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249A - 벌룬 카테터 - Google Patents

벌룬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249A
KR20210003249A KR1020207034533A KR20207034533A KR20210003249A KR 20210003249 A KR20210003249 A KR 20210003249A KR 1020207034533 A KR1020207034533 A KR 1020207034533A KR 20207034533 A KR20207034533 A KR 20207034533A KR 20210003249 A KR20210003249 A KR 20210003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shaft
rear end
balloon catheter
tightly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오카와
아츠토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6Making parts for balloon catheter systems, e.g. shafts or distal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guide wire lumens outside the main shaft, i.e. the guide wire lumen is within or on the surface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4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features for increasing the shape stability, the reproducibility or for limiting expansion, e.g. containments, wrapped around fibres, yarns or str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혈관 내에 압입할 때의 킹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의 것보다도 푸셔빌리티가 우수한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벌룬 카테터(100)는,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샤프트(10)와, 그 선단에 접속된 벌룬(20)과,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이너 튜브(30)와,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배치되어 있는 밀권취 코일(40)과, 금속 튜브로 이루어지고,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그 선단부가 삽입되고, 그 선단이 밀권취 코일(40)의 후단에 맞닿음으로써 선단측 샤프트(10)의 후단에 접속된 후단측 샤프트(5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벌룬 카테터
본 발명은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샤프트와, 선단측 샤프트의 선단에 접속된 벌룬과, 선단측 샤프트의 후단에 접속된 금속 튜브로 이루어지는 후단측 샤프트와,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 및 벌룬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이너 튜브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후단측 샤프트를 구성하는 금속 튜브의 선단부는, 선단측 샤프트를 구성하는 수지 튜브의 후단부(루멘)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후단측 샤프트와 선단측 샤프트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에는, 이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샤프트와 금속 튜브로 이루어지는 후단측 샤프트의 접속 부분에서 킹크(절곡)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단측 샤프트(수지 튜브)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후단측 샤프트(금속 튜브)의 선단부에 나선형 슬릿(스파이럴 커트)을 형성하여 유연성을 부여하여, 당해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급격한 강성 변화를 완화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948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과 같이, 후단측 샤프트의 선단부에 나선형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충분한 푸셔빌리티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그와 같은 벌룬 카테터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 후단측 샤프트의 선단부에 형성된 슬릿이 닫히는 것에 의하여 압입력의 일부가 흡수되어 손실됨으로써, 당해 압입력을 샤프트의 선단에 확실히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샤프트와 금속 튜브로 이루어지는 후단측 샤프트 사이에 있어서의 강성 변화를 완화하여, 혈관 내에 압입할 때의 킹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우수한 푸셔빌리티를 발휘할 수 있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1)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는,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샤프트와,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선단에 접속된 벌룬과,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 및 상기 벌룬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이너 튜브와,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내경과 대략 동등한 코일 외경을 갖고,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에 배치되어 있는 밀(密)권취 코일과,
금속 튜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에 그 선단부가 삽입되고, 그 선단이 상기 밀권취 코일의 후단에 맞닿거나 또는 고착됨으로써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후단에 접속된 후단측 샤프트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후단측 샤프트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에 밀권취 코일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후단측 샤프트의 선단측에 적당한 유연성이 부여되어, 선단측 샤프트와 후단측 샤프트 사이에 있어서의 급격한 강성의 변화를 밀권취 코일에 의하여 완화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당해 벌룬 카테터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 킹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코일은 「밀권취」의 코일이며, 압축 변형에 의하여 압입력의 일부가 흡수되어 손실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밀권취 코일은,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에 있어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밀권취 코일의 이동에 의하여 압입력의 일부가 흡수되어 손실되는 일도 없다.
이것에 의하여, 샤프트(후단측 샤프트)의 후단으로부터의 압입력을 샤프트(선단측 샤프트)의 선단에 확실히 전달할 수 있어서 우수한 푸셔빌리티를 발휘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는,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측면에 있어서 그 후단이 가이드 와이어 포트로서 개구되어 있고,
상기 이너 튜브의 후단부에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이 맞닿거나 또는 고착됨으로써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이동 규제부를 별도 마련하는(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 없이 밀권취 코일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우수한 푸셔빌리티를 발휘할 수 있다.
