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583A -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 Google Patents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583A
KR20200142583A KR1020207033640A KR20207033640A KR20200142583A KR 20200142583 A KR20200142583 A KR 20200142583A KR 1020207033640 A KR1020207033640 A KR 1020207033640A KR 20207033640 A KR20207033640 A KR 20207033640A KR 20200142583 A KR20200142583 A KR 20200142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lavor
tubular portion
heater assembl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401B1 (ko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마나부 타케우치
야스노부 이노우에
키미타카 우치이
타테키 스미이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0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3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9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ok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Seasoning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히터 어셈블리는,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통형 부분을 갖는 용기와,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히터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고, 또한,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챔버에 인접하는 제1 채널과,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 내를 통과하는 제2 채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채널과 연통한다.

Description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본 발명은 향미 흡인기에서 이용하는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향미 흡인기는,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챔버와, 챔버에 수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를 갖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특허문헌 1: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1-521123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5963375호 특허문헌 3: 국제공개 제2016/207407호 팸플릿
제1의 특징은, 히터 어셈블리로서,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통형 부분을 갖는 용기와,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고 있고, 또한,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챔버에 인접하는 제1 채널과,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 내를 통과하는 제2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채널과 연통(連通)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의 특징은,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또는 제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가열 요소와, 상기 가열 요소를 지지하는 기재를 갖고,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채널과 인접하는 부분 이외의 배치 대상 부분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의 특징은,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배치 대상 부분은,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에 있어서, 제1 배치 부분과, 상기 제1 배치 부분보다 상기 제1 채널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배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치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열 요소의 와트 밀도는, 상기 제2 배치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열 요소의 와트 밀도보다 높은 것을 요지로 한다.
제5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4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가열 요소와, 상기 가열 요소를 지지하는 기재를 갖고,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받아들이는 제1 단부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이간(離間)하도록,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의 특징은, 제5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2 단부를 막는 저판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저판 부분에 마련되지 않고,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6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이 상기 챔버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부에 당접(當接)하는 당접부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6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저판(底板)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용기의 상기 저판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이 상기 챔버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대좌(臺座)로서, 상기 대좌의 주위에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2 채널과 연통하는 환형의 간극을 형성하는 대좌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9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8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은, 열전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9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받아들이는 제1 단부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제2 단부를 막는 저판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3 채널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의 특징은, 제10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부터 상기 제3 채널에 이르는 채널은, 경사 채널 또는 만곡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11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상기 챔버를 구획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챔버보다 외측으로 내밀어진(張出)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의 특징은, 제1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된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의 특징은, 제12의 특징 또는 제1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이 상기 챔버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5의 특징은, 제12의 특징 내지 제14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한 횡단면에 있어서, 타원형의 원주를 갖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11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형성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채널 형성 부재는, 상기 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의 특징은, 제6의 특징, 제6의 특징을 인용하는 제7의 특징 내지 제16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 내에서 발생한 온도 변화의 검출에 이용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저판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의 특징은, 제12의 특징 내지 제15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 내에서 발생한 온도 변화의 검출에 이용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의 특징은, 제16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 내에서 발생한 온도 변화의 검출에 이용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채널 형성 부재에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0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19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통형 부분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상기 통형 용기의 외주면보다 열방사율이 높은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1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20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추가로 저판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용기의 상기 통형 부분 및 상기 저판 부분을 덮는 단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2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21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과 상기 히터의 사이에 마련된, 상기 통형 부재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3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22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이, 상기 히터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향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채널의 역방향의 유체 흐름을 저해하는 저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4의 특징은, 제2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저해 부재는, 상기 제1 채널의 일부를 막는 격벽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25의 특징은, 제2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를 노출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개구를 덮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덮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저해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덮개 부재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26의 특징은,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통형 부분을 갖는 용기로서,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고, 또한,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챔버에 인접하는 제1 채널과,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 내를 통과하는 제2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은, 히터가 배치되는 면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채널과 연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히터 어셈블리(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히터(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히터(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변경예 1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변경예 2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변경예 2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변경예 3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변경예 3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변경예 4에 관한 당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변경예 4에 관한 당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변경예 4에 관한 당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변경예 4에 관한 당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변경예 5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변경예 5에 관한 히터(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변경예 5에 관한 히터(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변경예 5에 관한 히터(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변경예 6에 관한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추가 변경예 2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추가 변경예 2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추가 변경예 2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추가 변경예 2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추가 변경예 2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추가 변경예 2에 관한 용기(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추가 변경예 3에 관한 격벽(49)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추가 변경예 3에 관한 격벽(49)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추가 변경예 3에 관한 격벽(49)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추가 변경예 3에 관한 덮개 부재(L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추가 변경예 3에 관한 덮개 부재(L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추가 변경예 4에 관한 단열 부재(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추가 변경예 7에 관한 대좌(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과는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상기 설명한 배경 기술의 향미 흡인기에서는, 챔버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채널 및 히터의 배치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향미 흡인기가 소형이고, 에어로졸을 효율적으로 발생하는 관점에서는, 채널 및 히터의 배치에 대해 추가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의 개요에 관한 히터 어셈블리는,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통형 부분을 갖는 용기와,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히터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고, 또한,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챔버에 인접하는 제1 채널과,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 내를 통과하는 제2 채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채널과 연통한다.
개시의 개요에서는, 챔버를 형성하는 통형 부분의 둘레면에 히터가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챔버 내를 통과하는 제2 채널에 연통하는 제1 채널이 챔버에 인접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히터 어셈블리의 하방에 연통하는 채널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히터 어셈블리의 저면을 폐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어셈블리의 하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향미 흡인기)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관한 향미 흡인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 발생 물품(110)과, 흡인기 본체(120)를 갖는다. 실시형태에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을 유저가 입에 문 상태로 퍼프 동작이 행해지는 케이스를 예시한다. 유저가 들이 마시는 공기는, 공기류(100A), 공기류(100C), 공기류(100B)의 순서로 유저의 구강 내로 유도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은, 향미를 발생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기재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기둥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향미 발생 물품(110)은, 살담배,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으로 성형한 성형체, 담배 원료를 시트상으로 성형한 성형체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은, 가열에 수반해 에어로졸을 발생시켜도 되고, 에어로졸의 발생을 촉진하기 위해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1,3-뷰탄다이올 등의 각종 폴리올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해도 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은 멘톨 등의 향료를 포함해도 된다.
흡인기 본체(120)는 배터리(10)와, 제어 회로(20)와, 히터 어셈블리(30)를 갖는다.
배터리(10)는 흡인기 본체(120)에서 이용하는 전력을 축적한다. 예를 들면, 배터리(10)는 리튬 이온 전지이다. 배터리(10)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 가능해도 된다.
