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354A - 노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노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354A
KR20200135354A KR1020207027016A KR20207027016A KR20200135354A KR 20200135354 A KR20200135354 A KR 20200135354A KR 1020207027016 A KR1020207027016 A KR 1020207027016A KR 20207027016 A KR20207027016 A KR 20207027016A KR 20200135354 A KR20200135354 A KR 2020013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glass product
finished glass
furnace
furnac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그레멜스파처
토비아스 리스트
라이너 퀴블러
브리타 랑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Publication of KR2020013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05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irradiation
    • C03C23/0025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irradiation by a laser bea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13Re-forming shaped glass by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86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8Gravity 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9/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27B17/0083Chamber type furnaces with means for circulating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06Composite supporting structures
    • F27D5/0025Composite supporting structures assembled to present a three-point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 F27D99/0075Gas curtain se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25)에 의해 구획되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도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 챔버(20)를 갖는 노(2)를 포함하는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벽(25)에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50)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5)가 제공되고, 상기 노즐은 밀봉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을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벽에 의해 구획되고 반제품의(semi-finished) 글래스 제품이 도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 챔버(furnace chamber)를 갖는 노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들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들을 노 내로 도입하고 가열해서 재성형하는 것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히클 윈도우들 또는 구부러진 건축용 글래스가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성형 프로세스에서 더 양호한 제어를 얻도록 노 내의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방사선 소스로 국부적으로 추가 가열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공지된 장치들 및 방법의 단점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느린 가열 및 냉각으로 인해 성형 프로세스의 긴 사이클 시간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성형 프로세스에서 짧은 사이클 시간 및/또는 개선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장치 및 청구항 20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향상들을 종속 청구항들에서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 챔버를 포함하는 노를 갖는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을 행하는 동안,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이 노 챔버 내로 도입되어 가열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갖고 중력의 영향 하에서 자유롭게 또는 몰드에서 재성형될 때까지, 가열이 대류 및 방사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보다 높은 온도를 얻지만 초기에는 재성형을 방지하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체류 시간 및/또는 노 챔버 내부의 온도가 선택될 수 있다. 그 후, 추가적 열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에 공급될 수 있다. 이 열은 유리 전이 온도 초과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가열하고 이에 따라 로컬 재성형을 일으킨다.
상술한 부분적 에어리어들은, 예를 들면, 레이저 장치로부터의 적외선 레이저 방사선으로 가열될 수 있다. 조사될 부분적 에어리어들은, 예를 들면, 렌즈 시스템 및/또는 마스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레이저 장치는,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 상에 빔을 향하게 하도록, 회전 또는 스위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레이저 방사선은 가동 미러를 갖는 스캐너에 의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 상에 향해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비교적 크고 무거운 레이저 또는 또 다른 방사 소스 대신에, 단지 비교적 작고 경량의 미러가 기계적으로 움직이기만 하면 되므로, 레이저빔은 보다 빠르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 벽의 개구를 통해 노 챔버 내로 레이저빔을 커플링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는, 가동 미러 또는 액추에이터들을 갖는 방사 소스 및/또는 스캐너가 상승된 노 챔버 내부의 온도에서 동작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노 챔버의 벽에서의 레이저 방사선의 강한 흡수를 피하도록, 간단한 홀의 형태로 재료가 없는 방식으로 개구를 설계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글레이징(glazing) 또는 또 다른 윈도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노 벽의 개구에는 일시적으로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특징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가열하기 위한 전자기 방사선이 개구를 통과하지 않을 경우,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벽의 개구에는 밀봉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개구가 노 챔버의 천장에 배치될 경우, 노 챔버 내의 가열된 공기가 올라와 굴뚝을 통하는 것과 같이 빠져 나갈 수 있기 때문에, 뜨거운 공기의 배출이 달리 발생하게 된다. 밀봉 공기 흐름은 이 대류 흐름을 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 챔버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노를 둘러싸는 공간의 원치 않는 가열이 피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레이저 및/또는 스캐너의 파괴 위험이 피해지거나 감소되며, 이는, 개구 위의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노 챔버를 가열하는 데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노 챔버 내의 온도 분포는 보다 균일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재성형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밀봉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노즐이 링 노즐로서 설계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밀봉 공기 흐름은 불활성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노는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노 챔버들을 갖고 각각의 노 챔버는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질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온도 분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카메라는 제2 밀봉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제2 노즐이 구비될 수 있는 제2 개구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 특징은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다이를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엠보싱 다이가, 노 챔버의 나머지 부분들의 온도와는 다른 온도로 가열되도록 구성된 노 챔버의 일부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다이와 대향 배치된 상보적 형상의 카운터 엠보싱 다이를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레이저빔을 생성하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 상에 레이저빔을 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를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 상에 레이저빔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미러를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3개의 접촉 포인트들을 갖는 수송 팔레트 및/또는 몰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포인트들은 노 챔버의 대응하는 받침 장치들 상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위치결정되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송 팔레트 및/또는 몰드의 무게 중심은 접촉 포인트들을 이음으로써 