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707A -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707A
KR20210002707A KR1020207034674A KR20207034674A KR20210002707A KR 20210002707 A KR20210002707 A KR 20210002707A KR 1020207034674 A KR1020207034674 A KR 1020207034674A KR 20207034674 A KR20207034674 A KR 20207034674A KR 20210002707 A KR20210002707 A KR 2021000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umulator
damper device
leveling system
chassis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091B1 (ko
Inventor
칼니츠키 알렉스
마더 그레고어
페터 프란츠
티필 제바스티안
Original Assignee
엘렉트로니셰 파르베르크지스테머 게헴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렉트로니셰 파르베르크지스테머 게헴베하 filed Critical 엘렉트로니셰 파르베르크지스테머 게헴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0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65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hydraul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accumulating utilisable energy, e.g. compress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6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fluid
    • B60G21/073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fluid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4Fluid spring with an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B60G2202/242Pneumatic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2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left and right unit on sam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4Type of interconnection using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60Vehicles using regenerative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의 섀시용 댐퍼장치로서, 감쇠 유체가 충전됨과 아울러 상부 컨테이너 공간과 하부 컨테이너 공간을 구분하면서 작동이 가능하게 피스톤이 설치된 컨테이너 튜브를 구비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이 제1방향으로 작동할 때 상기 감쇠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제1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장치는 축압기와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축압기는 상기 체크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컨테이너 튜브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이 어느 일방향으로 작동하면 상기 감쇠 유체가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 상기 축압기 안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에 따른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벨 제어 섀시(level-controlled chassis)를 구비한 자동차 기술 분야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레벨링 기능의 수행시 차량 댐퍼에 의하여 차량의 레벨 포지션을 변화시키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댐퍼들은 완충 유체(오일, 가스,...)로 충전된 컨테이너 튜브 안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을 구비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휠(또는 휠 서스펜션)과 차체 사이의 상대 운동은 신장 방향(휠과 차체간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거나, 압축 방향(휠과 차체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압 밸브를 개폐시키는 피스톤에 의해 감쇠가 된다. 따라서, 피스톤의 작동은 열의 형태로 발산되고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게 되는 표면 자극(external excitations)/영향 때문에 섀시로 도입/유도되는 에너지(진동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종래 댐퍼의 문제점은 섀시 진동이 감쇠되는 동안에 방출되는 에너지가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는 것이다.
먼저, 종래 기술의 내용은 독일특허 DE 15 30 531 C에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독일특허 DE 2 83 0075 A 1은 전기 컨버터에 의하여 차축의 진동 에너지가 저장되는 차량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차축 운동 중에 적절하게 설계된 코일 조립체에 의하여 유도전류가 발생한다. 이 유도전류는 전기 소비장치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해법은 복잡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구조를 갖고 있는데, 차축 진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아주 작은 양의 전기 에너지만 섀시용 펌프와 같은 전기 소비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상기 특허에는 레벨-제어 섀시의 운용에 대해서는 서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차량의 진동 감쇠시 유도되는 에너지를 사용함과 아울러 간단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따른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형태는 각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장치(액츄에이터장치)는 감쇠 유체가 충전된 컨테이너 튜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피스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 컨테이너 공간과 상부 컨테이너 공간으로 분리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피스톤은 제1방향(A; 신장 방향 또는 압축 방향)으로 피스톤이 이동할 때 감쇠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게 되는 (하나의) 제1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댐퍼장치는 또한 축압기와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축압기는 상기 체크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컨테이너 튜브에 연결이 되는데, 상기 피스톤이 어느 일방향으로 작동할 때 감쇠 유체가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 상기 축압기 안으로 주입이 된다. 상기 감쇠 유체가 체크 밸브를 통해 축압기 안으로 주입이 되는 동안, 축압기의 압력 수준은 증가한다. 이렇게 증가된 압력 하에서 상기 감쇠 유체는 컨테이너 공간 안으로 도입되어 상기 피스톤을 작동(예컨대, 상승 작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높이(height level)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댐퍼장치는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유도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섀시를 작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축압기는 상기 체크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컨테이너 공간에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컨테이너 튜브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이 피스톤 로드 방향(상방향)으로 작동하면, 감쇠 유체는 체크 밸브를 통해 축압기 안으로 주입된다. 