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757U - 애완동물용 브러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757U
KR20210000757U KR2020190003961U KR20190003961U KR20210000757U KR 20210000757 U KR20210000757 U KR 20210000757U KR 2020190003961 U KR2020190003961 U KR 2020190003961U KR 20190003961 U KR20190003961 U KR 20190003961U KR 20210000757 U KR20210000757 U KR 202100007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et
shade
hai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212Y1 (ko
Inventor
박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스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스마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스마일
Priority to KR2020190003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12Y1/ko
Priority to JP2022507524A priority patent/JP7408182B2/ja
Priority to PCT/KR2020/011762 priority patent/WO2021060733A1/ko
Priority to CN202090000676.XU priority patent/CN216452611U/zh
Publication of KR20210000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12Y1/ko
Priority to US17/705,370 priority patent/US2022021100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 A46B7/02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where the bristle carrier collaps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46B9/065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embedded in a different brushing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부와, 이 핸들부에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털을 브러싱하기 위한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브러쉬부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심어진 상태로 연장되는 복수의 브러쉬모로 이루어지는 브뤄쉬모 어레이와; 상기 바닥판에 연접하여 상기 브러쉬모 어레이를 둘러서 감싸는 브러쉬갓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갓의 높이를 상기 브러쉬모의 높이 보다 크게하여 브러싱을 위해 상기 브러쉬갓이 애완동물의 표피에 맞닿았을 때 상기 브러쉬갓 내부에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브러쉬{A Brush For A Pet Animal}
본 고안은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는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할 때 빠진 털이 주변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브러싱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애완동물은 사람에게 친구와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매년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여 애완동물의 건강과 청결, 미용 등의 관리를 하게 되는 것이고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 털 손질을 하거나 매해 털갈이를 할 때 일반적인 브러쉬를 이용하였으나 빗질을 통해 빠지는 털이 날리거나 브러쉬의 빗살 사이에 끼어 엉키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털이 방안 곳곳에 날리게 되어 집안이 지저분해지고 키우는 사람의 건강을 해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브러쉬는 철 재질로 이루어져서 날카로운 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빗질을 할 경우 통증 및 상처를 유발하여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5-0012394 호)과 같이 진동모터를 이용하거나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017265 호) 및 특허문헌 3(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19818 호)과 같이 진공청소기와 연결하여 빗질을 하면서 빠지는 털을 바로 흡수하여 털이 날리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은 애완동물의 털을 흡입하기 위하여 진동모터나 진공청소기와 같은 구동수단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고 이러한 모터장치나 진공청소기에 브러쉬를 연결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복잡하여 구조적으로 비용 상승을 야기한다.
즉,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애완동물용 브러쉬는 공통적으로 몸체부의 내측이 내입되게 형성되어 진공청소기나 진동모터와 연결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주변으로 빗살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브러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120)이 몸체부(110)보다 많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120)이 몸체부(110)의 내측이나 동일한 면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도 1이나 도 2와 같은 구조의 브러쉬(100)들은 브러쉬를 사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할 때 진공청소기나 진동모터를 이용하여 털을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지 않으면 피부에서 떨어진 털이 브러쉬 바깥으로 흩날려서 털이 방안 곳곳에 날리게 되어 집안이 지저분해지고 키우는 사람의 건강을 해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모터나 진공청소기와 같은 털 흡입수단이 수반되지 않는 수동 브러쉬를 사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할 때 털이 쉽게 날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있는 기술적 대안이 요청된다.