제어 회로(20)는, CPU 및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흡인기 본체(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20)는, 도시하지 않은 압압 버튼이나 슬라이드식 스위치 등의 입력장치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을 개시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을 종료한다. 제어 회로(20)는,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의 횟수가 일정값을 초과한 경우에,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더라도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을 종료해도 된다. 예를 들면, 퍼프 동작은, 후술하는 도 2에 나타내는 센서(60)에 의해 검출된다.
또는, 제어 회로(20)는, 퍼프 동작의 개시에 따라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을 개시하고, 퍼프 동작의 종료에 따라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을 종료해도 된다. 제어 회로(20)는, 퍼프 동작의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퍼프 동작의 종료 전이더라도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을 종료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회로(20)는, 배터리(10)와 히터 어셈블리(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히터 어셈블리(30)로부터 배터리(10)로의 열전달을 억제한다.
히터 어셈블리(30)는 향미 발생 물품(10)을 가열하는 어셈블리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 어셈블리(10)는 용기(40)와, 히터(50)와, 센서(60)를 갖는다.
용기(40)는 통형 부분(41)과 저판 부분(42)을 갖는다. 통형 부분(41)은, 향미 발생 물품(10)을 수용하는 챔버(40C)를 형성한다. 통형 부분(41)은 열전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열전도성 부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SUS)이다. 통형 부분(41)은, 향미 발생 물품(10)을 받아들이는 제1 단부(40X)와, 통형 부분(41)의 길이 방향(이하, 길이 방향 A)에 있어서 제1 단부(40X)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단부(40Y)를 갖는다. 저판 부분(42)은 제2 단부(40Y)를 막는다. 즉, 용기(40)는, 통형 부분(41) 및 저판 부분(42)에 의해 구성되는 컵 형상을 갖는다. 용기(40)는, 금속판의 드로잉 가공 등의 수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도 된다.
용기(40)는 제1 채널(43)과, 제2 채널(44)과, 제3 채널(45)을 갖는다. 제1 채널(43)은 공기류(100A)의 유로이다. 제1 채널(43)은, 길이 방향 A를 따라 연재한다. 제1 채널(43)은, 길이 방향 A와 교차하는 방향(이하, 교차 방향 B)에서 챔버(40C)에 인접한다. 제2 채널(44)은 공기류(100B)의 유로이다. 제2 채널(44)은 길이 방향 A를 따라 연재한다. 제2 채널(44)은 챔버(40C) 내를 지난다. 제3 채널(45)은 공기류(100C)의 유로이다. 제3 채널(45)은, 저판 부분(42) 측에 마련되어 있고, 교차 방향 B를 따라 연재한다. 제1 채널(43)은 제3 채널(45)을 통하여 제2 채널(44)과 연통한다.
여기에서, 챔버(40C)는, 향미 발생 물품(10)을 수용하는 공동(空洞)으로, 향미 발생 물품(10)에 의해 점유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채널(44)은, 챔버(40C) 내를 통과하는 유로이며, 향미 발생 물품(10) 내를 통과하는 유로라고 생각해도 된다. 제2 채널(44)은, 챔버(40C)와 동의(同義)라고 생각해도 되고, 챔버(40C)의 일부라고 생각해도 된다.
히터(50)는,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챔버(40C)에 수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한다. 히터(50)는, 통형 부분(41)의 외주면에 배치되어도 되고, 통형 부분(41)의 내주면에 배치되어도 된다. 히터(50)는,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도 2에서는, 히터(50)가 통형 부분(41)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케이스를 예시한다.
히터(50)는 기재(51)(기재(51A) 및 기재(51B))와, 가열 요소(52)를 갖는다. 가열 요소는 기재(51A)와 기재(51B)의 사이에 끼인다. 기재(51)는 가열 요소를 지지한다. 예를 들면, 기재(51)는 폴리이미드 등의 필름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가열 요소(52)는 금속 등의 저항 발열체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가열 요소(52)를 구성하는 금속은, 니켈 합금, 크로뮴 합금, 스테인리스 및 백금 로듐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금속이어도 된다. 히터(50)는,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접착되어도 되고, 별개의 지지부재에 의해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지지되어도 된다. 도 2에 있어서, 히터(50)의 외측에 도시하지 않은 열수축 튜브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열수축 튜브에 의해 히터(50)가 통형 부분(4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도 된다.
센서(60)는 히터 어셈블리(30) 내에서 발생한 온도 변화의 검출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센서(60)는 서미스터나 열전대 등의 온도 센서이다. 센서(60)는 저판 부분(42)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는, 센서(60)는 후술하는 제2 부분(41B)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제1 채널(43)과 인접해 마련되어도 된다. 센서(60)는, 제1 채널(43)을 공기가 흐르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 변화에 의해 퍼프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되어도 된다. 또, 센서(60)는, 제어 회로(20)에 의한 향미 발생 물품(10)의 가열 제어에 이용되어도 된다. 특히, 제어 회로(20)는, 센서(60)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한 히터 어셈블리(30) 또는 흡인기(120) 내의 다른 부분의 온도가 일정값을 초과한 경우에, 가열 요소(52)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4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40)를 도 3에 나타내는 P방향, Q방향 및 R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40)의 통형 부분(41)은,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챔버(40C)를 구획하는 제1 부분(41A)과, 챔버(40C)보다 외측으로 내밀어진 제2 부분(41B)을 포함한다. 제2 부분(41B)은, 길이 방향 A를 따라 뻗어 있음과 함께 제1 채널(43)을 형성한다. 즉, 챔버(40C)에 향미 발생 물품(110)이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부분(41A)은,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제2 부분(41B)은,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된다. 제1 부분(41A) 및 제2 부분(41B)은 일체 성형품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제1 부분(41A)은, 향미 발생 물품(110)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향미 발생 물품(11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제1 부분(41A)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제2 부분(41B)은, 챔버(40C)보다 외측으로 내밀어져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원호 형상을 갖는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40)는 잘록한 부분(41S)을 갖는다. 잘록한 부분(41S)은,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40C)에 수용되었을 때에 향미 발생 물품(110)에 당접하는 당접부를 구성한다. 잘록한 부분(41S)은, 통형 부분(41)의 두께 자체는 변함없이, 통형 부분(41)의 내측으로 잘록한 부분이어도 된다.
