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808A -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808A
KR20200136808A KR1020200011128A KR20200011128A KR20200136808A KR 20200136808 A KR20200136808 A KR 20200136808A KR 1020200011128 A KR1020200011128 A KR 1020200011128A KR 20200011128 A KR20200011128 A KR 20200011128A KR 20200136808 A KR20200136808 A KR 20200136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technician
terminal
sale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732B1 (ko
Inventor
이근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아시아
Publication of KR2020013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및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및 처리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정보와,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품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이 수신되면,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제품의 모델 번호를 포함하는 모델 정보, 제품이 배송 및 설치된 지역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 중 근무상태 신호가 활성화된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델 정보와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하고,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MANAGEMENT SYSTEM FOR MAINTENANCE SERVICE OF PRODU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와 웹사이트 서버를 연동하여 제품의 애프터서비스의 신청 및 처리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이나 기계설비 등과 같은 제품의 고장 또는 하자 발생 시, 고객은 서비스센터로 전화하거나 서비스센터의 웹사이트를 통해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하게 된다.
서비스센터로 전화하는 경우, 고객은 제품의 종류와 모델 번호, 고객의 이름, 주소, 연락처 등 기본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거나 통화가 되기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반면, 웹사이트를 통해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제품의 종류, 모델 번호와 고객의 주소, 연락처 등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신청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고객은 제품의 모델 번호가 표시된 위치를 찾는데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웹사이트를 통해 기술자가 언제 방문하는지, 서비스 비용은 얼마인지, 및 기술자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얻기는 어렵다.
한편, 제품의 판매자 및 제조사는 제품의 마케팅에 활용하거나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객이 애프터서비스를 받은 제품, 수량, 결제금액 등 애프터서비스의 처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얻기를 원한다.
따라서,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및 처리와 관련한 전 과정을 고객과 기술자, 판매자, 및 제조사가 공유할 수 있도록 애프터서비스의 신청 및 처리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하는 과정을 단순화하고, 애프터서비스의 처리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프터서비스의 신청 시 고객이 기술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술자의 위치,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명 제조사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및 가내 수공업체가 생산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및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및 처리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정보와,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품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이 수신되면,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제품의 모델 번호를 포함하는 모델 정보, 제품이 배송 및 설치된 지역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 중 근무상태 신호가 활성화된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델 정보와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하고,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기술자 단말기의 접속시 회원 인증을 수행하는 회원 인증부와; 상기 수신되는 제품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품의 모델 정보 및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제품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제품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모델 정보 및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를 검색하는 기술자 검색부와; 상기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기술자 단말기로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추출된 제품의 지역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간 거리 차이가 기 설정값 이하인 기술자 단말기로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추출된 제품의 지역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간 거리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기술자 단말기의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기술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기술자의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의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로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카메라부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한 제품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자 단말기는, 상기 기술자의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조사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조사 단말기로 소정 주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자 단말기는,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를 개인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품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VR 또는 AR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이미지에 추가된 가상 애프터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애프터서비스 정보는, 상기 제품의 수리 위치, 수리 방법, 부품의 교체, 부품의 위치 변경, 및 플러그인 안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 각각에 관한 검사 및 A/S 절차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해두고,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시 상기 저장된 프로세스 정보를 VR 또는 AR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애프터서비스가 완료된 제품의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품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품의 수리 위치, 수리 내용 등을 포함하는 A/S 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A/S 보고서를 상기 제조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 각각에 대응하는 SNS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지역, 출신학교, 및 경력 등을 