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316B1 - 골프 스윙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316B1
KR100894316B1 KR1020070078723A KR20070078723A KR100894316B1 KR 100894316 B1 KR100894316 B1 KR 100894316B1 KR 1020070078723 A KR1020070078723 A KR 1020070078723A KR 20070078723 A KR20070078723 A KR 20070078723A KR 100894316 B1 KR100894316 B1 KR 10089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golf swing
moving shaft
handle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639A (ko
Inventor
임원기
Original Assignee
임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원기 filed Critical 임원기
Priority to KR102007007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3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윙 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보다 쉽게 느끼도록 하여 스윙자세를 안정되게 하고 비거리를 증대시키는 훈련이 가능한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 단부가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에 막대형 몸체의 일부분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샤프트; 상기 손잡이부 삽입공의 외부로 노출된 이동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된 헤드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이동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끈;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이동샤프트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프, 스윙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기{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프 스윙 동작시에 발생하는 골프 헤드의 원심력을 사용자가 보다 확실하게 느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원심력에 상응하는 구심력을 몸에 익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의 스윙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골프공의 비거리를 증대시키는 훈련이 가능하게 한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는 레저 스포츠로 보급되어 점차 대중화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골프 코스의 일 지점에 정지되어 있는 골프공을 골프 클럽으로 타격하여 소정 거리에 떨어져 있는 홀(hole) 속에 넣는 경기이며, 골프공을 최초의 타격 위치에서 시작하여 홀까지 공을 넣는 과정에서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횟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우열이 판정된다.
이러한 골프는 골프공을 최초 타격으로부터 홀에 넣기까지의 과정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정확히 타격하여 원하는 방향성과 원하는 비거리를 얻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상기 골프클럽은 비교적 가벼운 무게를 가지는 가늘고 긴 샤프트와, 상기 샤 프트의 일단에 위치하여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하는 방법에는 티샷, 페어웨이우드샷, 아이언샷, 어프로치샷, 벙커샷, 퍼팅 등이 있으며, 각각의 타격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골프클럽 및 자세가 다르지만, 티샷, 페어웨이우드샷, 아이언샷 등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스윙 동작은 백스윙(back swing), 다운 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로(follow through) 등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백스윙은 골프클럽을 뒤로 들어올리는 동작이며, 다운 스윙은 골프클럽을 휘둘러 내리는 동작이고, 임팩트는 골프클럽의 클럽헤드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이며, 팔로스로는 클럽헤드로 골프공을 타격한 후 허리를 왼쪽으로 돌리면서 골프클럽을 전방 상부로 자연스럽게 내뻗는 동작이다.
상기와 같은 스윙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하면, 사용자의 척추와 다리의 연결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골프 클럽과 팔이 직선으로 연결된 선을 반지름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원운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스윙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하면, 클럽헤드는 골프공이 놓인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원을 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윙시에는, 골프 클럽을 휘두르는 속도와 클럽헤드의 원운동으로인해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등뼈와 다리가 연결된 선이 이루는 중심축 즉, 회전 중심을 고정시킨 상태로 골프클럽을 회전시키게 되면 클럽헤드의 안정적인 원운동이 이루어지면서 골프공을 빠른 속도와 높은 강도로 타격하게 된 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스윙시에 신체의 리듬과 타이밍에 문제가 생겨 몸의 중심 이동을 적절히 하지 못해 안정된 자세를 잡지 못하거나 적절한 원심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클럽헤드가 골프공의 상부를 타격(토핑, topping)하거나 또는 골프공의 하부를 타격(뒷땅치기, duff)하게 된다. 이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골프클럽(10)을 이용한 스윙 시에 클럽헤드가 골프공(11)의 상부를 헛스윙하게 되는 모습을 도시하였고, 도 2에는 스윙시 클럽헤드가 골프공(11)의 하부를 타격하게 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골프클럽(10)을 이용하여 다운 스윙할 시에, 골프공(11)을 타격하는 임팩트 시점에 순간적으로 몸을 세우거나 팔을 구부리는 경우에는 상체는 회전되었는데 골프클럽(10)의 헤드(10a)가 뒤늦게 내려옴으로 인하여 골프클럽(10)이 들리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클럽(10)의 헤드(10a)는 골프공(11)의 상부를 타격하게 된다.
