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063Y1 - 헤어브러시 - Google Patents

헤어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063Y1
KR200477063Y1 KR2020140004870U KR20140004870U KR200477063Y1 KR 200477063 Y1 KR200477063 Y1 KR 200477063Y1 KR 2020140004870 U KR2020140004870 U KR 2020140004870U KR 20140004870 U KR20140004870 U KR 20140004870U KR 200477063 Y1 KR200477063 Y1 KR 200477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in
shaft
handle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태
Original Assignee
윤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민태 filed Critical 윤민태
Priority to KR2020140004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34Crown pa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4/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 정발시 몸체와 손잡이의 이음부 사이에 머리카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헤어브러시의 손잡이 하부에 머리 가름용 핀을 회전식으로 설치하여 핀을 편리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브러시(20a)가 식모되고 하부에 연결구(20b)가 구비된 몸체(20), 상기 몸체(20)의 연결구(20b)와 결합되는 결합홈(30a)이 형성된 손잡이(30)를 포함하는 헤어브러시(10)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손잡이(30)의 맞닿는 이음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다수의 요부(21)(31)와 철부(22)(32); 상기 손잡이(30)의 하부에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핀홀(33); 상기 손잡이(30)의 핀홀(33) 하부에 설치되는 축(40); 상기 축(40)에 연결되어 회전에 따라 하부 첨단(50a)이 핀홀(33)내로 몰입 또는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 가름용 핀(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헤어브러시{hair brush}
본 고안은 헤어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머리 정발시 몸체와 손잡이의 이음부 사이에 머리카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헤어브러시의 손잡이 하부에 머리 가름용 핀을 회전식으로 설치하여 핀을 편리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브러시는 여성들이 머리를 감은 후에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말리거나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로 머리손질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헤어브러시는 외주면으로 인공모 또는 합성수지재의 브러시가 식모되고 일측에 연결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연결구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즉,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헤어브러시(1)는 브러시(2a)가 식모된 몸체(2)와 손잡이(3)로 구성되고, 제작시 몸체(2)와 손잡이(3)는 별도로 제작하여 차후 몸체(2)의 연결구(2b)를 손잡이(3)의 결합홈(3a)에 끼워서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몸체(2)와 손잡이(3) 사이에 별도의 링이 끼워지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헤어브러시(1)로 사용자가 머리를 빗을 경우, 상기 몸체(2)와 손잡이(3)가 맞닿는 부분, 즉 몸체(2)와 손잡이(3)의 이음부(4) 사이에 일직선상으로 틈이 발생하여 그 사이에 머리카락(H)이 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서와 같이 머리카락(H)이 몸체(2)와 손잡이(3)의 이음부(4) 사이에 끼이는 원인을 살펴보면, 머리카락(H)을 정발할 시에 이음부(4) 사이에 일직선상으로 틈이 발생하고, 발생된 이음부(4) 틈 사이로 머리카락(H)이 지나갈 때 머리카락이 이음부(4)에 끼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 두피에서 머리카락이 뽑혀 통증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헤어브러시를 사용해 머리를 정발하려는 것이 오히려 머리카락이 엉키거나 빠지게 되어 손상되고 사용자의 두피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헤어브러시를 이용하여 두발을 정돈할 경우에,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에 따라 두발의 가르마를 정리할 수단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헤어브러시의 손잡이 하단을 뾰족하게 제작하여 두발의 가르마를 정리하였으나, 헤어브러시의 손잡이 하단의 핀 부위는, 헤어브러시의 시각적인 디자인 효과를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노출되었고, 손잡이의 핀 부위를 통해 가르마를 구분하기 불편한 단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7501호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0188호에는 머리카락의 일부를 들어 올려줄 수 있도록 별도의 가르마핀을 손잡이의 하부에 장착한 헤어브러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헤어브러시는 가르마를 타기 위한 뾰족한 가르마핀을 헤어브러시의 손잡이 끝단에 일측으로 삽입하여 보관하고, 필요시 꺼내 타측으로 다시 삽입하여 돌출되는 부분으로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을 위해 가르마핀을 직접 꺼내 반대로 꼽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가르마핀이 손잡이에 고정되지 않고 손잡이에 끼워서 보관 및 사용하므로 인해 가르마핀의 분실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7501호(2000.04.19) 특허문헌 2 :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0188호(2011.01.07)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몸체와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머리 정발시 몸체와 손잡이의 이음부 사이에 머리카락이 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머리카락이 몸체와 손잡이의 이음부 사이에 끼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머리카락이 빠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부드럽게 머리를 손질함과 동시에 정발시 두피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헤어브러시의 손잡이 하부에 머리 가름용 핀을 회전식으로 설치하여 핀을 편리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핀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브러시가 식모되고 하부에 연결구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연결구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헤어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손잡이의 맞닿는 이음부에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다수의 요부와 