생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촉 포인트들은 V-형상 지지체를 갖고 받침 장치들은 만곡된 외측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받침 장치는 복수의 접촉 포인트들을 받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오븐 챔버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노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가시선(line of sight)에 위치되는 노 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판금 열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적어도 하나의 판금 열 디플렉터를 미리 결정 가능한 온도로 가져가도록 구성된 가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공기 순환 시스템은 판금 열 디플렉터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벽의 일부 뒤에 흐르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따라 노 챔버 내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움직이도록 구성된 위치결정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고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노 챔버 내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위치결정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벽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노 챔버를 갖는 노 내로 도입함으로써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벽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밀봉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노는 서로 다른 온도들을 갖는 복수의 노 챔버들을 갖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상기 노 챔버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온도 분포를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다이에 의해 재성형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다이가 노 챔버의 다른 부분들의 온도와는 다른 온도를 갖는 노 챔버의 부분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보적 형상의 카운터 엠보싱 다이가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다이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를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에 의해 생성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가동 미러에 의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표면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들 상에 레이저빔을 향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수송 팔레트 및/또는 몰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 및/또는 상기 수송 팔레트는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과는 반대 측에 3개의 접촉 포인트들을 갖는다. 상기 접촉 포인트들은 노 챔버의 대응하는 받침 장치들 상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위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수송 팔레트 및/또는 몰드의 무게 중심은 접촉 포인트들을 이음으로써 생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접촉 포인트들은 V-형상 지지체를 갖고 받침 장치들은 만곡된 외측 단면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받침 장치는 복수의 접촉 포인트들을 받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노 챔버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갖는 노 내로 도입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노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가시선 상에 위치된 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판금 열 디플렉터를 갖는 노 내로 도입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판금 열 디플렉터를 미리 결정 가능한 온도로 가져가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을 포함하는 노 내로 도입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노 내로 도입되고 공기 순환 시스템은 판금 열 디플렉터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벽의 일부 뒤로 흐르는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따라 노 챔버 내에서 움직여진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노 챔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개략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위치결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위치결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위치결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수송 팔레트의 위치결정 보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3 실시형태의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3 실시형태의 추가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4 실시형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반적 개념을 제한하지 않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장치는 노(2)를 포함한다. 노(2)는 벽(25)에 의해 둘러싸인 노 챔버(20)를 포함한다. 벽은 주변에 대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단열재를 가질 수 있다. 벽의 재료는 금속 또는 합금 또는 미네랄 재료, 예를 들면 내화점토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거나 그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금에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열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노(2)는 노 챔버(2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유닛들(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노 챔버(20) 내부의 온도는 약 400℃ 내지 약 800℃ 또는 약 500℃ 내지 약 700℃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1은 또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평평한 글래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또한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린더, 구(sphere) 또는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개구(5)가 노 챔버(20)의 천장에 배치된다. 개구(5)는, 노 챔버(20)로부터 빠져 나가는 뜨거운 공기로 인한 열손실을 줄이거나 방지하도록, 가동 게이트 밸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가동 게이트 밸브는 금속 또는 합금 또는 미네랄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그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밸브에는 마찬가지로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장치의 동작 시에,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유리 전이 온도 아래의 미리 결정 가능한 온도로 가열한다. 후속 방법 단계에서, 추가적 열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4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원하는 부분적 에어리어들(40)로 향하는 적외선에 의해 행해진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레이저(3)가 적외선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레이저는 CO2 레이저일 수 있다. 레이저(3)는 레이저빔(30)을 생성한다. 레이저빔(30)은 약 100W 내지 약 5000W 또는 약 1000W 내지 약 2500W의 파워를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스캐너(350)에 의해 레이저빔(30)을 노 챔버(20)의 내부로 향하게 한다. 스캐너(350)는, 당업자에게 주지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들에 의해 움직여지거나 및/또는 회전될 수 있는 가동 미러(35)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피에조 액추에이터들 및/또는 전동기들이 미러(35)를 움직이거나 및/또는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캐너(350)의 미러(35)는, 미러(35)에서 편향된 레이저빔(31)의 위치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40)을 선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시스템(3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레이저빔(30)이 노 챔버(20)의 내부에 도달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적 게이트 밸브가 개구(5)로부터 제거된다. 이는 노 챔버(20)로부터 개구(5)를 통해 뜨거운 공기가 빠져 나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50)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노즐(50)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의 링 노즐로서 설계될 수 있다. 노즐(50)에 의해 생성되는 밀봉 공기 흐름은 대류에 의해 상승하는 공기 흐름을 저지하므로, 노 챔버(20)로부터의 뜨거운 공기의 빠져나감이 적어도 감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이 특징은 스캐너(350)가 낮은 열부하에 노출된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2)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거나 및/또는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온도 분포가 보다 균일할 수 있다.
