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939B1 -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939B1
KR102410939B1 KR1020170130024A KR20170130024A KR102410939B1 KR 102410939 B1 KR102410939 B1 KR 102410939B1 KR 1020170130024 A KR1020170130024 A KR 1020170130024A KR 20170130024 A KR20170130024 A KR 20170130024A KR 102410939 B1 KR102410939 B1 KR 10241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information
driving means
user
langu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656A (ko
Inventor
김장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9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2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traffic 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은 운행 수단의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부여된 가중치와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복수의 언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HOWING LANGUAGE LIST OF IN-VEHICLE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탑승자 또는 주행 환경/조건에 대응하여 차량용 기기에서 설정 가능한 언어 리스트를 도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를 포함한 다양한 이동수단(이하 '차량'으로 명명함)은 단순한 이동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 통신 기술이 융합된 복합 제품으로 발전하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차량내 통신기능이 탑재되고, 차량 운행 중 필요 시 또는 비상 상황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외부 콜 센타(call center)와의 전화 통화도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차량에는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 비디오 시스템(Video system)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을 하나의 유닛(unit) 형태로 통합한 차량용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의 탑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차량용 AVN 장치는 제어장치를 통해 차량에 장치된 다양한 미디어 장치의 제어뿐만 아니라 차량 내 주변 장치들과 정보 및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와이파이 다이렉트, USB 단자와 같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어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휴대한 다양한 미디어와도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용 AVN 장치는 통상 음성 안내용 언어가 차량이 시판되는 국가의 언어로 제공되기 때문에 만약 차량 탑승자가 외국인일 경우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화면 내 언어와 음성 안내 정보를 원활하게 알아 들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만약 차량용 AVN 장치에 언어 팩이 포함된 경우, 기 설정된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 즉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언어의 수는 증가할 수 있다. 차량용 기기에 언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양이 증가하고 차량을 이용하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사용하는 언어의 제한이 없기에, 차량용 기기가 많은 언어를 지원할수록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차량을 이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KR 10-1556578 B1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지원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의 리스트를 탑승자 또는 운전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도시하거나,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언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언어를 지원하는 차량용 기기에서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다수의 언어가 표시된 리스트를 오래 스크롤(scroll)하여 리스트에 포함된 언어를 선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행 환경 또는 운전자의 선호도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언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도시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환경 또는 탑승자의 선호도 등에 따른 복수의 언어 설정 조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결정되는 우선순위에 따른 순서로 설정 가능한 언어를 설정하거나 우선순위에 따라 언어를 자동 설정, 변경 등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기기의 언어 설정 방법은 운행 수단의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행 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부여된 상기 가중치와 상기 주행 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복수의 언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은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는 단계; 및 도시된 상기 적어도 일부 중 하나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언어 수는 최소 10개 이상이며, 도시되는 상기 복수의 언어 수는 총 개수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은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하나를 상기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수단은 차량, 배, 항공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언어는 상기 운행 수단에 탑재된 전자 기기의 설정 언어로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에 설정된 제1언어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얻어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언어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인터넷 사이트 혹은 서버에서 사용되는 제3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언어정보, 상기 제2언어정보 및 상기 제3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하며, 상기 제2언어정보, 상기 제1언어정보 및 상기 제3언어정보의 순으로 상기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조건은 상기 운행 수단의 GPS 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4언어정보; 상기 운행 수단에 탑재된 방송 기기에서 사용되는 제5언어정보; 상기 운행 수단이 주행 중 인식하는 표지판, 간판 또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운행 수단에서 제공되었던 제7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언어정보, 상기 제5언어정보, 상기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제7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하며, 상기 제5언어정보, 상기 제4언어정보, 상기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제7언어정보의 순으로 상기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은 상기 운행 수단 내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언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언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일부에 상기 우선 순위를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은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운행 수단의 운전자 정보 및 탑승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상기 탑승자 정보보다 상기 가중치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수단이 복수의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가 개별적인 언어 설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전술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장치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언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운행 