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651A - 밀폐형 압축기, 및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및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651A
KR20210002651A KR1020207033985A KR20207033985A KR20210002651A KR 20210002651 A KR20210002651 A KR 20210002651A KR 1020207033985 A KR1020207033985 A KR 1020207033985A KR 20207033985 A KR20207033985 A KR 20207033985A KR 20210002651 A KR20210002651 A KR 2021000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tainer
cylinder
protruding
hermetic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373B1 (ko
Inventor
나츠키 이가키
야스시 아카호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4C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04C2230/231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B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05B2230/232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2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involvin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 용기와, 밀폐 용기 내에 수용된 중공의 실린더와, 편심 회전하는 롤링 피스톤과, 실린더 내의 공간을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분하는 베인과, 베인을 롤링 피스톤의 배치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과,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스프링의 신축방향을 규정하는 통형상의 스프링 가이드와,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며, 밀폐 용기와 동시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 스프링 가이드를 수용하는 돌출 용기를 구비하고, 실린더에는 스프링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가이드는, 한쪽의 단부가 실린더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중공부가 삽입 구멍과 연통되어 있고, 다른쪽의 단부가 바닥 덮개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으며, 스프링은, 롤링 피스톤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베인의 배면측 단부와, 바닥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 및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 냉장고 또는 냉동기 등의 냉동 사이클에 이용되는 밀폐형 압축기, 및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에는, 회전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조합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가 있다. 이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 내에 피스톤이 수용되며, 스프링에 의해 부세된 베인이 피스톤에 접촉되며 실린더 내에 압축실을 구성한다. 베인을 부세하는 스프링은 실린더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 구멍 내에 수납되며, 실린더에 의해 스프링이 보지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링이 실린더에 의해 보지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베인 배면과 밀폐 용기의 간격이 좁다. 그 때문에, 베인이 왕복 운동의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에, 스프링의 전체 길이는 거의 스프링의 밀착 길이까지 도달하고, 스프링에 생기는 응력이 커져, 스프링이 피로 파괴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스프링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하기 위해서, 밀폐 용기에 돌출 용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의 장착 간격을 길게 한 밀폐형 압축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최근에는 밀폐형 압축기의 스트로크 볼륨(stroke volume)이 확대되어 있어, 베인을 미끄럼운동시키는 스프링의 신축대(expansion and contraction allowance)가 제한되기 때문에, 베인을 미끄럼운동시키는 스프링의 신축대의 확보가 점점 중요하게 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소63-16189 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용기를 마련하고, 이 돌출 용기 내에 스프링을 배치한 구성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 용기와 실린더의 조립 정밀도가 나쁘면, 스프링과 베인의 위치 관계에 어긋남이 생기고, 예를 들면 스프링의 신축시에 스프링에 비틀림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어, 스프링이 설계대로 신축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베인을 미끄럼운동시키는 스프링의 신축대를 확보하면서, 스프링과 베인의 위치 관계의 정밀도를 확보하는 밀폐형 압축기, 및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 용기와, 밀폐 용기 내에 수용된 중공의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주벽(inner peripheral wall)을 따라서 편심 회전하는 롤링 피스톤과, 롤링 피스톤의 외주벽(outer peripheral wall)에 접촉되며, 실린더 내의 공간을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분하는 베인과, 베인을 롤링 피스톤의 배치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과,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스프링의 신축방향을 규정하는 통형상의 스프링 가이드와,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며, 밀폐 용기와 동시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 스프링 가이드를 수용하는 돌출 용기를 구비하고, 실린더에는, 스프링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가이드는, 한쪽의 단부가 실린더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중공부가 삽입 구멍과 연통되어 있고, 다른쪽의 단부가 바닥 덮개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으며, 스프링은, 롤링 피스톤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베인의 배면측 단부와, 바닥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스프링의 신축방향을 규정하는 통형상의 스프링 가이드를 갖는다. 이 스프링 가이드는, 한쪽의 단부가 실린더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중공부와 실린더에 형성된 스프링의 삽입 구멍이 연통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단부가 바닥 덮개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은 롤링 피스톤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베인의 배면측 단부와, 바닥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밀폐형 압축기는 스프링이, 베인의 배면측 단부와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스프링 가이드의 바닥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베인의 배면측 단부와 밀폐 용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보다도 스프링의 신축대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는 스프링 가이드를 실린더에 직접 고정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에 대한 스프링의 보지 부품이 스프링 가이드만이 되어, 스프링과 베인 사이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 기구부에 있어서의 상부 실린더의 A-A선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돌출 용기의 변형예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00) 및 밀폐형 압축기(110)에 대하여 도면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을 포함하는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상대적인 치수의 관계 및 형상 등이 실제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것은 동일 또는 이것에 상당하는 것이며, 이것은 명세서의 전문에 있어서 공통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 "우", "좌", "전", "후" 등)를 적절히 이용하지만, 그들의 표기는 설명의 편의상, 그와 같이 기재하고 있을 뿐이며, 장치 혹은 부품의 배치 및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밀폐형 압축기(10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00)의 종단면도이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장치, 냉장고, 냉동기, 자동 판매기, 급탕기 등에 이용되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압축실을 2개 구성하는 트윈 로터리식의 압축기이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밀폐 용기(10)와, 밀폐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전동 기구부(20) 및 압축 기구부(30)를 갖는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100)는 밀폐 용기(10)의 외부에 어큐뮬레이터(13)를 가지며, 밀폐 용기(10)와 어큐뮬레이터(13)를 접속하는 흡입관(11)을 갖는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100)는 후술하는 베인(35)을 부세하는 스프링(36)을 수납하는 돌출 용기(50)를 갖는다.