도 1은 단일 스캐너(350)를 갖는 단일 개구(5)만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복수의 개구들(5)을 갖는 노(2)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개구(5)는 연관된 레이저들 및 스캐너들(350)을 가질 수 있다. 이 특징은, 복수의 편향된 레이저빔들(31)에 의해 덮인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에어리어가 확대될 수 있어서, 심지어 대형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들, 예를 들면 트럭 윈도우들 또는 건축용 글래스가 재성형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동일한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기되며, 다음 설명은 주요 차이들로 한정될 수 있다. 도 2는 노(2)를 포함하는 장치(1)를 나타낸다. 노(2)는 복수의 노 챔버들(20, 21, 22 및 23)을 갖는다. 노 챔버들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이 제1 노 챔버(2)로부터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및 순차적으로 다른 노 챔버들(20, 22 및 23)을 통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배치된다. 노 챔버들은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각각의 노 챔버에서 서로 다른 처리를 받을 수 있다. 개별 노 챔버들은 모든 실시형태들에서 구조적으로 별개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일 노 챔버는, 각각의 존이 노 챔버들(20, 21, 22 및 23) 중 하나를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온도들을 갖는 서로 다른 기능성 존들로 나눠질 수 있다.
제1 노 챔버(21)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예열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노 챔버는 250℃ 내지 약 550℃ 또는 약 400° 내지 약 50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제2 노 챔버(20)로 전달된다. 이 챔버는 약 400° 내지 약 600°의 온도일 수 있다. 재성형은 도 1과 함께 상술한 적외선을 이용하여 로컬 가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레이저 방사선(30)이 사용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엠보싱 다이들(6)이 사용될 수 있어, 양각하고 이에 따라 표면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들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들(4)을 재형성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엠보싱 다이들(6)은 액추에이터들(65), 예를 들면 푸시 로드들, 공압 액추에이터들, 피에조 액추에이터들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액추에이터들에 의해 움직여질 수 있다. 엠보싱 다이들(6)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온도 초과 및/또는 노 챔버(20)의 온도 초과의 가공 온도로 예열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엠보싱 다이들(6)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수용하는 노 챔버(20)의 나머지 부분들과 다른 온도를 갖는 노 챔버(20)의 일부(25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분 볼륨(250)은 적외선 라디에이터들 또는 저항 히터들에서 선택될 수 있는 추가적 가열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엠보싱 다이들(6)에는 전기 가열 유닛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보적 형상의 카운터 엠보싱 다이들(60)은 엠보싱 다이들(5)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카운터 엠보싱 다이(6)에 의해 반대 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엠보싱 다이(5)의 액션 하에서의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원치 않는 변형이 피해질 수 있다. 또는, 카운터 엠보싱 다이(6)가 엠보싱 다이(5)의 반대쪽인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측에 원하는 상보적인 형상을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성형이 일어난 후,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제3 노 챔버(22) 내로 이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술한 제2 노 챔버(20)와는 상이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노 챔버(22)의 온도는 제1 노 챔버(21)의 온도와 제2 노 챔버(20)의 온도 사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노 챔버(20)의 온도는 약 200° 내지 약 500° 또는 약 300° 내지 약 400°일 수 있다.
제3 노 챔버(22) 내에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저장함으로써,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 내의 기계적 응력이 감소되도록 제어된 방식으로 냉각될 수 있다. 제3 노 챔버(22) 내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이 제어된 냉각을 받으면서, 또 다른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제2 노 챔버(20) 내에서 재성형될 수 있고 제3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제1 노 챔버(21)에서 예열될 수 있다.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들(4)의 노 챔버들(21, 20 및 22)의 연속적 통과로 인해, 사이클 시간은 감소될 수 있고 장치(1)의 스루풋 증가될 수 있다.
