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231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231A
KR20210008231A KR1020190083928A KR20190083928A KR20210008231A KR 20210008231 A KR20210008231 A KR 20210008231A KR 1020190083928 A KR1020190083928 A KR 1020190083928A KR 20190083928 A KR20190083928 A KR 20190083928A KR 20210008231 A KR20210008231 A KR 2021000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blocking layer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수
김민성
신희종
송준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8231A/ko
Priority to US16/857,872 priority patent/US11567357B2/en
Priority to CN202010650765.5A priority patent/CN112213893A/zh
Publication of KR2021000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231A/ko
Priority to US18/091,705 priority patent/US2023014716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08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light absorb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을 에워싸는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패드부들, 상기 제1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드부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1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빛 샘 현상이 개선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칩을 포함한다. 구동칩은 연성 필름 상에 배치되고, 연성 필름은 표시 패널에 연결된다. 구동칩은 연성 필름을 통해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방식은 칩 온 필름 방식으로 정의된다.
연성 필름 상에는 구동칩에 연결된 복수 개의 패드들이 배치되고, 표시 패널은 화소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연결 패드들을 포함한다. 패드들이 연결 패드들에 각각 접촉하여 연결됨으로써, 구동칩이 화소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패드들과 연결 패드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패드들과 연결 패드들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방성 도전 필름이 사용되지 않고, 초음파 본딩 방식에 의해 패드들과 연결 패드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최근 들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장치의 베젤폭을 줄이고 표시영역을 넓히기 위해, 연성 필름을 표시패널의 측면에 배치하는 구조가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베젤 폭이 감소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빛 샘 현상이 개선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을 에워싸는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패드부들, 상기 제1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드부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1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일부 영역 및 상기 제1 측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에 배치된 제2 패드부들, 상기 제2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패드부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차광층, 및 상기 제2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에 배치된 제3 패드부들, 상기 제3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패드부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3 차광층, 및 상기 제3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3 측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된 제4 차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층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은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제1 흡수축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부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흡수축과 교차하는 제2 흡수축을 갖는 하부 편광 필름,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3 차광층, 및 상기 제3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4 차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차광층 위에 배치된 잉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1 패드부들은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1 패드부들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을 에워싸는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된 제1 차광층,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층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편광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제1 흡수축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상부 편광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편광 필름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커버된 제2 차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2 차광층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패드부들, 상기 제2 측면에 배치된 제2 패드부들, 상기 제1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부들 및 상기 제2 패드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부들 및 상기 제1 차광층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드부들 및 상기 제2 차광층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흡수축과 교차하는 제2 흡수축을 갖는 하부 편광 필름,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3 차광층, 및 상기 제3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4 차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층 위에 배치된 잉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을 에워싸는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된 패드부들 및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된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필름의 일부가 수축하더라도, 편광 필름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는 차광층에 의해 광이 투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발생되는 빛 샘 현상이 차광층에 의해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0)는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0)는 텔레비전을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표시 장치(100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1000-A)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의 베젤은 표시면(1000-A)의 외곽과 표시 장치(1000)의 최외곽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베젤의 폭이 감소하면, 표시 장치(1000)의 일면에서 표시면(1000-A)이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0)를 여러 개 이어 붙여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경우, 베젤의 폭이 좁으면 좁을수록 표시 장치(1000)들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아, 하나의 연결된 화면을 시청하는 듯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제1 회로부들(210), 제2 회로부들(220), 제3 회로부들(230), 메인 회로부(240), 제1 패드부들(310), 제2 패드부들(320), 및 제3 패드부들(33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에는 액티브 영역(100A) 및 주변 영역(100P)이 정의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100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영역(100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100P)은 액티브 영역(100A)을 에워쌀 수 있다. 