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186A -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 Google Patents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186A
KR20200132186A KR1020190057282A KR20190057282A KR20200132186A KR 20200132186 A KR20200132186 A KR 20200132186A KR 1020190057282 A KR1020190057282 A KR 1020190057282A KR 20190057282 A KR20190057282 A KR 20190057282A KR 20200132186 A KR20200132186 A KR 20200132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handcart
handle
casters
stepped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네이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네이처
Priority to KR102019005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186A/ko
Publication of KR2020013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는, 짐이나 수하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제공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 4곳에 설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전륜과 한 쌍의 후륜으로 구비되는 4개의 캐스터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일측에 베이스판의 상면측으로 접거나 또는 수직하게 기립된 형태로 펼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앞쪽에서 뒤쪽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캐스터에 대하여 낮은 높이를 갖는 경사슬라이더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는 주행방향에 대하여 전륜 캐스터 및 후륜 캐스터의 각 앞쪽에 경사면을 형성한 경사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간소한 구조변경을 통해 단차턱이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단차턱의 직각면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적재물의 전도와 유동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운반을 보장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a handcart of freight transport)}
본 발명은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화물이 적재된 손수레가 단차턱을 통과할 때 작업자가 진행하는 방향에 위치한 손수레의 앞부분을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수화물이 자칫 전도되거나 이탈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지 않고 무게가 가벼운 짐이나 수하물은 운반용 손수레를 사용하여 간편히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운반용 손수레는 바닥면이 평탄한 장소에서 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짐이나 수하물을 실은 상태에서 바닥이 평평한 곳을 주행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으나 단차턱을 통과할 때에는 상당한 주의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단차턱을 지나가는 경우 바퀴가 단차턱을 타고 넘어갈 정도의 높이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수레를 세게 밀면 바퀴가 단차턱에 부딪히면서 타고 넘어갈 수 있으나 바퀴의 파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충돌에 의해 적재된 짐이나 수하물이 전도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단차턱이 바퀴의 지름에 비해 높은 경우에는 주행이 불가능하므로 바퀴를 들어올려 단차턱 위에 올려놓아야 하므로 이로 인한 불편함이 클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짐이나 수하물이 전도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운반용 손수레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짐이나 수하물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제공되는 베이스판(110)과, 이 베이스판(110)의 저면 4곳에 지면에 구름접촉되는 바퀴인 4개의 캐스터(130)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 일측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된 손잡이(120)로 이루어진 손수레(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손수레(100)는 주행 중 단차턱 구간을 만나게 되면 캐스터(130)가 단차턱을 타고 넘어갈 수 없음에 따라 대부분의 사용자는 짐이나 수하물을 모드 베이스판(110)에서 내려놓고 단차턱 구간을 통과한 뒤 다시 짐이나 수하물을 베이스판(110)에 적재시키거나 또는 짐이나 수하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단차턱에 근접한 베이스판(110)의 앞쪽을 들어 올려 앞쪽의 캐스터가 단차턱 위에 올라가도록 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힘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적재물이 떨어져 파손되거나 전도된 적재물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914630호(2018.10.29), ‘이탈방지형 안전이동대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단차턱 구간을 통과할 때 단차턱 부분이 베이스판의 저면에 제공된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충격과 진동발생으로 인하여 적재물이 전도되거나 유동되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운반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는 짐이나 수하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제공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 4곳에 설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전륜과 한 쌍의 후륜으로 구비되는 4개의 캐스터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일측에 베이스판의 상면측으로 접거나 또는 수직하게 기립된 형태로 펼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앞쪽에서 뒤쪽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캐스터에 대하여 낮은 높이를 갖는 경사슬라이더가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경사슬라이더는 10~60도의 각도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캐스터를 구성하는 전륜 캐스터와 후륜 캐스터의 각 앞쪽에 각각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면 일측에 손잡이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의 형상에 대응되는 손잡이 수납홈을 형성하여 손잡이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는 주행방향에 대하여 전륜 캐스터 및 후륜 캐스터의 각 앞쪽에 경사면을 형성한 경사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간소한 구조변경을 통해 단차턱이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단차턱의 직각면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적재물의 전도와 유동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운반을 보장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은 간소한 구조변경을 통해 경제적인 제조와 보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운반용 손수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의 저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의 저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1)는 크게 베이스판(10)과 캐스터(30)와 손잡이(20) 그리고 경사슬라이더(40)로 구성된다.
베이스판(10)은 사람이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의 부피와 무게를 가진 짐이나 화물 또는 수하물 등을 적재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 사각 또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베이스판(1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공되며, 최근에는 무게가 가벼우면서 취급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한 플라스틱재로 성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베이스판(10)은 상면 일측에 후술할 손잡이(20)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15)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손잡이 수납홈(13)을 형성하여, 이 손잡이 수납홈(13)에 상기 손잡이(20)를 접었을 때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캐스터(30)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저면 4곳에 설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되는 구름 요소로, 주행방향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륜 캐스터와, 이들 전륜캐스터의 뒤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후륜 캐스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캐스터(30)는 지면에 접촉하여 굴러가는 바퀴휠(31)과, 이 바퀴휠(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베이스판(10)의 저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캐스터 브라켓트(33)로 구성되며, 이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손잡이(20)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면 일측에 베이스판(10)의 상면으로 접거나 또는 수직하게 기립시킬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손잡이(20)는 하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면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15)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이때의 힌지부(15)는 손잡이를 펼쳤을 때 즉, 기립시킨 상태에서는 접히지 않도록 잠금구조를 갖도록 하고 사용자가 잠금구조를 해제하였을 경우에만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는 공지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사슬라이더(40)는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요소로, 상기 베이스판(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앞쪽에서 뒤쪽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한 요소이다.
이러한 경사슬라이더(40)는 상기 캐스터(30)에 대하여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10~60도의 각도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경사슬라이더(40)는 캐스터(30)를 구성하는 전륜 캐스터와 후륜 캐스터의 각 앞쪽에 각각 구비되며,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거나 또는 금속판재를 굽힘 가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경사슬라이더(40)는 수직한 면을 갖는 단차턱에 대하여 빗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면(41)을 구비하며, 미설명 부호 (43)은 수직면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10 : 베이스판
11 : 프레임
13 : 손잡이 수납홈
20 : 손잡이
30 : 캐스터
40 : 경사슬라이더