수단의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주행 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결정부; 및 부여된 상기 가중치와 상기 주행 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언어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선호도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적어도 일부를 도시할 수 있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도시된 상기 적어도 일부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언어 수는 최소 10개 이상이며, 도시되는 상기 복수의 언어 수는 총 개수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하나를 상기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사용 언어가 변경되면, 음성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수단은 차량, 배, 항공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언어는 상기 운행 수단에 탑재된 전자 기기의 설정 언어로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에 설정된 제1언어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얻어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언어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인터넷 사이트 혹은 서버에서 사용되는 제3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언어정보, 상기 제2언어정보 및 상기 제3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하며, 상기 제2언어정보, 상기 제1언어정보 및 상기 제3언어정보의 순으로 상기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조건은 상기 운행 수단의 GPS 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4언어정보; 상기 운행 수단에 탑재된 방송 기기에서 사용되는 제5언어정보; 상기 운행 수단이 주행 중 인식하는 표지판, 간판 또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운행 수단에서 제공되었던 제7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언어정보, 상기 제5언어정보, 상기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제7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하며, 상기 제5언어정보, 상기 제4언어정보, 상기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제7언어정보의 순으로 상기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상기 운행 수단 내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언어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호도 결정부는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언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일부에 상기 우선 순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운행 수단의 운전자 정보 및 탑승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상기 탑승자 정보보다 상기 가중치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수단이 복수의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가 개별적인 언어 설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탑승자가 있는 차량에서 차량 내 장치의 언어 설정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중인 차량에서 언어 설정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돕거나 자동으로 언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언어를 지원하는 차량용 장치의 언어 설정을 위해 사용자 또는 탑승자의 불편을 제거하여 사용자 또는 탑승자의 차량에 대한 만족도 및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운행 수단 내 전자기기의 언어 설정을 설명한다.
도2는 운행 수단 내 전자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언어의 도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4는 가중치 부여 방법과 선호도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5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운행 수단 내 전자기기의 언어 설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 수단은 차량, 배, 항공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운행 수단에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요구 또는 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언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기기들이 탑재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도1에는 3가지의 예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운행 수단에 포함된 전자 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공기의 승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크린 장치(14)는 항공기 승객이 선택한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스크린 장치(14)에서 지원하는 언어의 수가 1개 혹은 2~3개 이하인 경우에는, 지원하는 언어를 화면에 도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한 언어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스크린 장치(14)에서 지원하는 언어의 수가 많을 경우, 화면에 모두 도시하기 어려울 수 있고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은 스크롤 등을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언어를 찾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스크린 장치(14)가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니즈(혹은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고, 선호도에 따라 설정 언어를 자동으로 결정해준다면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은 보다 손쉽게 스크린 장치(14)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다양한 정보 또는 즐거움을 전달할 수 있는 전자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 기기는 차량의 헤드 유닛에 배치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18)와 차량의 좌석에 배치되는 멀티미디어 장치(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후방석에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장치(16) 역시 해당하는 후방석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선호도를 파악해서 설정 언어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의 헤드 유닛에 포함될 수 있는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18)도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선호도에 따라 설정 언어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가 주행 중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18)의 언어를 직접 설정하는 경우, 주행 중 전방 주시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고의 위험성이 커지고, 주행 안전에 위해가 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18)가 운전자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언어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면, 장치의 조작 편의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주행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AVN 장치(18)는 오디오, 비디오 재생 기능에 내비게이션(위치 정보, 길 안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VN 장치는 차량의 헤드 유닛에 배치되어, 운전자뿐만 아니라 탑승자에게도 정보 또는 즐거움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운전석이 아닌 다른 좌석에 배치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16)는 해당 좌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직접 조작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장치(16)는 좌석 마다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운전석에도 별도의 멀티미디어 장치(16)가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AVN 장치(18) 또는 멀티미디어 장치(16)는 차량에 장착되거나(mounted) 탈부착될 수도 있다.