이렇게 하여, 섀시의 원상복귀 운동이나 반등시에 소멸된 에너지는 레벨링 시스템을 위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용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로드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컨테이너 튜브를 상대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장력(tension)을 갖게 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가 스프링에 의하여 컨테이너 튜브를 상대로 직접적으로 장력을 갖게 되는 경우, 콤팩트한 댐퍼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스프링은 피스톤 로드의 둘레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가 스프링에 의하여 컨테이너 튜브를 상대로 간접적인 장력을 갖게 되는 경우, 스프링은 피스톤 로드 바로 옆에 배치될 수 있다.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기 축압기는 압력제한유닛(예를 들면 압력제한밸브)을 포함한다. 이 압력제한유닛은 축압기에서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 압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압력제한유닛은 한계점을 초과하거나 컨테이너 튜브로 다시 역류하는 경우에 유체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댐퍼장치는 감쇠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탱크는 아주 작은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감쇠 유체를 흡입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다. 상기 압력제한유닛은 축압기와 탱크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탱크는 미리 설정된 압력 수위에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기 탱크는 무압력 탱크일 수 있다. 기술적 문맥상, 무압력(pressureless)이란 오직 대기압만이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기술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축압기는 공압식(pneumatic) 축압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축압기는 완전 밀폐 용기로서 설정된 체적 만큼의 압축 공기가 유지될 수 있다. 압축 공기의 체적은 댐퍼장치의 크기와 요구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축압기는 컨테이너가 신축성 분리벽에 의해 두 개의 챔버로 나뉘어져 있는 수기압식(hydropneumatic) 축압기일 수도 있다. 하나의 챔버는 가압된 감쇠 유체(액체)를 수용하고, 다른 하나의 챔버는 질소와 같은 가스를 수용한다. 이러한 형태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차량 높이(vehicle height)가 낮을 때 제공된 에너지를 흡수하여서 다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축압기는 기계식 축압기일 수 있는데, 기계식 축압기에서는 예를 들어, 기계적 변형 에너지가 스프링(코일 스프링과 같은)에 저장이 된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압력제한유닛은 개구 압력(opening pressure)을 갖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축압기에 저장된 에너지로 인해 최대 높이를 초과하여 섀시가 조정될 수 있을 만큼 개구 압력이 설정된 방식으로 압력제한유닛이 설계된다면 유익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력제한유닛은 개구 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하는 지형에 따라 세팅이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압력제한유닛은 감쇠 유체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로틀 유닛 및/또는 오리피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 상기 압력제한유닛 자체가 스로틀 밸브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한 기술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댐퍼장치는 스위칭 밸브(예를 들면 추가적인 체크 밸브, 조정 가능한 스프링 부하식 체크 밸브, 스위칭 유닛)와, 추가적인 축압기 및 추가적인 압력제한유닛(조정 가능한 압력제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상, 체크 밸브는 스위칭 유닛 또는 스위칭 밸브로도 이해될 수 있다. 실린더에 가까이 위치한 상기 축압기는 나중에 연결된 추가적인 축압기를 충전(fill))시키지 않고 충전된다. 첫 번째 축압기가 충전되고 초과 압력이 방출되지 않았을 때, 초과 압력은 규정된 개구 압력으로 추가적인 체크 밸브를 경유하여 추가적인 축압기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추가적인 축압기의 가압된 감쇠 유체 또는 압력은 낮은 수준에 이를 때까지 스위칭 밸브를 통하여 사용되고, 상기 첫 번째 축압기를 충전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댐퍼장치는 펌프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펌프 유닛은 유압 펌프 또는 공압 펌프(전기적인 제어장치를 구비한)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유닛에 의하여 상부 댐퍼 챔버와 하부 댐퍼 챔버가 연결되는데, 펌프 유닛은 상부 댐퍼 챔버의 방향으로 감쇠 유체를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노면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예를 들면, 정차 중인 때) 압력 수준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댐퍼장치를 구비한 섀시를 포함한다(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댐퍼장치는 축압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두 개의 댐퍼장치는 하나의 공통된 축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한 기술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축압기와 탱크는 각각 밸브, 스로틀, 오리피스 등을 통해 유체 작동(수압 작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변형예로서 스로틀 유닛과 오리피스 유닛을 구비한 댐퍼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변형예로서 펌프 유닛을 구비한 댐퍼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대한 또다른 변형예로서 전기제어 펌프 유닛을 구비한 댐퍼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도 1에 대한 추가적인 변형예로서 두 개의 축압기 등을 구비한 댐퍼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두 개의 댐퍼장치를 구비한 섀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10)를 보여주고 있다. 자동차에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섀시(도 6 참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휠마다 하나씩 4개의 댐퍼장치(10)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댐퍼장치(10)는 감쇠 유체(예컨대, 유압유)가 충전되어 있는 컨테이너 튜브(2)를 구비한 유압 실린더(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 튜브(2)에는 피스톤(3)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은 컨테이너 튜브(2)의 내벽에 대하여 유밀(fluid-tight)한 구조로 가이드되면서 작동되는데, 컨테이너 튜브(2) 안에서 상부 컨테이너 공간(21)과 하부 컨테이너 공간(22)으로 작동하는 피스톤(3)에 의하여 컨테이너 튜브(2)가 유동적으로 구분이 된다.
