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946A -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 Google Patents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946A
KR20200134946A KR1020190061178A KR20190061178A KR20200134946A KR 20200134946 A KR20200134946 A KR 20200134946A KR 1020190061178 A KR1020190061178 A KR 1020190061178A KR 20190061178 A KR20190061178 A KR 20190061178A KR 20200134946 A KR20200134946 A KR 20200134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upled
driving
furrow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은비
Original Assignee
송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은비 filed Critical 송은비
Priority to KR102019006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946A/ko
Publication of KR2020013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5/00Carriers for supporting persons when working in the field, e.g. while thinning be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바퀴를 통해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되 주행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랑에 진입되는 바퀴 사이의 폭을 고랑폭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프레임을 갖는 주행본체와, 프레임에 지지되어 지면에 대해 이격상태로 작업자가 착석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주행본체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작업의자와, 작업의자를 프레임에 매달린 상태로 주행본체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을 지원할 수 있게 지지시키는 지지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에 의하면, 다수의 작업자가 착석상태로 함께 주행시키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agricultural harv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랑을 따라 주행하면서 복수의 작업의자에 착석된 복수의 작업자가 농작물 수확 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농작물 수확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밭작물을 가꾸거나 수확작업시 작업자는 밭고랑에 쪼그리고 앉아서 작업한 후 쪼그린 자세에서 게걸음을 하여 옆으로 이동하거나 일어서서 이동한 후 다시 쪼그리고 앉아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쪼그리고 앉아서 작업할 경우 다리에 피흐름이 원활치 못하여 다리가 저리고 힘이 드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높이를 갖는 깔판을 준비하여 깔판 위에 앉아서 작업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깔판사용시 앉아서 작업하기에는 편리하나 작업장소를 이동할 경우 작업자가 일어선 후 깔판을 들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다시 깔판에 앉아서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작업장소 이동시마다 깔판을 들어서 이동시켜야 하고 그때마다 작업자가 일어서서 이동하거나 쪼그리고 앉은 채로 게걸음을 하여야 하는 등 깔판사용시에도 밭작업은 힘이 든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 제1999-0040466호에는 밭고랑을 이동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가 착석할 수 있는 의자가 마련된 밭고랑 작업차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밭고랑 작업차는 한 사람만이 작업할 수 있어 이용가능한 작업인원이 한 사람으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작업자가 함께 착석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주행이 가능한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는 복수 개의 바퀴를 통해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되 주행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랑에 진입되는 바퀴 사이의 폭을 고랑폭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프레임을 갖는 주행본체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지면에 대해 이격상태로 작업자가 착석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작업의자와; 상기 작업의자를 상기 프레임에 매달린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을 지원할 수 있게 지지시키는 지지유니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수직상으로 연장되어 하단에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수직바들과; 주행방향을 따라 상기 바퀴 상부에서 상기 제1수직바를 상호 연결하는 제1고정바들과; 상기 제1고정바들을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바퀴 사이의 이격폭을 조정할 수 있게 결합된 제1폭조정 결합바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유니트는 상기 제1고정바에 접촉상태로 구름운동 이동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롤러와, 상기 제1이동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갖으며 상기 제1고정바를 따라 이동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의 지지브라켓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작업의자가 결합되는 제1수직 지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1이동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바의 측면과 나란하게 수직상으로 연장된 사이드판과; 상기 사이드판의 하단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중앙에 회동허용홀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허용홀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동차단홀이 형성된 하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직 지지부는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회동허용홀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 메인봉부분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서 상기 메인봉 부분의 상단과 결합되며 상기 회동허용홀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착석방향 전환조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작업의자의 위치를 상기 회동차단홀과 함께 고정할 수 있게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핀진입홀이 형성된 상부지지판과; 상기 메인봉부분의 하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봉부분에 대해 회동되는 회동부분과, 상기 