(밀폐 용기(10))
밀폐 용기(10)는 밀폐형 압축기(100)의 외곽을 구성한다. 밀폐 용기(10)는 대략 원통형상의 중부 용기(10a)와, 중부 용기(10a)의 상부의 개구를 폐색하는 상부 용기(10b)와, 중부 용기(10a)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하는 하부 용기(1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밀폐 용기(10)는 중부 용기(10a)의 상방의 개구부에 상부 용기(10b)가 끼워지고, 중부 용기(10a)의 하방의 개구부에 하부 용기(10c)가 끼워져 밀폐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중부 용기(10a)에는, 어큐뮬레이터(13)를 거쳐서 흡입관(11)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부 용기(10b)에는, 토출관(12)이 접속되어 있다. 흡입관(11)은 어큐뮬레이터(13)를 거쳐서 흡입하는 가스 냉매(저온 저압)를 압축 기구부(30) 내에 송입하기 위한 접속관이다. 토출관(12)은 압축 기구부(30)에 의해 압축된 밀폐 용기(10) 내의 가스 냉매(고온 고압)를, 밀폐 용기(10)의 외부에 토출시키기 위한 접속관이다. 밀폐 용기(10)는 대좌(14)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 용기(10c)는 대좌(14)에 고정되어 있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통상의 설치 상태에서는 볼트 등에 의해 대좌(14)가 설치 장소에 고정된다.
(전동 기구부(20))
전동 기구부(20)는 밀폐 용기(10)의 내부에 있어서, 회전축(32)을 회전시키는 회전 운동을 발생시킨다. 전동 기구부(20)는 밀폐 용기(10) 내에 있어서 압축 기구부(3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 기구부(20)는, 중부 용기(10a)의 내주벽에 고정된 고정자(21)와, 고정자(21)의 내주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회전자(22)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자(21)는 예를 들면, 수축 끼워맞춤, 용접 등 각종 고정 방법에 의해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22)의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32)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자(21)는 밀폐형 압축기(10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자(22)를 회전시킨다.
(압축 기구부(30))
압축 기구부(30)는 밀폐 용기(10)에 수용되며, 밀폐 용기(10) 내에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것이다. 압축 기구부(30)는 전동 기구부(20)의 하방에 배치되며, 중부 용기(10a)에 고정되어 있다. 압축 기구부(30)는 대략 원통형상의 실린더(31)를 갖는다. 압축 기구부(30)는 또한, 회전축(32)과, 롤링 피스톤(33)과, 베인(35)과, 스프링(36)과, 상부 베어링(38)과, 하부 베어링(39)과, 칸막이 판(37)과, 스프링 가이드(40)와, 돌출 용기(50)를 구비하고 있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압축 기구부(30)에 있어서, 밀폐 용기(10) 내에 수용된 적어도 1개의 중공의 실린더(31)를 갖는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실린더(31)를 가져도 좋다. 즉, 압축 기구부(3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실린더(31A) 및 하부 실린더(31B)의 복수의 실린더(31)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실린더(31)는 상부 실린더(31A), 하부 실린더(31B) 등 복수의 실린더의 총칭이다. 밀폐 용기(10) 내에 있어서, 대략 원통형상의 상부 실린더(31A)는, 대략 원통형상의 하부 실린더(31B)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실린더(31A)의 상부에는, 상부 베어링(38)이 상부 실린더(31A)의 상단면에 접하여 배치되며, 상부 베어링(38)이 상부 실린더(31A)의 상단면을 폐색한다. 하부 실린더(31B)의 하부에는, 하부 베어링(39)이 하부 실린더(31B)의 하단면에 접하여 배치되며, 하부 베어링(39)이 하부 실린더(31B)의 하단면을 폐색한다. 칸막이 판(37)은 상부 실린더(31A)와 하부 실린더(31B)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 실린더(31A)의 하단면과, 하부 실린더(31B)의 상단면을 폐색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압축 기구부(30)에 있어서의 상부 실린더(31A)의 A-A선 단면 모식도이다. 단, 도 2는 A-A선 단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 및 도 1을 이용하여, 압축 기구부(30)의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한다. 또한, 상부 실린더(31A)에 있어서의 롤링 피스톤(33)과, 베인(35)과, 스프링(36)의 관계와, 하부 실린더(31B)에 있어서의 롤링 피스톤(33)과, 베인(35)과, 스프링(36)의 관계는 동일하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부 실린더(31A)와 하부 실린더(31B)를 별도로 설명하는 것이 아닌, 상부 실린더(31A)와 하부 실린더(31B)의 총칭인 실린더(31)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실린더(31) 내에 배치되어 있는 편심부(32a)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실린더(3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주벽부peripheral wall section)(31b)를 가지며, 회전축(32)과 동심의 실린더실(31d)을 주벽부(31b)의 내주벽(31b1)에 의해 형성한다. 주벽부(31b)의 내측에는 롤링 피스톤(33)이 배치되고, 주벽부(31b)의 내주벽(31b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롤링 피스톤(33)의 외주벽(33a)과 대향한다. 실린더(31)의 주벽부(31b)에는, 내주벽(31b1)으로부터 외주벽(31f)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으로 베인 홈(3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인 홈(31e)에는, 베인(35)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실(31d)은 베인(35)에 의해, 흡입 구멍(34)에 통하는 흡입실(31d1)과, 토출 구멍(34B)에 통하는 압축실(31d2)로 구분되어 있다. 즉, 실린더(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실(31d1)과 압축실(31d2)을 구성하는 실린더실(31d)을, 실린더(31)의 내주벽(31b1)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형성한다.