상기 피스톤(3)에는 피스톤(3)이 제1방향(A)으로 작동할 때 감쇠 유체가 관통하여 흐르는 제1밸브(41)가 구비된다. 예시된 도면에서, 상기 제1밸브(41)는 스로틀 밸브의 형태로 설계되어 있는데, 이 밸브는 감쇠 유체가 하부 컨테이너 공간(22)으로부터 상부 컨테이너 공간(21)으로 흐르도록 하는 일방향(압축 방향)으로 피스톤이 작동할 때 아래쪽으로 개방이 된다.
본 발명의 댐퍼장치(10)는 축압기(5)와 체크 밸브(6)를 구비하는데, 체크 밸브(6)는 상부 컨테이너 공간(21)에 연결됨으로써 상부 컨테이너 공간을 축압기(5)에 연결하게 된다. 상기 체크 밸브(6)는 감쇠 유체가 상부 컨테이너 공간(21)으로부터 축압기(5) 안으로 흐르도록 하는 방향(신장 방향)으로 피스톤(3)이 작동할 때 개방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감쇠 유체가 체크 밸브(6)를 통해 축압기(5) 안으로 주입되고 이때 스프링(7)이 이완된다. 상기 축압기(5)는 공압식 축압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댐퍼장치(10)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섀시(도 6 참조)를 작동시키는 간단한 방식으로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축압기(5)는 체크 밸브(6)를 경유하여 컨테이너 튜브(2)의 상부 컨테이너 공간(21)에 연결되며, 피스톤(3)이 아랫쪽 방향(피스톤 로드(31) 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 감쇠 유체는 제1밸브(41)를 통해 상부 컨테이너 공간(21)으로 주입되고, 피스톤(3)이 윗쪽 방향(피스톤 로드(31)의 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 감쇠 유체는 체크 밸브(6)를 통해 축압기(5) 안으로 주입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댐퍼장치는 반대방향으로 작동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밸브들과 상기 축압기는 그 작동에 맞도록 조정이 됨과 아울러 하부 컨테이너 공간에 연결이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피스톤 로드(31)가 차체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는 스프링(7)에 의하여 컨테이너 튜브(2)를 상대로 장력을 갖게 된다.
