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394A -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 - Google Patents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394A
KR20200135394A KR1020207029220A KR20207029220A KR20200135394A KR 20200135394 A KR20200135394 A KR 20200135394A KR 1020207029220 A KR1020207029220 A KR 1020207029220A KR 20207029220 A KR20207029220 A KR 20207029220A KR 20200135394 A KR20200135394 A KR 20200135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ciprocating
flow path
packing
val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812B1 (ko
Inventor
노부유키 이시자키
다케시 오우치
다이스케 기쿠치
가즈히코 고지마
후토시 하세가와
코헤이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자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자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자키
Publication of KR2020013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7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stem guided at two or more p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0Preventing rotation of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왕복 이동체(2)는, 전향면(10a)을 포함하는 밸브체(6)와, 가이드통(4)에 의해 안내되는 밸브 축(7)과, 왕복 이동체(2)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시트(12a)에 대해 주회 형상으로 밀착하는 환상의 패킹(8)을 갖는다. 밸브체(6)는, 대직경부(9a)와, 대직경부(9a)로부터 1차 유로측을 향해 연장된 소직경부(9b) 및 전향부(10)를 포함한다. 대직경부(9a)는, 패킹(8)을 1차 유로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패킹(8)을 지지하는 플랜지면(9d)을 1차 유로측에 갖는다. 플랜지면(9d)은, 패킹(8)을 개재하여 밸브 시트(12a)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부(9b)의 외주에는, 오목부(9c)가 형성되고 있고, 패킹(8)의 일부는, 오목부(9c)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Description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
본 발명은 풋 밸브(foot valve)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프트식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에 관한 것이다.
배관 내의 유체를 한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체크 밸브가 알려져 있다. 체크 밸브에는, 밸브체의 동작 태양에 의해 분류되는 다양한 방식의 것이 있다.
이 중, 리프트식 체크 밸브는,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신속한 폐지(閉止) 동작이 가능하다. 특히, 스몰렌스키식의 리프트식 체크 밸브는,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수격(水擊)의 발생을 적절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에는, 밸브 시트와, 밸브 시트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왕복 요동하는 밸브체를 포함하고, 밸브 시트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 방향과 유체가 밸브체를 통과하는 통과 방향이 교차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 리프트식 체크 밸브의 밸브체에는, 유체를 유입 방향으로부터 통과 방향으로 전향시키는 전향면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체크 밸브의 밸브체에는, 이 체크 밸브의 폐지 상태에서 밸브체를 밸브 시트에 대해 밀착시키는 패킹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밸브체의 본체는 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되는데 대해, 패킹은 고무 재료 등의 탄력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되어 있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에서는, 밸브체의 중량, 유속, 유체의 온도나 유기용제 등의 유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패킹에 대해서도 충분히 내구성이 뛰어난 재료가 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이러한 역학적 부하, 유체로부터의 열적 부하나 화학적 부하가 가해지는 상태에서, 지수(止水) 성능의 열화를 억제 가능한 패킹이 선정되어 있었다.
또한, 체크 밸브 중, 수중 설치형 풋 밸브에서는, 미량의 누설이 허용되고 있었지만, 예를 들어 수면의 상방에 설치되는 풋 밸브에서는, 패킹의 지수성 및 내구성을 높이는 것의 중요성이 특히 높다.
본원 발명자는, 체크 밸브의 구조에 의해, 패킹의 지수성 및 그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특허 제2013/180108호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패킹의 지수성 및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 시트와, 이 밸브 시트에 대해 밀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왕복 이동체와, 이 왕복 이동체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1차 유로에 대해 교차하고 있는 2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통(guide tube)을 구비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로서, 상기 왕복 이동체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체를 상기 1차 유로측으로부터 상기 2차 유로측으로 전향시키는 전향면을 포함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왕복 이동체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통에 의해 안내되는 밸브 축과, 상기 밸브체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왕복 이동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해 주회(周回) 형상으로 밀착하는 환상(環狀)의 패킹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1차 유로측을 일방측으로 했을 때 반대측의 타방측에 있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을 향하여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패킹을 상기 1차 유로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킹을 지지하는 플랜지면을 상기 1차 유로측에 가지며, 상기 플랜지면은, 상기 연장부보다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킹을 개재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다른 부위보다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킹의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 시트와, 이 밸브 시트에 대해 밀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왕복 이동체와, 이 왕복 이동체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1차 유로에 대해 교차하고 있는 2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통을 구비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에 이용되는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로서,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체를 상기 1차 유로측으로부터 상기 2차 유로측으로 전향시키는 전향면을 포함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왕복 이동체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통에 의해 안내되는 밸브 축과, 상기 밸브체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왕복 이동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해 주회 형상으로 밀착하는 환상의 패킹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1차 유로측을 일방측으로 했을 때 반대측의 타방측에 있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패킹을 상기 1차 유로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킹을 지지하는 플랜지면을 상기 1차 유로측에 가지며, 상기 플랜지면은, 상기 연장부보다도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패킹을 개재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다른 부위보다도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킹의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에 이용되는 왕복 이동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킹의 지수성 및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를 구성하는 왕복 이동체의 상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왕복 이동체의 바닥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왕복 이동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이드캡의 바닥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왕복 이동체의 바닥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왕복 이동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를 구성하는 왕복 이동체의 상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가이드통에서의 밸브 축의 수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도 12의 XIVA-XIV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도 12의 XIVB-XIV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유량 4600L/min에서의 유체의 흐름, 및 동압(動壓)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유량 15400L/min에서의 유체의 흐름, 및 동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유량 19000L/min에서의 유체의 흐름, 및 동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변형예에 관한 왕복 이동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이하에 설명하는 부재의 형상, 치수, 배치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모든 도면에서,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하 방향을 규정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구성 요소의 상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관한 제품의 제조시나 사용시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에 이용되는 왕복 이동체의 개요>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 및 왕복 이동체(2)의 개요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체크 밸브(1)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체크 밸브(1)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밸브 축(7)의 축심을 포함하는 단면을 종단면이라고 호칭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리프트식 체크 밸브(1)는, 도 2에 나타내는 밸브 시트(12a)를 가진 밸브 박스(12)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밸브 시트(12a)에 대해 접촉/분리되는 왕복 이동체(2)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왕복 이동체(2)는, 도 2에 나타내는 밸브 시트(12a)에 대해 밀착하는 폐쇄 위치와, 도 3에 나타내는 밸브 시트(12a)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에 의해 규정되는 개폐 영역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체크 밸브(1)는, 왕복 이동체(2)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 유로와, 왕복 이동체(2)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1차 유로에 대해 교차하고 있는 2차 유로와, 왕복 이동체(2)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통(4)을 구비한다.
왕복 이동체(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향면(10a)을 포함하는 밸브체(6)와, 후술하는 가이드통(4)에 의해 안내되는 밸브 축(7)과, 왕복 이동체(2)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시트(12a)에 대해 주회(周回) 형상으로 밀착하는 환상(環狀)의 패킹(8)을 갖는다. 전향면(10a)은, 밸브체(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체를 1차 유로측으로부터 2차 유로측으로 전향시키는 면이다. 밸브 축(7)은, 밸브체(6)로부터 연장되어, 왕복 이동체(2)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통(4)에 의해 안내되어 있다. 패킹(8)은, 밸브체(6)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6)는, 1차 유로측을 일방측(바닥측)으로 했을 때 반대측의 타방측(상측)에 있는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大直徑部; 9a))와,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로부터 일방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부(21)란, 대직경부(9a)보다도 바닥측으로 연장된 부위를 말하며, 다른 부재인 가이드 와셔(9)의 일부와 전향부(10)를 포함하는 부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장부(21)는, 가이드 와셔(9)의 소직경부(小直俓部; 9b)와, 밸브 축(7)의 하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대직경부(9a)를 삽입통과하는 전향부(10)를 포함하는 부위를 말한다.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는, 패킹(8)을 1차 유로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패킹(8)을 지지하는 플랜지면(9m)을 1차 유로측에 갖는다.