실린더(31)의 주벽부(31b)에는, 베인 홈(31e)과 실린더(31)의 외주벽(31f) 사이에 있어서, 스프링(36)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31g)이, 실린더(31)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31g)에는, 베인(35)을 롤링 피스톤(33)의 배치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36)이 외주벽(31f)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삽입 구멍(31g)은 실린더(31)의 외주벽(31f)측에 형성된 외주측 삽입 구멍(31g2)과, 실린더(31)의 내주벽(31b1)측, 즉, 베인 홈(31e)측에 형성된 내주측 삽입 구멍(31g1)을 갖고 있다. 외주측 삽입 구멍(31g2) 및 내주측 삽입 구멍(31g1)의 단면형상은 모두 원형상이다. 외주측 삽입 구멍(31g2)의 직경을 φD로 하고, 내주측 삽입 구멍(31g1)의 직경을 φd로 한 경우, φd는 φD보다 작다(φd〈φD). 즉, 삽입 구멍(31g)은 실린더(31)의 외주벽(31f)측으로부터 내주벽(31b1)측을 향하며, 상기 삽입 구멍(31g)의 중심축방향으로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부분을 갖고 있다. 삽입 구멍(31g)은 외주벽(31f)과 베인 홈(31e)의 사이에서, 베인 홈(31e)측일수록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주측 삽입 구멍(31g2)의 중심축과 내주측 삽입 구멍(31g1)의 중심축은 동축이며, 양 중심축은 지면에 수직으로 연신하는 회전축(32)의 중심축(C)과 교차하고 있다.
실린더(31)의 주벽부(31b)에는, 베인 홈(31e)을 둘레 방향으로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흡입 구멍(34) 및 토출 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실린더(31A)의 흡입 구멍(34)에는 흡입관(11A)이 접속되고, 하부 실린더(31B)의 흡입 구멍(34)에는 흡입관(11B)이 접속된다. 또한, 상술한 흡입관(11)은 흡입관(11A) 및 흡입관(11B)의 총칭이다. 토출 구멍(34B)은 실린더(31)의 내주벽(31b1)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베어링(38)에 형성된 토출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밀폐 용기(10) 내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회전축(3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의 한쪽의 단부측에 직경 방향의 일방향으로 편심된 편심부(32a)를 갖고 있다. 또한, 회전축(32)은 축방향의 다른쪽의 단부측이 전동 기구부(20)의 회전자(22)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32)은 상부 베어링(38)과 하부 베어링(3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자(22)와 동시에 회전한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기구부(30)에 있어서, 실린더(31)의 내주벽(31b1)을 따라서 편심 회전하는 롤링 피스톤(33)을 갖는다. 롤링 피스톤(33)은 회전축(32)의 중심축(C)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있으며, 회전축(32)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실린더실(31d) 내에서 회전축(32)의 편심부(32a)에 장착되어 있다. 롤링 피스톤(33)은 회전축(32)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실(31d) 내에서 편심 회전한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기구부(30)에 있어서, 롤링 피스톤(33)의 외주벽(33a)에 접촉되며, 실린더(31) 내의 공간을 흡입실(31d1)과 압축실(31d2)로 구분하는 베인(35)을 갖는다. 베인(35)의 선단부(35a)는 스프링(36)의 부세력에 의해, 롤링 피스톤(33)의 외주벽(33a)과 접촉된다. 롤링 피스톤(33)의 외주벽(33a)에는 베인(35)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하고 있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기구부(30)에 있어서, 베인(35)을 롤링 피스톤(33)의 배치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36)을 갖는다. 스프링(3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3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롤링 피스톤(33)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베인(35)의 배면측 단부(35b)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36)은 후술하는 스프링 가이드(4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36)은 스프링 가이드(40)의 중공부(40e) 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36)은 압축시켜 반력을 이용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원통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스프링(36)은 원통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원통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프링(36)은 스프링 가이드(40)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 스프링(36)의 자유 길이 방향에 있어서, 코일 외경이 동일한 크기의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스프링 가이드(40)가 수직 단면이며 타원형상의 것이면, 스프링(36)에는 타원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스프링(36)은 자유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36b)가 스프링 가이드(40)의 바닥 덮개부(40c)에 고정되며, 다른쪽의 단부(36a)가 베인(35)의 배면측 단부(35b)에 장착되어 있다. 