그리고, 골프클럽(10)을 이용하여 스윙할 시에, 특히 다운 스윙을 하는 시점에서 어깨와 팔에 과도하게 힘이 들어감으로 인해 어깨가 처지면서 스윙을 하는 축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 경우에는 골프 클럽(10)의 헤드(10a)는 내려왔는데 상체나 하체가 회전되지 않아 골프클럽(10)의 헤드(10a)가 지나가는 동선이 지면에 대해 원호를 그리지 않고 거의 직선에 가까운 동선을 갖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클럽(10)의 헤드(10a)는 골프공(11)의 하부를 타격하게 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골프클럽(10)을 이용한 스윙 시에 골프클럽(10)의 헤드(10a)가 골프공(11)의 상부를 타격하거나 지면을 타격하게 되는 실수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안정되고 자연스러운 스윙 자세를 유지하면서 골프클럽 헤드(10a)로 골프공(11)을 빠른 속도와 높은 강도로 정확하게 타격하여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연습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골프클럽(10)의 헤드가 몸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운동인 골프는, 골프클럽(10)을 이용한 스윙시에 어깨와 팔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안정되고 자연스러운 자세로 스윙하여 클럽 헤드(10a)의 회전시 원심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함과 동시에, 클럽 헤드(10a)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는 구심력을 사용자의 몸으로 발생시키는 훈련을 반복하여야 한다. 이때에 구심력은 클럽(1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가 배와 허리에 힘을 주어 골프클럽을 적절한 힘으로 끌어당기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신체의 중심축이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하여 클럽 헤드(10a)가 정확한 동심원을 그리는 스윙동작을 취할 수가 있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골프의 스윙시에는 골프클럽(1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과 이에 대응하는 구심력이 상호 균형을 맞춤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정확한 스윙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프클럽(10)은 그 샤프트(10b)가 소정의 굵기와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윙시 사용자가 원심력을 느끼기 쉽지 않을뿐더러,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스윙시에 양손으로 골프클럽(10)의 그립을 강하게 잡거나 어깨와 팔에 힘이 과도하게 들어간 불안정한 자세에서 조급한 스 윙을 행하게 됨에 따라, 골프클럽 헤드(10a)의 무게를 느끼지 못한 채 빠른 속도의 스윙동작을 행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클럽 헤드(10a)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정확히 느끼지 못하게 된다. 특히, 골프클럽(10)을 이용한 일련의 스윙동작은 극히 짧은 순간에 이루어지는 과정이므로 경험이 부족한 초보자일수록 골프클럽(10)의 순간 회전에 따른 헤드(10a)의 원심력을 느끼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스윙 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면 사용자 자신이 행하는 스윙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원심력을 발생시키는지 알 수 없으므로 원심력을 이용한 풀 스윙을 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원심력에 대응하는 구심력을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안정된 스윙과 정확한 타구가 불가능하여 원하는 비거리를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초보자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골프클럽(10)을 강하게 잡은 채로 팔의 힘에 의존하는 스윙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 스스로 클럽헤드의 원심력과 이에 상응하는 적절한 구심력을 터득하기까지는 장기간에 걸친 반복 연습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클럽의 사용자가 스윙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쉽게 느끼도록 하고 그 원심력에 대응하는 적정한 구심력을 생성하는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익히도록 함으로써, 스윙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정확한 스윙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로서 골프공의 비거리를 증대시키는 훈련이 가능한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는, 일 단부가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에 막대형 몸체의 일부분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샤프트; 상기 손잡이부 삽입공의 외부로 노출된 이동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된 헤드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이동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끈;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이동샤프트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는, 일 단부가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에 막대형 몸체의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이동샤프트; 상기 손잡이부 삽입공의 외부로 노출된 이동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된 헤드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 이부와 이동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끈; 상기 손잡이부 삽입공의 내부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끈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샤프트의 인출시 상기 연결끈을 잡아당길 때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샤프트와 손잡이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골프 스윙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쉽게 느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원심력에 대응하는 적정한 구심력을 몸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스윙 자세의 유지 및 골프공에 대한 정확한 타격을 