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583A - 모상체를 가지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 - Google Patents

모상체를 가지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583A
KR20200144583A KR1020207035960A KR20207035960A KR20200144583A KR 20200144583 A KR20200144583 A KR 20200144583A KR 1020207035960 A KR1020207035960 A KR 1020207035960A KR 20207035960 A KR20207035960 A KR 20207035960A KR 20200144583 A KR20200144583 A KR 20200144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heet
resin
matrix
base lay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658B1 (ko
Inventor
게이시 마에다
히로코 도야마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4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B29C51/145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having at least one layer of textile or fibrous material combined with at least one plastics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0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51/004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6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29C59/025Fibrous surfaces with piles or similar fibre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29C2059/023Micro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67/006PBT,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07Elastomeric fibres
    • B32B2262/0215Thermoplastic elastomer fi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5/00Cards, e.g. identity cards, credi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9/00Household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lov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양호한 촉감성과 일정 이상의 광투과성을 가지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베이스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상체(毛狀體)를 가지고, 베이스층과 모상체 사이에는 구조적인 경계가 없고, 연속상(連續相)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 시트로서, 모상체의 평균 높이가 30㎛ 이상 500㎛ 이하이며, 상기 수지 시트의 JIS K 7136-1에 따라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이 0.1% 이상 20% 이하이며, JIS K 56004-1에 따라 측정되는 은폐율이 70% 이상 98% 이하인, 수지 시트로 한다.

Description

모상체를 가지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
본 발명은, 모상체(毛狀體)를 가지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의 내장재나 부속 부품의 하우징, 전자기기나 가전의 하우징, 벽지 등의 건재용(建材用), 장난감이나 게임기의 하우징, 생활용품의 부재용으로서, 종이재, 고분자소재의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시트 표면에 양호한 촉감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표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상체를 가지는 수지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자동차 내 등의 공간에 있어서 광(光) 연출을 행하기 위하여, 양호한 표면 질감 및 일정 이상의 광투과성을 가지는 수지 시트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광투과성을 가지도록 합성 피혁에 미세한 펀칭 가공이나 엠보스 가공을 행한 시트가 있지만(특허문헌 2, 3), 광이 투과하는 것은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이나 엠보스 가공에 의해 박육화(薄肉化)된 부분뿐이므로, 충분한 광투과성이 얻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합성 피혁 시트의 제조뿐만 아니라, 천공 가공이나 엠보스 가공이 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국제공개 제2018/016562호 일본공개특허 제2003-71956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5-161052호 공보
본 발명은, 양호한 촉감성과 일정 이상의 광투과성을 가지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자는, 다양한 수단을 검토한 결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상체를 가지는 수지 시트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과 은폐율을 일정한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광 연출에 적합한 표피재료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하기에 의해 구성된다.
(1) 베이스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상체를 가지고, 베이스층과 모상체 사이에는 구조적인 경계가 없고, 연속상(連續相)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 시트로서, 모상체의 평균 높이가 30㎛ 이상 500㎛ 이하이며, 상기 수지 시트의 JIS K 7136-1에 따라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이 0.1% 이상 20% 이하이며, JIS K 56004-1에 따라 측정되는 은폐율이 70% 이상 98% 이하인, 수지 시트.
(2) 모상체의 평균 직경이 1㎛ 이상 50㎛ 이하, 모상체의 평균 간격이 20㎛ 이상 200㎛ 이하인 (1)에 기재된 수지 시트.
(3) 베이스층 및 모상체가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 시트.
(4) 베이스층 및 모상체가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우레탄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시트.
(5) 다층 수지 시트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시트.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성형품.
(7) 자동차 내장부재, 전자기기, 전자기기 외장재, 화장품용기 또는 용기부재의 표면에 진공 압공(壓空) 성형된, (6)에 기재된 성형품.
본 발명에 의하면, 양호한 촉감성과 일정 이상의 광투과성을 가지는 시트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세로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지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세로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세로측단면도이다.
이하, 수지 시트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고, 이어서,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기재한 특정한 설명이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해당되는 경우에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는, 베이스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상체를 가지고, 베이스층과 모상체 사이에는 구조적인 경계가 없고, 연속상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 시트로서, 모상체의 평균 높이가 30㎛ 이상 500㎛ 이하이며, 상기 수지 시트의 JIS K 7136-1에 따라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이 0.1% 이상 20% 이하이며, JIS K 56004-1에 따라 측정되는 은폐율이 70% 이상 98% 이하인, 수지 시트이다.