즉, 스프링(36)은 롤링 피스톤(33)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베인(35)의 배면측 단부(35b)와, 스프링 가이드(40)의 바닥 덮개부(40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기구부(30)에 있어서, 밀폐 용기(10)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스프링(36)을 수용하는 중공부(40e)를 형성하고, 스프링(36)의 신축방향을 규정하는 통형상의 스프링 가이드(40)를 갖는다. 스프링 가이드(40)는 스프링(36)을 내부에 수용하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스프링 가이드(40)는 한쪽의 단부(40a)가, 실린더(31)의 외주벽(31f)에 형성된 삽입 구멍(31g)에 삽입되고 실린더(31)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가이드(40)는 한쪽의 단부(40a)가, 삽입 구멍(31g)의 외주측 삽입 구멍(31g2)에 삽입되며 실린더(31)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실린더(31A) 및 하부 실린더(31B)의 복수의 실린더(31)에는, 스프링 가이드(40)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가이드(40)의 단부(40a)의 단면은, 삽입 구멍(31g)의 외주측 삽입 구멍(31g2)과 내주측 삽입 구멍(31g1)의 단차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스프링 가이드(40)는 예를 들면, 실린더(31)의 외주측 삽입 구멍(31g2)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실린더(31)의 외주측 삽입 구멍(31g2)에는 시일관(31h)이 압입된다. 시일관(31h)은 원통형상의 관이다. 시일관(31h)의 외경은 시일관(31h)이 외주측 삽입 구멍(31g2)에 압입되기 전 상태에서, 외주측 삽입 구멍(31g2)의 내경과 비교하여 굵다. 또한, 시일관(31h)에는 스프링 가이드(40)의 단부(40a)가 압입된다. 스프링 가이드(40)의 외경은 스프링 가이드(40)가 시일관(31h)에 압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시일관(31h)의 내경과 비교하여 굵다. 스프링 가이드(40)가 실린더(31)에 고정되면, 스프링 가이드(40)의 중공부(40e)와, 실린더(31)에 형성된 삽입 구멍(31g)의 내주측 삽입 구멍(31g1)이 연통된다. 이 때, 중공부(40e)의 내경과, 내주측 삽입 구멍(31g1)의 내경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가이드(40)는 다른쪽의 단부(40b)에는 바닥 덮개부(40c)가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 덮개부(40c)에 의해 단부(40b)측의 중공부(40e)의 개구가 폐색되어 있다. 이 스프링 가이드(40)는 돌출 용기(5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 가이드(40)는 스프링(36)의 코일 외경을 따른 내벽을 갖는다. 스프링 가이드(40)는 예를 들면, 스프링(36)이 원통 코일 스프링이면 원의 단면형상의 내벽을 가지며, 스프링(36)이 타원 코일 스프링이면 타원의 단면형상의 내벽을 가져도 좋다. 스프링 가이드(40)는 스프링(36)의 축의 어긋남이 커지지 않도록, 스프링(36)의 직경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스프링 가이드(40)는 스프링(36)의 직경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프링 가이드(40)의 내경이, 스프링(36)의 코일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즉, 스프링 가이드(40)의 내벽과, 스프링(36)의 코일 외경의 간격은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스프링(36)은 신축시에 스프링 가이드(40)의 내벽에 가이드되는 것에 의해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인 홈(31e) 내에 배치된 베인(35)은 실린더(31)의 내벽을 따라서 미끄럼운동하기 때문에, 실린더(31)에 대하여 스프링(36)을 보지하는 부품의 수가 증가할수록, 스프링(36)과 베인(35) 사이의 위치 정밀도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스프링 가이드(40)를 실린더(31)에 직접 고정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31)에 대하여 스프링(36)을 보지하는 부품이 스프링 가이드(40)만이 되어, 스프링(36)과 베인(35) 사이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가이드(40)와 상부 실린더(31A)를 접합할 수 있도록,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에는 적어도 스프링 가이드(40)의 외경의 크기의 직경을 갖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프링 가이드(40)와 하부 실린더(31B)를 접합할 수 있도록,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에는, 적어도 스프링 가이드(40)의 외경의 크기의 직경을 갖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혹은, 스프링 가이드(40)와 상부 실린더(31A)를 접합할 수 있도록, 또한, 스프링 가이드(40)와 하부 실린더(31B)를 접합할 수 있도록,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에 1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폐 용기(10)로부터 돌출되며, 밀폐 용기(10)에 접합되어 밀폐 용기(10)와 동시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 스프링 가이드(40)를 수용하는 돌출 용기(50)를 갖는다. 돌출 용기(50)는 통형상부(51)와 돌출 용기 덮개(52)를 갖는다. 통형상부(51)는 스프링 가이드(40)를 중공부(50e) 내에 수용하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돌출 용기(50)의 통형상부(51)는 한쪽의 단부(50a)가,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돌출 용기(50)의 통형상부(51)는 다른쪽의 단부(50b)에는 돌출 용기 덮개(52)가 배치되어 있다. 돌출 용기 덮개(52)는, 통형상부(51)의 밀폐 용기(10)와 고정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50b)를 폐색한다. 통형상부(51)는, 돌출 용기 덮개(52)에 의해 단부(50b)측의 중공부(50e)의 개구가 폐색되어 있다.
