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883Y1 - 브러시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브러시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883Y1
KR200369883Y1 KR20-2004-0022501U KR20040022501U KR200369883Y1 KR 200369883 Y1 KR200369883 Y1 KR 200369883Y1 KR 20040022501 U KR20040022501 U KR 20040022501U KR 200369883 Y1 KR200369883 Y1 KR 200369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ad
hole
hair
brus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중
Original Assignee
김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중 filed Critical 김혜중
Priority to KR20-2004-0022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2Single-piece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4/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러시살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브러시패드에는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상부는 좁게 하부는 넓게 형성되는 위치공과, 위치공의 하단부에서 브러시살과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홀을 갖으며 설치공이 형성된 브러시패드; 상기 사용자의 모발을 정발 할 수 있도록 하단부는 넓고 상부는 좁게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두피에 자극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볼과, 몸체의 하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몸체의 두께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홈과, 결합홈의 일측에 브러시패드의 하단부 표면에 일측이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브러시패드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브러시살;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시패드의 위치공에 상기 브러시살의 경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패드와 브러시살의 움직임에도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브러시패드와 브러시살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틈에 걸리지 않으므로 뽑히는 것이 방지되어 통증이 유발되지 않고, 사용수명이 길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러시살 설치구조{Structure of arrangement of teeth of a brush}
본 고안은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시패드에 설치되는 브러시살과 브러시패드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빗질을 할 시에 머리카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브러시패드에 브러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브러시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러시는 엉킨 머리카락을 자연스럽게 고르고 광택을 내며, 웨이브의 모양을 가다듬는 외에 먼지와 비듬을 제거하고, 두피에 자극을 주어 피지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종전의 빗을 대신하여 머리털을 손질하는 데 브러시를 사용하게 되었고, 브러시의 털은 너무 부드러우면 두피까지 미치지 않으므로, 굳고 탄력이 있는 것이 좋다.
예전에는 돼지, 산돼지 등 짐승의 털과 고래의 수염 등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나일론과 비닐로 만든 브러시가 많고, 브러시의 손잡이 부분은 목재나 합성수지재를 주로 사용하며, 이 밖에도 포마드와 헤어 로션을 바르기 위한 소형의 브러시와, 합성수지로 만든 살이 굵은 샴프용 브러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현재 생산중인 브러시 중에서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은 종래의 브러시에 브러시살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손질 할 시에 머리카락을 정리하기 위한 브러시살(40)과, 빗살모가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브러시패드(30)에 설치되고, 브러시살(40)과 빗살모가 설치된 브러시패드(30)는 수납홈이 형성된 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손잡이(20)가 연설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브러시의 경우 사용자들이 사용을 꺼리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는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과, 설치공(31)에 설치된 브러시살(40) 사이에서 틈이 발생되고, 발생된 틈에 머리카락이 끼이면서 강제적으로 뽑히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이 머리카락이 틈에 끼이므로 인하여 사용자는 두피에 통증이 유발되고, 자주 두피에 통증이 유발되므로 인하여 브러시를 새것으로 교환하거나 다른 빗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머리카락이 브러시패드(30)와 브러시살(40) 사이에 끼이는 원인을 살펴보면, 브러시패드(30)에 설치된 브러시살(40)이 머리카락을 정발 할 시에 브러시살(40)의 일측이 브러시패드(30)의 상부에서 벌어지면서 틈이 발생하고, 발생된 틈 사이에 머리카락이 끼이므로 인하여 사용자 두피(頭皮)에서 머리카락이 뽑혀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브러시살(40)의 상부가 사용자의 두피에 닿으면서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브러시패드(30) 표면에 맞닿은 부분이 들려짐으로 인해 틈이 발생되어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뽑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머리카락이 뽑히므로 인하여 브러시살(40)의 하단이 브러시패드(30)의 표면에 위치된 제품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브러시패드에 설치된 브러시살(40)과, 브러시패드에 형성된 설치공(31)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연질의 브러시패드에서 브러시살(40)이 어느 일측 방향으로 제쳐져도 브러시패드의 설치공(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브러시살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러시패드에는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상부는 좁게 하부는 넓게 형성되는 위치공과, 위치공의 하단부에서 브러시살과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홀을 갖으며 설치공이 형성된 브러시패드; 상기 사용자의 모발을 정발 할 수 있도록 하단부는 넓고 상부는 좁게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두피에 자극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볼과, 몸체의 하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몸체의 두께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홈과, 결합홈의 일측에 브러시패드의 하단부 표면에 일측이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브러시패드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브러시살;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시패드의 위치공에 상기 브러시살의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브러시패드와 브러시살의 움직임에도 틈이 생기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브러시살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브러시에 브러시살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에 브러시살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3의 다른 브러시 살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수납부
20 : 손잡이 30 : 브러시패드
31 : 설치공 31a : 위치공
31b : 고정홀 40 : 브러시살
41 : 브러시살몸체 42 : 볼
43 : 경사부 44 : 결합홈
45 : 결합돌기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살 설치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에 브러시살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측에 수납부(11)를 갖는 본체(1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일측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오픈된 상태로 형성되고, 오픈된 이면은 막힌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20)가 연설된다.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부(11)에 브러시패드(30)가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패드(30)에는 다수의 설치공(31)이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31)은 브러시패드(3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31)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위치공(31a)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공(31a)의 하단에는 고정홀(31b)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공(31a)과 상기 고정홀(31b)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패드(30)에 형성된 설치공(31)에 사용자 머리카락을 정발 할 수 있도록 브러시살(40)이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살(40)은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점점 좁아져 원뿔형상으로 몸체(41)가 구비된다.