운행 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은 다양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렌터카 등의 경우 특정 차량을 이용하는 사람은 계속 변경되고, 해당 차량의 사용 언어를 계속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사용 언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기기가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선호도에 따라 설정 언어를 자동으로 변경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선호도를 예측하여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언어를 우선적으로 화면에 도시하거나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언어만을 화면에 도시하면,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스크롤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언어를 찾아 설정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렌터카의 경우, 이용자가 어떠한 언어를 사용할지 알 수 없어, 차량 제조사 혹은 렌터카 서비스 회사에서는 차량에 포함된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가 다양한 언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차량 또는 운행 수단을 설계할 수 있다.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면, 수십 개의 언어를 지원하는 전자 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자신이 희망하는 언어는 찾는 데에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운행 수단 내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에서 설정 언어가 바뀌는 경우, “언어 설정이 변경되었습니다”, “영어로 설정되었습니다”, 혹은 “한국어로 설정되었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텍스트 또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도2는 운행 수단 내 전자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언어의 도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 수단 내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언어(22)는 최소 10개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 가능한 언어(22)는 유럽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와 한국어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 가능한 언어(22)로서의 복수의 언어 수는 최소 10개 이상이며, 모든 언어가 하나의 화면에 도시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언어 수는 총 개수의 절반 이하의 언어가 스크롤(scroll) 없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운행 수단 내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의 언어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제1표시방법(24)과 같이 알파벳 순서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체코어(Cesky)를 사용하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알파벳 순서로 제공되는 제1표시방법(24)에 따른 화면에서 체코어를 선택하는 것은 용이할 수 있다. 하지만, 터키어(Turkce)를 사용하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제1표시방법(24)에 따른 화면에서 터키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스크롤을 계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제1표시방법(24)과 달리 제2표시방법(26)에서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사용자 정보 또는 주행 조건에 대응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사용 가능한 언어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정보 또는 주행 조건에 따른 우선 순위에 따라 언어를 표시하기 때문에 알파벳 순서의 제공과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설정할 가능성이 높은 언어의 순서에 따라 복수의 언어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도시될 수 있다. 만약 한국어(Korean)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에게 제2표시방법(26)에 따른 경우,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선택할 한국어가 첫번째 화면에 포함되어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은 스크롤할 필요가 없다. 반면, 제1표시방법(24)에 따른 경우에는 스크롤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도3은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은 운행 수단의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50),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52), 및 부여된 가중치와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복수의 언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54)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수단에 탑재되거나 연동하는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에 사용 혹은 설정 가능한 복수의 언어 수는 최소 10개 이상일 수 있으며, 화면에 크기 등의 이유로 한 화면에 도시될 수 있는 복수의 언어 수는 총 개수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스크롤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언어를 찾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추천 언어 혹은 사용자가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언어를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은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의 언어 중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는 단계(56), 및 도시된 적어도 일부 중 하나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를 결정하는 단계(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알파벳 순서가 아닌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화면에 언어가 도시됨에 따라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화면 스크롤을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언어를 찾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은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의 언어 중 하나를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로 결정하는 단계(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수단에 탑재되거나 연동하는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가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른 결과로서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는 설정 언어를 자동으로 변경, 조정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에 설정된 제1언어정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얻어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언어정보, 및 사용자가 접속한 인터넷 사이트 혹은 서버에서 사용되는 제3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가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보유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방법을 통한 무선 연결 방식 혹은 USB 케이블 등을 통한 유선 연결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보유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언어(예, 제1언어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혹은 지원 가능한 여러 언어들 중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언어와 동일한 언어가 우선 순위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언어정보, 제2언어정보 및 제3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2언어정보, 제1언어정보 및 제3언어정보의 순으로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언어정보의 형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가 인지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는 언어정보의 정확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거나 차량과 연동하는 다수의 통신 장치, 감지 장치 등을 통해 주행 조건을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행 