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골프공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훈련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는, 일단이 개방된 삽입공(101a)이 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부(101); 상기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형 몸체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이동샤프트(102); 상기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샤프트(102)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103); 상기 손잡이부(101) 삽입공(101a)의 내부 안쪽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 삽입공(101a)의 안쪽 단부와 이동샤프트(102)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끈(104); 및 상기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 안쪽 단부와 손잡이부(101)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01)와 이동샤프트(102)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105);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01)의 몸체 외부는 삽입공(101a)의 개방 단부로 부터 시작하여 그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외경을 갖도록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스윙 연습시에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100)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부(101)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고 스윙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는 것과 같은 파지감을 가지는 가벼운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101)에 형성된 삽입공(101a)의 내경은 그 삽입공(101a)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동샤프트(10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삽입공(101a)의 내부에서 이동샤프트(102)의 내.외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손잡이부(101)에 형성된 삽입공(101a)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와 같이 내.외로 이동되는 막대형 이동샤프트(102)가 정해진 길이 이상으로 이동되거나 그 이동샤프트(102)의 단부가 삽입공(101a)의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 며, 이 경우 상기 이동샤프트(102)의 단부 외측에는 상기 삽입공(101a)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이동샤프트(102)의 내측 단부가 삽입공(101a)의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거나 또는 이동샤프트(102)가 정해진 길이 이상 내.외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에 삽입되는 이동샤프트(102)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외부로 노출된 이동샤프트(102)의 끝단에는 스윙 연습시 사용자가 보다 확실한 원심력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한 소정 무게 및 형태를 가지는 헤드부(103)가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이동샤프트(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막대형 몸체를 갖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헤드부(103)가 구비된 이동샤프트(102)의 일측 단부는 작은 직경을 갖게 하고 상기 삽입공(101a)에 삽입된 반대측 단부로 갈수록 점차 큰 직경을 갖도록 테이퍼상으로 형성하여, 삽입공(101a)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샤프트(102)의 단부가 삽입공(101a)의 외부로 이탈되거나 정해진 길이 이상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상기 테이퍼상 이동샤프트(102)가 삽입되는 삽입공(101a)의 형상 또한 테이퍼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이동샤프트(102)의 단부 외경을 상기 손잡이부(101) 삽입공(101a)의 개방측 단부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 삽입공(101a)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샤프트(102)의 단부가 삽입공(101a)의 외부로 이탈되거나 정해진 길이 이상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걸림턱과 걸림돌기를 배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샤프트(102)는 실내에서 스윙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길이는 일정한 길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스윙 연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샤프트(102)의 일단에 설치된 헤드부(103)는 상기 손잡이부(101) 및 이동샤프트(102)에 비하여 보다 무거운 소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헤드부(103)는 골프 스윙 연습기(100)의 스윙에 따른 회전운동시 헤드부(103)의 무게로 인해 소정 크기 이상의 원심력을 발생시켜 이동샤프트(102)의 일부가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인출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샤프트(102)의 일단부와 손잡이부(101) 삽입공(101a)의 안쪽 단부 사이에 연결된 연결끈(104)이 직선상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실제 골프클럽의 헤드와 같은 정도의 중량을 가지는 소재로 제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3)는 일정한 무게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무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헤드부(103)의 무게를 변화시키면서 스윙 연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헤드부(103)의 형태는 도면에서와 같이 구형(球型)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실제 헤드와 유사한 형태를 갖게 하는 등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 내부에 배치된 연결끈(104)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끈(104)의 양단부가 상기 삽입공(101a)의 안쪽 단부 일 지점 과 이동샤프트(102)의 단부 일 지점에 각각 고정되어 있어,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 안쪽 단부와 이동샤프트(102)의 단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연결하고 있다.