플랜지면(9m)은, 연장부(21)보다도 밸브 축(7)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면(9m)의 적어도 일부가 패킹(8)을 개재하여 밸브 시트(12a)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1)(소직경부(9b))의 외주에는, 밸브 축(7)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다른 부위(소직경부(9b)의 하부에 있는 전향부(10)의 상부)보다도 움푹 패인 오목부(9c)가 형성되어 있고, 패킹(8)의 일부는, 오목부(9c)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관한 체크 밸브(1)에 의하면, 왕복 이동체(2)가 왕복 이동했을 때,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가 패킹(8)을 개재하여 밸브 시트(12a)에 반복 접촉함으로써,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특히, 패킹(8)과 밸브 시트(12a)의 상호 접촉면은, 왕복 이동체(2)의 왕복 방향에 대해 수직이므로, 왕복 이동체(2)(패킹(8))가 반복하여 밸브 시트(12a)에 접촉했다고 하여도, 패킹(8)에 가해지는 응력을 접촉 부위로부터 면방향에 대칭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만약, 패킹(8)과 밸브 시트(12a)의 상호 접촉면이 전향면(10a)에 대해 평행인 경우(왕복 이동체(2)의 왕복 방향에 대해 가해지는게 교차하고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플랜지면(9m)에 대한 미끄러지는 방향의 분력이 생겨서, 왕복 이동체(2)의 축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패킹(8)이 변형하기 쉬워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패킹(8)과 밸브 시트(12a)의 상호 접촉면이, 왕복 이동체(2)의 왕복 방향에 대해 수직이므로, 밸브 시트(12a)로부터 패킹(8)에 가해지는 항력을, 패킹(8)의 면방향에 치우침이 적은 응력으로 하여, 접촉 부위로부터 면방향에 대칭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패킹(8)이 면방향의 한 쪽에 치우쳐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패킹(8)의 지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킹(8)이 연장부(21)(소직경부(9b), 전향부(10))의 오목부(9c)에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시트(12a)로부터의 접촉 하중이 패킹(8)에 반복하여 가해졌다고 하여도, 왕복 이동체(2)로부터 패킹(8)이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패킹(8)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각 부의 구성>
이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를 구성하는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에 추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를 구성하는 왕복 이동체(2)의 상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왕복 이동체(2)의 바닥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왕복 이동체(2)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이드캡(3)의 바닥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는, 밸브체(6)를 포함하는 왕복 이동체(2)가 밸브 시트(12a)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왕복 요동하는, 리프트식 밸브이다. 체크 밸브(1)로 역류가 규제되는 유체는, 물 등의 액체 또는 공기 등의 기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에서, 밸브체(6)는 스프링체(20)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밸브 시트(12a)에 눌러붙여져 있으며, 본 실시형태의 체크 밸브(1)는, 소위 스몰렌스키식이다. 이 때문에, 스프링체(20)에 의한 바이어스력에 의해, 체크 밸브(1)는 유체의 흐름이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 흐르는 역류로 바뀌는 순간에, 밸브체(6)가 밸브 시트(12a)에 접촉하여 신속하게 유로를 폐지함으로써, 역류를 방지하여 수격(水擊) 발생을 억제하고, 그 폐지 상태의 확실성(지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렇지만, 체크 밸브(1)는, 스프링체(20)를 구비하여 밸브 시트(12a)에 밸브체(6)를 압압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왕복 이동체(2)의 자중에 의해, 또는, 왕복 이동체(2)의 자중과 밸브 축(7)과 후술하는 가이드통(4)에 의한 댐퍼 기구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밸브 시트(12a)에 밸브체(6)를 압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는, 앵글 밸브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체(6)의 왕복 이동 영역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 유로와, 밸브체(6)의 왕복 이동 영역을 사이에 두고, 1차 유로에 대해 교차하고 있는 2차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체크 밸브(1)는, 소위 풋 밸브로서 양수 펌프(lift pump; 도시하지 않음)의 1차측에 이용함으로써, 지수의 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양수관에서의 낙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체크 밸브(1)는, 액체 또는 기체(유체)를 유통시키는 유로에 마련되며, 밸브체(6)의 1차측과 2차측의 차압이 소정의 최저 작동 압력(크래킹 압력)을 초과해 있을 때, 밸브체(6)는 개방 상태가 되어 유체를 유통시킨다. 밸브체(6)의 1차측과 2차측의 차압이 음(-) 또는 최저 작동 압력 이하가 되었을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6)는 폐쇄 상태가 되어 유체의 유통은 차단된다.
또, 후술하는 가이드캡(3)의 보스(5a) 내의 잔류 공기에 의한 압력에 의해 밸브체(6)의 이동이 저해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원하는 양의 유통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면, 밸브체(6)는 반드시 전체 개방 상태가 되는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도 3에서는, 밸브체(6)의 전체 개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왕복 이동체(2)의 질량 및 스프링체(2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6)의 개방도는 유량에 따라 바뀌게 된다.
체크 밸브(1)는, 왕복 이동체(2)와, 밸브 시트(12a)를 가지며 왕복 이동체(2)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12)와, 가이드통(4)을 가지며 밸브 박스(12)에 설치되는 캡(가이드캡(3))과, 밸브체(6)와 캡(가이드캡(3))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밸브체(6)를 1차 유로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부재(스프링체(20))를 구비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체크 밸브(1)는, 밸브체(6) 등을 내부에 포함하는 관조인트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 박스(12)는, 로스트 왁스 제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대략 T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박스(12)에는, 상류측(1차측)에 플랜지부(13), 하류측(2차측)에 플랜지부(1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밸브 박스(12)는, 배관류(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밸브 박스(12)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자 모양의 부위의 하측 측면으로부터 플랜지부(13)의 중앙측 상면에 걸쳐,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흡인관(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기 위한 평탄한 설치대(15)가 형성되어 있다. 설치대(15)에는, 밸브 박스(12)의 1차 유로측의 내부까지 관통하는 감압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흡인 펌프를 작동하여, 흡인관으로부터 유체를 감압구(15a)를 향해 끌어 들임으로써, 밸브체(6)보다도 상류측을 진공압으로 하여 유체로 채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감압구(15a)에 압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작업자는, 밸브 박스(12) 내부의 압력 상태를 확인하여, 밸브 박스(12) 내부가 유체로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밸브 박스(12)에서의 상류의 흐름 방향의 연장 상에는, 후술하는 가이드캡(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박스(12)에서의 유출로(12d)의 하측의 연장상으로, 유입로(12c)의 유입 방향과 겹치는 부위가, 체크 밸브(1)에서의 밸브 시트(12a)를 구성하고 있다. 밸브 시트(12a)는, 유입로(12c)를 좁히도록 밸브 박스(12)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주회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왕복 이동체(2)는, 밸브 박스(12)의 내부를 왕복 이동하여, 1차 유로와 2차 유로 사이에서, 밸브체(6)를 밸브 시트(12a)에 대해 근접/이격시킴으로써, 유량에 따라 밸브체(6)의 개구량을 조정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왕복 이동체(2)는, 왕복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밸브 축(7)과, 밸브 축(7)의 하측 단부에 마련된 밸브체(6)와, 밸브 시트(12a)에 접촉 가능하게 밸브체(6)에 설치된 패킹(8)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축(7)은, 후술하는 가이드통(4)에 수용됨으로써, 왕복 이동체(2)가 밸브 축(7)의 축심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왕복 이동체(2)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밸브 축(7)은, 봉상(棒狀)으로 형성되어 밸브체(6)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밸브체(6)의 상면의 대부분은, 밸브 축(7)의 축심 방향(도 6에서의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밸브 축(7)은, 소직경부(7d), 중직경부(中直徑部; 7e) 및 대직경부(7f)를, 상단으로부터 전향부(10)에 접속하는 하단을 향하는 순으로 갖는다.
소직경부(7d)는, 후술하는 가이드통(4)에 수용되는 부위이다.
중직경부(7e)는, 후술하는 가이드 와셔(9)의 삽입통과 구멍(9i)을 지나는 부위로, 밸브 축(7)의 하단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중직경부(7e)의 상측의 외주면에 나사부(7a)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7a)는, 후술하는 너트(11)의 나사맞춤부(암나사)(11b)가 나사맞춤되는 부위이다.
대직경부(7f)의 외주면에는, 나사부(7g)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7g)는, 후술하는 가이드 와셔(9)의 나사맞춤부(암나사)(9j)가 나사맞춤되는 부위이다.
밸브체(6) 및 밸브 축(7)은,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등의 내식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 및 도 3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에서, 밸브 축(7)의 주위에 장착된 스프링체(20)가 밸브체(6)(가이드 와셔(9))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밸브 축(7)의 상단부의 중심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 방향으로 도피 구멍(7h)이 형성되어 있다. 도피 구멍(7h)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피 구멍(7h)이 가이드통(4)에 밸브 축(7)이 수용되었을 때의 유체의 도피처가 되고, 가이드통(4) 내의 압력이 높아져서, 왕복 이동체(2)의 이동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밸브체(6)는, 밸브 축(7)의 하측(1차 유로측)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전향부(10)와, 밸브 축(7)에 설치된 가이드 와셔(9)로 구성되어 있다.
전향부(10)는, 유체의 흐름을 1차 유로로부터, 1차 유로에 교차하는 2차 유로로 전향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밸브 축(7)의 축심 방향에 대해 가해지는게 절단된 전향면(10a)을 저면(底面)에 갖는다.