(3) 상기 (2)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의 후단부에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이 고착되는 것이 아니라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이를 제조할 때, 이너 튜브의 후단부와 밀권취 코일의 선단을 고착(접착·용착)하는 번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에 잉여 접착제 등이 잔류하는 일도 없으므로, 당해 루멘에 있어서의 액체의 유동성이나 밀권취 코일에 의하여 부여되는 유연성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4)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이 맞닿거나 또는 고착됨으로써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4)의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상기 이동 규제부로서,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내주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상기 (4)의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상기 이동 규제부로서, 상기 선단측 샤프트는, 상기 밀권취 코일의 코일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는 소직경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7)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직경 축소되어 있고, 상기 밀권취 코일을 구성하는 소선(素線)의 선단 및 후단이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내주에 접촉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밀권취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샤프트 부분을 굴곡시켰을 때, 당해 밀권취 코일을 구성하는 소선의 선단 또는 후단에 의하여 선단측 샤프트의 내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후단측 샤프트의 선단측에 적당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어서, 당해 벌룬 카테터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 킹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우수한 푸셔빌리티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벌룬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밀권취 코일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C-C 단면도, (d)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벌룬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벌룬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선단부」라 할 때는 「선단」을 포함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부분을 의미하고, 「후단부」라 할 때는 「후단」를 포함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는 경피적 관상 동맥 혈관 형성술(PTCA) 등에 사용된다.
이 벌룬 카테터(100)는,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샤프트(10)와, 선단측 샤프트(10)의 선단에 접속된 벌룬(20)과,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 및 벌룬(20)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수지 튜브이자, 선단측 샤프트(10)의 측면에 있어서 그 후단이 가이드 와이어 포트로서 개구되고, 벌룬(20)의 선단부에 그 선단부가 고정되고, 그 선단이 개구되는 이너 튜브(30)와, 선단측 샤프트(10)의 내경과 대략 동등한 코일 외경을 갖고,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배치되어 있는 밀권취 코일(40)과, 금속 튜브로 이루어지고,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그 선단부가 삽입되고, 그 선단이 밀권취 코일(40)의 후단에 맞닿음으로써 선단측 샤프트(10)의 후단에 접속된 후단측 샤프트(50)와,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코어 와이어(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70은 후단측 샤프트(50)의 후단에 장착된 허브, 80은 스트레인 릴리프이다.
벌룬 카테터(100)의 선단측 샤프트(10)는 수지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선단측 샤프트(10)에는, 벌룬(20)을 확장시키기 위한 유체를 유통시키는 루멘(확장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 샤프트(10)를 구성하는 수지 튜브의 외경은 통상 0.6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70 내지 0.90㎜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83㎜이다.
선단측 샤프트(10)를 구성하는 수지 튜브의 내경은 통상 0.50 내지 0.80㎜, 바람직하게는 0.55 내지 0.75㎜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71㎜이다.
선단측 샤프트(10)의 길이는 통상 200 내지 550㎜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345㎜이다.
선단측 샤프트(10)(수지 튜브)의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블록 아미드(PEBAX)(등록 상표) 및 나일론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PEBAX가 바람직하다.
선단측 샤프트(10)(수지 튜브)의 경도로서는, D형 경도계에 의한 경도로 63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측 샤프트(10)의 선단에는 벌룬(20)이 장착되어 있다.
벌룬(20)은, 선단측 샤프트(10) 및 후술하는 후단측 샤프트(50)의 루멘을 유통하는 액체에 의하여 확장된다. 여기에, 액체로서는 생리 식염수나 조영제를 들 수 있다.
확장 시에 있어서의 벌룬(20)의 직경으로서는 통상 0.5 내지 4.0㎜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3.5㎜로 한다.
벌룬(20)의 길이로서는 통상 3 내지 40㎜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0㎜로 한다.
벌룬(20)의 구성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된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벌룬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합한 재료로서 PEBAX를 들 수 있다.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이너 튜브(30)는,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 및 벌룬(20)의 내부(내강)로 연장되어 있고,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루멘(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수지 튜브이다.
벌룬 카테터(100)는 래피드 익스체인지 타입의 벌룬 카테터이며, 이너 튜브(30)의 후단은 선단측 샤프트(10)의 측면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31)는 가이드 와이어 포트로 되어 있다. 한편, 이너 튜브(30)의 선단부는 벌룬(20)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너 튜브(30)의 선단에는 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너 튜브(30)를 구성하는 수지 튜브의 외경은 통상 0.40 내지 0.60㎜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57㎜이다.
이너 튜브(30)를 구성하는 수지 튜브의 내경은 통상 0.35 내지 0.55㎜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42㎜이다.
가이드 와이어 포트인 이너 튜브(30)의 개구(31)의 형성 위치(개구의 중심)로부터 벌룬(20)의 후단 위치까지의 축 방향이 거리로서는 통상 150 내지 300㎜로 한다.
이너 튜브(30)의 구성 재료로서는, 선단측 샤프트(10)의 구성 재료와 동일한 합성 수지를 들 수 있으며, 그것들 중 PEBAX가 바람직하다.