상기 연결끈(104)은 유연하지만 탄성을 가지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며, 특히 손잡이부(101)와 이동샤프트(102) 및 헤드부(103)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장력에도 끊어지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샤프트(102) 및 헤드부(103)에 원심력이 작용되면 손잡이부(101)에 삽입된 이동샤프트(102)가 외측으로 급속히 인출되면서 그 내측 단부에 연결된 연결끈(104)이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는바, 이와 같이 이동샤프트(102)가 당기는 힘에 의해 끊어지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끈(104)의 길이는 상기 손잡이부(101)에 형성된 삽입공(101a)의 전체 깊이, 즉 상기 삽입공(101a)의 개방 단부로부터 안쪽 단부까지의 깊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샤프트(102)의 전체가 상기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 외부로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끈(104)은,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100)가 사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후기할 탄성부재(105)의 탄성에 의해 상기 이동샤프트(102)의 일측 단부가 상기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 안쪽 단부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끈(104)은 곡선을 이루며 굽혀진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100)를 이용해서 스윙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부(103)의 원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이동샤프트(102)의 일 부가 상기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 외부로 인출되므로, 상기 연결끈(104)은 직선 형상으로 팽팽히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골프 연습기(100)를 이용해서 스윙하는 사용자는 마치 연결끈(104)의 단부에 상기 헤드부(103)를 직접 매달고 원운동을 시키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헤드부(103)의 원운동 및 가속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보다 확실하게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0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장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05)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스프링 몸체의 양단부가 상기 손잡이부(101) 삽입공(101a)의 안쪽 단부와 이동샤프트(102)의 일측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부(101)와 이동샤프트(102) 사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탄성부재(105)는 상기한 연결끈(104)이 일자형으로 당겨질 때 이와 함께 유연하게 인장될 수 있는 정도로 유연한 탄성을 갖는다. 즉, 탄성부재(105)는 상기 연결끈(104)이 직선상으로 완전히 펼쳐지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그 연결끈(102)이 일자형으로 신속히 당겨지는데 영향을 주지않을 정도의 탄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05)는 상기 이동샤프트(102)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제거되면 상기 손잡이부(101) 삽입공(101a)의 외부로 인출된 이동사프트(102)를 인출되기 이전의 상태로 당겨 복원시킬 수 있는 정도의 복원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10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105)는 그 탄성부재(105)가 가지는 복원탄성과 상기 연결끈(104)의 유연성에 의 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샤프트(102)의 일측 단부가 상기 손잡이부(101)의 삽입공(101a) 내부 안쪽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100)를 이용해서 스윙하는 경우에 상기 헤드부(103)의 원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샤프트(102)의 일부분이 삽입공(101a)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이동샤프트(102)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끈(104)을 직선형상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05)는 상기 연결끈(104)의 당김 작용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인장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05)의 인장에 따른 최대 신장 범위는 상기 연결끈(104)이 일직선을 이루는 경우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05)로서 인장 스프링이 사용되는 예를 일 예로 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05)는 상기의 인장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즉, 탄성 유압 완충기 및 공압 완충기 또는 탄성고무 등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샤프트(102)의 용이한 인출과 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탄성 수단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골프 스윙 연습기(100)의 사용 방법과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 스윙 연습기(100)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골프 스윙 연습기(100)를 이용하여 스윙 동작을 행하여 골프 스윙 연 습기(100)의 이동샤프트(102)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10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101)와 이동샤프트(102)를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105)는 최소의 길이로 수축된 상태에 있고, 이와 같은 탄성부재(105)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끈(104)은 그 유연성으로 인해 임의의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101) 삽입공(101a)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샤프트(102)는 그 내측 단부가 상기 삽입공(101a)의 안쪽 단부에 가깝게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부재(105)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삽입공(101a)의 내.