<베이스층>
베이스층(1a)은, 모상체의 베이스부가 되는 층이며, 도 1에 나타낸 부호 1 중, 표면의 모상체(1b) 이외의 부분을 말한다. 베이스층의 두께는, 모상체의 밑동으로부터 베이스층의 반대측 표면까지의 두께를 말한다. 베이스층의 평균 두께는 15㎛∼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8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2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모상체의 높이를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또한, 1000㎛ 이하로 함으로써, 모상체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층과 모상체 사이에는 구조적인 경계가 없고, 연속상을 형성하고 있다. 구조적으로 경계가 없다는 것은, 베이스층과 모상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구조적으로 명확한 경계부가 없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연속상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은, 베이스층과 모상체 사이에 이음매가 없고, 불연속이지 않은(연속상이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점에서, 베이스층에 모상체를 식모한 구조와는 다르다. 베이스층 및 모상체는 동일 조성이라도 되며, 베이스층과 모상체의 결합에는 공유결합이 포함되어도 된다. 공유결합이란, 전자쌍이 2개인 원자에 공유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화학결합을 일컬으며, 모노머가 연속된 쇄상(鎖狀) 분자인 수지에 있어서, 각각의 폴리머는 공유결합에 의해 결합하고 있고, 폴리머 분자 사이에서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결합이나 수소 결합보다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층 및 모상체는, 별개가 아닌 동일 고체의 수지 시트로부터 유래해도 된다. 동일 고체의 수지 시트에 유래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모상체 및 베이스층이 동일한 수지 시트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베이스층 및 모상체는, 동일 고체의 수지 시트로부터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동일 고체의 수지 시트로부터 형성된다는 것은, 모상체 및 베이스층이 하나의 수지 시트를 가공함으로써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층과 모상체 사이에는 구조적인 경계가 없고, 연속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외적 자극에 의해 모상체가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억제되고, 촉감성이 양호한 시트가 된다. 또한, 모상체를 식모하는 경우보다 적은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베이스층 및 모상체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일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져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열가소성 수지를 50질량% 이상, 60질량% 이상, 70질량% 이상, 80질량% 이상, 또는 9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불소계 수지 중 적어도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수지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p-tert-부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이들 스티렌계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 공중합체(SE 수지), 스티렌-아크릴니트릴 공중합체(AS 수지), 또는 상기 스티렌계 모노머와 또 다른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등의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그라프트 중합한 그라프트 중합체, 예를 들면, 하이임팩트 폴리스티렌(HIPS 수지), 스티렌-아크릴니트릴 그라프트 중합체(ABS 수지)등의 폴리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α-올레핀을 단량체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를 의미하고,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에틸렌(PE) 수지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 중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단체(單體)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염화 비닐 공중합체 등이 있다. 전자선 조사에 의한 가교성을 고려하면,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구조는, 아이소택틱, 어택틱, 신디오택틱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프로필렌과 공중합시키는 α-올레핀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2인 것,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을 사용할 수 있다.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블록 공중합체(블록 폴리프로필렌),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혹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올레핀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 다른 올레핀계 수지를 병용할 수도 있다. 전자선 조사에 의한 가교성을 고려하면,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비닐로서는, 염화 비닐 단독 중합체 또는 염화 비닐과 다른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이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랜덤 공중합체라도 되고, 또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라도 된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나 열가소성 우레탄 중합체를 메인 폴리머로 하고, 여기에 염화 비닐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폴리염화비닐은, 압출 성형 가능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나타내고, 고분자 가소제 등의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이다. 고분자 가소제로서는, 공지의 고분자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일산화탄소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일산화탄소 공중합체, 아세트산 비닐 함유량이 많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 공중합체 고분자 가소제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연질 고분자 물질과 경질 고분자 물질을 조합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염화 비닐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에 대해서는, 원료인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조합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가 MDI계, H12MDI계, HDI계, 폴리올이 폴리에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어느 조합을 선택해도 되고, 또한 복수를 조합해도 된다. 이들 엘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서는, 불화비닐리덴의 단독중합체, 및 불화비닐리덴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수지는, α형, β형, γ형, αp형 등의 다양한 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결정성 수지이며,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수지의 190℃로부터 300℃에서의 멜트매스플로레이트(melt mass flow rate)는 1g/10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g/10분 이상으로 함으로써, 모상체의 형상의 전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멜트매스플로레이트는, JIS K 7210에 준거하여, 시험 온도 190℃로부터 300℃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서, 각 하중(2.16Kg으로부터 10.0Kg)의 어느 히나의 조건 하에서 측정한 값이다.
상기 수지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특히 모상체의 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각 수지와 임의의 비율로 앨로이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앨로이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 100질량%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이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첨가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다른 첨가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발수제, 발유제, 실리콘 오일이나 알킬에스테르계 등의 윤활재·이형제, 유리섬유 등의 섬유상 강화제, 충전제로서, 탈크, 클레이, 실리카 등의 입상(粒狀) 미립자나 마이카 등의 인편상의 미립자, 술폰산과 알칼리 금속 등과의 염화합물 등의 저분자형 대전방지제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등의 고분자형 대전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열안정제와 같은 첨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시트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스크랩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착색제로서는, 마스터 배치, 착색 펠릿, 드라이 컬러, 페이스트 컬러, 리퀴드 컬러, 잉크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압출기에서 수지와 혼련하여 착색해도 되고, 모상체의 표면에 인쇄·도포하여 착색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마스터 배치를 압출기에서 수지와 혼련하여 착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착색제에 사용되는 색재로서는, 카본블랙, 무기안료, 유기안료, 염기성 염료, 산성 염료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카본블랙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착색제의 첨가량은, 최종적인 색재의 함유량으로서 0.01질량%∼5질량%가 바람직하고, 0.02질량%∼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질량%∼2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히 착색되지 않을 우려를 저감할 수 있고, 5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재질이 물러져서 모상체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트에서의 베이스층 및 모상체의 색은, 수지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 및 은폐율이 일정한 범위 내가 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발수제·발유제로서는, 실리콘계 발수제, 카르나우바 왁스, 불소계 발수발유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실리콘으로서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디메틸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을 수지에 앨로이한 「클린벨 CB50-PP」, 「클린벨 CB-30PE」, 「클린벨 CB-1」, 「클린벨 CB-50AB」(후지(富士)케미컬사 제조) 등이 있다. 카르나우바 왁스는, 시판품으로서는, 「카르나우바 1호」(닛코리카사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불소계 발수발유제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시판품으로서는, 「서플론KT-PA」(AGC세이미케미컬사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발수·발유제의 첨가량은 0.5질량%∼25질량%가 바람직하다. 0.5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발수·발유성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25질량%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좋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대전방지제로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계 고분자형 대전방지제, 아이오노머계 고분자형 대전방지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계 고분자형 대전방지제는, 시판품으로서는, 「펠리스탯 230」, 「펠리스탯 6500」, 「렐리크트론 AS」, 「렐리크트론 HS」(산요화성(三洋化成)사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이오노머계 고분자형 대전방지제는, 시판품으로서는, 「엔티라 SD100」, 「엔티라 MK400」(미쓰이(三井)·듀폰폴리케미컬사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은 5질량%∼30질량%가 바람직하다. 5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대전방지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30질량%를 초과하면 생산 비용이 높아진다.
항균제로서는, 무기계, 유기계 중, 어느 쪽을 첨가해도 된다. 분산성을 고려하면 무기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이온(Ag, Zn, Cu)의 무기계 항균제, 패각소성(貝殼燒成) 칼슘계 항균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금속 이온의 무기계 항균제의 시판품으로서는, 「박테킬러 BM102VT」(후지(富士)케미컬사 제조), 「노바론 VZF200」, 「노바론(AG300)」(도아합성사 제조), 「KM-10D-G」, 「IM-10D-L」 (시나넨제오믹사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패각소성 칼슘계 항균제로서는, 「스칼로」(FID사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항균제의 첨가량은 0.5질량%∼5질량%가 바람직하다. 0.5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항균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5질량%를 초과하면 생산 비용이 높아진다.