선택적 제4 노 챔버(23)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선택적 충격 냉각이 비교적 저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예를 들면, 글래스 제품은 강화 글래스로 생산될 수 있고, 한편으로 경화된 표면을 가지며, 이에 따라 더 내성이 생기고, 다른 한편으로 다른 파단 거동을 가져서, 크고 날카로운-에지의 단편들의 발생이 피해진다. 이 목적을 위해, 제4 노 챔버(23)는 약 -50℃ 내지 100℃의 온도를 가질 수 있어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350℃ 미만의 온도로 빠르게 냉각될 수 있다. 그러나, 제4 노 챔버(23)는 선택적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4 노 챔버(23)가 사용될 경우, 상기 설명된 제3 노 챔버(22)는 열템퍼링을 준비해서 약 650℃ 내지 약 75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노 챔버(20) 내에서 및/또는 복수의 노 챔버들 간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을 움직이도록 구성된 수송 팔레트 및/또는 몰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수송 팔레트 또는 몰드는 3개의 접촉 포인트들을 갖고, 상기 접촉 포인트들은 노 챔버의 대응하는 받침 장치들 상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위치결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재현 가능한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여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항상 스캐너(350)에 대한 및/또는 엠보싱 다이(6)에 대한 동일한 상대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동일한 부분적 표면들을 높은 정확도로 가열 및/또는 재성형한다.
도 3은 수송 팔레트의 접촉 포인트들(71, 72 및 73)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 6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접촉 포인트들(71, 72 및 73)은 2개의 방향들로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제3 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일 예로서, 노 챔버의 대응하는 받침 장치들(8)은 다각형 또는 만곡된 튜브 또는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늘고 긴 받침 장치가 접촉 포인트들(71 및 73)을 받치도록 제공된다. 이들은 접촉 포인트들(71 및 73)을 구비하는 수송 팔레트가 X 방향으로 위치결정되고 Y 방향으로 가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접촉 포인트(72)에 대한 추가 받침 장치(82)는 제1 받침 장치에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받침 장치들(8 및 82)은 약 60° 내지 약 120° 또는 약 90°의 각도의 각도로 둘러쌀 수 있다. 받침 장치는 제2 접촉 포인트(72)가 X 방향으로 움직이고 Y 방향으로 명확하게 위치결정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수송 팔레트들은 노 내에 수용되고 3개의 접촉 포인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명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크기들의 수송 팔레트들은, 제1 및 제3 접촉 포인트들(71 및 72) 간의 서로 다른 거리들 및 이들 제1 및 제3 접촉 포인트들의 연결 라인으로부터의 제2 접촉 포인트(72)의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수송 팔레트들 및/또는 몰드들의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여, 노 챔버에서의 임의의 변환 작업 없이 서로 다른 제품들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전환을 위한 노의 냉각을 피할 수 있다.
수송 팔레트는 접촉 포인트들에서 견고하게 클램핑되지 않고 X 및 Y 방향으로 가동되므로, 차가운 수송 팔레트 상의 차가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가열된 노 내에 위치될 경우 피할 수 없는 온도 변화가, 글래스 컴포넌트의 치수 정확도를 악화시키거나 및/또는 수송 팔레트 및/또는 노에 대한 기계적 대미지를 초래할 수 있는 기계적 응력의 발생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수송 팔레트들 또는 몰드들은 중력에 의해 노 챔버 내의 받침 장치들 상에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또한 예시된 X 및 Y 방향에 직교하는 공간 방향 Z로 명백하게 정의된 방식으로 위치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수송 팔레트 및/또는 몰드의 무게 중심이 접촉 포인트들(71, 72 및 73)을 이음으로써 생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노 내의 수송 팔레트의 안정한 위치를 보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 유닛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기되며, 다음 설명은 주요 차이들로 한정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접촉 포인트(72)에 대한 받침 장치(82)는 받침 장치(8)에 평행하게 가동되도록 설계되어, 접촉 포인트들(71 및 73)의 제1 받침 장치에 대한 각도 관계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그러나, 받침 장치는 제1 받침 장치(8)에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어, 서로 다른 수송 팔레트들에 대한 적응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및/또는 수송 팔레트는 받침 장치(82)를 움직임으로써 노 내에서 위치결정되거나 및/또는 수송될 수 있다. 이 특징을 예시할 목적으로, 제2 받침 장치(82)의 4개의 가능한 위치들이 나타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 유닛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기되며, 다음 설명은 주요 차이들로 한정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는 노 챔버(20) 내에 배치된 3개의 받침 장치들(81, 82 및 83)을 사용하고, 각각은 대응하는 접촉 포인트들(71, 72 및 73)에 맞물린다. 예를 들면, 3개의 받침 장치들은 다시 가늘고 긴 요소들로서 설계되고, 이는 다각형 또는 만곡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받침 장치들의 길이 방향 축선들은 서로에 대해 120°의 각도로 둘러싼다. 길이 방향 연장으로 인해, 서로 다른 크기들의 또는 받침 장치들간의 서로 다른 거리들의 수송 팔레트들 및/또는 몰드들은 변환 작업에 대한 필요성 없이 받쳐질 수 있다. 그렇지만, 위치결정 유닛은 노의 다른 유닛들, 예를 들면 스캐너(350)에 구비된 수송 팔레트의 재현 가능한 위치 관계를 가능하게 한다. 이 일정한 위치 관계는 각도 및 위치 모두를 포함한다.