(히터)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관한 히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히터(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50)는 기재(51) 및 가열 요소(52)를 갖는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50)는 가열 요소(52)에 연속하는 리드선 부분(53)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리드선 부분(53)은 제어 회로(20)를 개재하여 배터리(10)에 접속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50)는 용기(40)의 통형 부분(41)에 권회(捲回)된다. 여기에서, 가열 요소(52)는,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제1 채널(43)과 인접하는 부분 이외의 배치 대상 부분을 따라 마련된다. 실시형태에서는, 가열 요소(52)는, 제2 부분(41B)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되지 않고, 제1 부분(41A)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다. 즉, 제1 부분(41A)의 둘레면이 배치 대상 부분을 구성한다. 단, 기재(51)(기재(51A) 및 기재(51B))는, 제2 부분(41B)의 둘레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마련되어도 되고, 제2 부분(41B)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 요소(52)는, 제1 부분(41A) 및 제2 부분(41B)의 쌍방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제1 부분(41A)의 둘레면은, 제1 배치 부분(41A1)과, 제1 배치 부분(41A1)보다 제1 채널(43)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배치 부분(41A2)을 포함한다. 제1 배치 부분(41A1)에 있어서의 가열 요소(52A)의 와트 밀도는, 제2 배치 부분(41A2)에 있어서의 가열 요소(52B)의 와트 밀도보다 높아도 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요소(52)는, 제2 단부(40Y)로부터 이간되도록,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다. 가열 요소(52)는, 저판 부분(42)에 마련되지 않고,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다.
(작용 및 효과)
실시형태에서는, 챔버(40C)를 형성하는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히터(50)가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챔버(40C) 내를 통과하는 제2 채널(44)에 연통하는 제1 채널(43)이 챔버(40C)에 인접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길이 방향 A에 있어서 히터 어셈블리(30)의 하방에 연통하는 채널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히터 어셈블리(30)의 저면을 폐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어셈블리(30)의 하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제1 채널(43)을 통과하는 공기가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히터(50)에 의해 예비적으로 가열될 수 있기 때문에, 챔버(40C)에 수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온도 저하가 억제되어,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통형 부분(41)의 외주면에 히터(50)가 배치된다. 따라서, 히터(50)의 어셈블리가 용이하다.
실시형태에서는, 가열 요소(52)는,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있어서, 제1 채널(43)과 인접하는 부분 이외의 배치 대상 부분(제1 부분(41A)의 둘레면)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채널(43)을 흐르는 공기(공기류(100A))가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채널(43)과 인접하는 부분에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을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에 가열 요소(52)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배치 부분(41A1)에 있어서의 가열 요소(52A)의 와트 밀도는, 제2 배치 부분(41A2)에 있어서의 가열 요소(52B)의 와트 밀도보다 높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채널(43)과 인접하는 부분에 가열 요소(52)가 배치되지 않는 점을 감안하여, 제1 채널(43)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용기(40)는,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40C)에 수용되었을 때에 향미 발생 물품(110)에 당접하는 잘록한 부분(41S)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챔버(40C) 내에 있어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제1 채널(43)과 제2 채널(44)을 연통시키는 제3 채널(45)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용기(40)는, 통형 부분(41)의 제2 단부(40Y)를 막는 저판 부분(42)을 갖고 있고, 제3 채널(45)이 저판 부분(42) 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채널(43)로부터 제2 채널(44)로의 공기의 흐름(공기류(100C))을 저판 부분(42)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용기(40)의 통형 부분(41)은,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챔버(40C)를 구획하는 제1 부분(41A)과, 챔버(40C)보다 외측으로 내밀어진 제2 부분(41B)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 인렛, 제1 채널(43) 및 제2 채널(44)(챔버(40C))을 1개의 부재(통형 부분(41))에 의해 실현할 수 있어, 히터 어셈블리(3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챔버(40C)에 인접하도록 제1 채널(43)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 A에 있어서 히터 어셈블리(30)의 하방에 연통하는 채널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히터 어셈블리(30)의 저면을 폐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어셈블리(30)의 하방의 공간을 채널 이외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센서(60)는 저판 부분(42)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저판 부분(42)이 가열 요소(52)로부터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 요소(52)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과도한 영향을 센서(60)가 받지 않고, 저판 부분(42)이 유저의 구강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외기로부터 받는 과도한 영향을 센서(60)가 받지 않는다. 따라서, 퍼프 동작의 검지에 센서(60)가 이용되는 케이스 등에 있어서, 센서(60)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변경예 1)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부분(41B)은,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원호 형상을 갖는다. 이에 대해서, 변경예 1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부분(41B)은,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챔버(40C)를 향해 개구하는 U자 형상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제2 부분(41B)은, 원호 부분(41B1) 및 1쌍의 직선 부분(41B2)을 갖는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히터(50)의 가열 요소(52)는, 제2 부분(41B)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되지 않고, 제1 부분(41A)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다. 또한, 히터(50)의 기재(51)(기재(51A) 및 기재(51B))는, 제2 부분(41B)의 1쌍의 직선 부분(41B2)을 따라 마련되어도 되고, 또한 원호 부분(41B1)을 따라 마련되어도 된다.
단, 실시형태 및 변경예 1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분(41B)은,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챔버(40C)보다 외측으로 내밀어져 있으면 된다. 제2 부분(41B)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직사각형 및 원호를 조합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변경예 2)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2에서는, 통형 부분(41)의 형상의 변형에 대해 설명한다. 변경예 2에 있어서도,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통형 부분(41)은,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챔버(40C)를 구획하는 제1 부분(41A)과, 챔버(40C)보다 외측으로 내밀어진 제2 부분(41B)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 통형 부분(41)은,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타원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통형 부분(41)의 내주면과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의 사이에 제1 채널(43)이 형성된다. 통형 부분(41) 중,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제1 부분(41A)을 구성하고,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된 부분이 제2 부분(41B)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 통형 부분(41)은,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통형 부분(41)의 내주면과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의 사이에 제1 채널(43)이 형성된다. 통형 부분(41) 중,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제1 부분(41A)을 구성하고,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된 부분이 제2 부분(41B)을 구성한다.
