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324Y1 -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 Google Patents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324Y1
KR200496324Y1 KR2020200003341U KR20200003341U KR200496324Y1 KR 200496324 Y1 KR200496324 Y1 KR 200496324Y1 KR 2020200003341 U KR2020200003341 U KR 2020200003341U KR 20200003341 U KR20200003341 U KR 20200003341U KR 200496324 Y1 KR200496324 Y1 KR 200496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pan
side wall
outlet
fan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662U (ko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푸드
Priority to KR2020200003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2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곱창용 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서 밑판(11)의 일측에는 배출구(13)가 형성이 되며 프라이팬의 옆면을 형성하는 측벽(12)에서 배출구(13)가 위치하는 쪽의 측벽에는 배출구(13)가 있음을 표시하는 표지부(17)가 형성이 되며 경사부(14)는 밑판(11)과 측벽(12)을 연결하는데 측벽(12)으로부터 밑판(11)까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FRYING PAN}
본 고안은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름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프라이팬은 기름을 두르고 여러가지 필요한 음식을 지지거나 부쳐 만드는 운두가 높지 않은 넓적한 냄비를 말하는 것으로 한쪽을 익힌 후 다른 쪽을 익히기 위하여 냄비를 들어올려 음식을 뒤집어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긴자루가 달려 있다. 유럽에서는 1700년대부터 사용하기 시작 하였다고하는데 한국에서는 솥뚜껑을 대신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진달래화전을 지져 먹었다는 등의 기록은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어디에 부쳐 먹었다는 기록은 없다.
이러한 프라이팬은 기름을 둘러서 음식을 지지거나 부치는데 음식자체에 기름이 많은 돼지고기나 곱창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기름을 둘러서 음식을 부치더라도 차츰 기름이 많이 나와 프라이팬을 채우면서 나중에는 음식을 지지거나 부치는 것이 아니라 기름에 튀기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키친타올을 이용하여 프라이팬에서 기름을 제거해 주어야 했다. 판형의 구이용 불판의 경우 불판을 기울여서 거치시키도록 하고 기름이 빠지는 구멍을 따로 형성한 것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4-0060427호 '구이용 불판'은 하단에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을 모아 배출하도록 하우를 향하여 배출부를 함몰 형성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판형의 구이용 불판에서 가능한 것으로 원형의 구이용 불판의 경우 경사지게 거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대로원형의 프라이팬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최근 업소에서 고기, 곱창등의 구이를 위하여 내놓는 둥근형태의 프라이팬은 손잡이가 없는 상태로 내놓고 프라이팬을 잡는 것은 별도의 파지기구를 사용한다. 곱창을 포함해 야채 등 여러가지를 넣어 함께 굽기 위해서는 사각형의 불판이 아닌 벽이 있는 프라이팬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러한 프라이팬은 기름을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곱창을 구울 때 생기는 기름이 잘 빠지도록 하며 타지않게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프라이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곱창용 프라이팬을 제공하는데 밑판(11)의 일측에는 배출구(13)가 형성이 되며 프라이팬의 옆면을 형성하는 측벽(12)에서 배출구(13)가 위치하는 쪽의 측벽에는 배출구(13)가 있음을 표시하는 표지부(17)가 형성이 될 수 있다.
경사부(14)는 밑판(11)과 측벽(12)을 연결하는데 측벽(12)으로부터 밑판(11)까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3)에 결합하는 보조팬(21)을 더 포함하는데 보조팬(21)은 기둥(22)의 위쪽으로 평평한 고정부(23)가 형성되며 고정부(23)위쪽으로 음식을 올려놓는 팬부(24)가 형성이 될 수 있다.
기둥에는 기둥배출구(25)가 형성이 되어 기둥배출구(25)를 따라 배출구(13)쪽으로 모이는 기름이 배출될 수 있다.
기둥에는 밑판의 반대쪽으로부터 하부고정판(26)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기름이 쉽게 빠지도록 하는 프라이팬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내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 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프라이팬(10)은 밑판(11)이 원형이며 밑판옆으로 측벽(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밑판(11)의 한쪽 측면에는 한개 이상의 배출구(13)가 형성이 된다.
프라이팬(10)의 밑판(11)과 측벽(12)이 만나는 곳에는 경사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4)는 측벽(12)과 밑판(11)을 연결하는데 측벽(12)으로부터 밑판(11)까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프라이팬(10)의 가장자리에 기름이 모이지 않도록 하고 밑판(11)에 모이는 기름이 자연스럽게 배출구(13)쪽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배출구(13)는 밑판(11)과 경사부(14)에 걸쳐서 형성이 되며 기름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각이 지지 않게 형성이 된다.
배출구(13)가 형성된 쪽의 측벽(12)에는 표지부(17)가 형성이 될 수 있다. 도1에서 표지부(17)는 둥근홈 형태로 형성이 되어 있으며 측벽(12)과 테두리부(16)를 걸쳐 형성이 되어 있다. 표지부(17)는 둥근 프라이팬(10) 내부에 음식을 올리고 사용할 때 배출구(13)가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표지부(17)를 두어 표지부(17)의 아래쪽에 배출구(13)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측벽(12)에 형성되는 테두리부(16)는 측벽(12)의 상단에서 밑판(1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이 된다. 테두리부(16)는 프라이팬을 잡을 때 손잡이 등이 걸릴 수 있는 부분을 만들어 준다. 또한, 테두리부(16)가 형성이 되는 경우 표지부(17)는 테두리부(16)에 형성이 될 수 있다. 테두리부(16)의 상면은 평평하지만 아래쪽은 측벽(12)을 향해 경사가 형성이 되어 자연스럽게 연결이 되도록 한다.
밑판(12)의 반대쪽에는 받침부(15)가 형성이 된다. 받침부(15)는 밑판(12)으로 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된 부분으로써 외주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둥글게 배치된다. 또한 배출구(13)는 받침부(15)는 배출구(13)의 바깥쪽으로 형성이 되어 기름이 빠질때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한다.
도2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는 프라이팬에 올려놓는 보조팬으로서 곱창과 같이 오랫동안 꼼꼼하게 구워야 하는 경우에는 미리 구워진 재료들은 계속 같이 굽게 되면 탈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팬(21)을 사용하는데 보조팬(21)은 기둥(22)의 위쪽으로 고정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 (23)위쪽으로 평평한 팬부(24)가 형성된다.
기둥(22)은 배출구(13)에 끼워지도록 하는데 기둥(22)에는 기둥배출구(25)가 형성이 되어 기름은 기둥배출구(25)를 따라서 배출된다.
고정부(23)는 프라이팬의 상면에 놓여져서 팬부(24)를 지지하는데 프라이팬의 밑판(11)의 열이 되도록 팬부(24)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부(23)의 안쪽은 속이 빈 형태로 함입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부(23)의 모양은 원뿔의 일부를 잘라낸 형태인데 원뿔을 세로로 잘라낸 후 밑면에 평행한 면으로 원뿔을 세조각으로 나눈뒤 가운데 조각만 취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아래쪽으로 내려올수록 단면적이 넓어진다.
팬부(24)는 부채꼴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후라이 팬이 둥근 형태인 경우 배출구(13)가 벽쪽에 형성되는 경우 팬부(24)가 프라이팬의 벽에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한쪽만 둥그런 형태로 형성이 된다.
기둥(22)의 안쪽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기둥(22)에는 나사형태의 고정봉(27)을 가진 하부고정판(26)이 기둥의 안쪽으로 결합하여 프라이팬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10:프라이팬 11: 밑판
12: 측벽 13:배출구
14: 측벽 15: 받침부
16: 테두리부
21: 보조팬 22: 기둥
23: 고정부 24: 팬부
26: 하부고정판 27: 고정봉