도 6은 접촉 포인트(71) 및 받침 장치(8)와 함께 수송 팔레트(7)의 세그먼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예시된 매우 단순화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수송 팔레트(7)는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금 또는 세라믹 재료를 포함하는 평면 평행 플레이트이다. 선택적으로, 수송 팔레트(7)에는,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이 달라붙거나 및/또는 온도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도시 생략)이 제공될 수 있다.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과 반대의 수송 팔레트(7)의 측에, 다각형 단면을 갖는 접촉 포인트(71)가 나타나 있다. 예시된 단면은 직육면체 베이스 바디에 대략 V-형상 홈을 삽입함으로써 얻어진다. 홈은 평탄한 베이스를 가질 수 있다.
대응하는 받침 장치(8)는 대략 원형 외측 단면을 갖는 로드 또는 튜브를 포함한다. 수송 팔레트(7)의 중량으로 인해, 접촉 포인트(71)의 V-형상 홈은, 2개의 전용 접촉 포인트들 또는 접촉 라인들(711 및 712)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받침 장치 상에 놓인다. 이것은 X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Z 방향 모두에 있어 정의된 위치결정으로 되게 된다.
따라서,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받침 장치들 및 접촉 포인트들과 협력하여, 정확한 위치결정이 모든 3개의 방향들 및 모든 3개의 회전 방향들에서 달성될 수 있다.
도 7은 벽(25)에 의해 구획된 노 챔버(20)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노 챔버(20) 내부에, 4개의 엠보싱 다이들(6)이 위치되며 레이저빔(30)의 타겟 포인트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직사각형 어레이에 배치된다.
도 7은 또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나타낸다.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노 챔버(20) 내에서 움직여질 수 있다. 도 7에는 5개의 가능한 위치들이 지시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예를 들면 모든 4개의 엠보싱 다이들(6)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작용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가져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임의의 포인트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글래스 제품을 재성형하도록 레이저빔(30)에 의해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표면들을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은 레이저빔(30) 아래로 움직여질 수 있다. 노(2) 내의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움직임으로 인해, 스캐너(350)의 사용이 피해질 수 있고 그렇지만 레이저빔(30)과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 사이의 상대 움직임은 실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일부로서 노(2)의 추가 도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벽(25)에 의해 구획되는 노(2)의 노 챔버(20)의 바닥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노 챔버(20) 내에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움직이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이것은 대략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받침 장치들(85)로 이루어진다. 이들 받침 장치들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이 노 챔버(20) 내에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2개의 축선들로 움직여질 수 있다. 이 특징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엠보싱 다이들(6) 및/또는 레이저빔(도 8에는 도시 생략)의 동작 범위 내로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또한, 예를 들면 예열, 재성형 또는 템퍼링의 선택적 방법 단계를 수행하도록, 서로 다른 온도 존들로 움직여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노(2)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기되며, 다음 설명은 주요 차이들로 한정될 수 있다.
다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이 수용되는 노 챔버(20)가 나타나 있다. 노(2)는 순환 공기 노로서 설계되고, 즉 가열 유닛(도시 생략)은 노 공기를 가열하여 블로워 유닛에 의해 공기 흐름(265)으로서 노 챔버(20)에 공급한다. 공기 흐름(265)은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보다 균질한 및 균일한 가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개별 부분적 에어리어들과 노 벽들(25) 사이에 가시선(45)이 존재한다. 이는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과 노 챔버(20)의 벽(25) 사이에 추가적 방사열의 교환을 일으킨다. 물론, 도면에 나타난 2개의 가시선들(45)은 단지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사실상,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개별 부분적 에어리어들과 노 챔버(20)의 벽(24)의 각각 연관된 부분적 에어리어들 사이에는 복수의 이러한 가시선들이 있다.