전향면(10a)은, 전향부(10)의 상면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평면이다. 즉, 전향부(10)는, 2차 유로 근방이 얇게 형성되어 있고, 2차 유로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체를 전향시킨다」란, 유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여 정면으로 마주 대하는 면에 유체가 충돌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 전향면에 닿은 후의 유체의 유동 방향이, 다시 2차 유로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향면(10a)에 의해 유체가 밸브 시트(12a)에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밸브체(6)의 통과 방향으로 전향되기 때문에, 유체가 밸브체(6)를 통과할 때, 유체의 속도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 시트(12a)에의 유입 방향과 밸브체(6)의 통과 방향이 교차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1)에서도 낮은 손실 수두(水頭)(마찰 저항)로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와셔(9)는, 왕복 이동체(2)가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체(2)의 하단측이 밸브 축(7)의 축심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밸브 박스(12)의 내벽(12b)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 와셔(9)는, 너트(11)에 의해 상면이 눌림으로써, 전향부(10)와의 사이에서 패킹(8)을 면방향으로 균등하게 지지하는 와셔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가이드 와셔(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축(7)의 하단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고, 대직경부(9a)를 상측에, 대직경부(9a)와 동축상에 형성된 소직경부(9b)를 하측에 구비한다. 가이드 와셔(9)의 중심에는, 삽입통과 구멍(9i, 9k)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9i)은, 밸브 축(7)이 가이드 와셔(9)에 설치된 상태에서, 밸브 축(7)의 중직경부(7e)가 지나는 부위에 있다. 삽입통과 구멍(9k)은, 삽입통과 구멍(9i)보다 하측에 연통한 위치에 있고, 밸브 축(7)이 가이드 와셔(9)에 설치된 상태에서, 밸브 축(7)의 대직경부(7f)가 지나는 부위에 있다. 삽입통과 구멍(9i)을 형성하는 내주면의 하측의 일부에, 대직경부(7f)의 나사부(7g)와 나사맞춤되는 나사맞춤부(암나사)(9j)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는, 밸브 박스(12)에서, 밸브 시트(12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벽(12b)의 지름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밸브체(6)의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는, 다른 부위보다도 밸브 축(7)의 선단측(상단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환상의 상측 주연부(9f)를 갖는다. 상측 주연부(9f)는, 밸브 박스(12)에서의 왕복 이동체(2)를 수용하는 부위의 내벽(12b)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가 상측 주연부(9f)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면, 왕복 이동체(2)가 왕복 이동할 때, 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가 밸브 박스(12)의 내벽(12b)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왕복 이동체(2)에 큰 흔들림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왕복 이동체(2)의 일부인 밸브체(6)의 상측 주연부(9f)가 내벽(12b)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왕복 이동체(2)가 상하 방향(밸브 축(7)의 축심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왕복 이동체(2)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으면, 상측 주연부(9f)는 반드시 환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가, 환상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밸브체(6)의 베이스부란, 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가 있는 부위이며, 도 6에서 이점 쇄선보다도 상방의 부위이다. 밸브체(6)의 연장부(21)는, 가이드 와셔(9)의 소직경부(9b) 및 전향부(10)를 포함하는, 도 6에서 이점 쇄선보다도 하방의 부위에 해당한다.
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의 상측이며, 상측 주연부(9f)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는, 상측 주연부(9f)보다도 하방(1차 유로측)으로 움푹 패인 상측 오목부(9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오목부(9g)에서의 지름 방향 내측에는, 상측 오목부(9g)보다도 하방(1차 유로측)으로 움푹 패인 스프링 좌면(座面)(9h)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좌면(9h)은, 스프링체(20)의 하단(下端)을 지지하는 좌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6)의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에서의 하측의 면인 플랜지면(9m)에는, 후술하는 패킹(8)을 수용하는 플랜지측 오목부(9e)가 형성되어 있다. 엄밀하게는, 플랜지측 오목부(9e)의 저면이 플랜지면(9m)이며, 플랜지측 오목부(9e)는, 가이드 와셔(9)의 하면의 바닥측 주연부(9d)보다도, 상측으로 움푹 패여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측 오목부(9e)는, 밸브 축(7)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밸브 시트(12a)와 겹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패킹(8)의 상부는, 플랜지측 오목부(9e)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패킹(8)의 적어도 일부가 플랜지측 오목부(9e) 내에 수용됨으로써, 작업자는, 패킹(8)을 플랜지측 오목부(9e) 내에 수용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가이드 와셔(9)에 밸브 축(7) 및 전향부(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와셔(9)와 전향부(10)에 의해 패킹(8)을 끼움지지하도록, 가이드 와셔(9)와 밸브 축(7)을 조립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전향부(10)의 외경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짧은 소직경부(9b)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연장부(21)인 전향부(10) 및 소직경부(9b)의 외주에 오목부(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9c)는, 대직경부(9a)의 하면과, 대직경부(9a)의 하면으로부터 연속하는 소직경부(9b)의 주면에 의해, 단면(斷面) L자 모양으로 형성된 부위와, 전향부(10)의 평탄한 상면이 겹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패킹(8)이 끼워맞춤될 수 있을 정도의 오목부(9c)가 있으면 되기 때문에, 이 면의 겹침에 대해서는, 밀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의 틈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이드 와셔(9)에서 지름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는 오목부(9c)와, 바닥측 주연부(9d)로부터 상측으로 움푹 패여 있는 플랜지측 오목부(9e)는, 공간적으로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9c)와 플랜지측 오목부(9e)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공간의 외경은, 패킹(8)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패킹(8)은, 체크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체(6)와 밸브 시트(12a)에 의해 압압되어 밸브 시트(12a)를 지수하는 부재이며, 가이드 와셔(9)와 전향부(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패킹(8)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구멍(8a)을 가지며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심구멍(8a)은, 밸브 축(7)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에 대한 외주면의 지름, 및 전향부(10)의 지름보다도 작고, 가이드 와셔(9)의 소직경부(9b)의 지름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패킹(8)의 중심구멍(8a)에 가이드 와셔(9)의 소직경부(9b)가 지나는 것으로, 패킹(8)은, 소직경부(9b)의 주위에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패킹(8)은, 고무제이기 때문에, 변형성이 좋아서 밸브 시트(12a)에 밀착함으로써, 양호하게 지수할 수 있다.
패킹(8)의 적어도 일부분은, 왕복 이동체(2)의 왕복 이동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했을 때 위쪽으로 봤을 때, 전향부(10)에 의해 가려지게 위치하고 있다. 한편, 패킹(8)의 전부는, 아래쪽으로 봤을 때, 가이드 와셔(9)에 의해 가려지게 위치하고 있다.
패킹(8)과 가이드 와셔(9)의 플랜지측 오목부(9e)는,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의 점착체에 의해 추가적으로 접착(또는 점착)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에멀젼 접착제나 에틸렌-초산 비닐수지 에멀젼 접착제 등의 내수성의 합성계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로서는, 시트 재료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 등의 내수성의 합성 수지계 점착제가 도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에서의 1차 유로측의 면과 연장부(21)의 일부(전향부(10)) 사이에, 패킹(8)이 끼움지지되어 있다.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와 연장부(21)(밸브 축(7)의 하부 및 전향부(10))는, 별개의 부재(가이드 와셔(9)와 밸브 축(7) 및 전향부(10))가 조립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와 연장부(21)가, 별개의 부재(가이드 와셔(9)와 밸브 축(7) 및 전향부(10))가 조립되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사이에 패킹(8)을 배치하기 쉬워진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패킹(8)이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것에 의해, 패킹을 변형시킴으로써 밸브체(6)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면, 반드시 베이스부와 연장부(21)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 패킹(8)은, 별개의 부재가 나사맞춤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끼움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축(7)의 하부에 있는 대직경부(7f)의 외주에 나사부(7g)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의 소직경부(9b)의 내주에는, 나사부(7g)에 나사맞춤되는 나사맞춤부(9j)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가이드 와셔(9)의 플랜지측 오목부(9e)에 패킹(8)을 배치한 상태에서, 밸브 축(7)을 선단으로부터 가이드 와셔(9)의 삽입통과 구멍(9i)을 통과시켜, 나사부(7g)에 나사맞춤부(9j)를 나사맞춤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패킹(8)의 내경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크게 형성된 전향부(10)와, 플랜지측 오목부(9e) 사이에 패킹(8)이 끼움지지되게 된다.
작업자는, 별개의 부재인 전향부(1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밸브 축(7)과 가이드 와셔(9)를 나사맞춤에 의해 조립하여, 패킹(8)을 가이드 와셔(9)와 전향부(10) 사이에 끼움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왕복 이동체(2)가 왕복 이동했다고 하여도 연장부(21)(밸브 축(7)의 하부 및 전향부(10))와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체크 밸브(1)는,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를, 타방측(상방측)으로부터 연장부(21)(밸브 축(7)의 하부 및 전향부(10))측을 향해 압압하는 이완방지 부재(너트(11))를 더 구비한다.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 축(7)을 삽입통과시키는 제1 삽입통과 구멍(삽입통과 구멍(9i, 9k))을 중앙에 갖는다. 삽입통과 구멍(9i)은, 가이드 와셔(9)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밸브 축(7)은, 가이드 와셔(9)가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부(가이드 와셔(9)의 대직경부(9a))보다도 타방측(상방측)의 외주면에 나사부(7a)를 갖는다.