Claims (3)

  1. 짐이나 수하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제공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 4곳에 설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전륜과 한 쌍의 후륜으로 구비되는 4개의 캐스터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일측에 베이스판의 상면측으로 접거나 또는 수직하게 기립된 형태로 펼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앞쪽에서 뒤쪽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캐스터에 대하여 낮은 높이를 갖는 경사슬라이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슬라이더는 10~60도의 각도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캐스터를 구성하는 전륜 캐스터와 후륜 캐스터의 각 앞쪽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면 일측에 손잡이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의 형상에 대응되는 손잡이 수납홈을 형성하여 손잡이가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KR1020190057282A 2019-05-16 2019-05-16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KR20200132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82A KR20200132186A (ko) 2019-05-16 2019-05-16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82A KR20200132186A (ko) 2019-05-16 2019-05-16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186A true KR20200132186A (ko) 2020-11-25

Family

ID=7364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282A KR20200132186A (ko) 2019-05-16 2019-05-16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1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630B1 (ko) 2018-05-23 2018-11-06 주식회사 선진인더스트리 이탈방지형 안전이동대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630B1 (ko) 2018-05-23 2018-11-06 주식회사 선진인더스트리 이탈방지형 안전이동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987B2 (en) Roller mechanism for container or cart
CN1925768B (zh) 通过轮子滑行的行李箱
US20070080511A1 (en) Wheel Mechanism
US4733877A (en) Cart apparatus with improved handle
JP3187235U (ja) 台車
CN105307921B (zh) 购物车
US20030094778A1 (en) Transport trolley, especially for the transporting of piece goods
KR20200132186A (ko) 단차턱 이동이 가능한 손수레
JP4513084B2 (ja) エスカレータカート
KR102165003B1 (ko)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WO2012005666A1 (en) Cart
CN108099978B (zh) 一种可调倾角展开式手推车
GB2457264A (en) Wheeled load-carrying device
CN201729178U (zh) 机柜周转车
CN204978730U (zh) 一种三轴蝶形搬运小车
JP2020011598A (ja) ネガティブキャンバー構造カート型キャリー
KR20160013286A (ko) 사다리 겸용 손수레
JP5693038B2 (ja) 折畳み式台車
RU2137647C1 (ru) Ручная тележка
CN209305603U (zh) 一种用于轻质条形板的小型运输车
Nguyen Design of a Transport System for the EVE R3 Robot
FR3038292A1 (fr) Chariot de manutention vehiculable a plateau mobile
JPH01301459A (ja) 車両
JPH0853069A (ja) 車輪付軽運搬車
JP2579978Y2 (ja) エスカレータカ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