조건은 운행 수단의 GPS 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4언어정보, 운행 수단에 탑재된 방송 기기에서 사용되는 제5언어정보, 운행 수단이 주행 중 인식하는 표지판, 간판 또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제6언어정보, 및 운행 수단에서 제공되었던 제7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언어정보, 제5언어정보, 제6언어정보 및 제7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5언어정보, 제4언어정보, 제6언어정보 및 제7언어정보의 순으로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은 운행 수단 내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언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사용자의 언어에 대응하여 복수의 언어 중 일부에 상기 우선 순위를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음성 인식 기능을 포함하거나 음성 인식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에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 복수의 사람들이 탑승할 수 있고, 복수의 사람들을 위한 전자기기 또는 컴퓨터 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에 대해서 차별된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상기 운행 수단의 운전자 정보 및 탑승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 정보는 탑승자 정보보다 가중치가 높을 수 있다. 운전자가 탑승자 보다 운행 수단에서의 역할과 제어에 더 큰 영향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운행 수단이 복수의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자장치가 개별적인 언어 설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복수의 전자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4는 가중치 부여 방법과 선호도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4는 불어가 사용되는 프랑스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미국인 2명과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스페인인 1명이 렌터카를 대여하고 운행 중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최초 미국인이 운전하다 독일 국경에 진입하여 스페인인이 운전자가 되어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 장치의 화면 언어(설정 언어)를 변경하려 한다고 가정한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각각의 항목의 추출된 언어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항목 모두를 검토하지 않고 일부만을 검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 언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위치 정보(GPS)를 바탕으로, 독일어 및 프랑스어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접속 언어, 차량의 내부에 마이크로폰을 통한 음성인식,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언어정보, 차량에 탑재된 방송기기(라디오, DMB 등)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의 언어 정보, 차량이 주행하면서 발견되는 표지판에 포함된 글자에 대한 언어 정보, 차량에 탑재된 오디오/AVN 기기의 과거 이력(설정 언어에 관한)에 대한 정보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미국인과 스페인인을 포함하지만, 독일 지역을 운전하고 있어서 독일어가 상위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를 합하여, 각 언어별로 모두 합하면, 독일어 11, 프랑스어 5, 스페인어 13, 영어 11 등의 가중치 합이 계산될 수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가중치 점수가 가장 높은 스페인어(13)를 기본 언어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4으 아래 그림을 참조하면, 독일어, 프랑스어, 한국어, 스페인어, 영어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 점수를 합하고, 가중치 점수가 높은 순서에서 낮은 순서로 화면에 도시할 수도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언어를 다른 변경하려 할 경우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언어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타 다른 언어는 기존처럼 스크롤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도5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장치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언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8), 운행 수단의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36),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결정부(38), 및 부여된 가중치와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부(48)에 저장된 복수의 언어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선호도 결정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의 언어 중 적어도 일부를 도시할 수 있는 표시부(34), 및 표시부(34)를 통해 도시된 적어도 일부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42),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를 결정하는 제어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48)에 저장된 복수의 언어 수는 최소 10개 이상이며, 표시부(44)를 통해 도시되는 복수의 언어 수는 총 개수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의 제어부(34)는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의 언어 중 하나를 상기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제어부(34)에 의해 사용 언어가 변경되면, 음성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3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독립적인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알림부(32), 표시부(44), 인터페이스(42) 등은 버튼, 터치 스크린,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별도의 기기 혹은 장치가 아닌 운행 수단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가 포함되는 운행 수단은 차량, 배, 항공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가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언어는 운행 수단에 탑재된 전자 기기의 설정 언어로 지원될 수 있으며, 그 종류와 수는 저장부(48)의 데이터 저장량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운행 수단에 포함되거나 연동하는 다양한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와 주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보유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62)가 운행 수단과 연동하는 경우,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휴대용 단말기(62)의 설정 언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에 탑재된 마이크/음성인식 장치(76)를 통하여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의 음성을 인식하여 얻어진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에 탑재된 텔레매틱스 단말기(66) 등을 통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등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접속한 인터넷 사이트 혹은 서버에서 사용되는 제3언어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운행 수단에 탑재된 GPS 장치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64)를 통하여 GPS 신호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4언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에 탑재된 방송 기기(68)를 통하여,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방송 기기(68)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사용되는 제5언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운행 수단에 포함된 카메라(72) 혹은 라이다 장치(74)를 통하여 주행 중 인식하는 주변 정보(예, 표지판, 간판 또는 광고판 등)에 사용되는 제6언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운행 수단에서 제공되었던 과거 이력을 통하여 제7언어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운행 수단에 탑재되거나 운행 수단과 연동하는 전자 기기, 센서, 컴퓨팅 시스템 등을 통해 서로 다른 정보 