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634A -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634A
KR20200145634A KR1020190129075A KR20190129075A KR20200145634A KR 20200145634 A KR20200145634 A KR 20200145634A KR 1020190129075 A KR1020190129075 A KR 1020190129075A KR 20190129075 A KR20190129075 A KR 20190129075A KR 20200145634 A KR20200145634 A KR 20200145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utton
passenger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표
Original Assignee
코액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액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액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5634A/ko
Publication of KR2020014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60Q1/503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the display content changing automatically, e.g. depending on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쉬보드 인근에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단말기;와 앞좌석의 등받이 뒤쪽에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는 상호간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 연동을 통해서 실행되며 상기 청각 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이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고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수단;을 통해서 상호간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청각장애를 갖는 사람들이 택시 운전기사로 취업 또는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직업 선택의 자유 및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A system that helps communicate between 'Taxi driver with hearing impairment' and 'passenger'}
본 발명은 택시 내부에 구비되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청각 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보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 장애인이 청각장애인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선 종래에 구화, 수화, 필담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청각장애인은 직업 선택에 많은 제한이 있어 왔다.
종래 출원 특허 제 10-2010-0117239호에 의하면 비 장애인과 청각 장애인 사이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하기위해 청각 장애인용 휴대용 대화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특히 택시 운전과 같이 고객과의 실시간 의사소통이 필요한 직업군에서는 택시운전기사가 택시를 운행하며 상기 종래의 대화장치를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과 제한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탑승객이 수화를 모르더라도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되, 탑승객이 택시 운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청각 장애인 택시기사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탑승객과 청각 장애인 택시기사 상호간에 택시 이용 및 운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간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데쉬보드 인근에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단말기;와 앞좌석의 등받이 뒤쪽에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는 상호간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 연동을 통해서 실행되며 상기 청각 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이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고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수단;을 통해서 상호간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태블릿 또는 모바일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단말기는 디스플레이수단에 '뒷자리탑승', '앞자리탑승', 콜탑승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버튼중에 '뒷자리탑승' 버튼이 입력되면, 승객이 뒷좌석에 탑승한 것이고, '앞자리탑승' 버튼이 입력되면, 승객이 앞좌석에 탑승한 것이며, '콜탑승' 버튼이 입력되면 예약한 승객이 탑승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는 '뒷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면 탑승완료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단말기에 탑승완료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탑승완료 신호를 수신한 제2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을 활용하여 목적지 정보를 수집하는 목적지 입력 창(120);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은 음성인식, 터치패드를 활용한 손으로 쓰기, 키보드로 쓰기, 네비게이션 직접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말기는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장소키워드가 입력되면, 장소 DB에서 상기 장소키워드에 해당되는 장소리스트를 검출하여 검출된 장소 리스트 중에 목적지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된 상기 장소 리스트 중에 하나의 장소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소를 목적지 정보로 판단하고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리고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고객 단말기;와 상기 고객단말기 및 제1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서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서버는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택시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위치정보DB;와 제1단말기의 ID정보에 따른 차량번호, 운전기사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기사정보D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되는 배차 요청신호;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되 상기 배차 요청신호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ID, 탑승예정 위치정보, 목적지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배차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 DB;에 저장 된 택시의 현재위치와 상기 배차요청신호에 포함 된 탑승예정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제1단말기에 배차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배차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차 요청신호로부터 탑승예정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 된 탑승예정 위치정보, 목적지정보와 요청수락버튼을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요청수락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1단말기는 자신의 ID를 탑재한 요청수락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한다.
상기 서버는 배차 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임의의 제1 단말기로부터 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요청 수락신호에 포함된 ID를 기반으로 상기 기사정보DB(220)에서 차량번호와 운전기사 이름을 독출하고, 위치정보DB(210)에서 택시의 현재위치를 독출하여 배차 완료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에 배차된 차량번호, 운전기사 및 현재위치를 포함시킨 배차 완료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차량에는 승객이 볼 수 있는 외부용 디스플레이기기가 구비되며, 예약수락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외부용 디스플레이기기에는 "예약"이라는 문구가 보여지며, 승객이 탑승하는 경우 상기 제1단말기는 콜탑승버튼을 입력받아 예약탑승완료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콜탑승버튼의 입력으로 생성한 예약탑승완료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배차요청신호에서 목적지 정보를 독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는 '앞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면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좌석 이동요청문구가 표시된 창;과 좌석이동확인버튼;을 일정 시간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좌석이동확인 버튼을 입력받았을 때 상기 제2단말기에 탑승완료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는 '앞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면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수단을 활용하여 목적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 창(120);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목적지 입력 창(120)에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에 시각적인 효과를 탑재하는 목적지 정보창;과 응답버튼; 또는/및 입력수단의 터치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지 정보창;에서 제공하는 시각적인 효과는 한 번 사이클에 2 .