(변경예 3)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3에 있어서, 용기(40)는, 제1 채널(43)을 형성하는 채널 형성 부재를 갖는다. 채널 형성 부재는, 통형 부분(41)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40)는,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원형 형상을 갖는 채널 형성 부재(46)를 갖고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채널 형성 부재(46)는, 길이 방향 A를 따라 연재하는 원통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1 채널(43)은, 채널 형성 부재(46)의 내측에 형성된다. 채널 형성 부재(46)는, 통형 부분(41)의 외주면에 접착되어도 되고, 통형 부분(41)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40)는,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통형 부분(41)을 수용하는 타원 형상을 갖는 채널 형성 부재(46)를 갖고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채널 형성 부재(46)는, 길이 방향 A를 따라 연재하는 타원의 통형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1 채널(43)은, 채널 형성 부재(46)의 내주면과 통형 부분(41)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다. 채널 형성 부재(46)는, 통형 부분(41)의 외주면에 접착되어도 되고, 통형 부분(41)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작용 및 효과)
변경예 3에서는, 용기(40)는, 제1 채널(43)을 형성하는 채널 형성 부재(46)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채널(43)과 제2 채널(44)(챔버(40C))이 적어도 통형 부분(41)에 의해 구획되기 때문에, 제1 채널(43)로부터 제2 채널(44)로의 의도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의도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은, 상기 설명한 제3 채널(45) 이외의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히터(50)는, 제1 채널(43)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히터(50)와 챔버(40C)의 사이에 제1 채널(43)이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케이스 등과 비교하면, 히터(50)로부터 향미 발생 물품(110)에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변경예 4)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4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4에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40C)에 수용되었을 때에 향미 발생 물품(110)에 당접하는 당접부의 변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40)는, 저면(42)으로부터 입설(立設)된 리브(41R)를 갖는다. 또한, 도 13에서는, 2개의 리브(41R)가 예시되어 있지만, 리브(41R)의 수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40)는, 통형 부분(41)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단차 부분(47)을 당접부로서 갖고 있어도 된다. 단차 부분(47)은, 통형 부분(41)의 내주면으로부터 챔버(40C)의 내측으로 내밀어진 부분이다. 단차 부분(47)은, 저면(42)과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저면(42)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단차 부분(47)은, 통형 부분(41)의 내주면의 전체에 연속하는 부분이어도 되고, 통형 부분(41)의 내주면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단차 부분(47)이 간헐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있어서, 단차 부분(47)의 수는 임의이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단차 부분(47)은 방열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A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챔버(40C)를 구획하는 제1 부분(41A)의 내주면은, 제2 단부(41Y)에 가까워짐에 따라 좁아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1 부분(41A)의 내주면 중, 향미 발생 물품(110)과 접촉하는 부분이 당접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 제1 부분(41A)의 내주면에 더해, 제2 부분(41B)의 내주면도, 제2 단부(41Y)에 가까워짐에 따라 좁아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채널(43)로부터 제3 채널(45)에 이르는 채널은, 경사 채널 또는 만곡 채널을 포함한다. 경사 채널 또는 만곡 채널은, 제1 채널(43)의 일부라고 생각해도 되고, 제3 채널(45)의 일부라고 생각해도 된다. 경사 채널 또는 만곡 채널을 통과하는 공기류(100D)가 발생하기 때문에, 제1 채널(43)로부터 제2 채널(44)을 향해 공기가 스무스하게 흐른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40)의 저면(42)은, 챔버(40C)의 내측으로 내밀어진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저면(4) 중, 향미 발생 물품(110)과 접촉하는 부분이 당접부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저면(42)의 형상은, 상기 설명한 리브(41R)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변경예 5)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5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5에서는, 히터(50)의 변형에 대해 설명한다. 변경예 5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40)가 2개의 제1 채널(43)을 갖는 케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 있어서, A1 및 A2는, 제1 부분(41A)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부호이며, B1 및 B2는, 2 부분(41B)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부호이다. 이하에 나타내는 도 18~도 20에 있어서, 제1 부분(41A)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히터(50)의 부분에 A1 및 A2의 부호가 붙어 있고, 2 부분(41B)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히터(50)의 부분에 B1 및 B2의 부호가 붙어 있다. 즉, 조립 후의 히터 어셈블리(30)에 있어서는, 도 18 중의 부호 A1, A2, B1, B2가 붙은 영역이, 도 17 중의 같은 부호가 붙은 영역과 대향하게 된다. 이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50)의 가열 요소(52)는, 2개의 가열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어도 된다. 2개의 가열 부분은, 제1 부분(41A)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다른 부분은, 2 부분(41B)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리드선(53)은, 히터(50)의 일단에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50)의 가열 요소(52)는, 2개의 가열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어도 된다. 2개의 가열 부분은, 제1 부분(41A)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다른 부분은, 2 부분(41B)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리드선(53)은, 2개의 가열 부분을 접속하는 부분에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50)의 가열 요소(52)는, 2개의 가열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아도 된다. 히터(50)는, 2개의 가열 부분은, 제1 부분(41A)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다른 부분은, 2 부분(41B)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리드선(53)은, 2개의 가열 부분을 접속하는 부분에 마련되어도 된다.
(변경예 6)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6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회로(20)는, 배터리(10)와 히터 어셈블리(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대해서, 변경예 6에서는, 제어 회로(20)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 어셈블리(30)의 하방에 마련된다.
변경예 6에서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챔버(40C)에 인접하도록 제1 채널(43)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 A에 있어서 히터 어셈블리(30)의 하방에 연통하는 채널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히터 어셈블리(30)의 저면을 폐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어셈블리(30)의 하방에 제어 회로(20)를 배치할 수 있어, 히터 어셈블리(30)의 하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센서(60)는 저판 부분(42)에 마련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센서(60)는, 저판 부분(42)의 내면에 마련되어도 되고, 저판 부분(42)의 외면에 마련되어도 된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60)는, 제1 채널(43)에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센서(60)는, 제2 부분(41B)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마련되어도 되고, 채널 형성 부재(46)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마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서(60)가 가열 요소(52)로부터 이간되기 때문에, 히터(50)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과도한 영향을 센서(60)가 받지 않고, 따라서, 퍼프 동작의 검지에 센서(60)가 이용되는 케이스 등에 있어서, 센서(60)가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용기(40)가 1개의 제1 채널(43)을 갖는 케이스를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40)는, 2개 이상의 제1 채널(43)을 가져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제1 채널(43)은, 통형 부분(41)의 둘레면에 있어서 균등하게 배치되어도 된다.
(추가 변경예 1)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추가 변경예 1에 대해 설명한다. 추가 변경예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용기(40)는, 통형 부분(41)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통형 용기(41)의 외주면보다 열방사율이 높은 영역을 갖고 있다.
열방사율이 높은 영역은, 통형 부재(41)의 내주면을 흑색화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형 부재(41)의 내주면에 카본 안료를 바르거나 그래파이트 필름을 붙여서 흑색층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흑색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카본, 세라믹, 실리콘, 유리 등의 열방사율 및 열전도율이 모두 높은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방사율이 높은 영역은, 통형 부재(41)의 내주면을 흑색화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형 부재(41)의 내주면을 산화 부식시켜 거칠게 하거나 기계적으로 거칠게 하거나 통형 부재(41)의 내주면에 산화막을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이로써, 통형 부분(41)의 내주면의 열방사율을, 통형 부분(41)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SUS)와 비교해 큰 폭으로 높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열방사에 의한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을 증강할 수 있다.
또한, 열방사율이 높은 영역은, 통형 부재(41)의 내주면 전체에 마련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제2 부분(41B)을 제외하고 제1 부분(41A)에만 마련되어도 된다.
