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366A - Lng 화물창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Lng 화물창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366A
KR20210001366A KR1020190077372A KR20190077372A KR20210001366A KR 20210001366 A KR20210001366 A KR 20210001366A KR 1020190077372 A KR1020190077372 A KR 1020190077372A KR 20190077372 A KR20190077372 A KR 20190077372A KR 20210001366 A KR20210001366 A KR 20210001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argo hold
wheels
lng cargo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순
홍성범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366A/ko
Publication of KR2021000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화물창용 작업대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가지는 화물창의 하부 경사부에 설치되는 작업대에 있어서, 작업대는 지지 프레임,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발판,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바퀴,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NG 화물창용 작업대{WORK PLATFORM FOR LNG CARGO TANK}
본 발명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LNG 화물창에 사용하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 즉, 액화천연가스의 운반선에 있어 화물창은 크게 모스형과 멤브레인형으로 구분된다. 멤브레인형의 경우에 화물창의 단열밀봉 공사에 있어, 고정식 비계 구조물(scaffolding)을 설치하고 이를 매개로 화물창 내부에 대한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멤브레인형 화물창 공사 및 점검은 화물창의 내부에 다층의 고정식 비계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를 디딤대로 하여 단열 밀봉을 위한 각종 작업 및 보수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고정식 비계 구조물은 화물창의 내부 높이 구역별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다층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고정식 비계 구조물은 화물창 표준 공사의 각 공정별 작업 특성을 감안하여 설계되므로 각 공정의 종료 시에는 고정식 비계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다시 철거 및 재시공 작업이 반복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027691호에서는 화물창 내에 설치되는 비계 구조물의 길이 조절과 경사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화물창의 내부에서 작업자에게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비계 구조물을 이동 가능한 구조로 개발하여 화물창에 대한 각종 작업 시 작업자의 가용작업 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한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비계 구조물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작업 시 작업자의 가용작업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나, 구름 접촉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호용 바닥판 부재의 추가 시공으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특히 구름 접촉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몸체부와 화물창 바닥 사이 영역이 베이스 몸체부에 의해 폐쇄되어 화물창 로워 슬롭의 스트레이크 심(strake seam) 용접 시 공간 확보를 위해 철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정별 전용 디딤대 철거 및 재시공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용접작업의 연속성 및 용접품질이 향상되는 LNG 화물창용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화물창용 작업대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가지는 화물창(10)의 하부 경사부(4)에 설치되는 작업대(1000)에 있어서, 작업대(1000)는 지지 프레임(11),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발판(12), 지지 프레임(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바퀴(31, 32, 33), 바퀴(31, 32, 33)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34)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31, 32, 33)는 상기 모터(34)의 회전축과 벨트 풀리(3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바퀴(31), 제1 바퀴(31)와 화물창(10)의 인바 텅(2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 바퀴(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바퀴(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퀴(31)와 상기 제2 바퀴(32) 사이에 위치하며 작업대(1000)를 고정시키는 고정 바퀴(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바퀴(33)는 하부 경사부(4) 상에 설치된 인바 텅(23)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쌍으로 위치하며, 상기 인바 텅(23)을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퀴(31), 제2 바퀴(32) 및 고정 바퀴(33)는 표면에 우레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31, 32, 33)는 상기 하부 경사부(4) 상에 설치된 인바 텅(23)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1)에 탈,부착되는 핸드레일(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NG 화물창용 작업대는 인바 텅의 용접된 부분에 간섭없이 이동이 가능하며, 인바 텅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인바 스크레이트의 면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창의 경사부 작업을 위해서 바닥부에 비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닥부 작업을 동시에 실시하여 공정 효율 향상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용접 작업과 같은 작업의 속도에 따라서 작업대의 이동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의 연속성을 증가시키고 용접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LNG 화물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화물창용 작업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바퀴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작업대의 바퀴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고정 바퀴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반적인 LNG 화물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화물창용 작업대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바퀴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작업대의 바퀴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1000)는 LNG 화물창(10) 내벽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화물창(10)은 