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416B1 -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416B1
KR102501416B1 KR1020200036048A KR20200036048A KR102501416B1 KR 102501416 B1 KR102501416 B1 KR 102501416B1 KR 1020200036048 A KR1020200036048 A KR 1020200036048A KR 20200036048 A KR20200036048 A KR 20200036048A KR 102501416 B1 KR102501416 B1 KR 10250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ot
racket
handl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155A (ko
Inventor
한희옥
한상엽
조진범
Original Assignee
한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옥 filed Critical 한희옥
Priority to KR102020003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4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5Entertainment or amusement; Spor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6Squas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사람이 잡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기울기,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감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APPARATUS FOR EXERCISING OF RACKET USING IoT, AND EXERCISING SYSTEM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물인터넷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라켓 연습정보를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헬스 케어(health care)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헬스 케어를 위한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exercise program)들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의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선택된 운동 프로그램에 의한 가이드(또는 운동 코치(exercise coach))에 따라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1111호(2019년 3월 5일 공개)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기반하여 운동 강도와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태가 고려된 개인 코치(personal coach)를 통해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헬스 케어 서비스는 달리기 등과 같은 운동에만 적용되고, 기구를 이용한 운동에 대해서는 운동가이드나 운동량 체크를 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방식으로 라켓 관련 운동을 하여 운동량을 관리할 수 있는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분리가능한 하중부를 이용하여 운동장치의 하중을 변경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야간에 조명이 켜진 상태로 훈련할 수 있는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사람이 잡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기울기,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감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탁구, 배드민턴, 스쿼시 및 테니스 중 어느 하나의 종목을 포함하는 사용모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감지정보와 비교하여 운동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무게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무게를 조절하는 하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어, 주변의 조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사람이 잡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기울기,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감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라켓 운동장치와, 상기 손잡이부가 수용되어 접촉식 또는 무선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도킹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방식으로 라켓 관련 운동을 하여 운동량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가능한 하중부를 이용하여 운동장치의 하중을 변경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야간에 조명이 켜진 상태로 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 중 훈련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의 다양한 라켓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의 스윙궤적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에 하중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도 4에 따른 하중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에 조명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조명부가 헤드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 중 훈련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의 다양한 라켓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의 스윙궤적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100)는 본체부(110), 손잡이부(120), 감지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연습하고자 하는 라켓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도 3과 같이 탁구, 테니스, 배드민턴, 스쿼시(squash)의 라켓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헤드부(111)와 지지부(112)를 포함한다. 헤드부(111)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금속재 또는 탄소섬유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헤드부(111)는 라켓 연습종류에 따라 그 크기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지지부(112)는 헤드부(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헤드부(1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12)는 헤드부(111)와 동일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112)의 일측에는 헤드부(111)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후술하는 손잡이부(120)가 형성된다.
손잡이부(120)는 지지부(112)와 연결되어 사람이 잡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손잡이부(120)는 사람이 파지한 상태로 스윙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와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20)에는 후술하는 감지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가 내장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에는 1차전지 또는 2차전지가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손잡이부(1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미끄러짐을 방직하기 위해 표면을 실리콘이나 고무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손잡이부(120)의 크기 및 형상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감지부(130)는 본체부(110) 또는 손잡이부(120)에 형성되어 기울기,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획득한다. 감지부(130)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IoT 라켓 운동장치(100)를 파지한 상태로 운동하는 경우의 운동량을 감지정보로 생성한다. 이러한 감지정보는 사용자가 IoT 라켓 운동장치(100)를 사용중인지 여부, 운동정보 등을 통해 사용패턴이나 운동량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감지부(130)는 이러한 감지정보를 통신부(140) 또는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감지부(130)는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감지부(130)는 GPS를 이용하여 IoT 라켓 운동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IoT 라켓 운동장치(100)의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역별 사용자들의 운동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IoT 라켓 운동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는 IoT 라켓 운동장치(100)의 도난시 이를 추적할 수도 있다. 감지부(130)는 이러한 위치정보를 통신부(140) 또는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통신부(140)는 손잡이부(120)에 형성되어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한다. 통신부(140)는 감지부(130)의 감지정보,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50)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40)는 IoT 라켓 운동장치(100)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대기모드로 대기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활동모드로 전환되어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하게 된다. 이는 통신부(140)의 통신에 따른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통신부(14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외에 5G통신과 같은 장거리 통신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IoT 라켓 운동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0)는 감지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사용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모드는 실전모드인지 훈련모드인지, 어떤 종목의 운동인지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탁구, 배드민턴, 스쿼시, 테니스 중 어느 하나의 사용모드를 설정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감지정보 중 회전반경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모드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각 종목에 따른 회전반경 특성패턴을 분석하여 어떤 라켓 형태의 본체부(110)를 사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모드정보를 수신하고, 사용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감지정보와 비교하여 운동정보를 관리한다. 