벽(25)이 노 챔버(20) 내의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다면, 방사열의 교환으로 인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이 냉각되게 된다. 이는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균일한 가열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 챔버(20)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판금 열 디플렉터들(255)을 위치시키는 것이 제안되며, 이는 벽보다 더 높은 온도로 될 수 있다. 판금 열 디플렉터들(255)은, 예를 들면 추가적 전기 또는 가스 동작식 가열 유닛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뜨거운 공기 흐름(265)이 판금 열 디플렉터의 후방 통풍에 사용될 수 있어, 그들은 뜨거운 공기 흐름(265)으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둘러싸는 반공간(half-space)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과 균일하게 방사열을 교환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불균일한 냉각 또는 가열이 피해진다. 따라서,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과 노 챔버의 내벽들 사이의 방사의 제어된 교환으로 인해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온도 분포의 보다 양호한 제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노 챔버(20) 내부의 모든 판금 열 디플렉터들(255)은 동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온도는 노 챔버(20) 내의 공기의 온도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상기 기재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다음 특허청구범위는, 인용된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존재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추가 특징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 및 상기 기재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들을 정의하는 것이므로, 이 지시는, 순서를 정하는 것이 아닌, 2개의 유사한 실시형태들간을 구별하는데 역할한다.

Claims (37)

  1. 벽(25)에 의해 구획되고 반제품의(semi-finished) 글래스 제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 챔버(20)를 갖는 노(2)를 포함하는 장치(1)로서,
    상기 벽(25)은 적어도 하나의 노즐(50)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5)를 갖고, 상기 노즐은 밀봉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50)은 링 노즐로서 설계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2)는,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다른 온도들로 될 수 있는 복수의 노 챔버들(20, 21, 22, 23)을 갖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온도 분포를 결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멀 카메라(thermal camera)를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재성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다이(6)를 더 포함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다이는 상기 노 챔버(20)의 부분 볼륨(250)에 배치되고, 상기 노 챔버(20)의 부분 볼륨(250)은 상기 노 챔버(20)의 나머지 부분 볼륨의 온도와 상이한 온도로 될 수 있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보적 형상의 카운터 엠보싱 다이(60)가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다이(6)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빔(30)을 생성하고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40) 상에 상기 레이저빔(30)을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3)를 더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40) 상에 상기 레이저빔(30)을 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可動) 미러(35)를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 챔버(20)의 연관된 받침 장치들(8)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받쳐질 수 있는 3개의 접촉 포인트들(71, 72, 73)을 갖는 수송 팔레트(7) 및/또는 벤딩 몰드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팔레트 및/또는 상기 벤딩 몰드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접촉 포인트들을 이음으로써 생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되는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포인트들은 V-형상 지지체를 갖고 상기 받침 장치들은 만곡된 외측 단면을 갖는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받침 장치는 복수의 접촉 포인트들을 받치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는 상기 노 챔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갖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는, 상기 노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시축(visual axis)에 놓이는 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판금 열 디플렉터(deflector)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을 포함하는 노 내로 도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금 열 디플렉터가 미리 결정 가능한 온도로 될 수 있는 장치.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상기 노 내로 도입되고, 상기 공기 순환 시스템이 판금 열 디플렉터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기 벽의 일부 뒤에 흐르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상기 노 챔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상기 노 챔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장치.
  20.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4)이 벽(25)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노 챔버를 갖는 노(2) 내로 도입되고, 상기 벽(25)은 적어도 하나의 노즐(50)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5)를 갖고, 상기 노즐(50)에 의해 밀봉 공기 흐름이 생성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노는,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온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노 챔버들을 갖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온도 분포가 적어도 하나의 서멀 카메라로 결정되는 방법.