(추가 변경예 2)
이하에 있어서, 도 2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의 추가 변경예 2에 대해 설명한다. 추가 변경예 2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낸 제1 부분(41A)은, 용기(40) 내에 향미 발생 물품이 수용되었을 때에, 당해 물품을 제1 부분(41A)과 제2 부분(41B)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41A)과 제2 부분(41B)의 배열 방향을 이하에서는 간단히 「배열 방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23은, 도 22 중의 용기(40)의 개구(OP)를 길이 방향 A에서 본 상면도이며, 도 24는, 도 22 중의 점(SC)에 있어서의 용기(40)의 횡단면도이다. 도 24에 나타낸 제1 부분(41A)의 내주는, 용기(40) 내에 향미 발생 물품이 수용되었을 때에, 당해 물품을 상기의 배열 방향(도 24 중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4에 나타낸 제1 부분(41A)의 내주는, 흡연 물품의 외주에 접촉 가능한 곡선 부분(41A3)과, 곡선 부분(41A3)의 양단부(41A4, 41A4)로부터 제2 부분(41B)의 내밀어진 방향의 정부(頂部)(41B3)를 향해 연재하는 한 쌍의 직선 부분(41A5, 41A5)을 갖고 있다. 본 예의 곡선 부분(41A3)은, 상기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장축을 갖는 타원의 일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도 24 중의 용기(40) 내에 수용된 대략 원기둥 형상의 향미 발생 물품(110)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5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은, 제1 부분(41A)의 직선 부분(41A5, 41A5) 및 그것들 근방의 곡선 부분(41A3)에 의해 직경 방향 내향(도면 내의 경사 하향)으로 압압된다. 그 결과,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면은, 제1 부분(41A)의 내면에 밀착하게 된다. 용기(40)의 제1 부분(41A)은, 각종 히터에 의해 직접 가열되므로, 그 내면에 향미 발생 물품(110)을 밀착시킴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 중의 파선은, 용기(40) 내에 수용되어 압축되기 전 상태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를, 비교를 위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5의 예에서는, 제1 부분(41A)의 한 쌍의 직선 부분(41A5, 41A5) 및 그것들 근방의 곡선 부분(41A3)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면을 도면 내의 화살표 방향으로(경사 하향으로) 압압하므로, 제2 부분(41B)의 내부 공간에 향미 발생 물품(110)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용기(40)가 향미 흡인기에 도입되었을 때에, 제2 부분(41B)의 내부 공간은, 공기 유로로서 기능하는 제1 채널(43)(도 2 참조)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거기에 향미 발생 물품(110)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향미 흡인기에 있어서의 공기 유로의 통기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용기(40)는,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 가능한 횡단면을,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가져도 되고, 길이 방향의 일부에만 가져도 된다. 도 25 중의 용기(40)는, 그 상하단부를 제외한 길이 방향의 대부분에 있어서 상기 설명한 횡단면을 갖고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예의 용기(40)는, 제1 부분(41A)과 개구(OP)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공의 상연부(上緣部)(UE)를 추가로 갖고 있다. 도 23의 예에서는, 용기(40)의 개구(OP)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와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약간 큰 내주를 갖고 있고, 상연부(UE)의 내주는, 개구(OP)로부터 제1 부분(41A)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즉, 용기(40)의 상연부(UE)의 내주면은, 개구(OP)로부터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을 제1 부분(41A)을 향해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계속해서, 용기(40)의 횡단면 형상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제1 부분(41A)은, 길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 다른 횡단면 형상을 가져도 된다. 그 다른 횡단면 형상이 도 26 및 도 27에 예시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낸 제1 부분(41A)의 내주는, 원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7에 나타낸 제1 부분(41A)의 내주는, 상기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장축을 갖는 타원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도 25의 예와는 달리, 도 27에 나타낸 제1 부분(41A)의 내주는 한 쌍의 직선 부분을 갖지 않지만, 도 25의 예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의 배열 방향(도 24 중의 상하 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다. 용기(40)는, 제1 부분(41A)의 횡단면이 도 26에 나타내는 형상으로부터 도 27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41A)의 횡단면의 면적은, 길이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해도 되고,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화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부분(41A)이 길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도 26 및 도 27의 횡단면을 갖는 경우, 도 27 중의 제1 부분(41A)의 단면적은, 도 26 중의 제1 부분(41A)의 단면적보다 작게 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1 부분(41A)의 단면적이란, 제1 부분(41A)의 내주와 겹치는 가상적인 원 또는 타원의 면적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타원으로 형성되는 제1 부분(41A)의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것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을 강하게 압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향미 발생 물품의 외주를 제1 부분(41A)의 내주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향미 발생 물품(110)은, 선단측에 담배 원료를 포함하는 담배부가 배치되고, 근원측에 필터를 포함하는 지관부(紙管部)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담배부는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에 의해 변형되기 쉽지만, 지관부는 변형되기 어렵다. 따라서, 담배부에 대해서 도 27과 같은 타원형의 내주를 배치하고, 지관부에 대해서 도 26과 같은 원형의 내주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변경예 3)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추가 변경예 3에 대해 설명한다. 추가 변경예 3에 있어서, 제2 부분(41B)에 의해 형성된 제1 채널(43)은, 히터 어셈블리 및 그것이 도입된 향미 흡인기의 외부로부터, 제1 부분(41A)에 의해 형성된 제2 채널(44)을 향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등을 참조). 그리고, 본 예의 히터 어셈블리 및 그것이 도입된 향미 흡인기는, 제1 채널(43)의 역방향의 유체 흐름을 저해하는 저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히터 어셈블리의 용기(40)는, 상기의 저해 부재로서, 제2 부분(41B)에 형성된, 제1 채널의 일부를 막는 격벽(隔壁)(49)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추가 변경예 3에 관한 격벽(49)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에 있어서, 격벽(49)은, 플라스틱제, 고무제 등의 판형 부재이다. 또한, 격벽(49)은, 제2 부분(4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1개소에 마련되어도 되고,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격벽(49)은,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 부분(42)을 향해, 장착 위치로부터 경사져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격벽(49)은, 제1 채널(43)에 있어서, 제1 단부(40X)로부터 제2 단부(40Y)를 향하는 순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제2 단부(40Y)로부터 제1 단부(40X)를 향하는 역방향의 열증기류를 저해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이로써, 제2 단부(40Y)로부터 제1 단부(40X)를 향해 열증기가 역류해 왔을 경우에, 열증기류가 격벽(49)에 충돌하여 감속해, 응축이 촉진됨으로써, 열증기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개의 격벽(49)은, 제1 단부(40X)의 근방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49)은, 도 11에 나타낸 채널 형성 부재(46)에 마련되어도 된다.