철부를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몸체와 손잡이의 이음부 사이에 머리카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하부가 개방된 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의 핀홀 하부에 축을 설치하고, 상기 축에 머리 가름용 핀을 연결하여 핀의 회전에 따라 하부 첨단이 핀홀내로 몰입 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요부와 철부의 단부는 정면에서 볼 때 반원형의 라운드로 결합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요부와 철부의 단부는 측면에서 볼 때 경사면으로 결합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축은 손잡이의 핀홀을 관통하도록 축고정홀에 고정하고, 상기 핀에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축공은 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하고, 상기 축공의 양측 내벽은 상단 폭에서 하단 폭으로 크기가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축공의 하단에서 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축의 양측 외면은 축공의 하부 내벽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축은 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핀홀 양측에는 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축삽입홈의 중앙 상,하부에는 축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머리 가름용 핀의 상부에는 하부 첨단이 핀홀내로 몰입시 핀홀의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용 구형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핀홀의 하부 양측에는 핀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에 따르면, 몸체와 손잡이의 맞닿는 이음부가 종래와 달리 일직선상으로 연결되지 않고 다수의 요부와 철부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서 지그재그로 결합되고, 서로 결합된 다수의 요부와 철부에 의해 머리카락이 끼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머리 정발시 몸체와 손잡이의 이음부 사이에 머리카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머리카락이 몸체와 손잡이의 이음부 사이에 끼지 않도록 다수의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빠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부드럽게 머리를 손질함과 동시에 정발시 두피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헤어브러시의 손잡이 하부에 머리 가름용 핀이 회전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핀을 회전시키면서 편리하게 보관 및 사용함과 동시에 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헤어브러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5a,5b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요부와 철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와 단면도.
도 7a,7b는 본 고안에 따른 핀의 축공과 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a,10b는 도 9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는 도 3 내지 도 10a,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러시(20a)가 식모되고 하부에 연결구(20b)가 구비된 몸체(20), 상기 몸체(20)의 연결구(20b)와 결합되는 결합홈(30a)이 형성된 손잡이(30)를 포함하는 헤어브러시(10)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손잡이(30)의 맞닿는 이음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다수의 요부(21)(31)와 철부(22)(32); 상기 손잡이(30)의 하부에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핀홀(33); 상기 손잡이(30)의 핀홀(33) 하부에 설치되는 축(40); 상기 축(40)에 연결되어 회전에 따라 하부 첨단(50a)이 핀홀(33)내로 몰입 또는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 가름용 핀(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10)는 여성들이 머리를 감은 후에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말리거나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로 머리손질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10)는 몸체(20), 손잡이(30), 축(40) 및 핀(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0)는 헤어브러시(1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몸체(20)의 외주면으로는 인공모 또는 합성수지재의 브러시(20a)가 식모되고, 몸체(20)의 하부에는 연결구(20b)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30)는 몸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손잡이(30)에는 몸체(20)의 연결구(20b)와 결합되는 결합홈(3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20)와 손잡이(30)는 별도로 제작하여 차후 몸체(20)의 연결구(20b)를 손잡이(30)의 결합홈(30a)에 끼워서 접착제로 고정한다.
상기 몸체(20)와 손잡이(30)의 맞닿는 이음부에는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다수의 요부(21)(31)와 철부(22)(32)가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20)의 요부(21)에는 손잡이(30)의 철부(32)가 끼워지고, 상기 손잡이(30)의 요부(31)에는 몸체(20)의 철부(22)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몸체(20)와 손잡이(30)의 맞닿는 이음부가 종래와 달리 일직선상으로 연결되지 않고 다수의 요부(21)(31)와 철부(22)(32)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서 지그재그로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머리 정발시 도 6a에서와 같이 몸체(20)와 손잡이(30)의 이음부 사이로 머리카락(H)이 지나갈 때 이음부로 머리카락(H)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요부(21)(31)와 철부(22)(32)의 단부는 정면에서 볼 때 반원형의 라운드(R)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요부(21)(31)와 철부(22)(32)의 단부를 반원형의 라운드(R)로 결합하면 머리카락(H)의 낌 현상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요부(21)(31)와 철부(22)(32)의 단부는 측면에서 볼 때 경사면(S)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요부(21)(31)와 철부(22)(32)의 단부를 경사면(S)으로 결합하면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머리카락(H)의 낌 현상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0)의 하부에는 핀(50)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핀홀(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30)의 핀홀(33)은 핀(5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다.
