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493U - 주출구 및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주출구 및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493U
KR20210002493U KR2020217000061U KR20217000061U KR20210002493U KR 20210002493 U KR20210002493 U KR 20210002493U KR 2020217000061 U KR2020217000061 U KR 2020217000061U KR 20217000061 U KR20217000061 U KR 20217000061U KR 20210002493 U KR20210002493 U KR 202100024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cylindrical body
cap
packaging container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7000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아키 나카타니
유마 니이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팍쿠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팍쿠푸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팍쿠푸라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0/037401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079713A1/ja
Publication of KR202100024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removable spouts which can be plugged in a discharging and in a clo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의 충전 및 주출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면서,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주출구 그리고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장 용기 P에 마련되는 스파우트(1)와, 스파우트(1)를 마개 폐쇄하는 캡(2)으로 이루어진다. 스파우트(1)는, 포장 용기 P에 마련되는 스파우트 본체(11)와, 스파우트 본체(11)의 상방에 마련되는 통형상체(12)를 구비하고, 스파우트(1)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유통로(13)가 마련된다. 통형상체(12)는, 캡(2)에 의해 스파우트(1)가 마개 폐쇄되었을 때, 캡(2)의 주위벽부(22)에 피복되는 스파우트(1)의 박육 주둥이부(121) 및 후육 주둥이부(122)와, 캡(2)의 주위벽부(22)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동체부(123)를 구비하고, 동체부(123)가 스파우트 본체(11)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116)에 축방향으로 끼워맞춰진다.

Description

주출구 및 포장 용기
본 고안은, 음료, 식품, 화학품, 의약품, 세제, 화장료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장 용기에 마련되는 주출구 그리고 해당 주출구가 마련된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음료, 식품, 화학품, 의약품, 세제, 화장료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장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해서 스파우트와 캡으로 이루어지는 주출구가 마련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캡에 의해 스파우트가 마개 폐쇄될 때, 스파우트의 통형상체가 캡의 주위벽부와 마개부의 사이에 삽입됨과 함께, 캡의 마개부가 스파우트의 통형상체의 유통로에 삽입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파우트와 캡으로 이루어지는 주출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료, 식품, 화학품, 의약품, 세제, 화장료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관계상, 산소를 투과시키지 않도록 산소 배리어성을 향상시켜,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주출구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스파우트의 내면에 산소를 투과시키지 않는 박막의 배리어 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970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38106호 공보
그러나, 산소를 투과시키지 않는 박막의 배리어 부재는,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가스 배리어 수지의 층을 구비한 것 등이 알려져 있지만, 그러한 소재는 고가이고 또한, 스파우트의 내면에 마련하기 위해서는 인서트 성형이라고 하는 특수한 수단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스파우트의 두께를 크게 하거나 하여 스파우트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스파우트의 재질을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것으로 하면, 산소의 투과를 방지 또는 경감시켜,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지만, 내용물이 다른 포장 용기마다 스파우트 전체의 형상이나 재질을 변경하는 것은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파우트의 구성 중, 포장 용기에 시일되는 시일부는 포장 용기에 피복되기 때문에, 산소 배리어성이 대략 높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스파우트의 구성 중, 캡에 의해 피복되는 주둥이부는, 내용물을 주출하는 관계상, 박육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산소 배리어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즉, 스파우트의 구성 중, 특히 캡에 의해 피복되는 주둥이부가 필요한 산소 배리어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주둥이부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이기 위한 것만으로도, 스파우트 전체의 형상이나 재질을 변경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파우트의 산소 배리어성을 간단하게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주출구 그리고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포장 용기에 마련되는 스파우트와, 해당 스파우트를 마개 폐쇄하는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파우트는, 상기 포장 용기에 마련되는 스파우트 본체와, 해당 스파우트 본체의 상방에 마련되는 통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스파우트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유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캡은, 평판형 또는 환형의 정상벽부와, 해당 정상벽부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를 구비하는 주출구이며,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캡에 의해 상기 스파우트가 마개 폐쇄되었을 때, 상기 캡의 주위벽부에 피복되는 주둥이부와, 상기 캡의 주위벽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동체부를 구비하고, 해당 동체부가 상기 스파우트 본체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에 축방향으로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주둥이부와 동체부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체가 스파우트 본체와 별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파우트의 통형상체에 대해서만,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형상이나 두께로 하면,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의 산소 배리어성을 간단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통형상체의 동체부와 스파우트 본체의 이중 구조에 의해, 스파우트의 시일부나 플랜지부의 산소 배리어성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다른 포장 용기에 따라서 스파우트의 산소 배리어성을 간단하게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캡에 의해 피복되는 주둥이부의 영역에 있어서, 박육형으로 형성된 상측의 박육 주둥이부와, 후육형으로 형성된 하측의 후육 