계속해서, 저해 부재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히터 어셈블리 및 그것이 도입된 향미 흡인기는, 용기(40)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저해 부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31은, 본 예의 저해 부재를 구비한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중의 향미 흡인기(100)에는, 히터 어셈블리(30)의 일부로서 도 31 중의 용기(40)가 도입되어 있다. 도 31 중의 향미 흡인기(100)는, 용기(40)의 개구(OP)를 덮기 위한 가동식의 덮개 부재(LD)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부재(LD)는, 향미 흡인기(100)의 비사용 시에 용기(40)의 개구(OP)를 덮는 폐위치(제2 위치)와, 향미 흡인기(100)의 사용 시에 용기(40)의 개구(OP)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위치(제1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31 중의 덮개 부재(LD)는 폐위치에 있다.
도 32는, 덮개 부재(LD)가 개위치에 있을 때의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덮개 부재(LD)가 개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개구(OP)로부터 용기(4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개위치에 있는 덮개 부재(LD)에 상기의 저해 부재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덮개 부재(LD)를, 그것이 개위치에 있을 때에도 용기(40)의 개구(OP)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덮개 부재(LD)에 저해 부재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덮개 부재(LD)는, 도 28 및 도 29 등에 나타낸 격벽(49)과 같이, 제1 채널(43)의 순방향의 공기류를 허용하면서, 역방향의 열증기류를 저해할 수 있다. 향미 흡인기(100)는, 덮개 부재(LD)와 격벽(49)의 양방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저해 부재 대신에,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제2 부분(41B)에, 제1 채널에 있어서의 공기의 역류를 방해하는 역류 방지 기구가 마련되어도 된다. 역류 방지 기구는, 격벽(49)이 마련되는 개소와 같은 개소에, 제1 채널의 전체를 막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역류 방지 기구는, 예를 들면 유연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제1 단부(40X)로부터 제2 단부(40Y)를 향하는 순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통과시킴과 함께, 제2 단부(40Y)로부터 제1 단부(40X)를 향하는 역방향의 열증기류를 차단한다. 또한, 역류 방지 기구가, 도 11에 나타낸 채널 형성 부재(46)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공지의 역지 밸브를 이용해도 된다.
(추가 변경예 4)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추가 변경예 4에 대해 설명한다. 추가 변경예 4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용기(40)의 통형 부재(41) 및 저판 부분(42)은, 단열 부재(70)에 의해 덮여 있다.
도 33은, 추가 변경예 4에 관한 단열 부재(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에 있어서, 단열 부재(70)는, 통형 부재(41)를 덮는 제1 단열 부재(71)와, 저판 부분(42)을 덮는 제2 단열 부재(72)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단열 부재(71) 및 제2 단열 부재(72)는, 진공 단열재나, 에어로젤, 실리콘 등을 단열재료로 하는 단열 부재이다.
또한, 단열 부재(70)는, 통형 부재(41)를 덮는 제1 단열 부재(71)와, 저판 부분(42)을 덮는 제2 단열 부재(72)가 이음매 없이 연속한 일체의 단열 부재여도 된다. 예를 들면, 단열 부재(70)는, 통형 부재(41) 및 저판 부분(42)을 덮는 진공 단열 용기와 같은 단열 부재여도 된다.
이로써, 용기(40)의 저판 부분(42)이 단열 부재(70)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용기(40)의 저면으로부터 돌아들어 가 제어 회로(20)나 배터리(10)에 열이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부재(70)가 제1 단열 부재(71) 및 제2 단열 부재(72)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형 부재(41)의 외주면에 배치된 히터(50)의 리드선 부분(53)을, 제1 단열 부재(71)와 제2 단열 부재(72)의 사이에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단열 부재(71) 및 제2 단열 부재(72)는, 동일한 열전도율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열 부재여도 되고, 서로 다른 열전도율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열 부재여도 된다. 즉, 제1 단열 부재(71)와 제2 단열 부재(72)의 단열성능은 같아도 되고, 한쪽이 보다 높은 단열성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통형 부재(41)의 외주면에 히터(50)가 배치되는 양태에서는, 제1 단열 부재(71)의 단열성능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제2 단열 부재(72)의 단열성능은, 제1 단열 부재(71)의 단열성능보다 낮아도 된다.
(추가 변경예 5)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추가 변경예 5에 대해 설명한다. 추가 변경예 5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히터(50) 및 센서(60)는, 도시하지 않은 열수축 튜브에 의해 덮여 있다.
즉,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히터(50)의 외측에만 열수축 튜브가 마련되어 있고, 추가 변경예 5에서는, 용기(40)의 통형 부재(41) 및 저판 부분(42)을 덮도록 열수축 튜브가 마련된다.
이로써, 퍼프 동작을 검출하는 센서(60)가 용기(40)의 저판 부분(42)에 마련되는 경우에, 히터(50)와 센서(60)를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추가 변경예 6)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추가 변경예 6에 대해 설명한다. 추가 변경예 6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통형 부재(41)와 히터(50)의 사이에는, 통형 부재(41)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막이 마련되어 있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막은, 통형 부분(41)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SUS)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구리나 그 밖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막이다.
이로써, 히터(50)의 패턴 부분에서 발생한 열을,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막으로 균등화할 수 있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면을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에 포함되는 향미를 발생할 수 있는 성분의 소비가 균등화됨과 함께, 끽미도 균일화된다. 또, 향미 발생 물품(110)이 국소적으로 가열되는 것이 방지되어, 그 개소만 에어로졸원이 고갈되는 것도 방지된다.
(추가 변경예 7)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추가 변경예 7에 대해 설명한다. 추가 변경예 7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용기(40)는, 저판 부분(42)에 마련되어,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40C)에 수용되었을 때에 향미 발생 물품(110)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대좌(80)를 갖고 있다.
도 34는, 추가 변경예 7에 관한 대좌(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에 있어서, 대좌(80)는, 제2 부분(41B)과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대좌(80)는, 대좌(80)의 주위에, 제1 채널(43) 및 제2 채널(44)과 연통하는 환형의 간극을 형성한다. 즉, 이 환형의 간극은, 공기류(100C)의 유로인 제3 채널(45)에 상당한다.
이로써, 제1 채널(43)을 흐르는 공기가, 대좌(80)에 의해 형성된 환형의 간극에서 선회하고, 향미 발생 물품(110)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대좌(80)를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향미 발생 물품(110)에 균일하게 유입한다. 이로 인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에 포함되는 기재의 소비가 균등화됨과 함께, 끽미도 균일화된다.