외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100)를 이용하여 스윙할 경우에는, 실제 골프 클럽의 사용시와 같이 본 발명 골프스윙 연습기(100)의 손잡이부(101)를 양손으로 잡고 스윙 동작 즉, 백스윙과 다운스윙 및 팔로스로 이어지는 일련의 스윙 동작을 행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다운스윙이 진행되는 순간에 상기 이동샤프트(102)의 외측 단부에 구비된 헤드(103)의 원운동 및 가속 운동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부(103)에 원심력이 작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101a)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이동샤프트(102)의 일부분이 삽입공(101a)의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손잡이부(101)와 이동샤프트(102)의 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05)가 인장됨과 동시에 손잡이부(101)와 이동샤프 트(102)의 사이에 연결된 연결끈(104)이 직선형상으로 당겨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헤드부(103)는 이동샤프트(102)와 연결끈(104) 및 그 연결끈(104)과 연결된 손잡이부(101)를 거의 동시에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이때, 손잡이부(101)를 잡고 스윙하는 사용자는 상기 헤드부(103)가 사용자 자신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는 것과 같은 힘, 즉 원심력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헤드부(103)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느끼게 됨과 동시에, 사용자 스스로 안정된 스윙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원심력에 대응하는 구심력을 적절히 발생시키는 자세와 능력을 익히게 됨으로써 자연스러운 스윙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 스윙 연습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스윙시에 발생하는 원심력과 구심력을 보다 용이하게 터득하고, 이들 원심력과 구심력 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하여 사용자의 회전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스윙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윙시 어깨와 팔에 무리한 힘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스윙 연습기의 헤드부(103)가 리드하는 일련의 스윙 동작을 자연스럽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100)는 스윙 연습시, 사용자가 스윙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쉽게 느낄 수 있고, 그 원심력에 대응하는 구심력을 생성하는 훈련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므로, 경험이 적은 초보자도 안정된 스윙 기술을 단시일 내에 습득하여, 실제 골프 클럽의 사용시 안정적인 스윙과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골프공의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200)는, 일 단부가 개방된 삽입공(201a)이 형성된 손잡이부(201); 상기 손잡이부(201)의 삽입공(201a)에 막대형 몸체의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이동샤프트(202); 상기 손잡이부(201) 삽입공(201a)의 외부로 노출된 이동샤프트(202)의 단부에 설치된 헤드부(203); 상기 손잡이부(201)의 삽입공(201a)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201)와 이동샤프트(202)를 연결하는 연결끈(204); 상기 손잡이부(201) 삽입공(201a)의 내부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끈(204)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샤프트(202)의 인출시 상기 연결끈(204)을 잡아당길 때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206); 상기 손잡이부(201)의 삽입공(201a)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샤프트(202)와 압력측정부(206)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205);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20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100)와 다른 구성 요소인 압력측정부(206)를 비롯하여 압력측정 부(206)에 연결된 연결끈(204) 및 압력측정부(206)에 연결된 탄성부재(20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력측정부(206)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07); 상기 압력센서(207)를 구동하는 구동부(208); 상기 구동부(20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09);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측정부(206)는, 상기 연결끈(204)과 연결되며, 일면이 상기 압력센서(207)와 접촉하여 상기 압력센서(207)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210); 상기 손잡이부(201)에 고정되어 압력센서(207)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11); 압력센서가 측정한 압력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212); 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압력센서(207)는 손잡이부(2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210)가 누르는 힘, 즉 압력을 측정한다. 여기서, 가압부(210)와 관련한 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압력측정부(206)의 구성 요소인 상기 구동부(208)는 상기 손잡이부(2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압력센서(207)와 연결되며, 압력센서(207)를 구동한다. 