  23. 제20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엠보싱 다이에 의해 재성형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다이는 상기 노 챔버의 부분 볼륨에 배치되고, 상기 노 챔버의 부분 볼륨은 상기 노 챔버의 나머지 부분 볼륨의 온도와 상이한 온도로 될 수 있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보적 형상의 카운터 엠보싱 다이가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다이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방법.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빔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를 가열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미러에 의해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미리 결정 가능한 부분적 에어리어들 상에 상기 레이저빔을 향하게 하는 방법.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과는 반대 측에서 상기 노 챔버의 연관된 받침 장치들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받쳐지는 3개의 접촉 포인트들을 갖는 수송 팔레트 및/또는 벤딩 몰드 상에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배치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팔레트 및/또는 상기 벤딩 몰드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접촉 포인트들을 이음으로써 생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되는 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포인트들은 V-형상 지지체를 갖고 상기 받침 장치들은 만곡된 외측 단면을 갖는 방법.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받침 장치는 복수의 접촉 포인트들을 받치는 방법.
  32. 제20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상기 노 챔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갖는 노 내로 도입되는 방법.
  33. 제2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상기 노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의 시축에 놓이는 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판금 열 디플렉터를 포함하는 노 내로 도입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을 포함하는 노 내로 도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금 열 디플렉터가 미리 결정 가능한 온도로 될 수 있는 방법.
  35.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이 상기 노 내로 도입되고, 상기 공기 순환 시스템은 판금 열 디플렉터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기 벽의 일부 뒤에 흐르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36. 제2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상기 노 챔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방법.
  37. 제20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글래스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상기 노 챔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법.
KR1020207027016A 2018-03-23 2019-03-13 노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을 위한 방법 KR20200135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4476.7 2018-03-23
DE102018204476.7A DE102018204476A1 (de) 2018-03-23 2018-03-23 Vorrichtung mit einem Ofen und Verfahren zu deren Verwendung
PCT/EP2019/056237 WO2019179842A1 (de) 2018-03-23 2019-03-13 Vorrichtung mit einem ofen und verfahren zu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354A true KR20200135354A (ko) 2020-12-02

Family

ID=6591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016A KR20200135354A (ko) 2018-03-23 2019-03-13 노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02169A1 (ko)
EP (1) EP3768644A1 (ko)
JP (1) JP7339272B2 (ko)
KR (1) KR20200135354A (ko)
CN (1) CN111918843A (ko)
CA (1) CA3093172A1 (ko)
DE (1) DE102018204476A1 (ko)
WO (1) WO2019179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2661A1 (en) * 2018-12-28 2021-04-29 Sanko Seikosho Co., Ltd. Thermoplastic plate bending method, working jig, and concave thermoplastic plate
EP3976539A1 (de) 2019-05-28 2022-04-06 Saint-Gobain Glass France Glasbiegevorrichtung und -verfahren mit laserunterstützung
US11898798B1 (en) * 2022-09-01 2024-02-13 Limelight Steel Inc. High-efficiency photonic furnaces for metal 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549A (en) * 1881-06-07 Geoege mccoed
GB813107A (en) * 1955-09-23 1959-05-06 Pittsburgh Plate Glass Co Apparatus for bending sheet glass
JPS54167828U (ko) * 1978-05-17 1979-11-27
JPH0742508B2 (ja) * 1985-03-18 1995-05-10 山崎電機工業株式会社 鉄系積層製品の連続焼鈍・ブルーイング装置
GB8604246D0 (en) * 1986-02-20 1986-03-26 Pilkington Brothers Plc Manufacture of curved glass
DE3789491T2 (de) * 1986-11-27 1994-10-20 Horiba Ltd Plattenförmige Glaselektrode.