돌출 용기(5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실린더(31A)에 고정된 스프링 가이드(40)와 동시에, 하부 실린더(31B)에 고정된 스프링 가이드(40)도 통형상부(51)의 중공부(50e)에 수용한다. 즉, 돌출 용기(50)는 상부 실린더(31A)에 고정된 스프링 가이드(40)와, 하부 실린더(31B)에 고정된 스프링 가이드(40)의 복수의 스프링 가이드(40)를 1개의 돌출 용기(50) 내에 수용한다. 돌출 용기(50)는 통형상부(51)와, 돌출 용기 덮개(52)와, 실린더(31)와, 스프링 가이드(40)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밀폐 공간으로 되어 있다. 혹은, 돌출 용기(50)는 통형상부(51)와, 돌출 용기 덮개(52)와, 실린더(31)와, 스프링 가이드(40)와, 중부 용기(10a)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밀폐 공간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밀폐형 압축기(100)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돌출 용기(50)의 밀폐 용기(10)로의 장착은 이하의 순서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용기(50)의 밀폐 용기(10)로의 장착 공정을 개시하면, 외곽을 구성하는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에 밀폐 용기(10)로부터 돌출되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통형상부(51)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실행한다(단계 S1). 다음에, 롤링 피스톤(33)이 수용되는 중공의 실린더(31)를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 내에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 공정을 실행한다(단계 S2). 다음에, 실린더(31) 내에 형성된 베인 홈(31e)에 베인(35)을 배치하는 베인 배치 공정을 실행한다(단계 S3). 다음에, 베인(35)을 롤링 피스톤(33)의 배치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36)의 신축방향을 규정하는 통형상의 스프링 가이드(40)를 통형상부(51)의 중공부(50e)로부터 삽입하고 실린더(31)에 고정하는 스프링 가이드 고정 공정을 실행한다(단계 S4). 다음에, 스프링(36)을 스프링 가이드(40)에 삽입하고, 스프링(36)의 일단을 베인(35)과 접촉시켜 타단을 스프링 가이드(40)의 바닥 덮개부(40c)에 고정하는 스프링 장착 공정을 실행한다(단계 S5). 마지막으로, 통형상부(51)의 밀폐 용기(10)와 장착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50b)와, 돌출 용기 덮개(52)를 접합하여 통형상부(51) 내를 밀폐하는 폐색 공정을 실행한다(단계 S6). 단계 S1 내지 단계 S6의 공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돌출 용기(50)의 밀폐 용기(10)로의 장착 공정이 종료된다. 돌출 용기(50)의 밀폐 용기(10)로의 장착을 이상과 같이 실행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 가이드(40) 및 스프링(36)의 열변형(thermal strain)을 방지하고, 돌출 용기(50) 내를 밀폐할 수 있다.
접합 공정(단계 S1)에 있어서, 돌출 용기(50)의 통형상부(51)와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는, 돌출 용기(50)를 철제 부재로 하는 것에 의해,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폐색 공정(단계 S6)에서는, 예를 들면, 철제 부재로 구성된 통형상부(51)와 철제 부재로 구성된 돌출 용기 덮개(52)가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혹은, 폐색 공정(단계 S6)에서는 예를 들면, 돌출 용기 덮개(52)를 동제(copper) 부재 또는 구리 도금을 실시한 철제 부재로 하는 것에 의해, 통형상부(51)와, 돌출 용기 덮개(52)가 경납땜에 의해 접합된다. 경납땜은 예를 들면, 고주파 경납땜 등의 저입열인 접합 방법에 의해 실행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돌출 용기(50)의 변형예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51)는 전방 통형상부(51a)와 후방 통형상부(51b)의 2개로 분할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전방 통형상부(51a)와 후방 통형상부(51b)는 스프링 가이드(40)를 중공부(50e) 내에 수용하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돌출 용기(50)의 전방 통형상부(51a)는 한쪽의 단부(50a)가,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단부(50c)에는 후방 통형상부(51b)의 단부(50d)가 끼워맞추어져 접속되어 있다. 전방 통형상부(51a)는, 단부(50a)를 향하여 주벽의 두께가 얇아져, 선단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 용기(50)의 후방 통형상부(51b)는, 한쪽의 단부(50b)가 전방 통형상부(51a)의 단부(50c)와 끼워맞추어져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단부(50b)에는 돌출 용기 덮개(52)가 배치되어 있다. 돌출 용기(50)의 후방 통형상부(51b)는, 돌출 용기 덮개(52)에 의해 단부(50b)측의 중공부(50e)의 개구가 폐색되어 있다.
접합 공정(단계 S1)에 있어서, 전방 통형상부(51a)를 철제 부재로 하는 것에 의해, 돌출 용기(50)의 전방 통형상부(51a)와 밀폐 용기(10)의 중부 용기(10a)는,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폐색 공정(단계 S6)에 있어서, 돌출 용기(50)의 후방 통형상부(51b)와 돌출 용기 덮개(52)는, 후방 통형상부(51b)와 돌출 용기 덮개(52)를 동제 부재로 하는 것에 의해 경납땜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후방 통형상부(51b)와 돌출 용기 덮개(52)를 접합하는 경납땜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주파 경납땜, 혹은, 가스 경납땜 등이 있다. 전방 통형상부(51a)와 후방 통형상부(51b)는 전방 통형상부(51a)를 철제 부재로 하고, 후방 통형상부(51b)를 동제 부재로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노중 경납땜(furnace brazing) 등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후방 통형상부(51b)와 돌출 용기 덮개(5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철제 부재로 하고, 철제 부재에 구리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후방 통형상부(51b)와 돌출 용기 덮개(52)의 양쪽을 동제 부재로 하는 경우보다 돌출 용기(5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후방 통형상부(51b)와 돌출 용기 덮개(52)의 양쪽을 철제 부재로 한 경우에는, 후방 통형상부(51b)와 돌출 용기 덮개(52)와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도 있다.
