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679A - 텐셔너 레버 - Google Patents

텐셔너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679A
KR20200132679A KR1020200040722A KR20200040722A KR20200132679A KR 20200132679 A KR20200132679 A KR 20200132679A KR 1020200040722 A KR1020200040722 A KR 1020200040722A KR 20200040722 A KR20200040722 A KR 20200040722A KR 20200132679 A KR20200132679 A KR 2020013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lever
bearing member
lever body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하시모토
유지 쿠레마츠
카오리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20013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1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5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of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185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the guid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rope or chain having particular shapes, structur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축지지용 보스부의 숄더 볼트와의 접촉면에 마찰에 의한 마모나 화상이 생기는 것이 억제되고 높은 내구성이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텐셔너 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동체인을 슬라이딩 접촉하여 주행시키는 주행면(111)을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슈(110)와, 상기 슈의 이면을 지지하는 레버 본체(120)와, 상기 레버 본체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선단측을 요동 가능하게 선회시키는 축지지용 보스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슈와 상기 레버 본체를, 2재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조립한 텐셔너 레버(100)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축지지용 보스부의 내주면을 덮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상기 슈를 연결하는 연락부를 가지고,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연락부가 상기 슈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연속된 일체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텐셔너 레버{TENSIONER LEVER}
본 발명은, 전동체인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하여 주행시키는 주행면을 구비한 수지제의 슈와, 상기 슈의 이면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가이드 길이 방향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선단측을 요동 가능하게 선회시키는 축지지용 보스부를 구비하며, 슈와 레버 본체가 2재(2材)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조립된 텐셔너 레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엔진 등의 전동장치에는 엔진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 각각에 설치한 스프로킷 사이에 롤러체인 등의 전동체인을 무단(無端)으로 감아 돌리고, 주행 안내용의 슈에 의해 슬라이딩 안내를 수행하는 타이밍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엔진 타이밍 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체인(C)이 엔진룸(E) 내의 크랭크축에 장착한 구동 스프로킷(S1)과 캠축에 장착한 1쌍의 종동 스프로킷(S2, S2) 사이에 무단으로 감겨지고, 이 전동체인(C)이 텐셔너(T)와 협력하는 텐셔너 레버(500)와, 고정 체인가이드(G)에 의해서 슬라이딩 안내된다. 고정 체인가이드(G)는 엔진룸(E)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텐셔너 레버(50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하는 전동체인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슈(510)(도 7에서 굵은 사선으로 도시함)와, 이 슈(510)의 뒷면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레버 본체(520)와, 이 레버 본체(520)의 가이드 길이 방향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선단측을 요동 가능하게 선회시키는 축지지용 보스부(5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축지지용 보스부(530)에 요동축(L)을 따라 삽통되는 숄더 볼트(미도시)에 의해, 텐셔너 레버(500)가 엔진룸(E)의 내벽에, 전동체인(C)의 현회(懸回) 평면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참조).
텐셔너 레버(500)를 구성하는 슈(510)는 나일론 수지 등의 저마찰성(자기 윤활성)이 높은 수지로 형성되고, 텐셔너 레버(500)는 예를 들면, 고강성의 재료로 형성된 레버 본체(520)에 대해서 슈(510)를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9-36273호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13-164134호
텐셔너 레버에서는, 축지지용 보스부를 포함한 레버 본체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유리섬유 강화재가 함유된 나일론 수지 등의 고강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지지용 보스부의 관통공에 숄더 볼트를 삽통하여 이를 요동축으로 하여 레버 본체를 요동시키면, 축지지용 보스부의 숄더 볼트와의 접촉면, 즉, 축지지용 보스부의 내주면에 마찰에 의한 마모나 화상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축지지용 보스부의 관통공 내에 저마찰성 수지에 의한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텐셔너 레버의 제조에서,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제작한 후, 레버 본체의 축지지용 보스부에 조립하는 공정이 필요로 하는 점 등, 공정수가 증가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축지지용 보스부의 숄더 볼트와의 접촉면에 마찰에 의한 마모나 화상이 생기는 것이 억제되고, 높은 내구성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텐셔너 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셔너 레버는, 전동체인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하여 주행시키는 주행면을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슈와, 상기 슈의 이면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가이드 길이 방향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선단측을 요동 가능하게 선회시키는 축지지용 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슈와, 상기 레버 본체를, 2재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조립한 텐셔너 레버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축지지용 보스부의 내주면을 덮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상기 슈를 연결하는 연락부를 가지며,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연락부가 상기 슈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상기 슈와 상기 연락부가 연속된 일체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텐셔너 레버에 따르면, 축지지용 보스부의 내주면을 덮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가짐으로써, 