 별로 공극의 직경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름망의 직경은 수 mm ~ 수백 ㎛ 범위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해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용기부(110)의 중심 영역에 구비된 양각 체결부재(112)에 식재료 수용부(130)의 연결부재(131)가 끼워 맞춤 방식으로 끼워지면, 식재료 수용부(130)는 용기부(110)의 안쪽 저면에 수직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식재료 수용부(130)는 정상 높이가 용기부(110)의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더 높게 위치한다. 용기부(110)에 육수를 최대한 채우더라도 식재료 수용부(130)의 정상부가 육수에 잠기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한 이유는 식재료 수용부(130)의 정상부가 개방된 형태라서 식재료를 투입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되, 식재료 수용부(130)의 정상부가 육수에 잠기면 가열된 육수의 대류 현상으로 인하여 식재료가 식재료 수용부(130)의 개방부를 통해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에 육수가 채워진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용기부(110)에 수용될 수 있는 육수의 최대치보다 낮은 수위로 물을 채울 경우에 식재료 수용부(130)의 정상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물에 잠기게 된다 식재료 수용부(130)의 정상부는 전체 높이 중 10% 미만이 노출되도록 설계하되, 식재료 수용부(130)의 최대 높이는 용기부(110)의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5~10% 높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용기부(110)에 물을 채우고 조리를 시작할 경우에, 물을 가열함으로써 물이 대류현상으로 인하여 식재료 수용부(130)의 물(W_1)과 용기부(110)의 물(W_2)이 서로 혼합되어 섞이게 된다. 이때, 식재료 수용부(130)는 육수 유출입 부재(135)를 구비함으로써 식재료 수용부(130)의 공간에 존재하는 물도 손쉽게 용기부(110)의 물과 혼합될 수 있다. 다만, 도 3의 경우에는 식재료 수용부(130)에 식재료를 넣지 않은 경우이며, 식재료 수용부(130)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재료를 넣어서 육수와 함께 조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식재료를 추가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식재료(FI)를 식재료 수용부(130)의 상부에 개방된 개구에 넣을 수 있다. 식재료(FI)는 채소, 육류, 버섯, 생선 등 다양한 재료일 수 있다. 식재료 수용부(130)는 5cm 내지 10cm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식재료 수용부(130)의 직경은 용기부(1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재료 수용부(130)의 직경은 용기부(110)의 직경에 10% 내지 20% 범위로 설계할 수 있다. 식재료 수용부는(130)는 식재료(FI)를 투입하고 식재료 수용부(130)의 개방면을 막는 뚜껑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뚜껑은 식재료 수용부(130)의 정상부에 개폐방식의 뚜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재료와 육수의 조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용기부(110)에 물이 최고 수위까지 채워진다. 여기서 최고 수위는 물이 용기부(110)의 가장자리를 넘지않는 높이(가장자리와 5% 마진을 갖는 높이)를 의미한다.
용기부(110)에 물이 채워지고, 하부에 가열 도구에 의해서 가열하면, 가열된 물은 대류 운동을 함으로써 상부와 하부의 물이 섞이게 된다. 이때 식재료 수용부(130)에는 식재료(FI)를 수용하고 있다. 물의 대류 운동으로 인하여 식재료(FI)가 상부로 부유하게 될 수 있으나, 물의 대류 운동의 최대 높이는 물의 수위보다 더 높을 수 없으므로 물의 높이만큼 부유하게 된다. 이때, 식재료 수용부(130)의 개방부의 높이가 물의 수위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식재료 수용부(130)의 최대 높이와 용기부(110)의 가장자리의 최대 높이의 차이는 H_1이다. 용기부(110)의 가장자리와 물의 최대 수위의 차이는 H_2이다. 따라서, 식재료 수용부(130)는 물의 수위보다 H=H_1+H_2 만큼 높게 된다.
이처럼 식재료 수용부(130)는 물의 수위보다 높기 때문에 물의 대류 운동으로 인하여 식재료라 식재료 수용부(130)의 상부를 넘쳐서 부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식재료 수용부(130)는 용기부(110)로부터 간편하게 탈착가능하므로 보관이나 이동시에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라직한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조리 용기(100)의 세부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핵심 사상의 범위 내에서 식재료 수용부(130)의 설치 위치, 크기, 형태 등을 다양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설계 변경 가능한 범위까지도 보호될 수 있다.
100 : 조리 용기
110 : 용기부
112 : 양각 체결부재
130 : 식재료 수용부
131 : 연결부재
133 : 컨테이너 부재
135 : 육수 유출입 부재