JPS63139021A (ja) * 1986-11-27 1988-06-10 Horiba Ltd 極薄平板ガラスの製造方法
JPS63138255A (ja) * 1986-11-28 1988-06-10 Horiba Ltd シ−ト型ガラス電極
GB2213143B (en) * 1987-11-06 1991-10-23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of forming a glass product
US5148714A (en) * 1990-10-24 1992-09-22 Ag Processing Technology, Inc. Rotary/linear actuator for closed chamber, and reaction chamber utilizing same
JPH053894U (ja) * 1991-06-28 1993-01-2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エアーカーテンノズル
ATE149978T1 (de) * 1992-10-15 1997-03-15 Tamglass Eng Oy Verfahren und ofen zum biegen von glastafeln
GB9407610D0 (en) * 1994-04-15 1994-06-08 Pilkington Glass Ltd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US6425269B1 (en) * 2000-06-15 2002-07-30 Glasstech, Inc. Method for glass sheet forming
JP2003275575A (ja) 2002-03-22 2003-09-30 Nippon Sheet Glass Co Ltd マイクロ化学システム用チップ部材のチャネル形成方法、及び該形成方法によってチャネルが形成されたマイクロ化学システム用チップ部材
FI20035065A (fi) * 2003-05-14 2004-11-15 Tamglass Ltd Oy Menetelmä ja uuni lasilevyjen taivuttamiseksi
US7534469B2 (en) * 2005-03-31 2009-05-19 Asm Japan K.K. Semiconductor-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self-cleaning device
DE102005033776B4 (de) * 2005-07-15 2007-06-21 Eliog-Kelvitherm Industrieofenbau Gmbh Flachglasofen
JP2009078947A (ja) 2007-09-26 2009-04-16 Japan Steel Works Ltd:The 光照射方法および光照射装置
US20100024485A1 (en) * 2008-07-30 2010-02-04 William Stuart Duerk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urpose of Conserving Energy in the Glass Industry
CN201971859U (zh) * 2010-12-27 2011-09-14 苏州新长光热能科技有限公司 高效的适用于热处理炉的风循环导流装置
DE102011050243A1 (de) * 2011-05-10 2012-11-15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im Durchlauf erfolgenden Behandeln eines Stahlflachprodukts
US8742287B2 (en) * 2011-12-15 2014-06-03 Guardian Industries Corp. Lighting solution for apparatuses for vacuum insulating glass (VIG) unit tip-off, and/or associated methods
US9480544B2 (en) * 2012-01-27 2016-11-01 Ivoclar Vivadent Ag Dental furnace
KR20160006719A (ko) * 2013-05-07 2016-01-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형성된 유리 물품 성형 공정 및 그 기기
CN203307218U (zh) * 2013-06-07 2013-11-27 浙江汉能玻璃技术有限公司 一种对流式钢化玻璃加热炉
AT514454B1 (de) * 2013-07-11 2015-03-15 Engel Austria Gmbh Heizvorrichtung
JP2017528406A (ja) * 2014-08-20 2017-09-2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シートから成形ガラス物品を成形する方法
CN107108311A (zh) * 2014-10-29 2017-08-29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成型或成形加热的玻璃片的设备和方法
NO344702B1 (no) * 2016-02-11 2020-03-16 Vosstech As Herdeovn og fremgangsmåte for herding av et glassobjekt for anvendelse som en knusbar, trykktett barriere i et brønnverktøy
CN206266656U (zh) * 2016-12-20 2017-06-20 格朗吉斯铝业(上海)有限公司 用于金属卷材的侧喷式退火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02169A1 (en) 2021-01-07
EP3768644A1 (de) 2021-01-27
JP2021518325A (ja) 2021-08-02
CA3093172A1 (en) 2019-09-26
JP7339272B2 (ja) 2023-09-05
CN111918843A (zh) 2020-11-10
WO2019179842A1 (de) 2019-09-26
DE102018204476A1 (de)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2169A1 (en) Device comprising a furna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CN109622954A (zh) 层叠造型装置和层叠造型物的制造方法
US11414338B2 (en) Microwave heating glass bending process
US20170008791A1 (en) Forming apparatus and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US6408649B1 (en) Method for the rapid thermal treatment of glass and glass-like materials using microwave radiation
JP4554085B2 (ja) ガラスセラミック部材、及び/又はガラス部材を製造する方法
JP7141828B2 (ja) 温度調節されるべき非無端表面の均一な非接触温度調節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508129A (ja) 三次元物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740419B2 (ja) 鋼板の赤外線加熱方法、加熱成形方法、赤外炉および車両用部品
EP0659697B1 (en) Glass bending furnace
CN107109513B (zh) 对压制硬化部件进行激光束热处理的方法和压制硬化部件
WO2017176634A1 (en) Microwave tempering of glass substrates
CN105033004A (zh) 一种轻量化壁板激光诱导柔性成形系统及方法
KR101858367B1 (ko) 근적외선 히터를 갖는 금형 예열 장치
US6940081B1 (en) Infrared irradiation
JP2002104835A (ja) セラミック化される半製品ガラスパネルを曲げることにより湾曲したガラスセラミックパネ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2001089172A (ja)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
KR20120099104A (ko) 보충적인 가열이 있는 신장 성형 장치 및 방법
CN109963951A (zh) 用于对金属部件进行部分热处理的回火站
JPH0826760A (ja) 板ガラスの曲げ及び焼戻し方法
CN111936258A (zh) 用于焊接工艺,特别是电弧增材制造工艺的均匀冷却装置
KR20220044324A (ko) 중간 가열 스테이션
CN112351960A (zh) 通过激光器辅助的玻璃弯曲装置和方法
TWI625309B (zh) 微波加熱玻璃彎曲製程
KR101768642B1 (ko)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