들을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운행 수단 내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언어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수단에 음성인식장치(76)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가 음성인식기능을 포함하면, 사용자의 언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선호도 결정부(46)는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언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일부에 상기 우선 순위를 높일 수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운행 수단에 탑재되거나 운행 수단과 연동하는 전자 기기, 센서, 컴퓨팅 시스템 등을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 정보에 상기 운행 수단의 운전자 정보 및 탑승자 정보를 포함되는 경우, 운전자 정보는 탑승자 정보보다 가중치를 더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에 탑재되는 전자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가 복수 개이고, 독립적으로 언어 설정이 가능한 경우,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복수의 전자장치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언어를 제공하는 차량/배/항공기에서 사용자가 가장 잘 사용할 것 같은 언어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기본 언어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GPS 정보를 이용한 해당 국가별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 있다. 오디오/AVN에 경/위도 별 인접 국가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입력 받은 GPS 정보로 경/위도를 계산하여 해당 국가 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국가별로 사용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인터넷/클라우드를 이용한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와이파이(WiFi)나 텔레매틱스 유닛(TMU)을 이용해 사용자가 접속한 사이트의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운행 수단의 내장 마이크 및 음성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차량 내 다수의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고, 서버 연동하거나 내장음성인식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저장부(48)에 저장된 최종 언어리스트를 언어리스트 추출 블록으로부터 피드백(Feedback)을 받아 음성인식의 정확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휴대용 단말기(62)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62)의 언어리스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한 휴대폰의 최근 언어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휴대용 단말기(62)에 USB 단자, 무선통신 등의 방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방송을 통한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라디오/DAB/DMB/HD RADIO/위성라디오 등 방송 언어 분석을 통한 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도로 표지판 사진 영상처리를 통한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영상 촬영할 수도 있고, 영상처리를 통한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저장부(48)에 저장된 최종 언어리스트를 언어리스트 추출 블록으로부터 피드백(Feedback)받아 영상처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내비게이션 또는 오디오의 과거 사용했던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차량의 헤드 유닛(H/U)에 저장된 과거 사용 언어리스트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운행 수단 내의 사람이 사용하는 추정 언어 리스트에 비교를 하므로서 음성인식 속도를 증대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 위주로 정렬할 수 있다.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기존에는 알파벳 순으로 선택언어리스트를 보여주는 것과 달리, 사용자 정보 및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언어를 우선순위에 따라 보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원하는 언어의 수가 20~ 30 이상으로 지속 증가하더라도, 주행 중 또는 운전 중 운전자가 스크롤하면서 언어를 찾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위치, 방송, 폰, 주변 언어, 차량내 대화, 오디오/AVN 과거 언어를 분석하여 운전자가 사용할만한 최적의 언어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30)는 터치 패드 인식 시 임의의 언어를 터치로 적었을 때 최적 언어리스트를 비교하여 빠른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36: 수집부 38: 가중치 결정부
46: 선호도 결정부 34: 제어부
48: 저장부 44: 표시부

Claims (26)

  1. 운행 수단의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행 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부여된 상기 가중치와 상기 주행 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복수의 언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 조건은 상기 운행 수단이 주행 중 인식하는 표지판, 간판 또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제6언어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인터넷 사이트 혹은 서버에서 사용되는 제3언어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는 단계; 및
    도시된 상기 적어도 일부 중 하나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언어 수는 최소 10개 이상이며, 도시되는 상기 복수의 언어 수는 총 개수의 절반 이하인,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하나를 상기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수단은 차량, 배, 항공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언어는 상기 운행 수단에 탑재된 전자 기기의 설정 언어로 지원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에 설정된 제1언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얻어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언어정보, 상기 제2언어정보 및 상기 제3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하며,
    상기 제2언어정보, 상기 제1언어정보 및 상기 제3언어정보의 순으로 상기 가중치가 결정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조건은
    상기 운행 수단의 GPS 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4언어정보;
    상기 운행 수단에 탑재된 방송 기기에서 사용되는 제5언어정보; 및
    상기 운행 수단에서 제공되었던 제7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언어정보, 상기 제5언어정보, 상기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제7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하며,
    상기 제5언어정보, 상기 제4언어정보, 상기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제7언어정보의 순으로 상기 가중치가 결정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수단 내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언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언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일부에 상기 우선 순위를 높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운행 수단의 운전자 정보 및 탑승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상기 탑승자 정보보다 상기 가중치가 높은,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수단이 복수의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가 개별적인 언어 설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
  1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장치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언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운행 수단의 주행 조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주행 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결정부; 및
