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477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477A
KR20200129477A KR1020190053929A KR20190053929A KR20200129477A KR 20200129477 A KR20200129477 A KR 20200129477A KR 1020190053929 A KR1020190053929 A KR 1020190053929A KR 20190053929 A KR20190053929 A KR 20190053929A KR 20200129477 A KR20200129477 A KR 20200129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plate
module
blen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608B1 (ko
Inventor
김영수
석준호
정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608B1/ko
Priority to EP20802437.2A priority patent/EP3967193A4/en
Priority to PCT/KR2020/006018 priority patent/WO2020226433A1/ko
Priority to CN202080033372.8A priority patent/CN113784646B/zh
Priority to US17/609,196 priority patent/US20220225839A1/en
Priority to AU2020269750A priority patent/AU2020269750B2/en
Priority to PCT/KR2020/006113 priority patent/WO2020226459A1/ko
Priority to US17/608,423 priority patent/US11944238B2/en
Priority to CN202080033362.4A priority patent/CN113784650A/zh
Priority to US17/609,352 priority patent/US20220160177A1/en
Priority to PCT/KR2020/006131 priority patent/WO2020226463A1/ko
Priority to EP20802995.9A priority patent/EP3967194A4/en
Priority to EP20173724.4A priority patent/EP3735881B1/en
Priority to AU2020269749A priority patent/AU2020269749B2/en
Priority to CN202080034273.1A priority patent/CN113795183B/zh
Priority to EP20801841.6A priority patent/EP3967192A4/en
Publication of KR2020012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1Components thermally connected to metal substrates or heat-sinks by insert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배치되는 자; 상기 자가 안착되며, 하면이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회전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축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시 회전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쿨링팬; 상기 본체의 둘레면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피시비 모듈;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플레이트 흡입구와 상기 본체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플레이트 토출구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여 공기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의 상방에 배치되어 흡입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렌더 { A blender }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가루로 분쇄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만드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용기에 식품을 넣은 후 상기 본체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더는 최근 용기의 크기가 큰 대용량의 블렌더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를 이용한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고속회전을 위한 모터의 출력이 커지게 되고, 회전 속보가 빨라짐에 따라서 모터가 높은 온도로 발열될 수 있으며 모터의 제어를 위한 피시비 등이 과열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3-0000329 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모터를 냉각시킨 후 열을 흡수한 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는 공냉식의 믹서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본체 하면의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면의 바깥쪽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배치되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서 흡입 또는 토출 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22328호에는 모터의 구동시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상기 본체의 내부를 일차적으로 냉각시키고, 상기 모터를 통과한 후 배출되면서 이차적으로 상기 모터를 냉각시키는 이중 공기 냉각 방식의 블렌더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도 상기 본체 하면의 중앙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면의 바깥쪽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배치되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서 흡입 또는 토출 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서는 흡입구와 토출구의 인접 배치로 가열된 공기가 재순환될 수 있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체 내부의 냉각 효율이 증대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터를 포함한 본체 내부 구성을 동시에 냉각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치 장소 및 환경에 관계없이 본체 내부의 냉각이 보장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체 내부의 특정 전장부품을 집중 냉각할 수 있는 블렌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체 내부의 피시비의 방열을 개선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본체의 내부의 공간 배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본체;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쿨링 팬;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에 개구된는 플레이트 흡입구 및 플레이트 토출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일측과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여 냉각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 가이드;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의 상방에 배치되어 흡입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피시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쿨링팬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쿨링팬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흡입구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블레이드 모듈을 회전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쿨링 팬;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피시비 모듈;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바텀 커버; 상기 바텀 커버는, 지면과 이격되며 본체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부와, 바텀 플레이트부 둘레와 상기 본체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텀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는 바텀 흡입구와 바텀 토출구가 형성되고, 바텀 테두리에는 테두리 흡입구와 테두리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구비되며 흡입구와 토출구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쿨링 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 피시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은 상기 흡입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은 방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재가 상기 흡입구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쿨링 팬;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피시비 모듈;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모듈의 하방에 개구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은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배치되는 자; 상기 자가 안착되며, 하면이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회전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축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시 회전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쿨링팬; 상기 본체의 둘레면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피시비 모듈;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플레이트 흡입구와 상기 본체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플레이트 토출구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여 공기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의 상방에 배치되어 흡입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상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면에 더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와 플레이트 토출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가변속 회전을 제어하는 인버터 피시비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통되는 가이드 홀; 상기 에어 가이드의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연장되어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하는 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링 팬은 상기 가이드 홀을 통과하여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는 상기 둘레면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는 상기 둘레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와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둘레면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의 둘레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에어 가이드의 사이를 기밀 시키는 서포팅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회전축이 되는 모터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어퍼 홀;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개구되며, 상기 에어 가이드와 연통되는 로어 홀;을 포함하며, 상기 쿨링 팬은 상기 로어 홀의 하방에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시 상기 어퍼 홀과 로어 홀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홀은 상기 모터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 홀은 상기 모터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장착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결합되되 상기 어퍼 홀이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떨어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피시비 모듈 중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속 제어하는 인버터 피시비 모듈이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은, 일면에 소자가 실장된 피시비;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피시비의 방열을 위한 방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재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핀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와 교차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방에는 바텀 커버 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바텀 커버는, 지면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부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면의 둘레와 결합되는 바텀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 및 플레이트 토출구와 대응하는 상기 바텀 커버에는 커버 흡입구 및 커버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흡입구는,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 수직 하방의 상기 