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529Y1 - 취사용기 - Google Patents

취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529Y1
KR200230529Y1 KR2020010003533U KR20010003533U KR200230529Y1 KR 200230529 Y1 KR200230529 Y1 KR 200230529Y1 KR 2020010003533 U KR2020010003533 U KR 2020010003533U KR 20010003533 U KR20010003533 U KR 20010003533U KR 200230529 Y1 KR200230529 Y1 KR 200230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er
head
water
stepp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식
Original Assignee
조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식 filed Critical 조명식
Priority to KR2020010003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5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529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업식당 또는 급식식당등에서 사용되는 취사용기들중 세미 또는 다량의 채소류 또는 튀김류들의 세척 및 튀김작업후 그 수분이나 유성분을 탈수해내기 위해 사용되는 취사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취사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운두와 바닥면에 걸쳐 다수의 탈수공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운두 적당한 위치에 계단식으로 갖추어지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가 턱걸림식으로 받쳐지는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적당한 유격을 가지고 상기 운두 절반이상이 수용되어서 상기 용기내에 담아진 음식물에서 탈수되는 물을 받아 집수시키는 집수용기를 포함하여서된 취사용기이다.

Description

취사용기{Cooking container}
본 고안은 영업식당 또는 급식식당등에서 사용되는 취사용기들중 세미 또는 다량의 채소류 또는 튀김류들의 세척 및 튀김작업후 그 수분이나 유성분을 탈수해내기 위해 사용되는 취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영업식당이나 급식식당등에서 다량의 음식물을 씻거나 튀김후 그 씻은음식물(채소류) 또는 튀김물 각각의 표면에 잔류되어 있는 수분이나 유성분을 그음식물로부터 탈수시키는 것이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는데, 그 일례를 들어 보면 통상 타공망 또는 세목의 망을 이용하여 용기를 제조하고, 이 용기들에 음식물을 담아 그 음식물 표리면에 잔류되어 있는 수분 또는 유성분을 탈수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음식물 탈수를 위한 것은 주로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서, 이 용기내에 탈수시키기 위한 음식물을 담은후 일정 시간 경과후 수분이나 유성분을 자연 낙하식으로 탈수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기들은 주방의 바닥에 직접 놓고 탈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탈수시 다공 또는 망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통하여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또는 주방의 바닥이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탈수물에 의해 주위환경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근래에와서는 용기의 별도의 안치대에 탑재하여 목적하는 탈수작용을 이루게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주방의 바닥을 더럽히는 것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탈수를 위한 타공용기의 저면에 적당한 유격을 유지하여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집수용기를 갖추므로서, 음식물로부터 탈수되는 탈수물을 간편히 수거처리하고 주방환경을 쾌적히 유지할 수 있도록한 취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영업식당 또는 급식식당등에서 사용되는 취사용기들중 다량의 채소류 또는 튀김류들의 세척 및 튀김작업후 그 수분이나 유성분을 탈수해내기 위해 사용되는 취사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취사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운두와 바닥면에 걸쳐 다수의 탈수공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운두 적당한 위치에 계단식으로 갖추어지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가 턱걸림식으로 받쳐지는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적당한 유격을 가지고 상기 운두 절반이상이 수용되어서 상기 용기내에 담아진 음식물에서 탈수되는 물을 받아 집수시키는 집수용기를 포함하여서된 취사용기이다.
도 1은 본 고안 조리용기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조리용기의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2 : 운두
14 : 바닥면 16 : 탈수공
18 : 탄턱부 20 : 집수용기
22 : 운두 24 : 테두리
26 :바닥면
다음 본 고안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취사용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10은 용기이다. 이 용기(10)는 통상에서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고 적당한 높이를 가지는 운두(12)와 바닥면(14)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용기(10)의 운두(12)와 바닥면(14) 전면에 걸쳐 다수의 탈수공(16)들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에서와 같은 구성이다.
이렇게 구성된 용기(10)의 운두(12) 적당한 위치에 계단형상의 단턱부(18)를 갖추고 있는데, 이 단턱부(18)는 이후에 설명할 집수용기상에 용기를 탑재할 턱걸이구로 이용될 것이다.
도 2에는 본 고안 취사용기의 구조를 상세히 보이고 있다. 즉 용기(10)의 저면에 집수용기(20)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집수용기(20)는 통상에서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어 적당한 높이를 가지는 운두(22)를 갖추고 있으며, 이운두(22)의 상단부에 집수용기(20)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테두리(2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테두리(24)는 용기(10)의 단턱부(18) 밑면을 떠받치도록 구성되어 집수용기(20)내에 용기(10)가 삽입시 턱걸림식으로 용기(10) 걸쳐져 설치되게 하였다. 이러한 턱걸림식의 결합구조는 용기(10) 바닥면(14)과 집수용기(20)의 바닥면(26)들이 적당한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게 하여서 음식물에서 탈수되는 수분 또는 유성분들을 집수하는 저수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집수용기(20)의 상부에 용기(10)를 탑재하면 이때 용기(10)의 바닥면(14)은 집수용기(20)의 바닥면(26)으로부터 적당한 유격이 유지되어 설치되어서 용기(10)의 바닥면(14) 또는 운두(12)의 탈수공(16)들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분 또는 유성분을 집수용기(20)내에 집수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면 본 고안 취사용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본 고안은 용기의 저면에 별도의 집수용기를 중첩적으로 설치하여서 용기의 탈수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탈수물을 집수용기에서 집수하여 처리케 함으로서, 종래 주방의 바닥환경을 더럽히거나 이물질들이 음식물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성적인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취사작업이 간편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상면이 개방되고 운두와 바닥면에 걸쳐 다수의 탈수공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운두 적당한 위치에 계단식으로 갖추어지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가 턱걸림식으로 받쳐지는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용기의 바닥면이 적당한 유격을 가지고 상기 운두 절반이상이 수용되어서 상기 용기내에 담아진 음식물에서 탈수되는 물을 받아 집수시키는 집수용기를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기.
KR2020010003533U 2001-02-13 2001-02-13 취사용기 KR200230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33U KR200230529Y1 (ko) 2001-02-13 2001-02-13 취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33U KR200230529Y1 (ko) 2001-02-13 2001-02-13 취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529Y1 true KR200230529Y1 (ko) 2001-07-03