    부여된 상기 가중치와 상기 주행 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언어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선호도 결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 조건은 상기 운행 수단이 주행 중 인식하는 표지판, 간판 또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제6언어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인터넷 사이트 혹은 서버에서 사용되는 제3언어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적어도 일부를 도시할 수 있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도시된 상기 적어도 일부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언어 수는 최소 10개 이상이며, 도시되는 상기 복수의 언어 수는 총 개수의 절반 이하인,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하나를 상기 운행 수단의 사용 언어로 결정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18.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사용 언어가 변경되면, 음성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수단은 차량, 배, 항공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언어는 상기 운행 수단에 탑재된 전자 기기의 설정 언어로 지원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에 설정된 제1언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얻어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언어정보, 상기 제2언어정보 및 상기 제3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하며,
    상기 제2언어정보, 상기 제1언어정보 및 상기 제3언어정보의 순으로 상기 가중치가 결정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조건은
    상기 운행 수단의 GPS 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4언어정보;
    상기 운행 수단에 탑재된 방송 기기에서 사용되는 제5언어정보; 및
    상기 운행 수단에서 제공되었던 제7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4언어정보, 상기 제5언어정보, 상기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제7언어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가중치는 모두 상이하며,
    상기 제5언어정보, 상기 제4언어정보, 상기 제6언어정보 및 상기 제7언어정보의 순으로 상기 가중치가 결정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수단 내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언어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호도 결정부는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언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언어 중 일부에 상기 우선 순위를 높이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운행 수단의 운전자 정보 및 탑승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상기 탑승자 정보보다 상기 가중치가 높은,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수단이 복수의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가 개별적인 언어 설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운행 수단의 언어 설정 장치.
KR1020170130024A 2017-10-11 2017-10-11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10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24A KR102410939B1 (ko) 2017-10-11 2017-10-11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24A KR102410939B1 (ko) 2017-10-11 2017-10-11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56A KR20190040656A (ko) 2019-04-19
KR102410939B1 true KR102410939B1 (ko) 2022-06-20

Family

ID=662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024A KR102410939B1 (ko) 2017-10-11 2017-10-11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785B1 (ko) 2019-08-05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의 언어를 설정하는 인공 지능 서버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8523A (ja) * 2006-03-13 2007-09-27 Denso Corp 音声認識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8095335A (ja) * 2006-10-10 2008-04-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101558396B1 (ko) * 2014-10-17 2015-10-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음성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578B1 (ko) 2014-10-21 2015-10-01 (주)텔레컨스 차량용 avn 장치 안내 정보를 스마트폰 사용자 언어로 변환 제공하는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755310B1 (ko) * 2015-10-29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81875B1 (ko) * 2015-12-08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언어 설정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8523A (ja) * 2006-03-13 2007-09-27 Denso Corp 音声認識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8095335A (ja) * 2006-10-10 2008-04-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101558396B1 (ko) * 2014-10-17 2015-10-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음성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56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9489A1 (en) In-vehicle device,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and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method
CN103038818A (zh) 在车载语音识别系统与车外语音识别系统之间的通信系统和方法
US10755711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JP2017509065A (ja) 異なる言語の翻訳を用いる車両用画像キャプチャーシステム
JP2017507425A (ja) 車両に用いられるシステム
WO2005096183A1 (ja) データ選択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992809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20170089720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rvice processing based on navigation information
US20220266661A1 (en) Scent output control device, scent out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US20220128373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18148B1 (ko) 바이크용 내비게이션 장치 및 주행 정보 제공 방법
Kim et al. Enhancing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IoT and open data infrastructures
KR102410939B1 (ko)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20299714A1 (en) Human-machine interface (hmi) auto-steer based upon-likelihood to exceed eye glance guidelines
KR102401379B1 (ko) 복수의 탑승자를 고려하여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674332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077895B2 (ja) 運転評価装置、運転評価システム、運転評価方法、及び運転評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915202B2 (en) Remote meeting and calendar support for the in-vehicle infotainment unit
KR20080085931A (ko) 대중 교통 수단에서의 목적지 정보 개인 안내 시스템 및 그목적지 정보 개인 안내 방법
CN113450177A (zh) 信息提供系统、装置及其控制方法、服务器、记录介质
JP2004163232A (ja) 車載装置、データ作成装置、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及び車載用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
JP6693266B2 (ja) 学習装置、学習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484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07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6841536B1 (ja) 翻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