바텀 플레이트부에 개구되는 바텀 흡입구와, 상기 바텀 흡입구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바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토출구는,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 수직 하방의 상기 바텀 플레이트부에 개구되는 바텀 토출구와, 상기 바텀 토출구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바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테두리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본체 내부에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에 쿨링 팬이 구비되어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시 쿨링 팬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터 어셈블리와 흡입구의 사이에 피시비 모듈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시 모터와 피시비 모듈이 동시에 냉각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본체 내부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터 어셈블리와 토출구를 연결하는 에어 가이드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의 내측에 상기 쿨링 팬이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이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흡입구 측에 집중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와 피시비 모듈을 집중 냉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모듈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모터의 가변속 제어를 위한 인버터 피시비 모듈이 흡입구 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 먼저 냉각되도록 하여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를 집중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열이 심한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의 냉각을 통해 상기 블렌더의 고속 동작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냉각 성능의 향상을 통해 상기 블렌더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 중 방열부재가 상기 흡입구와 겹치도록 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방열부재를 통과하면서 상기 인버터 피시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는 다수의 핀이 이격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와 핀의 연장 방향이 교차되도록 하여 공기 흡입시 열교환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상기 방열부재의 방열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배치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둘레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 둘레 사이에 다수의 피시비 모듈이 배치되도록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피시비 모듈이 배치된 상태에서 냉각을 집중하기 위한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을 상기 흡입구측에 배치하여 냉각 성능 또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피시비 모듈은 기능에 따라 각각 상기 본체의 내측면의 각 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서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조립성 및 서비스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면에는 바텀 커버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커버는 본체의 하면을 형성하고 지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텀 커버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부와 바텀 플레이트 둘레와 본체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텀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바텀 플레이트부와 바텀 테두리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냉각 공기의 흡토출이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면의 상태 또는 상기 블렌더의 배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본체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흡토출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본체의 일 구성인 이너 케이스와 피시비 모듈들의 배치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2의 15-15' 절개 사시도이다.
도 16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본체와 피시비 모듈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본체와 다른 피시비 모듈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본체와 인버터 피시비 모듈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본체로부터 모터와 베이스 플레이트, 무선 전력 모듈 및 바텀 커버가 차례로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무선 전력 모듈의 배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본체의 공기 흡입 및 토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 27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전체 외관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방향을 정의한다. 노브(4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파워 커넥터(도 9에서 35)가 연결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체(30)의 바닥의 위치를 하면 또는 하방이라 하고, 자(10)의 상단의 위치를 상면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면 또는 좌측방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우측을 우측면 또는 우측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자(10, ja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자(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상기 자(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외관은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피시비 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하면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렌더(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로 흡입 및 토출되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상태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3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조작부(40,31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40,310b)는 상기 노브(40)와 터치 모듈(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301)의 일부가 상기 자(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자(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에 상기 자(10)가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자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상기 본체(30)의 중앙에서 다소 치우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자(10)의 손잡이(13)를 포함한 전체 가로 길이와 상기 본체(30)의 가로 길이는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10)의 식품 수용 공간의 중심은 상기 본체(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301)의 중심 또한 상기 자(10)의 중심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40)는 상기 안착부(301) 및 자(10)의 중심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30)의 전면의 편심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 하방의 상기 본체(30) 내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자(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노브(40)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상기 자(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흡입된 냉각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상기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10)는 상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10)는 유리 또는 유리와 같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가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상기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상기 자(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10)의 내부에는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자(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장착시 상기 뚜껑(2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1,spout)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주둥이(111)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자(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자(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자(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 및 상기 뚜겅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자 구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자(1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자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6-6'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자(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10)의 하면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고,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2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자(1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아우터 자(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자(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저 자(10)와 아우터 자(11)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자(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자(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자(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자(11)의 외경은 상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자(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30)와 자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자(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상기 아우터 자(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안착부(32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자(10)는 상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자(11)의 하단 일측에는 벤트 절개부(10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절개부(102a)는 상기 자(10)와 안착부(301)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때 상기 자(10)의 하면과 상기 안착부(301)의 상면 사이의 공기가 배기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자(10)가 용이하게 상기 안착부(301)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벤트 절개부(102a)는 상기 아우터 자(1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자(11)의 하면 중앙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는 블레이드 모듈 장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 장착부(103)는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자(10)의 중앙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자(12)는 상기 아우터 자(11)와 이격되어 상기 아우터 자(11)와 이너 자(1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자(12)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자(12)의 하부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자(10)의 