요동축이 되는 숄더 볼트와 고강성의 축지지용 보스부 사이에 미끄럼 베어링 부재가 개재되게 되므로, 축지지용 보스부와 숄더 볼트와의 접촉이 방지되어 축지지용 보스부와 숄더 볼트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모나 화상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축지지용 보스부와 미끄럼 베어링 부재로 구성되는 피봇부에서의 프릭션 로스(Friction loss)를 저감 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높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이 미끄럼 베어링 부재가 슈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이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슈가 연락부를 통해 연속된 일체물로서 구성되고 있으며, 텐셔너 레버의 제조공정에서, 이들을 2재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함으로써,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레버 본체와 별도의 부재로서 성형가공한 후 레버 본체에 조립하는 공정이 불필요해 지고, 슈의 성형과 동시에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성형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슈 및 레버 본체를 2재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텐셔너 레버와 동등한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연락부가 레버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노출하도록 설치됨으로써, 2재 성형가공 시 확실하게 연락부 및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를 유입시킬 수 있고,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연락부에 오일 유도홈을 설치하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슈와 연락부가 연속된 일체물에서, 슈의 주행면에서 축지지용 보스부의 내주면을 덮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향하는 오일 유도홈을 가짐으로써, 엔진오일을 슈의 주행면에서 축지지용 보스부 내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의 내주면에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숄더 볼트 사이에 윤활유가 되는 엔진오일을 구석까지 유입 침투시킬 수 있고,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숄더 볼트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편마모나 프릭션 로스, 화상발생을 더욱 저감 시킬 수 있으며, 보다 높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오일 유도홈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높은 저마찰성에 의해 엔진오일을 미끄럼 베어링 부재로 원활히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엔진오일의 냉각작용에 의해서 피봇부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의 발생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오일 유도홈이 슈의 주행면에 설치된 오일 수집부를 가짐으로써, 슈의 주행면에 존재하는 엔진오일을 확실하게 수집할 수 있으므로, 오일 유도홈을 통해 미끄럼 베어링 부재의 내주면으로 엔진오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축지지용 보스부의 측면측의 플랜지부에 미끄럼 베어링 부재의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오일 도입을 촉진하는 노치부를 가짐으로써, 오일 유도홈에 의해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용이하게 미끄럼 베어링 부재의 내주면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레버 본체가 유리섬유 강화재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형성됨과 동시에, 슈, 미끄럼 베어링 부재 및 연락부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레버 본체에 고강성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축지지용 보스부의 내주면에 높은 저마찰성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피봇부에서의 프릭션 로스를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베어링 부재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베어링 부재의 내주면에 유막이 존재하지 않게 된 경우라도, 미끄럼 베어링 부재의 소재자체의 저마찰성에 의해, 피봇부에서의 프릭션 로스를 저감 시키면서, 텐셔너 레버의 요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텐셔너 레버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텐셔너 레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엔진 타이밍 시스템의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텐셔너 레버의 사시도.
본 발명의 텐셔너 레버는 전동체인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하여 주행시키는 주행면을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슈(shoe)와, 상기 슈의 이면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가이드 길이 방향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선단측을 요동 가능하게 선회시키는 축지지용 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슈와, 상기 레버 본체를, 2재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조립한 텐셔너 레버에서,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축지지용 보스부의 내주면을 덮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상기 슈를 연결하는 연락부를 가지며,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연락부가 상기 슈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상기 슈와 상기 연락부가 연속된 일체물로 되는 것으로, 축지지용 보스부의 숄더 볼트와의 접촉면에 마찰에 의한 마모나 화상이 생기는 것이 억제되어 높은 내구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도 저감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구성은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10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텐셔너 레버(100)는 주행하는 전동체인을 텐셔너와 협동하여 전동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안내하는 가동 텐셔너 레버로, 전동체인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하여 주행시키는 주행면(111)을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슈(110)와, 상기 슈(110)의 이면(112)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레버 본체(120)와, 상기 레버 본체(120)의 가이드 길이 방향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선단측을 요동 가능하게 선회시키는 축지지용 보스부(130)를 구비하며, 슈(110)와 레버 본체(120)가, 2재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조립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가이드 길이 방향이란, 텐셔너 레버(100)에서의 전동체인의 주행 방향이다. 또한, 가이드폭 방향이란, 가이드 길이 방향에 수직, 그리고 요동축(L)에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가이드 높이 방향이란, 가이드 길이 방향 및 가이드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슈(110) 또는 레버 본체(120)의 좌측면이란, 전동체인의 주행 방향의 진입단부에서 퇴출단부를 향할 때 가이드폭 방향의 좌측이 되는 측의 측면을 말하며, 도 1에서 앞쪽의 측면이다.