주변 영역(100P)에는 액티브 영역(100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화소들(PX11 내지 PXnm),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 및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11 내지 PXnm),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 및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은 액티브 영역(100A)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하고,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하고,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화소들(PX11 내지 PXnm) 각각은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중 어느 하나 및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측면(101), 제2 측면(102), 제3 측면(103), 및 제4 측면(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101) 및 제2 측면(102)은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고, 제1 측면(101) 및 제2 측면(102)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3 측면(103) 및 제4 측면(104) 각각은 제1 측면(101) 및 제2 측면(102)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측면(103) 및 제4 측면(104)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고, 제3 측면(103) 및 제4 측면(104)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1 패드부들(310)은 제1 측면(101)에 배치되고, 제2 패드부들(320)은 제2 측면(102)에 배치되고, 제3 패드부들(330)은 제3 측면(103)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부들(310) 및 제2 패드부들(320)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고, 제3 패드부들(330)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패드부들(310) 및 제2 패드부들(320)은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패드부들(330)은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부들(210)은 제1 패드부들(3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회로부들(220)은 제2 패드부들(3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회로부들(230)은 제3 패드부들(3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부들(210) 및 제2 회로부들(220)은 게이트 구동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제3 회로부들(230)은 데이터 구동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회로부들(210, 220, 230)은 제1 내지 제3 칩 온 필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1 회로부들(210) 각각은 제1 회로 필름(211) 및 제1 구동칩(212)을 포함하고, 제2 회로부들(220) 각각은 제2 회로 필름(221) 및 제2 구동칩(222)을 포함하고, 제3 회로부들(230) 각각은 제3 회로 필름(231) 및 제3 구동칩(2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에서는 하나의 게이트 라인(GL1)이 하나의 제1 회로부(210)와 하나의 제2 회로부(220) 에 모두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 중 홀수 번째 위치한 게이트 라인들은 제1 회로부들(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 중 짝수 번째 위치한 게이트 라인들은 제2 회로부들(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회로부들(210) 및 제1 패드부들(31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은 제2 패드부들(320)을 통해 제2 회로부들(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회로부(240)는 신호 제어부(241) 및 메인 회로 기판(242)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241)는 타이밍 컨트롤러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신호 제어부(241)는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구성되며, 메인 회로 기판(242) 위에 실장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241)는 제3 회로부들(230)을 통해 제1 회로부들(210) 및 제2 회로부들(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부들(210) 및 제2 회로부들(220)은 신호 제어부(241)로부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회로부들(210) 및 제2 회로부들(220)은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신호들은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을 통해 화소들(PX)에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게이트 신호들에 응답하여 행 단위로 구동될 수 있다.
제3 회로부들(230)은 신호 제어부(241)로부터 영상 데이터들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회로부들(230)은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을 통해 화소들(PX)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상부 편광 필름(160), 하부 편광 필름(170), 및 백라이트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10), 도전층(120), 제2 기판(130), 액정층(140), 및 실런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베이스 기판, 트랜지스터들, 신호 라인들, 화소 전극들, 및 절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트랜지스터 기판이라 명칭될 수 있으며, 도전층(120)은 제1 기판(11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도전층(120)은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3 패드부들(310, 320, 및 330, 도 2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층(120)은 상기 트랜지스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130)은 제1 기판(110)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기판(130)은 베이스 기판, 공통 전극, 컬러 필터, 및 차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30)은 대향 기판 또는 컬러 필터 기판이라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기판(130)은 베이스 기판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110)은 공통 전극, 컬러 필터, 및 차광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특정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정층(140)은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층(140)은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따라 배열이 변화될 수 있다.