Claims (26)

  1.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통형 부분을 갖는 용기와,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고 있고, 또한,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챔버에 인접하는 제1 채널과,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 내를 통과하는 제2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채널과 연통(連通)하는, 히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히터 어셈블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가열 요소와, 상기 가열 요소를 지지하는 기재(基材)를 갖고,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채널과 인접하는 부분 이외의 배치 대상 부분을 따라 마련되는, 히터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치 대상 부분은,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에 있어서, 제1 배치 부분과, 상기 제1 배치 부분보다 상기 제1 채널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배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치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열 요소의 와트 밀도는, 상기 제2 배치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열 요소의 와트 밀도보다 높은, 히터 어셈블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가열 요소와, 상기 가열 요소를 지지하는 기재를 갖고,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받아들이는 제1 단부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이간되도록,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되는, 히터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2 단부를 막는 저판(底板)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저판 부분에 마련되지 않고,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되는, 히터 어셈블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이 상기 챔버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부에 당접(當接)하는 당접부를 갖는, 히터 어셈블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저판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용기의 상기 저판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이 상기 챔버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대좌(臺座)로서, 상기 대좌의 주위에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2 채널과 연통하는 환형의 간극을 형성하는 대좌를 추가로 구비하는, 히터 어셈블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은, 열전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히터 어셈블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받아들이는 제1 단부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제2 단부를 막는 저판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3 채널을 갖는, 히터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로부터 상기 제3 채널에 이르는 채널은, 경사 채널 또는 만곡 채널을 포함하는 히터 어셈블리.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교 단면에 있어서, 상기 챔버를 구획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챔버보다 외측으로 내밀어진(張出)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채널을 형성하는, 히터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된, 히터 어셈블리.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이 상기 챔버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히터 어셈블리.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한 횡단면에 있어서, 타원형의 내주를 갖고 있는, 히터 어셈블리.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형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채널 형성 부재는, 상기 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히터 어셈블리.
  17. 청구항 6, 청구항 6을 인용하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어셈블리 내에서 발생한 온도 변화의 검출에 이용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저판 부분에 마련되는, 히터 어셈블리.
  18.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어셈블리 내에서 발생한 온도 변화의 검출에 이용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부분에 마련되는, 히터 어셈블리.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어셈블리 내에서 발생한 온도 변화의 검출에 이용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채널 형성 부재에 마련되는, 히터 어셈블리.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통형 부분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상기 통형 용기의 외주면보다 열방사율이 높은 영역을 갖고 있는, 히터 어셈블리.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추가로 저판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용기의 상기 통형 부분 및 상기 저판 부분을 덮는 단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히터 어셈블리.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과 상기 히터의 사이에 마련된, 상기 통형 부재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막을 추가로 구비하는, 히터 어셈블리.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이, 상기 히터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향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채널의 역방향의 유체 흐름을 저해하는 저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히터 어셈블리.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저해 부재는, 상기 제1 채널의 일부를 막는 격벽(隔壁)인, 히터 어셈블리.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를 노출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개구를 덮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덮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저해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덮개 부재인, 히터 어셈블리.
  26.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통형 부분을 갖는 용기로서,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고, 또한,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챔버에 인접하는 제1 채널과,
    상기 통형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 내를 통과하는 제2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통형 부분의 둘레면은, 히터가 배치되는 면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채널과 연통하는, 용기.
KR1020207033640A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KR102532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7824A KR102586323B1 (ko)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85336 2018-04-26
JP2018085336 2018-04-26
PCT/JP2019/017130 WO2019208536A1 (ja) 2018-04-26 2019-04-23 ヒータアッセンブリ及び容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824A Division KR102586323B1 (ko)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583A true KR20200142583A (ko) 2020-12-22
KR102532401B1 KR102532401B1 (ko) 2023-05-15

Family

ID=6829409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640A KR102532401B1 (ko)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KR1020237029948A KR20230129633A (ko)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KR1020237007824A KR102586323B1 (ko)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KR1020247012164A KR20240052890A (ko)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948A KR20230129633A (ko)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KR1020237007824A KR102586323B1 (ko)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KR1020247012164A KR20240052890A (ko) 2018-04-26 2019-04-23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1696601B2 (ko)
EP (2) EP3785555A4 (ko)
JP (9) JPWO2019208536A1 (ko)
KR (4) KR102532401B1 (ko)
CN (1) CN112040796A (ko)
ES (1) ES2965687T3 (ko)
HU (1) HUE064346T2 (ko)
PL (1) PL4133959T3 (ko)
PT (1) PT4133959T (ko)
TW (6) TWI745681B (ko)
WO (1) WO2019208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8536A1 (ja) 2018-04-26 2019-10-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ヒータアッセンブリ及び容器
GB201816831D0 (en) * 2018-10-16 2018-11-28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JPWO2021171459A1 (ko) * 2020-02-27 2021-09-02
JP7350996B2 (ja) * 2020-04-23 2023-09-2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用加熱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EP4074200A4 (en) * 2020-04-28 2023-09-13 Japan Tobacco Inc. INHA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3924014B (zh) * 2020-05-07 2023-11-17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
CN213587421U (zh) * 2020-08-13 2021-07-02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雾生成装置
KR102567136B1 (ko) * 2020-09-01 2023-08-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GB202016480D0 (en) * 2020-10-16 2020-12-02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KR102637742B1 (ko) * 2020-11-25 2024-02-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WO2022230009A1 (ko) * 2021-04-26 2022-11-03
KR20230162053A (ko) * 2021-05-10 2023-11-2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CN113729286A (zh) * 2021-09-08 2021-12-03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加热组件及气溶胶产生装置
CN113729287A (zh) * 2021-09-08 2021-12-03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导向部件、加热组件及气溶胶产生装置
CN113925208B (zh) * 2021-11-25 2024-01-16 深圳市汉清达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用发热装置
WO2023112143A1 (ja) * 2021-12-14 2023-06-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WO2023112145A1 (ja) * 2021-12-14 2023-06-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GB202118879D0 (en) * 2021-12-23 2022-02-09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3218586A1 (ja) * 2022-05-12 2023-11-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及び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の製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176A (ja) * 1994-04-08 1996-11-26 フイリップ モーリス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的喫煙物品に使用するための管状加熱器
JP2001521123A (ja) 1997-10-16 2001-11-0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喫煙システムのヒータ取付具
JP2009509523A (ja) * 2005-09-30 2009-03-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喫煙システム
JP2013511962A (ja) * 2009-11-27 2013-04-1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内部又は外部ヒータを備える電気加熱式喫煙システム
JP2015504667A (ja) * 2012-01-03 2015-02-1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空気流が改善され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及びシステム
JP2016534730A (ja) * 2013-10-29 2016-11-10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JP2016207407A (ja) 2015-04-21 2016-12-08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690Y2 (ja) 1982-10-19 1985-09-30 株式会社学習研究社 電気回路接続教習実験具
ES2072093T3 (es) 1991-03-11 1995-07-01 Philip Morris Prod Articulo de generacion de aroma.