주둥이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의 외관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정상벽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캡에 의해 상기 스파우트가 마개 폐쇄되었을 때, 상기 스파우트의 상기 통형상체의 상기 유통로에 삽입된 후, 상기 캡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상기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의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상기 후육 주둥이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통형상체의 상기 박육 주둥이부의 유통로를 폐색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하여,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의 산소 배리어성을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동체부가 상기 스파우트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하단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유통로가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동체부가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의 하단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통형상체를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에 안정적으로 끼워맞출 수 있다. 또한, 동체부와 스파우트 본체 전체의 이중 구조로 되기 때문에, 스파우트의 시일부나 플랜지부의 전체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통로가 통형상체의 내부에만 마련되기 때문에, 포장 용기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주출할 수 있다.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동체부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하단부에 걸리게 하기 위한 갈고리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통형상체의 동체부가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춰졌을 때, 통형상체의 갈고리부가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의 하단부에 걸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통형상체가 스파우트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동체부의 외면에 하나 내지 복수의 환형의 돌기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통형상체의 동체부가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춰졌을 때, 통형상체와 스파우트 본체 사이의 끼워맞춤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통형상체와 스파우트 본체 사이의 기밀성의 향상, 통형상체의 빠짐 방지, 통형상체의 회전 방지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파우트 본체 및 상기 통형상체는, 끼워맞춤 구멍의 내면 및 동체부의 외면에 있어서, 서로 맞물리는 널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통형상체의 동체부가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춰졌을 때, 널링에 의해 통형상체가 스파우트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환형의 끼워맞춤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스파우트 본체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끼워맞춤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통형상체가 상기 스파우트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춰졌을 때, 상기 통형상체의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와 상기 스파우트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가 서로 끼워맞춰져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통형상체의 동체부를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에 의해 견고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및/또는 끼워맞춤 볼록부는, 복수의 널링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통형상체가 스파우트 본체에 대하여 뜻하지 않게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및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는, 서로 맞물리는 널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통형상체의 끼워맞춤 오목부와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볼록부가 서로 끼워맞춰졌을 때, 널링에 의해 통형상체가 스파우트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스파우트 본체와 다른 재질이며, 산소 배리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통형상체의 산소 배리어성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 주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주출구에 의해 포장 용기의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둥이부와 동체부로 이루어는 통형상체가 스파우트 본체와 별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파우트의 통형상체에 대해서만, 일부 또는 전부의 두께가 두꺼운 형상으로 하거나, 산소 배리어성을 갖는 재질로 하면,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의 산소 배리어성을 간단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통형상체의 동체부와 스파우트 본체의 이중 구조에 의해, 스파우트의 시일부나 플랜지부의 산소 배리어성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다른 포장 용기에 따라서 스파우트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포장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할 때, 통형상체가 스파우트 본체에 끼워맞춰지기 전단계에서는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이 크게 개구한 상태이기 때문에, 포장 용기의 내용물을 스파우트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을 통해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 한편, 포장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주출할 때, 통형상체가 스파우트 본체에 끼워맞춰진 상태이기 때문에, 포장 용기의 내용물을 스파우트의 유통로로부터 적량으로 주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출구에 있어서, 캡과 스파우트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출구에 있어서, 캡과 스파우트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출구에 있어서, 캡에 의해 스파우트를 마개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a) 정면도와, (b)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주출구에 있어서, 캡에 의해 스파우트를 마개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a) 정면 단면도와, (b)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A-A선 단면 화살표도, (b) B-B선 단면 화살표도, (c) C-C선 단면 화살표도, (d) D-D선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주출구에 있어서, 캡과 스파우트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주출구에 있어서, 캡에 의해 스파우트를 마개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주출구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측」이란, 주출구의 축방향(도 1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캡(2)이 마련되는 측을 말하며, 「하측」이란, 주출구의 축방향(도 1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포장 용기 P가 마련되는 측을 말한다.