이완방지 부재(너트(11))는, 밸브 축(7)을 삽입통과시키는 제2 삽입통과 구멍(삽입통과 구멍(11a))을 가지며, 나사부(7a)에 나사맞춤되는 나사맞춤부(11b)를 제2 삽입통과 구멍(삽입통과 구멍(11a))의 내주면에 갖는다.
너트(11)는, 탄성변형 가능한 마찰 링을 가지며, 이완방지 기능을 갖는다. 체크 밸브(1)는, 너트(11)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 와셔(9) 및 패킹(8)과 연장부(21)(밸브 축(7)의 하부 및 전향부(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너트(11)는, 이완방지 기능을 가지면 되고, 마찰 링을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더블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구체적으로는, 더블 너트 중 한 쪽 너트가, 쐐기(wedge) 형상의 돌기를 가지며, 다른 쪽 너트가 이 돌기를 수용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가이드 와셔(9)와 전향부(10)가 이격되지 않도록, 가이드 와셔(9)에 대해 전향부(10) 측으로 압압할 수 있으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과, 밸브 축(7)에 밸브 축(7)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돌기에 압축 스프링의 한 쪽 단부를 보유지지시키고, 압축 스프링의 다른 쪽 단부를 가이드 와셔(9)에 접촉시킴으로써, 가이드 와셔(9)를 전향부(10) 측으로 압압할 수 있다.
가이드캡(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박스(1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밸브체(6)의 상방측을 봉지(封止)하면서, 왕복 이동체(2)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캡(3)은,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통(4)과, 가이드통(4)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반 형상의 상판부(5)로 구성되어 있다.
상판부(5)는, 도 2에 나타내는 페룰(ferrule) 플랜지(5e)를 끝테두리에 가지며, 페룰 플랜지(5e)의 좌면(5f)(도 7 참조)이, 밸브 박스(12)의 상단부에 형성된 페룰 플랜지(12e)에 가스켓(16)을 개재하여 서로 겹쳐져서, 페룰 조인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작업자는, 페룰 조인트에 의해, 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밸브 박스(12)에 대해 가이드캡(3)을 수작업으로 탈착할 수 있으며, 밸브체(6)이나 스프링체(20)의 청소나 교환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판부(5)에서의 페룰 플랜지(12e)의 좌면(5f)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이며, 밸브 박스(12)의 상단부와 대향하는 부위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고정 나사(5c)가 2개의 설치 구멍(5b)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나사(5c)는, 밸브 박스(12)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에 걸어맞춤됨으로써, 가이드캡(3)이 밸브 박스(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판부(5)의 대략 중앙에는 가이드통(4)이 하방(1차 유로측)을 향해 세워져 있다.
가이드통(4)은, 밸브체(6)의 밸브 축(7)의 슬라이딩을 그 내면에서 안내하는 것이며, 상판부(5)로부터 밸브 시트(12a)측인 하방으로 연장되어, 밸브체(6)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밸브체(6)에 접속된 밸브 축(7)을 안내한다.
가이드통(4)에서의 밸브 축(7)을 수용하는 부위에는, 전향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상이며, 밸브 축(7)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관통공(4f)이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통(4)에 관통공(4f)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왕복 이동체(2)의 왕복 이동시에, 밸브 축(7)과 가이드통(4) 사이에 있는 유체를 관통공(4f)에 의해 가이드통(4)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가이드통(4)의 내부를 균압화할 수 있다. 즉, 관통공(4f)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통(4)이 댐퍼로서 기능하는 것을 막아서, 밸브체(6)가 개방되기 쉬워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캡(3)의 상판부(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보스(5a)가, 가이드통(4)의 연장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캡(3)은, 왕복 이동체(2)가 전체 개방 상태가 되는 근방에서, 보스(5a)의 내부에서 밸브 축(7)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캡(3)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았다.
즉, 보스(5a)는, 왕복 이동체(2)가 소정 이상 상승하면, 댐퍼로서 기능하여, 왕복 이동체(2)가 전체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완만히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왕복 이동체(2)가 전체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하여, 유체의 흐름이 밸브 박스(12)의 모서리에 닿지 않도록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때문에, 보스(5a)와 같은 관통공을 갖지 않는 밸브 축(7)의 수용부를 마련하여 댐퍼로서 기능시키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서도, 가이드통(4)에서의 관통공(4f)보다도 상부에 관통공을 갖지 않는 부위를 마련하면, 반드시 상판부(5)로부터 돌출된 보스(5a)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가이드통(4)은, 하단부에 대직경부(4a)를 가지며, 대직경부(4a)의 주연으로부터 밸브체(6) 측으로 돌출된 통형상의 입벽(立壁)(4b)을 갖는다. 입벽(4b)은, 밸브 축(7)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가이드통(4)에서의 밸브 축(7)을 수용하는 입구(4d)와 바이어스 부재(스프링체(20))를 이격시키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입벽(4b)에 의해 가이드통(4)에서의 밸브 축(7)을 수용하는 입구(4d)와 스프링체(20)를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체(20)가 입구(4d)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 축(7)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4개, 축심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평면부(7b)를 가지며, 비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가이드통(4)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축(7)의 왕복 이동 영역에서 밸브 축(7)과 겹치는 적어도 일부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4개, 축심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평면부(4g)를 가지며, 밸브 축(7)에 대응하는 비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밸브 축(7)은 가이드통(4)에 대해 회전ㄷ되지 않고 축심 방향으로 진퇴 이동한다.
가이드통(4)에는, 입벽(4b)의 지름 방향 내측에, 이완방지 부재(너트(11))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4e)가 형성되어 있다. 이완방지 부재(너트(11))는, 왕복 이동체(2)가 전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수용 오목부(4e)의 수용 저면(4c)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너트(11)가 가이드통(4)에 마련된 수용 오목부(4e)의 수용 저면(4c)에 접촉시킴으로써, 전체 개방 상태의 왕복 이동체(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너트(11)를 수용 오목부(4e)에 수용한 상태에서, 너트(11)의 흔들림을 수용 오목부(4e)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X)에 대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체크 밸브(1X)는, 체크 밸브(1)와 비교하여 구경이 큰 배관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X)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왕복 이동체(32)의 바닥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왕복 이동체(32)의 종단면도이다.
체크 밸브(1X)에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1X)에 관한 밸브 박스, 패킹(8) 및 너트(11)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크기 이외는 공통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체크 밸브(1X)는, 왕복 이동체(32)와, 왕복 이동체(32)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통(34)을 가진 가이드캡(33)을 주로 구비한다. 왕복 이동체(32)는, 왕복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밸브 축(37)과, 밸브 축(37)의 하측 단부에 마련된 밸브체(36)와, 밸브체(36)에 설치된 패킹(8)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36)는, 밸브 축(37)의 하측(1차 유로측)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전향부(40)와, 전향부(40)에 설치된 가이드 와셔(39)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 축(37)은, 소직경부(37d) 및 대직경부(37f)를, 상단으로부터 전향부(40)에 접속하는 하단을 향하는 순으로 갖는다.
소직경부(37d)는, 후술하는 가이드통(34)에 수용되는 부위이다.
대직경부(37f)는, 후술하는 가이드 와셔(39)의 삽입통과 구멍(39i)에 그 하측의 일부를 지나는 부위이며, 밸브 축(37)의 하단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대직경부(37f)의 상측의 외주면에 나사부(37a)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37a)는, 너트(11)의 나사맞춤부(암나사)(11b)가 나사맞춤되는 부위이다.