자외선 흡수제로서, 무기계 혹은 유기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산화 세슘, 산화철 및 그 외 많은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산화 아연은, 투명성이나 자외선불투과성의 점에서 우수하며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TINUVIN 1600」(BASF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수지 조성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1질량부 미만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시트의 열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낮아질 우려가 있고, 5질량부를 초과하면 생산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전에, 열가소성 수지에 앨로이한 마스터 배치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베이스로 한 마스터 배치의 시판품으로서, 「내후(耐候) 마스터 UNS(폴리에스테르계)」(에프아이씨사 제조), 「내후 마스터 UNE(폴리에테르계)」(에프아이씨사 제조)를 예로 들 수 있고, 생산 효율을 고려하면,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의 첨가량은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아진계, 벤조트리아졸계, 옥살릭 애시드계, 벤조페논계, 힌더드아민계 및 그 외 많은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제조 시나 사용 시에서의 휘산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분자량이 300 이상인 고분자량 타입의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수지 조성물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4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4질량부 미만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시트의 열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8질량부를 초과해도, 자외선에 의한 시트의 열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한계점에 도달할 뿐만 아니라, 비용면으로부터도 바람직하지 않다.
윤활제·이형제로서, 지방족 탄화 수소계 화합물, 고급지방산계 화합물, 고급지방족 알코올계 화합물,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 등의 알킬계 이형제, 실리콘계이형제, 불소계 이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형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수지 조성물과의 합계 100질량부 중, 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3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1∼2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01질량부 이상으로 됨으로써 이형 효과가 낮아질 우려가 저감되고, 5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시트 표면에 블리딩아웃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윤활제·이형제를 사전에, 열가소성 수지에 앨로이한 마스터 배치 등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베이스로 한 마스터 배치의 시판품으로서, 「왁스마스터 V」(BASF사 제조)를 예로 들 수 있고, 생산 효율을 고려하면,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의 첨가량은 수지 조성물과의 합계 100질량부 중, 1∼8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7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3∼6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모상체>
모상체(1b)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층(1a)의 표면에서 모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모상체는, 베이스층의 표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은, 모상체가 랜덤하지 않은 배열 상태, 즉 일방향 또는 2방향으로 정연하게(예를 들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모상체의 밑동의 배열 상태를 가지고 모상체의 배열이 규칙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는, 모상체는 소정 간격으로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고, 모상체의 바닥면의 위치가 베이스층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모상체의 배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횡으로 배치한 크로스컷 배치나 지그재그 배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모상체가 베이스층의 표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균일하며 불균일이 없고, 양호한 촉감성이 발현되기 쉽게 된다. 모상체는,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만지는 등 하중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털의 무너짐이 일어나서, 주위의 부분과는 광택, 색조가 다르게 보이는 핑거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모상체에 의해, 스웨이드조의 기모(起毛) 시트와 같은 촉감이 될 수 있다.
모상체의 평균 높이(h)는, 30㎛∼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2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2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높이를 30㎛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촉감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평균 높이를 500㎛ 이하로 함으로써 촉촉한 느낌, 부드러운 느낌, 푹신한 느낌 등의 양호한 촉감성을 얻을 수 있다.
모상체가 베이스층에 대하여 대략 직립하고 있는 경우에는, 모상체의 밑동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가 모상체의 높이를 나타내게 된다. 한편, 모상체가 베이스층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우나, 모상체가 권취하는 부분을 가지는 경우에는, 모상체가 베이스층의 표면으로부터 가장 이격하고 있는 개소에서의, 베이스층의 표면에서의 거리를 모상체의 높이(h)로 한다. 또한, 모상체의 선단으로부터 밑동의 중앙부까지를 다점간 계측에 의해 세분화한 간격의 합계값을 모상체의 길이(L)로 한다. 모상체의 평균 높이, 및 모상체의 평균 길이는, 전자현미경 및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지 시트의 임의의 수 개소에 있어서 모상체의 높이, 및 모상체의 길이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모상체의 평균 직경(d)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5㎛∼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모상체의 평균 직경을 1㎛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촉감성을 확보할 수 있고, 모상체의 평균 직경을 50㎛ 이하로 함으로써 촉촉한 느낌, 부드러운 느낌, 푹신한 느낌 등의 양호한 촉감성을 얻을 수 있다. 모상체의 평균 직경은, 전자현미경 및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지 시트의 수 개소로부터, 모상체의 중간높이(h/2)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사용한 값으로 한다.
또한, 모상체의 아스펙트비는, (모상체의 평균 높이/모상체의 평균 직경)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모상체의 아스펙트비는, 2∼20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스펙트비를 2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촉감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아스펙트비를 20 이하로 함으로써, 촉촉한 느낌, 부드러운 느낌, 푹신한 느낌 등의 양호한 촉감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아스펙트비는, 모상체의 평균 바닥면 직경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모상체의 평균 바닥면 직경은 1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상체의 평균 바닥면 직경은, 수지 시트의 수 개소에 있어서, 인접하는 모상체의 간격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사용한 값으로 한다. 모상체의 바닥면 직경을 기준으로 한 경우의 아스펙트비는, 1.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스펙트비를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촉감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아스펙트비를 120 이하으로 함으로써, 촉촉한 느낌, 부드러운 느낌, 푹신한 느낌 등의 양호한 촉감성을 얻을 수 있다.
모상체의 평균 간격(t)은, 20㎛∼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모상체의 간격이란,모상체의 밑동의 중심과 인접하는 모상체의 밑동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평균 간격을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촉감성이 확보되고, 200㎛ 이하로 함으로써, 촉촉한 느낌, 부드러운 느낌, 푹신한 느낌 등의 양호한 촉감성을 얻을 수 있다. 모상체의 평균 간격은, 수지 시트의 수 개소에 있어서, 인접하는 모상체의 간격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사용한 값으로 한다.