레버 본체(120)는 가이드 길이 방향으로 긴 장척 부재이며, 슈(110)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면(121)을 가지는 슈측 플랜지(122A)와, 텐셔너와 대향하는 텐셔너측 플랜지(122B)와, 양 플랜지(122A, 122B)를 연결하고 있는 웹(web)(122C)과, 슈측 플랜지(122A)로부터 가이드 높이 방향으로 상승하는, 전동체인을 수용하고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측벽(122D, 122D)과, 웹(122C)의 가이드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양 플랜지(122A, 122B) 및 웹(122C)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reinforcing rib)(124)를 가진다. 양 플랜지(122A, 122B), 웹(122C) 및 한 쌍의 측벽(122D, 122D)의, 가이드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부는, 텐셔너 레버(100)의 전동체인의 진입단부 및 퇴출단부를 각각 구성한다.
레버 본체(120)의 기단부에서의 텐셔너측 플랜지(122B)에는, 숄더 볼트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인 피봇부(P)를 구성하는 축지지용 보스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축지지용 보스부(130)는 요동축(L)과 동축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상의 관통공(H)을 가지며, 이 원주 형상의 관통공(H)이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가 배치되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 배치공간이 된다. 또한, 레버 본체(120)는 축지지용 보스부(130)의 측면측에 플랜지부(135)를 가지며, 이 플랜지부(135)에는 외주측에서 내주측의 요동축을 향해 일부분을 노치된,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의 내주측으로의 오일도입을 촉진하는 노치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 본체(120)의 슈측 플랜지(122A)의 지지면(121)에는, 가이드폭 방향의 중앙에 홈 형상의 접합홈부(groove-like joint slit part)(127)가 가이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 본체(120)의 선단측에서의, 슈측 플랜지(122A)의 지지면(121)의 가이드폭 방향의 중앙에는, 접합홈부(127)에 연속하여 상기 접합홈부(127)를 구성하는 홈보다 깊고 가이드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矩形) 공(孔) 형상의, 슈(110)의 가이드 길이 방향의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적절하게 규제하는 계합공부(engaging hole)(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레버 본체(120)의 기단측에서의, 슈측 플랜지(122A)의 전동체인의 진입단부의 부근에서의 가이드 높이 방향 하부에는, 가이드 길이 방향 내측으로 돌입하는 판형상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돌입부(caved-in part)(129)가 설치된다.
또한, 레버 본체(120)는 그 기단측에 슈측 플랜지(122A)와 축지지용 보스부(130)를 연결하는 기단벽(124)을 가지며, 이 기단벽(124)의 좌측면에는 돌입부(129)의 기단부 부근에서 축지지용 보스부(130)까지 연장하여 축지지용 보스부(130)의 노치부(131)에 연속하는 홈 형상의 연락 홈부(126)가 형성된다.
슈(110)는 가이드 길이 방향으로 긴 장척으로 대략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대략 판형상 부재이고, 전동체인을 슬라이딩 접촉하여 주행시키는 주행면(111), 이면(112) 및 한 쌍의 슈 측면(114, 114)을 가지는 슈 본체(113)를 가진다. 또한, 슈 본체(113)의 이면(112)에는 레버 본체(120)의 슈측 플랜지(122A)의 지지면(121)에 설치된 접합홈부(127)와 적합하는 형상의 슈 돌출턱(shoe rib)(115)이, 가이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돌설(突設, protruded)되어 있다. 또한, 슈 본체(113)의 가이드 길이 방향 선단측에서의, 이면(112)의 가이드폭 방향의 중앙에는 레버 본체(120)의 슈측 플랜지(122A)의 지지면(121)에 설치된 계합공부와 가이드폭 방향에 적합하고, 가이드 길이 방향에 계합공부가 남는 형상의 슈 계합 돌기부(미도시)가, 슈 돌출턱(115)에서 가이드 높이 방향 하부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슈 본체(113)의 가이드 길이 방향 기단측에서의, 전동체인의 진입단부의 부근에는 레버 본체(120)의 기단면(진입단면)에 노출하고 슈 본체(113)와 연속하여 가이드 높이 방향 하방으로 연장하는 교각부(pillar part)(117)와, 이 교각부(117)와 연속하여 슈 본체(113)의 주행면(111)과 대략 평행하게 가이드 길이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슈(110)의 가이드 길이 방향 전방으로의 불균일을 규제하는 슈 규제 돌출부(118)가 설치된다. 슈 규제 돌출부(118)는 레버 본체(120)의 슈측 플랜지(122A)에 설치된 돌입부(129)와 적합하는 형상을 가진다.
