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755B1 - 발광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발광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755B1
KR102180755B1 KR1020190108666A KR20190108666A KR102180755B1 KR 102180755 B1 KR102180755 B1 KR 102180755B1 KR 1020190108666 A KR1020190108666 A KR 1020190108666A KR 20190108666 A KR20190108666 A KR 20190108666A KR 102180755 B1 KR102180755 B1 KR 10218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pace
housing
grip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희
Original Assignee
정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희 filed Critical 정창희
Priority to KR102019010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 조절이 가능한 발광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운동 기구는 파지 가능한 그립부와, 그립부의 일단 및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중량부와, 그립부와 중량부 사이에 배치되며 중량부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와 중량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립부에 결합되는 투명한 재질의 차단부를 포함하고, 중량부는 파지 가능한 파지부재가 형성되어, 그립부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바벨운동 또는 덤벨운동이 가능하며, 중량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유체의 양에 따라, 중량부의 중량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 운동 기구{LUMINOUS SPORTING GOODS}
본 발명은 발광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 조절이 가능한 발광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미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을 지속하는 헬스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근력을 증가시키거나 근육량의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운동으로,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을 가진 물체를 이용한다. 이때, 덤벨은 샤프트의 양단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블록형의 중량체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바벨은 비교적 긴 길이의 샤프트의 양단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중량체 플레이트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몸에 적절한 중량하중을 가하는 덤벨 또는 바벨을 선택하여 웨이트 트레이닝을 시행해야 하는데, 홈 트레이닝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경우 비용적 부담 및 공간적 제한 등으로 인해 다양한 중량의 덤벨 또는 바벨을 구비할 수 없어, 운동 강도 변경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중량 조절이 용이하며 어두운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발광부를 채용한 발광 운동 기구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량 조절이 용이하며 어두운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발광부를 채용한 발광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지 가능한 그립부와, 그립부의 일단 및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파지 가능한 파지부재가 형성되는 중량부와, 그립부와 중량부 사이에 배치되며 중량부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와 중량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립부에 결합되는 투명한 재질의 차단부를 포함하고, 중량부는 그립부와의 결합에 따라 바벨로서 활용되고, 그립부와의 분리에 따라 덤벨로서 활용되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체의 양에 따라 중량이 변화되는 발광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 및 타단에 발광부 및 차단부가 수용 가능한 함몰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단에 함몰홈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타단에 중량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부재에서부터 삽입홈까지 광섬유가 내설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량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의 중심에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투입구의 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투입로가 형성되는 연장부재와, 중공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에 연장부재가 위치되도록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하고, 공간형성부재의 내주면과 연장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이격공간에 그립부의 단부가 삽입되고, 연장부재는 그립부의 함몰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는 단차를 갖는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제1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면이 개구된 제2공간이 함몰 형성되며, 제1공간으로 삽입되어 제1하우징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하우징은 수용공간에 물이 가득 채워져 있다고 가정하여 제2하우징의 상단의 위치에 따른 중량부의 중량을 표시하는 문자 및 눈금이 형성되고, 제2하우징은 제2하우징의 상단이 제1하우징의 단차면과 맞닿게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높이에 따른 중량부의 중량을 표시하는 문자 및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량 조절이 용이하며, 그립부와 중량부의 분리 여부에 따라 바벨 및 덤벨로서 활용 가능 하기 때문에, 활용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어 재미와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운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운동 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운동 기구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운동 기구(1)의 단면도이다.
발광 운동 기구(1)는 그립부(10), 중량부(20), 발광부(30) 및 차단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0)는 바벨 운동 시 파지되는 부분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립부(10)는 일단 및 타단에 함몰홈(11)이 내측으로 소정깊이로 수직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0)에서 사용자의 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은 굴곡지게 형성되거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량부(20)는 바벨운동 및 덤벨운동 시 사용자에게 하중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그립부(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파지부재(213)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중량부(20)를 그립부(10)와 결합하고 그립부(10)를 파지하여 바벨운동을 할 수 있으며, 그립부(10)와 분리된 중량부(20)의 파지부재(213)를 파지하여 덤벨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중량부(20)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211)이 형성되어, 수용공간(211)에 수용되는 액체의 양에 따라 중량이 조절될 수 있다.