모상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베이스층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모상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가늘어지는 형상이나, 그 선단에 부풀음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베이스층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단면적이 점차 작게 된 후에 일단 커지고나서 종단(終端)하는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모상체의 선단부의 형상이, 봉오리형 또는 버섯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모상체는, 베이스층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기단(基端)에 위치하는 부분과, 이 기단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서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또는 점차 곡률을 변화시켜 굴곡 부분, 또한 나선형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권취된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모상체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접혀져 있는 형상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인 것에 의해 양호한 촉감이 발현된다. 또한, 봉오리형 또는 버섯 형상의 부분이 중공(中空)인 것에 의해, 보다 양호한 촉감이 발현된다. 봉오리형 또는, 버섯 형상을 모상 선단에 형성하는 경우, 모상체의 평균 직경에 대한 봉오리형 또는, 버섯 형상의 폭의 평균 직경의 비가 1.1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봉오리형 또는, 버섯 형상의 높이는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상체의 평균 직경, 봉오리형 또는, 버섯 형상의 폭의 평균 직경, 높이는 전자주사형현미경 사진에 의해 측정하고, 산술평균값을 사용한 값으로 한다. 모상체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로서는, 상기 베이스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층 및 모상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 구조를 가진다는 것은, 베이스층 및 모상체에 함유되는 수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3차원적인 가교 구조(예를 들면, 3차원 망형(網形)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상체 중 적어도 일부가 가교체로 되어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상체의 표면 전체가 가교체로 되어 있고,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상체의 전체(베이스층과의 경계에서 선단부)가 가교체가 되어 있다. 가교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시트를 성형한 후, 모상체를 가지는 면에 전자선을 조사하는 방법이나, 유기과산화물을 첨가하고, 수지 시트의 형성 시 또는 성형 후에, 가열 및 가습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유기과산화물이 첨가된 수지로서, 시판품에서는, 미쓰비시(三菱)케미컬사에서 제조한 「링크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체(전자선 가교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수지 시트]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수지 시트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체 (전자선 가교체)를 형성해도 되고, 이로써, 부분적으로 열가소성으로는 없어져 있는 개소가 있어도 된다.
또한, 수지 시트의 두께란, 모상체의 평균 높이와 베이스층의 평균 두께를 합친 시트 두께를 말한다. 시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1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600㎛이다. 두께를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촉감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1500㎛ 이하로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촉감성」이란, 수지 시트의 표면의 감촉, 촉감을 의미한다. 수지 시트 표면을 만졌을 때 기분 좋음을 느끼는 지를 판단하고, 느끼는 경우, 촉촉함, 부드러움, 푹신함 등의 구체적인 피부촉감이 좋은 것을 양호촉감으로 한다. 또한, 양호한 촉감성은, 피부촉감 등의 감각시험 이외에도, 전술한 아스펙트비에 의해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트는, JIS K 7136-1에 따라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이 0.1% 이상 2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0% 이하이다. JIS K 7136-1에 따라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이 0.1% 이상이면 수지 시트 너머에 광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20% 이하이면 광 연출을 하지 않을 때는 통상의 촉감재료로서의 감촉(외관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20%를 초과하면 베이스의 색조가 나와서, 외관적으로 바뀌고, 광 연출을 위하여 내장한 전자 부품이 비쳐 보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은폐율은, 베이스의 색차를 덮어서 가리는 정도를 나타내며, 이 값이 클수록 베이스의 색을 은폐하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수지 시트는, JIS K 56004-1에 따라 측정되는 은폐율이 70% 이상 98%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9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93% 이하이다. JIS K 56004-1에 따라 측정되는 은폐율을 70% 이상으로 함으로써, 베이스의 색차가 덮어져서 가려지므로, 색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재료를 베이스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98% 이하로 함으로써 광 연출을 행했을 때의 디자인성 저하를 저감하고, 인디케이터 표시 등의 광 연출의 시인성(視認性)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의 예로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층(1a)과 기재층(基材層)(3) 사이에, 실란트 수지층(2)이 형성된 수지 시트이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의 층 구성은, 위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모상체 및 베이스층(1), 실란트 수지층(2), 기재층(3)이다. 여기서, 모상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모상체의 평균 높이 및 베이스층의 평균 두께의 합계로 표시되는 모상체 및 베이스층의 두께는, 115∼900 ㎛이 바람직하다. 115㎛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촉감성을 확보할 수 있고, 900㎛ 이하로 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기재층>
기재층은,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하는 경우, 공압출 성형에 의한 적층이나 무연신 필름,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한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 드라이 라미네이트 성형에 의한 적층이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공중합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이나,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등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일론계 수지로서는, 카프로락탐, 라우로락탐 등의 락탐 중합체, 6-아미노 카프로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중합체, 헥사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 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1,3- 또는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등의 지환식 디아민, m- 또는 p-크실릴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등의 디아민 단위와,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바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시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등의 디카르복시산 단위와의 중축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일론6,나일론9,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1, 나일론612, 나일론6T, 나일론6I, 나일론MXD6, 나일론6/66, 나일론6/610, 나일론6/6T, 나일론6I/6T 등이 있고, 그 중에서도 나일론6, 나일론MXD6이 바람직하다.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에 의한 비닐 중합체라면, 아크릴계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펜틸 및 메타크릴산 헥실 등이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에서의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및 헥실기 등의 알킬기는, 직쇄라도 되고, 분지되어 있어도 된다.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수지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나, 복수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공중합체라도 되고,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공지의 비닐 화합물인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아크릴산 등에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가져도 된다.