슈 돌출턱(115), 슈 계합 돌기부 및 슈 규제 돌출부(118)는 모두 슈(110)와 일체 성형되고, 각각 레버 본체(120)의 접합홈부(127), 계합공부 및 돌입부(129)와 계합하여 수용되는 피수용부이다.
레버 본체(120)는 축지지용 보스부(130)의 내주면을 덮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는 축지지용 보스부(130)의 원주형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 배치 공간의 내형에 적합하는 외형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상의 것이며, 내부가 볼트 삽통영역(B)으로 되고, 요동축(L)과 동축 형상으로 가이드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있다. 더욱이, 레버 본체(120)는 슈(110)의 교각부(117)의 하단에서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의 노치부(131)까지 연장하는 기둥 형상의 연락부(140)를 가진다. 연락부(140)는 레버 본체(120)의 좌측면에 노출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와 슈(110)가, 연락부(140)를 통해 연속된 일체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일체물은 모두 동일한 저마찰성(자기 윤활성)이 높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와 슈(110)가 연락부(140)를 통해 연속된 일체물을 ‘저마찰 부재(150)’라고 칭한다. 덧붙여, 도 1 내지 도 3에 대해서는, 이 저마찰 부재(150)에 굵은 사선을 부여하여 도시한다.
저마찰 부재(150)는 레버 본체(120)의 고강성 부재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슈(110)가 레버 본체(120)의 지지면(121) 및 한 쌍의 측벽(122D, 122D)에 각각 슈(110)의 이면(112) 및 한 쌍의 슈 측면(114, 114)이 대향하여 밀착됨과 동시에, 레버 본체(120)의 접합홈부(127), 계합공부 및 돌입부(129)에 각각 슈(110)의 슈 돌출턱(115), 슈 계합 돌기부 및 슈 규제 돌출부(118)가 계합하여 수용된 상태로 밀착되고, 더욱이, 레버 본체(120)의 기단벽(124)의 진입단면에 슈(110)의 교각부(117)가 밀착되어 있고, 이로 인해 슈(110)가 레버 본체(120)에 일체화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레버 본체(120)와 슈(110)와의 밀착면적이 증대되므로, 레버 본체(120)와 슈(110)와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가 레버 본체(120)의 축지지용 보스부(130)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축지지용 보스부(130)의 관통공(H)의 내주면과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의 외주면이 밀착됨과 동시에, 연락부(140)가 레버 본체(120)의 연락 홈부(126) 내에 수용되어 밀착되고, 이로 인해,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 및 연락부(140)가 각각 축지지용 보스부(130) 및 기단벽(124)에 일체화된다.