포함하는 검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술자 단말기의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수집되는 스케줄 정보, A/S 처리 상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술자 평가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기술자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및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및 처리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에 있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품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제품의 모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모델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애프터서비스의 신청 및 처리 과정을 조회하도록 하여 고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시 고객이 기술자의 위치,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따라 기술자를 선택하도록 함에 의해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프터서비스의 처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고객과 기술자, 판매자, 및 제조사에게 공유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 및 마케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앱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앱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앱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 웹사이트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프터서비스 신청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프터서비스 신청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1)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제품(100)의 애프터서비스(A/S) 신청 요청을 수신하면,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A/S) 처리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 처리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일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20)는 예컨대 컨벡션 오븐, 그라인더, 커피머신, 믹서 등과 같은 제품(100)의 고장 또는 하자 발생 시,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을 서버(10)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20)는 제품(100)에 표시되어 있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촬영하고, 이로부터 생성된 바코드/QR코드 이미지(110)를 서버(10)로 전송한다.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이미지(110)는 제품(100)에 관한 모델 정보를 포함하고, 그 외에 제품(100)의 지역 정보, 고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델 정보는 예컨대 모델명 또는 모델 번호를 포함한다. 지역 정보는 제품(100)이 배송 또는 설치된 주소 또는 GPS 주소를 포함하고, 고객 정보는 예컨대, 고객 아이디, 고객 성명, 생년월일 등을 포함한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제품(100)의 바코드/QR코드 이미지(110)로부터 제품(100)의 모델 번호를 포함하는 모델 정보와, 제품이 배송 및 설치된 지역 정보를 추출한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제품(100)의 바코드/QR코드 이미지(110)로부터 제품(100)의 고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 중 추출된 제품(100)의 모델 정보 및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1)을 사용하는 소비자 및 기술자 등 모든 사용자들의 개인 휴대폰 또는 개인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수리 가능한 제품 또는 설비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기술자를 소비자가 선택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 중 근무상태 신호가 활성화된 기술자 단말기(3)로부터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0)는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100)의 바코드/QR코드 이미지(110)로부터 추출된 모델 정보와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30)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1)은 판매사 또는 제조사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기술자에 대해서도 제품(100)에 대한 애프터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로서, 판매사 또는 제조사에 소속되지 않고 프리랜서로 일하는 기술자들은 개인의 휴대폰 또는 개인 클라우드 서버에 본인이 수리 가능한 제품 또는 설비에 관한 데이터를 미리 등록해 놓고,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1)에 의해 구현되는 A/S 신청 앱 상에서 애프터서비스 요청이 올라오는 시점에 등록해 놓은 데이터를 곧바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기술자들은 근무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기술자가 근무상태를 '시작'으로 변경하면, 본인이 휴대폰 또는 개인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등록해 놓은 수리 가능한 제품 또는 설비에 관한 데이터를 5G 혹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10)로 즉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A/S 신청 앱 상에서 이러한 정보를 보고 기술자를 직접 선택하여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기술자가 근무상태를 '종료'로 변경하면,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할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의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에 따라 기술자 단말기(30)의 기술자에 의해 제품(100)의 애프터서비스가 처리되면, 서버(10)는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등록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과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한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제조사 단말기(4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객이 제품(100)의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하는 과정을 단순화하고, 애프터서비스의 처리 내역을 고객과 기술자. 판매자, 및 제조사에게 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1)은 서버(10)와 데이터베이스부(11)를 포함하고, 추가적인 구성으로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되는 원본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백업 서버(Backup Serv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1)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 기술자 단말기(30), 및 제조사 단말기(4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기(20), 기술자 단말기(30), 및 제조사 단말기(40) 각각의 웹 브라우저로부터의 HTTP 요청에 대해 응답을 처리하는 웹 서버(WEB Server)와, 동적 컨텐츠나 웹 응용프로그램 서비스를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부(11)와 연동할 수 있는 WAS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WAS 서버가 웹 서버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1)는 서버(1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서버(10)는 회원 인증부(101), 제품 정보 추출부(102), 기술자 검색부(103), 및 제어부(104)의 구성을 포함한다. 회원 인증부(101)는 사용자 단말기(20), 기술자 단말기(30), 및 제조사 단말기(40)가 서버(10)의 웹사이트에 접속시 회원 인증을 수행한다. 이 때, 회원 인증부(101)는 데이터베이스부(11)의 고객 정보 저장부(11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회원 인증을 수행한다.