기재층에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각 열가소성 수지와 임의의 비율로 앨로이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다른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첨가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발수·발유제,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실리콘 오일이나 알킬에스테르계 등의 윤활재·이형제, 유리섬유 등의 섬유상 강화제, 충전제로서, 탈크, 클레이, 실리카 등의 입상 미립자나 마이카 등의 인편상의 미립자, 술폰산과 알칼리 금속 등과의 염화합물 등의 저분자형 대전방지제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등의 고분자형 대전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열안정제와 같은 첨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시트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스크랩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착색제로서는, 마스터 배치, 착색 펠릿, 드라이 컬러, 페이스트 컬러, 리퀴드 컬러, 잉크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압출기에서 수지와 혼련하여 착색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마스터 배치를 압출기에서 수지와 혼련하여 착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착색제에 사용되는 색재로서는, 카본블랙, 무기안료, 유기안료, 염기성 염료, 산성 염료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카본블랙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착색제의 첨가량은, 모상체 및 베이스층으로의 착색제의 첨가량이나, 모상체 및 베이스층의 두께에 의해서도 좌우되지만, 최종적인 색재의 함유량으로서 0.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18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0.2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광투과성이 일정 이하가 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트에서의 기재층의 색은, 수지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 및 은폐율이 일정한 범위 내가 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재층이 부분적으로 가교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기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1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8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600㎛이다.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촉감성과 베이스의 은폐성을 담보할 수 있고, 1000㎛ 이하로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실란트 수지층>
실란트 수지층은, 베이스층과 기재층의 접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것이며, 수지 성분으로서는, 변성 올레핀계 수지, 수첨(水添)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변성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1 등의 탄소수 2∼8 정도의 올레핀, 이들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1, 3-메틸부텐-1, 펜텐-1, 4-메틸펜텐-1, 헥센-1, 옥텐-1, 데센-1 등의 탄소수 2∼20 정도의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나 아세트산 비닐, 염화 비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스티렌 등의 비닐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고무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산 할라이드,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 구체적으로는, 염화말레닐, 말레이미드, 무수 말레산, 무수시트라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디메틸, 말레산 글리시딜 등으로 그라프트 반응 조건 하에 변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불포화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무수물, 특히 말레산 또는 그의 무수물로 변성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또는 부텐-1 공중합체 고무가 바람직하다.
수첨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모노머와 부타디엔이나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수소첨가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스티렌-에틸렌·부티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스티렌-에틸렌·부티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실란트 수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이다.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베이스층과 기재층 사이에서 층간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90㎛ 이하로 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실란트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각 열가소성 수지를 임의의 비율로 앨로이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다른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첨가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발수제, 발유제,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실리콘 오일이나 알킬에스테르계 등의 윤활재·이형제, 유리섬유 등의 섬유상 강화제, 충전제로서, 탈크, 클레이, 실리카 등의 입상 미립자나 마이카 등의 인편상의 미립자, 술폰산과 알칼리 금속 등과의 염화합물 등의 저분자형 대전방지제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등의 고분자형 대전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열안정제와 같은 첨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란트 수지층이 부분적으로 가교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실란트 수지층(2)을 사용하지 않고, 모상체 및 베이스층(1)과 기재층(3)을 직접 적층한 것이다. 즉,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의 층 구성은, 위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모상체 및 베이스층(1)/기재층(3)이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로 실란트 수지층을 제외한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모상체 및 베이스층은,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의 층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의 기재층(3)은, 베이스층과 충분한 접착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시트에 있어서, 기재층으로서는, 베이스층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베이스층이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경우, ABS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베이스층이 불소계 수지인 경우,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베이스층이 올레핀계 수지인 경우, 수첨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스티렌계 수지와 수첨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병용할 때는, 스티렌계 수지 90∼95 질량부에 대하여, 5∼10 질량부의 수첨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수첨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첨가량을 5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베이스층과의 접착성이 충분하게 되어, 층간박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10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기재층에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각 열가소성 수지를 임의의 비율로 앨로이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다른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첨가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발수제, 발유제,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실리콘 오일이나 알킬에스테르계 등의 윤활재·이형제, 유리섬유 등의 섬유상 강화제, 충전제로서, 탈크, 클레이, 실리카 등의 입상 미립자나 마이카 등의 인편상의 미립자, 술폰산과 알칼리 금속 등과의 염화합물 등의 저분자형 대전방지제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등의 고분자형 대전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열안정제와 같은 첨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재층이 부분적으로 가교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착색제로서는, 마스터 배치, 착색 펠릿, 드라이 컬러, 페이스트 컬러, 리퀴드 컬러, 잉크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압출기에서 수지와 혼련하여 착색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마스터 배치를 압출기에서 수지와 혼련하여 착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착색제에 사용되는 색재로서는, 카본블랙, 무기안료, 유기안료, 염기성 염료, 산성 염료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카본블랙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착색제의 첨가량은, 모상체 및 베이스층으로의 착색제의 첨가량이나, 모상체 및 베이스층의 두께에 의해서도 좌우되지만, 최종적인 색재의 함유량으로서 0.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18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0.2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광투과성이 일정 이하로 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시트에서의 기재층의 색은, 수지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 및 은폐율이 일정한 범위 내가 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 시트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법이라도 되지만, 전형적으로는, 원료 수지를 용융 압출하고, 얻어진 압출 수지 시트 중 적어도 한쪽 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상체를 부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층(單層) 시트 또는 다층 수지 시트의 제작 시에는, 임의의 수지 시트 성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층의 경우에는 1대의 단축 압출기를, 복층의 경우에는 복수 대의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고, 각각의 원료 수지를 용융 압출하고, T다이에 의해 수지 시트를 얻는 방법이 있다. 다층의 경우에는, 피드 블록이나 멀티 매니폴드 다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지 시트의 각 실시형태의 층 구성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지만, 이외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지 시트나 성형용기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스크랩 원료를, 물성 등의 열화가 관찰되지 않는 한, 기재층에 첨가할 수도 있는하고, 다른 층으로서 적층해도 된다.
모상체를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 성형 방식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 롤·투·롤 방식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 포토리소그래피 방식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 열프레스 방식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 패턴 롤과 UV 경화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 모상체를 수지층에 메워넣은 후에 중합 반응에 의해 공유 결합시키는 방법 등이다.