본 주출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용기 P에 마련되는 폴리에틸렌제의 스파우트(1)와, 해당 스파우트(1)를 마개 폐쇄하는 폴리에틸렌제의 캡(2)으로 이루어진다. 이 포장 용기 P는, 예를 들어 스탠딩 파우치나 가젯 파우치 등, 합성 수지제의 가요성의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용기 P에 마련되는 스파우트 본체(11)와, 스파우트 본체(11)의 상방에 마련된 통형상체(12)를 구비한다.
상기 스파우트 본체(1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용기 P의 시트 부재에 용착되는 시일부 S(외측 부분)와, 해당 시일부 S의 상방에 연접하는 플랜지부 F(외측 부분)로 구성되고, 끼워맞춤 구멍(116)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끼워맞춤 구멍(116)은, 축방향으로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가 끼워맞춰진다. 또한, 끼워맞춤 구멍(116)은, 반드시 축방향으로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지는 않아도 된다.
상기 스파우트 본체(11)는,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 S의 외측 부분에 있어서, 포장 용기 P의 좌우 방향(도 5의 (d)의 좌우 방향)의 두께가 포장 용기 P의 전후 방향(도 5의 (d)의 상하 방향)의 두께보다 두꺼운 후육형의 횡단면으로 볼 때 보트형 형상으로 형성된 피복부(11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 본체(11)는, 시일부 S의 외측 부분에 있어서, 피복부(111)의 전방측(도 5의 (d)의 상측)의 외면이 포장 용기 P의 전방측의 시트 부재에 피복됨과 함께, 피복부(111)의 후방측(도 5의 (d)의 하측)의 외면이 포장 용기 P의 후방측의 시트 부재에 피복되기 때문에, 스파우트 본체(11)가 원래 갖고 있는 두께와 어우러져,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 본체(11)는, 도 4 및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 F의 외측 부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축(112)과, 해당 중간축(112)의 상측에 마련된 환형의 상측 플랜지(113)와, 해당 중간축(112)의 하측에 마련된 환형의 하측 플랜지(114)를 구비한다. 이 통형상체(12)의 플랜지부 F는,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에 대하여 받침대로서의 기능을 가짐과 함께, 내용물의 충전 시에 있어서 상측 플랜지(113)와 하측 플랜지(114)의 사이가 현수 부재에 의해 협착됨으로써 포장 용기 P를 현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 본체(11)는, 상측 플랜지(113)의 끼워맞춤 구멍(116)의 내주연에 있어서, 축방향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끼워맞춤 볼록부(115)가 형성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끼워맞춤 볼록부(115)의 내면에 널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체(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후술하는 주위벽부(22))에 피복되는 주둥이부 K와, 해당 주둥이부 K의 하방에 연속 설치하는 플랜지부 F(내측 부분)와, 해당 플랜지부 F의 하방에 연속 설치하는 시일부 S(내측 부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12)는, 통형상체(12)의 내부에 유통로(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유통로(13)는, 통형상체(12)의 내부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포장 용기 P의 내용물의 충전 및 주출 시에 내용물이 통과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통로(13)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 축방향으로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12)는, 캡(2)(후술하는 주위벽부(22))에 의해 피복되는 주둥이부 K에 있어서, 박육형으로 형성된 상측의 박육 주둥이부(121)와, 후육형으로 형성된 하측의 후육 주둥이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박육 주둥이부(121)는,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에 있어서의 상측 부분(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둥이부 K의 높이의 1/2 정도의 높이)에 있어서, 상단부로부터 상기 후육 주둥이부(122)의 경계 부분에 걸쳐 축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두께(0.5㎜ 내지 2㎜)의 박육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의 상측 부분이 박육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파우트(1)의 외관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캡(2)의 마개 저벽부(232)가 스파우트(1)의 후육 주둥이부(122)에 도달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스파우트(1)의 주둥이부 K의 상측 부분의 내경을 작게 할 필요가 없어, 내용물의 충전이나 주출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박육 주둥이부(121)는 박육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2)의 마개부(23)에 의해 박육 주둥이부(121)의 유통로(13)가 폐색되기 때문에,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의 상측 부분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후육 주둥이부(122)는,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 점차 두께가 증가하도록 