발광부(30)는 빛을 발광하는 부분으로, 그립부(10)와 중량부(2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30)는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발광부(30)는 그립부(10)의 함몰홈(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립부(10)의 내부에 위치한 전원 공급부(14)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차단부(40)는 외부와 차단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발광부(30)를 보호하는 부분으로, 함몰홈(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4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가 투명하게 형성되거나 하트, 별, 꽃 등과 같은 문양으로 일부만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40)에 문양이 형성되는 경우, 차단부(4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은 차단부(40)에 형성된 문양과 동일한 형태의 문양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사용자는 발광 운동 기구(1)를 운동기구로서 사용하거나, 조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량부(20)는 몸체(21), 연장부재(22) 및 공간형성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는 내부에 수용공간(211)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의 중심에 수용공간(211)과 연통하는 투입구(21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입구(212)는 수용공간(2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재(22)는 투입구(212)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211)과 연통되는 투입로(2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는 투입로(221)를 통해 수용공간(211)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22)는 투입로(221)를 차단하는 리드부(24)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드부(24)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입로(221)로 삽입되거나, 연장부재(22)의 일단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연장부재(22)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중량부(20)가 바벨로서 활용되는 경우, 리드부(24)와 연장부재(22)의 결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나, 중량부(20)가 덤벨로서 활용되는 경우, 리드부(24)를 연장부재(22)와 결합시켜 투입로(221)를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형성부재(23)는 그립부(10)와 중량부(20)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중공(231)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2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중공(231)의 직경은 연장부재(22)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간형성부재(23)의 내주면과 연장부재(22)의 외주면은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즉, 공간형성부재(23)의 내주면과 연장부재(22)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0)와 중량부(20)의 결합 시에 그립부(10)의 단부는 이격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연장부재(22)는 함몰홈(11)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장부재(22)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립부(10)는 함몰홈(1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부재(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간형성부재(23)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형성부재(23)와 맞닿는 그립부(10)의 단부는 외주면을 따라 공간형성부재(2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립부(10)의 내측 및 외측에서 모두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립부(10)와 중량부(20)가 더욱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운동 기구(1)의 분해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해당 실시예에 부가된 길이 조절부(50)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길이 조절부(50)는 그립부(10)의 길이 연장을 위해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립부(10)와 중량부(20)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50)는 그립부(10)와 동일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에 함몰홈(11)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재(51)가 형성될 수 있고, 타단에 중량부(20)의 연장부재(22)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52)이 내측방향으로 수직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부(50)는 돌출부재(51)에서부터 삽입홈(52)까지 광섬유(53)가 내설될 수 있으며, 광섬유(53)는 발광부(30)에서 발광된 빛이 길이 조절부(50)를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광경로를 제공한다.
한편, 그립부(10)와 중량부(20) 사이에 길이 조절부(50)가 결합되는 경우, 길이 조절부(50)의 일단부(즉, 돌출부재(51))는 함몰홈(11)에 삽입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부(50)의 타단부는 이격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연장부재(22)는 삽입홈(52)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길이 조절부(50)는 돌출부재(51)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홈(11)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부(50)는 삽입홈(52)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부재(22)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이격공간에 삽입되는 타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공간형성부재(2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20)의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해당 실시예에서 달라진 몸체(21)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21)는 제1하우징(21a) 및 제2하우징(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21a)은 단차를 갖는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공간(211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공간(211a)도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영역(2111a)과 제2영역(2112a)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영역(2112a)은 상술한 실시예의 투입로(2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제2하우징(21b)은 원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된 제2공간(211b)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하우징(21b)의 외주면의 직경은 제2영역(2112a)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제2하우징(21b)은 제1영역(2111a)으로 삽입되어 제1하우징(21a)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21a)은 제1영역(2111a)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2하우징(21b)은 외주면을 따라 제1하우징(21a)의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하우징(21b)은 회전에 따라 제1하우징(21a) 내로 삽입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은 제1하우징(21a)의 단차면과 제2하우징(21b)의 하면 사이에 위치한 공간일 수 있다.
제1하우징(21a)의 외주면에는 수용공간에 물이 가득 채워졌을 때 제2하우징(21b)의 삽입 정도에 따른 중량부(20)의 중량을 표시하는 문자 및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량을 표시하는 문자 및 눈금은 해당 중량에서 제2하우징(21b)의 상단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제2하우징(21b)의 상단의 위치와 대응되는 눈금 및 문자로 중량부(20)의 중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21b)의 외주면에는 제2하우징(21b)의 상단이 제1하우징(21a)의 단차면과 맞닿게 삽입되었을 때,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높이에 따른 중량부(20)의 중량을 표시하는 문자 및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량을 표시하는 문자 및 눈금은 해당 중량에서 물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물의 높이와 대응되는 눈금 및 문자로 중량부(20)의 중량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수용공간에 물이 가득 채워지지 않았을 경우와 물이 가득 채워졌을 경우 모두 중량부(20)의 중량 파악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운동 기구(1)의 블록도이다.