이너 튜브(30)의 경도로서는, D형 경도계에 의한 경도로 5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밀권취 코일(40)이 배치되어 있다.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밀권취 코일(40)은,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끼리가 접촉해 있는(코일을 구성하는 소선의 직경과 코일 피치가 동등한) 밀권취의 코일 튜브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밀권취 코일(40)은 선단측 샤프트(10)의 내주에 대하여 고착(접착)되어 있지 않다.
밀권취 코일(40)은, 이것이 배치되어 있는 선단측 샤프트(10)의 샤프트 부분에 충분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밀권취 코일(40)은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지만, 축 방향의 압축력이 걸리더라도 변형(압축 변형)되는 일은 없다.
밀권취 코일(40)의 코일 외경은 선단측 샤프트(10)의 내경(루멘 직경)과 대략 동등하게 통상 0.50 내지 0.80㎜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7㎜이다.
밀권취 코일(40)의 코일 내경은 통상 0.40 내지 0.60㎜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5㎜이다.
밀권취 코일(40)을 구성하는 소선의 직경은 통상 0.05 내지 0.15㎜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1㎜이다.
밀권취 코일(40)의 길이는 통상 10 내지 250㎜(선단측 샤프트(10)의 길이의 1/20 내지 1/2 정도)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106㎜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권취 코일(40)은, 선단부(41)(선단측의 1권취분) 및 후단부(42)(후단측의 1권취분)의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단, 선단부(41) 및 후단부(42)의 외경은 밀권취 코일(40)의 코일 내경보다는 큼), 밀권취 코일(40)을 구성하고 있는 소선의 선단 및 후단은 선단측 샤프트(10)의 내주에 접촉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하여, 밀권취 코일(40)이 루멘에 배치된 선단측 샤프트(10)의 샤프트 부분을 굴곡시켰을 때, 소선의 선단 또는 후단에 의하여 선단측 샤프트(10)의 내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배치되어 있는 밀권취 코일(40)은, 그 선단이 이너 튜브(30)의 후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즉, 이너 튜브(30)의 후단부가, 밀권취 코일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로 되어 있다.
선단측 샤프트(10)의 후단에는 후단측 샤프트(50)가 접속되어 있다.
선단측 샤프트(10)의 후단에 접속되어 있는 후단측 샤프트(50)에는,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연통되는 루멘(확장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단측 샤프트(50)는, 스테인리스, Ni-Ti 합금, Cu-Mn-Al계 합금 등의 금속 튜브(하이포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후단측 샤프트(50)의 선단부는 선단측 샤프트(10)의 후단부(루멘)에 삽입되고, 후단측 샤프트(50)의 선단은 밀권취 코일(40)의 후단에 맞닿아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후단측 샤프트(50)는 선단측 샤프트(10)의 후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후단측 샤프트(50)의 후단부는 허브(70)에 삽입되어 있다.
후단측 샤프트(50)를 구성하는 금속 튜브의 외경은 밀권취 코일(40)의 코일 외경과 대략 동등하게 통상 0.50 내지 0.80㎜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7㎜이다.
후단측 샤프트(50)를 구성하는 금속 튜브의 내경은 밀권취 코일(40)의 코일 내경과 대략 동등하게 통상 0.40 내지 0.60㎜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5㎜이다.
후단측 샤프트(50)의 길이는 통상 900 내지 1500㎜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1070㎜이다.
선단측 샤프트(10)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후단측 샤프트(50)의 선단부의 길이는 통상 5 내지 10㎜로 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8㎜이다.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코어 와이어(60)는 스트레이트부(61)와 테이퍼부(62)로 이루어진다. 코어 와이어(60)는 테이퍼부(62)를 선단측으로 하여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삽입 관통되어 있고, 코어 와이어(60)(스트레이트부(61))의 후단측의 일부는 밀권취 코일(40)의 내부 및 후단측 샤프트(50)의 루멘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코어 와이어(60)는, 스트레이트부(61)의 후단측에 있어서, 후단측 샤프트(50)의 내주면에 스폿 용접됨으로써 당해 후단측 샤프트(50)에 대하여 강고히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에 따르면, 후단측 샤프트(5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밀권취 코일(40)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후단측 샤프트(50)의 선단측(밀권취 코일(40)이 배치된 샤프트 부분)에 있어서 적당한 유연성이 부여되어, 선단측 샤프트(10)와 후단측 샤프트(50) 사이에 있어서의 급격한 강성의 변화를 완화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벌룬 카테터(100)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의 킹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밀권취 코일(40)은, 이것에 축 방향의 압축력이 걸리더라도 변형(압축 변형)되는 일은 없어서, 압입력의 일부가 흡수되어 손실되는 일은 없다.