텐셔너 레버(100)에서는, 축지지용 보스부(130)와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에 의해 피봇부(P)가 구성되고, 텐셔너 레버(100)는 피봇부(P)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의 볼트 삽통영역(B)에 삽통되는 숄더 볼트에 의해서 엔진룸의 내벽에 나사고정됨과 동시에, 숄더 볼트를 요동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텐셔너 레버(100)의 레버 본체(120)의 형성재료인 레버용 합성수지는, 슈(110)의 형성재료인 합성수지에 비해 고강도이고, 강도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합성수지, 예를 들면, 섬유 강화 합성수지, 일례로서 유리섬유를 함유한 강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리섬유 강화재를 함유하는 나일론 수지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저마찰 부재(150)(슈(110),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 및 연락부 140))의 형성재료인 저마찰 부재용 합성수지는 내마모성 및 저마찰성(자기 윤활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이고,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 6 수지, 폴리아미드 66 수지, 폴리아미드 46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저마찰 부재(150)와 레버 본체(120)의 고강성 부재란, 조립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2재 성형가공에 의해 밀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 2재 성형가공은 일차 성형가공에서, 일차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레버용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레버 본체(120)를 형성한 후, 2차 성형가공에서 레버 본체(120)를 내부에 부착한 2차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저마찰 부재용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슈(110),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 및 연락부(140)를 동시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2재 성형가공에 의해 슈(110) 및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를 성형함으로써, 레버 본체(120) 및 슈(110), 그리고, 축지지용 보스부(130) 및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를 서로 높은 밀착성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클리어런스 없이 성형할 수 있으며, 레버 본체(120)에서 슈(110)나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가 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본체(120) 및 저마찰 부재(150)가 모두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텐셔너 레버(1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2재 성형가공에 의해 슈(110), 미끄럼 베어링 부재(160) 및 연락부(140)로 이루어지는 저마찰 부재(150)가 레버 본체(120)의 고강성 부재에 밀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슈(110) 및 피봇부(P)에 높은 저마찰성을 획득하면서 텐셔너 레버(100)를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2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100)와 비교하여, 슈(210)의 주행면에서 축지지용 보스부(230)의 내주면을 덮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260)를 향하는 오일 유도홈(270)이 설치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도 4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100)와 동일한 부재 또는 대응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100)에서의 부호를 200번대로 하는 부호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오일 유도홈(270)은 슈(210)의 기단부에서의 주행면(211)에 설치된, 가이드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축경(縮經)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오목한 오일 수집부(271)와, 오일 수집부(271)의 축경단에 연속하고 이 축경단으로부터 슈(210)의 일방의 측면, 구체적으로는 가이드폭 방향의 좌측면(도 4에서 앞측의 측면)까지 가이드폭 방향 좌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좌측면에 개방되는 통 형상의 통부(272)와, 슈(210)의 교각부(217)에서 좌측면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가이드 높이 방향의 하부로 연장하는 판형상의 오일 안내벽(273)을 가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락부(240)의 좌측면에 오일 안내벽(273)의 하단에서 축지지용 보스부(230)의 노치부(231)까지 연장하는 홈 형상의 오일 유로(274)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연락부(240)의 가이드폭 방향의 두께가, 레버 본체(220)의 연락 홈부(226)의 깊이보다 작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연락 홈부(226) 내에 연락부(240)가 수용된 상태에서 연락 홈부(226)의 좌측면의 외단부(도 4에서 앞측의 단부)가 오일 안내벽으로서 기능한다.
오일 유도홈(270)에서는, 슈(210)의 주행면(211)에 존재하는 엔진오일이, 오일 수집부(271) 및 통부(272)를 통해 슈(210)의 가이드폭 방향의 좌측면에 유도되고, 또한 오일 안내벽(273)을 따라 연락부(240)의 표면을 거쳐 축지지용 보스부(230)의 노치부(231)에서부터 미끄럼 베어링 부재(260)의 볼트 삽통영역(B) 내에 이른다. 그리고, 오일 유도홈(270)의 전부가 저마찰 부재(250)에 형성되고, 저마찰 부재(250)가 저마찰성(자기 윤활성)이 높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슈(210)의 주행면(211)에 응집 부착한 엔진오일을 볼트 삽통영역(B) 내에 어떠한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유입 침투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셔너 레버의 구체적인 예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텐셔너 레버는 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구성 부재의 형상, 위치, 치수, 배치 관계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텐셔너 레버는 엔진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한 스프로킷 사이에 무단으로 감은 롤러체인 등의 전동체인을 슈에 의해 슬라이딩 안내를 수행하는 타이밍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체인, 벨트, 로프 등에 의한 어떠한 전동기구에 적용되어도 좋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100, 200, 500: 텐셔너 레버
110, 210, 510: 슈
111, 211: 주행면
112: 이면