발광 운동 기구(1)는 접촉 센서부(12) 및 스위치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센서부(12)는 그립부(10)에 사용자의 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사용자 신체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전원 공급부(14)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접촉 센서부(12)는 터치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4)는 접촉 센서부(1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부(3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발광부(3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4)는 그립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충전단자(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스위치부(13)는 전원 공급부(14)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그립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치부가 on 상태가 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4)는 발광부(3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off 상태가 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4)는 발광부(3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접촉 센서부(12) 또는 스위치부(13)에 의해 발광부(30)의 발광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발광 운동 기구
10 : 그립부
20 : 중량부
30 : 발광부
40 : 차단부
50 : 길이 조절부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 및 타단에 함몰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파지 가능한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일단 및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파지 가능한 파지부재가 형성되는 중량부와,
    상기 그립부와 상기 중량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량부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중량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그립부에 결합되는 투명한 재질의 차단부와,
    일단에 상기 함몰홈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중량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에서부터 상기 삽입홈까지 광섬유가 내설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는, 상기 그립부와의 결합에 따라 바벨로서 활용되고, 상기 그립부와의 분리에 따라 덤벨로서 활용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체의 양에 따라 중량이 변화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함몰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운동 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의 중심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투입구의 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투입로가 형성되는 연장부재와,
    중공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 연장부재가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연장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공간에 그립부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그립부의 함몰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운동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단차를 갖는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제1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면이 개구된 제2공간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에 물이 가득 채워져 있다고 가정하여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의 위치에 따른 상기 중량부의 중량을 표시하는 문자 및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단차면과 맞닿게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높이에 따른 상기 중량부의 중량을 표시하는 문자 및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운동 기구.
KR1020190108666A 2019-09-03 2019-09-03 발광 운동 기구 KR10218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66A KR102180755B1 (ko) 2019-09-03 2019-09-03 발광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66A KR102180755B1 (ko) 2019-09-03 2019-09-03 발광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755B1 true KR102180755B1 (ko) 2020-11-19

Family

ID=7367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666A KR102180755B1 (ko) 2019-09-03 2019-09-03 발광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613A (ko) * 2021-11-11 2023-05-18 이윤빈 근력 운동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712A (ja) * 1999-05-28 2000-12-12 Paul Belokin ボトル連結器
US20050065002A1 (en) * 2003-09-24 2005-03-24 Wu-Shuan Su Hollow dumbbell
CN203162575U (zh) * 2013-04-27 2013-08-28 王善宗 花式手电筒
WO2013181757A2 (en) * 2012-06-04 2013-12-12 Summation Fitness Inc. Weight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712A (ja) * 1999-05-28 2000-12-12 Paul Belokin ボトル連結器
US20050065002A1 (en) * 2003-09-24 2005-03-24 Wu-Shuan Su Hollow dumbbell
WO2013181757A2 (en) * 2012-06-04 2013-12-12 Summation Fitness Inc. Weight plate
CN203162575U (zh) * 2013-04-27 2013-08-28 王善宗 花式手电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613A (ko) * 2021-11-11 2023-05-18 이윤빈 근력 운동 기구
KR102628059B1 (ko) 2021-11-11 2024-01-23 이윤빈 근력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7447B1 (en) Exercise treadmill for children
US20150283025A1 (en) Portable massage, magnet and light therapy device
US20170239516A1 (en) Masticatory muscle exercise device
KR102180755B1 (ko) 발광 운동 기구
US202002227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lighting a fluid-resistance exercise machine
GB2503679A (en) A programmable visual training aid for swimmers
US20100060199A1 (en) Illumination poi
US9010958B2 (en) Penetrating illuminator for vein observation
US9630063B1 (en) Light-activated illuminated golf ball
KR100826290B1 (ko) 퍼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골프용 퍼터
KR200472814Y1 (ko) 주류용기용 조명장치
KR102501416B1 (ko) IoT 라켓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켓 운동시스템
KR20130005472U (ko) 복합 기능 스트레칭 기구
JP3236041U (ja) 眼球運動トレーニング装置、眼球運動トレーニング機器
CN212491302U (zh) 一种长度可调的发光绳
KR100888421B1 (ko) 골프 스윙궤적 추적장치
KR102236619B1 (ko) 민첩성 훈련 및 게임 시스템
KR101912347B1 (ko) 무드등 겸용 iot 케틀벨 장치
CN207198796U (zh) 一种用于vr活动的筐体装置
KR102268511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837186B1 (ko)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하는 유아 운동 기구
CN203677897U (zh) 发光毽球
CN206414764U (zh) 一种打地鼠机
KR200383063Y1 (ko) 심박수의 측정 및 표시가 가능한 변색발광 줄넘기
KR20200087462A (ko) 학습용 페그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