제품 정보 추출부(102)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제품(100)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110)로부터 제품(100)의 모델 정보 및 지역 정보를 추출한다.
기술자 검색부(103)는 데이터베이스부(11)로부터 제품 정보 추출부(102)에서 추출된 모델 정보 및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30)를 검색한다.
제어부(104)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에 기초하여 기술자 검색부(103)에 의해 검색된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한다.
예로서, A/S 처리 앱을 통해 소비자가 '컨벡션 오븐' 제품의 바코드 이미지를 이용하여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컨벡션 오븐' 제품에 배정 가능한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 중 임의의 기술자 단말기(30)를 자동 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기술자에 의해 애프터서비스 처리가 완료된 후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한다.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은 예컨대, 애프터서비스가 처리된 제품(100)의 모델 번호, 교체된 부품명, 부품 수량, 교체된 부품의 사진 이미지, 고객명, 고객의 서명 이미지, 서비스 완료시간, GPS 주소,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 등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예컨대 기술자 단말기의 GPS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4)는 전송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로서, A/S 처리 앱을 통해 '컨벡션 오븐'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시, '컨벡션 오븐' 제품에 배정 가능한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 각각의 현재 위치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소비자는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된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 중 소비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기술자 단말기(30)를 직접 선택하여 애프터서비스 신청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비자가 지도 이미지 상에서 기술자 단말기(30)를 직접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옵션 설정에 의해 소비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기술자 단말기(30)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제품 정보 추출부(102)에서 추출된 제품(100)의 지역 정보와 기술자 단말기(30)의 위치 정보 간 거리 차이가 기 설정값 이하인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애프터서비스 신청 시, 제품(100)을 보유한 소비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를 자동 요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제품 정보 추출부(102)에서 추출된 제품(100)의 지역 정보와 기술자 단말기(30)의 위치 정보 간 거리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산출된 거리 차이에 기초하여 기술자 단말기(30)를 사용중인 기술자가 제품(100)이 위치한 장소까지 도달하는 도착 시간을 예측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에 기초하여 기술자 단말기(30)에 대응하는 기술자의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기술자에 의해 제품 수리가 완료된 후, 소비자는 A/S 처리 앱을 통해 기술자의 애프터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평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수리 완료 시 기술자는 소비자에게 서비스 비용을 제시하고, 소비자가 이를 지불하는 과정에서 결제 내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된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의 기술자에 대한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전송된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로서, A/S 처리 앱을 통해 소비자가 '커피 머신' 제품의 애프터서비스를 신청 시, '커피 머신'제품을 수리 가능한 복수의 기술자 각각의 서비스 평점과 서비스 비용을 조회해볼 수 있다. 소비자는 조회 결과로부터 서비스 평점이 높거나, 서비스 비용이 저렴한 기술자를 선택하여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A/S 처리 앱을 통해 소비자가 제품의 애프터서비스를 신청 시, 먼저 소비자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를 검색한 후, 검색된 기술자 단말기(30)의 기술자에 대한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을 조회하여 기술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제품(100)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기술자 단말기(30)로 제공하고,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VR(Virtual Reality) 또는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100)의 이미지에 추가된 가상 애프터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애프터서비스 정보는, 제품(100)의 수리 위치, 수리 방법, 부품의 교체, 부품의 위치 변경, 및 플러그인 안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VR 또는 AR 구현을 위해 실제 제품(100)의 이미지 상에 오버랩(overlap)되는 가상 이미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로서, 기술자가 해외와 같이 원거리에 있어 애프터서비스를 직접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되는 제품(100)의 사진 이미지로부터 제품(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간단한 수리만으로 해결 가능한 경우, 기술자는 기술자 단말기(3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고장이 발생한 제품(100)의 특정 위치 또는 특정 부품에 대한 조작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기술자 단말기(30)에서 가상 애프터서비스를 위한 VR 또는 AR 기능을 실행하여 제품(100)의 사진 이미지 상의 특정 위치에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안내문구를 메모 형태의 이미지로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제품(100) 각각에 관한 검사 및 A/S 절차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 기 저장해두고,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시 저장된 프로세스 정보를 VR 또는 AR 기술을 이용하여 기술자 단말기(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제품(100)에 대한 애프터서비스 처리를 담당할 기술자가 선택되면, 해당 제품(100)에 대한 A/S가 정해진 프로세스 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선택된 기술자의 기술자 단말기(30)로 VR 또는 AR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100)의 이미지 상에 프로세스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오버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술자는 