113: 슈 본체
114: 슈 측면
115: 슈 돌출턱
117, 217: 교각부
118: 슈 규제 돌출부
120, 220, 520: 레버 본체
121: 배면
122A: 슈측 플랜지
122B: 텐셔너측 플랜지
122C: 웹
122D: 측벽
124: 보강 리브
125: 기단벽
126, 226: 연락 홈부
127: 접합홈부
129: 돌입부
130, 230, 530: 축지지용 보스부
131, 231: 노치부
135: 플랜지부
140, 240: 연락부
150, 250: 저마찰 부재
160, 260: 미끄럼 베어링 부재
270: 오일 유도홈
271: 오일 수집부
272: 통부
273: 오일 안내벽
274: 오일 유로
B: 볼트 삽통영역
C: 전동체인
E: 엔진룸
G: 고정 체인가이드
H: 관통공
L: 요동축
P: 피봇부
S1: 구동 스프로킷
S2: 종동 스프로킷
T: 텐셔너

Claims (6)

  1. 전동체인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하여 주행시키는 주행면을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슈와, 상기 슈의 이면을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가이드 길이 방향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선단측을 요동 가능하게 선회시키는 축지지용 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슈와, 상기 레버 본체를, 2재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조립한 텐셔너 레버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축지지용 보스부의 내주면을 덮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상기 슈를 연결하는 연락부를 가지고,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연락부가 상기 슈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상기 슈와 상기 연락부가 연속된 일체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부는, 상기 레버 본체가 적어도 일방의 측면에 노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슈의 주행면에서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향하는 오일 유도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유도홈은, 상기 슈의 주행면에 설치된 오일 수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축지지용 보스부의 측면측에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의 내주측으로의 오일 도입을 촉진하는 노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가 유리섬유 강화재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슈,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연락부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KR1020200040722A 2019-05-15 2020-04-03 텐셔너 레버 KR202001326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2000A JP7277732B2 (ja) 2019-05-15 2019-05-15 テンショナレバー
JPJP-P-2019-092000 2019-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679A true KR20200132679A (ko) 2020-11-25

Family

ID=7301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722A KR20200132679A (ko) 2019-05-15 2020-04-03 텐셔너 레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48682B2 (ko)
JP (1) JP7277732B2 (ko)
KR (1) KR20200132679A (ko)
CN (1) CN111946782A (ko)
DE (1) DE102020205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6755B2 (en) * 2020-02-03 2022-10-11 Borgwarner Inc. Chain guide and tensioning apparatus for vehicles
JP7448811B2 (ja) * 2020-05-25 2024-03-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JP7448821B2 (ja) * 2020-09-29 2024-03-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KR20230000058A (ko) * 2021-06-24 2023-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계식 체인 텐셔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273A (ja) 2007-07-31 2009-02-19 Tsubakimoto Chain Co テンショナレバー
JP2013164134A (ja) 2012-02-10 2013-08-22 Tsubakimoto Chain Co 伝動装置用チェーンガイド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476Y2 (ja) * 1991-11-07 1996-03-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のアームとシューの一体化構造
DE4202483A1 (de) * 1992-01-29 1993-08-05 Bosch Gmbh Robert Spannschie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pannschienen
EP0856686B2 (de) * 1997-02-01 2007-05-02 Dr.Ing.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leitschiene zum Führen und/oder Spannen einer Kette
JP3942682B2 (ja) * 1997-02-26 2007-07-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の枢支構造
JP3162646B2 (ja) * 1997-03-27 2001-05-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3755061B2 (ja) * 1998-01-09 2006-03-15 大同工業株式会社 テンショナーレバー
JP3541926B2 (ja) * 1998-09-18 2004-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テンショナアーム
JP3280339B2 (ja) * 1999-03-24 2002-05-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伝動用テンショナレバー
US6612952B1 (en) * 1999-10-28 2003-09-02 Borgwarner Inc. Blade tensioner having spring blade cantilevered from distal end of arm
JP3460980B2 (ja) * 2000-06-07 2003-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巻掛式動力伝達部材のガイド装置
JP3243245B1 (ja) * 2000-11-01 2002-01-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プラスチック製レバー
JP3352669B1 (ja) * 2001-06-13 2002-12-03 アイ・アンド・ピー株式会社 伝動装置用サンドイッチ成形ガイド
JP2003214504A (ja) * 2002-01-22 2003-07-30 Tsubakimoto Chain Co 伝動チェーン用可動レバー
JP3999610B2 (ja) * 2002-09-11 2007-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装置
JP3587835B2 (ja) * 2002-09-25 2004-11-1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ンドイッチ成形による伝動装置用可動ガイド