회동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연장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작업의자와 결합된 연장부분을 갖는 결합바디와; 상기 결합바디가 스윙제한 위치에 도달하면 간섭하여 상기 결합바디의 추가스윙을 차단하도록 상기 메인봉 부분의 하단에 형성된 스윙제한턱;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정바의 측면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고정홀에 진입되게 형성된 이동차단핀을 상기 위치고정홀에 입출시킬 수 있도록 제1힌지를 통해 회동되게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되게 장착된 위치고정레버와; 상기 위치 고정레버가 상기 위치고정홀에 진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게 상기 위치고정레버에 결합된 제1스프링과; 상기 위치 고정레버가 상기 위치고정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고정해제레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바에 각각 수직상으로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바와 나란하게 연장되게 설치된 제2고정바들과; 상기 제2고정바에서 각각 접촉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롤러와, 상기 제2이동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을 갖는 제2슬라이더들과; 상기 제2슬라이더들을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하되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바로부터 외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제2폭조정 결합바와; 상기 제2폭조정결합바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상기 작업의자가 결합되는 제2수직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슬라이더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제1슬라이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슬라이더들과; 상기 제3슬라이더들을 관통하여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삽입되어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바로부터 외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제2폭조정 결합바와; 상기 제2폭조정결합바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상기 작업의자가 결합되는 제2수직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슬라이더는 상기 제2폭조정 결합바와 접촉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제3이동롤러와, 상기 제3이동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지지브라켓을 갖으며, 상기 제2지지브라켓의 상면과 상기 제3지지브라켓의 하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탈이 억제되게 형성된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3슬라이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 대해 회동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폭조정 결합바에는 상기 제3슬라이더의 이동허용 범위를 간섭에 의해 제한하는 이동제한 턱이 형성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의 회전을 와이어의 견인에 따라 허용 및 차단하게 장착된 브레이크와; 상기 프레임에 제2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와이어가 결합된 브레이킹 레버와;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바퀴의 회전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작동되게 상기 브레이킹 레버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레이킹 레버 사이에 접속된 제2스프링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가 바퀴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브레이킹 레버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브레이킹 해제 레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에 의하면, 다수의 작업자가 작업의자에 착석상태로 함께 주행시키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고정바에 장착된 제1슬라이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업의자의 스윙각도 제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브레이크 작동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2폭조정결합바가 작업자들 작업속도 차이에 맞춰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제2 및 제3슬라이더와 제2폭조정결합바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100)는 주행본체(110), 지지유니트(130) 및 작업의자(150)를 구비한다.
주행본체(110)는 복수 개의 바퀴(112)와, 바퀴(112)를 통해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되 주행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랑 사이의 폭에 따라 고랑에 진입되는 바퀴(112) 사이의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프레임(120)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프레임(120)은 4개의 바퀴(112)를 통해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되 주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랑에 진입되는 바퀴(112) 사이의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주행본체(110)는 3개의 바퀴(112)로 주행하도록 구축되고 주행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바퀴를 기준으로 후방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바퀴 사이의 폭을 조정하도록 프레임이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레임(120)은 수직상으로 연장되어 하단에 바퀴(11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수직바(121)들과, 주행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배치된 두 개의 제1수직바(121)를 바퀴(112) 상부에서 상호 연결하는 제1고정바(123)들과, 제1고정바(123)들을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바퀴(112) 사이의 이격폭을 조정할 수 있게 결합된 제1폭조정 결합바(125)를 구비한다.
또한, 프레임(120)은 제1고정바(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제2수직바(221)와, 제2수직바(221)의 상단을 상호 결합하여 제1고정바(123)에 대해 수직상으로 상방으로 이격되어 제1고정바(123)와 나란하게 연장되게 설치된 제2고정바(223)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바(123)의 양단부근에는 제1폭조정 결합바(125)를 삽입할 수 있게 주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평 관통홀(123a)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바(123)의 상면에는 수평관통홀(123a)과 연통되며 후술되는 제1폭조정 결합바(125)를 고정하기 위한 수직 고정홀(123b)이 형성되어 있다.