상기 축(40)은 손잡이(30)의 핀홀(33)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축(40)은 핀(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핀(50)은 머리카락의 일부를 들어올리거나 머리카락을 가를 때 이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머리 가름용 핀(50)은 축(40)에 연결된 상태에서 핀홀(33)내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도 5b에서와 같이 핀(50)을 회전시키면 하부 첨단(50a)이 핀홀(33)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핀(50)을 사용할 수 있고, 도 5a에서와 같이 핀(50)을 회전시키면 첨단(50a)이 핀홀(33)내로 몰입되므로 핀(50)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머리 가름용 핀(50)을 회전시키면서 편리하게 사용 및 보관할 수 있고, 또한 핀(50)이 축(40)에 연결되어 분리되지 않으므로 핀(50)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축(40)은 손잡이(30)의 핀홀(33)을 관통하도록 축고정홀(34)에 고정되고, 상기 핀(50)에는 축(4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5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30)의 핀홀(33)을 관통하도록 축고정홀(34)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축(40)에는 핀(50)의 축공(51)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a,7b에서와 같이 상기 축공(51)은 핀(5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공(51)의 양측 내벽은 상단 폭(L1)에서 하단 폭(L2)으로 크기가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공(51)의 하단에서 핀(5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축(40)의 양측 외면은 축공(51)의 하부 내벽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핀(50)을 도 7a에서와 같이 하부로 당기면 축(40)이 폭(L1)이 넓은 축공(51)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핀(5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핀(50)을 도 7b에서와 같이 상부로 밀면 축(40)이 폭(L2)이 좁은 축공(51)의 하부에 긴밀하게 압입되면서 끼워지므로 핀(50)의 회전 및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도 7b에서와 같이 핀(50)을 상부로 밀면 회전 및 유동이 방지되므로 머리 가름용 핀(50) 사용시 유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9와 도 10a,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40)은 핀(5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0)의 핀홀(33) 양측에는 축(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삽입홈(35)이 형성되며, 상기 축삽입홈(35)의 중앙 상,하부에는 축(4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36)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핀(50)의 상부에는 하부 첨단(50a)이 핀홀(33)내로 몰입시 핀홀(33)의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용 구형돌기(5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로 돌출된 구형돌기(52)를 손으로 잡고 돌리면 핀(50)을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핀홀(33)의 하부 양측에는 핀(50)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돌기(33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단속돌기(33a)는 핀(5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는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10)가 롤브러시에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10)는 롤브러시 뿐만 아니라 쿠션브러시 등 몸체와 손잡이가 구비된 모든 브러시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몸체(20)와 손잡이(30)의 맞닿는 이음부가 종래와 달리 일직선상으로 연결되지 않고 다수의 요부(21)(31)와 철부(22)(32)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서 지그재그로 결합되고, 서로 결합된 다수의 요부(21)(31)와 철부(22)(32)에 의해 도 6a에서와 같이 머리카락(H)이 끼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머리 정발시 몸체(20)와 손잡이(30)의 이음부 사이에 머리카락(H)이 끼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머리카락이 몸체(20)와 손잡이(30)의 이음부 사이에 끼지 않도록 다수의 요부(21)(31)와 철부(22)(32)가 형성되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빠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부드럽게 머리를 손질함과 동시에 정발시 두피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손잡이(30)의 하부 핀홀(33)에 머리 가름용 핀(50)이 회전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핀(50)을 간단하게 회전시키면서 편리하게 보관 및 사용함과 동시에 핀(5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헤어브러시 20 : 몸체
20a : 브러시 20b : 연결구
21 : 요부 22 : 철부
30 : 손잡이 30a : 결합홈
31 : 요부 32 : 철부
33 : 핀홀 33a : 단속돌기
34 : 축고정홀 35 : 축삽입홈
36 : 고정돌기 40 : 축
50 : 핀 50a : 첨단
51 : 축공 52 : 구형돌기
