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995B1 -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995B1
KR101339995B1 KR1020120026638A KR20120026638A KR101339995B1 KR 101339995 B1 KR101339995 B1 KR 101339995B1 KR 1020120026638 A KR1020120026638 A KR 1020120026638A KR 20120026638 A KR20120026638 A KR 20120026638A KR 101339995 B1 KR101339995 B1 KR 101339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unit
beams
pedal
li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788A (ko
Inventor
안용국
양규원
김태호
김준일
박이수
Original Assignee
(주)뷰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뷰팅크 filed Critical (주)뷰팅크
Priority to KR102012002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995B1/ko
Priority to PCT/KR2012/001918 priority patent/WO2013137504A1/ko
Publication of KR2013010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06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only thre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60Control of electric machines, e.g. problems related to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B60Y2300/62Mechanical lock-up, e.g. using brake to immobilise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는, 한 쌍의 전륜과 한 개의 후륜을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륜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바 부재를 앞 뒤로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빔으로 구성된 링크유닛; 상기 링크유닛을 틸팅 시키는 한 쌍의 바 부재; 상기 링크유닛과 힌지 연결되어, 운전자의 답력으로 상기 바 부재의 승강운동을 강제하는 페달유닛; 상기 페달유닛으로부터의 답력을 감지하여 상기 링크유닛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록킹유닛; 및 전기 자동차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상기 링크유닛의 하측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유닛의 형태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Tilting angle restriction member and Tilting apparatus for Three wheel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1인승 3륜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 및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대한 각국의 법제화 움직임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과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가솔린 및 디젤 자동차의 사용을 점차 줄이려는 노력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근에는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자동차와 달리, 공해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고,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과 제한적인 수명,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 짧은 항속거리 등이 문제가 되어, 골프장이나 놀이공원과 같은 제한된 시설에서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활발한 연구를 통해, 배터리의 성능이 향상되고, 내연기관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충전의 문제를 해결한 하이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의 도입으로, 점차 보편화 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전기 자동차는 탑재하는 배터리의 전력에 한계가 있고 충분한 구동력을 얻기 힘들기 때문에 1인 승 또는 2인승의 소형차량으로 도심에서 업무용 또는 출퇴근용으로 사용할 경우, 최적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용도에 부합되는 디자인으로, 최근에는 한 쌍의 전륜(front wheel)과 하나의 후륜(rear wheel)을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가 차세대 전기 자동차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3륜으로 구성된 전기 자동차는 구동원이 내장된 후륜을 고정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전륜을 좌우 회전시켜 전기 자동차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의 회전 시 회전반경이 커질 수 있으며, 급회전 시에는 전기 자동차가 전복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운전자가 3륜 전기 자동차의 이동 방향을 바꿀 때, 2륜 오토바이와 같이, 회전에 따른 원심력 방향으로 구동바퀴 및 차체가 기울어질 수 있는 틸팅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틸팅 구조를 도입하면, 운전자가 시트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핸들 또는 손잡이를 돌려 방향 전환을 할 때, 회전하는 방향에 대하여 차체를 기울려, 원심력에 의해 전기 자동차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틸팅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유압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와 링크 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하므로, 전기 자동차 차체의 중량을 증가시켜 항속 거리의 단축 및 차량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US 7,073,806(2006.07.11.) 미국등록특허 US 7,264,251(2007.09.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감지센서와 같은 전자 제어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3륜 전기 자동차의 방향 전환시 필요한 최적의 틸팅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기구물을 통해, 틸팅유닛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형태 변형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는, 한 쌍의 전륜과 한 개의 후륜을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륜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바 부재를 앞 뒤로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빔으로 구성된 링크유닛; 상기 링크유닛을 틸팅 시키는 한 쌍의 바 부재; 상기 링크유닛과 힌지 연결되어, 운전자의 답력으로 상기 바 부재의 승강운동을 강제하는 페달유닛; 상기 페달유닛으로부터의 답력을 감지하여 상기 링크유닛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록킹유닛; 및 전기 