내부 식품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상기 자(10) 내부 공간(101)에 수용된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41)와, 블레이드 샤프트(142), 샤프트 마운팅 바디(143)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4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축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1)는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141)의 연장 방향과 절곡 각도 및 형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식품의 분쇄, 절단 및 식품을 가루로 만들거나 액체와 같이 상태로 만드는데 모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상의 블레이드(141)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는 상기 샤프트 마운팅 바디(143)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마운팅 바디(143) 내부의 베어링(14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43a)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마운팅 바디(143)는 상기 자(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141)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블레이드(141)가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블레이드 구속부재(142a)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하단에는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상기 자(10)의 바닥면 중앙에서 노출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가 상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에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측 연결부(54)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모듈 장착부(103)의 내측에는 자석 모듈(1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 모듈(15)은 상기 자의 장착시 상기 자의 장착 여부를 아래에서 설명할 감지장치(39)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자(10)의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자석 모듈(15)은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 장착부(103)의 내측면과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외측면 사이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 모듈(15)은 상기 블레이드 모듈 장착부(103) 내측에 장착되는 자석 케이스(152)와, 상기 자석 케이스(152)에 장착되는 자석(151) 그리고 상기 자석(151)을 하방에서 차폐하는 자석 커버(1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151)은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자(12)의 상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12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뚜껑(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자(12)와 점진적으로 보다 밀착되면서 기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자(12) 상단의 경사면은 상기 자(10)의 상단에서 이너 가이드(121)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자(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경사면(122)에서 상기 이너 자(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면을 형성하는 뚜껑 상부(22)와, 상기 뚜껑 상부(22)와 결합되며 상기 뚜껑(20)의 하면을 형성하는 뚜껑 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13)는 상기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의 개구된 중앙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분리한 상태에서 식품의 추가 또는 상기 자(10) 내부 공간(101)으로의 접근이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둘레에는 상기 자(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자(10) 내부를 기밀시키는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이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자의 경사면(122)과 접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자(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자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뚜껑(22)의 외측 단부에는 손잡이부(2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뚜껑(22)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뚜껑(23)과 이격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뚜껑 손잡이(21)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1)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체 구조]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3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8-8'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본체의 일 구성인 이너 케이스와 피시비 모듈들의 배치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30)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 상기 자(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돌출되고, 상기 본체(30)의 전면에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4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 상기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되어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모터 어셈블리(50)와 다수의 상기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 상기 본체(30)의 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사각형 형상의 상면과, 상기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311)는 상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결합시 상기 안착부(301)를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가 상기 상면 개구(311)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에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그리고 연결 데코(3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및 연결 데코(317)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 소재 또는 동일한 질감으로 보이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는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상단과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를 연결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및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형성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 및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상기 상면 개구(31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안착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324)는 상기 상면 개구(311)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거나 다소 작은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324)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안착부(324)를 따라서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하단과 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로어 데코 장착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 장착부(323)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로어 데코(315)가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315)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장착시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사이 공간을 채워 틈새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금속 소재로 된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과 상기 상면 개구(311)의 둘레 사이를 기밀하고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안착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는 연결 데코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하단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에는 상기 연결 데코(3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상단과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사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 데코(317)는 수평부(317a)와 수직부(317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7a)는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17a)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의 홈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17a)의 상면은 상기 제 1 안착부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317b)는 상기 수평부(317a)의 내측단을 따라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17b)는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을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사이는 상기 연결 데코(317)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자(10)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자(10)가 상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자(10)의 하단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데코(317)는 금속 소재 보다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 장착부(103)의 외측면에 형성된 자 결합부(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 공간(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에는 상기 자(10)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자 결합부와 결합되는 자 결합 돌기(325b) 및 자 결합 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 결합 돌기(325b)와 자 결합 홈(325c)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면을 따라서 다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가 상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자 결합부는 상기 자 결합 돌기(325b) 및 상기 자 결합 홈(325c)과의 형합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40)가 위치되는 노브 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노브 홀(31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후면에는 리어 플레이트(34)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플레이트 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홈(313)에는 통신 모듈(36)의 통신 신호의 보다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리어 개구(313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홈(313)에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34)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 홀(313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개구(313b)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통신 모듈(3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는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신 모듈(36)에서 송수신되는 전파의 통과가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홈(313)에는 상기 본체(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되는 커넥터 홀(3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는 상기 플레이트 홈(313)과 대응하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홈(313)의 내측을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34) 