제1폭조정 결합바(125)는 제1고정바(123)에 형성된 수평 관통홀(123a)을 통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사각관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제1폭조정 결합바(125)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제1고정바(123)들 사이의 폭을 조정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상면에 고정핀(128)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 조정홀(126)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폭조정 결합바(125)는 자체적으로도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속이빈 중공을 갖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외관(125a)과, 제1외관(125a)의 중공내에 입출될 수 있게 제1외관(125a)에 삽입되어 연장된 제1내관(125b)을 갖으며, 제1외관(125a)과 제1내관(125b)의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간격 조정홀(127)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핀(128)에 의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유니트(130)는 후술되는 작업의자(150)를 지면에 대해 이격되면서 프레임(120)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유니트(130)는 작업의자(150)를 프레임(120)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을 지원할 수 있게 작업의자(150)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1고정바(123)에 장착된 지지유니트(130)는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지유니트(130)는 제1슬라이더(132) 및 제1수직지지부(136)를 구비한다.
제1슬라이더(132)는 제1고정바(123)를 따라 이동되며 제1고정바(123)에 접촉상태로 구름운동 이동할 수 있게 된 복수개의 제1이동롤러(133)와, 제1이동롤러(1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34)으로 되어 있다.
제1이동롤러(133)는 제1고정바(123)의 상면과 저면에서 각각 접촉될 수 있게 4개가 적용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1고정바(123)의 상면에서 접촉되게 하나의 제1이동롤러(133) 또는 2개의 제1이동롤러(133)만 적용되고, 제1고정바(123)의 저면에서 접촉되는 제1이동롤러(133)는 생략되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이동롤러(133)는 접촉이동과정에서 제1고정바(123)로부터 이탈이 억제되게 제1고정바(123)과 접촉되게 제1고정바(123)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게 형성된 원기둥형의 접촉부분(133a)과 접촉부분(133a)의 양단으로부터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멀어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된 구속가이드부분(133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지브라켓(134)은 제1이동롤러(1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제1고정바(123)를 따라 제1이동롤러(133)와 함께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면, 상부판(134a), 사이드판(134b), 하부판(134c)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판(134a)은 제1고정바(123)의 상면 상부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사이드판(134b)은 제1이동롤러(133)들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영역을 되며 제1고정바(123)의 측면과 나란하게 수직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하부판(134c)은 사이드판(134b)의 하단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중앙에 회동허용홀(135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회동허용홀(135a)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동차단홀(13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지지브라켓(134)은 제1이동롤러(133)에 의해 구속상태로 제1고정바(123)의 상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경우 제1이동롤러(133)를 지지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판(134b)과 후술되는 제1수직지지부(136)를 결합하기 위한 하부판(134)으로 구축되어도 된다.
하부판(134c)은 사이드판(134b)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하나의 사이드판(134b)에만 결합될 수 있다.
제1수직지지부(136)는 제1슬라이더(132)의 지지브라켓(134)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며 하단에 작업의자(150)가 결합되어 있다.
제1 수직 지지부(136)는 작업의자(150)를 360°로 회전을 허용하되 원하는 착석 방향에서 회전이 차단되게 조정할 수 있고, 지면에 대한 이격 높이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수직지지부(136)는 구분하면 메인봉부분(137), 상부지지판(138), 결합바디(141) 및 스윙제한턱(148)을 구비한다.
메인봉부분(137)은 하부판(134c)에 형성된 회동허용홀(135a)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봉형태로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상부지지판(138)은 하부판(134c)의 상부에서 메인봉 부분(137)의 상단과 결합되며 회동허용홀(135)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지지판(138)은 착석방향 전환조정핀(139)이 삽입되어 작업의자(150)의 방향전환 위치를 회동차단홀(135b)과 함께 고정할 수 있게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핀진입홀(138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바디(141)는 메인봉부분(137)의 하부와 스윙지원 힌지(144)를 통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결합바디(141)는 메인봉부분(137)에 대해 스윙지원 힌지(144)를 토해 회동되며 메인봉부분이 진입될 수 있게 상호 이격되어 판형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용판과, 사이드 수용판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바닥판을 갖으며 'ㄷ'자 형태로 형성된 회동부분(142)과, 회동부분(14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연장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며 작업의자(150)와 결합된 연장부분(14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연장부분(143)은 길이조정핀(146)의 결합위치에 의해 연장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회동부분(142)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외관(143a)과 외관(143a) 내에 삽입되어 외관(143a)에 대한 연장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종단에 작업의자(150)가 결합된 내봉(143b)을 구비한다. 외관(143a)에는 길이조정핀(146)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내봉(143b)에는 결합홀과 함께 길이조정핀(146)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다.