상기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될 때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42)이 몸체(4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41)의 하단부에는 몸체(41)가 끝나는 하단에서 그 하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며 경사부(43)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43)가 끝나는 부분에는 상기 설치공(31)의 고정홀(31b)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4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4)의 일측에는 상기 브러시패드(30)의 하단면에 일측이 밀착되도록 결합돌기(45)가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패드(30)에 형성된 다수의 설치공(31)에는 상기 브러시살(40)이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살(40)의 경사부(43)는 설치공(31)의 위치공(31a)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홈(44)은 상기 브러시패드(30)에 형성된 설치공(31)의 고정홀(31b)에 위치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31)의 상단부(브러시패드(30) 표면)와 브러시살(40)의 경사부(43) 상단(몸체(41)와 경사부(43)가 맞닿아지는 부분)이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패드(30)에 형성된 고정홀(31b)이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홀(31b)에는 브러시살(40)의 결합홈(44)이 위치되어 브러시살(40)의 결합돌기(45)가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에 삽입되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살 설치구조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러시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소정의 금형(미도시)을 통해 본체(10)를 구성하며, 이때 본체(10)에는 수납부(11)가 형성되도록 하고, 수납부(11)의 일측은 오픈된 상태로 형성한다.
또한 본체(10)의 일측에는 손잡이(20)가 형성되는데, 이때의 손잡이(20)는 상기 본체(10)를 형성할 시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따로 본체(10)에 접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본체(10)와 손잡이(20)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일측이 오픈된 상태의 수납부(11)에는 브러시패드(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브러시패드(30) 또한 소정의 금형(미도시)을 통해 구성하며, 브러시패드(3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설치공(3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설치공(31)을 형성할 시에 브러시패드(30)의 상부쪽에는 위치공(31a)이 형성되고, 하부쪽에는 고정홀(31b)이 형성되는데, 이때 위치공(31a)과 고정홀(31b)은 서로 통하도록 형성하여 브러시살(4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위치공(31a)은 상부는 좁고 하부쪽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며, 이때 위치공(31a)의 단면 형상은 원뿔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한다.
상기 위치공(31a)의 상부와 고정홀(31b)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가 크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브러시패드(30)에 설치공(31)은 금형을 통해 브러시패드(30)를 형성할 시에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패드(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살(40)의 결합돌기(45)가 설치공(31)의 내측으로 인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홀(31b)은 상기 설치공(31)의 중앙부 쪽에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브러시살(40) 또한 소정의 금형(미도시)을 통해 형성되는데, 상기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41)와, 볼(42)과 결합홈(44)과 결합돌기(45)가 일체로형성되며, 이때 몸체(41)의 하단은 넓게 상부쪽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한다.
상기 몸체(41)의 일측에는 볼(42)이 형성되는데, 상기 볼(42)은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정발 할 시에 발생될 수 있는 통증(브러시살(40)의 일측에 의해 두피가 굴키는 것을 방지하기 것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42)을 형성하며, 상기 볼(42)은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용자의 두피에서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 형상이면 그 어떠한 것이든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41)의 하단부에서 그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경사부(43)가 형성되고, 경사부(43)와 연설되도록 결합홈(4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44)의 일측에는 결합돌기(45)를 형성한다.
상기 금형을 통해 형성된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에 브러시살(40)을 설치하는데, 이때 브러시살(40)은 브러시패드(30)의 배면(본체(10)의 수납쪽에 위치되는 면)을 통해 그 브러시패드(30)의 상방향으로 브러시살(40)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브러시살(40)이 설치 될 시에 설치공(31)의 위치공(31a)에는 브러시살(40)의 경상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위치공(31a)의 하방향에 형성된 고정홀(31b)에는 브러시살(40)의 결합홈(44)이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패드(30)를 형성한 상태에서는 브러시살(40)의 결합돌기(45)가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 내측에 완전 인입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브러시패드(30)에 형성된 다수의 설치공(31)에 브러시살(40)이 설치된상태에서 본체(10)에 형성된 수납부(11)에 브러시패드(30)의 일측이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정발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작과정을 통해 생산된 브러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정발하기 위하여 빗질을 하면, 상기 브러시패드(30)에 설치된 브러시살(4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카락은 단정하게 정발 된다.