VR 또는 AR로 구현되는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하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제품(100)에 대한 애프터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애프터서비스가 완료된 제품의 이미지를 수신하면, 제품(100)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품(100)의 수리 위치, 수리 내용 등을 포함하는 A/S 보고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A/S 보고서를 제조사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로서, 기술자가 애프터서비스 처리 과정에서 VR 또는 AR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100)을 촬영해가며 수리를 완료하면, 별도의 입력 과정 없이도 제품(100)의 이미지로부터 어떤 부분이 수리되었는지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자동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보고서 형태로 제조사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 각각에 대응하는 SNS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지역, 출신학교, 및 경력 등을 포함하는 검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4)는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기술자 단말기(30)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 등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수집되는 스케줄 정보, A/S 처리 상태와,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되는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술자 평가 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기술자 평가 보고서에 기초하여 기술자 단말기(30)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서비스 평점을 늘리기 위한 안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데이터베이스부(11)는 제품 정보 저장부(111), 기술자 정보 저장부(112), 애프터서비스 처리 정보 저장부(113), 및 고객 정보 저장부(114)를 포함한다. 회원 정보 저장부(114)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1)에 등록되어 있는 회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회원은 일반 소비자, 기술자, 본사 직원, 및 제조사 등을 포함하고, 각각의 회원 분류에 따라 저장되는 정보와 보안 수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회원에 대한 기본 정보는, 예컨대 이름, 연락처, 주소, 로그인 아이디, 패스워드, 지역, 소속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품 정보 저장부(111)는 제품(100)의 카테고리, 모델 번호, 모델명, 제조년도, 제조공장, 원가, 및 부품 정보 등을 저장한다.
기술자 정보 저장부(112)는 기술자의 이름, 소속, 연락처, 수리 가능 제품 카테고리,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 등 기술자의 애프터서비스 관련 정보들을 저장한다.
애프터서비스 처리 정보 저장부(113)는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애프터서비스 처리 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되는 정보는 제품(100)의 판매자와 제조사가 제품(100)의 마케팅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사용자 단말기(20), 기술자 단말기(30), 및 제조사 단말기(40)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1)의 서버(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기(20)는 통신부(201), 카메라부(202), 디스플레이부(203), 사용자입력부(204), 및 제어부(205)의 구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01)는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1)의 서버(1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통신부(20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통신방식으로 서버(10)와 통신하거나,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공유기를 통해 서버(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로서, 통신부(201)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201)가 통신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10)와 통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3)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로서, 디스플레이부(203)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3)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04)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로서, 사용자입력부(204)는 디스플레이부(203)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04)는 사용자 단말기(20)와 연결되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5)는 카메라부(202)에서 촬영한 제품(100)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110)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을 서버(1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205)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서버(1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203)가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05)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기술자 단말기(30)는 통신부(301), 카메라부(302), 디스플레이부(303), 사용자입력부(304), 및 프로세서(305)의 구성을 포함하고, 각 구성은 사용자 단말기(20)의 각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술자 단말기(30)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등으로 구현된다.
기술자 단말기(30)는 서버(10)로부터 제품(100)에 대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해 애프터서비스를 처리한 후,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결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일실시예로서, 기술자 단말기(30)는 기술자의 입력에 따라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제조사 단말기(4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서버(10)는 제조사 단말기(40)로 소정 주기로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된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제조사 단말기는 예컨대 PC, 스마트 폰, 태블릿 등으로 구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31에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제품(100)의 바코드/QR코드 이미지(110)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동작 S32에서, 서버(10)는 바코드/QR코드 이미지(110)로부터 제품(100)의 모델 정보를 추출한다.