스윙제한턱(148)은 결합바디(141)가 스윙제한 위치에 도달하면 간섭하여 결합바디(141)의 추가스윙을 차단하도록 메인봉 부분(137)의 하단에 회동부분(142)의 개방된 영역상에 양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되 결합바디(141)가 수직상으로 위치되었을 때는 회동부분(142)에 간섭되지 않으며 설정된 회동제한 각도 범위에 도달하며 회동부분(142)의 바닥판을 간섭하여 추가적인 회동을 허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스윙제한턱(148)은 작업의자(150)에 착석한 작업자가 주행본체(110)를 발로 밀어 주행시키고자 할 때 스윙제한턱(148)에 간섭되는 위치로 작업의자(150)를 회동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발로 주행하면 주행본체(110)를 착석상태로 주행시킬 수 있게 지원한다.
즉, 작업의자(150)에 착석된 작업자가 등받이부분(151)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작업의자(150)의 회동은 작업상의 편의를 위해 일정각도만 유동을 허용하고, 후방으로의 등받이부분(151)의 회동도 작업상의 편의를 위해 일정각도만 유동을 허용하되 일정각도를 초과할 때는 차단하여 작업자가 작업의자(150)에 착석한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후방으로 이동시 주행본체(110)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작업의자(150)는 지지유니트(130)의 연장부분(143) 하부에 결합되어 있고, 지면에 대해 이격상태로 작업자가 착석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작업의자(150)는 등을 기대는 등받이부분(151)과, 작업자가 착석할 수 있게 등받이부분(151)의 하단에서 등받이부분(151)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착석부분(15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작업의자(150)에 대해 제자리에서 360°선회방향 중 원하는 고정 위치에 착석방향 전환조정핀(139)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되고, 작업의자(150)의 착석방향을 180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착석방향 전환조정핀(139)이 분리되게 조작한 다음 작업의자(150)를 180도 회전시킨 다음 착석방향 전환조정핀(139)을 다시 핀진입홀(138a)에 삽입되게 고정하면 된다. 이 경우 고랑을 따라 주행본체(110)가 주행되게 작업하면서 고랑의 종단에 도달한 다음에는 주행본체(110)를 옆고랑으로 수평이동한 다음 작업의자(150)의 방향만 180도로 전환시키면 고랑을 따라 왕복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고정바(223)에 장착된 지지유니트(230)는 제2슬라이더(232), 제2폭조정 결합바(225) 및 제2수직지지부(236)를 구비한다.
제2슬라이더(232)는 제2고정바(223)를 따라 이동되며 제2고정바(223)에 접촉상태로 구름운동 이동할 수 있게 된 복수개의 제2이동롤러(233)와, 제2이동롤러(2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34)으로 되어 있다.
제2슬라이더(232)의 상세구조는 제1슬라이더(132)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폭조정결합바(235)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제2고정바(223)에 각각 이동되게 설치된 제2슬라이더(232)들을 주행본체(110)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하되 주행본체(110)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을 따라 제1고정바(123) 및 제2고정바(223)로부터 외부로 멀어지는 양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폭조정 결합바(225)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속이 빈 중공을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측의 제2슬라이더(232)에 접합된 제1외관(225a)과, 제1외관(225a)의 중공내에 입출될 수 있게 제1외관(225a)에 삽입되어 연장되되 중간부분이 나머지 한 측의 제2슬라이더(232)에 접합된 제1내관(225b)을 갖으며, 제1외관(225a)에 대해 제1내관(252b) 반대편에서 삽입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 제2내관(225c)과, 제1내관(225b)에 대해 제1외관(252a) 반대편에서 삽입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 제2외내관(225d)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2폭조정 결합바(225)는 앞서 설명된 간격 조정홀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핀에 의해 바퀴 (112) 사이 및 작업의자(150)의 바퀴(112)로부터의 이격거리를 각각 조정할 수 있다.