R : 라운드 S : 경사면

Claims (8)

  1. 브러시(20a)가 식모되고 하부에 연결구(20b)가 구비된 몸체(20); 상기 몸체(20)의 연결구(20b)와 결합되는 결합홈(30a)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가 개방되도록 핀홀(33)이 형성된 손잡이(30); 상기 손잡이(30)의 핀홀(33)을 관통하도록 축고정홀(34)에 고정되는 축(40); 상기 축(40)에 연결되어 회전에 따라 하부 첨단(50a)이 핀홀(33)내로 몰입 또는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 가름용 핀(50)을 포함하는 헤어브러시(10)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손잡이(30)의 맞닿는 이음부에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다수의 요부(21)(31)와 철부(22)(32)를 대응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요부(21)(31)와 철부(22)(32)의 단부는 정면에서 볼 때 반원형의 라운드(R)로 결합되어 몸체(20)와 손잡이(30)의 이음부 사이로 머리카락(H)이 지나갈 때 이음부에 머리카락(H)이 끼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핀(50)에는 축(4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51)이 핀(5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공(51)의 양측 내벽은 상단 폭(L1)에서 하단 폭(L2)으로 크기가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공(51)의 하단에서 핀(5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축(40)의 양측 외면은 축공(51)의 하부 내벽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21)(31)와 철부(22)(32)의 단부는 측면에서 볼 때 경사면(S)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40004870U 2014-06-27 2014-06-27 헤어브러시 KR200477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70U KR200477063Y1 (ko) 2014-06-27 2014-06-27 헤어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70U KR200477063Y1 (ko) 2014-06-27 2014-06-27 헤어브러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063Y1 true KR200477063Y1 (ko) 2015-05-04

Family

ID=5343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70U KR200477063Y1 (ko) 2014-06-27 2014-06-27 헤어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627Y1 (ko) * 2016-11-10 2017-06-07 이사연 핫 컬링 브러시의 머리카락 낌 방지구조
US20220211158A1 (en) * 2021-01-06 2022-07-07 Coi Collins Hairstyling edge-control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30U (ja) * 1993-10-14 1995-05-09 美智子 坂下 ヘアブラシ
KR20110000188U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상신 헤어 브러쉬의 가르마핀
KR20120000488U (ko) * 2010-07-12 2012-01-18 주식회사 상신 헤어브러시
KR101124501B1 (ko) * 2009-03-10 2012-03-15 황송엽 회전형 헤어 브러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30U (ja) * 1993-10-14 1995-05-09 美智子 坂下 ヘアブラシ
KR101124501B1 (ko) * 2009-03-10 2012-03-15 황송엽 회전형 헤어 브러쉬
KR20110000188U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상신 헤어 브러쉬의 가르마핀
KR20120000488U (ko) * 2010-07-12 2012-01-18 주식회사 상신 헤어브러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627Y1 (ko) * 2016-11-10 2017-06-07 이사연 핫 컬링 브러시의 머리카락 낌 방지구조
US20220211158A1 (en) * 2021-01-06 2022-07-07 Coi Collins Hairstyling edge-control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2545C (en) Hairbrush with tapering bristles
KR100817585B1 (ko) 마스카라 브러시
US20080230082A1 (en) Hairbrush
US6575174B2 (en) Hair grooming brush
CA2502083A1 (en) Scalp massaging and hair detangling hair brush
KR102383864B1 (ko) 헤어 엉킴 해제용 헤어 브러시
TW200418408A (en) Toothbrush
US20200297094A1 (en) Rubber assembly, com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b
KR101124501B1 (ko) 회전형 헤어 브러쉬
CA3026629A1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KR200477063Y1 (ko) 헤어브러시
EP3666116B1 (en) Bristle carrier of hairbrush
KR200433657Y1 (ko) 마스카라 브러시
CN107072373A (zh) 睫毛化妆用的睫毛膏
JP6478384B2 (ja) 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及び歯ブラシ
KR200334690Y1 (ko) 헤어브러쉬용 빗살패드 및 빗살
KR200487691Y1 (ko) 핫컬링브러쉬의 머리카락 낌방지구조
JP3202246U (ja) ヘアブラシ
KR200482973Y1 (ko) 헤어브러시
KR200454723Y1 (ko) 마스카라 브러시
KR20110002761U (ko) 마스카라 브러시
KR20090006822U (ko) 마스카라 브러시
WO2024070512A1 (ja) ブラシ
KR200464731Y1 (ko) 헤어브러시
KR101410431B1 (ko) 헤어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