자동차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상기 링크유닛의 하측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유닛의 형태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전륜을 지지하는 바 부재를 앞 뒤로 지지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3 빔; 상기 제 1 및 제 3 빔과 각각 평행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 된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및 제 4 빔; 및 상기 제 1 및 제 3 빔의 양 끝단과, 상기 제 2 및 제 4 빔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빔과, 제 3 및 제 4 빔은 링크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빔은 항상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제 1 빔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 끝단에 상기 제 1 빔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와 돌기부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와 돌기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돌기부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페달유닛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일측 끝단에 힌지 결합되는 페달; 및 상기 레버부재의 페달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페달유닛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유닛의 하측면에 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륜 전기 자동차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3륜 전기 자동차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페달을 운전자가 밟아 틸팅 시킬 경우의 움직임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된 록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규제부제가 설치된 전기 자동차의 전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륜 전기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3륜 전기 자동차의 페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3는 도 2의 페달을 밟기 전 상태와 밟은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페달을 운전자가 밟아 틸팅 시킬 경우의 움직임을 도시한 측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규제부제가 설치된 전기 자동차의 전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1)는 역삼륜 방식의 전기 자동차로, 한 쌍의 전륜(10)과 한 개의 후륜(20)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전륜(10)은 핸들 또는 손잡이 등으로 이루어진 조향부(30)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회전하면서, 전기 자동차(1)의 운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후륜(20)은 내부에 소정의 변속기와 함께 일체로 구성된 인휠모터(In-Wheel Motor)(미도시)가 설치되어, 구동 바퀴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운전자는 전기 자동차(1)의 프레임(2)에 마련된 시트(seat)(3)에 앉아 있는 자세로 전기 자동차를 운전하므로, 방향 전환시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 차량과 같이 운전자의 의지에 의해 차체를 기울일 수 없으며, 결국 운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자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3륜 전기 자동차는, 운전자가 조향부(30)를 조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전기 자동차(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할 수 있는 틸팅유닛(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향부(30)는 자동차와 같은 핸들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의 레버형 손잡이가 될 수도 있다.
틸팅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전륜(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바 부재(120)를 앞 뒤로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빔(beam)으로 구성된 링크유닛(110)과, 상기 링크유닛(110)과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륜(10)과 연결되는 한 쌍의 바 부재(bar member)(120), 상기 링크유닛(110)과 힌지 연결되어, 운전자의 답력으로 상기 바 부재의 승강운동을 강제하는 페달유닛(130), 상기 페달유닛(130)으로부터의 답력을 감지하여 상기 링크유닛(110)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록킹유닛(140) 및 상기 링크유닛(110)의 과도한 형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부재(160)를 포함한다.
링크유닛(110)은 제 1 내지 제 4 빔(111~114)을 포함한다.
제 1 빔(111)은 전기 자동차(1)의 전방부에 설치된 것으로, 후면에는 제 3 빔(113)이 고정부재(115)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빔(113)의 양쪽 끝단에는, 상기 페달유닛(130)이 연결되어, 상기 페달유닛(130)을 운전자가 밟을 경우, 그 답력으로 상기 제 1 및 제 3 빔(111)(113)이 동시에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제 2 빔(112)은 상기 제 1 빔(111)의 상측에 평행하게 설치된 것으로, 후면에 설치된 제 4 빔(114)과 함께 고정부재(115)로 양 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 2 및 제 4 빔(112)(114)은 평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4 빔(111~114)은 총 4개의 힌지 포인트로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 포인트를 중심으로 각각의 빔들(111~114)이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움직이면서, 직사각형 및 평행사변형으로 형태 변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크 이동은, 상기 제 3 빔(113)의 양 끝단에 연결된 페달유닛(130)의 답력에 의해 작용될 수 있다. 이는, 뒤에 설명할 페달유닛(130)의 구조와 함께 다시 설명한다.
바 부재(120)는 상기 전륜(10)에 설치된 서스펜션 유닛(121)과 연결되어 상기 전륜(10)을 프레임(2)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바 부재(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빔(111~11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전륜(10)을 지지하는 바 부재(12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빔(111~114)들과 각각 힌지 결합되므로, 상기 링크유닛(110)의 형상이 틀어지면서, 평행사변형의 모양으로 형태 변경될 때, 상기 전륜(10)들 각각의 지면에 대한 높낮이와 기울기가 변해 전기 자동차(1)를 틸팅 구동할 수 있다.