중 상기 커넥터 홀(313a)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플레이트 개구(3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워 커넥터(35)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 홈(313)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홀(313a)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둘레에는 다수의 상기 플레이트 장착 홀(313c)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장착 돌기(34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홈(313)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의 상면과,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좌우 양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의 장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전면에는 노브 장착 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 장착 홀(321)은 상기 노브(40)가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에 장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 홀(31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상면 장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장착부(322)는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이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면 장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장착부(322)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상면 장착부(322)는 상기 이너 케이스(32) 상면 중 전면과 우측면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은 상기 상면 장착부(3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은 상기 상면 장착부(322)의 하면 혹은 하방을 포함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터치 모듈(65)은 상기 상면 장착부(32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배면에 가압 상태로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면 장착부(322)에는 디스플레이 홀(322a)과 터치 홀(322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홀(322a)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을 구성하는 라이트 가이드(662)가 통과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661)는 상기 상면 장착부(322)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홀(322b)은 상기 디스플레이 홀(322a)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홀(322b)은 상기 터치 모듈(65)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693)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상기 터치 홀(322b)의 상방에는 터치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터치 홀(322b)의 하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홀(322b) 외측의 상기 상면 장착부(322) 상에는 터치 서포터(322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서포터(322c)는 상기 상면 장착부(322)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치 모듈(65)을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모듈(65)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터치 조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이너 케이스(32)의 조립시, 상기 터치 모듈(65)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서 삽입 장착되고 이때 상기 커넥터(693)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면 장착부(322)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의 장착시 단차진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모서리 부분을 채울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이너 케이스(32)가 조립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은 상기 상면 장착부(3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31)에는 다수의 미세한 홀들에 의해 7세그먼트 형상으로 형성된 표시부(31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정보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모듈(65)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터치 조작부(40,310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조작부(40,310b)를 터치하여 상기 터치 모듈(65)로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터치 조작부(40,310b)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데 하나의 터치 조작부(40,310b)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 및 종료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터치 조작부(40,310b)는 누르고 있는 동안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동작되고, 누르지 않게 되면되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를 살펴보면,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 상면은 상기 안착부(30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01) 내측의 삽입 공간(325a) 중앙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32)를 관통하는 안착부 홀(325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홀(325d)에는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바닥면에는 배수 홀(325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325h)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수관(33)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공간(325a) 내부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배수 홀(325h)과 배수관(33)을 통해 상기 본체(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배수관(33)이 수용될 수 있는 배수관 가이드(388a,388b)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 가이드(388a,388b)에 의해 상기 배수관(33)이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부(301)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착부 홀(325d)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3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27)에 의해 상기 안착부(301)는 구조적인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27)는 상기 안착부 홀에서 상기 제 1 안착부(324)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보강 리브(327)는 상기 안착부 홀(325d)에서 상기 제 2 안착부(325)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 중 상기 제 1 안착부(32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모터 장착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부(326)는 상기 안착부 홀(325d)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부(326)는 상기 보강 리브(327) 또는 보강 리브(327)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장착부(326)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하우징 장착부(52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부(326)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더 돌출되는 모터 장착 보스(32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 보스(326a)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를 관통할 수 있으며, 둘레에는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방진부재(521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를 관통하여 상기 모터 장착부(326)에 체결되는 스크류(521a)에 의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이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는 외측으로 돌출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52) 상면의 어퍼 홀(522)이 상기 본체(30)의 내측 상면과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에 의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본체(30) 내부에 결합되지만, 상기 어퍼 홀(522)을 통해 냉각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착부(301)의 영역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상면을 통한 냉각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부(301)의 내측에는 상기 자(10)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장치(3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자(1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39)는 일 예로 상기 자(10)에 장착된 자석을 감지하는 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의 하단에는 자석(151)이 배치되고, 상기 자(10)의 하단이 수용되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에 상기 감지장치(3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장치(39)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자(10)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자(1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감지장치(39)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에 배치되는 자석(151)의 배치 구조에 따라서 상기 자(10)의 종류를 인식할 수도 있으며, 상기 자(10)의 종류에 따라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감지장치(39)의 장착을 위해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에는 감지장치 장착부(325f)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 및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성형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함몰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 공간의 내부에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에 상기 감지장치(39)가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감지장치(39)가 상기 안착부(30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는 상기 안착부(301)의 내측 면 중 자 결합 돌기(325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39)가 상기 자(10)의 외측면과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10) 내부의 자석(151)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는 함몰된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과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한쌍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감지장치(39)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의 외측에는 감지장치 고정부(325g)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325g)는 상기 감지장치(39)의 일측을 고정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325g)는 상기 감지장치(39)가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의 외측으로 연장된 일측에 스크류(391)가 체결되어 상기 감지장치(39)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325f)의 내측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보스(371,375,3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스(371,375,376)는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의 상면에서 개구된 하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371,375,376)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371,375,376)들 중 일부에는 상기 피시비 모듈(60) 중 일부가 고정 장착되도록 피시비 장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안착부(301)의 외측과 