동작 S33에서, 서버(10)는 추출된 제품(100)의 모델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동작 S34에서, 서버(10)는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한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추출된 제품(100)의 지역 정보와 위치 정보 간 거리 차이가 기 설정값 이하인 기술자 단말기(30)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기술자 단말기(30)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추출된 제품(100)의 지역 정보와 위치 정보 간 거리 차이에 기초하여 기술자 단말기(30)의 도착 시간을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수신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에 기초하여 기술자 단말기(30)에 대응하는 기술자의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된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30)의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제품(100)의 각 부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하고,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100)을 사용중인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부품의 점검 또는 교체 시기를 사전에 통보해줄 수 있다. 예로서, 제빙기의 경우 3개월에 한번 얼음이 생성되는 위치에 세척이 필요함을 사용자 단말기(20)로 통보하여, 소비자가 직접 세척을 하거나 애프터서비스 신청을 통해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일실시예로서, 서버(10)는 제품(100)의 과거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이용하여 제품(100)의 각 부품 별로 고장 또는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이 때,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으로부터 제품(100)의 부품 별 고장 시점 및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예측하는데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고, 이렇게 예측된 정보는 기술자 및 판매자에게 통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S41에서, 판매자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전자제품 또는 기계설비와 같은 제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제조사로 제품의 발주를 요청한다.
동작 S42에서, 제조사는 판매자의 발주 요청에 따라 제품을 출고하여 배송한다. 제조사는 제품 출고 시 제품에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부착하고, 출고일, 모델명, 제조일 등의 정보를 제조사의 출고 시스템에 등록한다.
동작 S43에서, 제품의 배송이 완료되면 판매자가 제품을 설치하고, 이 때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또는 QR코드에 지역 정보를 추가한다. 제조사가 출고 시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 판매자가 제품에 직접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부착할 수 있다.
동작 S44에서, 제품의 고장 또는 하자 발생 시, 소비자는 사용자 단말기(20)의 A/S 신청 앱을 통해 제품의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한다. 이 때, 소비자는 A/S 신청 앱을 이용하여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업로드함에 의해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한다.
동작 S45에서, 소비자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에 따라, 판매자는 등록된 수리업체의 기술자에게 제품의 애프터서비스를 요청하고, 기술자는 A/S 처리 앱을 이용하여 애프터서비스 업무를 수주하여 애프터서비스를 진행한다. 일실시예로서, 애프터서비스의 요청 시, 직전 수리한 업체를 즐겨찾기로 등록하여 재신청할 수도 있다.
동작 S46에서, 애프터서비스가 완료되면, 소비자는 기술자 단말기의 A/S 처리 앱을 통해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비용을 확인하고 직접 서명한다. 이 때, 기술자는 A/S 처리 앱에서 사용자 단말기(20)로 애프터서비스 비용을 청구하고, 소비자는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수신한 비용 내역을 신용카드, 페이, 전자지갑 등으로 결제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프랜차이즈 카페 또는 식당 등에서 사용하는 영업용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비용은 대부분 현금 결제로 처리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1)에 의하면 애프터서비스 비용을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신용카드 등으로 편리하게 결제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동작 S47에서, 소비자와 판매자는 유지보수 웹사이트를 통해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결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 소비자, 및 판매자는 제품의 수리 내역 및 부품 교체 횟수 등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기 다른 입장에서 제품의 품질과 관련하여 보다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기술자들 또한 제조사에 귀속되지 않고 독립적인 위치에서 애프터서비스를 처리하므로, 제품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앱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구성은, 기술자 단말기(30)의 A/S 처리 앱(51)에서 기술자가 A/S를 신청한 고객의 매장 도착 시 실행 화면의 예이다.