페달유닛(1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31), 힌지부재(132), 레버부재(133), 페달(134), 스토퍼(135) 및 링크 바(136)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131)는 상기 프레임(2)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상기 페달(134)이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재(132)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31)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재(133)가 제 1 힌지(133a)를 중심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131)의 양 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레버부재(133)는 상기 힌지부재(132)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소의 절곡 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부재(133)는 상기 페달(134)이 힌지 결합되는 부분에 대하여 휘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달(134) 설치된 단부의 반대편은 상기 제 3 빔(113)과 결합되는 링크 바(136)가 연결되는데, 상기 레버부재(133)와 링크 바(1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조인트와 같이 x,y,z 축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연결부재(133b)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결합만으로는, 상기 레버부재(133)가 뒤틀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링크 바(136)와 제 3 빔(113)의 연결부 역시 상기한 연결부재(133b)와 동일한 연결구조로서, 볼 조인트와 같은 3축 움직임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페달(134)은 운전자의 발이 올려 놓여지는 곳으로, 운전자의 답력을 상기한 힌지부재(132)와 레버부재(133)로 전달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페달(134)은 일반적인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페달의 형상과 같이 마련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패드 등을 추가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페달(134)은 상기 레버부재(133)과 제 2 힌지(134a)를 통해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페달(134)을 제 2 힌지(134a)로 연결하는 이유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빔(111~114)의 틸팅운동을 규제하고 있는 록킹유닛(140)의 록킹 해제를 위한 것이다. 즉, 운전자가 상기 페달(134)을 발로 밟으면, 상기 페달(134)은 상기 레버부재(133)를 밀어주기 앞서, 상기 제 2 힌지(134a)를 중심으로 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일단은 상기 페달(134)과 일체로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137)에 연결되고, 그 반대편은 후술할 록킹유닛(140)과 연결된 와이어(W)가 당겨지면서, 상기 록킹유닛(140)의 규제를 해제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빔(111~114)이 틸팅을 위해,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달(134)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부재(133)에는 스토퍼(135)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35)는 상기 페달(134)이 상기 록킹유닛(14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을 정도로 회전할 경우, 더 이상 회전하여 과도하게 상기 록킹유닛(140)이 록킹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 록킹유닛(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유닛(110) 전방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170)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 모듈(180)에 의해, 운전자가 좌측 또는 우측 페달(134) 중 어느 하나만 밟더라도, 상기 록킹유닛(140)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유닛(140)은 상기 연결부(137)에 연결된 와이어(W)에 의해 움직여, 상기 링크유닛(110)의 움직임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유닛(140)은 상기 링크유닛(110)과 연결되는 한 쌍의 승강 바(141) 및 상기 승강 바(141)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와이어(W)의 당기는 힘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바(141)와 승강모듈(142)의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록킹 해제 및 잠금 시 발생하는 소음 방지를 위해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된 롤러(143)(144)들이 마련될 수 있다.
규제부재(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의 전면부로서 ,상기 링크유닛(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이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직사각형에서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태 변형을 할 때, 상기 제 1 빔(111)의 이동거리를 규제하여, 지나치게 상기 링크유닛(110)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규제부재(160)는 대략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판상의 몸체(161)와, 상기 몸체(161)의 양 끝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61)와 돌기부(162)는 한 몸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돌기부(162)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전기 자동차(1)의 틸팅 각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161)와 돌기부(162)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몸체(161)는 프레임(2)과 같이 스틸과 같은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162)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링크유닛(110)의 형태 변경 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빔(111)과 충돌할 때, 충격이 프레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162)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기 돌기부(162)가 보다 부드럽게 탄성 변형될 수 있어, 상기 제 1 빔(111)과의 충돌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록킹유닛(140)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더 부가하면, 상기 레버부재(133)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러면, 상기 레버부재(133)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 바(136)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 바(136)는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빔(113)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바(136)의 이동 방향으로 제 1 및 제 3 빔(111)(113)이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및 제 3 빔(111)(113)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제 2 및 제 4 빔(112)(114) 역시 하강하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빔(111~114)과 연결되어 있는 전륜(10)을 지지하는 바 부재(120)가 기울어지면서 틸팅 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페달유닛(13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운전자의 오른발과 왼발이 올려져 동작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빔(111)은 운전자의 페달(134)을 밟는 동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해 페달(134)을 밟더라도, 상기 제 1 빔(111)이 상기 규제부재(160)의 돌기부(162)와 접촉하면서 더 이상 움직임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전륜(10)의 과도한 틸팅에 따른 전기 자동차(1)의 전복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지나치게 큰 힘으로 페달(134)을 밟더라도, 링크유닛(110)이 형태 변형할 수 있는 움직임의 폭이 규제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안심하고 좌측이나 우측으로 방향전환을 할 때, 페달(134) 조작을 통한 틸팅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전기 자동차의 크기가 변하여 상기 링크유닛(110)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이러한 변화에 따른 최적의 틸팅 각도를 상기 돌기부(162)의 높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전기 자동차 2; 프레임