축압기(5)의 하측에는 탱크(9)와 연결되는 압력제한유닛(8)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제한유닛(8)은 개방이 되도록 미리 설정이 되고/되거나 조정된 개구 압력을 갖는다. 이 압력제한유닛(8)은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축압기(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력제한유닛(8)의 개구 압력은 레벨 제어 섀시의 높이를 완전히 낮출 수 있도록 설정(섀시의 고위치로부터 섀시의 저위치에 이르는 최대 스트로크)이 될 수 있다(이와 반대로 섀시를 고위치로 높이는 설정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압력제한유닛(8)은 조절가능한/조정된 개구 압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탑재하중에 따라서 개구 압력이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댐퍼장치(10)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댐퍼장치(10)는 체크 밸브(6)를 경유하여 컨테이너 튜브(2)에 연결되는 축압기(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축압기(5)는 압력제한유닛(8)에 연결이 되는데, 압력제한유닛(8)은 또 탱크(9)에 연결이 됨으로써, 축압기(5) 안의 예정 압력이 과도해지는 경우 과잉의 감쇠 유체가 탱크(9)로 유입이 된다. 유압 밸브(8)와 탱크(9) 사이에는 스로틀 유닛(82) 및/또는 오리피스 유닛(83)이 배치된다. 상기 댐퍼장치(10)는 탱크(9)와 컨테이너 튜브(2) 사이에 추가적인 체크 밸브(13)를 포함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술한 댐퍼장치(10)에 대한 두 개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변형예들은 하나의 펌프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의 예에 따르면, 상부 컨테이너 공간(21)과 하부 컨테이너 공간(22)을 연결하는 튜브 분기관(231)에 설치되는 펌프(23)를 구비한 펌프 유닛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펌프(23)를 작동시키면, 예컨대 정차 중인 경우에서와 같이, 진동 떨림 조차 없이 깊이 수준/높이 수준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서 댐퍼장치(10)는 (전기) 제어 유닛(241)을 구비한 공압식(또는 유압식) 펌프(24)를 포함하고 있다.
도 5에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댐퍼장치(10)는 추가적인 (예를 들면 스프링부하식)체크 밸브(61)와, 추가적인 축압기(51) 및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전환식)압력제한유닛(8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추가적인 체크 밸브(61)는 축압기(5)와 압력제한유닛(8) 사이에 배치된다. 추가적인 체크 밸브(61)는 압력제한유닛(8) 보다 낮은 압력에서 개방이 된다. 추가적인 체크 밸브(61)는 상기 추가적인 축압기(51)와 인접하는 데 이어서 추가적인 압력제한유닛(81)와 연결된다. 추가적인 압력제한유닛(81)은 상부 컨테이너 공간(21)에 연결이 된다. 추가적인 축압기(51)로 인해, 에너지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섀시(100)와 관련한 본 발명의 형태가 도 6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는 두 개의 댐퍼장치(10)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도시되지 않음)의 차축(앞차축 또는 뒤차축)이 구현될 수 있다. 두 개의 축압기(5)가 스로틀 유닛(82)(오리피스 유닛으로 대체되거나 추가됨)을 경유하여 서로 유체흐름이 가능하게 연결이 된다. 이러한 구조는 균일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데, 모든 댐퍼장치에서 일정한 레벨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각의 탱크(9)가 서로 유체흐름이 가능하게 연결이 됨으로써, 감쇠 유체가 교환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표현된 것처럼, 탱크(9)들은 서로 스로틀 유닛(82)을 경유하여 연결이 된다.
1 : 유압 실린더 2 : 컨테이너 튜브
21 : 상부 컨테이너 공간 22 : 하부 컨테이너 공간
3 : 피스톤 31 : 피스톤 로드
41 : 제1밸브 5 : 축압기
6 : 체크 밸브 7 : 스프링
8 : 압력제한유닛 82 : 스로틀 유닛
83 : 오리피스 유닛 9 : 탱크
10 : 댐퍼장치 100 : 섀시

Claims (15)

  1.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의 섀시(100)용 댐퍼장치(10)로서, 감쇠 유체가 충전됨과 아울러 상부 컨테이너 공간(21)과 하부 컨테이너 공간(22)을 구분하면서 작동이 가능하게 피스톤(3)이 설치된 컨테이너 튜브(2)를 구비하는 유압 실린더(1)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3)은 상기 피스톤(3)이 제1방향(A)으로 작동할 때 상기 감쇠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제1밸브(41)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장치(10)는 축압기(5)와 체크 밸브(6)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축압기(5)는 상기 체크 밸브(6)를 경유하여 상기 컨테이너 튜브(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피스톤(3)이 어느 일방향으로 작동하면 상기 감쇠 유체가 상기 체크 밸브(6)를 통해 상기 축압기(5) 안으로 주입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기(5)는 상기 체크 밸브(6)를 경유하여 상기 컨테이너 튜브(2)의 상부 컨테이너 공간(21)에 연결이 됨으로써, 상기 피스톤(3)이 피스톤 로드(31)의 방향으로 작동할 때 상기 감쇠 유체가 상기 체크 밸브(6)를 통과하여 상기 축압기(5) 안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31)는 스프링(7)에 의하여 상기 컨테이너 튜브(2)를 상대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장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4.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기(5)는 압력제한유닛(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탱크(9)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제한유닛(8)은 상기 축압기(5)와 상기 탱크(9)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댐퍼장치(10)는 상기 탱크(9)와 상기 컨테이너 튜브(2) 사이에 추가적인 스위칭 밸브(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9)는 무압력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7.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기(5)는 공압식 축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기(5)는 기계식 축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한유닛(8)은 설정된 개구 압력을 갖는 방식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10.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한유닛(8)은 조정 가능한 개구 압력을 갖는 방식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한유닛(8)은 스로틀 유닛(82) 및/또는 오리피스 유닛(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12.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체크 밸브(61)와, 추가적인 축압기(51) 및 추가적인 압력제한유닛(8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13.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23), 특히 유압 펌프 또는 공압 펌프(24)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14.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댐퍼 유닛(10)을 복수 개 구비하되, 각각의 댐퍼 유닛(10)이 축압기(5)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두 개의 댐퍼 유닛(10)이 단일한 축압기(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100).