일실시예로서, 제품(100)의 애프터서비스 신청이 접수되면, 기술자는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한 고객의 매장 주소지로 방문하고, 기술자 단말기(30)에서 A/S 처리 앱(51)을 실행한다.
A/S 처리 앱(51)의 화면에는 기술자의 도착 시간(52)과, 매장 이름(53), 매장 주소 등이 표시되고, 기술자 단말기(30)의 GPS 위치(54)를 표시하여 등록되어 있는 매장의 GPS 주소와 동일한지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앱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구성은, 기술자 단말기(30)의 A/S 처리 앱(51)에서 기술자가 A/S 처리 내역을 등록하는 화면의 예이다.
일실시예로서, A/S 처리 앱(51)의 화면에서 기술자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등록하기 위해 '컨벡션 오븐' 제품(62)을 선택하고, 등록되어 있는 모델 번호(63)를 확인한다.
기술자는 수리 또는 교체가 완료된 부품 이름(64)과 수량(65)을 선택하고, 교체 전후 사진 이미지(66)를 등록한 후 'Complete' 버튼을 선택하여 A/S 처리 내역의 등록을 완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앱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구성은, 기술자 단말기(30)의 A/S 처리 앱(51)에서 고객이 A/S 처리 내역을 확인 후 서명하는 화면의 예이다.
일실시예로서, 고객은 A/S 처리 앱(51)의 화면에서 기술자의 이름(72)을 확인하고, 교체된 부품의 사진(73), 부품 이름과 수량(74)을 확인한다. A/S 처리 내역의 확인이 완료되면, 고객은 이름을 입력하고 직접 서명하도록 한다. 화면의 하단에는 A/S 가 완료된 날짜와 시간, GPS 주소가 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 웹사이트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구성은,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1)의 웹사이트(81)에서 판매자 또는 본사 담당자가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확인하는 화면의 예이다.
일실시예로서, 판매자 또는 본사 담당자는 웹사이트(81)의 화면에서 고객의 매장 이름(82)을 선택하여 A/S가 처리된 날짜(83)와, 제품 또는 설비 이름(84)을 조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판매자 또는 본사 담당자는 웹사이트(81)를 통해 날짜별로 제품들의 A/S 처리 내역을 확인함에 의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프터서비스 신청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은 제품(100)의 고장 또는 하자 발생 시, 사용자 단말기(20)의 A/S 신청 앱을 실행하여 제품(100)의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A/S 신청 앱 상에서, 고장이 발생한 제품(100)의 바코드/ QR코드를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바코드/QR코드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제품(100)의 모델 번호(92)와 제품명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이 때, 기술자 검색 버튼(93)을 선택하면, 해당 제품(100)을 수리 가능한 기술자 리스트(94)가 표시되고, 고객은 기술자의 서비스 평점과 서비스 비용을 비교하여 원하는 기술자의 체크박스(95)를 체크 후 선택 버튼(96)을 눌러 기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품(100)의 모델 번호(92)에 대응하는 기술자의 검색 시, 데이터베이스(11)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수리업체의 기술자 외에 제품(100) 주변의 기술자를 실시간으로 검색하도록 하고, 고객이 검색된 기술자의 서비스 평점과 서비스 비용을 비교하여 기술자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해외에서 직업 구매한 경우와 같이 제품(100)의 모델 번호(92)가 데이터베이스부(11)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 제품(100)의 주변이 아닌 지역별 또는 전국 검색을 통해 해당 제품의 수리가 가능한 기술자를 검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역별 또는 전국의 기술자는 본인이 수리 가능한 제품 또는 설비를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1)의 웹사이트를 통해 사전에 선택 또는 등록하여 고객이 A/S 신청 앱을 통해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프터서비스 신청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은 제품(100)의 고장 또는 하자 발생 시, 사용자 단말기(20)의 A/S 신청 앱을 실행하여 제품(100)의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A/S 신청 앱 상에서, 고장이 발생한 제품(100)의 바코드/ QR코드를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바코드/QR코드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제품(100)의 모델 번호(1002)와 제품명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이 때, 주소(1004)를 입력 후 기술자 검색 버튼(1005)을 선택하면, 주소(1004)에 대응하는 고객의 현 위치(1006)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기술자들의 위치(1007)를 지도 이미지(1003) 상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은 지도 이미지(1003) 상에 표시된 기술자들의 위치(1007)를 참조하여 원하는 기술자의 위치를 클릭 후 선택 버튼(1008)을 눌러 기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고객이 지도 이미지(1003) 상에 표시된 기술자들의 위치(1007)를 참조하여 직접 기술자를 선택할 필요 없이, 추천 검색 버튼(1009)를 클릭하여 지도 이미지(1003) 상에서 고객의 현 위치(1006)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기술자 'A'를 고객에게 자동으로 매칭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고객의 A/S 신청 앱 상에서 주변 기술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품의 애프터서비스를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10: 서버