제2수직지지부(236)는 제2폭조정결합바(225)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작업의자(150)가 결합된다.
제2수직지지부(236)는 제2내관(225c) 및 제2외관(225d)에 각각 판형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된 행거브라켓(240)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행거브라켓(240)에는 중앙에 앞서 설명된 회동허용홀(135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회동허용홀(135a)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동차단홀(135b)이 형성되어 있다.
제2수직지지부(236)는 구분하면 메인봉부분(137), 상부지지판(138), 결합바디(141) 및 스윙제한턱(148)을 구비한다. 제2수직지지부(236)는 제1수직지지부(136)의 구성요소와 동일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동일 부재번호로 표기하였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지유니트(130)를 작업 상황에 따라 제1고정바(123) 또는 제2고정바(223)에 고정상태로 하거나 비고정상태로 하는 것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작업의자 위치 고정 조작기(160)가 마련되어 있다.
작업의자 위치 고정 조작기(160)는 위치고정레버(162)와, 제1스프링(164) 및 고정해제레버(166)을 구비한다.
위치고정레버(162)는 지지브라켓(134)의 사이드판(134b)에 제1고정바(123)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보조판(134d)에 제1고정바(123)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된 돌출 브라켓(161)에 제1힌지(163)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위치고정레버(162)를 구분하면 제1힌지(16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1수직아암(162a)과, 제1수직아암(162a)의 상단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제1고정바(123)의 측면에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위치고정홀(123d)에 선단부분이 진입되게 형성된 이동차단핀(162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스프링(164)은 위치 고정레버(162)가 위치고정홀(123d)에 진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게 일단은 보조판(134d)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수직아암(162a)에 결합되어 있다.
고정해제레버(166)는 위치 고정레버(162)가 위치고정홀(123d)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해제레버(166)는 제1힌지(163)를 기준으로 제1수직아암(162a)의 하단에서 보조판(134d)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수직아암(162a)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 조작아암(166a)과, 조작아암(166a)의 종단부근에 결합되어 연장된 조작줄(166b)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작업의자 위치 고정 조작기(160)는 작업상황에 따라 작업의자(150)를 프레임(120)을 따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조작줄(166b)을 잡아당긴 후 원하는 위치로 발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면되고, 위치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줄(166b)의 인장 조작을 해제하면서 위치 고정레버(162)가 위치고정홀(123d)에 진입되도록 진입위치를 조정하면된다.
한편, 주행본체(110)에 대해서 프레임(120)의 연장길이에 대응되는 구간에 대해서는 주행본체(110)의 주행이 차단되고 경사를 갖는 구간에서도 주행이 차단되게 브레이크 장치(30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본체(110)의 주행을 차단하는 브레이크 장치(300)에 대해서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브레이크 장치(300)는 브레이크(310)와, 와이어(320)와, 브레이킹 레버(330)와, 제2스프링(341)과, 제1 및 제2 브레이킹 해제 레버(351)(352)를 구비한다.
브레이크(310)는 바퀴(112)의 회전을 와이어(320)의 견인에 따라 허용 및 차단하게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310)는 와이어(320)가 상방으로 잡아당겨지면 상호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호 링크 결합된 제1 및 제2회동링크(311)(312) 및 제1 및 제2회동링크(311)(312)의 하단에 결합되어 바퀴(112)에 접촉되는 패드(315)를 갖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310) 구조는 자전거 등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구조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와이어의 견인에 의해 바퀴(112)에 장착된 드럼(미도시)에 패드(미도시)를 밀착시키는 브레이크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브레이킹 레버(330)는 프레임(120)의 제1수직바(121)에 제2힌지(331)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회동에 의해 와이어(320)를 상방으로 견인 또는 견인해제시킬 수 있게 일단에는 와이어(320)가 결합되어 있다. 와이어(320)이 타단은 제2회동링크(312)에 결합되어 있다.