인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대략 중간 영역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까지 연장되는 제 1 결합 보스(3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보스(375)는 이격된 위치에서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01)의 외측과 인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까지 연장되는 제 2 결합 보스(3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보스(376)가 구비되는 위치와 마주보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다른 일측의 모서리에는 제 3 결합 보스(37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와 마주보는 일측의 모서리에는 피시비 고정 돌기(3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는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에 스크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의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결합 보스(375)와 제 2 결합 보스(376), 제 3 결합 보스(371), 및 피시비 고정 돌기(381)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이너 케이스(32)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 내부의 구성들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 장착 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후면에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34)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결합 홀(3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 장착 돌기(34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형성된 플레이트 장착 홀(313c)과 상기 플레이트 결합 홀(329)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후면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관통되는 상기 커넥터 홀(313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공간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상기 안착부(301)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 샤프트(53)를 포함하는 모터(51)와, 상기 모터(51)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52), 그리고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 구비되는 모터측 연결부(54)와, 상기 모터 샤프트(53) 하단에 구비되는 쿨링 팬(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51)는 일반적인 모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모터(51)의 회전 축이 되는 모터 샤프트(53)가 상기 모터(5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52)은 상기 모터(51)를 감싸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모터 하우징(52)을 관통하여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상면과 하면에는 하우징 어퍼 홀(522)과 하우징 로어 홀(5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어퍼 홀(522)은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개구되며, 상기 쿨링 팬(5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터 하우징(52) 내측으로 유입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로어 홀(523)은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하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모터(51)를 냉각한 공기가 모터 하우징(52)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모터 하우징(52)은 상기 하우징 어퍼 홀(522)과 하우징 로어 홀(52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51)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가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모터(51)를 냉각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 홀(522)은 상기 모터 하우징(52) 내측의 상기 모터(51)보다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 홀(523)은 상기 모터(51)보다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홀(52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로어 홀(523)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완전히 냉각할 수 이싸ㄷ.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상면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하우징 장착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는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521)가 체결되는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는 방진부재(521b)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는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는 상기 자(10)의 장착시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와 결합되는 모터측 연결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301) 내부의 삽입 공간(325a)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모터(51)의 동력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51)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141)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쿨링 팬(55)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팬(55)은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쿨링 팬(55)의 동작시 상기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72)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쿨링 팬(55)은 판상의 팬 플레이트(551)의 상면에 다수의 팬 블레이드(552)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조로,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방사상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비교적 상하 폭이 좁은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를 따라 공기 유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쿨링 팬(55)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본체(30)의 내부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에 배치되는 피시비 모듈(60)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쿨링 팬(55)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 경로상에 위치되어 함께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기능별로 분리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과 인접위치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기준으로 바깥쪽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상기 피시비 모듈(60)들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공냉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모듈(60) 중 특히 발열 온도가 높은 피시비로의 냉각 공기 유동이 집중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열 또는 냉각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상기 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피시비 모듈(61), 입력 전원을 컨트롤하는 파워 피시비 모듈(62) 그리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블렌더(1)의 기능에 따라 추가의 피시비 모듈(60)이 더 구비되거나, 일부 피시비 모듈(60)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블렌더(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노브(40)가 장착되어 상기 노브(40)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노브(4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 및 터치 모듈(65)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모듈(65)의 조작시 상기 터치 모듈(65)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상기 블렌더(1)의 내부로 입력되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것으로,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의 내측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통상 에스엠피세스(SMPS : Switching Mode Power Supply)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파워 커넥터(35)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한 안정적인 전원 상태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상기 블렌더(1)가 무선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한 안정적인 전원 상태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모터(51)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터(51)의 회전 속도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가변속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동작 특성상 동작시 고온으로 발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집중적인 냉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집중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주파수 상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와 마주보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 그리고 인버터 피시비 모듈(61)과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 모듈(60)들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중앙에 두고 전후좌우측의 네 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들의 장착을 위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전면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이 장착되는 메인 피시비 장착부(3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장착부(372)는 상기 노브 장착 홀(321)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전면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 장착부(372)의 단부에는 스크류 홀(a)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의 일 구성인 메인 브라켓(68)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전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상기 노브(40)의 조작시에도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이 유동되거나 원래의 자리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후면 또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후면과 인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파워 피시비 모듈(62)이 장착되는 파워 피시비 장착부(383,3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장착부(383,384)는 좌우 양측방에 이격 배치되는 파워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4)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상면에 형성되는 파워 피시비 어퍼 장착부(3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4)는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의 좌우 양측단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을 구성하는 기판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38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4)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상면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에 배치된 상기 파워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4)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슬롯(384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상기 파워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4)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드 