이러한 구동부(208)는 인쇄회로 방식으로 기판상에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209)는 상기 손잡이부(201)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동부(208)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208)를 구동함으로써 압력센서(207)가 동작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부(208)와 전원공급부(209)는 손잡이부(201)의 내 부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구동부(208)와 전원공급부(209)를 헤드부(203)의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골프 스윙 연습기(200)의 구성 요소 중에 상대적으로 가벼운 무게를 가져야하는 손잡이부(201)의 무게를 가볍도록 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져야하는 헤드부(203)의 무게가 무겁도록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압부(210)는 이동샤프트(202)의 일 끝단과 연결된 연결끈(204)의 타 끝단과 연결되도록 손잡이부(201)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부 영역이 상기 압력센서(207)와 접촉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210)의 외부는 상기 연결끈(204)과 연결되며, 가압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압력센서(207)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이루는 내부면 중에 압력센서(207)가 닿는 면은 가압부(210)가 연결끈(204)과 연결된 곳에 반대되는 영역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200)를 이용해서 스윙하는 순간에는 헤드부(203)의 원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이동샤프트(202)의 일부가 상기 손잡이부(201)의 삽입공(201a) 외부로 인출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이동샤프트(202)의 일부가 손잡이부(201)의 삽입공(201a)의 외부로 이탈되는 과정에서는 이동샤프트(202)가 연결끈(204)을 잡아당기게 되며 연결끈(204)은 직선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샤프트(202)가 연결끈(204)을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가압부(210)는 압력센서(207)와 접촉된 내부면이 압력센서(207) 를 누르게 된다. 이때에 상기 압력센서(207)는 가압부(210)가 누르는 힘, 즉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207)가 측정하는 압력은, 헤드부(203)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샤프트(202)가 이동하여 연결끈(204)을 잡아당김으로써 발생하는 압력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211)는 압력센서(207)의 일부 영역과 접촉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201)에 고정됨으로써 압력센서(207)를 지지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지지부(2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1)의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고정홈(201b)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지지부(211)는 손잡이부(201)에 형성된 삽입공(201a)을 이루는 내부면에 부착됨으로써 고정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11)에는 탄성부재(205)의 일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205)의 타 단부는 이동샤프트(202)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12)는 압력센서(207)를 통해 측정한 압력 값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표시(212)부는 손잡이부(201)의 외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골프 스윙 연습기(200)의 사용자는 스윙 후에 상기 표시부(212)를 관찰함으로써 자신의 스윙이 어느 정도의 원심력을 발휘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압력센서(207)를 통해 측정한 압력 값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은 경우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골프 스윙 연습기(200)를 이 용하여 스윙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압력 값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윙이 끝난 후에 상기 압력 값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또는 스윙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압력 값 중에 최대값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윙이 끝난 후에 상기 최대값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첨부한 도면 및 상기의 설명에서는 상기 압력센서(207)가 누르는 힘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인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압력센서(207)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비롯하여 당기는 힘을 측정하는 인장 압력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200)를 이용하여 스윙함으로써 골프 스윙 연습기(200)의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5는 골프 스윙 연습기(200)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골프 스윙 연습기(200)를 이용하여 스윙하는 동작을 행하여 골프 스윙 연습기(200)의 이동샤프트(202)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20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201)와 이동샤프트(202)를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205)는 최소의 길이로 수축된 상태에 있고, 이와 같은 탄성부재(205)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끈(204)은 그 유연성으로 인해 임의의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미사용 상태에 서 상기 손잡이부(201) 삽입공(201a)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샤프트(202)는 그 내측 단부가 상기 삽입공(201a)의 안쪽 단부에 가깝게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부재(205)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삽입공(201a)의 내.외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200)를 이용하여 스윙할 경우에는, 실제 골프 클럽의 사용시와 같이 본 발명 골프스윙 연습기(200)의 손잡이부(201)를 양손으로 잡고 스윙 동작 즉, 백스윙과 다운스윙 및 팔로스로 이어지는 일련의 스윙 동작을 행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다운스윙이 진행되는 순간에 상기 이동샤프트(202)의 외측 단부에 구비된 헤드(203)의 원운동 및 가속 운동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부(203)에 원심력이 작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201a)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이동샤프트(202)의 일부분이 삽입공(201a)의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손잡이부(201)와 이동샤프트(202)의 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205)가 인장됨과 동시에 손잡이부(201)와 이동샤프트(202)의 사이에 연결된 연결끈(204)이 