예를 들면, 압출 성형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T다이법에 의해, 수지 시트를 압출하고, 이 수지 시트의 표면에 모상체 형상을 부여하도록, 요철 가공된 전사 롤과, 터치 롤로 캐스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요철 가공된 전사 롤로서, 레이저 조각법이나 전주법(電鑄法), 에칭법, 밀 조각법 등에 의해 롤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규칙적으로 실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규칙적이라는 것은, 요철이 랜덤하지 않은 배열 상태, 즉 일방향 또는 2방향으로 정연하게 배열한 상태를 의미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의 요철의 배치로서, 종횡으로 배치한 크로스컷 배치나 지그재그 배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요철부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목부의 형상이면, 송곳형(원뿔, 사각뿔, 삼각뿔, 육각뿔 등), 반원형, 직사각형(사각기둥) 등이 있다. 그 사이즈는, 오목부의 개구 직경, 오목부 깊이, 오목부 형상의 간격이 수㎛∼수백㎛이다. 전사 롤의 오목부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모상체의 간격을, 전사 롤의 오목부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모상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촉감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전사 롤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세라믹 용사(溶射)되어 있고, 세라믹 용사된 표면이 요철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용사됨으로써 요철의 가공성이 향상되고, 또한 전사 롤로부터 수지 시트를 안정적으로 릴리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사 롤 표면에 높은 아스펙트비의 요철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사 롤 표면에 오목부 형상을 가공하는 경우의 아스펙트비(오목부 깊이/오목부 개구 직경)는 1.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롤 표면에 높은 아스펙트비의 요철 가공을 하기 위하여는, 레이저 조각법 또는, 전주법이, 에칭법이나 블라스트법, 밀 조각법 등에 비교하여, 깊이 방향에 정밀한 가공을 하는 경우에 적합하므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전사 롤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세라믹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터치 롤로서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실리콘계 고무, NBR계 고무, EPT계 고무,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불소 고무제의 롤을 사용할 수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무 경도(JIS K 6253) 40∼100의 터치 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롤의 표면에, 테프론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전사 롤 및 터치 롤의 롤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수지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 롤의 온도를 열가소성 수지의 결정 융해 온도, 유리 전이점 또는 융점의 부근 온도(예를 들면, 직쇄형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50∼150 ℃)로 조절하고, 전사 롤과 터치 롤의 핀치압을 30∼150 Kgf/cm로 하여 캐스팅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수지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캐스팅한 수지 시트는, 핀치 롤 등을 사용하여 0.5∼3 0m/분의 라인 속도로 거두어 들인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형품]
본 발명의 성형품은, 본 발명의 수지 시트를 사용한 성형품이다. 본 발명의 수지 시트는, 일반적인 성형으로의 대응이 가능하며, 성형 방법으로서는, 인서트 성형, 인 몰드 성형 외에도, 일반적인 진공 성형, 압공 성형이나 이들의 응용으로서, 수지 시트를 진공 상태화로 가열 연화시키고, 대기압 하에 개방함으로써 기존의 성형품 표면에 오버레이(성형)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성형 전에 시트를 가열 연화시키는 방법으로서 비접촉 가열인 적외선 히터 등에 의한 복사 가열 등, 공지의 시트 가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어떤 실시형태의 진공 압공 성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수지 시트는 표면 온도가 60℃∼220℃로, 20초∼480초간 가열하고 나서 기존의 성형품 표면에 성형되고, 표면의 형상에 따라 1.05∼2.50 배로 연신될 수 있다.
[물품]
본 발명에 따른 모상체를 표면에 부여한 수지 시트는, 상기에 나타낸 양호한 촉감성이 필요로 하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지 시트는, 자동차 내장 부재, 전자기기, 전자기기 외장재, 화장품용기 또는 용기부재, 문방구 부재, 조명기구 부재, 생활용품 부재로서 적용할 수 있다.
자동차 내장재로서는, 자동차 사내에서 손이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핸들, 대쉬보드, 레버, 스위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의 이스트루먼트 ㅍ패널, 필러에, 상기한 수지 시트를 접합시킨 내장재가 있다. 수지 시트를 접합함으로써, 양호한 촉감성을 부여한 내장재로 할 수 있다. 접합하는 수지 시트의 재질로서는, 내후성, 내약품성을 고려하여, 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와 내장재를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기기 외장재로서는, 스마트폰 하우징, 스마트폰 케이스, 뮤직 플레이어 케이스, 게임기 하우징, 디지털카메라 하우징, 전자수첩 하우징, 전자계산기 하우징, 태블릿 하우징, 모바일 컴퓨터 하우징, 키보드, 마우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의 게임기기 기재에, 본 발명 수지 시트를 접합한 게임기기 부품이 있다. 수지 시트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촉감성을 부여한 게임기기 부품 게임기기 부품으로 할 수 있다. 접합하는 수지 시트의 재질로서는, 올레핀계 수지, 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와 게임기기 부품을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품용기 부재로서는, 페이스 크림, 팩 크림, 파운데이션, 아이섀도우의 용기를 예로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공지의 파운데이션용 용기의 커버 부재에, 본 발명 수지 시트를 접합한 화장품용기가 있다. 수지 시트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촉감성을 부여한 화장품 용기로 할 수 있다. 접합하는 수지 시트의 재질로서는, 올레핀계 수지, 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로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문방구 부재로서는, 북 커버, 수첩 커버, 펜 케이스 커버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공지의 북 커버를 본 발명 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양호한 촉감성, 방수성을 부여한 북 커버로 할 수 있다. 시트의 재질로서는, 올레핀계 수지, 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조명기기 부재로서는, 실내용, 차내용의 조명기기를 예로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공지의 LED 조명장치의 커버 부재에, 본 발명 수지 시트를 접합한 조명장치가 있다. 수지 시트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촉감성, 광의 확산성을 부여한LED 조명장치으로 할 수 있다. 접합하는 수지 시트의 재질로서는, 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로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생활용품 부재로서는, 화장실용품, 실내용 매트, 테이블용 시트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화장실 장치의 변기 시트 부재에, 본 발명 수지 시트를 접합한 화장실 장치가 있다. 수지 시트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촉감성을 부여한 변기 시트의 화장실 장치로 할 수 있다. 접합하는 수지 시트의 재질로서는, 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로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서는, 모상체의 표면에, 일반적인 인쇄 방법(오프셋 인쇄법, 요판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호일 스탬핑 등)으로, 문자, 무늬를 인쇄한 모상체 시트를 제작하고, 상기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인쇄하는 수지 시트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제와의 인쇄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수지 시트는, 문자, 도안 등이 인쇄된 인쇄물(종이, 금속 박막 등), 부직포 등과 라미네이트 성형(드라이 라미네이트 성형,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한 적층체를 제작하고, 예를 들면, 명함의 인쇄면에 라미네이트 성형하고, 촉감성이 있는 명함을 제작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하는 수지 시트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 등의 내용으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등에서 사용한 각종 원료는 하기와 같다.