KR 2015-0012394 A KR 10-2017265 B KR 20-0319818 U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할 때 표피로부터 이탈한 털이 브러쉬 바깥으로 날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진동모터나 진공청소기와 같이 인위적인 털 흡입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브러쉬의 구조변경만으로 상기 제 1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할 때 애완동물의 모발이 잘 빗어지고, 애완동물의 모발 및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애완동물이 빗질을 거부하지 않고 최대한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털이 외부로 날리지 않으면서 브러싱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제 3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브러쉬를 파지하기 편안하도록 하는 핸들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제 4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양태는,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한 브러쉬로서,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부와, 이 핸들부에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털을 브러싱하기 위한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1 양태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상기 브러쉬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심어진 상태로 연장되는 복수의 브러쉬모로 이루어지는 브뤄쉬모 어레이와; 상기 바닥판에 연접하여 상기 브러쉬모 어레이를 둘러서 감싸는 브러쉬갓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브러쉬갓의 높이는 상기 브러쉬모의 높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브러싱을 위해 상기 브러쉬갓이 애완동물의 표피에 맞닿았을 때 상기 브러쉬갓 내부에 폐쇄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 2 양태의 애완동물용 브러쉬는, 상기 브러쉬모의 윗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 3 양태의 애완동물용 브러쉬는, 상기 브러쉬갓의 끝단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 4 양태의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상기 브러쉬갓은 상기 브러쉬모 어레이를 타원형으로 둘러 감싸고, 상기 브러쉬갓의 장축 부분의 제 2 돌기의 길이가 단축 부분의 제 2 돌기의 길이에 비해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 5 양태의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상기 브러쉬모, 상기 제 1 돌기, 상기 제 2 돌기 및 상기 브러쉬갓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 6 양태의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상기 브러쉬갓은, 상기 바닥판과 연접하여 연장되는 연접부와, 상기 연접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러쉬모 어레이를 둘러 감싸면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면서 확장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커버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 7 양태의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손바닥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움켜잡기 위한 핸들과; 상기 핸들에 안착된 사용자의 손을 브러쉬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앵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 8 양태의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상기 고정앵커는 다리와 머리를 가진 못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에 안착된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고정앵커를 끼워서 사용자의 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 9 양태의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상기 핸들은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감싸안기에 적합하도록 모자의 챙과 같이 길쭉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는 애완동물의 털을 브러싱할 때 빗질에 의해 표피로부터 떨어져 나간 털들을 브러쉬 내부에 가둬서 브러쉬 외부로 날리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애완동물로부터 떨어져나간 털로 인해 주변 환경을 훼손하거나 사용자의 위생을 헤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는 종래와 같이 털을 흡입하기 위한 별도의 전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브러쉬의 구조가 간단해져서 제조 코스트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는 애완동물의 피부 등에 적절하게 마찰을 유도함으로써 마사지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싱시의 결 방향과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는 브러쉬모의 끝단면(윗면)에 삼중창 형태의 돌기를 형성하여 애완동물의 피부에 깊숙이 박혀있는 죽은 털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브러쉬부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브러쉬부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사용시 브러쉬부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과는 다른 종래의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브러쉬부에 대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브러쉬부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브러쉬(1)는 크게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브러싱하기 위한 핸들부(handle part)(10)와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한 브러쉬부(brush part)(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부(10)와 상기 브러쉬부(5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들부(10)는 내구성이 우수한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하고, 