밀권취가 아닌 코일을 구비한 벌룬 카테터에서는, 이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소선끼리가 접촉하여 당해 코일이 압축되며, 이 결과, 압입력의 일부가 흡수되어 손실되어, 당해 압입력을 샤프트의 선단에 확실히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밀권취 코일(40)은,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있어서 밀권취 코일(40)의 후단에 맞닿아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밀권취 코일(40)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압입력의 일부가 흡수되어 손실되는 일도 없다.
밀권취 코일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지 않은 벌룬 카테터에서는, 이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 밀권취 코일이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입력의 일부가 흡수되어 손실되어, 당해 압입력을 샤프트의 선단에 확실히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에 따르면, 샤프트(후단측 샤프트(50))의 후단으로부터의 압입력을 샤프트(선단측 샤프트(10))의 선단에 확실히 전달할 수 있어서, 벌룬 카테터(100)는 우수한 푸셔빌리티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밀권취 코일(40)은 선단측 샤프트(10)의 내주에 대하여 고착되어 있지 않고, 또한 밀권취 코일(40)의 선단은 이너 튜브(30)의 후단부에 대하여 맞닿아 있지만 고착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밀권취 코일(40)의 후단에 대하여 후단측 샤프트(50)의 선단은 맞닿아 있지만 고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에 따르면,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접착제 등이 잔류하는 일은 없어서 당해 루멘에 있어서의 액체의 유동성이 손상되는 일은 없으므로, 벌룬(20)에 있어서의 확장·수축의 응답성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제2 실시 형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이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200)는,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샤프트(15)와 벌룬(20)과 이너 튜브(30)와 밀권취 코일(40)과 후단측 샤프트(50)와 코어 와이어(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동일 부호로 나타낸 것은, 제1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이다.
이 벌룬 카테터(200)에서는, 밀권취 코일(40)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로서, 선단측 샤프트(15)의 내주(이너 튜브(30)의 개구(31)의 형성 위치보다도 후단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 볼록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6)에 밀권취 코일(40)의 선단이 맞닿음으로써, 당해 밀권취 코일(40)은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가이드 와이어 포트인 이너 튜브(30)의 개구(31)의 형성 위치(개구의 중심)로부터 볼록부(16)의 형성 위치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L16)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거리가 지나치게 긴 경우에는, 그와 같은 벌룬 카테터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 볼록부(16)의 형성 위치와 개구(31)의 형성 위치 사이에서 킹크가 생겨서 압입력을 전달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이동 규제부로 되는 볼록부는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200)에 따르면, 후단측 샤프트(5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선단측 샤프트(15)의 루멘에 밀권취 코일(40)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벌룬 카테터(200)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의 킹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후단측 샤프트(50))의 후단으로부터의 압입력을 샤프트(선단측 샤프트(15))의 선단에 확실히 전달할 수 있어서, 벌룬 카테터(200)는 우수한 푸셔빌리티를 발휘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이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300)는,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샤프트(17)와, 벌룬(20)과 이너 튜브(30)와 밀권취 코일(40)과 후단측 샤프트(50)와 코어 와이어(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동일 부호로 나타낸 것은, 제1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이다.
이 벌룬 카테터(300)에서는, 밀권취 코일(40)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로서, 선단측 샤프트(17)가, 밀권취 코일(40)의 코일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는 소직경부(18)를 갖고 있다.
선단측 샤프트(15)의 소직경부(18)의 후단에 형성되는 단차에 밀권취 코일(40)의 선단이 맞닿음으로써, 당해 밀권취 코일(40)은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300)에 따르면, 후단측 샤프트(5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선단측 샤프트(17)의 루멘에 밀권취 코일(40)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벌룬 카테터(300)를 혈관 내에 압입할 때의 킹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후단측 샤프트(50))의 후단으로부터의 압입력을 샤프트(선단측 샤프트(17))의 선단에 확실히 전달할 수 있어서, 벌룬 카테터(300)는 우수한 푸셔빌리티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단측 샤프트(17)의 선단까지 소직경부(18)로 되어 있지만, 개구(31)의 형성 위치보다도 선단측은 소직경부가 아니어도 된다.