Family

ID=7309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533U KR200230529Y1 (ko) 2001-02-13 2001-02-13 취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5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4235A (en) Food steamer flavoring support
US5826494A (en) Cooking device
EP1136022A2 (en) An improved electric cooking apparatus
KR20070086173A (ko) 개량 프라이팬
US8690133B1 (en) Perforated cutting board and tray
US2635527A (en) Deep frying strainer
US4397298A (en) Utensil for cooking food by steaming
CN103610378A (zh) 烧烤与涮炖多功能电锅
CA1246410A (en) Grease and liquid drainage member for a barbeque cooker
KR200230529Y1 (ko) 취사용기
CN2850485Y (zh) 多功能锅具
CN213787006U (zh) 一种电热多功能油炸锅
CN213605790U (zh) 油汤分离器具及炖盅
KR200496324Y1 (ko)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CN203591159U (zh) 烧烤与涮炖多功能电锅
KR102411673B1 (ko) 가정용 튀김기의 보조판 장치
KR200362260Y1 (ko) 양면후라이팬
KR200496406Y1 (ko) 스테이크용 플레이트
CN209090802U (zh) 一种带有蒸饪结构的汤锅
CN207012064U (zh) 防油溅炒锅及其围挡
CN216438985U (zh) 一种烹饪器具
CN210354327U (zh) 炸涮锅及炸涮锅桌
DE202017104330U1 (de) Multifunktionales Kochsystem
CN218474491U (zh) 一种烤箱的蒸盘结构
KR200341139Y1 (ko) 음식물 선별기능을 구비한 주방용 국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