제2스프링(341)은 브레이크(310)가 바퀴(112)의 회전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킹 레버(330)가 회동되도록 브레이킹 레버(330)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프레임(120)의 제1수직바(121)에 연장되게 설치된 인장 안내바(335)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브레이킹 레버(330)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슬라이더(132)가 브레이킹 레버(330)의 상단을 밀어 브레이킹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브레이킹 레버(330)를 가압시키면 브레이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주행본체(110)를 주행시키고자 할 때 제1슬라이더(132)가 브레이킹 레버(330)의 상단을 밀어 브레이킹이 해제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슬라이더(132)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이동하면 주행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브레이킹 해제 레버(35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310)가 회전을 허용하도록 바퀴(112)로부터 이격상태가 되게 브레이킹 레버(33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일단은 제2힌지(331)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브레이킹 레버(330) 부분에서 제3힌지(336)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제1수직바(121)에 형성된 고리(337)에 걸 수 있게 절곡된 걸이부분을 갖는 걸이구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브레이킹 해제 레버(351)는 바퀴(112)에 제동력을 지속적을 해제시키고자 할 때 이용하면 된다.
제2브레이킹 해제 레버(351)는 제1슬라이더(132)가 브레이킹 레버(330)의 상단을 밀어 브레이킹이 해제되는 위치에 도달되기 이전의 위치에 있는 작업의자(150)에 착석한 작업자가 손을 이용하여 브레이크(310)가 회전을 허용하도록 바퀴(112)로부터 이격상태가 되게 브레이킹 레버(33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일단은 제2힌지(331)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브레이킹 레버(330) 부분에서 제1슬라이더(13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주행본체(110)를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도록 구축할 수 있고 그 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개의 바퀴(112)의 회전축(112a)에 각각 하부스프라켓(412)이 장착되어 있고, 하부스프라켓(412)이 장착된 바퀴(112)를 지지하는 제1수직바(121)에는 주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구동축(42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메인 구동축(421)에는 하부 스프라켓(412)과 체인(415)을 통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상부 스프라켓(414)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 구동축(421)은 바퀴(112)의 폭조정에 대응되게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앞서 설명된 외관 및 내관 결합구조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구동축(421)에는 구동 웜휠(431)이 장착되어 있고, 웜휠(431)은 제1수직부(121)에 연장되게 형성된 장착브라켓(450)에 장착된 모터(440)에 의해 회전되는 워웜기어(432)와 치합되게 되어 있다.
모터(440)는 후술되는 제어유니트(5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원격 조정기(500)는 무선으로 주행본체(110)에 대한 주행 조작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정주행, 정지, 역주행 등을 선택하는 키가 마련된 주행조작부(510)와 주행조작부(520)의 조작신호를 무선으로 송출되게 처리하는 조작 통신부(520)로 되어 있다.
제어유니트(560)는 주행본체(110)에 마련되어 있고, 원격조정기(500)에서 송출된 무선 주행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조작통신부(560)와, 조작통신부(560)에서 전송된 주행조작신호에 대응되게 모터(440)를 구동하는 주행구동부(580)를 제어하는 제어부(570)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원격 조정기(500)는 유선으로 제어유니트(560)와 접속되어 유선으로 주행조작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한편, 제2폭조정 결합바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작업의자(150) 각각에 안착된 작업자의 주행방향을 추종하는 작업속도가 차이가 있을 때 각각의 독립적인 전진을 허영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슬라이더(232)에 제3슬라이더(33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제3슬라이더(332)들을 관통하여 제2폭조정결합바(225)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앞서와 같이 제2수직지지부(236)는 제2폭조정결합바(235)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작업의자(150)가 결합되어 있다.