상기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정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브러시패드(30)에 설치된 브러시살(40)은 사용자가 잡고있는 손잡이(20)를 이용하여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키느냐에 따라 그 방향이 달리 될 수 있고, 상기 브러시살(40) 몸체(41)의 일측에 형성된 볼(42)은 사용자의 두피에 밀착된 상태에서 빗질이 행하여진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머리카락을 정발 할 시에도 브러시살(40)의 경사부(43)가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의 내측면과 브러시살(40)의 경사면 사이에서는 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브러시살(40)의 본체(10)를 스쳐 지나가는 머리카락이 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틈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에 경사부(43)가 설치된 브러시살(40)이 사용자의 두피와 맞닿는 경우 일측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때 휘어지는 부분은 상기 브러시패드(30)의 상부에 위치한 브러시살(40)의 몸체(41) 일측만 휘어지고, 몸체(41)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부(43)는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빗질을 할 시에 사용자의 두피에서 머리카락이 뽑히는 것이 방지하므로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브러시패드(30)와 브러시살(40)이 설치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브러시살(40)이 설치된 브러시패드(30)에 양측에 설치된 브러시, 브러시살(40)과 브러시모가 설치된 브러시패드(30) 서로 대칭되게 본체(10)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살 설치구조의 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브러시패드와 브러시살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되지 않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틈에 걸리지 않으므로 뽑히는 것이 방지되어 통증이 유발되지 않고, 사용수명이 길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시패드에 설치된 브러시살이 설치공에서 견고하게 설치되므로 설치공에서 브러시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납홈을 갖으며 일측에 손잡이(20)가 설치된 브러시의 수납부(11)에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의 설치공을 갖는 브러시패드(30)가 설치되고, 브러시패드(30)의 머리카락을 정발 할 수 있도록 브러시살(40)이 설치된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패드(30)에는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상부는 좁게 하부는 넓게 형성되는 위치공(31a)과, 위치공(31a)의 하단부에서 브러시살(4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홀(31b)을 갖는 설치공(31)이 형성된 브러시패드(30);
    하단부는 넓고 상부는 좁게 형성되는 몸체(41)와, 몸체(41)의 일측에 두피에 자극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볼(42)과, 몸체(41)의 하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몸체(41)의 두께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경사부(43)와, 경사부(43)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31b)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홈(44)과, 결합홈(44)의 일측에 브러시패드(30)의 하단부 표면에 일측이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31b)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돌기(45)로 이루어져 상기 브러시패드(30)의 설치공(31)에 설치되는 브러시살(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살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31)의 상단부(브러시패드(30) 표면)와 브러시살(40)의 경사부(43) 상단(몸체(41)와 경사부(43)가 맞닿아지는 부분)이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살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살(40)의 하단은 상기 브러시패드(30)에 형성된 설치공(31)에 경사부(43)와 결합돌기(45)가 함께 위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살 설치구조.
KR20-2004-0022501U 2004-08-06 2004-08-06 브러시살 설치구조 KR200369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501U KR200369883Y1 (ko) 2004-08-06 2004-08-06 브러시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501U KR200369883Y1 (ko) 2004-08-06 2004-08-06 브러시살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883Y1 true KR200369883Y1 (ko) 2004-12-16

Family

ID=4944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501U KR200369883Y1 (ko) 2004-08-06 2004-08-06 브러시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8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827Y1 (ko) 2014-05-27 2016-03-10 윤민태 헤어브러시용 빗살패드
KR20170001884U (ko) * 2015-11-20 2017-05-30 김두천 두피의 열흡수가 가능한 머리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827Y1 (ko) 2014-05-27 2016-03-10 윤민태 헤어브러시용 빗살패드
KR20170001884U (ko) * 2015-11-20 2017-05-30 김두천 두피의 열흡수가 가능한 머리빗
KR200484542Y1 (ko) * 2015-11-20 2017-09-21 김두천 두피의 열흡수가 가능한 머리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360B2 (en) Hairbrush
KR100895772B1 (ko) 보조미용기구가 구비된 이중 머리빗
EP1106103B1 (en) Hairbrush having a brush seat provided with slidable bristles thereto
KR200369883Y1 (ko) 브러시살 설치구조
KR101608055B1 (ko) 탄력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는 헤어 브러시 몸체
KR200391552Y1 (ko) 마사지 겸용 헤어 브러시
EP3666116B1 (en) Bristle carrier of hairbrush
US2027884A (en) Brush
KR101994050B1 (ko) 애완용 브러쉬
KR200487691Y1 (ko) 핫컬링브러쉬의 머리카락 낌방지구조
KR200482989Y1 (ko) 헤어 브러쉬
JP7408182B2 (ja) ペット用ブラシ
KR200494383Y1 (ko) 휴대용 헤어브러시
KR100288649B1 (ko) 헤어브러시
KR200477063Y1 (ko) 헤어브러시
KR200428542Y1 (ko)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브러시
KR200312898Y1 (ko) 헤어브러시
JPS5832687Y2 (ja) 洗髪用ヘアブラシ
KR200334196Y1 (ko) 혼용 브러시
CN212661353U (zh) 刷头
KR200367466Y1 (ko) 헤어 브러쉬
KR200239124Y1 (ko) 헤어브러쉬용 빗살
CN210017438U (zh) 一种多功能宠物梳
JP3052700U (ja) ペット用ブラシ
KR200493330Y1 (ko) 세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