외면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육 주둥이부(122)는,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동일한 두께(4㎜ 내지 10㎜)의 후육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육 주둥이부(122)는, 박육 주둥이부(121)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의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의 산소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육 주둥이부(122)는, 둘레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개구하는 환형의 끼워맞춤 오목부(122a)가 마련되어 있고,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볼록부(115)와 끼워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를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에 견고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22a)에는,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115)에 형성된 널링과 서로 맞물리는 널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볼록부(115)와 통형상체(12)의 끼워맞춤 오목부(122a)가 서로 끼워맞춰졌을 때, 끼워맞춤 오목부(122a)와 끼워맞춤 볼록부(115)의 널링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통형상체(12)가 스파우트 본체(11)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12)는, 플랜지부 F의 내측 부분 및 시일부 S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체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동체부(12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에 축방향으로 끼워맞춰지고, 또한 상기 캡(2)에 의해 상기 스파우트(1)가 마개 폐쇄되었을 때, 상기 캡(2)의 주위벽부(22)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동체부(123)는, 상기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의 하단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를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에 안정적으로 끼워맞출 수 있다.
상기 동체부(123)는,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의 내경과 동일 정도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는,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에 끼워맞춰졌을 때, 외면이 해당 끼워맞춤 구멍(116)의 내면에 밀착 상태로 맞닿는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의 상측 및 하측의 외주면에 각각 환형의 돌기(123a, 123b)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통형상체(12)와 스파우트 본체(11) 사이의 끼워맞춤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통형상체(12)와 스파우트 본체(11) 사이의 기밀성의 향상, 통형상체(12)의 빠짐 방지, 통형상체(12)의 회전 방지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캡(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원형의 환형 정상벽부(21)와, 해당 정상벽부(21)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주위벽부(22)와, 정상벽부(21)의 하면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개부(23)를 구비한다.
상기 주위벽부(22)는,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와 동일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에 의해 스파우트(1)를 마개 폐쇄했을 때, 주위벽부(22)의 내면이 통형상체(12)의 박육 주둥이부(121)와 간극을 두는 한편(도 5의 (a) 참조), 주위벽부(22)의 하부 내면이 통형상체(12)의 후육 주둥이부(122)의 외면에 맞닿고(도 5의 (b) 참조), 주위벽부(22)의 하단부가 스파우트 본체(11)의 플랜지부 F의 상측 플랜지(113)에 맞닿는다.
상기 마개부(23)는, 상기 정상벽부(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마개 주위벽부(22)와, 해당 마개 주위벽부(231)의 내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마련된 마개 저벽부(232)를 구비한다. 이 마개부(23)는, 마개 주위벽부(231)가 캡(2)의 주위벽부(22)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됨과 함께, 마개 저벽부(232)가 통형상체(12)의 후육 주둥이부(122)의 유통로(13)의 직경과 동일 또는 약간 대직경의 외경이며, 또한 축방향에 대하여 해당 후육 주둥이부(12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두꺼운 두께의 후육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캡(2)에 의해 스파우트(1)를 마개 폐쇄했을 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우트(1)의 통형상체(12)가 상기 캡(2)의 마개 주위벽부(231)와 마개 저벽부(232)의 사이에 나사 결합 상태로 맞닿음과 함께, 캡(2)의 마개 저벽부(232)가 스파우트(1)의 통형상체(12)의 유통로(13)에 삽입된다. 이때, 마개 저벽부(232)는, 스파우트(1)의 주둥이부 K의 영역 내에 위치하여, 통형상체(12)의 후육 주둥이부(122)에 밀착 상태로 맞닿음으로써, 통형상체(12)의 박육 주둥이부(121)의 유통로(13)를 폐색한다.