제3슬라이더(332)는 제2슬라이더(232) 각각의 상부에서 제2슬라이더(23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3슬라이더(332)는 제2슬라이더(23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삽입되는 제2폭조정 결합바(225)와 접촉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상부 및 하부에 각각 2개씩 배치된 4개의 제3이동롤러(333)가 'ㅁ'자 형태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3이동롤러(3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지지브라켓(334)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2폭조정 결합바(225)는 제3슬라이더(332)들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제3이동롤러(333) 사이를 관통하여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제2폭조정 결합바(225)는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제2고정바(223)로부터 외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폭조정 결합바(225)에는 제3슬라이더(332)의 이동허용 범위를 간섭에 의해 제한하는 이동제한 턱(228)이 제3슬라이더(332)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2지지브라켓(234)의 상면이 되는 상부판(234a)과 제3지지브라켓(334)의 하면이 되는 하부판(334c)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게 접촉되어 있고, 제2지지브라켓(234)의 상부판(234a)과 제3지지브라켓(334)의 하부판(334c)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탈이 억제되게 형성된 힌지부재(350)에 의해 제3슬라이더(332)가 제2슬라이더(232)에 대해 회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폭조정결합바(235)가 제2고정바(223)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각도와는 다른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작업의자(150) 각각의 작업자의 전진속도에 맞춰 작업의자(15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4인의 작업자가 작업의자(150)에 각각 착석한 상태로 함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용하고자 하는 작업의자의 수를 제2폭조정 결합바를 통해 확장시키거나, 제2고정바 상부에 제3고정바를 추가 형성하여 앞서 설명된 구조로 확장되게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에 의하면, 다수의 작업자가 착석상태로 함께 주행시키면서 고추와 같은 농작물의 수확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본체 130: 지지유니트
150: 작업의자

Claims (7)

  1. 복수 개의 바퀴를 통해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되 주행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랑에 진입되는 바퀴 사이의 폭을 고랑폭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프레임을 갖는 주행본체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지면에 대해 이격상태로 작업자가 착석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작업의자와;
    상기 작업의자를 상기 프레임에 매달린 상태로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을 지원할 수 있게 지지시키는 지지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직상으로 연장되어 하단에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수직바들과;
    주행방향을 따라 상기 바퀴 상부에서 상기 제1수직바를 상호 연결하는 제1고정바들과;
    상기 제1고정바들을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바퀴 사이의 이격폭을 조정할 수 있게 결합된 제1폭조정 결합바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유니트는
    상기 제1고정바에 접촉상태로 구름운동 이동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롤러와, 상기 제1이동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갖으며 상기 제1고정바를 따라 이동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의 지지브라켓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작업의자가 결합되는 제1수직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1이동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바의 측면과 나란하게 수직상으로 연장된 사이드판과;
    상기 사이드판의 하단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중앙에 회동허용홀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허용홀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동차단홀이 형성된 하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직 지지부는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회동허용홀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 메인봉부분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서 상기 메인봉 부분의 상단과 결합되며 상기 회동허용홀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착석방향 전환조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작업의자의 위치를 상기 회동차단홀과 함께 고정할 수 있게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핀진입홀이 형성된 상부지지판과;
    상기 메인봉부분의 하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봉부분에 대해 회동되는 회동부분과, 상기 회동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연장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작업의자와 결합된 연장부분을 갖는 결합바디와;
    상기 결합바디가 스윙제한 위치에 도달하면 간섭하여 상기 결합바디의 추가스윙을 차단하도록 상기 메인봉 부분의 하단에 형성된 스윙제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의 측면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고정홀에 진입되게 형성된 이동차단핀을 상기 위치고정홀에 입출시킬 수 있도록 제1힌지를 통해 회동되게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되게 장착된 위치고정레버와;
    상기 위치 고정레버가 상기 위치고정홀에 진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게 상기 위치고정레버에 결합된 제1스프링과;
