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02U - 골프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02U
KR20210001702U KR2020200000185U KR20200000185U KR20210001702U KR 20210001702 U KR20210001702 U KR 20210001702U KR 2020200000185 U KR2020200000185 U KR 2020200000185U KR 20200000185 U KR20200000185 U KR 20200000185U KR 20210001702 U KR20210001702 U KR 202100017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actice
golf
golf club
backswing
pract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순남
Original Assignee
고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순남 filed Critical 고순남
Priority to KR2020200000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702U/ko
Publication of KR20210001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백스윙시에 골프채의 회전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선택된 백스윙각도가 이루어지면 연습자에게 인지표시를 하여, 지속적으로 일치된 백스윙각도를 유지하면서 스윙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를 가지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종단에 착탈되면서 결속되며 하중을 가지는 헤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습골프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습골프채에 구비되며 상기 연습골프채와 연습자의 몸체와의 사이간격이 설정된 간격이 도달되면 연습자가 인지하도록 된 인지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신호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 연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골프 연습장치{Golf Practice Device}
본 고안은, 골프운동시에 적용되는 스윙자세를 연습하도록 된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스윙시에 골프채의 회전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선택된 백스윙각도가 이루어지면 연습자에게 인지표시를 하여, 지속적으로 일치된 백스윙각도를 유지하면서 스윙연습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스윙은, 어드레스자세에서 백스윙자세로 전환되고, 다시 어드레스자세와 유사한 임팩트스윙자세로 전환되면서 골프공을 타격하게 된다.
아울러, 임팩트스윙 후에는, 팔로우스로우 스윙(Follow Through Swing) 자세로 전환되면서 골프 스윙을 마치게 된다.
이러한 골프 스윙은, 백스윙이 완전한 최종상태에 도달된 이후에 다운스윙 자세가 이루어져야 안정된 자세로 스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골프 스윙은,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이 진행되는 과정이 일률적으로 일치해야만 원하는 타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백스윙의 최종상태가 항상 일치된 위치에 도달한 후, 다운스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연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99072호(명칭: 골프 스윙 교정 연습기/2009.10.1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봉과, 상기 봉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그립과, 상기 그립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공기저항부재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교정 연습기에 있어서, 그립에 손목부분의 접촉시 신호음이 발생하도록 설치되는 코킹 감지부와, 상기 봉의 일측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고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공기저항부재를 포함하는 연습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62462호(명칭: 골프스윙 교정용 세트/2005.07.1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구(球)형 및 계란형으로 사용자의 가슴에 접촉된 상태에서 팔꿈치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 교정구(球)와, 그 교정구(球)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홈을 통해 연습용 골프채의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골프 스윙시, 사용자의 양팔로 연습용 골프채의 헤드(Head) 무게를 느끼며, 스윙한 리듬과 템포을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교정용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교정용세트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99072호(2009.10.19.)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62462호(2005.07.1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프 연습장치들은, 백스윙시에 골프채의 최종도달위치를 인지할 수 없어, 정확한 자세를 일률적으로 연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연습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백스윙시에 골프채의 회전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선택된 백스윙각도가 이루어지면 연습자에게 인지표시를 하여, 지속적으로 일치된 백스윙각도를 유지하면서 스윙연습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골프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를 가지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종단에 착탈되면서 결속되며 하중을 가지는 헤드부재를 가지는 연습골프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습골프채에 구비되며 상기 연습골프채와 연습자의 몸체와의 사이간격이 설정된 간격이 도달되면 연습자가 인지하도록 된 인지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신호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연습골프채와 사용자의 몸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감지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된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데이터에 의한 연산을 통해 인지신호를 방출하도록 된 방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는, 연습자가 연습골프채를 손으로 잡고 백스윙을 하는 과정에서 감지부재에 의한 연습골프채와 사용자의 어깨부위와의 간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지는 감지데이터가 제어수단의 설정된 데이터에 의한 연산을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에 따라 설정된 간격이 이루어지면 연습자가 인지할 수 인지신호를 방출부재의 구동에 따라 방출하여 연습자가 실시간으로 인지하도록 됨에 따라, 백스윙시에 연습골프채의 백스윙각도를 지속적으로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스윙연습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를 구성하는 방출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100)와; 상기 손잡이(100)의 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를 가지는 연결대(110)와; 상기 연결대(110)의 종단에 착탈되면서 결속되며 하중을 가지는 헤드부재(120);를 가지는 연습골프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연습자가 상기 손잡이(100)를 손으로 잡고 골프스윙을 연습하게 하게 된다.
상기에서 손잡이(100)는, 연습자의 취향 및 체형에 따른 연습골프채의 파지방법에 맞춤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대(110)는,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 형상의 '프레임(frame)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연결대(110)와 상기 헤드부재(120)는, 나사결합되어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될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대(110)의 종단에는, 내측에 너트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재(120)에는, 상기 연결대(110)의 종단 내측에 형성된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봉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대(110)의 너트부에 상기 체결나사봉이 나사결합하면서 결속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1)는, 상기 연습골프채에 구비되며 상기 연습골프채와 연습자의 몸체와의 사이간격이 설정된 간격이 도달되면 연습자가 인지하도록 된 인지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신호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진다.
즉, 상기 신호발생수단을 통해 연습자의 백스윙시에 상기 연습골프채와 연습자의 몸체와의 사이간격이 설정된 간격이 도달되면 설정된 인지신호를 방출하여 연습자가 인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습자에 의해 설정된 연습골프채의 백스윙각도에 따른 상기 연습골프채와 연습자의 몸체와의 사이간격에 대한 인지신호의 인지에 따라, 백스윙시 항상 일관된 백스윙각도를 유지하면서 스윙연습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스윙연습효율이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1)에서,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전원공급부(4)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하는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상기 연습골프채와 사용자의 몸체(어깨부위)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4)으로 감지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된 감지부재(21)와; 상기 감지부재(21)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데이터에 의한 연산을 통해 인지신호를 방출하도록 된 방출부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연습자가 상기 연습골프채를 손으로 잡고 스윙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백스윙시 상기 감지부재(21)에 의한 상기 연습골프채와 사용자의 어깨부위와의 간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지는 감지데이터가 상기 제어수단(3)의 설정된 데이터에 의한 연산을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된다.
아울러, 연습자에 의해 설정된 간격이 이루어지면 연습자가 인지할 수 인지신호를 방출부재(22)의 구동에 따라 방출하여 연습자가 실시간으로 인지하도록 됨에 따라, 백스윙시에 연습골프채의 백스윙각도를 지속적으로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스윙연습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윙연습의 품질이 향상되어 연습효율이 증대된다.
상기에서 감지부재(21)는, 상기 연습골프채의 상기 연결대(110)에 시설되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방출부재(22)는, 상기 연습골프채의 상기 손잡이(10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4)의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하는 진동소자로 이루어져; 연습자에게 진동신호를 전달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출부재(22)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3)과 통신망(근접통신망 또는 인터넷통신망)(5)을 통해 제어데이터를 전달받아 구동하여, 소리음 및/또는 발광신호를 방출하도록 된 '무선스피커(블루투스 스피커)' 및/또는 '발광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시 연습자의 스윙동작시 육안이 주시하는 바닥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인지하면서 인지신호를 전달받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 연습장치(1)에서,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연습자가 수작업을 통해 상기 인지신호를 방출하는 상기 방출부재(22)의 방출시점을 설정하도록 된 조작부재(6);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6)를 통해 연습자에 골프스윙특성에 따른 다양한 백스윙각도를 각각 설정하여 연습을 할 수 있게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조작부재(6)는, 상기 연습골프채의 손잡이(100)의 구비되어, 연습자의 백스윙시 안정적으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골프 연습장치 100 : 손잡이
110 : 연결대 120 : 헤드부재
21 : 감지부재 22 : 방출부재
3 : 제어수단 4 : 전원공급부
5 : 통신망 6 : 조작부재