5초 3번의 화면 깜빡임(하얀색)으로 알려주며 만약 해당 사이클 내에서 화면 터치입력이 실행되지 않을 시 1초 쉬고, 다시 사이클이 반복된다.
또한 상기 응답버튼;은 확인버튼, 다시요청버튼, 보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수단의 터치패드는 상기 응답버튼을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입력이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제공되며, 상기 터치패드는 문자를 입력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 된 메시지를 제2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택시의 주행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주행상태가 주행시작일 경우 상기 제1단말기는 디스플레이수단에 네비게이션을 제공하고, 제2단말기는 광고화면;과 입력수단;과 지도보기 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제2단말기의 입력수단에서 메시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2단말기에서 입력 된 메시지는 상기 제1단말기의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단말기는 지도보기 버튼이 입력될 경우 상기 제1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제공되고 있는 네비게이션에 포함 된 택시의 현재위치, 목적지 위치, 주행경로, 주행시간, 주행 거리정보 등을 제2단말기의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거나 또는 청각화 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변경된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변경된 목적지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에 상기 변경된 목적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변경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변경된 목적지를 상기 목적지 정보창;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단말기는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택시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택시의 현재위치가 목적지 근처가 가까워지면 '목적지 근처' 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목적지 근처 버튼이 입력될 경우 상기 제2단말기에 상세한 목적지를 요청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의 현재위치가 복잡한 골목길일 경우 '골목길 안내'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골목길 안내 버튼이 입력될 경우 제2단말기는 방향 선택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방향성택 버튼;이 입력될 경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1 단말기는 택시의 현재 위치가 목적지와 일치할 경우 상기 제2단말기에 결제방법 요청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결제방법 요청신호를 수신한 제2단말기는 지불수단 선택버튼;과 입력수단;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지불수단 선택버튼;은 현금버튼;과 카드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지불수단 선택버튼 중 하나의 버튼이 입력될 경우 선택된 버튼에 대한 결과정보가 포함 된 버튼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버튼입력신호를 상기 제1단말기에 송신한다.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버튼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지불수단 선택 상기 버튼입력신호에 포함된 결과정보에 따라 지불절차안내창을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되 상기 결과정보가 현금버튼;일 경우 현금지불절차 안내를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결과정보가 카드버튼;일 경우 카드지불절차 안내를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2단말기(101)의 입력수단(110)으로부터 정보가 입력될 경우 해당 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단말기는 블루투스로 연동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상기 각각의 단말기가 페어링 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블루투스로 연동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는 시스템에서 자주 쓰는 문구를 버튼식으로 저장하여 실행할 수 있는 커스텀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문구가 저장된 커스텀 버튼;은 상기 제1단말기의 모든 디스플레이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가 승객과의 의사소통 시 택시 내에 구비 된 두 대의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입력수단을 사용하여 청각장애를 갖는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고, 또한 상기 청각 장애를 갖는 사람들이 택시 운전기사로 취업 또는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어려움을 해소 할 수 있어 직업 선택의 자유 및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가 설치 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뒷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제1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객단말기에서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배차를 요청하고 배차된 택시의 제1단말기에서 콜탑승버튼을 입력받았을 때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앞자리탑승'버튼을 입력받았을 때 상기 제1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제1단말기의 상태별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간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데쉬보드 인근에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단말기(100);와 앞좌석의 등받이 뒤쪽에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단말기(101);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는 상호간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 연동을 통해서 실행되며 상기 청각 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이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고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수단(110);을 통해서 상호간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된다.