상기 브러쉬부(50)는 탄성변형이 우수한 부드러운 연성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10)는 다시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손바닥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움켜잡기 위한 핸들(handle)(11)과 핸들(11)에 안착된 사용자의 손을 브러쉬(1)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앵커(fixed anchor)(12)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11)은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감싸안기에 적합하도록 모자의 챙과 같이 길쭉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상기 고정앵커(12)가 끼워져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거나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앵커(12)는 머리와 다리를 구비한 못과 같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부(50)는 애완동물의 표피와 맞닿은 상태에서 동물의 털을 브러싱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핸들부(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브러쉬부(50)는 복수의 브러쉬모(combteeth)(51)로 이루어진 브러쉬모 어레이가 심어져 있는 바닥판(floor plate)(52)과 브러쉬모 어레이를 둘러서 감싸는 블러쉬갓(brush shade)(53)을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모(51)는 상기 바닥판(52)에 심어져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닥판(52)의 중심부를 둥글게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상기 브러쉬모(51)는 바닥판(52)의 중심부를 2열로 둥글게 감싸면서 브러쉬모 어레이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브러쉬모(51)는 상기 바닥판(52)에 밑면을 두고 연장되는 단면 형상이 대략 사디리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브러쉬모(51)의 윗면(51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돌기(51a)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다수의 제 1 돌기(51a)들은 그 길이나 크기 등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52)에 연접해서 상기 브러쉬모 어레이를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는 브러쉬갓(53)이 형성된다. 이 브러쉬갓(53)은 도 2와 같이 상기 바닥판(52)에 연접해서 연장되는 연접부(54)와 이 연접부(54)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러쉬모 어레이를 둘러 감싸면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면서 확장되는 커버부(55) 및 이 커버부(55)의 끝단면(57)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돌기(56)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갓(53)은 도 3과 같이 장축과 단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장축 부분(57a)에 형성되는 제 2 돌기(56)의 높이(길이)가 상기 단축 부분(57b)에 형성되는 제 2 돌기(56)의 높이(길이)에 비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모(51)는 상기 브러쉬갓(53)의 끝단면(57)으로부터 바닥판(52)을 향해 일정하게 이격되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판(52)에 심어진다. 즉, 상기 브러쉬모(51)의 높이는 상기 브러쉬갓(53)의 높이 보다 작아야 한다. 이로 인해, 도 2와 같이 상기 브러쉬모(51)의 윗면(51b)과 상기 브러쉬갓(53)의 끝단면(57) 사이에는 일정한 갭(h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러쉬모(51)의 제 1 돌기(51a)와 상기 브러쉬갓(53)의 끝단면(57) 사이에도 일정한 갭(h2)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을 위해 상기 브러쉬갓(53)의 끝단면(57)을 애완동물의 표피에 접촉시켰을 때, 상기 제 1 돌기(51a)가 형성된 브러쉬모(51)는 상기 브러쉬갓(53) 바깥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브러쉬갓(53), 상기 브러쉬모(51)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51a, 56)는 모두 동일한 연성 재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재질은 연성을 갖는 것이라면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제 1 돌기(51a)와 제 2 돌기(56)는 애완동물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쓸어내리면서 빗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갓(53)은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할 때 브러쉬갓(53)의 커버부(55)의 끝단면(57)이 애완동물의 표피와 맞닿으면서 브러쉬갓(53) 내부에 폐쇄공간(58)을 형성한다. 이렇게 폐쇄공간(58)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브러쉬(1)를 애완동물의 표피를 향해 눌러 압박하게 되면 브러쉬갓(53)의 커버부(55)가 눌려서 바깥으로 퍼지면서 상기 갭(h1, h2)이 없어지면서 상기 브러쉬모(51)의 제 1 돌기(51a)가 애완동물의 표피에 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브러쉬(1)를 움직여서 애완동물의 털을 브러싱하게 되면 상기 브러쉬모(51)와 제 1 돌기(51a)에 의해 빗질되면서 표피에서 떨어진 털들이 브러쉬갓(53)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상기 폐쇄공간(58)에 갇히게 된다. 이로 인해, 브러싱으로 인해 주변으로 날리는 털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환경적으로 쾌적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돌기(56)의 존재로 인해 애완동물의 표피와 상기 브러쉬갓(53)의 커버부(55)의 끝단면(57)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제 2 돌기(56)에 의해 추가적인 브러싱도 가능하다. 또한, 브러쉬갓(53)은 도 3과 같이 타원형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브러싱을 위해 힘을 가하게 되면 단축 부분(57b) 보다는 장축 부분(57a)에 더 큰 힘이 실리게 된다. 따라서, 브러쉬갓(53)의 장축 부분(57a)에 형성되는 제 2 돌기(56)의 길이가 브러쉬갓(53)의 단축 부분(57b)에 형성되는 제 2 돌기(56)의 길이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1)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브러싱하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1)를 사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브러쉬(1)의 핸들부(10)를 감싸 쥔다. 