Claims (5)

  1. 곱창용 프라이팬의 밑판(11)의 일측에는 배출구(13)가 형성이 되며 프라이팬의 옆면을 형성하는 측벽(12)에서 배출구(13)가 위치하는 쪽의 측벽에는 배출구(13)가 있음을 표시하는 표지부(17)가 형성이 되며
    배출구(13)에 결합하는 보조팬(21)을 더 포함하는데 보조팬(21)은 기둥(22)의 위쪽으로 평평한 고정부(23)가 형성되며 고정부(23)위쪽으로 음식을 올려놓는 팬부(24)가 형성이 되며
    기둥에는 기둥배출구(25)가 형성이 되어 기둥배출구(25)를 따라 배출구(13)쪽으로 모이는 기름이 배출되며
    기둥에는 밑판의 반대쪽으로부터 하부고정판(26)이 결합하며
    팬부(24)는 부채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프라이팬의 벽에 붙지 않도록 한쪽만 둥그런 형태로 형성이 되며
    고정부(23)는 원뿔을 세로로 잘라낸뒤 밑면에 평행한 면으로 원뿔을 세조각으로 나눈뒤의 가운데 조각의 모양과 같은 모양으로 아래쪽으로 내려올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며 고정부(23)의 안쪽은 속이 빈 형태인, 곱창용 프라이팬
  2. 제1항에 있어서, 경사부(14)는 밑판(11)과 측벽(12)을 연결하는데 측벽(12)으로부터 밑판(11)까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곱창용 프라이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00003341U 2020-09-14 2020-09-14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KR200496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41U KR200496324Y1 (ko) 2020-09-14 2020-09-14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41U KR200496324Y1 (ko) 2020-09-14 2020-09-14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62U KR20220000662U (ko) 2022-03-22
KR200496324Y1 true KR200496324Y1 (ko) 2023-01-03

Family

ID=8093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341U KR200496324Y1 (ko) 2020-09-14 2020-09-14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84B1 (ko) * 2020-09-14 2024-04-24 김연숙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433Y1 (ko) * 2002-02-26 2002-06-03 김정완 구이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89B1 (ko) * 2011-01-27 2014-01-02 김태수 구이판
KR101974836B1 (ko) * 2012-11-12 2019-05-03 쿠쿠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433Y1 (ko) * 2002-02-26 2002-06-03 김정완 구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62U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7523A (en) Shish-kakob cooking device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US5057331A (en) Cooking food in a food preparation kit in a microwave and in a thermal oven
US7415922B2 (en) Grill pan
CN101815457A (zh) 烧烤架组件
US5573292A (en) Combination turner/strainer kitchen utensil
US6196120B1 (en)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20070086173A (ko) 개량 프라이팬
US8955426B2 (en) Efficient reversible grill
US20070295224A1 (en) Reversible grill
KR20190109058A (ko)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200496324Y1 (ko)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US4599938A (en) Grease and liquid drainage member for a barbeque cooker
KR102655884B1 (ko)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WO2009140574A2 (en) Kitchen utensil
KR20220000496U (ko)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KR20220023667A (ko)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KR19980010448U (ko) 솥뚜껑용 고기구이판
KR200496406Y1 (ko) 스테이크용 플레이트
KR200447619Y1 (ko) 조리기구
US20170251859A1 (en) Two-tier cooking and basting apparatus
GB2220838A (en) A cooking tray
CN221060448U (zh) 一种一体式电烤锅
EP1832211A1 (en) Pan with a liquid collecting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