실런트(150)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런트(150)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을 결합할 수 있다. 실런트(150)는 광 경화성 수지, 광 가소성 수지와 같은 유기물을 포함하거나, 프릿 실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편광 필름(160)은 제2 기판(130)의 상면에 배치되고, 하부 편광 필름(170)은 제1 기판(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편광 필름(160) 및 하부 편광 필름(170)은 일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투과 시키고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흡수하는 흡수형 편광자일 수 있다. 상부 편광 필름(160)의 투과축과 하부 편광 필름(170)의 투과축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600)은 표시 패널(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600)은 표시 패널(100)을 향해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600)은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백색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청색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 유닛(600)은 청색 광을 백색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파장 변환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패드부들(310) 각각은 복수의 제1 패드들(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들(311)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측면(10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들(31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1 패드들(311)은 도전층(120)에 포함된 배선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들(311)은 제1 회로부들(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부들(210) 각각은 제1 회로 필름(211) 위에 배치된 제1 구동 전극들(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들(213)은 제1 패드들(3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전극들(213)은 제1 패드들(311)과 초음파 본딩 공정에 의해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전극들(213)과 제1 패드들(311)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동 전극들(213) 및 제1 패드들(311)은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차광층(410)의 표시 패널(100)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광층(410)은 제1 측면(101)과 인접한 주변 영역(100P)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층(410)은 제1 차광영역(411) 및 제2 차광영역(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영역(411)은 제2 기판(130) 위에 배치되고, 제2 차광영역(412)은 제2 기판(1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단면 상에서, 제1 차광층(410)은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차광층(410)은 제1 패드부들(310)과 이격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부 편광 필름(160)은 표시 패널(1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편광 필름(160)은 제1 차광층(4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편광 필름(160)은 제1 차광영역(41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편광 필름(160)은 제1 차광영역(411) 전체를 커버할 수도 있다.
제1 차광층(410)은 제1 패드부들(3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광층(410) 및 제1 패드부들(310)은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층(410)과 제1 패드부들(310)이 형성된 후, 상부 편광 필름(160)이 표시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편광 필름(16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제1 차광층(410)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편광 필름(160) 및 하부 편광 필름(170)의 일부가 수축하는 경우, 상부 편광 필름(160) 및 하부 편광 필름(170)이 배치되지 않은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빛 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편광 필름(160) 및 하부 편광 필름(170)의 일부가 수축하더라도, 제1 차광층(410)에 의해 광이 투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발생되는 빛 샘 현상이 제1 차광층(410)에 의해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을 에워쌀 수 있다. 하우징(500)은 표시 장치(1000, 도 1 참조)의 최외곽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0)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와 비교하였을 때, 제1 차광층(410-1)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제1 차광층(410-1)은 표시 패널(100)의 상면 위에만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층(410-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차광층(410-1)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부 편광 필름(16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편광 필름(160)이 수축되더라도, 표시 패널(100)의 상면은 제1 차광층(410-1)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빛 샘 현상이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기판(130) 위에는 제1 차광층(410), 제2 차광층(420), 및 제3 차광층(4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층(410), 제2 차광층(420), 및 제3 차광층(430)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부 편광 필름(16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1 차광층(410)은 제1 측면(101)과 인접한 제2 기판(130)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고, 제2 차광층(420)은 제2 측면(102)과 인접한 제2 기판(130)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고, 제3 차광층(430)은 제3 측면(103)과 인접한 제2 기판(130)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층(410)은 제1 패드부들(3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제1 패드부들(310)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차광층(420)은 제2 패드부들(32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제2 패드부들(320)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차광층(430)은 제3 패드부들(33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제3 패드부들(330)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차광층들(410, 420, 43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제1 내지 제3 패드부들(310, 320, 330)을 형성하는 공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편광 필름(160)은 연신형 편광 필름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신 방향은 상부 편광 필름(160)의 흡수축(161)과 나란할 수 있다. 흡수축(161)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편광 필름(160)의 제1 방향(DR1)의 수축 정도는 제2 방향(DR2)의 수축 정도보다 클 수 있다. 상부 편광 필름(160)의 수축 정도는 환경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대략 4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광층(420)과 중첩하는 상부 편광 필름(160)의 일부분에서 200 마이크로미터 가량 수축되고, 제1 차광층(410)과 중첩하는 상부 편광 필름(160)의 일부분에서 200 마이크로미터 가량 수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차광층(410) 및 제2 차광층(420) 각각의 제1 방향(DR1)의 폭은 2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폭은 상부 편광 필름(160)의 수축 정도 및 주변 영역(100P, 도 2 참조)의 폭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편광 필름(160) 아래에 제1 차광층(410), 제2 차광층(420), 및 제3 차광층(430)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편광 필름(160)의 일부분이 수축되더라도, 제1 차광층(410), 제2 차광층(420), 및 제3 차광층(430)에 의해 빛 샘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과 비교하였을 때, 제3 차광층(430, 도 7 참조)이 생략될 수 있다. 앞서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 편광 필름(160)의 제1 방향(DR1)의 수축 정도는 제2 방향(DR2)의 수축 정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광층(410) 및 제2 차광층(420)만을 배치하더라도 표시 패널(100, 도 4 참조)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발생되는 빛 샘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과 비교하였을 때, 제4 차광층(4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4 차광층(440)은 제4 측면(104)과 인접한 제2 기판(130)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차광층(4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부 편광 필름(16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 도 4 참조)의 외곽이 제1 내지 제4 차광층들(410, 420, 430, 440)에 의해 모두 커버되기 때문에, 표시 패널(100, 도 4 참조)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발생되는 빛 샘 현상이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와 비교하였을 때, 잉크층(700)이 제1 차광층(410) 위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잉크층(700)은 흑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층(700)은 흑색의 염료 또는 흑색의 안료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잉크층(700)에 의해 표시 패널(100, 도 4 참조)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발생되는 빛 샘 현상이 추가로 방지되거나 더 감소될 수 있다.