제어부(150)는 손잡이부(120)에 형성된 표시부(151) 또는 스피커(152)를 통해 운동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전 경기를 치르는 경우 사용모드를 실전모드로 설정하고, 훈련을 하는 경우 훈련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모드가 훈련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훈련프로그램을 설정하거나, 기 설정된 훈련프로그램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동정보는 감지정보에 따라 스매싱 횟수, 속도를 획득하고 이를 훈련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모드인 경우에도 포핸드/백핸드 클리어, 포핸드/백핸드 드라이브, 포핸드/백핸드 리시브 등과 같은 동작에서의 스윙에 따른 횟수, 속도 등을 운동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모드정보가 훈련모드인 경우 스피커(152)를 통해 비트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스윙 타이밍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템포에 따라 비트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스윙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52)를 통해 "삑-삑-삑-뚜"와 같은 비트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스윙을 유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비트음에 따른 감지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제대로 된 타이밍에 스윙을 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훈련모드가 종료된 후 운동정보를 통해 스윙 타이밍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IoT 라켓 운동장치(100)의 스윙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IoT 라켓 운동장치(100)를 스윙치 움직임에 대한 3D 좌표를 이용하여 스윙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는 포핸드/백핸드 클리어, 포핸드/백핸드 드라이브, 포핸드/백핸드 리시브 등과 같은 동작시 사용자의 스윙궤적이 기 설정된 표준 스윙궤적과 유사도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스윙궤적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윙궤적을 분석한 유사도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윙이 올바른 스윙궤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IoT 라켓 운동장치(100)의 사용자별 운동정보를 외부의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그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대한 순위정보를 획득하여 표시부(15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게임모드정보를 수신하면 일정한 시간 내에 IoT 라켓 운동장치(100) 스윙횟수, 스윙정확도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서버는 정해진 시간 내 가장 많은 스윙개수와 가장 높은 스윙정확도를 가지는 사용자를 랭킹으로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IoT 라켓 운동장치(100)를 통해 훈련을 하면서 불특정 다수와 경쟁할 수 있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에 하중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을 도 4에 따른 하중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100)는 하중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부(160)는 금속와이어에 합성수지재 피복이 형성되거나, 합성수지재만으로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중부(160)는 기 설정된 무게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본체부(110) 중 헤드부(111)를 감으면서 형성된다. 이 경우, 하중부(160)는 와이어의 권선수 등에 의해 무게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하중부(160)는 도 5의 (a)와 같이 속이 빈 형태로 형성되거나, (b)와 같이 속이 꽉 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이나 근력에 따라 무게가 다른 하중부(160)를 IoT 라켓 운동장치(1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전 라켓보다 무겁게 연습을 하면서 손목 등을 강화시키는 훈련을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에 조명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조명부가 헤드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는 조명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70)는 본체부(110) 또는 손잡이에 형성되어 조명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조명부(170)는 엘이디(171)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170)는 주변의 조도에 따라 온오프된다. 예를 들어, 주변의 조도가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조명이 출력된다. 이는 사용자가 실외 등에서 연습시 IoT 라켓 운동장치(100)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조명부(170)는 조도센서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70)는 내부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조명부(170)는 원형의 고무링과 같은 형상으로, 일측에는 복수의 엘이디(171)가 배열되어 본체부(110) 중 헤드부(111)의 내측면에 삽입되어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명부(170)는 헤드부(111)에 탈착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부(170)의 타측에는 절개홈(172)이 형성되어 헤드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헤드부(111)를 절개홈(172)을 통해 밀어 넣어 끼움 결합방식으로 삽입된다. 조명부(170)의 엘이디(171)는 헤드부(111) 내측에 조사됨으로써 사용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조명부(170)는 전선(173)이 지지부(112) 내측을 통해 손잡이부(120)에 있는 내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10)에는 제1 전극부(113)이 형성될 수 있고, 조명부(170)에는 제2 전극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부(113)는 전선(173)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제2 전극부(174)는 조명부(170)가 본체부(110) 중 헤드부(111)에 결합되면 전원을 공급받아 엘이디(17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부(170)는 본체부(110)에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켓 운동시스템은 전원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8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내부전원으로 1차 전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전원부(180)가 2차 전지일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부(180)는 외부의 도킹장치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다. 전원부(180)는 외부의 전원케이블이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부(180)는 내부전원이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표시부(151)나 스피커(152)를 통해 잔량을 알람할 수 있다. 전원부(180)는 무선충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라켓 운동장치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라켓 운동시스템은 IoT 라켓 운동장치(100) 및 도킹장치(2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IoT 라켓 운동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언급한 내용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킹장치(200)는 내측에 IoT 라켓 운동장치(100)의 손잡이부(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장치(200)는 원통형,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킹장치(200)는 바닥면에 충전부(210)가 형성되어 IoT 라켓 운동장치(100)가 수용되면 접촉식 단자 또는 무선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도킹장치(200)의 개구된 내측면에는 복수의 살균램프(220)가 형성될 수 있다. 살균램프(220)는 도킹장치(200)에 손잡이부(120)가 안착되면 손잡이부(120) 주변에 살균램프(220)를 조사하여 살균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땀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살균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외부의 도킹장치(200)를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함과 동시에 손잡이부(120)를 살균하여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IoT 라켓 운동장치
110 : 본체부
111 : 헤드부
112 : 지지부
113 : 제1 전극부
120 : 손잡이부
130 : 감지부
140 : 통신부
150 : 제어부
151 : 표시부
152 : 스피커
160 : 하중부
170 : 조명부
171 : 엘이디
172 : 절개홈
173 : 전선
174 : 제2 전극부
180 : 전원부
200 : 도킹장치
210 : 충전부
220 : 살균램프

Claims (5)

  1. 타원형으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일측에 제1 전극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사람이 잡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기울기,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감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사용모드가 훈련모드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템포에 따라 비트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스윙을 유도하고, 상기 비트음에 따른 감지정보를 획득하여 스윙 타이밍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기 설정된 무게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을 감으면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권선수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무게를 조절하는 하중부;
    원형의 고무링 형상으로 일측에 엘이디가 형성되고, 타측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결합시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제1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2 전극부가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로 전원을 공급하여 주변의 조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조명부; 및
    외부의 도킹장치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형성되어 표시부나 스피커를 통해 잔량을 알람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장치는,
    개구된 내측면에 복수의 살균램프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면 살균시키는 IoT 라켓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탁구, 배드민턴, 스쿼시 및 테니스 중 어느 하나의 종목을 포함하는 사용모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감지정보와 비교하여 운동정보를 관리하는 IoT 라켓 운동장치.