  15. 상기 청구항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섀시(100)로서, 상기 축압기(5) 및 상기 무압력 탱크(9)는 각각 밸브, 스로틀 또는 오리피스를 경유하여 유압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KR1020207034674A 2018-05-07 2019-05-03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KR102536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0916.4 2018-05-07
DE102018110916.4A DE102018110916A1 (de) 2018-05-07 2018-05-07 Dämpfereinheit für ein Fahrwerk von einem Fahrzeug mit Niveauregelung
PCT/DE2019/100396 WO2019214770A1 (de) 2018-05-07 2019-05-03 Dämpfereinheit für ein fahrwerk von einem fahrzeug mit niveaurege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07A true KR20210002707A (ko) 2021-01-08
KR102536091B1 KR102536091B1 (ko) 2023-05-26

Family

ID=6654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674A KR102536091B1 (ko) 2018-05-07 2019-05-03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70034B2 (ko)
EP (1) EP3790747A1 (ko)
KR (1) KR102536091B1 (ko)
CN (1) CN112243413A (ko)
DE (1) DE102018110916A1 (ko)
WO (1) WO201921477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746A (en) * 1972-12-28 1975-11-25 Alexander J Lewus Auxiliary powe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2014532580A (ja) * 2011-11-01 2014-12-08 テネコ オートモティブ オペレーティング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エネルギーを獲得する、受動的及び能動的なサスペンション
JP2015536861A (ja) * 2012-10-25 2015-12-24 テネコ オートモティブ オペレーティング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回復する受動的なおよび能動的なサスペンション
CN107116984A (zh) * 2017-04-27 2017-09-01 江苏大学 一种整车液压互联馈能悬架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30531C3 (de) * 1965-01-12 1974-03-1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Hydropneumatische Zusatzfederung mit Niveauregelung für Fahrzeuge
US4295538A (en) * 1974-03-21 1981-10-20 Lewus Alexander J Auxiliary powe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DE2830075A1 (de) 1978-07-08 1980-01-17 Fichtel & Sachs Ag Energieumwandler
EP0461981A3 (en) * 1990-06-13 1993-08-04 Messier Bugatti Spring-damper unit with variable stroke for a vehicle
CN1242891C (zh) * 2002-11-08 2006-02-22 刘艳阳 汽车制动能和车轮振动能利用装置
US7686309B2 (en) * 2004-07-30 2010-03-30 Kinetic Pty. Ltd. Hydraulic system for a vehicle suspension
SE531618C2 (sv) 2006-02-23 2009-06-09 Oehlins Racing Ab Elektrisk styrd trycksatt dämpare
JP2011025901A (ja) * 2009-07-21 2011-02-10 Atsuo Morikawa サスペンション油圧発電システム
CN201472099U (zh) * 2009-09-03 2010-05-19 三一集团有限公司 一种集装箱吊运车辆
DE102009056874A1 (de) * 2009-12-03 2010-07-22 Daimler Ag Federdämpf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11084089A1 (de) * 2011-10-06 2013-04-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Radaufhängung mit einem hydraulischen Schwingungs-Dämpfer
DE102012106185B3 (de) * 2012-07-10 2013-11-21 Fsp Fluid Systems Partners Holding Ag Steueranordnung für ein hydropneumatisches Federungssystem sowie hydropneumatisches Federungssystem mit einer solchen Steueranordnung
CN202847366U (zh) * 2012-08-22 2013-04-03 陈传裕 车辆避震能量回收利用装置
US8814178B2 (en) * 2012-11-14 2014-08-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uspension systems
US9481221B2 (en) * 2013-01-08 2016-11-0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assive and active suspension with optimization of energy usage