또한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고객 단말기(300);와 상기 고객단말기 및 제1단말기(100)와 송수신하는 서버(2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서버(200)는 제1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택시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위치정보DB(210);와 제1단말기(100)의 ID정보에 따른 차량번호, 운전기사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기사정보DB(220);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단말기는 블루투스로 연동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상기 각각의 단말기가 페어링 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블루투스로 연동된다.
첨부된 도2는 본 발명의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가 설치 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태블릿 또는 모바일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수단에 '뒷자리탑승', '앞자리탑승', 콜탑승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버튼중에 '뒷자리탑승' 버튼이 입력되면, 승객이 뒷좌석에 탑승한 것이고, '앞자리탑승' 버튼이 입력되면, 승객이 앞좌석인 조수석에 탑승한 것이며, '콜탑승' 버튼이 입력되면 자리에 무관하게 예약한 승객이 탑승한 것으로 판단한다.
첨부된 도 3은 '뒷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제1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기(100)는 '뒷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면 탑승완료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단말기(101)에 탑승완료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탑승완료 신호를 수신한 제2단말기(101)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110);과 상기 입력수단(110)을 활용하여 목적지 정보를 수집하는 목적지 입력 창(120);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110)은 음성인식, 터치패드를 활용한 손으로 쓰기, 키보드로 쓰기, 네비게이션 직접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말기(101)는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장소키워드가 입력되면, 장소 DB에서 상기 장소키워드에 해당되는 장소리스트를 검출하여 검출된 장소 리스트 중에 목적지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된 상기 장소 리스트 중에 하나의 장소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소를 목적지 정보로 판단하고 상기 제1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고객단말기에서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배차를 요청하고 배차된 택시의 제1단말기에서 콜탑승버튼을 입력받았을 때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객 단말기(300)는 상기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되는 배차 요청신호;를 상기 서버(200)에 송신하되 상기 배차 요청신호는 상기 고객 단말기(300)의 ID, 탑승예정 위치정보, 목적지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고객 단말기(300)로부터 배차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차 요청신호에 포함된 탑승예정 위치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위치정보 DB;에 저장 된 택시의 현재위치와 탑승예정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제1단말기(100)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 된 제1단말기(100)에 배차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배차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차 요청신호로부터 탑승예정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 된 탑승예정 위치정보, 목적지정보와 요청수락버튼을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요청수락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1단말기는 자신의 ID를 탑재한 요청수락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한다.
상기 서버는 배차 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임의의 제1 단말기로부터 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요청 수락신호에 포함된 ID를 기반으로 상기 기사정보DB(220)에서 차량번호와 운전기사 이름을 독출하고, 위치정보DB(210)에서 택시의 현재위치를 독출하여 배차 완료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300)에 배차된 차량번호, 운전기사 및 현재위치를 포함시킨 배차 완료신호;를 송신한다.
차량에는 승객이 볼 수 있는 외부용 디스플레이기기가 구비되며, 예약수락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외부용 디스플레이기기에는 "예약"이라는 문구가 보여지며, 승객이 탑승하는 경우 상기 제1단말기는 콜탑승버튼을 입력받아 예약탑승완료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콜탑승버튼의 입력으로 생성한 예약탑승완료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배차요청신호에서 목적지 정보를 독출 한다.
첨부된 도 5는 '앞자리탑승'버튼을 입력받았을 때 상기 제1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기(100)는 '앞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면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좌석 이동요청문구가 표시된 창;과 좌석이동확인버튼;을 일정 시간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좌석이동확인 버튼을 입력받았을 때 상기 제2단말기에 탑승완료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조수석에 혼자 탑승한 승객이 뒷좌석으로 이동하여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에서 송신한 탑승완료신호;는 상기 제1단말기의 초기화면에서 '뒷자리탑승'버튼을 입력하였을 때 생성되는 탑승완료신호와 일치함에 따라 상기 좌석을 이동하여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은 처음부터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에게 제공되는 일련의 과정을 동일하게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기(100)는 '앞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면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수단을 활용하여 목적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 창(120);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도3 내지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방법으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목적지 입력 창(120)에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에 시각적인 효과를 탑재하는 목적지 정보창;과 응답버튼; 또는/및 입력수단의 터치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상기 목적지 정보창;에서 제공하는 시각적인 효과는 한 번 사이클에 2 .5초 3번의 화면 깜빡임(하얀색)으로 알려주며 만약 해당 사이클 내에서 화면 터치입력이 실행되지 않을 시 1초 쉬고, 다시 사이클이 반복된다.