이때, 사용자의 손바닥은 핸들(11)의 표면과 밀착되고, 검지와 중지가 고정앵커(12)에 거치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브러쉬(1)를 감싸쥔 상태에서 사용자는 브러쉬갓(53)의 커버부(55)의 끝단면(57)이 애완동물의 표피와 맞닿아서 브러쉬갓(53) 내부에 폐쇄공간(58)을 형성하도록 브러쉬(1)를 애완동물의 표피에 접촉시킨다. 이렇게 브러쉬(1)가 애완동물의 표피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브러쉬(1)를 애완동물의 표피를 향해 눌러 압박하게 되면 브러쉬갓(53)의 커버부(55)가 눌려서 바깥으로 퍼지면서 상기 브러쉬모(51)의 제 1 돌기(51a)가 애완동물의 표피에 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브러쉬(1)를 움직이면서 애완동물의 털을 브러싱하면 된다. 이때, 상기 브러쉬모(51)와 제 1 돌기(51a)에 의해 빗질되면서 표피에서 떨어진 털들은 브러쉬갓(53)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폐쇄공간(58)에 갇히게 된다. 사용자는 브러싱이 완료된 후에 상기 폐쇄공간(58)내에 잔존하는 털들을 제거하여 브러쉬(1)를 청소한다. 이로 인해, 브러싱으로 인해 주변으로 날리는 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모(51), 제 1 및 제 2 돌기(51a, 56) 및 브러쉬갓(53)이 모두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피부 등에 적절하게 마찰을 유도함으로써 마사지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실리콘 소재가 보유한 특성에 기인하여 피부와의 마찰시 운동 방향에 따라 유연하게 절곡되면서 적절한 수준의 압박이 실행되는바, 보다 광범위한 피부 자극이 자극적이지 않게 쉽고 간편하게 유도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던 기존과 달리 결 방향에 무관하게 사용 가능하므로 편의성 발휘에 크게 기여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브러쉬, 10 : 핸들부, 11 : 핸들, 12 : 고정앵커, 50 : 브러쉬부, 51 : 브러쉬모, 51a : 제 1 돌기, 51b : 윗면, 52 : 바닥판, 53 : 브러쉬갓, 54 : 연접부, 55 : 커버부, 56 : 제 2 돌기, 57 : 끝단면, 57a : 장축 부분, 57b : 단축부분

Claims (9)

  1.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한 브러쉬로서,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부와, 이 핸들부에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털을 브러싱하기 위한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심어진 상태로 연장되는 복수의 브러쉬모로 이루어지는 브뤄쉬모 어레이와;
    상기 바닥판에 연접하여 상기 브러쉬모 어레이를 둘러서 감싸는 브러쉬갓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갓의 높이는 상기 브러쉬모의 높이 보다 크고,
    이로 인해, 브러싱을 위해 상기 브러쉬갓이 애완동물의 표피에 맞닿았을 때 상기 브러쉬갓 내부에 폐쇄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모의 윗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갓의 끝단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갓은 상기 브러쉬모 어레이를 타원형으로 둘러 감싸고,
    상기 브러쉬갓의 장축 부분의 제 2 돌기의 길이가 단축 부분의 제 2 돌기의 길이에 비해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모, 상기 제 1 돌기, 상기 제 2 돌기 및 상기 브러쉬갓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갓은,
    상기 바닥판과 연접하여 연장되는 연접부와,
    상기 연접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러쉬모 어레이를 둘러 감싸면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면서 확장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커버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손바닥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움켜잡기 위한 핸들과;
    상기 핸들에 안착된 사용자의 손을 브러쉬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앵커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앵커는 다리와 머리를 가진 못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에 안착된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고정앵커를 끼워서 사용자의 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감싸안기에 적합하도록 모자의 챙과 같이 길쭉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KR2020190003961U 2019-09-27 2019-09-27 애완동물용 브러쉬 KR200494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61U KR200494212Y1 (ko) 2019-09-27 2019-09-27 애완동물용 브러쉬
JP2022507524A JP7408182B2 (ja) 2019-09-27 2020-09-02 ペット用ブラシ
PCT/KR2020/011762 WO2021060733A1 (ko) 2019-09-27 2020-09-02 애완동물용 브러쉬
CN202090000676.XU CN216452611U (zh) 2019-09-27 2020-09-02 宠物梳毛刷
US17/705,370 US20220211004A1 (en) 2019-09-27 2022-03-27 Brush for p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61U KR200494212Y1 (ko) 2019-09-27 2019-09-27 애완동물용 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57U true KR20210000757U (ko) 2021-04-06
KR200494212Y1 KR200494212Y1 (ko) 2021-08-27

Family

ID=7516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961U KR200494212Y1 (ko) 2019-09-27 2019-09-27 애완동물용 브러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11004A1 (ko)
JP (1) JP7408182B2 (ko)
KR (1) KR200494212Y1 (ko)
CN (1) CN216452611U (ko)
WO (1) WO2021060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0725S1 (en) * 2021-05-19 2023-10-03 Shengbo LU Pet comb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1919A (ja) * 1989-12-28 1991-09-03 Azu Internatl:Kk ブラシ状シャワー器具
KR200319818Y1 (ko) 2003-04-23 2003-07-12 김성구 애완동물 털 수거용 흡입구가 있는 브러시.