가이드 와셔(39)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부(39a)와 소직경부(39b)를 갖는다. 소직경부(39b)의 외주면에, 후술하는 전향부(40)의 나사맞춤부(40h)와 나사맞춤되는 나사부(39k)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와셔(39)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축(37)의 하단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고, 대직경부(39a)를 상측에, 대직경부(39a)와 동축상에 형성된 소직경부(39b)를 하측에 구비한다. 가이드 와셔(39)의 중심에는, 삽입통과 구멍(39i)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39i)은, 밸브 축(37)이 가이드 와셔(39)에 설치된 상태에서, 밸브 축(37)의 대직경부(37f)가 지나는 부위에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21)(전향부(40))에는, 패킹(8)의 1차 유로측(하면)과 접촉 가능한 부위에서, 밸브 축(37)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위보다도 돌출되는 돌기(돌출 테두리(40c))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 테두리(40c)는, 전향부(40)의 측벽(40b)으로부터 밸브 축(37)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주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장부(21)에 돌출 테두리(40c)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연장부(21)와 패킹(8)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여 패킹(8)을 연장부(21)의 상방에 두기 쉽게 하면서, 연장부(21)의 부피를 작게 하여 중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베이스부(가이드 와셔(39)의 대직경부(39a))와 연장부(21)(밸브 축(37)의 하부 및 전향부(40))는, 별개의 부재(밸브 축(37)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전향부(40)와 가이드 와셔(39))를 조립함으로써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21)(전향부(40))는 중공부(40f)를 내부에 갖는다. 연장부(21)(전향부(40))에서의 베이스부(가이드 와셔(39)의 대직경부(39a))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중공부(40f)에 연결되는 개구(40g)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축(37)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중공부(40f)의 최대 지름은, 개구(40g)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중공부(40f)를 포함하는 전향부(40)는, 유체의 전향 방향과 밸브 축(37)의 축심 방향을 면내에 포함하는 가상면(도 10의 종단면이며, 도 1의 가상 평면(P)에 대응하는 면)에 대해 경면(鏡面)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의 밸브체(36)의 베이스부란, 가이드 와셔(39)의 대직경부(39a)가 있는 부위이며, 도 10에 대해 이점 쇄선보다도 상방의 부위이다. 밸브체(36)의 연장부(21)는, 가이드 와셔(39)의 소직경부(39b) 및 전향부(40)를 포함하는, 도 10에서 이점 쇄선보다도 하방의 부위에 해당한다.
연장부(21)(전향부(40))에 중공부(40f)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왕복 이동체(32)를 경량화할 수 있다. 중공부(40f)를 포함하는 전향부(40)가, 전향 방향과 밸브 축(37)의 축심 방향을 면내에 포함하는 가상면에 대해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유체가 전향 방향으로 흐를 때, 유체로부터 연장부(2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연장부(21)가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유체의 흐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향부(40)에서, 개구(40g)를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소직경부(39b)의 나사부(39k)와 나사맞춤되는 나사맞춤부(암나사)(40h)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전향부(40)는, 가이드 와셔(39)의 소직경부(39b)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향부(40)는, 개구(40g)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외주의 상측에, 하측의 돌출 테두리(40c)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소직경부(40d)를 갖는다.
연장부(21)(전향부(40))는, 이와 같이 대경의 돌출 테두리(40c)와 소직경부(40d)를 가짐으로써, 도 10에서 이점 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테두리(40c)와 소직경부(40d)의 지름 방향의 길이의 차이인 오목부(40e)를 상측에 가지고 있다. 오목부(40e)는, 밸브 축(37)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전향부(40)에서의 돌출 테두리(40c)보다도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고, 패킹(8)의 일부는, 오목부(40e)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 오목부(40e)는, 대직경부(39a)의 하면과, 소직경부(40d)의 주면으로부터 연속하는 돌출 테두리(40c)의 상면에 의해 단면 L자 모양으로 형성된 부위가 겹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패킹(8)을 끼워맞춤될 수 있을 정도의 오목부(40e)가 있으면 되기 때문에, 이 면의 겹침에 대해서는, 밀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의 틈이 있어도 된다.
또, 전향부(40)에서 지름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는 오목부(40e)와, 플랜지측 오목부(39e)는, 공간적으로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0e)와 플랜지측 오목부(39e)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공간의 외경은, 패킹(8)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통(34)에서의 밸브 축(37)을 수용하는 부위에는, 전향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상 및 이 평면에 수직인 평면상이며, 밸브 축(37)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4개의 관통공(34f)이 형성되어 있다. 중유량용이므로 밸브 축(37)으로부터 가이드통(34)의 내부에 가해지는 압압력이 밸브 축(7)으로부터 가해지는 압압력보다 크더라도, 더 많은 관통공(34f)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통(34)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체를 도피시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왕복 이동체(32)의 왕복 이동에 관한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어,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 Y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체크 밸브(1Y)는, 중유량용 배관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1X)와 비교하여 구경이 큰 대유량용 배관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Y)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는, 체크 밸브(1Y)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3은, 체크 밸브(1Y)를 구성하는 왕복 이동체(52)의 상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가이드통(54)에서의 밸브 축(57)의 수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의 (a)는, 도 12의 XIVA-XIV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의 (b)는, 도 12의 XIVB-XIV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체크 밸브(1Y)에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 또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X)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1Y)에 관한 밸브 박스, 패킹(8) 및 너트(11)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것과 크기 이외는 공통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체크 밸브(1Y)는, 왕복 이동체(52)와, 왕복 이동체(52)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통(54)을 갖는 가이드캡(53)을 주로 구비한다. 왕복 이동체(52)는, 왕복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밸브 축(57)과, 밸브 축(57)의 하측 단부에 마련된 밸브체(56)와, 밸브체(56)에 설치된 패킹(8)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56)는, 밸브 축(57)의 하측(1차 유로측)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전향부(60)와, 전향부(60)에 설치된 가이드 와셔(59)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 축(57)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축(57)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57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밸브 축(57)에 관통공(57c)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밸브 축(57)의 관통공(57c)에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어서, 밸브 축(57)의 주위의 수압을 균압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왕복 이동체(52)가, 그 왕복 이동시에 덜컹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체크 밸브(1Y)의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체크 밸브(1Y)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밸브 축(57)을 관통공(57c)이 형성되어 있을 만큼 경량화할 수 있고, 수류에 대한 항력을 저감할 수 있어서, 손실 수두를 낮출 수 있다.
특히, 관통공(57c)은, 전향 방향을 면내에 포함하는 가상 평면(도 12의 종단면이며, 도 1의 가상 평면(P)에 대응하는 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관통공(57c)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밸브 축(57)의 관통공(57c)를 지나는 유체가, 전향하는 유체의 주류(主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이드통(54)에서의 밸브 축(57)을 수용하는 부위에는, 제1 관통공(관통공(54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밸브 축(57)에 형성된 관통공(57c)을, 제2 관통공으로 하면, 제1 관통공(관통공(54f))과 제2 관통공(관통공(57c))은, 밸브 축(57)의 일부가 가이드통(54)에 수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축(57)의 관통공(57c)은, 가이드통(54)의 관통공(54f)보다도 축심 방향에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56)를 소정 이상 개방하도록 밸브 축(57)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관통공(57c)의 일부에 관통공(54f)이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 축(57)의 일부가 가이드통(54)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관통공(54f) 및 관통공(57c)을 통해 밸브 축(57) 및 가이드통(54)에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어, 가이드통(54)의 주위의 수압을 균압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왕복 이동체(52)가, 그 왕복 이동시에 덜컹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체크 밸브(1Y)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제1 관통공(관통공(54f))의 폭은, 제2 관통공(관통공(57c))의 폭보다도 크다.
관통공(54f)의 폭이 관통공(57c)의 폭보다도 크므로, 관통공(54f)의 전체 폭에 걸쳐서, 관통공(54f)을 지나는 유체를 관통공(57c)에 통과시켜, 가이드통(54)의 주위의 수압을 균압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왕복 이동체(52)가, 그 왕복 이동시에 덜컹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체크 밸브(1Y)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축(57)의 외주면 및 가이드통(54)의 내주면의 각각에서의, 가이드통(54)이 밸브 축(57)을 수용했을 때에 대향하는 부위에, 밸브 축(57)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부(54g, 57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평면부(54g)와 평면부(57b)는, 평행(대략 평행을 포함함)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통(54)에의 밸브 축(57)의 수용시에, 밸브 축(57)의 외주면에 있는 평면부(57b)와, 가이드통(54)의 내주면에 있는 평면부(54g)가 대향하는 위치에 있음으로써, 밸브 축(57)이 가이드통(5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통공(57c)의 위치가, 전향 방향을 면내에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가이드 와셔(59)의 대직경부(59a))의 타방측의 면(상면)이며, 상측 주연부(59f)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는, 상측 주연부(59f)보다도 하방(1차 유로측)으로 움푹 패인 타방측 오목부(상측 오목부(59g))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오목부(59g)에는, 상측 주연부(59f)의 내측면의 상하에 걸쳐 접속된, 측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의 리브(59m)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브(59m)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측 오목부(59g)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낮춰졌던 가이드 와셔(59)의 강성(剛性)을 높일 수 있다.