상기 응답버튼;은 확인버튼, 다시요청버튼, 보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수단(110)의 터치패드는 상기 응답버튼을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입력이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제공되며, 상기 터치패드는 문자를 입력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 된 메시지를 제2단말기(101)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1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택시의 주행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주행상태가 주행시작일 경우 상기 제1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화면을 제공하고, 제2단말기(101)는 광고화면;과 입력수단(110);과 지도보기 버튼;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제2단말기(101)의 입력수단(110)에서 메시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2단말기(101)에서 입력 된 메시지는 상기 제1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된다.
상기 제2단말기(101)는 지도보기 버튼이 입력될 경우 상기 제1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제공되고 있는 네비게이션에 포함 된 택시의 현재위치, 목적지 위치, 주행경로, 주행시간, 주행 거리정보 등을 제2단말기의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거나 또는 청각화 하여 제공한다.
상기 제2단말기(101)는 상기 입력수단(110)을 통해 변경된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변경된 목적지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에 상기 변경된 목적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변경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변경된 목적지를 상기 목적지 정보창;에 제공한다.
상기 제1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택시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택시의 현재위치가 목적지 근처가 가까워지면 '목적지 근처' 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목적지 근처 버튼이 입력될 경우 상기 제2단말기(101)에 상세한 목적지를 요청한다.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제1단말기(100)의 현재위치가 복잡한 골목길일 경우 '골목길 안내'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골목길 안내 버튼이 입력될 경우 제2단말기(101)는 방향 선택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방향선택 버튼;이 입력될 경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1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제1 단말기는 택시의 현재 위치가 목적지와 일치할 경우 상기 제2단말기(101)에 결제방법 요청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결제방법 요청신호를 수신한 제2단말기(101)는 지불수단 선택버튼;과 입력수단(110);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지불수단 선택버튼;은 현금버튼;과 카드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지불수단 선택버튼 중 하나의 버튼이 입력될 경우 선택된 버튼에 대한 결과정보가 포함 된 버튼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버튼입력신호를 상기 제1단말기에 송신한다.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버튼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버튼입력신호에 포함된 결과정보에 따라 지불절차안내창을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과정보가 현금버튼;일 경우 현금지불절차 안내를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결과정보가 카드버튼;일 경우 카드지불절차 안내를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2단말기(101)의 입력수단(110)으로부터 정보가 입력될 경우 해당 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한다.
첨부된 도 7은 제1단말기의 상태별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는 제1단말기의 디스플레이수단에 '뒷자리탑승', '앞자리탑승', 콜탑승버튼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b)는 배차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제1단말기의 디스플레이수단에 고객 단말기(300)의 현재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와 요청수락 버튼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c)는 제1단말기의 디스플레이수단에 입력수단(110);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d)는 커스텀버튼 설정창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말기(100)는 시스템에서 자주 쓰는 문구를 버튼식으로 저장하여 실행할 수 있는 커스텀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스텀버튼 설정창에서 문구가 저장된 커스텀 버튼;은 상기 제1단말기(100)의 모든 디스플레이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제1단말기
101 제2단말기
110 입력수단
120 목적지 입력 창
200 서버
210 위치정보DB
220 기사정보DB
300 고객 단말기

Claims (15)

  1. 청각 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간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데쉬보드 인근에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단말기;와
    앞좌석의 등받이 뒤쪽에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2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는 상호간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 연동을 통해서 실행되며
    상기 청각 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이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고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수단;을 통해서 상호간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태블릿 또는 모바일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1단말기는 디스플레이수단에 '뒷자리탑승', '앞자리탑승', 콜탑승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버튼중에 '뒷자리탑승' 버튼이 입력되면, 승객이 뒷좌석에 탑승한 것이고, '앞자리탑승' 버튼이 입력되면, 승객이 앞좌석에 탑승한 것이며, '콜탑승' 버튼이 입력되면 예약한 승객이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뒷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면 탑승완료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단말기에 탑승완료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탑승완료 신호를 수신한 제2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을 활용하여 목적지 정보를 수집하는 목적지 입력 창(120);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음성인식, 터치패드를 활용한 손으로 쓰기, 키보드로 쓰기, 네비게이션 직접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는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장소키워드가 입력되면, 장소 DB에서 상기 장소키워드에 해당되는 장소리스트를 검출하여 검출된 장소 리스트 중에 목적지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된 상기 장소 리스트 중에 하나의 장소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소를 목적지 정보로 판단하고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고객 단말기;와