JP4248992B2 (ja) * 2003-10-24 2009-04-02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ペット用シャンプーブラシ
JP2010519941A (ja) * 2007-03-02 2010-06-10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振動ヘアブラシ
JP2011130752A (ja) * 2009-12-22 2011-07-07 Michihiro Saito 掃除機吸引口に取り付けるペットブラシ
JP5125479B2 (ja) * 2007-12-20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グルーミング用ブラシ
KR20150012394A (ko) 2013-07-25 2015-02-04 박휴재 진동모터가 내장된 애완동물용 브러쉬
JP2017118905A (ja) * 2015-12-28 2017-07-06 花王株式会社 毛穴洗浄用ブラシ
KR102017265B1 (ko) 2017-10-25 2019-09-02 (주)경서글로텍 펫 브러쉬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509A (en) * 1876-01-18 Improvement in curry-combs
US218812A (en) * 1879-08-26 Improvement in curry-comb and brush
US250349A (en) * 1881-12-06 Half to vaenum k tatloe
US502233A (en) * 1893-07-25 Currycomb
US505756A (en) * 1893-09-26 Currycomb
US630686A (en) * 1898-09-23 1899-08-08 James Alexander Cockburn Grant Currycomb.
US804680A (en) * 1905-06-06 1905-11-14 Rowland M Smith Scalp-massage brush.
US1770749A (en) * 1927-06-27 1930-07-15 Inventia Patent Verwert Ges Animal-cleaning device
US2017780A (en) * 1933-09-23 1935-10-15 Walters Frederick Apparatus for cleaning horses and other animals
US2075964A (en) * 1935-04-27 1937-04-06 Alfred J Teigeler Rubber grooming device
US2544406A (en) * 1947-10-15 1951-03-06 Prue E Weems Hand held scrubboard
US2780829A (en) * 1955-02-21 1957-02-12 Sidney J Cohen Vacuum currycomb device
US4040390A (en) * 1976-01-12 1977-08-09 Rosenbaum James E Animal grooming tool
US4343265A (en) * 1980-10-20 1982-08-10 Elmer Belschner Brush for grooming animals
US4617875A (en) * 1985-06-18 1986-10-21 Holland Linda L Grooming and treatment applicator
US4995344A (en) * 1989-11-22 1991-02-26 Olson Anita D Apparatus for cleaning with aqueous solution
US5649502A (en) * 1995-06-05 1997-07-22 Acorn Medical Products Ltd. Washing tool for pets
JPH10108722A (ja) * 1996-10-08 1998-04-28 Imotani:Kk 爪ブラシ
JP3516156B2 (ja) 1997-12-16 2004-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保護カバー用素材板
JP2001129438A (ja) * 1999-11-04 2001-05-15 Ebara Hiroyuki シャワー装置
US7124712B2 (en) * 1999-12-06 2006-10-24 Paul Berman Pet brush system
JP2005270615A (ja) 2004-03-25 2005-10-06 Yasukuni Kishimoto 医療介護等の真空式ブラシ及び櫛
US7509925B2 (en) * 2005-01-10 2009-03-31 Jill Mari Embry Curry shampoo comb
WO2007092038A2 (en) * 2005-07-21 2007-08-16 Ididit, Inc. Hairbrush for pets and people that releases active ingredients
JP3117521U (ja) * 2005-10-12 2006-01-05 義憲 真崎 ペット用の蚤及びダニ取り器
TWI458453B (zh) * 2008-03-12 2014-11-01 Kao Corp Scalp massage brush
JP3142624U (ja) * 2008-04-08 2008-06-19 合同会社ハリウッドミラー ペット用ドライヤー
JP5743754B2 (ja) * 2010-07-02 2015-07-01 花王株式会社 頭皮用ブラシ
