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247A - 틸팅시스템 - Google Patents

틸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247A
KR20210004247A KR1020190080375A KR20190080375A KR20210004247A KR 20210004247 A KR20210004247 A KR 20210004247A KR 1020190080375 A KR1020190080375 A KR 1020190080375A KR 20190080375 A KR20190080375 A KR 20190080375A KR 20210004247 A KR20210004247 A KR 20210004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support frame
initial position
rotat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588B1 (ko
Inventor
한경수
Original Assignee
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수 filed Critical 한경수
Priority to KR1020190080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5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1/2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non-paralle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에 구비되어, 자전거나 오토바이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바로 설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자동 틸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은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3)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 후륜(4)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좌우측 회동아암(21,22)과, 상기 회전축(23)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회전되는 한 쌍의 구동베벨기어(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며 양측에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치합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베벨기어(40)와, 상기 연동베벨기어(40)에 연결되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에서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귀수단(B)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며, 자전거의 무게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틸팅시스템{tilting system}
본 발명은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에 구비되어, 자전거나 오토바이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바로 설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자동 틸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운송수단은, 전륜과 후륜이 각각 1개씩 구비되어, 방향을 전환할 때는 차체를 일측으로 기울리면서 전륜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륜과 후륜만을 이용하여 주행을 하거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게 될 뿐 아니라, 사륜의 자동차에 비해 안정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륜이나 후륜이 2개로 구성된 3륜차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3륜차는 2개로 구성된 전륜이나 후륜이 차대에 고정될 경우, 방향전환을 위해 차체를 측방향으로 기울일 수 없게 됨으로, 차대에 2개로 구성된 전륜이나 후륜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틸팅시스템이 구비된다.
따라서, 차대를 방향전환을 위해 측방향으로 기울일 때, 상기 틸팅시스템이 2개로 구성된 전륜이나 후륜을 차대의 기울임에 대응되도록 적절히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차대를 원활히 기울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틸팅시스템의 구조는 등록특허 10-1339995호를 포함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틸팅시스템은 구조가 복잡함으로, 자전거나 오토바이의 무게가 증가될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33999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한 새로운 구조의 틸팅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3)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 전륜(3) 또는 후륜(4)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좌우측 회동아암(21,22)과, 상기 회전축(23)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회전되는 한 쌍의 구동베벨기어(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며 양측에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치합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베벨기어(40)와, 상기 연동베벨기어(40)에 연결되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에서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귀수단(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동베벨기어(40)는 중앙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귀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나사결합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에서 전후진되면 압축 또는 신장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동베벨기어(40)는 중앙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귀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공(41)에 고정결합되는 회전축(7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70)이 삽입되는 지지공(81)이 형성된 슬라이드블록(8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80)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80)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9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70)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밀착부재(71)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80)의 전면에는 상기 밀착부재(71)가 밀착되는 캠면(82)이 형성되며, 상기 캠면(82)은 상기 회전축(70)과 밀착부재(71)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밀착되는 상사점(82a)과, 상기 상사점(82a)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경사면(82b)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70)과 밀착부재(71)가 초기위치서 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캠면(82)과 밀착부재(71)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블록(80)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탄성부재(90)가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은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3)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 후륜(4)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좌우측 회동아암(21,22)과, 상기 회전축(23)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회전되는 한 쌍의 구동베벨기어(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며 양측에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치합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베벨기어(40)와, 상기 연동베벨기어(40)에 연결되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에서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귀수단(B)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며, 자전거의 무게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이 적용된 자전거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을 확대도시한 평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슬라이드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캠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후륜(4)이 2개로 구성된 자전거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자전거는 차대(1)와, 상기 차대(1)의 전방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요크(2)와, 상기 요크(2)의 하단부에 구비된 전륜(3)과, 상기 차대(1)에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후단부 양측에 후륜(4)이 각각 결합된 틸팅시스템(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시스템(A)은 상기 차대(1)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3)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 후륜(4)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좌우측 회동아암(21,22)과, 상기 회전축(23)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회전되는 한 쌍의 구동베벨기어(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며 양측에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치합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베벨기어(40)와, 상기 연동베벨기어(40)에 연결되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에서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귀수단(B)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측판(11)과, 상기 측판(11)의 전후단에 구비된 전후면판(12,13)으로 구성된 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측판(11)의 전방 양측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12)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단관(15)이 구비된다.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사각바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23)은 좌우측 회동아암(21,22)의 전단부 인접면에 상호 인접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베벨기어(3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축(23)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연동베벨기어(40)는 중앙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베벨기어(4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2)가 베어링을 통해 상기 지지단관(15)에 회전은 가능하면서 전후진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회동아암(21)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연동베벨기어(40)의 작용에 의해 우측 회동아암(22)이 좌측 회동아암(21)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41)의 내주면에는 우나사산(43)이 형성된다.