그러나, 스파우트(1)의 유통로(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에 의해 마개 폐쇄되었을 때, 스파우트(1)의 주둥이부 K의 영역에서는 통형상체(12)의 후육형의 후육 주둥이부(122)와 마개부(23)의 후육형의 마개 저벽부(232)로 둘러싸이고, 또한 스파우트(1)의 플랜지부 F의 영역에서는 후육형의 플랜지부 F로 둘러싸이고, 나아가 스파우트(1)의 시일부 S의 영역에서는 후육형의 시일부 S로 둘러싸임과 함께, 그 시일부 S의 외면이 포장 용기 P의 시트 부재에 피복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스파우트(1) 전체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캡(2)의 마개부(23)는, 스파우트(1)의 통형상체(12)의 유통로(13)에 삽입되었을 때, 캡(2)의 주위벽부(22)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스파우트(1)의 주둥이부 K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캡(2)을 스파우트(1)로부터 분리한 후, 책상이나 카운터 등에 두어도, 캡(2)의 마개부(23)가 책상이나 카운터 등에 접촉되지 않아, 해당 마개부(23)에 부착된 내용물이 책상이나 카운터 등에 뜻하지 않게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파우트(1)의 구성 중, 박육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스파우트(1)의 주둥이부 K뿐이며, 스파우트(1)의 시일부 S나 플랜지부 F 등, 그 밖의 부분은 후육형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스파우트(1) 전체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스파우트(1)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주출구의 조립 방법 및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파우트 본체(11)만이 포장 용기 P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내용물을 포장 용기 P의 내부에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을 통해 충전한다. 이때,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은 통형상체(12)의 유통로(13)보다도 크게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소정의 내용물을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을 통해 포장 용기 P의 내부에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내용물을 포장 용기 P의 내부에 충전하는 것을 완료한 후, 캡(2)을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에 나사 결합하여 마개 폐쇄함과 함께,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를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에 붙박이 상태로 끼워맞춘다. 이때, 스파우트(1)의 주둥이부 K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개부(23)와 후육 주둥이부(122)에 의해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상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스파우트(1)의 플랜지부 F는,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와 스파우트 본체(11)의 중간축(112)의 이중 구조에 의해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스파우트(1)의 시일부 S는,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와 스파우트 본체(11)의 피복부(111)의 이중 구조 그리고 포장 용기 P의 시트 부재에 의해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우트(1) 전체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포장 용기 P의 내용물의 주출 시에는, 캡(2)을 통형상체(12)로부터 분리하여 마개 개방하고, 주출구마다 포장 용기 P를 하방으로 기울이거나 하면, 내용물을 스파우트(1)의 통형상체(12)의 유통로(13)를 통해 주출할 수 있다. 이때, 통형상체(12)의 유통로(13)는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보다도 내경이 작기 때문에, 포장 용기 P의 내용물을 소정량으로 주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개부(23)의 마개 저벽부(232)를 후육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파우트(1)의 주둥이부 K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이는 것으로 하였지만, 마개부(23)의 마개 저벽부(232)의 상면이나 하면에 산소 배리어 부재를 전개 설치함으로써 스파우트(1)의 주둥이부 K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여도 된다.