직선형상으로 당겨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헤드부(203)는 이동샤프트(202)와 연결끈(204) 및 그 연결끈(204)과 연결된 손잡이부(201)를 거의 동시에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201)를 잡고 스윙하는 사용자는 상기 헤드부(203)가 사용자 자신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는 것과 같은 힘, 즉 원심력을 느끼게 되며, 이때 상기 압력측정부(206)의 압력센서(207)는 헤드부(203)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210)가 압력센서(207)를 누르는 힘, 즉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헤드부(203)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느끼게 됨과 동시에, 사용자 스스로 안정된 스윙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원심력에 대응하는 구심력을 적절히 발생시키는 자세와 능력을 익히게 됨으로써 자연스러운 스윙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 스윙 연습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스윙시에 발생하는 원심력과 구심력을 보다 용이하게 터득하고, 이들 원심력과 구심력 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하여 사용자의 회전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스윙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윙시 어깨와 팔에 무리한 힘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스윙 연습기의 헤드부(203)가 리드하는 일련의 스윙 동작을 자연스럽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200)를 이용한 스윙 연습을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스윙 시에 발휘하는 원심력 즉, 스윙시의 회전력과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의 크기를 압력측정부(206)를 통해 알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매 사용시 마다 자신이 발생시키는 원심력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압력측정부(206)를 통해 측정한 압력 값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인 스윙 연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100)는 스윙 연습시, 사용자가 스윙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쉽게 느낄 수 있고, 그 원심력에 대응하는 구심력을 생성하는 훈련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므로, 경험이 적은 초보자도 안 정된 스윙 기술을 단시일 내에 습득하여, 실제 골프 클럽의 사용시 안정적인 스윙과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골프공의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골프클럽를 이용한 스윙 시에 골프공의 상부를 헛스윙하게 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골프클럽을 이용한 스윙 시에 골프공의 하부를 타격하게 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골프 스윙 연습기를 이용하여 스윙하였을 경우, 스윙하는 동안의 골프 스윙 연습기 내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골프 스윙 연습기를 이용하여 스윙하였을 경우, 스윙하는 동안의 골프 스윙 연습기 내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골프 스윙 연습기 101, 201 : 손잡이부
101a, 201a : 삽입공 102, 202 : 이동샤프트
103, 203 : 헤드부 104, 204 : 연결끈
105, 205 : 탄성부재 206 : 압력측정부
207 : 압력센서 208 : 구동부
209 : 전원공급부 210 : 가압부
211 : 지지부 212 : 표시부

Claims (18)

  1. 일 단부가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에 막대형 몸체의 일부분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샤프트;
    상기 손잡이부 삽입공의 외부로 노출된 이동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된 헤드부;
    유연하지만 탄성을 가지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이동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끈; 및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이동샤프트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끈은 그 양단부가 손잡이부 삽입공에 삽입된 이동샤프트의 단부와 삽입공의 안쪽 단부 간에 설치되어, 헤드부 및 이동샤프트에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해 직선상으로 당겨지면서 손잡이부를 잡아당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샤프트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삽입공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막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의 길이는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의 깊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골프 스윙 연습기의 미사용시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샤프트가 자유로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원 탄성과, 상기 이동샤프트가 손잡이부의 삽입공의 외부로 인출될 시 그 이동샤프트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인장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6. 일 단부가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에 막대형 몸체의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이동샤프트;
    상기 손잡이부 삽입공의 외부로 노출된 이동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된 헤드부;
    유연하지만 탄성을 가지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이동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끈;