[밀폐형 압축기(100)의 동작]
다음에,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밀폐형 압축기(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밀폐형 압축기(100)는 전동 기구부(2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2)이 회전하면, 회전축(32)과 동시에 실린더(31) 내의 롤링 피스톤(33)도 회전한다. 롤링 피스톤(33)은 편심적으로 회전하고, 롤링 피스톤(33)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촉된 베인(35)이 롤링 피스톤(33)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 운동한다. 이 때, 가스 냉매는 흡입관(11)을 거쳐서 압축 기구부(30)의 흡입 구멍(34)으로부터 실린더(31)의 내주벽(31b1), 롤링 피스톤(33) 및 베인(35)에 의해 둘러싸인 실린더실(31d) 내에 들어간다. 그리고, 실린더실(31d) 내의 가스 냉매는, 롤링 피스톤(33)의 회전에 수반하여 압축실(31d2) 내의 용적이 작아짐에 따라서 압축되어 간다.
압축 기구부(30)에 있어서의 압축 공정에 있어서, 베인(35)의 선단부(35a)는 스프링(36)의 부세력에 의해, 롤링 피스톤(33)의 외주벽(33a)과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베인(35)은 롤링 피스톤(33)의 편심적인 회전에 수반하여, 베인 홈(31e) 내에서 실린더(31)의 직경 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한다. 이 때, 스프링(36)은 스프링 가이드(40)의 내벽을 따라서 신축 변형되고, 스프링(36)의 신축방향이 스프링 가이드(40)의 내벽에 의해 가이드된다.
압축실(31d2)에서 압축된 가스 냉매는, 상부 베어링(38)에 마련된 토출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된다.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주회하고 있는 가스 냉매는, 회전자(22)에 마련된 가스 구멍(도시하지 않음)과, 고정자(21)와 회전자(22) 사이의 간극을 각각 통하여 밀폐 용기(10) 내의 상부에 도달하고, 토출관(12)으로부터 밀폐 용기(10)의 외부의 냉매 회로 내로 토출된다.
이상과 같이 밀폐형 압축기(100)는 밀폐 용기(10)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스프링(36)을 수용하는 중공부(40e)를 형성하고, 스프링(36)의 신축방향을 규정하는 통형상의 스프링 가이드(40)를 갖는다. 이 스프링 가이드(40)는 한쪽의 단부(40a)가 실린더(31)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중공부(40e)와 실린더(31)에 형성된 스프링(36)의 삽입 구멍(31g)이 연통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단부(40b)가 바닥 덮개부(40c)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36)은 롤링 피스톤(33)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베인(35)의 배면측 단부(35b)와, 밀폐 용기(10)로부터 돌출되는 스프링 가이드(40)의 바닥 덮개부(40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밀폐형 압축기(100)의 스프링(36)은, 베인(35)의 배면측 단부(35b)와, 밀폐 용기(10)로부터 돌출되는 스프링 가이드(40)의 바닥 덮개부(40c)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배면측 단부(35b)와 밀폐 용기(10) 사이에 배치되는 것보다 신축대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100)는, 스프링 가이드(40)를 실린더(31)에 직접 고정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31)와 스프링(36) 사이의 보지 부품이 스프링 가이드(40)만이 되어, 스프링(36)과 베인(35) 사이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100)는 복수의 실린더(31)를 가지며, 복수의 실린더(31)에는, 복수의 스프링 가이드(40)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돌출 용기(50)는 복수의 스프링 가이드(40)를 수용한다. 돌출 용기(50)는 복수의 스프링 가이드(40)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접합 공정(단계 S1)은 1회 실행하면 좋으며, 스프링 가이드(40)마다 접합 공정을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밀폐형 압축기(100)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돌출 용기(50)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밀폐 용기(10)에 고정되는 통형상부(51)와, 통형상부(51)의 밀폐 용기(10)와 고정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50b)를 폐색하는 돌출 용기 덮개(52)를 갖는다. 밀폐 용기(10)에 고정된 통형상부(51)로부터 스프링 가이드(40)와 스프링(36)을 장착하고, 그 후에 돌출 용기 덮개(52)로 통형상부(51)를 폐색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 가이드(40) 및 스프링(36)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돌출 용기(50) 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부(51)는 밀폐 용기에 고정되는 전방 통형상부(51a)와, 전방 통형상부(51a)와 끼워맞추고, 돌출 용기 덮개(52)가 배치되는 후방 통형상부(51b)를 갖는다. 통형상부(51)가 분할되는 것에 의해 축방향의 벽의 길이가 짧아져, 작업자는 접합 공정(단계 S1), 실린더 고정 공정(단계 S2), 스프링 가이드 고정 공정(단계 S4), 스프링 장착 공정(단계 S5)의 각 공정에 있어서 작업을 하기 쉬워진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100)의 제조 방법은 접합 공정(단계 S1)과, 실린더 고정 공정(단계 S2)과, 베인 배치 공정(단계 S3)과, 스프링 가이드 고정 공정(단계 S4)과, 스프링 장착 공정(단계 S5)과, 폐색 공정(단계 S6)을 갖는다. 작업자는, 돌출 용기(50)의 밀폐 용기(10)로의 장착을 이상과 같이 실행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 가이드(40) 및 스프링(36)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돌출 용기(50) 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100)의 제조 방법은 폐색 공정(단계 S6)에 있어서, 철제 부재로 구성된 통형상부(51)와, 철제 부재로 구성된 돌출 용기 덮개(52)가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혹은, 폐색 공정(단계 S6)에 있어서, 통형상부(51)와, 돌출 용기 덮개(52)가 경납땜에 의해 접합된다. 