(1) 모상체 및 베이스층
·직쇄형 저밀도 PE(C4) 「네오젝스 45200」(프라임폴리머사 제조)
·TPU(우레탄계 엘라스토머) 「ET880: 폴리에테르계」(BASF사 제조)
·이형제 마스터 배치(MB) 「왁스마스터 V」(BASF사 제조)
·착색제 마스터 배치(MB) 「FPU 마스터 컬러 880M50 블랙」(카본블랙 농도: 약 10%) (에프씨아이사 제조)
(2) 기재층
·ABS 「GT-R-61A」(덴카사 제조)
·PC 「유피론 KH4210UR」(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사 제조)
·착색제 마스터 배치(MB) 「AB-M 98H 845 블랙」(카본블랙 농도: 약 25%) (다이이치세이카공업(大日精化工業)사 제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수지 시트와 그 수지 시트를 진공 성형한 성형품에 관한 각종 특성의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광투과성의 평가
「Color meter ZE6000」(일본전색공업사 제조)을 사용하여, JIS K 7136-1에 규정된 바에 따라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폭 500mm의 수지 시트의 양 단부로부터 30mm를 제외한 부분, 그리고 모상체를 가지는 면의 임의의 10개소를 측정하고, 그 산술평균값을 전광선 투과율 측정값으로 했다.
전광선 투과율 측정값이 0.1% 이상 20% 이하이면, 광 연출용 표피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2) 베이스 은폐성의 평가
Color meter ZE6000(일본전색공업사 제)을 사용하여, JIS K 56004-1에 규정된 바에 따라 은폐율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JIS K 56004-1에 규정된 은폐력 측정법에 의해, 은폐율 계측지를 사용하여 계측·산출했다.
은폐율=(은폐성 시험지의 흑색부에서 측색한 Y값/은폐성 시험지의 백색부에서 측색한 Y값)×100[%]
Y값: 자극값(밝기)
은폐율 측정값이 70% 이상 98% 이하이면, 베이스의 색차를 덮어서 가리고 있다고 판단했다.
(3) 모상체의 평균 높이, 모상체의 평균 길이, 모상체의 평균 직경, 모상체의 평균 간격, 베이스층의 평균 두께
수지 시트의 모상체의 높이(h), 모상체의 평균 길이(L), 모상체의 직경(d), 모상체의 간격(t), 베이스층의 두께를, 레이저현미경 VK-X100(키엔스사 제조)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그리고, 측정한 시료는, 이크로톰을 사용하여 수지 시트의 임의의 3개소에서 단면 절편을 잘라서 사용했다. 모상체의 평균 높이는,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모상체 10개의 높이를 측정하고, 그 30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사용했다. 모상체의 평균 길이는, 모상체의 선단으로부터 밑동의 중심까지를 다점간 계측 모드로 등간격으로 11점 플롯하고, 이웃하는 플롯끼리를 선으로 연결했을 때 10개의 간격의 합계값으로 하고,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모상체 10개의 길이를 측정하고, 그 30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사용했다. 모상체의 평균 직경에 대해서는,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10개의 모상체의 중간 높이(h/2)에 있어서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30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사용했다. 모상체의 평균 간격에 대해서는,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모상체의 밑동의 중심과 인접하는 모상체의 밑동의 중심의 거리를 10개소 측정하고, 그 30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사용했다. 베이스층의 평균 두께에 대해서는,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모상체의 밑동으로부터 다른 쪽의 층 계면까지의 두께를 10개소 측정하고, 그 30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사용했다.
(4) 양호한 촉감성 관능 평가
양호한 촉감성은, 남성 15명, 여성 15명의 계 30명에게 수지 시트를 만지게 하는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수지 시트 표면을 만졌을 때 기분이 좋은 것을 느끼는 지를 「○」, 「×」 판단하고, 「○」로 판단한 경우, 촉촉함, 부드러움, 푹신함 등의 구체적인 피부 촉감으로 평가했다. 이 중, 8할 이상이 동일한 피부 촉감을 평가한 경우, 그 피부 촉감으로 했다. 또한, 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진공 성형한 성형품의 표면에 있어서도, 동일한 피부 촉감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평가했다.
(5) 종합 평가
종합 평가로서, 상기 (1)∼(4)에 기재된 평가 기준을 전부 만족시키는 것을 ○, 어느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않는 것을 ×로 평가했다.
[실시예 1 및 2]
1대의 65mm 단축 압출기로부터 모상체 및 베이스층용의 수지 및 착색제의 드라이브블렌딩 품을 흐르게 하고, T다이법에 의해 압출된 1층의 수지 시트를, 산화 크롬 용사 및 레이저 조각법으로 요철 가공되고, 50∼150 ℃로 조절된 금속제의 전사 롤과, 10∼90 ℃로 조절된 고무 경도 70의 실리콘계 고무제의 터치 롤을 사용하여 캐스팅하고, 핀치 롤을 사용하여 라인속도 2∼15 m/분으로 거두어 들이는 것에 의해, 한쪽 면이 표 1에 나타낸 기모(起毛) 형상을 가지고, 표 1에 나타낸 조성, 두께의 폭 500mm의 단층의 수지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7, 비교예 1∼4]
1대의 40mm 단축 압출기로부터 모상체 및 베이스층용의 수지, 이형제, 및 착색제의 드라이블렌딩 품을 흐르게 하고, 1대의 65mm 단축 압출기로부터 기재층용의 수지 및 착색제의 드라이블렌딩 품을 흐르게 하고, T다이법에 의해 압출된 수지 시트를, 산화 크롬 용사 및 레이저 조각법으로 요철 가공되고, 50∼150 ℃로 조절된 금속제의 전사 롤과, 10∼90 ℃로 조절된 고무 경도 70의 실리콘계 고무제의 터치 롤을 사용하여 캐스팅하고, 핀치 롤을 사용하여 라인 속도 2∼15 m/분으로 거두어 들이는 것에 의해, 한쪽 면이 표 1에 나타낸 기모 형상을 가지고, 표 1에 나타낸 조성, 두께의 폭 500mm의 2층의 수지 시트를 얻었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시트를 사용하고, 각종 특성에 대하여 평가 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이하의 것이 밝혀졌다.