100: 벌룬 카테터
10: 선단측 샤프트
20: 벌룬
30: 이너 튜브
31: 개구(가이드 와이어 포트)
32: 개구
40: 밀권취 코일
41: 밀권취 코일의 선단부
42: 밀권취 코일의 후단부
50: 후단측 샤프트
60: 코어 와이어
61: 스트레이트부
62: 테이퍼부
70: 허브
80: 스트레인 릴리프
200: 벌룬 카테터
15: 선단측 샤프트
16: 볼록부(이동 규제부)
300: 벌룬 카테터
17: 선단측 샤프트
18: 선단측 샤프트의 소직경부(이동 규제부)

Claims (7)

  1.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샤프트와,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선단에 접속된 벌룬과,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 및 상기 벌룬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이너 튜브와,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내경과 대략 동등한 코일 외경을 갖고,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에 배치되어 있는 밀권취 코일과,
    금속 튜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루멘에 그 선단부가 삽입되고, 그 선단이 상기 밀권취 코일의 후단에 맞닿거나 또는 고착됨으로써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후단에 접속된 후단측 샤프트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는,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측면에 있어서 그 후단이 가이드 와이어 포트로서 개구되어 있고,
    상기 이너 튜브의 후단부에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이 맞닿거나 또는 고착됨으로써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의 후단부에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이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이 맞닿거나 또는 고착됨으로써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로서,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내주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로서, 상기 선단측 샤프트는, 상기 밀권취 코일의 코일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는 소직경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권취 코일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직경 축소되어 있고, 상기 밀권취 코일을 구성하는 소선의 선단 및 후단이 상기 선단측 샤프트의 내주에 접촉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KR1020207034533A 2018-06-04 2018-06-04 벌룬 카테터 KR20210003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1314 WO2019234784A1 (ja) 2018-06-04 2018-06-04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249A true KR20210003249A (ko) 2021-01-11

Family

ID=6877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533A KR20210003249A (ko) 2018-06-04 2018-06-04 벌룬 카테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06883B2 (ko)
KR (1) KR20210003249A (ko)
CN (1) CN111971085A (ko)
WO (1) WO201923478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482A (ja) 1999-11-26 2001-06-05 Terumo Corp 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982A (en) * 1987-01-06 1988-06-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einforced balloon dilatation catheter with slitted exchange sleeve and method
US5217482A (en) * 1990-08-28 1993-06-08 Scimed Life Systems, Inc. Balloon catheter with distal guide wire lumen
JP3345147B2 (ja) * 1993-01-26 2002-11-18 テルモ株式会社 血管拡張器具およびカテーテル
JP3383009B2 (ja) * 1993-06-29 2003-03-04 テルモ株式会社 血管カテーテル
FR2718645B1 (fr) * 1994-04-15 1996-07-12 Nycomed Lab Sa Cathéter de dilatation à échange rapide.
JP2005270466A (ja) * 2004-03-25 2005-10-06 Terumo Corp ガイドワイヤ
US8764727B2 (en) * 2009-03-06 2014-07-0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Reinforced rapid exchange catheter
JP5500654B2 (ja) * 2011-01-25 2014-05-2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9839766B2 (en) * 2014-10-20 2017-12-12 Medtronic Cryocath Lp Centering coiled guide
JP6368284B2 (ja) * 2015-07-02 2018-08-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482A (ja) 1999-11-26 2001-06-05 Terumo Corp 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06883B2 (ja) 2021-07-21
CN111971085A (zh) 2020-11-20
JPWO2019234784A1 (ja) 2020-12-17
WO2019234784A1 (ja)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491B1 (ko) 벌룬 카테터
EP1938859A1 (en) Guide wire
US7481778B2 (en) Guidewire with deflectable tip having improved flexibility
EP2417999B1 (en) Guidewire with bent portion fixed with a fixing member
EP2005988B1 (en) A medical guide wire
US20020151823A1 (en) Wire-stranded hollow tube, a medical tube body and a medical guide wire
US20020049392A1 (en) Composite guidewire
JP5770676B2 (ja) ガイドワイヤ
WO2016047499A1 (ja) ガイドワイヤ
US20120253321A1 (en) Guidewire
EP4051361B1 (en) Guidewires for medical devices
US20210322730A1 (en) Guidewire having bonded proximal and distal segments
US20180289933A1 (en) Balloon catheter
EP2596830A1 (en) Guidewire
US7083577B2 (en) Guide wire
EP3061486B1 (en) Medical guide wire
JP5473677B2 (ja) ガイドワイヤ
WO2014199704A1 (ja) ステント留置装置
EP2586484A1 (en) Guidewire
KR20210003249A (ko) 벌룬 카테터
JP5280263B2 (ja) ガイドワイヤ
JP4332340B2 (ja) 医療用ガイドワイヤ
EP1523366B1 (en) Guidewire with tapered flexible core segment
JP7432792B1 (ja) 医療用ワイヤ
EP3213790B1 (en) Balloon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