인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어퍼 장착부(383)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상면에서 돌출되며, 한쌍의 상기 파워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4)의 사이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피시비 어퍼 장착부(383)의 돌출된 단부에도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의 기판 상단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장착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 일측에서는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의 하단을 구속하는 파워 피시비 로어 구속부(718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구속된 상태로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이 장착되는 일측방에는 통신 모듈(3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6)은 상기 블렌더(1)와 다른 기기 사이에 통신을 위한 것으로 상기 리어 개구(313b)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이너 케이스(32) 및 리어 플레이트(34)를 통과하여 통신 신호가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렌더(1)와 다른 기기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통신 모듈(36)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일측에는 통신 모듈 장착부(374,38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장착부(374,387)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의 후면 중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파워 커넥터(35)가 배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통신 모듈(3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장착부(374,387)는 통신 모듈 장착 보스(374)와 통신 모듈 지지부(38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장착 보스(374)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단부에 스크류 홀(374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듈(36)의 일측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상기 통신 모듈 장착 보스(374)에 체결되어 상기 통신 모듈(36)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모듈 지지부(387)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통신 모듈(36)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듈(36)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면 중 좌우 양측면 중 일측에는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이 장착되는 필터링 피시비 장착부(385,3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장착부(385,386)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좌우 양측 중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가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장착부(385,386)는 필터링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5)와, 필터링 피시비 지지부(3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5)는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의 기판 양단을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한쌍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5)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한쌍의 필터링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5)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된 슬롯(385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필터링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5)에 형성된 상기 슬롯(385a)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링 피시비 지지부(386)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중 좌측면(도 1에서 볼 때)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지지부(386)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의 하단을 구속하는 필터링 피시비 로어 구속부(718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결합되면 상기 필터링 피시비 로어 구속부(718a)는 상기 피시비 모듈(60)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피시비 모듈(60)이 별도의 스크류 체결없이도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과 마주보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좌우측면 중 다른 일측면에는 인버터 피시비 장착부(371,3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장착부(371,381)는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이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의 수직 상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장착부(371,381)는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와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의 상단과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의 상단에는 스크류 홀(371a,38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와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에는 각각 인버터 피시비 슬롯(38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인버터 피시비 슬롯(382)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의 양단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장착부(371,381)는 인버터 어퍼 서포터(38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어퍼 서포터(389)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상면과 일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의 측벽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 및 터치 모듈(65)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따라서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 상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66) 및 터치 모듈(65)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상면 장착부(322)보다 더 하방에 위치되고,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측벽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의 인버터 피시비 슬롯(382)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장착부(322) 외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이 고정 장착되기 위한 조작부 장착 보스(373)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 장착 보스(373)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 스크류가 체결되는 홀(373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구성들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둘레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둘레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 사이가 기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플레이트 토출구(719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냉각을 위한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다른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냉각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는 에어 가이드(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로어 홀(523)에서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면서 상기 모터를 냉각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독립된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쿨링 팬(55)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팬(55)의 회전시 상기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하는 공기가 에어 가이드(72)를 따라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블렌더(1)의 무선 전원 공급을 위한 것으로, 유도 기전력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방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본체(30)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서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커버(74)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에는 커버 흡입구(744) 및 커버 토출구(7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통해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상기 본체(30) 내부에서 방열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 또는 벤딩된 형상의 절곡부(319)가 형성되어 상기 바텀 커버(74)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하단 즉, 상기 절곡부(319)의 단부와 상기 바텀 커버(74)의 상단의 결합 부위가 사용자에게 직접 보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외관이 보다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절곡된 하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상기 절곡부(319)가 형성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상면 개구(311)에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제 1 안착부(324)가 삽입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둘레면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둘레면과 설정 간격(D)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둘레면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둘레면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상기 절곡부(319)의 절곡된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둘레면이 이격된 상태이지만, 상기 제 1 안착부(324) 및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과 밀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둘레면과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둘레면은 설정 간격(D)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 및 상기 바텀 커버(74)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사이에 흡음재가 충전되어 흡음은 물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서포팅부재(5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에는 상기 안착부(301) 내측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를 연결하여 상기 안착부(301) 내측으로 흘러내린 액체 상태의 이물질이 상기 바텀 커버(74)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33)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및 터치 모듈의 장착 구조]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66) 및 터치 모듈(65)의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도 2의 15-15'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30)의 내측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외측에서 바라 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은 나란히 배치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상기 터치 모듈(65)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2중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터치 모듈(65)은 터치 피시비(651)와 터치 센서(652) 그리고 터치 모듈 커버(653), 터치 부스터(6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51)의 상면에는 터치 센서(65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터치 피시비(651)는 상기 상면 장착부(322) 상면의 터치 서포터(322c)에 의해 가압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모듈(65)은 전체적으로 