이완방지 부재(너트(11))는, 왕복 이동체(52)가 전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통(54)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너트(11)가 가이드통(54)에 접촉함으로써, 전체 개방 상태의 왕복 이동체(52)의 상한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동압 분포>
이어서, 체크 밸브(1Y)에 유체를 흘렸을 때의 각 유량에서의 동압 분포에 대해,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유량 4600L/min(밸브 개방도 21.9%)에서의 유체의 흐름, 및 동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유량 15400L/min(밸브 개방도 73.4%)에서의 유체의 흐름, 및 동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유량 19000L/min(밸브 개방도 100%)에서의 유체의 흐름, 및 동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색이 진할수록(도트가 많을수록), 동압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 4600L/min(밸브 개방도 21.9%)에서는, 유체가 밸브 시트(12a)와 밸브체(56)의 패킹(8) 사이를 통과한 후에, 동압(DP1)이 낮아져 있다. 유체가 1차 유로측으로부터 밸브 시트(12a)와 패킹(8) 사이를 통과한 후에, 2차 유로에서 유로가 급확대된다. 이 때문에 유체의 주류가 확산 및 박리(剝離)함으로써, 압력 손실이 커진다. 또한, 밸브 시트(12a)와 패킹(8)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는, 통과하는 초기 단계에서 폭이 좁은 흐름이 된다. 그 흐름의 양측에 소용돌이(W)가 생김으로써, 압력 손실이 커진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 15400L/min(밸브 개방도 73.4%)에서는, 유체가 1차 유로측으로부터 밸브 시트(12a)와 패킹(8) 사이를 통과한 후에, 동압(DP2)이 낮아져 있다. 그렇지만, 동압(DP2)의 저하율은, 동압(DP1)의 저하율과 비교하여 낮게 억제되어 있다. 상기 밸브 개방도이면, 유체가 1차 유로측으로부터 밸브 시트(12a)와 패킹(8) 사이를 통과한 후에, 2차 유로에서의 유로의 확대량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유체의 주류가 확산 및 박리가 억제됨으로써, 압력 손실이 작아진다. 또한, 상기 밸브 개방도이면, 밸브 시트(12a)와 패킹(8)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는, 통과하는 초기 단계에서 비교적 폭이 넓은 흐름이 된다. 이 때문에, 큰 소용돌이(W)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압력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 19000L/min(밸브 개방도 100%)에서는, 유체가 1차 유로측으로부터 밸브 시트(12a)와 패킹(8) 사이를 통과한 후에, 동압(DP3)의 저하는 거의 없다. 그렇지만, 전향부(60) 근방의 동압(DP4)은 동압(DP3)과 비교하여 낮아져 있다. 이것은, 밸브 박스(61)의 내벽의 모서리(61f)가 유체의 유로상에 노출되는 만큼, 전향부(60)가 상승함으로써, 유체가 모서리(61f)에 닿게 된다. 이 때문에, 모서리(61f)에 닿은 유체에 박리가 생김으로써, 동압(DP3)이 동압(DP4)과 비교하여 낮아져 있고, 비교적 높은 압력 손실이 생기고 있다.
밸브체(56)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스프링체(20)의 탄성력이나, 왕복 이동체(52)의 중량을 설정하여, 이들을 선정함으로써, 적당한 밸브 개방도의 범위로 하여 압력 손실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형태>>
이어서,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Z)를,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Z)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화살표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체크 밸브(1Z)는, 직선적으로 배치된 2개의 배관의 간극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Z)에서의 밸브 박스(70)에 수용된 부재의 구성은, 체크 밸브(1X)의 내부 구성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체크 밸브(1Z)는, 밸브 박스(70)를 갖는 T형관(71)과, 유입 밸브통(72)과, 유입 밸브통(72)에 설치된 엘보(73), T형관(71)에서의 유체의 유출측에 설치된 엘보(74)와, 엘보(73, 74)의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 부재(75, 76)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T형관(71)은, T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T형관(71) 중,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그 연장 방향으로 평행하게 왕복 이동 가능한 왕복 이동체(32)가 배치되고, 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통(34)을 갖는 가이드캡(33) 등이 배치되어 있다.
유입 밸브통(72)은, 원관(円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T형관(71)의 1차 유로측의 내주면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유입 밸브통(72) 중 T형관(7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 단면(72b)은 밸브 시트(12a)로서 기능한다.
엘보(73)의 일단은, 유입 밸브통(72)의 외측 단면(72a)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엘보(73)의 타단은, 플랜지 부재(75)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엘보(74)의 일단은, T형관(71)의 유출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엘보(74)의 타단은, 플랜지 부재(76)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플랜지 부재(75) 및 플랜지 부재(76)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엘보(73) 및 엘보(74)는, 그 관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만곡 부분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보(73) 및 엘보(74)가 만곡 부분만으로 실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태양을 예시하지만, 이으로 한정되지 않고, 엘보(73) 및/또는 엘보(74)는 관 길이의 일부에 직선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엘보(73) 및 엘보(74)의 관 길이는, 이들 축심상의 길이를 말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75)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엘보(73)를 따라 만곡하여 흐르고, 엘보(73)로부터 유입 밸브통(72)에 매끄럽게 유입하여 왕복 이동체(32)를 밀어 올린다. 전향부(40)에 의해 전향된 유체는, T형관(71)의 2차 유로로부터 엘보(74)에 매끄럽게 유입한다. 그리고, 유체는 엘보(74)를 따라 만곡하여 흘러서 플랜지 부재(76)로부터 유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플랜지 부재(75)의 유입 방향과 플랜지 부재(76)의 유출 방향은 동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체크 밸브(1Z)는 스트레이트형이다. 다시 말하면, 1차 유로와 2차 유로가 직교하여 앵글형의 체크 밸브 기능을 가진 T형관(71) 및 그 내부 구성에 대해, 엘보(73)와 엘보(74)를 접속함으로써, 스트레이트형의 체크 밸브(1Z)가 구성되게 된다.
엘보(73, 74)의 각도, 크기 또는 길이는, 설치하는 배관의 배치나 크기에 맞추어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Z)는, T형관(71)과, 유입 밸브통(72)과, 엘보(73)와, 엘보(74)와, 플랜지 부재(75, 76)가 접합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1Z)는, 로스트 왁스법 그 밖의 주조 등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왕복 이동체에 대해서는, 밸브 축과 전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 변형예에 관한 왕복 이동체(82)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변형예에 관한 왕복 이동체(82)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왕복 이동체(82)는, 밸브 축(87)과, 가이드 와셔(89)와 전향부(90)로 이루어지는 밸브체(86)와, 가이드 와셔(89)와 전향부(90)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패킹(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밸브 축(87)은, 그 하단부의 외주부에 나사부(87a)를 갖는다. 밸브 축(87)의 측면에는, 관통공(87c)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와셔(89)는, 중앙 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통과 구멍(89i)을 가지며, 삽입통과 구멍(89i)의 내면에 암나사인 나사맞춤부(89j)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와셔(89)의 상면에는, 화살표에 의해 전향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지시 홈(89k)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나사맞춤부(89j)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밸브 축(87)과 가이드 와셔(89)를 소정의 나사 체결량으로 나사맞춤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나사 포함량은, 방향 지시 홈(89k)이 가리키는 방향이, 관통공(87c)이 관통하는 방향에 대해, 평면에서 볼 때 수직 방향이 되는 양이다.
전향부(90)는, 그 상면에서 중앙부(90a)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90a)에 암나사를 갖는 나사 구멍인 나사맞춤부(90b)를 갖는다. 중앙부(90a)의 지름 방향으로 2개의 리브(90c)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왕복 이동체(82)는, 밸브 축(87)의 나사부(87a)가 가이드 와셔(89)의 나사맞춤부(89j)에 나사맞춤되고, 가이드 와셔(89)와 전향부(90) 사이에 패킹(8)을 배치한 상태에서, 전향부(90)의 나사맞춤부(90b)에 나사부(87a)를 나사맞춤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를 구성하는 왕복 이동 부재의 각종 구성요소는, 개개로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다. 복수의 구성요소가 한 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어느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인 것, 어느 구성요소의 일부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가 중복해 있는 것, 등을 허용한다.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밸브 시트와, 이 밸브 시트에 대해 밀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왕복 이동체와, 이 왕복 이동체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1차 유로에 대해 교차하고 있는 2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통을 구비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로서, 상기 왕복 이동체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체를 상기 1차 유로측으로부터 상기 2차 유로측으로 전향시키는 전향면을 포함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왕복 이동체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통에 의해 안내되는 밸브 축과, 상기 밸브체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왕복 이동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해 주회 형상으로 밀착하는 환상의 패킹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1차 유로측을 일방측으로 했을 때 반대측의 타방측에 있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패킹을 상기 1차 유로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킹을 지지하는 플랜지면을 상기 1차 유로측에 가지며, 상기 플랜지면은, 상기 연장부보다도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킹을 개재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다른 부위보다도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킹의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2) 상기 베이스부에서의 상기 1차 유로측의 면과 상기 연장부의 일부와의 사이에, 상기 패킹이 끼움지지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장부는, 별개의 부재가 조립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체크 밸브.
(3) 상기 별개의 부재가 나사맞춤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상기 패킹이 끼움지지되어 있는 (2)에 기재된 체크 밸브.