상기 복귀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나사결합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에서 전후진되면 압축 또는 신장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50)은 전단부 외주면에 상기 연동베벨기어(40)의 우나사산(43)에 대응되는 우나사산(51)이 형성되어, 후단부가 상기 연동베벨기어(40)의 결합공(41)에 나사결합된 것으로, 후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면판(13)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축(50)의 중간부에는 지름이 큰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확경부(52)가 형성되고, 상기 확경부(52)의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측판(11)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부(53)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측판(11)의 내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7)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53)는 상기 가이드레일(17)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축(50)은 회전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전후단이 상기 확경부(52)의 후측면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면판(13)에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축(5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50)이 미리 정해진 초기위치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축소 또는 신장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자전거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회동아암(21)과 좌측의 후륜(4)이 상승되고, 우측 회동아암(22)과 우측의 후륜(4)이 하강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베벨기어(30)와 연동베벨기어(4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전방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우나사산(453,51)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지지축(50)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탄성부재(60)가 신장된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를 좌측으로 기울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60)가 원래의 길이로 축소되면서 상기 지지축(50)을 후방으로 당기고, 이에 따라, 상기 우나사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의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연동베벨기어(40)와 구동베벨기어(3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회전되어, 자전거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틸팅시스템은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3)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 후륜(4)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좌우측 회동아암(21,22)과, 상기 회전축(23)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회전되는 한 쌍의 구동베벨기어(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며 양측에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치합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베벨기어(40)와, 상기 연동베벨기어(40)에 연결되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에서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귀수단(B)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며, 자전거의 무게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연동베벨기어(40)는 중앙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귀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나사결합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에서 전후진되면 압축 또는 신장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60)로 구성되어,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를 효과적으로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며, 작동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부재(60)는 1개로 구성되어, 전후단이 상기 확경부(52)의 후측면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면판(13)에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축(5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50)이 미리 정해진 초기위치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축소 또는 신장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탄성부재(6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구성되어, 상기 확경부(52)의 전후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중간부에는 상기 확경부(52)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축(50)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지지판(16)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16)이 전방에 위치된 탄성부재(60)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축(50)이 전후진되면, 상기 확경부(52)의 전후측에 위치된 탄성부재(60)가 선택적으로 압축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 상기 지지축(50)을 더욱 효과적으로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후륜(4)이 2개로 구성된 자전거에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전륜(3)이 2개로 구성된 자전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에는 상기 전륜(3)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틸팅시스템은, 전륜(3) 또는 후륜(4)이 2개로 구성된 오토바이 등과 같이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4)과 지지축(50)에는 우나사산(43,51)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관통공(14)과 지지축(50)에는 좌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연동베벨기어(40)는 중앙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2)가 베어링을 통해 상기 지지단관(15)에 회전은 가능하면서 전후진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은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결합공(4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귀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공(41)에 고정결합되는 회전축(7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70)이 삽입되는 지지공(81)이 형성된 슬라이드블록(8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80)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80)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9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7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단부는 상기 결합공(41)에 결합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면판(13)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70)의 중앙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밀착부재(71)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재(71)는 상기 회전축(70)의 중간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80)은 상기 회전축(70)에 비해 지름이 큰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양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측판(11)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부(83)가 구비된 것으로,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공(81)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70)이 지지공(81)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록(80)의 전면에는 상기 밀착부재(71)가 밀착되는 캠면(82)이 형성된다.
상기 캠면(82)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70)과 밀착부재(71)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밀착되는 상사점(82a)과, 상기 상사점(82a)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경사면(82b)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90)는 상기 슬라이드블록(8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면판(1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7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80)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70)의 밀착부재(71)가 상기 상사점(82a)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70) 및 밀착부재(71)가 경사면(82b)쪽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블록(8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90)가 압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탄성부재(90)가 압축되면 탄성부재(90)가 상기 슬라이드블록(80)을 전방으로 가압하며, 이때, 상기 밀착부재(71)와 캠면(82)의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축(70)과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복귀수단(B)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지지프레임 21,22. 좌우측 회동아암
30. 구동베벨기어 40. 연동베벨기어
A. 복귀수단