잉크층(700)은 앞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설명된 제1 내지 제3 차광층들(410, 420, 430) 위에 잉크층(700)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8에서 설명된 제1 및 제2 차광층들(410, 420) 위에 잉크층(700)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9에서 설명된 제1 내지 제4 차광층들(410, 420, 430, 440) 위에 잉크층(7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 편광 필름(170)은 연신형 편광 필름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신 방향은 하부 편광 필름(170)의 흡수축(171)과 나란할 수 있다. 흡수축(171)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편광 필름(170)의 제2 방향(DR2)의 수축 정도는 제1 방향(DR1)의 수축 정도보다 클 수 있다.
하부 편광 필름(170)의 일부 영역과 제1 기판(110) 사이에는 제1 하부 차광층(710) 및 제2 하부 차광층(7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부 차광층(710)은 제3 측면(103)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부 차광층(720)은 제4 측면(104)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차광층(710)은 제3 패드부들(330) 및 제3 차광층(430)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하부 차광층(7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101)과 인접한 제3 하부 차광층(미도시) 및 제2 측면(102)과 인접한 제4 하부 차광층(미도시)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가 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편광 필름(160, 도 8 참조)이 수축되더라도 제1 차광층(410, 도 8 참조) 및 제2 차광층(420, 도 8 참조)에 의해 빛샘 현상이 차단될 수 있고, 하부 편광 필름(170)이 수축되더라도 제1 하부 차광층(710) 및 제2 하부 차광층(720)에 의해 빛샘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쇄용 러버(2000)에 전사 금속층들(200, 400)을 형성한다. 인쇄용 러버(2000)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용 러버(2000)는 변형이 용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인쇄용 러버(2000)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인접한 주변 영역(100P)의 일부 영역 위에 금속층들(200-1, 400-1)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층들(200-1, 400-1)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금속층들(200-1, 400-1)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1차 경화하는 단계, 압착 툴을 이용하여 압착하는 단계, 레이저를 이용하여 2차 경화하는 단계를 차례로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금속층(200-1)을 패터닝하여 제1 패드들(311, 도 5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후, 금속층(400-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편광 필름(160, 도 4 참조)을 표시 패널(100) 위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1)는 유기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1)는 베이스 기판(111), 회로층(121), 발광 소자층(131), 봉지 기판(141), 편광 필름(151), 및 실런트(18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1) 및 봉지 기판(141)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절연 필름, 또는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회로층(121)은 베이스 기판(11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121)은 복수의 절연층들, 복수의 도전층들 및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층들은 신호 배선들 또는 화소의 제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1)은 회로층(12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1)은 광을 발생하는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 소자층(131)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 소자층(131)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141)은 발광 소자층(13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 기판(141)과 발광 소자층(131)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공기 또는 비활성 기체로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은 실리콘계 폴리머, 에폭시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충진재로 충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봉지 기판(141) 위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입력 감지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편광 필름(151)은 봉지 기판(14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 필름(151)은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앞서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차광층들은 편광 필름(151)과 봉지 기판(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10, 220, 230: 제1 내지 제3 회로부들
310, 320, 330: 제1 내지 제3 패드부들
410, 420, 430, 440: 제1 내지 제4 차광층들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을 에워싸는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패드부들;
    상기 제1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드부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1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회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일부 영역 및 상기 제1 측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에 배치된 제2 패드부들;
    상기 제2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패드부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차광층; 및
    상기 제2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에 배치된 제3 패드부들;
    상기 제3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패드부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3 차광층; 및
    상기 제3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된 제4 차광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층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편광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은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제1 흡수축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부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흡수축과 교차하는 제2 흡수축을 갖는 하부 편광 필름;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3 차광층; 및
    상기 제3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4 차광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 위에 배치된 잉크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1 패드부들은 은(Ag)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1 패드부들과 이격된 표시 장치.