    상기 위치 고정레버가 상기 위치고정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고정해제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에 각각 수직상으로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바와 나란하게 연장되게 설치된 제2고정바들과;
    상기 제2고정바에서 각각 접촉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롤러와, 상기 제2이동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을 갖는 제2슬라이더들과;
    상기 제2슬라이더들을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하되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고정바로부터 외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제2폭조정 결합바와;
    상기 제2폭조정결합바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상기 작업의자가 결합되는 제2수직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에 각각 수직상으로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바와 나란하게 연장되게 설치된 제2고정바들과;
    상기 제2고정바에서 각각 접촉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롤러와, 상기 제2이동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을 갖는 제2슬라이더들과;
    상기 제2슬라이더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슬라이더들과;
    상기 제3슬라이더들을 관통하여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삽입되어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고정바로부터 외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제2폭조정 결합바와;
    상기 제2폭조정결합바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상기 작업의자가 결합되는 제2수직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슬라이더는 상기 제2폭조정 결합바와 접촉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제3이동롤러와, 상기 제3이동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지지브라켓을 갖으며,
    상기 제2지지브라켓의 상면과 상기 제3지지브라켓의 하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탈이 억제되게 형성된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3슬라이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 대해 회동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폭조정 결합바에는 상기 제3슬라이더의 이동허용 범위를 간섭에 의해 제한하는 이동제한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회전을 와이어의 견인에 따라 허용 및 차단하게 장착된 브레이크와;
    상기 프레임에 제2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와이어가 결합된 브레이킹 레버와;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바퀴의 회전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작동되게 상기 브레이킹 레버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레이킹 레버 사이에 접속된 제2스프링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가 바퀴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브레이킹 레버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브레이킹 해제 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KR1020190061178A 2019-05-24 2019-05-24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KR20200134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78A KR20200134946A (ko) 2019-05-24 2019-05-24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78A KR20200134946A (ko) 2019-05-24 2019-05-24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946A true KR20200134946A (ko) 2020-12-02

Family

ID=7379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178A KR20200134946A (ko) 2019-05-24 2019-05-24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9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86B1 (ko) * 2022-08-16 2023-04-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작업기 부착형 경심 제어 장치
CN117063670A (zh) * 2023-10-16 2023-11-17 江西陶氏茶业有限公司 一种茶园用开沟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86B1 (ko) * 2022-08-16 2023-04-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작업기 부착형 경심 제어 장치
CN117063670A (zh) * 2023-10-16 2023-11-17 江西陶氏茶业有限公司 一种茶园用开沟设备
CN117063670B (zh) * 2023-10-16 2023-12-15 江西陶氏茶业有限公司 一种茶园用开沟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2115B2 (ja) 歩行補助装置
US3529700A (en) Brake assembly for wheelchairs
KR20200134946A (ko) 고랑 주행형 농작물 수확 작업기
US20060253983A1 (en) Adjustable bed for patients
EP1287802A2 (en) Reclinable wheelchair
CN102038377A (zh) 调整机构及可调倾角的座椅
KR101620097B1 (ko)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US5797606A (en) Transporter for patient's emergency escape
KR20080112744A (ko) 환자용 침대의 등판각도 조절장치
CA2190427C (en) Transporter for patient's emergency escape
JP2000170200A (ja) フロントローダの装着構造
KR0140158Y1 (ko) 체중을 이용한 종합신체단련기구
JPH06284939A (ja) 椅 子
JP2524556B2 (ja) 検診台の汚水受け支持装置
JP4166080B2 (ja) 畦塗り機
JPH0970211A (ja) 田植機
RU2137624C1 (ru) Сиденье оператора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ых машин
JP4961644B2 (ja) 乗用型田植機
US862433A (en) Two-row cultivator.
JP3599429B2 (ja) 農業用作業機の作業部下降規制装置
JPH07111806A (ja) 耕耘機の耕深調整装置
JP2001055179A (ja) 野菜等の作物収穫作業車
JP2004065024A (ja) 対地作業機
JPH0685184U (ja) 乗用型傾斜作業車両における操縦装置
US781841A (en) Culti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