또한, 통형상체(12)의 박육 주둥이부(121)의 구조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단부로부터 후육 주둥이부(122)에 걸쳐 점차 두께가 증가하도록 외면 및 내면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는, 스파우트 본체(11)의 하단부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스파우트 본체(11)의 중간부까지 연장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의 하측 부분이 통형상체(12)의 유통로(13)에 연통하는 유통로로서 기능한다. 단,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는, 스파우트 본체(11)에 대한 조립 안정성이나 산소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적어도 스파우트 본체(11)의 플랜지부 F보다 하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부(23)의 마개 저벽부(232)가 통형상체(12)의 후육 주둥이부(122)에 맞닿는 것으로 하였지만, 마개 저벽부(232)와 함께, 혹은 마개 저벽부(232) 대신에, 마개부(23)의 마개 주위벽부(231)가 통형상체(12)의 후육 주둥이부(122)에 맞닿아도 된다. 요는, 마개부(23)의 전체가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의 영역 내에 위치하여, 통형상체(12)의 박육 주둥이부(121)의 유통로(13)가 폐색되는 구조이면 된다.
또한, 스파우트(1)의 주둥이부 K(후육 주둥이부(122)), 플랜지부 F(중간축(112)), 시일부 S의 두께는, 산소 배리어성을 유지하는 것이라면 한정되지는 않지만, 산소의 투과를 보다 확실하게 경감 또는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적으로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부(23)에 의해 통형상체(12)의 박육 주둥이부(121)의 유통로(13)를 폐색하고, 또한 통형상체(12)의 후육 주둥이부(122)를 후육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이는 것으로 하였지만,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의 전체를 후육형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통형상체(12)의 주둥이부 K의 형상을 개량함으로써 산소 배리어성을 높여도 된다. 또는 통형상체(12)의 재질을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산소 배리어성을 높이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스파우트(1)의 통형상체(12)에 있어서의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재질로서, 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 수지(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부텐 수지, 이온 가교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아이오노머)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PEN) 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PAN),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수지(AS),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나일론), 폴리글리콜산 수지(PGA), 폴리아세탈계 수지(POM), 폴리염화비닐 수지(PVC), 아세트산 셀룰로오스계 수지(CA), 고무(부타디엔 고무, 염산 고무 등)의 각 단체 또는 혼합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수지에 산소 흡수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이나,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이나 알루미늄박, 유리 증착 등으로 코팅하는 방법에 의해 스파우트(1)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이는 것도 예로 들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주출구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상체(1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육 주둥이부(122)에 있어서 환형의 단차부(122b)가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해당 단차부(122b)의 외면에 널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파우트 본체(11)는, 끼워맞춤 볼록부(115)의 내면에 널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차부(122b)와 끼워맞춤 볼록부(115)의 널링은, 서로 맞물리도록 복수의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가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에 끼워맞춰졌을 때, 통형상체(12)의 단차부(122b)와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볼록부(115)가 맞닿아, 단차부(122b)와 끼워맞춤 볼록부(115)의 널링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통형상체(12)가 스파우트 본체(11)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1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부(123)의 하단부에 있어서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의 하단부의 오목부(111a)에 걸리게 하기 위한 갈고리부(123c)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통형상체(12)의 동체부(123)가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에 끼워맞춰졌을 때, 통형상체(12)의 갈고리부(123c)가 스파우트 본체(11)의 끼워맞춤 구멍(116)의 하단부의 오목부(111a)에 걸리기 때문에, 통형상체(12)가 스파우트 본체(1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도시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본 고안과 동일한 범위 내에 있어서, 혹은 균등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스파우트
11: 스파우트 본체
111: 피복부
112: 중간축
113: 상측 플랜지
114: 하측 플랜지
115: 끼워맞춤 볼록부
116: 끼워맞춤 구멍
12: 통형상체
121: 박육 주둥이부
122: 후육 주둥이부
123: 동체부
13: 유통로
2: 캡
21: 정상벽부
22: 주위벽부
23: 마개부
231: 마개 주위벽부
232: 마개 저벽부
K: 주둥이부
F: 플랜지부
S: 시일부
P: 포장 용기

Claims (11)