  12.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을 에워싸는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된 제1 차광층;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층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편광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의 제1 흡수축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상부 편광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편광 필름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커버된 제2 차광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2 차광층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패드부들;
    상기 제2 측면에 배치된 제2 패드부들;
    상기 제1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패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부들 및 상기 제2 패드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부들 및 상기 제1 차광층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드부들 및 상기 제2 차광층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흡수축과 교차하는 제2 흡수축을 갖는 하부 편광 필름;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3 차광층; 및
    상기 제3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4 차광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 위에 배치된 잉크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을 에워싸는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된 패드부들 및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 영역 위에 배치된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90083928A 2019-07-11 2019-07-11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KR20210008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28A KR20210008231A (ko) 2019-07-11 2019-07-11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US16/857,872 US11567357B2 (en) 2019-07-11 2020-04-24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2010650765.5A CN112213893A (zh) 2019-07-11 2020-07-08 显示装置
US18/091,705 US20230147166A1 (en) 2019-07-11 2022-12-3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28A KR20210008231A (ko) 2019-07-11 2019-07-11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31A true KR20210008231A (ko) 2021-01-21

Family

ID=7405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928A KR20210008231A (ko) 2019-07-11 2019-07-11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567357B2 (ko)
KR (1) KR20210008231A (ko)
CN (1) CN1122138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4030B (zh) * 2020-06-29 2023-0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20046045A (ko) * 2020-10-06 2022-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817430B (zh) 2022-04-06 2023-10-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9507B2 (ja) * 2007-09-05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パネル
KR101715896B1 (ko) 2010-04-01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7276B1 (ko) * 2012-04-17 2019-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22746B1 (ko) 2012-04-17 2014-07-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내로우 베젤 타입 표시장치
KR102022697B1 (ko) * 2012-10-08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4103911A1 (ja) * 2012-12-28 2014-07-0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
KR102409590B1 (ko) * 2015-07-01 2022-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71159B1 (ko) * 2015-10-12 2022-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88304A (ja) * 2016-04-05 2017-10-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20180032726A (ko) * 2016-09-22 2018-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0783A (ko) * 2016-12-16 2018-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13893A (zh) 2021-01-12
US20210011332A1 (en) 2021-01-14
US20230147166A1 (en) 2023-05-11
US11567357B2 (en)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9738B (zh) 顯示面板及顯示裝置
US11054686B2 (en) Display panel including OLEDS and micro-LED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tilizing the display panel and achieving a narrow border region
US10495803B2 (en) Display device
TWI356260B (en) Liquid crystal panel
US11181762B2 (en) Display device
WO2019227808A1 (zh) 全面屏模组及智能手机
KR20210008231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US20170374740A1 (en) Display device
US8355087B2 (en) Pixel array substrate, conductive structure and display panel
KR20210149265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431772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12180633A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10149269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14663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20005915A1 (en) Display device
US20240138224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lor filter disposed on a bank structure
US20230275114A1 (en)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065052A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panel
US20240069658A1 (en) Display device
KR202400134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192370A1 (zh) 显示装置、电子设备及显示装置制作方法
JP2006184671A (ja) 液晶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210109087A (ko) 표시 장치
KR20230005652A (ko) 표시 장치
KR20240048068A (ko)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