US8555819B1 (en) * 2012-04-04 2013-10-15 Jeffrey A. McFarland Pet bathing brush with hose attachment
US20150059656A1 (en) * 2013-08-27 2015-03-05 Lin Jui-Tsang Automatic cleaning and hair-removing slanted brush
US20160206086A1 (en) * 2015-01-15 2016-07-21 Oksana Boyko Adjustable Hair Grooming Device
US20170265431A1 (en) * 2016-03-18 2017-09-21 Charles A. Urso Pet grooming device
US20180110202A1 (en) * 2016-10-24 2018-04-26 Ebert Adrian Michael Apparatus and Method for topical treatments on Animals
KR101863070B1 (ko) * 2018-04-06 2018-05-31 홍성훈 교체형 애완동물용 털 정리기
US10512324B2 (en) * 2018-04-09 2019-12-24 Kenneth Roundtree Scrubbing brush head assembly
KR102381841B1 (ko) * 2019-07-25 2022-04-01 오교선 반려동물 샤워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1919A (ja) * 1989-12-28 1991-09-03 Azu Internatl:Kk ブラシ状シャワー器具
KR200319818Y1 (ko) 2003-04-23 2003-07-12 김성구 애완동물 털 수거용 흡입구가 있는 브러시.
JP4248992B2 (ja) * 2003-10-24 2009-04-02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ペット用シャンプーブラシ
JP2010519941A (ja) * 2007-03-02 2010-06-10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振動ヘアブラシ
JP5125479B2 (ja) * 2007-12-20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グルーミング用ブラシ
JP2011130752A (ja) * 2009-12-22 2011-07-07 Michihiro Saito 掃除機吸引口に取り付けるペットブラシ
KR20150012394A (ko) 2013-07-25 2015-02-04 박휴재 진동모터가 내장된 애완동물용 브러쉬
JP2017118905A (ja) * 2015-12-28 2017-07-06 花王株式会社 毛穴洗浄用ブラシ
KR102017265B1 (ko) 2017-10-25 2019-09-02 (주)경서글로텍 펫 브러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212Y1 (ko) 2021-08-27
JP7408182B2 (ja) 2024-01-05
US20220211004A1 (en) 2022-07-07
WO2021060733A1 (ko) 2021-04-01
CN216452611U (zh) 2022-05-10
JP2022543831A (ja)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6681C (en) Brush
US5502873A (en) Pet grooming device
AU2007224320B2 (en) Self-cleaning hairbrush
EP2615939B1 (en) A comb
US5930862A (en) Rug rake
KR20210000757U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KR20150014912A (ko) 칫솔
EP3666116B1 (en) Bristle carrier of hairbrush
KR200391552Y1 (ko) 마사지 겸용 헤어 브러시
KR101994050B1 (ko) 애완용 브러쉬
KR101986121B1 (ko) 다기능 실리콘 크리너 패드
KR101734001B1 (ko) 빗살 일체형 헤어브러시
KR20240000197U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KR200369883Y1 (ko) 브러시살 설치구조
KR200483627Y1 (ko) 핫 컬링 브러시의 머리카락 낌 방지구조
CA2856998C (en) A comb
KR102300869B1 (ko)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글러브
KR200312898Y1 (ko) 헤어브러시
KR200297634Y1 (ko) 완충판이 구비된 혼합용 브러시
KR200201801Y1 (ko) 칫솔
KR20180093715A (ko) 다기능 칫솔
KR200297635Y1 (ko) 안내공이 구비된 브러시
JP3052700U (ja) ペット用ブラシ
RU150487U1 (ru) Щетка для волос и кожи головы
KR200281534Y1 (ko) 평거울과 볼록거울이 양면에 각기 부착된 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