통형상부(51)와, 돌출 용기 덮개(52)가 저입열인 접합 방법에 의해 접합되는 것에 의해, 스프링 가이드(40) 및 스프링(36)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돌출 용기(50) 내를 밀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10)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밀폐형 압축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10)에 있어서 특별히 기술하지 않는 항목에 대해서는,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00)와 마찬가지로 하며, 동일한 기능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형태 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00)는, 밀폐 용기(10) 내에 배치된 실린더(31)의 수에 상관없이, 중부 용기(10a)에 고정되는 돌출 용기(50)의 수가 항상 1개이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2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10)는, 밀폐 용기(10) 내에 배치된 실린더(31)의 수에 따라서, 중부 용기(10a)에 고정되는 돌출 용기(50)의 수가 변화하는 것이다. 즉, 밀폐형 압축기(110)는 복수의 실린더(31)의 수와 동일한 수의 복수의 돌출 용기(50)를 갖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돌출 용기(50)는 각각 1개의 스프링 가이드(40)를 수용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10)는, 밀폐 용기(10) 내에 배치된 실린더(31)의 수가 상부 실린더(31A) 및 하부 실린더(31B)의 2개인 경우, 중부 용기(10a)에 고정되는 돌출 용기(50)의 수도 2개이다. 그리고, 2개의 돌출 용기(50)에 있어서, 한쪽의 돌출 용기(50) 내에는 상부 실린더(31A)에 고정된 스프링 가이드(40)가 수용되고, 다른쪽의 돌출 용기(50) 내에는 하부 실린더(31B)에 고정된 스프링 가이드(40)가 수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밀폐형 압축기(110)는 복수의 실린더(31)를 가지며, 복수의 실린더(31)에는, 복수의 스프링 가이드(40)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형 압축기(110)는, 복수의 실린더(31)의 수와 동일한 수의 복수의 돌출 용기(50)를 갖고 있으며, 복수의 돌출 용기(50)는 각각 1개의 스프링 가이드(40)를 수용한다. 복수의 돌출 용기(50)는 각각 1개의 스프링 가이드(40)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복수의 스프링 가이드(40)의 실린더(31)의 고정 위치가 각각 둘레 방향으로 상이하다고 하여도, 스프링(36)마다 밀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2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폐형 압축기(100) 및 밀폐형 압축기(110)는, 실린더(31)가 2개의 트윈 로터리식의 압축기에 대해 설명했지만, 밀폐형 압축기(100) 및 밀폐형 압축기(110)는, 1개의 실린더(31)를 갖는 싱글 로터리식의 압축기여도 좋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100)는 삽입 구멍(31g)의 단면형상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삽입 구멍(31g)이 타원형상(elliptical shape), 장원형상(oval shape),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통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40)의 단면형상은 삽입 구멍(31g)의 단면형상에 맞추어 타원형상, 장원형상,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0: 밀폐 용기 10a: 중부 용기
10b: 상부 용기 10c: 하부 용기
11: 흡입관 11A: 흡입관
11B: 흡입관 12: 토출관
13: 어큐뮬레이터 14: 대좌
20: 전동 기구부 21: 고정자
22: 회전자 30: 압축 기구부
31: 실린더 31A: 상부 실린더
31B: 하부 실린더 31b: 주벽부
31b1: 내주벽 31d: 실린더실
31d1: 흡입실 31d2: 압축실
31e: 베인 홈 31f: 외주벽
31g: 삽입 구멍 31g1: 내주측 삽입 구멍
31g2: 외주측 삽입 구멍 31h: 시일관
32: 회전축 32a: 편심부
33: 롤링 피스톤 33a: 외주벽
34: 흡입 구멍 34B: 토출 구멍
35: 베인 35a: 선단부
35b: 배면측 단부 36: 스프링
36a: 단부 36b: 단부
37: 칸막이 판 38: 상부 베어링
39: 하부 베어링 40: 스프링 가이드
40a: 단부 40b: 단부
40c: 바닥 덮개부 40e: 중공부
50: 돌출 용기 50a: 단부
50b: 단부 50c: 단부
50d: 단부 50e: 중공부
51: 통형상부 51a: 전방 통형상부
51b: 후방 통형상부 52: 돌출 용기 덮개
100: 밀폐형 압축기 110: 밀폐형 압축기

Claims (8)

  1. 밀폐 용기와,
    상기 밀폐 용기 내에 수용된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벽(inner peripheral wall)을 따라서 편심 회전하는 롤링 피스톤과,
    상기 롤링 피스톤의 외주벽(outer peripheral wall)에 접촉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을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분하는 베인과,
    상기 베인을 상기 롤링 피스톤의 배치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의 신축방향을 규정하는 통형상의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밀폐 용기와 동시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 상기 스프링 가이드를 수용하는 돌출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가이드는, 한쪽의 단부가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중공부가 상기 삽입 구멍과 연통되어 있고, 다른쪽의 단부가 바닥 덮개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롤링 피스톤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베인의 배면측 단부와, 상기 바닥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밀폐형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실린더를 가지며,
    복수의 상기 실린더에는, 복수의 상기 스프링 가이드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 용기는 복수의 상기 스프링 가이드를 수용하는
    밀폐형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실린더를 가지며,
    복수의 상기 실린더에는, 복수의 상기 스프링 가이드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실린더의 수와 동일한 수의 복수의 상기 돌출 용기를 가지며,
    복수의 상기 돌출 용기는 각각 1개의 상기 스프링 가이드를 수용하는
    밀폐형 압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용기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 용기에 고정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밀폐 용기와 고정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폐색하는 돌출 용기 덮개를 갖는
    밀폐형 압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밀폐 용기에 고정되기 전방 통형상부와,
    상기 전방 통형상부와 끼워맞추어지며, 상기 돌출 용기 덮개가 배치되는 후방 통형상부를 갖는
    밀폐형 압축기.