101: 회원 인증부
102: 제품 정보 추출부
103: 기술자 검색부
104: 제어부
105: 제어부
11: 데이터베이스부
111: 제품 정보 저장부
112: 기술자 정보 저장부
113: 애프터서비스 처리 정보 저장부
114: 회원 정보 저장부
20: 사용자 단말기
201: 통신부
202: 카메라부
203: 디스플레이부
204: 사용자입력부
205: 프로세서
30: 기술자 단말기
301: 통신부
302: 카메라부
303: 디스플레이부
304: 사용자입력부
305: 프로세서
40: 제조사 단말기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및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및 처리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
    상기 제품의 모델 번호, 상기 제품의 각 부품에 관한 정보, 상기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신청 정보와,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품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품의 모델 번호를 포함하는 모델 정보, 상기 제품이 배송 및 설치된 지역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 중 근무상태 신호가 활성화된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델 정보와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로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기술자 단말기의 접속시 회원 인증을 수행하는 회원 인증부와;
    상기 수신되는 제품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품의 모델 정보 및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제품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제품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모델 정보 및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기술자 단말기를 검색하는 기술자 검색부와;
    상기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기술자 단말기로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 및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추출된 제품의 지역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간 거리 차이가 기 설정값 이하인 기술자 단말기로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술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추출된 제품의 지역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간 거리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기술자 단말기의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기술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기술자의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복수의 기술자 단말기의 서비스 평점 및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술자 단말기로 상기 애프터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송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카메라부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한 제품의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애프터서비스 신청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
    상기 기술자 단말기는, 상기 기술자의 서비스 비용에 관한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
    제조사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조사 단말기로 소정 주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애프터서비스 처리 내역을 전송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
    상기 기술자 단말기는, 수리 가능한 제품 정보를 개인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KR1020200011128A 2019-05-28 2020-01-30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KR102434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53 2019-05-28
KR20190062753 2019-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808A true KR20200136808A (ko) 2020-12-08
KR102434732B1 KR102434732B1 (ko) 2022-08-22

Family

ID=7377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128A KR102434732B1 (ko) 2019-05-28 2020-01-30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7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97B1 (ko) * 2021-05-20 2021-09-02 김정태 프린터기 종합 솔루션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KR102315592B1 (ko) 2021-04-01 2021-10-21 (주)테온 사용자 접근성이 개선된 전자 장비의 유지 보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743957A (zh) * 2021-08-19 2021-12-03 广西东信易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WebRTC与AR的在线售后服务的系统与方法