액화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저장 공간으로 화물창(10)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부 경사부(3),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 경사부(4), 상부 경사부 사이를 연결하는 천장부(5), 하부 경사부(4)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부(6), 상부 경사부(3)와 하부 경사부(4) 사이를 연결하여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 벽체(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1000)는 하부 경사부(4)에 설치되어, 하부 경사부(4)에서의 작업, 하부 경사부(4)와 수직 벽체(7)의 연결부에서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바닥부(6)에는 양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채널(channel) 단면을 가지는 인바 스트레이크(invar strake)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인바 스트레이크(21)의 절곡된 부분 사이에 중첩되도록 위치하여, 바닥부(6)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인바 텅(23)이 용접(welding)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들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오목부에는 높이를 돋우기 위한 바닥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경사부(4)의 경사면에도 바닥부(6)와 동일한 형태로, 인바 스트레이크와 인바 텅(23)이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인바 텅(23)은 하부 경사부(4)의 경사면에 대해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인바 텅(23)의 높이(H)는 경사면으로부터 25~30mm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1000)는 하부 경사부(4)에 위치하는 인바 텅(23)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1000)는 프레임부(100)와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일정 강도를 가지는 금속 봉 또는 금속 각재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1), 지지프레임(11)에 경사지게 설치된 발판(12), 지지프레임(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드레일(13)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1)은 하부 경사부(4)의 경사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발판(12)은 지면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이므로, 발판(12)은 지지 프레임(11)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발판(12)은 지지 프레임(11)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핸드레일(13)은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핸드레일(13)의 단부가 지지 프레임(11)에 볼트, 너트 등으로 결합되어 필요에 의해서 착,탈 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지지 프레임(1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퀴(31, 32, 33)와 바퀴(31, 32, 33)를 회전시키는 모터(34)를 포함한다.
모터(34)는 속도 조절이 용이한 DC 모터일 수 있으며, 리모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온/오프 및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퀴(31, 32, 33)는 제1 바퀴(31), 제2 바퀴(32), 고정 바퀴(33)를 포함한다. 제1 바퀴(31), 제2 바퀴(32) 및 고정 바퀴(33)는 회전시 접촉면과의 마찰을 줄이면서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표면에 우레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퀴(31)와 제2 바퀴(32)는 작업대(1000)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인바 텅(23)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고, 고정 바퀴(33)는 작업대의 중심에만 설치될 수 있다. 바퀴(31, 32, 33)는 인바 텅(23)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모터(34)의 회전축과 제1 바퀴(31)의 회전축은 벨트 풀리(belt pully)(35)로 연결되어, 모터(34)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제2 바퀴(32)는 제1 바퀴(31)를 보조하여 용이하게 작업대(10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대(1000)의 높이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모터(34)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제2 바퀴(32)는 제1 바퀴(31)의 회전에 따라서 제1 바퀴(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제1 바퀴(31) 및 제2 바퀴(32)에는 바퀴의 회전을 멈추는 별도의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대(1000)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
작업자가 작업 중에 작업대가 전복될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밀한 작업이 어려울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바퀴(33)를 설치하여 작업대(100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바퀴(33)는 인바 텅(23)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쌍으로 위치한다. 이때, 제1 바퀴(31) 및 제2 바퀴(32)는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 바퀴(31) 및 제2 바퀴(32)의 표면이 인바 스트레이크(21)와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고정 바퀴(33)는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고정 바퀴(33)의 표면이 인바 텅(23)과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바퀴(33)는 작업대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바퀴(33)의 회전에 따라서 작업대가 고정될 수 있다.
인바 텅(23)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하여, 모터(34)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고정 바퀴(33)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 바퀴(33)는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처럼, 가압력을 조절하면 작업시에 제1 바퀴 및 제2 바퀴가 회전하더라도, 고정 바퀴(33)가 인바 텅(23)을 가압하여 잡고 있으므로 작업대(100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용접 장비인 스팟 용접기(spot w/d), 심 용접기(seam w/d, 1mm 자동 용접기(auto w/d)의 경우 각각의 용접 속도가 다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작업대의 이동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연속해서 용접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바퀴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고정 바퀴(33)의 회전축(36)은 중심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친 편심(偏心)일 수 있다.
이처럼, 회전축(36)을 편심시키면 도 4에서와 같이 제1 방향으로 회전시에 고정 바퀴(33)가 인바 텅(23)과 인접하게 되면서 인바 텅(23)을 가압하여 작업대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제2 방향으로 회전시에 고정 바퀴(33)가 인바 텅(23)과 멀어지면서 분리되어, 작업대는 이동 가능해진다.