  6. 외곽을 구성하는 밀폐 용기에, 상기 밀폐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통형상부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롤링 피스톤이 수용되는 중공의 실린더를 상기 밀폐 용기 내에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 공정과,
    상기 실린더 내에 형성된 베인 홈에 베인을 배치하는 베인 배치 공정과,
    상기 베인을 롤링 피스톤의 배치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의 신축방향을 규정하는 통형상의 스프링 가이드를 상기 통형상부의 중공부로부터 삽입하고 상기 실린더에 고정하는 스프링 가이드 고정 공정과,
    상기 스프링을 상기 스프링 가이드에 삽입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베인과 접촉시켜 타단을 상기 스프링 가이드에 고정하는 스프링 장착 공정과,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밀폐 용기와 고정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와, 돌출 용기 덮개를 접합하여 상기 통형상부 내를 밀폐하는 폐색 공정을 갖는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공정에 있어서,
    철제 부재로 구성된 상기 통형상부와, 철제 부재로 구성된 상기 돌출 용기 덮개가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공정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와, 상기 돌출 용기 덮개가 경납땜에 의해 접합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
KR1020207033985A 2018-06-07 2018-06-07 밀폐형 압축기, 및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 KR102427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1831 WO2019234881A1 (ja) 2018-06-07 2018-06-07 密閉型圧縮機、及び、密閉型圧縮機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51A true KR20210002651A (ko) 2021-01-08
KR102427373B1 KR102427373B1 (ko) 2022-07-29

Family

ID=6876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985A KR102427373B1 (ko) 2018-06-07 2018-06-07 밀폐형 압축기, 및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12843B2 (ko)
KR (1) KR102427373B1 (ko)
CN (1) CN112204260B (ko)
CZ (1) CZ309180B6 (ko)
WO (1) WO2019234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7394A (zh) * 2019-11-21 2022-06-24 三菱电机株式会社 密闭型压缩机、制冷循环装置以及密闭型压缩机的制造方法
JP7275311B2 (ja) * 2019-11-21 2023-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14651129A (zh) * 2019-11-21 2022-06-21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式压缩机、制冷循环装置以及旋转式压缩机的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189A (ja) 1986-07-07 1988-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回転式圧縮機
KR960008511U (ko) * 1994-08-19 1996-03-15 공전로타-베인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6484Y2 (ko) * 1973-07-06 1977-12-21
JPS5617388U (ko) * 1979-07-20 1981-02-16
CN2361881Y (zh) * 1998-12-25 2000-02-02 张伟 四腔式旋转容积泵
CN2371370Y (zh) * 1998-12-25 2000-03-29 张伟 三腔式旋转容积泵
KR20040063217A (ko) * 2003-01-06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형 회전압축기
JP2006300014A (ja) * 2005-04-2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EP2980410B1 (en) * 2013-03-27 2019-03-27 Toshiba Carrier Corporation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189A (ja) 1986-07-07 1988-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回転式圧縮機
KR960008511U (ko) * 1994-08-19 1996-03-15 공전로타-베인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04260A (zh) 2021-01-08
WO2019234881A1 (ja) 2019-12-12
JP7012843B2 (ja) 2022-01-28
KR102427373B1 (ko) 2022-07-29
CZ309180B6 (cs) 2022-04-20
CN112204260B (zh) 2022-07-01
CZ2020626A3 (ko) 2020-12-30
JPWO2019234881A1 (ja)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975B1 (ko) 압축기
EP2221481B1 (en) Scroll type compressor
KR20210002651A (ko) 밀폐형 압축기, 및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 방법
KR20110015863A (ko) 압축기
US8366424B2 (en) Rotary fluid machine with reverse moment generating mechanism
US20070059193A1 (en) Scroll compressor with vapor injection
KR101690127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80030708A (ko) 밀폐형 압축기
WO2018163233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7162757B2 (ja) 密閉型圧縮機、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密閉型圧縮機の製造方法
KR20180096040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563005B1 (ko) 압축기
JP200617718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5003405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の製造方法
KR20200140967A (ko) 전동식 압축기
WO2023100304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44547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
KR101708308B1 (ko) 밀폐형 압축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181712A (ja) 下部フレームを備えた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480007A (zh) 密闭型压缩机和制冷循环装置
JP2019113015A (ja) 電動圧縮機
KR20110015862A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