양호한 촉감성에 대하여,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의 수지 시트에 있어서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4의 수지 시트에서는, 양호한 촉감성에 대한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전광선 투과율 및 은폐율에 대하여, 실시예 1∼7 및 비교예 4의 수지 시트에 있어서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3의 수지 시트에서는, 전광선 투과율 및 은폐율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밖으로 되어 있고,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이상, 다양한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로는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또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은, 특허청구의 범위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1: 모상체 및 베이스층
1a: 베이스층
1b: 모상체
d: 모상체 직경
h: 모상체의 높이
t: 모상체의 간격
2: 실란트 수지층
3: 기재층

Claims (7)

  1. 베이스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상체(毛狀體)를 가지고, 베이스층과 모상체 사이에는 구조적인 경계가 없고, 연속상(連續相)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 시트로서, 모상체의 평균 높이가 30㎛ 이상 500㎛ 이하이며, 상기 수지 시트의 JIS K 7136-1에 따라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이 0.1% 이상 20% 이하이며, JIS K 56004-1에 따라 측정되는 은폐율이 70% 이상 98% 이하인, 수지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모상체의 평균 직경이 1㎛ 이상 50㎛ 이하, 모상체의 평균 간격이 20㎛ 이상 200㎛ 이하인, 수지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층 및 모상체가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층 및 모상체가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우레탄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수지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 수지 시트인, 수지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성형품.
  7. 제6항에 있어서,
    자동차 내장부재, 전자기기, 전자기기 외장재, 화장품용기 또는 용기부재의 표면에 진공 압공(壓空) 성형된, 성형품.
KR1020207035960A 2018-12-04 2019-12-03 모상체를 가지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 KR102256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27048 2018-12-04
JP2018227048 2018-12-04
PCT/JP2019/047244 WO2020116453A1 (ja) 2018-12-04 2019-12-03 毛状体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583A true KR20200144583A (ko) 2020-12-29
KR102256658B1 KR102256658B1 (ko) 2021-05-26

Family

ID=7097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960A KR102256658B1 (ko) 2018-12-04 2019-12-03 모상체를 가지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04100B1 (ko)
EP (1) EP3892444B1 (ko)
JP (1) JP6731568B1 (ko)
KR (1) KR102256658B1 (ko)
CN (1) CN112262033B (ko)
ES (1) ES2940187T3 (ko)
TW (1) TWI726517B (ko)
WO (1) WO2020116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1568B1 (ja) 2018-12-04 2020-07-29 デンカ株式会社 毛状体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JP7487309B2 (ja) 2020-07-14 2024-05-20 デンカ株式会社 毛状体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669A (en) * 1979-07-30 1981-02-26 Sekisui Plastics Production of raised article
JP2003071956A (ja) 2001-08-31 2003-03-12 Nissha Printing Co Ltd 皮革触感を有する照光性部品用加飾シートおよび皮革触感を有する照光性部品の製造方法
JP2011201318A (ja) * 2007-11-13 2011-10-13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複合容器
JP2015161052A (ja)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クラレ 物品表面加飾シート、物品表面加飾用貼布及び加飾成形体
WO2017159678A1 (ja) * 2016-03-14 2017-09-21 デンカ株式会社 撥液性樹脂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物品
WO2018016562A1 (ja) 2016-07-20 2018-01-25 デンカ株式会社 毛状体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9434A (ja) 1986-02-17 1987-08-19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液晶表示装置
US6605332B2 (en) * 1997-07-29 2003-08-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itary polymer substrate having napped surface of frayed end microfibers
JP2002209926A (ja) * 2001-01-17 2002-07-30 Idemitsu Unitech Co Ltd カイロ用包材およびカイロ袋
JP4330320B2 (ja) 2002-09-27 2009-09-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マット層形成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離型シート
CN101817249A (zh) * 2009-02-27 2010-09-01 玉山精密涂布股份有限公司 高透光度的柔软触感材料及其制作方法
AU2010224113A1 (en) * 2009-03-13 2011-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having a seal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JP5882664B2 (ja) * 2010-10-20 2016-03-09 三菱化学株式会社 光輝性樹脂組成物及び化粧シート
JP6773030B2 (ja) * 2015-04-21 2020-10-2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フィルム
JP2018065987A (ja) * 2016-10-17 2018-04-26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無機充填剤含有樹脂組成物、無機充填剤含有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無機充填剤含有樹脂組成物成形体の製造方法
JP6731568B1 (ja) 2018-12-04 2020-07-29 デンカ株式会社 毛状体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669A (en) * 1979-07-30 1981-02-26 Sekisui Plastics Production of raised article
JP2003071956A (ja) 2001-08-31 2003-03-12 Nissha Printing Co Ltd 皮革触感を有する照光性部品用加飾シートおよび皮革触感を有する照光性部品の製造方法
JP2011201318A (ja) * 2007-11-13 2011-10-13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複合容器
JP2015161052A (ja)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クラレ 物品表面加飾シート、物品表面加飾用貼布及び加飾成形体
WO2017159678A1 (ja) * 2016-03-14 2017-09-21 デンカ株式会社 撥液性樹脂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物品
KR20180122368A (ko) * 2016-03-14 2018-11-12 덴카 주식회사 발액성 수지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물품
WO2018016562A1 (ja) 2016-07-20 2018-01-25 デンカ株式会社 毛状体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92444A1 (en) 2021-10-13
US11104100B1 (en) 2021-08-31
EP3892444B1 (en) 2023-03-01
US20210245470A1 (en) 2021-08-12
KR102256658B1 (ko) 2021-05-26
EP3892444A4 (en) 2022-01-19
WO2020116453A1 (ja) 2020-06-11
TW202028322A (zh) 2020-08-01
ES2940187T3 (es) 2023-05-04
TWI726517B (zh) 2021-05-01
JP6731568B1 (ja) 2020-07-29
CN112262033B (zh) 2021-11-23
CN112262033A (zh) 2021-01-22
JPWO2020116453A1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303B1 (ko) 모상체를 갖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
WO2018016562A1 (ja) 毛状体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CN113039062B (zh) 具有毛状体的热塑性树脂片材及其成型品
KR102256658B1 (ko) 모상체를 가지는 수지 시트 및 그 성형품
JP6935045B1 (ja) 毛状体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WO2020196638A1 (ja) 毛状体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JP7321770B2 (ja) 毛状体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TWI840444B (zh) 具有毛狀體之熱塑性樹脂片及其成形品
JP7487309B2 (ja) 毛状体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