DE102014208320A1 (de) * 2014-05-05 2015-1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ktives Dämpfersystem für ein Fahrzeug
CN104373497B (zh) * 2014-10-17 2017-02-15 武汉理工大学 一种并联式液电馈能悬架系统
CN104608574B (zh) * 2014-12-03 2017-05-31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车辆抗侧翻悬架装置
CN104476997B (zh) * 2014-12-29 2016-09-07 湖南大学 一种连通式液压馈能悬架系统
WO2016198919A1 (ru) 2015-06-12 2016-12-15 Леонид ЧЕРНИН Регенеративная амортиз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CN204961669U (zh) * 2015-06-15 2016-01-13 万向钱潮股份有限公司 液电馈能式半主动控制减振器系统
CN105539060B (zh) * 2015-12-22 2017-10-20 江苏大学 一种液压互联式悬架
US10214071B1 (en) * 2016-05-28 2019-02-26 PAL Suspension LLC Vehicle suspension system with multi-stage hydraulic cylinder assemblies and external spring packs
CN106114111B (zh) * 2016-06-24 2018-10-09 江苏大学 一种含有驾驶行为预测模型的可调阻尼馈能悬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183686B (zh) 2016-08-01 2018-12-14 江苏大学 一种油气主动互联馈能悬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746A (en) * 1972-12-28 1975-11-25 Alexander J Lewus Auxiliary powe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2014532580A (ja) * 2011-11-01 2014-12-08 テネコ オートモティブ オペレーティング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エネルギーを獲得する、受動的及び能動的なサスペンション
JP2015536861A (ja) * 2012-10-25 2015-12-24 テネコ オートモティブ オペレーティング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回復する受動的なおよび能動的なサスペンション
CN107116984A (zh) * 2017-04-27 2017-09-01 江苏大学 一种整车液压互联馈能悬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70034B2 (en) 2024-04-30
US20210331544A1 (en) 2021-10-28
DE102018110916A1 (de) 2019-11-07
WO2019214770A1 (de) 2019-11-14
CN112243413A (zh) 2021-01-19
EP3790747A1 (de) 2021-03-17
KR102536091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5221B2 (en) Load dependent damper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9937832B2 (en) Vehicle seat or vehicle cabin having a suspension apparatus and utility vehicle
US9580115B2 (en) Vehicle seat or vehicle cab with a suspension system, and utility vehicle
US9079469B2 (en) Air spring and damper unit with height adjustment
KR101673641B1 (ko) 차량용 쇽업소버
US5263559A (en) Damping system for a shock absorber having a one-way check valve
JP4852428B2 (ja) 電子制御された振動数依存ダンパ
US8215620B2 (en) Self-pumping ride level control system
US7568562B2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pring strut
US20090283942A1 (en) Vibration transmission damping apparatus
CN108999911B (zh) 具有组合的气体弹簧和阻尼器的支杆组件
KR20080112978A (ko) 피스톤-실린더 유닛
KR102536091B1 (ko)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섀시용 댐퍼장치
US8146721B2 (en) Self leveling shock absorber
JP2019048546A (ja) 作業車両のキャビン制振システム
US3304077A (en) Suspension unit
KR102313497B1 (ko) 유체를 이용한 차량용 높이조절식 현가장치
US3554524A (en) Hydropneumatic suspension and damping devices having level regulation for use in motor vehicles
KR102486887B1 (ko) 유압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
JPH05162525A (ja) 車高調整装置
KR100759931B1 (ko)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CN104175830B (zh) 具有减振和调平双功能的汽车底板自动调平系统
CN107850162B (zh) 液压式单筒伸缩阻尼减震器
US3456940A (en) Hydropneumatic strut
KR102437629B1 (ko) 유체와 압력탱크를 이용한 차량용 서스펜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