10; 전륜 20; 후륜
100; 틸팅장치 110; 링크유닛
111; 제 1 빔 112; 제 2 빔
113; 제 3 빔 114; 제 4 빔
120; 바 부재 130; 페달유닛
131; 지지 플레이트 132; 힌지부재
133; 레버부재 133a; 제 1 힌지
133b; 연결부재 134; 페달
134a; 제 2 힌지 135; 스토퍼
136; 링크 바 140; 록킹유닛
141; 승강 바 142; 승강모듈
143, 144; 고무 롤러 150; 고정부재
160; 규제부재 161; 몸체
162; 돌기부 170; 지지 플레이트
180; 와이어 모듈 181; 왕복 플레이트
182; 탄성부재 183; 풀리
184; 텐션 와이어 185; 텐션 와이어 고정부

Claims (7)

  1. 한 쌍의 전륜과 한 개의 후륜을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륜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바 부재를 앞 뒤로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빔으로 구성된 링크유닛;
    상기 링크유닛을 틸팅 시키는 한 쌍의 바 부재;
    상기 링크유닛과 힌지 연결되어, 운전자의 답력으로 상기 바 부재의 승강운동을 강제하는 페달유닛;
    상기 페달유닛으로부터의 답력을 감지하여 상기 링크유닛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록킹유닛; 및
    전기 자동차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상기 링크유닛의 하측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유닛의 형태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포함하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전륜을 지지하는 바 부재를 앞 뒤로 지지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3 빔;
    상기 제 1 및 제 3 빔과 각각 평행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 된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및 제 4 빔; 및
    상기 제 1 및 제 3 빔의 양 끝단과, 상기 제 2 및 제 4 빔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빔과, 제 3 및 제 4 빔은 링크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빔은 항상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제 1 빔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 끝단에 상기 제 1 빔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돌기부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돌기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3륜 전기자동차의 틸팅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유닛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일측 끝단에 힌지 결합되는 페달; 및
    상기 레버부재의 페달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 바;를 포함하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페달유닛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KR1020120026638A 2012-03-15 2012-03-15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KR101339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638A KR101339995B1 (ko) 2012-03-15 2012-03-15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PCT/KR2012/001918 WO2013137504A1 (ko) 2012-03-15 2012-03-16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638A KR101339995B1 (ko) 2012-03-15 2012-03-15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88A KR20130104788A (ko) 2013-09-25
KR101339995B1 true KR101339995B1 (ko) 2013-12-18

Family

ID=4945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638A KR101339995B1 (ko) 2012-03-15 2012-03-15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247A (ko) 2019-07-03 2021-01-13 한경수 틸팅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5342A (zh) * 2019-08-13 2019-11-01 吕榕志 平行四边形轴对称(上下)运动变形自回正平衡机构
KR102340947B1 (ko) 2019-11-14 2021-12-20 한국기계연구원 틸팅각도 제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3륜 운송장치
KR102264127B1 (ko) 2019-12-23 2021-06-14 한국기계연구원 틸팅 각도 범위 조절모듈 및 3륜 운송장치
KR102186803B1 (ko) * 2020-06-15 2020-12-04 최형진 틸팅 자동차의 앞 섀시 시스템
KR102333871B1 (ko) * 2021-03-24 2021-12-01 최형진 다륜 자전거용 틸팅시스템
CN114701592A (zh) * 2022-03-30 2022-07-05 重庆隆鑫新能源科技有限公司 倒三轮电动摩托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247A (ko) 2019-07-03 2021-01-13 한경수 틸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88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995B1 (ko) 틸팅 각도 규제부재를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US8662228B2 (en) Free-to-lean three-wheeled passenger vehicle, power plant controller and body therefor
CN102874344B (zh) 骑乘型车辆
US3763945A (en) Automotive vehicle
KR101339993B1 (ko) 틸팅 록킹유닛을 가지는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JP2013233895A (ja) 車両
JP6935610B1 (ja) 車両
KR101339994B1 (ko) 이중 힌지구조를 가지는 페달유닛 및 이를 구비한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JPS63222988A (ja) 自動2輪車
US11299224B2 (en) Three-row wheel vehicle
US20210283965A1 (en) Three-row wheel vehicle
WO2021145351A1 (ja) 車両
KR20130104792A (ko) 페달 피벗 회전을 위한 슬릿을 구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JP2007062669A (ja) 小型電動車両の転倒防止装置
KR20130104796A (ko) 3중 힌지구조를 가지는 페달유닛 및 이를 구비한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JP2018095126A (ja) 不整地走行車
WO2022044944A1 (ja) 車両
JP3181733U (ja) クローラ運搬車の車椅子装置
KR20130104795A (ko) 3개의 기어를 가지는 조향유닛 및 이를 구비한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JP2012006539A (ja) 双輪装置
WO2020075404A1 (ja) 不整地走行車両
KR20170000938A (ko) 초소형 자동차 틸팅장치
JP3891854B2 (ja) トラクタ
WO2013137504A1 (ko) 3륜 전기 자동차의 틸팅장치
JP5052972B2 (ja) 電気自動車の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