(4)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측을 향해 압압하는 이완방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밸브 축을 삽입통과시키는 제1 삽입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밸브 축은, 상기 베이스부보다도 상기 타방측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이완방지 부재는, 상기 밸브 축을 삽입통과시키는 제2 삽입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나사맞춤부를 상기 제2 삽입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갖는 (3)에 기재된 체크 밸브.
(5) 상기 이완방지 부재는, 상기 왕복 이동체가 전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통에 접촉하는 (4)에 기재된 체크 밸브.
(6) 상기 가이드통에는, 상기 이완방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완방지 부재는, 상기 왕복 이동체가 전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 오목부의 수용 저면에 접촉하는 (5)에 기재된 체크 밸브.
(7) 상기 베이스부에서의 상기 플랜지면에 플랜지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측 오목부는, 상기 밸브 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겹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랜지측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8) 상기 밸브 시트를 가지며 상기 왕복 이동체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와, 상기 가이드통을 가지며 상기 밸브 박스에 장착되는 캡과, 상기 밸브체와 상기 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밸브체를 상기 1차 유로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통은, 그 주연으로부터 상기 밸브체측으로 돌출된 입벽을 가지며, 이 입벽은,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통에서의 상기 밸브 축을 수용하는 입구와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이격시키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9) 상기 가이드통에서의 상기 밸브 축을 수용하는 부위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10) 상기 밸브 축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11) 상기 가이드통에서의 상기 밸브 축을 수용하는 부위에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축에 형성된 관통공은 제2 관통공이며,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밸브 축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통에 수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체크 밸브.
(12) 상기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 1 관통공의 폭은, 상기 제 2 관통공의 폭보다 큰 (11)에 기재된 체크 밸브.
(13) 상기 밸브 축에는, 전향 방향을 면내에 포함한 가상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14)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패킹의 1차 유로측과 접촉 가능한 부위에서,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위보다도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15) 상기 밸브 축의 외주면 및 상기 가이드통의 내주면의 각각에서의, 상기 가이드통이 상기 밸브 축을 수용했을 때에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밸브 축에 축심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부가 각각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16)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장부는, 별개의 부재가 조립됨으로써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에서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결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의 최대 지름은,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개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유체의 전향 방향과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을 면내에 포함하는 가상면에 대해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17) 상기 밸브 시트를 가지며 상기 왕복 이동체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다른 부위보다도 상기 밸브 축의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주연부를 가지며, 이 주연부는, 상기 밸브 박스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18)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타방측의 면에는, 상기 주연부보다도 움푹 패인 타방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타방측 오목부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17)에 기재된 체크 밸브.
(19)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제 1 관통공보다도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서 긴 (11)에 기재된 체크 밸브.
(20) 밸브 시트와, 이 밸브 시트에 대해 밀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왕복 이동체와, 이 왕복 이동체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1차 유로에 대해 교차하고 있는 2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통을 구비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에 이용되는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로서,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체를 상기 1차 유로측으로부터 상기 2차 유로측으로 전향시키는 전향면을 포함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왕복 이동체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통에 의해 안내되는 밸브 축과, 상기 밸브체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왕복 이동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해 주회 형상으로 밀착하는 환상의 패킹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1차 유로측을 일방측으로 했을 때에 반대측의 타방측에 있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패킹을 상기 1차 유로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킹을 지지하는 플랜지면을 상기 1차 유로측에 가지며, 상기 플랜지면은, 상기 연장부보다도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고 있고, 상기 플랜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패킹을 개재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다른 부위보다도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의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
이 출원은, 2018년 3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044510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넣는다.
1, 1X, 1Y, 1Z 체크 밸브
2  왕복 이동체
3  가이드캡(캡)
4  가이드통
4a  대직경부
4b  입벽
4c  수용 저면
4d  입구
4e  수용 오목부
4f  관통공
4g  평면부
5  상판부
5a  보스
5b  설치 구멍
5c  고정 나사
5e  페룰 플랜지
5f  좌면(座面)
6  밸브체
7  밸브 축
7a  나사부
7b  평면부
7d  소직경부
7e  중직경부
7f  대직경부
7g  나사부
7h  도피 구멍
8  패킹
8a  중심 구멍
9  가이드 와셔
9a  대직경부(베이스부)
9b  소직경부(연장부)
9c  오목부
9d  바닥측 주연부
9e  플랜지측 오목부
9f  상측 주연부(주연부)
9g  상측 오목부
9h  스프링 좌면
9i  삽입통과 구멍(제1 삽입통과 구멍)
9j  나사맞춤부
9k  삽입통과 구멍(제1 삽입통과 구멍)
9m  플랜지면
10  전향부
10a  전향면
11  너트(이완방지 부재)
11a  삽입통과 구멍(제2 삽입통과 구멍)
11b  나사맞춤부
12  밸브 박스
12a  밸브 시트
12b  내벽
12c  유입로(1차 유로)
12d  유출로(2차 유로)
12e  페룰 플랜지
13, 14 플랜지부
15  설치대
15a 감압구
16  가스켓
20  스프링체
21  연장부
32  왕복 이동체
33  가이드캡
34  가이드통
34f  관통공
36  밸브체
37  밸브 축
37a  나사부
37d  소직경부
37f  대직경부
39  가이드 와셔
39a  대직경부(베이스부)
39b  소직경부
39e  플랜지측 오목부
39i  삽입통과 구멍
39k  나사부
40  전향부(연장부)
40a  전향면
40b  측벽
40c  돌출 테두리(돌기)
40d  소직경부
40e  오목부
40f  중공부
40g  개구
40h  나사맞춤부
52  왕복 이동체
53  가이드캡
54  가이드통
54f  관통공(제1 관통공)
54g  평면부
56  밸브체
57  밸브 축
57b  평면부
57c  관통공(제2 관통공)
59  가이드 와셔
59a  대직경부(베이스부)
59f  상측 주연부(주연부)
59g  상측 오목부(타방측 오목부)
59m  리브
60  전향부
61  밸브 박스
61f  모서리
70  밸브 박스
71  T형관
72  유입 밸브통
72a  외측 단면
72b  내측 단면(밸브 시트)
73, 74 엘보
75, 76 플랜지 부재
82  왕복 이동체
86  밸브체
87  밸브 축
87a  나사부
87c  관통공
89  가이드 와셔
89i  삽입통과 구멍
89j  나사맞춤부
89k  방향 지시 홈
90  전향부
90a  중앙부
90b  나사맞춤부
90c  리브
DP1, DP2, DP3, DP4  동압
P  가상 평면
W  소용돌이

Claims (19)

  1. 밸브 시트와,
    이 밸브 시트에 대해 밀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왕복 이동체와,
    이 왕복 이동체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1차 유로에 대해 교차하고 있는 2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통을 구비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로서,
    상기 왕복 이동체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체를 상기 1차 유로측으로부터 상기 2차 유로측으로 전향시키는 전향면을 포함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왕복 이동체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통에 의해 안내되는 밸브 축과,
    상기 밸브체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왕복 이동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해 주회(周回) 형상으로 밀착하는 환상의 패킹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1차 유로측을 일방측으로 했을 때에 반대측의 타방측에 있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패킹을 상기 1차 유로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킹을 지지하는 플랜지면을 상기 1차 유로측에 가지며,
    상기 플랜지면은, 상기 연장부보다도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킹을 개재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다른 부위보다도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킹의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서의 상기 1차 유로측의 면과 상기 연장부의 일부와의 사이에, 상기 패킹이 끼움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장부는, 별개의 부재가 조립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부재가 나사맞춤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상기 패킹이 끼움지지되어 있는 체크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측을 향해 압압하는 이완방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밸브 축을 삽입통과시키는 제1 삽입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밸브 축은, 상기 베이스부보다도 상기 타방측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이완방지 부재는, 상기 밸브 축을 삽입통과시키는 제2 삽입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나사맞춤부를 상기 제2 삽입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갖는 체크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완방지 부재는, 상기 왕복 이동체가 전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통에 접촉하는 체크 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에는, 상기 이완방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완방지 부재는, 상기 왕복 이동체가 전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 오목부의 수용 저면에 접촉하는 체크 밸브.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서의 상기 플랜지면에 플랜지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측 오목부는, 상기 밸브 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겹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랜지측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체크 밸브.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를 가지며 상기 왕복 이동체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와,
    상기 가이드통을 가지며 상기 밸브 박스에 설치되는 캡과,
    상기 밸브체와 상기 캡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밸브체를 상기 1차 유로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통은, 그 주연으로부터 상기 밸브체측으로 돌출된 입벽을 가지며,