  3. 삭제
  4. 삭제
  5. 타원형으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일측에 제1 전극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사람이 잡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기울기,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감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사용모드가 훈련모드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템포에 따라 비트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스윙을 유도하고, 상기 비트음에 따른 감지정보를 획득하여 스윙 타이밍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기 설정된 무게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을 감으면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권선수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무게를 조절하는 하중부와, 원형의 고무링 형상으로 일측에 엘이디가 형성되고, 타측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결합시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제1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2 전극부가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로 전원을 공급하여 주변의 조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조명부와, 외부의 도킹장치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형성되어 표시부나 스피커를 통해 잔량을 알람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IoT 라켓 운동장치;
    상기 손잡이부가 수용되어 접촉식 또는 무선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개구된 내측면에 복수의 살균램프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면 살균시키는 상기 도킹장치를 포함하는 IoT 라켓 운동장치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KR1020200036048A 2020-03-25 2020-03-25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KR10250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48A KR102501416B1 (ko) 2020-03-25 2020-03-25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48A KR102501416B1 (ko) 2020-03-25 2020-03-25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155A KR20210120155A (ko) 2021-10-07
KR102501416B1 true KR102501416B1 (ko) 2023-02-22

Family

ID=7811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048A KR102501416B1 (ko) 2020-03-25 2020-03-25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856B1 (ko) * 2022-11-01 2024-02-06 원경섭 라켓 텐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718Y1 (ko) * 2006-12-26 2007-12-27 권두환 발광 라켓
KR101149025B1 (ko) * 2011-10-13 2012-06-01 (주)스포츠유피 사용자 맞춤형 라켓 및 라켓 관리 시스템
JP2018526059A (ja) * 2015-06-30 2018-09-13 ゼップ 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ポーツ用具の動き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629A (ko) * 2014-03-26 2015-10-06 조준겸 발광 기능을 갖는 스포츠 라켓
KR20150004435U (ko) * 2014-06-02 2015-12-10 아키라 이시모토 라켓용 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718Y1 (ko) * 2006-12-26 2007-12-27 권두환 발광 라켓
KR101149025B1 (ko) * 2011-10-13 2012-06-01 (주)스포츠유피 사용자 맞춤형 라켓 및 라켓 관리 시스템
JP2018526059A (ja) * 2015-06-30 2018-09-13 ゼップ 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ポーツ用具の動き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155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8425B2 (en) Motion detection system
KR101487391B1 (ko) 무선 줄넘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JP4520048B2 (ja) スポーツトレーニング装置並びにスポーツ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US20110306435A1 (en)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unit, and a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07507256A (ja) エクササイズ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エクササイズネットワーク
KR102501416B1 (ko)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US2024008257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10870970A (zh) 智能健身装置及其应用
CN113426068B (zh) 一种康复训练设备及其工作方法
EA035464B1 (ru)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вигательной активности
US201601756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biomechanics with immediate prescriptive feedback
KR20180061889A (ko) 골프 그립용 센서모듈과 스마트 골프 그립
JP2004024627A (ja) 動作練習装置
US20210086056A1 (en) Tennis racket sensor system and coaching device
GB2503679A (en) A programmable visual training aid for swimmers
KR20160025087A (ko) 타점 감지유닛을 가지는 라켓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타점 감지방법
US6458040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2437622B1 (ko)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JP2005152424A (ja) 視覚障害者用遊戯具
US10232242B2 (en) Devices to improve swing techniqu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50134771A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WO2016043460A1 (ko) 골프용 가이드 표시 장치
KR102180755B1 (ko) 발광 운동 기구
KR102259688B1 (ko) 스윙 연습 기기
KR20210125703A (ko) 게임을 이용한 호흡 훈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