Claims (7)

  1.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에 있어서,
    육수 및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안쪽 일 영역에 조립 체결되서 상기 식재료를 수용하는 식재료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재료 수용부는, 상기 육수의 유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식재료의 유출입을 차단하는 육수 유출입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 수용부는, 하단에 상기 용기부의 중심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용기부에 고정되서 상기 식재료를 수용하는 컨테이너 부재 및 상기 컨테이너 부재의 적어도 일 영역에 구성된 상기 육수 유출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용기부의 표면에 구비된 양각 체결 부재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체결되는 음각 체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부재는, 저면이 상기 용기부의 중심 영역에 접촉하고, 높이가 상기 용기부의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더 높으며,
    상부가 개방되서 상기 식재료를 취출할 수 있는 구조이고, 측면에 상기 유수 유출입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육수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육수 유출입 부재는, 상기 컨테이버 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기 결정된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과 상기 홀을 덮는 메쉬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육수 유출입 부재는, 상기 홀의 직경이 홀은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쉬망을 구성하는 공극의 직경 크기는 물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7.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에 있어서,
    육수 및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내부의 일 영역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식재료를 보관하는 공간을 구비한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일측 종단에 연결되서 상기 용기부에 수용되는 육수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상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마감부재로 구성되는 식재료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재료 수용부는, 상기 육수가 채워질 경우에 상기 메쉬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의 경계선이 상기 육수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KR1020190086046A 2019-07-16 2019-07-16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KR20210009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46A KR20210009250A (ko) 2019-07-16 2019-07-16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46A KR20210009250A (ko) 2019-07-16 2019-07-16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250A true KR20210009250A (ko) 2021-01-26

Family

ID=7431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046A KR20210009250A (ko) 2019-07-16 2019-07-16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25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9419A (ko) 1985-05-03 1986-12-22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집적 전자 다중 회로
KR200352172Y1 (ko) 2004-03-08 2004-06-04 박종섭 조리용 걸름통
KR100756225B1 (ko) 2005-01-13 2007-09-11 배한근 망체가 구비된 보온 용기
KR20080017077A (ko) 2008-02-05 2008-02-25 송미화 침전물 걸름 냄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9419A (ko) 1985-05-03 1986-12-22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집적 전자 다중 회로
KR200352172Y1 (ko) 2004-03-08 2004-06-04 박종섭 조리용 걸름통
KR100756225B1 (ko) 2005-01-13 2007-09-11 배한근 망체가 구비된 보온 용기
KR20080017077A (ko) 2008-02-05 2008-02-25 송미화 침전물 걸름 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26495A1 (en) Perforated vessel for food preparation
KR20210009250A (ko) 육수에 담궈진 식재료의 부유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조리 용기
KR101126354B1 (ko) 수육용기
KR200442826Y1 (ko) 다목적 조리용기
KR200366220Y1 (ko) 조리 용구
CN2850485Y (zh) 多功能锅具
KR102247932B1 (ko) 튀김용 이중뜰망
KR20110009743U (ko) 샤브샤브용 조리 용기
JP2002345659A (ja) 食品保存容器
CN209789505U (zh) 蒸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0402184Y1 (ko) 밥솥용 내부 칸막이
KR20200042387A (ko) 다기능 냄비
CN219088948U (zh) 滤油装置和烹饪器具
CN220141419U (zh) 一种可分离液体的沥脂蒸笼及具有沥脂功能的压力煲
CN211632802U (zh) 一种无渣火锅盆
CN218186308U (zh) 一种易取的多层蒸锅
KR200255433Y1 (ko) 다중 조리가능한 밥솥
JP3142476U (ja) キッチンボール
JP3124688U (ja) 調理鍋及び電子レンジ用調理鍋
DE3806395A1 (de) Kochgeschirrsatz - mit funktionsvielseitigkeit, vorbereiten - kochen - servieren - aufraeumen ueberkochvorgangverhinderung, fertiggerichtaufwaermung, schmelzvorgaenge, ernergieausnuetzung, platzeinsparung durch in-sich-stapelbare verstauweise
JPH0451736Y2 (ko)
KR200341139Y1 (ko) 음식물 선별기능을 구비한 주방용 국자
CN207012064U (zh) 防油溅炒锅及其围挡
KR200419553Y1 (ko) 종지 일체형 접시
KR200230529Y1 (ko) 취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