    상기 손잡이부 삽입공의 내부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끈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샤프트의 인출시 상기 연결끈을 잡아당길 때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공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샤프트와 손잡이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끈은 그 양단부가 손잡이부 삽입공에 삽입된 이동샤프트의 단부와 삽입공의 안쪽 단부 간에 설치되어, 헤드부 및 이동샤프트에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해 직선상으로 당겨지면서 손잡이부를 잡아당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샤프트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삽입공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막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의 길이는 상기 손잡이부 삽입공의 깊이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은 헤드부에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해 직선상으로 당겨지면서 압력측정부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골프 스윙 연습기의 미사용시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샤프트가 자유로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원 탄성과, 상기 이동샤프트가 손잡이부의 삽입공의 외부로 인출될 시 그 이동샤프트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인장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는,
    상기 연결끈과 연결되며, 일면이 상기 압력센서와 접촉하여 상기 압력센서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어 압력센서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가압부가 누르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는, 압력센서가 측정한 압력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 단부가 이동샤프트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손잡이부에 구비된 지지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70078723A 2007-08-06 2007-08-06 골프 스윙 연습기 KR10089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23A KR100894316B1 (ko) 2007-08-06 2007-08-06 골프 스윙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23A KR100894316B1 (ko) 2007-08-06 2007-08-06 골프 스윙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39A KR20090014639A (ko) 2009-02-11
KR100894316B1 true KR100894316B1 (ko) 2009-04-24

Family

ID=4068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23A KR100894316B1 (ko) 2007-08-06 2007-08-06 골프 스윙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09Y1 (ko) 2011-06-02 2013-09-17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엔드 부재
KR101444601B1 (ko) * 2013-05-20 2014-09-26 소상철 연습용 골프 스윙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88B1 (ko) * 2009-03-26 2009-09-09 김현수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327201B1 (ko) * 2012-01-12 2013-11-11 정연규 골프 스윙연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4343A (en) 1985-02-11 1986-09-30 Snapper, Inc. Golf swing training device
JPH0680461U (ja) * 1993-05-06 1994-11-15 良浩 木下 素振り用伸縮ゴルフクラブ
KR19990064848A (ko) * 1999-05-14 1999-08-05 이성호 연습용 골프채
KR200427629Y1 (ko) * 2006-07-18 2006-09-28 김호삼 골프연습용 클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4343A (en) 1985-02-11 1986-09-30 Snapper, Inc. Golf swing training device
JPH0680461U (ja) * 1993-05-06 1994-11-15 良浩 木下 素振り用伸縮ゴルフクラブ
KR19990064848A (ko) * 1999-05-14 1999-08-05 이성호 연습용 골프채
KR200427629Y1 (ko) * 2006-07-18 2006-09-28 김호삼 골프연습용 클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09Y1 (ko) 2011-06-02 2013-09-17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엔드 부재
KR101444601B1 (ko) * 2013-05-20 2014-09-26 소상철 연습용 골프 스윙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39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8325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CA2605211C (en) Pitching training method and device
US20020055402A1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US5040788A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for golf
EP2332620B1 (en) A device for practicing tennis ball rebounds
US7384344B2 (en) Physical conditioning aid for golfers
US5769734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894316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US6648780B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6994633B2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20090017931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7115042B2 (en) Swing trainer
US5013045A (en) Golf club swing exercising and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100289B1 (ko) 플랫 다운스윙 연습기
US20090054171A1 (en) Golf-bat for centrifugal golf swing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US10004966B1 (en) Towel trainer
CN206881054U (zh) 排球练习装置
GB2228421A (en) Sports training device
KR20240029896A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690667B1 (ko)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
JP4924892B2 (ja) 素振り棒
KR20210080642A (ko) 스윙 안테나를 이용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
JP2021122418A (ja) ゴルフ練習具およびそのゴルフスイング練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