  1. 포장 용기에 마련되는 스파우트와, 해당 스파우트를 마개 폐쇄하는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파우트는, 상기 포장 용기에 마련되는 스파우트 본체와, 해당 스파우트 본체의 상방에 마련되는 통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스파우트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유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캡은, 평판형 또는 환형의 정상벽부와, 해당 정상벽부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를 구비하는 주출구이며,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캡에 의해 상기 스파우트가 마개 폐쇄되었을 때, 상기 캡의 주위벽부에 피복되는 주둥이부와, 상기 캡의 주위벽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동체부를 구비하고, 해당 동체부가 상기 스파우트 본체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에 축방향으로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캡에 의해 피복되는 주둥이부의 영역에 있어서, 박육형으로 형성된 상측의 박육 주둥이부와, 후육형으로 형성된 하측의 후육 주둥이부를 구비하는 주출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정상벽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캡에 의해 상기 스파우트가 마개 폐쇄되었을 때, 상기 스파우트의 상기 통형상체의 상기 유통로에 삽입된 후, 상기 캡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상기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의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상기 후육 주둥이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통형상체의 상기 박육 주둥이부의 유통로를 폐색하는 주출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동체부가 상기 스파우트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하단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유통로가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주출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동체부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하단부에 걸리게 하기 위한 갈고리부가 마련되어 있는 주출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동체부의 외면에 하나 내지 복수의 환형의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주출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본체 및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내면 및 상기 동체부의 외면에 있어서, 서로 맞물리는 널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환형의 끼워맞춤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스파우트 본체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끼워맞춤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통형상체가 상기 스파우트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춰졌을 때, 상기 통형상체의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와 상기 스파우트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가 서로 끼워맞춰지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주출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및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는, 서로 맞물리는 널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스파우트 본체와 다른 재질이며, 산소 배리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주출구.
  11. 제1항에 기재된 주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KR2020217000061U 2019-10-25 2020-10-01 주출구 및 포장 용기 KR20210002493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94217 2019-10-25
JP2019194217 2019-10-25
JPJP-P-2020-158542 2020-09-23
JP2020158542A JP2021070533A (ja) 2019-10-25 2020-09-23 注出具および包装容器
PCT/JP2020/037401 WO2021079713A1 (ja) 2019-10-25 2020-10-01 注出具および包装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93U true KR20210002493U (ko) 2021-11-12

Family

ID=7571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7000061U KR20210002493U (ko) 2019-10-25 2020-10-01 주출구 및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070533A (ko)
KR (1) KR2021000249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7030A (ja) 2006-01-25 2007-08-09 Showa Marutsutsu Co Ltd パウチ用口栓、口栓付きパウチ、および包装体
JP2007238106A (ja) 2006-03-06 2007-09-20 Japan Crown Cork Co Ltd 複合スパウト及び複合スパウトを形成する射出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7030A (ja) 2006-01-25 2007-08-09 Showa Marutsutsu Co Ltd パウチ用口栓、口栓付きパウチ、および包装体
JP2007238106A (ja) 2006-03-06 2007-09-20 Japan Crown Cork Co Ltd 複合スパウト及び複合スパウトを形成する射出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70533A (ja)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2173B2 (en) Screw-type sealing cap with improved gas-tightness
US7731066B2 (en) Closure
WO2018020800A1 (ja) 吐出容器
US7578386B2 (en)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US10543963B2 (en) Closure comprising a pierceable part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closure
US4325496A (en) Filling-dispensing closure for a bag-like container
JP2017081628A (ja) 吐出容器
JPWO2014103574A1 (ja)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KR20210002493U (ko) 주출구 및 포장 용기
JP6713206B2 (ja) 二重容器用吐出キャップ
JP2010195481A (ja) 二種混合容器
JP7432984B2 (ja) 吐出容器
JP6990543B2 (ja) 吐出容器
WO2021079713A1 (ja) 注出具および包装容器
WO2021079712A1 (ja) 注出具および包装容器
KR20170097600A (ko) 용기
JP6971186B2 (ja) 吐出容器
JP5076184B2 (ja) キャップ付き注出口体
JP7345968B2 (ja) 容器用キャップ
JP2019085175A (ja) キャップおよび包装食品
JP7365144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6847524B2 (ja) 吐出容器
JP7134117B2 (ja) キャップ
JP7209460B2 (ja) 吐出容器
EP3424835B1 (en) A cap for a food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