JP2796219B2 (ja) 1992-08-03 1998-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調理器
AU5770999A (en) * 1998-07-30 2000-02-21 Robert P. Burruss Air heater for a non-combustion vaporizing device
JP2011087569A (ja) 2009-05-15 2011-05-06 Jbs:Kk 電子タバコ、および充電ユニット
EP2316286A1 (en) 2009-10-29 2011-05-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mproved heater
RU2606326C2 (ru) * 2011-09-06 2017-01-10 Бритиш Америкэн Тобэкко (Инвестментс) Лимитед Нагревание кур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SG11201403623YA (en) * 2011-12-30 2014-07-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WO2013098397A2 (en) 2011-12-30 2013-07-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ir flow detection
AR089602A1 (es) * 2011-12-30 2014-09-03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generador de aerosoles para usar con un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es
JP6227554B2 (ja) * 2011-12-30 2017-11-08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前方プラグ及びエアロゾル形成基材を備えた喫煙物品並びにその方法
US9854845B2 (en) * 2012-01-03 2018-01-02 Philip Morris Products S.A. Elongat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system
CA2925647C (en) * 2013-09-30 2018-04-24 Japan Tobacco Inc.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KR20150009908A (ko) * 2013-12-13 2015-01-27 황일영 무화 장치
WO2015176254A1 (zh) * 2014-05-21 2015-11-26 刘水根 电子水烟及电子水烟的雾化控制方法
CN104135790B (zh) 2014-06-11 2016-08-17 普诚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led调光控制电路
EP3042579A1 (en) * 2015-01-09 2016-07-13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GB2534215B (en) * 2015-01-19 2017-08-09 Ngip Res Ltd Aerosol-generating device
GB201501429D0 (en) 2015-01-28 2015-03-1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pparatus for heating aerosol generating material
RU2712348C2 (ru) * 2015-02-06 2020-01-28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экстрактор для образ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а
JP6820269B2 (ja) 2015-03-26 2021-01-2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ヒーター管理
EP3954238A3 (en) * 2015-06-26 2022-05-11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20170055583A1 (en)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CN205072071U (zh) * 2015-09-11 2016-03-09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电加热烟具及其加热组件
TW201742555A (zh) 2016-05-13 2017-12-16 英美煙草(投資)有限公司 用以加熱可吸菸材料之裝置(二)
TW201740827A (zh) * 2016-05-13 2017-12-01 英美煙草(投資)有限公司 用於加熱可吸菸材料的裝置及方法
CA3028019C (en) 2016-06-29 2021-05-25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AR109120A1 (es) 2016-07-26 2018-10-31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parato para calentar material fumable
CN206043448U (zh) * 2016-09-18 2017-03-29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气雾产生装置
KR20180070436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CN206275176U (zh) * 2016-12-21 2017-06-27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可抛弃式烟弹及低温烟具
KR101896831B1 (ko) * 2017-03-24 2018-09-07 윤종구 자전거의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CN106690427B (zh) 2017-03-30 2020-02-18 云南拓宝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热气流加热的低温烟草烟具
EP3610741A4 (en) * 2017-04-11 2021-04-21 KT & G Co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TWM546115U (zh) * 2017-04-11 2017-08-0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香煙
JP6867517B2 (ja) * 2017-06-06 2021-04-28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JT International S.A. 吸入器デバイス及び消耗品カートリッジ
CN107183789A (zh) * 2017-07-21 2017-09-22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发热装置、加热不燃烧烟具及恒温烟气释放方法
WO2019208536A1 (ja) 2018-04-26 2019-10-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ヒータアッセンブリ及び容器
JPWO2021171459A1 (ko) * 2020-02-27 2021-09-02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176A (ja) * 1994-04-08 1996-11-26 フイリップ モーリス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的喫煙物品に使用するための管状加熱器
JP2001521123A (ja) 1997-10-16 2001-11-0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喫煙システムのヒータ取付具
JP2009509523A (ja) * 2005-09-30 2009-03-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喫煙システム
JP2013511962A (ja) * 2009-11-27 2013-04-1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内部又は外部ヒータを備える電気加熱式喫煙システム
JP2015504667A (ja) * 2012-01-03 2015-02-1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空気流が改善され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及びシステム
JP5963375B2 (ja) 2012-01-03 2016-08-0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空気流が改善され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及びシステム
JP2016534730A (ja) * 2013-10-29 2016-11-10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JP2016207407A (ja) 2015-04-21 2016-12-08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07824A (zh) 2022-03-01
JP2022028880A (ja) 2022-02-16
US20210045448A1 (en) 2021-02-18
JP7279271B2 (ja) 2023-05-22
JP2022028878A (ja) 2022-02-16
KR102532401B1 (ko) 2023-05-15
JP2023012469A (ja) 2023-01-25
KR20230129633A (ko) 2023-09-08
ES2965687T3 (es) 2024-04-16
JPWO2019208536A1 (ja) 2021-02-12
JP7030237B2 (ja) 2022-03-04
JP7030238B2 (ja) 2022-03-04
TW202211828A (zh) 2022-04-01
TW202214136A (zh) 2022-04-16
HUE064346T2 (hu) 2024-03-28
JP2022153585A (ja) 2022-10-12
US20230389606A1 (en) 2023-12-07
CN112040796A (zh) 2020-12-04
EP3785555A1 (en) 2021-03-03
TWI819394B (zh) 2023-10-21
EP4133959B1 (en) 2023-11-08
JP7273232B2 (ja) 2023-05-12
TW202348152A (zh) 2023-12-16
KR20230037695A (ko) 2023-03-16
US11805813B2 (en) 2023-11-07
TWI745681B (zh) 2021-11-11
US11696601B2 (en) 2023-07-11
JP2022033840A (ja) 2022-03-02
US20230189885A1 (en) 2023-06-22
JP2023058713A (ja) 2023-04-25
JP2022028877A (ja) 2022-02-16
EP3785555A4 (en) 2022-03-16
KR102586323B1 (ko) 2023-10-10
TWI817207B (zh) 2023-10-01
TW202207823A (zh) 2022-03-01
EP4133959A1 (en) 2023-02-15
JP2022033838A (ja) 2022-03-02
TW201944915A (zh) 2019-12-01
TWI814106B (zh) 2023-09-01
WO2019208536A1 (ja) 2019-10-31
PL4133959T3 (pl) 2024-02-26
JP7043674B2 (ja) 2022-03-29
JP7469283B2 (ja) 2024-04-16
JP7158621B2 (ja) 2022-10-21
TWI816196B (zh) 2023-09-21
KR20240052890A (ko) 2024-04-23
PT4133959T (pt)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2583A (ko) 히터 어셈블리 및 용기
ES2905680T3 (es) Dispositivo de generación de aerosol y cámara de calentamiento para el mismo
RU2787237C2 (ru) Узел нагревателя и контейнер
JP7116854B2 (ja) ヒータアッセンブリ及び香味吸引器
EP3995011A1 (en) Heater assembly and flavor inhaler
CN112672657A (zh)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加热器组件的加热器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