작업자는 고정 바퀴(33)의 회전축(36)에 연결된 손잡이를 조작하여 작업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지지 프레임 12: 발판
13: 핸드레일 21: 인바 스트레이크
23: 인바 텅 31, 32, 33: 바퀴
100: 프레임부 300: 구동부
1000: 작업대

Claims (7)

  1.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가지는 화물창(10)의 하부 경사부(4)에 설치되는 작업대(1000)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0)는
    지지 프레임(11);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발판(12);
    상기 지지 프레임(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바퀴(31, 32, 33); 및
    상기 바퀴(31, 32, 33)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34)를 포함하는
    LNG 화물창용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31, 32, 33)는 상기 모터(34)의 회전축과 벨트 풀리(3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바퀴(31);
    상기 제1 바퀴(31)와 상기 화물창(10)의 인바 텅(2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 바퀴(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바퀴(32)를 포함하는
    LNG 화물창용 작업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퀴(31)와 상기 제2 바퀴(3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작업대(1000)를 고정시키는 고정 바퀴(33)를 포함하는
    LNG 화물창용 작업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퀴(33)는 상기 하부 경사부(4) 상에 설치된 상기 인바 텅(23)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쌍으로 위치하며,
    상기 인바 텅(23)을 가압하거나 해제하는 LNG 화물창용 작업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퀴(31), 제2 바퀴(32) 및 고정 바퀴(33)는 표면에 우레탄층이 형성되어 있는
    LNG 화물창용 작업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31, 32, 33)는 상기 하부 경사부(4) 상에 설치된 인바 텅(23)을 따라서 이동하는
    LNG 화물창용 작업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1)에 탈,부착되는 핸드레일(13)을 더 포함하는
    LNG 화물창용 작업대.
KR1020190077372A 2019-06-27 2019-06-27 Lng 화물창용 작업대 KR20210001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372A KR20210001366A (ko) 2019-06-27 2019-06-27 Lng 화물창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372A KR20210001366A (ko) 2019-06-27 2019-06-27 Lng 화물창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66A true KR20210001366A (ko) 2021-01-06

Family

ID=7412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372A KR20210001366A (ko) 2019-06-27 2019-06-27 Lng 화물창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3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7308A (zh) * 2022-08-24 2022-10-21 铁科院(深圳)特种工程有限公司 适用于陡峭边坡施工作业的自行走式操作平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7308A (zh) * 2022-08-24 2022-10-21 铁科院(深圳)特种工程有限公司 适用于陡峭边坡施工作业的自行走式操作平台
CN115217308B (zh) * 2022-08-24 2024-02-20 铁科院(深圳)特种工程有限公司 适用于陡峭边坡施工作业的自行走式操作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3733B2 (ja) 仮設階段
CN102666352A (zh) 用于乘客传送机的桁架构造
EP3329050A1 (en) Rail grinding machine
JP4209635B2 (ja) 塔槽体の内壁面作業用足場装置及び該足場装置を用いた内壁面作業方法
KR20210001366A (ko) Lng 화물창용 작업대
JP3592313B2 (ja) 塔槽体の内壁面作業装置
KR20120121960A (ko) 철도차량의 차체 용접용 회전장치
KR102324715B1 (ko) 자동 볼트체결장치
KR20110009738A (ko) 고소작업용 전동 레일카
KR20160015772A (ko)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KR102367030B1 (ko) 대형 덕트 이송유닛, 대형 덕트 설치 장치 및 대형 덕트 설치 방법
JP4863278B2 (ja) U字溝切断装置の切断機本体走行用レールの位置決め装置
CN114291120A (zh) 电力设备运输装置
KR101847595B1 (ko) 자동 가우징
KR102389401B1 (ko) 액화가스 화물창용 작업대
KR102580297B1 (ko) 작업자의 탑승이 가능하고 교축방향의 주행이 가능한교량 시공작업용 주행 대차
US3937333A (en) Apparatus for laying down structural members
JP3000901B2 (ja) 高所作業構台
JP3245571U (ja) 高所作業車用安全装置
JP2020082777A (ja) 鉄道車両の台車交換設備
JP2007056478A (ja) 移動式足場装置
KR102326861B1 (ko) 복귀 장치 및 방법
CN219925984U (zh) 辅助工装
KR102663348B1 (ko)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JP2922840B2 (ja) 横型溶接用作業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