    이 입벽은,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통에서의 상기 밸브 축을 수용하는 입구와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이격시키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에서의 상기 밸브 축을 수용하는 부위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에서의 상기 밸브 축을 수용하는 부위에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축에 형성된 관통공은 제2 관통공이며,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밸브 축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통에 수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 1 관통공의 폭은, 상기 제 2 관통공의 폭보다 큰 체크 밸브.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에는, 전향 방향을 면내에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패킹의 1차 유로측과 접촉 가능한 부위에서,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위보다도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의 외주면 및 상기 가이드통의 내주면의 각각에서의, 상기 가이드통이 상기 밸브 축을 수용했을 때에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밸브 축에 축심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부가 각각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체크 밸브.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장부는, 별개의 부재가 조립됨으로써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에서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결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의 최대 지름은,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개구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유체의 전향 방향과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을 면내에 포함하는 가상면에 대해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를 가지며 상기 왕복 이동체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다른 부위보다도 상기 밸브 축의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주연부를 가지며,
    이 주연부는, 상기 밸브 박스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타방측의 면에는, 상기 주연부보다 움푹 패인 타방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타방측 오목부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19. 밸브 시트와,
    이 밸브 시트에 대해 밀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왕복 이동체와,
    이 왕복 이동체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1차 유로에 대해 교차하고 있는 2차 유로와,
    상기 왕복 이동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통을 구비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에 이용되는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로서,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체를 상기 1차 유로측으로부터 상기 2차 유로측으로 전향시키는 전향면을 포함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왕복 이동체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통에 의해 안내되는 밸브 축과,
    상기 밸브체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왕복 이동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해 주회 형상으로 밀착하는 환상의 패킹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1차 유로측을 일방측으로 했을 때에 반대측의 타방측에 있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패킹을 상기 1차 유로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킹을 지지하는 플랜지면을 상기 1차 유로측에 가지며,
    상기 플랜지면은, 상기 연장부보다도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패킹을 개재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의 외주에는, 상기 밸브 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다른 부위보다도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패킹의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
KR1020207029220A 2018-03-12 2019-03-11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 KR102393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4510 2018-03-12
JPJP-P-2018-044510 2018-03-12
PCT/JP2019/009662 WO2019176850A1 (ja) 2018-03-12 2019-03-11 逆止弁及び逆止弁用往復移動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394A true KR20200135394A (ko) 2020-12-02
KR102393812B1 KR102393812B1 (ko) 2022-05-03

Family

ID=6790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220A KR102393812B1 (ko) 2018-03-12 2019-03-11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0907743B2 (ko)
EP (1) EP3696451B1 (ko)
JP (1) JP6649534B1 (ko)
KR (1) KR102393812B1 (ko)
CN (1) CN110832238B (ko)
CA (1) CA3090955C (ko)
ES (1) ES2924634T3 (ko)
PH (1) PH12019502839A1 (ko)
SG (1) SG11201914088XA (ko)
TW (1) TWI696778B (ko)
WO (1) WO20191768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71A1 (ko)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데이터 저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840A (ko) * 2020-01-31 2021-08-11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자키 체크 밸브
CN112283416B (zh) * 2020-10-15 2022-05-06 山东东阀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止回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245A (en) * 1900-01-10 1901-01-15 Henry Gabriel Ginaca Valve.
US3240222A (en) * 1963-07-22 1966-03-15 Milwaukee Valve Check valve for fuel tank trucks and similar vehicles
KR20100071129A (ko) * 2008-12-19 2010-06-29 이정수 이중 역류방지 밸브
CN202746679U (zh) * 2012-08-29 2013-02-20 天津市国威给排水设备制造有限公司 降低阀门水头损失的倒流防止器结构
JP2013180108A (ja) 2012-03-02 2013-09-12 Kyoei Ind Co Ltd 引出し及びキャビネット
US20150122353A1 (en) * 2012-05-31 2015-05-07 Ishizaki Corporation Check valve and pump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2795A (en) * 1927-01-07 1928-11-20 Leslie B Clifford Pump valve
US1754975A (en) * 1927-03-01 1930-04-15 Andersen Georg Nonreturn valve
US1963685A (en) * 1929-07-24 1934-06-19 Wilson Snyder Mfg Corp Valve
US1912786A (en) * 1931-06-04 1933-06-06 Crane Co Removable disk valve
US1957998A (en) * 1932-01-02 1934-05-08 Emory E Finefrock Valve
US2613054A (en) * 1948-07-08 1952-10-07 United States Steel Corp Pump valve
US3057372A (en) * 1960-09-09 1962-10-09 Gardner Denver Co Mud pump valve
US3298393A (en) * 1963-11-15 1967-01-17 Kenneth C Mosier Check valve having throttling passage
JPS4842328Y1 (ko) * 1969-08-11 1973-12-08
US3674147A (en) * 1971-02-08 1972-07-04 Millipore Corp Check valve
JPS4842328A (ko) * 1971-10-01 1973-06-20
IL45802A (en) * 1973-10-26 1977-05-31 Griswold Controls Check valve useful in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DE8112156U1 (de) * 1981-04-24 1982-10-0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Rueckschlagventil fuer kraftstoffoerderanlagen
DE3404982A1 (de) * 1984-02-11 1985-08-22 Deutsche Babcock Werke AG, 4200 Oberhausen Schnell schliessendes rueckschlagventil
JPS6266063U (ko) * 1985-10-14 1987-04-24
JP2002323157A (ja) * 2001-04-27 2002-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逆流防止弁
JP5488864B2 (ja) * 2009-01-23 2014-05-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バルブ装置
CN102086938B (zh) * 2011-01-25 2013-04-10 张家港富瑞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减压阀
DE102014008069A1 (de) * 2014-05-30 2015-12-03 Hydac Technology Gmbh Ventilvorrichtung, insbesondere in der Art eines Rückschlagventils ausgebildet,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Ventilvorrichtung
JP6496514B2 (ja) * 2014-10-07 2019-04-03 株式会社イシザキ 逆止弁および逆止弁用封止体
US20160348628A1 (en) * 2015-06-01 2016-12-01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damping a check valve
JP2018044510A (ja) 2016-09-16 2018-03-22 株式会社山田製作所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7687524A (zh) * 2017-09-30 2018-02-13 山西好利阀机械制造有限公司 新结构止回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245A (en) * 1900-01-10 1901-01-15 Henry Gabriel Ginaca Valve.
US3240222A (en) * 1963-07-22 1966-03-15 Milwaukee Valve Check valve for fuel tank trucks and similar vehicles
KR20100071129A (ko) * 2008-12-19 2010-06-29 이정수 이중 역류방지 밸브
JP2013180108A (ja) 2012-03-02 2013-09-12 Kyoei Ind Co Ltd 引出し及びキャビネット
US20150122353A1 (en) * 2012-05-31 2015-05-07 Ishizaki Corporation Check valve and pumping system
CN202746679U (zh) * 2012-08-29 2013-02-20 天津市国威给排水设备制造有限公司 降低阀门水头损失的倒流防止器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71A1 (ko)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데이터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49534B1 (ja) 2020-02-19
CA3090955C (en) 2023-08-29
ES2924634T3 (es) 2022-10-10
TW201942503A (zh) 2019-11-01
EP3696451B1 (en) 2022-06-29
EP3696451A4 (en) 2020-12-30
WO2019176850A1 (ja) 2019-09-19
US20200149644A1 (en) 2020-05-14
JPWO2019176850A1 (ja) 2020-05-28
PH12019502839A1 (en) 2020-09-28
CN110832238A (zh) 2020-02-21
CN110832238B (zh) 2021-05-18
KR102393812B1 (ko) 2022-05-03
US10907743B2 (en) 2021-02-02
US20210207727A1 (en) 2021-07-08
TWI696778B (zh) 2020-06-21
CA3090955A1 (en) 2019-09-19
SG11201914088XA (en) 2020-01-30
EP3696451A1 (en)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5394A (ko)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용 왕복 이동체
US8297316B2 (en) Parabolic bonnet for three-way valve
KR930002801B1 (ko) 밸브장치
US9611948B1 (en) Valve assembly
US20170108131A1 (en) Check valve
US20100012197A1 (en) Automatic water diverter
JP6469406B2 (ja) 逆止弁および逆止弁セット
US10738901B1 (en) Check valve
KR101216035B1 (ko) 앵글형 다기능 체크밸브
CN104405932A (zh) 一种双瓣蝶式止回阀
CN101832396A (zh) 低振动噪声阀门
JP7068500B2 (ja) 逆止弁
KR20110091071A (ko) 역류 방지 밸브
US7926157B2 (en) Hydraulic damper valve
KR20080084328A (ko) 이중밀봉구조를 갖는 글로브밸브
KR101793791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구비한 감압밸브 장치
TWI761761B (zh) 止回閥
RU2263842C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WO2022191239A1 (ja) 逆止弁
KR101595536B1 (ko) 와류 방지 장치
JPH1047500A (ja) 加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