상기 상면 장착부(322)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651)의 상면에는 상기 터치 모듈 커버(653)가 구비되어 상기 터치 피시비(651)를 차폐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모듈 커버(653)의 상면에는 접착제 등이 제공되어 상기 터치 모듈(65)이 사실상 아우터 케이스(31)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652)와 대응하는 상기 터치 모듈 커버(653)의 일측은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모듈 커버(653)의 개구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누름 조작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변형을 상기 터치 센서(652)로 전달하는 터치 부스터(6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부스터(654)는 상기 터치 센서(652) 및 상기 터치 조작부(40,310b)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기 터치 조작부(40,310b) 조작시 상기 터치 센서(652)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터치 피시비(651)의 하면에는 상기 터치 홀(322b)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커넥터(693)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693)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의 디스플레이 피시비(66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은 디스플레이 피시비(661)와 라이트 가이드(662) 및 디스플레이 모듈 케이스(6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1)는 상기 상면 장착부(322)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엘이디가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310a)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엘이디는 7세그먼트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662)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표시부(310a)로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662)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1)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상면 장착부(322) 상의 디스플레이 홀(322a)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62)의 상면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62)에 의해 상기 엘이디의 외측 및 상기 표시부(310a) 외측으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로 선명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1)는 상기 터치 모듈(65)의 하방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넥터(69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1)는 상기 모듈 케이스(69)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69)의 일측에서 돌출된 디스플레이 모듈 결합부(691)가 상기 조작부 장착 보스(373)에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피시비 모듈들의 장착 구조]
이하에서는 각각의 상기 피시비 모듈(60)의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본체와 피시비 모듈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본체와 다른 피시비 모듈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30)의 내측 공간의 중앙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중심으로 전후 좌우 측면으로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들은 모두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둘레면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기능별로 분리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별 조합이 용이하고 조립 및 서비스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구성들은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가 조립된 상태에서 개구된 하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시킨 후 상기 피시비 모듈(60)과 모터 어셈블리(50), 배수관(33), 감지장치(39) 등 상기 본체(3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삽입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30)는 개구된 하면이 상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그에 장착된 상태로 배치되고, 내부 구성들이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삽입 장착 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피시비 모듈(60) 중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좌우 양측 중 일측면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의 위치는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의 상방에 해당하며, 특히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을 구성하는 방열부재(612)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과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사이로 흡입 공기가 유동되면서 방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에 장착되는 소자들이 비교적 크고 높기 때문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32) 중 상기 안착부(301)의 중심으로부터 먼쪽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인버터 피시비(611)와, 인버터 브라켓(67) 그리고 방열부재(6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이 상기 인버터 피시비 장착부(371,381)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의 구조 및 장착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후면과 인접한 위치에는 파워 피시비 모듈(62)이 위치되며,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상기 파워 피시비 장착부(383,384)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별도의 브라켓 없이 기판 자체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파워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4)의 상기 슬롯(384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양측방에 배치된 상기 슬롯(384a)에 의해 양단이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파워 피시비 어퍼 장착부(383)에 의해서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의 상단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를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파워 피시비 로어 구속부(718b)가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을 하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이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후면에는 상기 통신 모듈(3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6)은 통신 피시비(361)와 상기 통신 피시비(361)를 수용하는 통신 브라켓(36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브라켓(362)이 상기 통신 모듈 장착부(374,387)에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과 마주보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일측에는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별도의 브라켓 없이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의 좌우 양측 중 일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기판 자체가 상기 필터링 피시비 장착부(385,386)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한쌍의 상기 필터링 피시비 사이드 장착부(385)에 형성된 상기 슬롯(385a)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의 양단은 양측의 상기 슬롯(385a)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피시비 지지부(386)는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외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장착시 상기 필터링 피시비 로어 구속부(718a)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전면과 인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메인 피시비 모듈(6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노브(4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노브 홀(3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메인 피시비(641)와 상기 메인 피시비(641)를 수용하는 메인 브라켓(6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641)에는 상기 노브(40)와 결합되는 노브 축(641a)이 구비되고, 상기 노브(40)의 조작 입력을 받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40) 또는 노브(40)가 배치되는 인접 부위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엘이디(64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1)에 최초 전원 인가시 이를 음성신호로 알리기 위한 부저와 같은 출력수단(6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68)의 상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브라켓 결합부(683)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전단에 형성된 메인 피시비 장착부(372)에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브(40)의 조작에도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견고하게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 및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그 크기가 작고 비교적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브라켓 없이 기판이 직접 구속되며, 삽입에 의한 간결한 고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 및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과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안정적인 고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와 메인 피시비(641)의 경우 그 크기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별도의 브라켓(67,68)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인버터 피시비(611)는 공기가 집중 흡입되는 경로상에 위치되어 공기 유동 중에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피시비(641)는 사용자가 노브(40)를 직접 조작하는 과정에서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브라켓(67,68)에 상기 인버터 피비시(611)와 메인 피시비(641)가 고정되는 구조를 필요로 하며, 더불어 브라켓(67,68)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인버터 피시비 모듈 구조]