JP2004116681A (ja) * 2002-09-26 2004-04-15 Tsubakimoto Chain Co テンショナレバー
JP4059318B2 (ja) * 2002-09-30 2008-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カムチェーン脱落防止構造
DE10302876A1 (de) * 2003-01-25 2004-08-05 Ina-Schaeffler Kg Baueinheit mit einer Hülse für Kettensteuertriebe
JP2005048931A (ja) * 2003-07-31 2005-02-24 Tsubakimoto Chain Co 伝動装置用レバー
WO2008119615A1 (de) * 2007-04-02 2008-10-09 Schaeffler Kg Führungs- oder spannschiene in einem zugmitteltrieb
DE102008015154A1 (de) * 2007-05-15 2008-11-20 Schaeffler Kg Führungs- oder Spannschiene in einem Zugmitteltrieb
CN101910679B (zh) * 2008-01-08 2014-04-23 克劳伊斯传动装置产品有限公司 用于链条导板或张紧臂的系留紧固件装置
WO2010059698A1 (en) * 2008-11-18 2010-05-27 Cloyes Gear And Products, Inc. Blade tensioner with captured spring
US8715122B2 (en) * 2010-08-09 2014-05-06 Cloyes Gear And Products, Inc. Blade tensioner with spring retaining features
KR20120054475A (ko) * 2010-11-19 2012-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타이밍 체인 마찰 저감장치
JP5631825B2 (ja) * 2011-09-07 2014-11-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ガイド
DE102012014943A1 (de) * 2012-07-27 2014-01-30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 oder Führungsschiene mit extrudiertem Gleitbelagkörper
JP5808299B2 (ja) * 2012-08-23 2015-11-1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JP2014070672A (ja) * 2012-09-28 2014-04-21 Honda Motor Co Ltd チェーンテンショナー装置
DE102013006679A1 (de) * 2013-04-18 2014-10-23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 oder Führungsschiene mit vernietetem Gleitbelagkörper
JP5980177B2 (ja) * 2013-07-22 2016-08-3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JP2015137685A (ja) * 2014-01-21 2015-07-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案内シュー
JP2015137686A (ja) * 2014-01-21 2015-07-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案内シュー
ES2702283T3 (es) * 2014-08-01 2019-02-28 Piaggio & C Spa Barra tensora de cadena
JP6420629B2 (ja) * 2014-10-30 2018-11-07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チェーンガイドおよびチェーンテンショナアーム
DE102015209556A1 (de) * 2015-05-26 2016-12-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leitschiene mit rücklaufgesichertem Gleitbelag
JP6170109B2 (ja) * 2015-09-25 2017-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ムチェーンテンショナピボット機構を備えたパワーユニット
JP6539244B2 (ja) * 2016-09-30 2019-07-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JP2018145977A (ja) * 2017-03-01 2018-09-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案内シュー
JP7492115B2 (ja) * 2020-03-10 2024-05-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273A (ja) 2007-07-31 2009-02-19 Tsubakimoto Chain Co テンショナレバー
JP2013164134A (ja) 2012-02-10 2013-08-22 Tsubakimoto Chain Co 伝動装置用チェーン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46782A (zh) 2020-11-17
US11248682B2 (en) 2022-02-15
DE102020205791A1 (de) 2020-11-19
US20200362944A1 (en) 2020-11-19
JP7277732B2 (ja) 2023-05-19
JP2020186776A (ja)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2679A (ko) 텐셔너 레버
US7967708B2 (en) Chain guide for use in engine
US8900079B2 (en) Transmission guide
JP4060320B2 (ja) 伝動装置用可動ガイド
US8696500B2 (en) Tensioner lever
US20020077204A1 (en) Pivotally movable plastic guide for power transmission device
US6884192B2 (en) Movable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KR101464827B1 (ko) 전동장치용 가이드
EP1300608B1 (en) Movable lever for transmission chain
US6852051B2 (en) Tensioner lever for transmission device
US7137916B2 (en) Movable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US7329196B2 (en)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US6969331B2 (en) Synthetic resin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US20070155555A1 (en) Movable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US20110218068A1 (en) Stationary guide for chain transmission
US6832966B2 (en) Plastic movable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US20030139236A1 (en) Sliding contact guide for transmitting medium
US9562593B2 (en) Chain guide and chain drive apparatus
EP2762748B1 (en) Chain guide and chain drive device
KR20140113365A (ko) 체인 가이드
US20040058761A1 (en) Movable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formed by sandwich molding
US20140342861A1 (en) Stationary guide for chain transmission
US10527134B2 (en) Chain tensioner arm or chain guide flat face features to allow face assembly from one end of the guide or arm
JP2018096442A (ja) チェーンガイドおよびチェーン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