Claims (3)

  1.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3)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 전륜(3) 또는 후륜(4)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좌우측 회동아암(21,22)과,
    상기 회전축(23)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좌우측 회동아암(21,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회전되는 한 쌍의 구동베벨기어(3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며 양측에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치합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3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베벨기어(40)와,
    상기 연동베벨기어(40)에 연결되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에서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초기위치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귀수단(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베벨기어(40)는 중앙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귀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연동베벨기어(40)가 나사결합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에서 전후진되면 압축 또는 신장되어 상기 지지축(5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베벨기어(40)는 중앙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귀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공(41)에 고정결합되는 회전축(7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70)이 삽입되는 지지공(81)이 형성된 슬라이드블록(8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80)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80)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9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70)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밀착부재(71)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80)의 전면에는 상기 밀착부재(71)가 밀착되는 캠면(82)이 형성되며,
    상기 캠면(82)은
    상기 회전축(70)과 밀착부재(71)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밀착되는 상사점(82a)과,
    상기 상사점(82a)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경사면(82b)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70)과 밀착부재(71)가 초기위치서 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캠면(82)과 밀착부재(71)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블록(80)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탄성부재(90)가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시스템,
KR1020190080375A 2019-07-03 2019-07-03 틸팅시스템 KR102237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375A KR102237588B1 (ko) 2019-07-03 2019-07-03 틸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375A KR102237588B1 (ko) 2019-07-03 2019-07-03 틸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47A true KR20210004247A (ko) 2021-01-13
KR102237588B1 KR102237588B1 (ko) 2021-04-07

Family

ID=7414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375A KR102237588B1 (ko) 2019-07-03 2019-07-03 틸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5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628U (ko) * 1996-08-26 1998-06-05 강헌국 정 방향 회전장치
KR20050011670A (ko) * 2004-04-08 2005-01-29 김기환 자전거 일방향 동력전달장치
KR20100122136A (ko) * 2009-05-12 2010-11-22 김정미 양방향 전진용 동력전달장치
JP2013112297A (ja) * 2011-11-30 2013-06-10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KR101339995B1 (ko) 2012-03-15 2013-12-18 (주)뷰팅크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KR20140116750A (ko) * 2013-03-25 2014-10-06 (주)서울정기 페달의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628U (ko) * 1996-08-26 1998-06-05 강헌국 정 방향 회전장치
KR20050011670A (ko) * 2004-04-08 2005-01-29 김기환 자전거 일방향 동력전달장치
KR20100122136A (ko) * 2009-05-12 2010-11-22 김정미 양방향 전진용 동력전달장치
JP2013112297A (ja) * 2011-11-30 2013-06-10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KR101339995B1 (ko) 2012-03-15 2013-12-18 (주)뷰팅크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KR20140116750A (ko) * 2013-03-25 2014-10-06 (주)서울정기 페달의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588B1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48063A (zh) 一种带有图书防倾倒装置的图书架
CN107253187A (zh) 一种高效多功能安装机械手
KR102237588B1 (ko) 틸팅시스템
DE19845745A1 (de) Rollstuhl
CN2853119Y (zh) 自行滑板车
CN110714423A (zh) 一种园林用指路牌
CN107319780A (zh) 一种密集架的手摇开合机构
CN106182028B (zh) 一种线路检测机器人
CN202080329U (zh) 四轮转向机构
JP4262591B2 (ja) 手押し運搬車のキャスター制動装置
CN110180193B (zh) 一种无碳小车微调机构及无碳小车
CN2581304Y (zh) 双前轮滑板车转向控制装置
EP2236396A1 (en) Bicycle kickstand
EP1506902A3 (en) Load transport assembly
CN2446043Y (zh) 滑板车的前轮转向结构
CN215569943U (zh) 一种防止转角晃动的射灯
CN217753605U (zh) 毒麻药品管理柜
CN107919081A (zh) 一种新型广告板
CN1594801A (zh) 自动式机车停放定位夹持装置
CN214312477U (zh) 一种带有防碰撞的车载led显示屏
CN111936099A (zh) 履带式楼梯攀爬器
CN207917328U (zh) 一种手提袋把手折叠机构
CN112244576B (zh) 一种大学生创新创业作品布展用运输及展示装置
CN213064531U (zh) 一种摆杆装置
CN216546519U (zh) 可调节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