KR102362377B1 (ko) * 2021-02-23 2022-02-15 주식회사 인사커뮤니케이션 보청기별 옵션 사항을 제공하는 보청기 주문 서버 및 맞춤형 보청기를 주문하는 방법
KR102488003B1 (ko) 2022-06-15 2023-01-12 주식회사 이노솔루텍 It 서비스 접수 및 추적 관리 시스템
WO2023048688A1 (en) * 2021-09-21 2023-03-30 Türk Hava Yollari Tekni̇k Anoni̇m Şi̇rketi̇ Equipment information and maintenance monitor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KR102547091B1 (ko) * 2022-12-15 2023-06-23 박성모 유지 및 보수관리가 용이한 인쇄 물품 재고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658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리버타스 위치 기반 정보를 이용한 애프터서비스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16078A (ko) * 2014-04-04 2015-10-15 김윤환 설명서 검색 키워드를 활용한 애프터서비스 요청 방법
KR20170134211A (ko) * 2016-05-27 2017-12-06 김홍석 가상공간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업체간 b2b, b2c방식의 의한 시뮬레이션 공유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658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리버타스 위치 기반 정보를 이용한 애프터서비스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16078A (ko) * 2014-04-04 2015-10-15 김윤환 설명서 검색 키워드를 활용한 애프터서비스 요청 방법
KR20170134211A (ko) * 2016-05-27 2017-12-06 김홍석 가상공간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업체간 b2b, b2c방식의 의한 시뮬레이션 공유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377B1 (ko) * 2021-02-23 2022-02-15 주식회사 인사커뮤니케이션 보청기별 옵션 사항을 제공하는 보청기 주문 서버 및 맞춤형 보청기를 주문하는 방법
WO2022182079A1 (ko) * 2021-02-23 2022-09-01 주식회사 인사커뮤니케이션 보청기별 옵션 사항을 제공하는 보청기 주문 서버 및 맞춤형 보청기를 주문하는 방법
KR102315592B1 (ko) 2021-04-01 2021-10-21 (주)테온 사용자 접근성이 개선된 전자 장비의 유지 보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96997B1 (ko) * 2021-05-20 2021-09-02 김정태 프린터기 종합 솔루션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CN113743957A (zh) * 2021-08-19 2021-12-03 广西东信易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WebRTC与AR的在线售后服务的系统与方法
WO2023048688A1 (en) * 2021-09-21 2023-03-30 Türk Hava Yollari Tekni̇k Anoni̇m Şi̇rketi̇ Equipment information and maintenance monitor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KR102488003B1 (ko) 2022-06-15 2023-01-12 주식회사 이노솔루텍 It 서비스 접수 및 추적 관리 시스템
KR102547091B1 (ko) * 2022-12-15 2023-06-23 박성모 유지 및 보수관리가 용이한 인쇄 물품 재고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732B1 (ko)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732B1 (ko)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JP7005708B2 (ja) 配送員に情報を提供する電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752220B2 (ja) 電気的に動作する喫煙装置用の不良診断器具
CN107770233B (zh) 一种装修过程管控方法及装置
JP5848276B2 (ja) 情報推薦提供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939803B1 (ko) 온오프라인 연계 비즈니스 시스템
CN104616132A (zh) 一种物流信息管理系统和方法
US11049063B2 (en) Asset communication hub
KR10218018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인테리어 중개서버
CN108122333B (zh) 用于分配物品或服务的远程控制系统及其操作方法
KR20140146685A (ko) 벽지 인테리어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가상 벽지인테리어 제어방법
JP6473840B1 (ja) 空き家判定システム、空き家判定方法、および空き家判定プログラム
KR20220133688A (ko) 소비자와 부품 공급업체, 및 부품 장착업체에 통합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190026712A1 (en) Application sales management server system and edge server
JP6393869B2 (ja) 会員カード管理サーバ、および会員カード管理プログラム
KR20200024438A (ko) 매장 무인 판매 시스템
KR20120076618A (ko) 배달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2532A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207675A (ja) 空き家判定システム、空き家判定方法、および空き家判定プログラム
KR101414301B1 (ko) 상품정보 별 간단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N105912647B (zh) 一种移动互联网服务管理系统
JP2015056131A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サーバ及び情報管理端末
EP2680206A2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WO2019230747A1 (ja) 空き家判定システム、空き家判定方法、および空き家判定プログラム
KR101765759B1 (ko) 과다한 수리비 청구를 방지하기 위한 애프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