    상기 고객단말기 및 제1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서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서버는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택시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위치정보DB;와
    제1단말기의 ID정보에 따른 차량번호, 운전기사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기사정보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택시 예약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되는 배차 요청신호;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되
    상기 배차 요청신호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ID, 탑승예정 위치정보, 목적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배차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 DB;에 저장 된 택시의 현재위치와 상기 배차요청신호에 포함 된 탑승예정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제1단말기에 배차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배차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차 요청신호로부터 탑승예정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 된 탑승예정 위치정보, 목적지정보와 요청수락버튼을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요청수락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1단말기는 자신의 ID를 탑재한 요청수락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배차 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임의의 제1 단말기로부터 요청 수락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요청 수락신호에 포함된 ID를 기반으로 상기 기사정보DB(220)에서 차량번호와 운전기사 이름을 독출하고, 위치정보DB(210)에서 택시의 현재위치를 독출하여 배차 완료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에 배차된 차량번호, 운전기사 및 현재위치를 포함시킨 배차 완료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차량에는 승객이 볼 수 있는 외부용 디스플레이기기가 구비되며, 예약수락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외부용 디스플레이기기에는 "예약"이라는 문구가 보여지며,
    승객이 탑승하는 경우 상기 제1단말기는 콜탑승버튼을 입력받아 예약탑승완료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콜탑승버튼의 입력으로 생성한 예약탑승완료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배차요청신호에서 목적지 정보를 독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앞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면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좌석 이동요청문구가 표시된 창;과 좌석이동확인버튼;을 일정 시간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좌석이동확인 버튼을 입력받았을 때 상기 제2단말기에 탑승완료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앞자리탑승'버튼이 입력되면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수단을 활용하여 목적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 창(120);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KR1020190129075A 2019-10-17 2019-10-17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KR20200145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75A KR20200145634A (ko) 2019-10-17 2019-10-17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75A KR20200145634A (ko) 2019-10-17 2019-10-17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760A Division KR102036612B1 (ko) 2019-06-20 2019-06-20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34A true KR20200145634A (ko) 2020-12-30

Family

ID=7408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075A KR20200145634A (ko) 2019-10-17 2019-10-17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56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2250A1 (en) Ride-share support system, ride-share support method, and ride-share support apparatus
CN106030697B (zh) 车载控制装置及车载控制方法
JP2007320758A (ja) エレベータホール案内装置
KR102036612B1 (ko)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JPWO2017221924A1 (ja) 窓口受付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ロボット
KR20180053797A (ko) 장애인 탑승 사전 알림 기능을 갖춘 버스 안내 시스템
JP6544046B2 (ja) 案内装置及び路線バス
JP2019086805A (ja) 車内システム
JP6521705B2 (ja) タクシーメータシステム及び外部機器
JP6521712B2 (ja) タクシーメータシステム及び外部機器
KR20200145634A (ko)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시스템.
JP2015056081A (ja) 乗車支援装置
EP1838124A1 (en) Push-to-talk over cellular system, mobile terminal, server apparatus, pointer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2001091293A (ja) 案内装置
JP2001266218A (ja) 顧客操作端末の遠隔操作支援システム
JP2000142408A (ja) 携帯情報機器
KR102410939B1 (ko)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JP6841536B1 (ja) 翻訳システム
EP3537712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a video call while driving a vehicle
JP2018169992A (ja) バス運行システム
JP2006119889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H08137385A (ja) 会話装置
JP6807611B2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86918A (ko) 청각장애인 택시 운전기사와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구현 방법
JP2005121369A (ja) 情報受信端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