Claims (2)

  1.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를 가지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종단에 착탈되면서 결속되며 하중을 가지는 헤드부재를 가지는 연습골프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습골프채에 구비되며 상기 연습골프채와 연습자의 몸체와의 사이간격이 설정된 간격이 도달되면 연습자가 인지하도록 된 인지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신호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연습골프채와 사용자의 몸체(어깨부위)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감지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된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데이터에 의한 연산을 통해 인지신호를 방출하도록 된 신호방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치.
KR2020200000185U 2020-01-14 2020-01-14 골프 연습장치 KR202100017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85U KR20210001702U (ko) 2020-01-14 2020-01-14 골프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85U KR20210001702U (ko) 2020-01-14 2020-01-14 골프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02U true KR20210001702U (ko) 2021-07-22

Family

ID=7712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185U KR20210001702U (ko) 2020-01-14 2020-01-14 골프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702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462A (ko) 2003-12-19 2005-06-23 로께뜨프레르 고도로 분지된 가용성 글루코스 중합체
KR20090099072A (ko) 2007-08-10 2009-09-2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가열로 및 가열로의 가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462A (ko) 2003-12-19 2005-06-23 로께뜨프레르 고도로 분지된 가용성 글루코스 중합체
KR20090099072A (ko) 2007-08-10 2009-09-2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가열로 및 가열로의 가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528A (en) Golf swing training method
US20020055402A1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US8956237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1871277B1 (ko) 골프 그립용 센서모듈과 스마트 골프 그립
ES2924415T3 (es) Dispositivo y aparato de señalización
US20220152486A1 (en) Device including movable mass body provided in housing
JP2004024627A (ja) 動作練習装置
KR20210001702U (ko) 골프 연습장치
KR20200137073A (ko) 에이밍 기능이 구비된 퍼팅정보 제공 장치
US20030170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olf instruction
KR101646558B1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KR100894316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501416B1 (ko)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KR200476024Y1 (ko) 골프용 가이드 표시 장치
JP4414475B1 (ja) ゴルフスイングに於けるダウンスイング指示装置。(打撃運動に於ける捻り戻しの機能効果をセンサで測定して、コンピューターで助勢する運動教示装置)
KR101100289B1 (ko) 플랫 다운스윙 연습기
KR102258643B1 (ko) 골프 연습장치
US8540591B2 (en) Squeeze pressure indicating golf club grip
KR20210080641A (ko) 골프 스윙 연습용 스윙 안테나
JP2002253721A (ja) ゴルフクラブのスイング軌道練習用具及びスイング軌道練習方法
KR102259688B1 (ko) 스윙 연습 기기
JP2007000435A (ja) スウィング練習用装置
KR102481405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용 그립장치
KR102122907B1 (ko) 상지 관절 안정화 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
JP4614176B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