이하에서는,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의 구조 및 그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9는 상기 본체와 인버터 피시비 모듈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비교적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되며, 동작의 특성상 발열이 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인버터 피시비(611)와, 인버터 브라켓(67) 그리고 방열부재(6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일측면에 장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에 배치되는 소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향하고, 상기 방열부재(612)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612)는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와 접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612a)와 상기 베이스(612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핀(6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612b)들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상방 유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다수의 핀(612b)들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효과적으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612)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교환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방열부재(612)가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와 밀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은 일측에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가 수용되며, 다른 일측에는 방열부재(612)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은 내부에 개구(971)가 형성된 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방열부재(612)가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의 소자에 직접 접하여 특정 소자를 방열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의 둘레면과 접하도록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와 상기 방열부재(612)가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테두리(672)에는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를 향하여 돌출되는 피시비 고정부(6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고정부(673)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의 둘레에 걸림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고정부(673)는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의 상단과 하단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고정부(673)는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복수개씩 구비되어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가 상기 인버터 브라켓(67)과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고정부(673)는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를 관통하여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가 구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고정부(673)가 형성되는 면과 반대되는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테두리 일측에는 상기 방열부재(612)를 향하여 돌출되는 방열부재 고정부(6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 고정부(674)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부재(612)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방열부재(612)의 단부가 걸림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 고정부(674)는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 좌우측에 각각 한개씩 형성되어 상기 방열부재(612)가 전체적으로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테두리 상단의 좌우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브라켓 고정부(67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675)는 스크류가 관통될 수 있도록 홀(675a)이 형성되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 장착부(371,381)에 안착된 후 스크류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 고정부(675)는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와 피시비 고정 돌기(38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고정부(675)의 홀(675a)에 체결되는 스크류는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와 피시비 고정 돌기(381)의 스크류 홀(371a,381a)에 체결되어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이 상기 이너 케이스(32) 상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테두리(672)를 따라서 브라켓 리브(676)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리브(676)는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전체 테두리(672)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리브(676)는 상기 테두리(672)중 적어도 좌우 양측면에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리브(676)는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와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에 형성된 인버터 피시비 슬롯(38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 및 방열부재(612)가 상기 인버터 브라켓(67)에 조립 완료된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브라켓 리브(676)가 상기 인버터 피시비 슬롯(382)을 따라 이동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이 삽입 완료된 후에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675)에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와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체 하부 구조]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30)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상기 본체로부터 모터와 베이스 플레이트, 무선 전력 모듈 및 바텀 커버가 차례로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무선 전력 모듈의 배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30)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되고, 상기 이너 본체(30)의 개구된 하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는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되고,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은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711)와 상기 플레이트부(711) 둘레의 플레이트 테두리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결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부(712)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과 접하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중앙에는 제 1 결합 보스(375)와 결합되는 제 1 체결부(7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일측단의 모서리에는 상기 제 2 결합 보스(376)와 결합되는 제 2 체결부(715)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타측단 모서리에는 상기 제 3 결합 보스(371) 및 상기 피시비 고정 돌기(381)와 결합되는 제 3 체결부(7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714)와 제 2 체결부(715) 및 제 3 체결부(716)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체결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711)에는 전체적으로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상기 에어 가이드(72)와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될 수 있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711)의 좌우 양측단에는 각각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출플레이트 토출구(719b)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는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는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711)의 둘레 중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과 대응하는 상기 플레이트부(711)의 후단에는 파워 피시비 로어 구속부(71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로어 구속부(718b)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을 하방에서 지지 및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711)의 둘레 중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과 대응하는 상기 플레이트부(711)의 일측단에는 필터링 피시비 로어 구속부(71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로어 구속부(718a)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하방에서 지지 및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결합으로 자연스럽게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과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의 결합 구속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711)에는 상기 배수관(33)이 통과되는 플레이트 홀(7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3)의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 홀(717)을 통과하여 상기 바텀 커버(74)의 커버 홀(747)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301)의 액체 상태의 물질이 상기 바텀 커버(74)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711)의 상면에는 에어 가이드(72)의 장착을 위해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둘레를 따라 가이드 리브(7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713)는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하단 둘레와 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713)의 둘레를 기밀하여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72)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713)와 인접한 상기 플레이트부(711)의 바닥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체결 돌기(723)가 삽입 및 체결되는 가이드 체결 홀(71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가이드 리브(713) 내측에 삽입되고, 후크 형상의 상기 가이드 체결 돌기(723)가 상기 가이드 체결 홀(711a)에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7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체결 돌기(723)와 상기 가이드 체결 홀(711a)은 상기 가이드 리브(713)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하단 전체가 상기 플레이트부(711)에 밀착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면과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를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 구비되는 쿨링 팬(55)이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가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일단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하면 전체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711) 상면에 안착되어 개구된 하면이 차폐하고 동시에 공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는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면(722)에 의해 상기 개구된 하면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둘레면(722)에 의해 상기 쿨링 팬(55)이 수용되는 공간 및 공기의 유동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둘레면(722)의 하단은 상기 플레이트부(711)와 수직하게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둘레면(722)은 상기 가이드 리브(713)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리브(713)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면(722)에는 상기 가이드 체결 돌기(723)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홀(721)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721)의 둘레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721)을 통과하여 상기 쿨링 팬(55)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721)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쿨링 팬(55) 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721)의 둘레에는 서포팅부재(56)가 안착될 수 있는 서포팅부재 장착 홈(7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재 장착 홈(724)은 상기 서포팅부재(56)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홀(721)의 둘레를 따라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재(56)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면 둘레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72)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를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결합시키게되면, 상기 쿨링 팬(55)은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에어 가이드(72)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팅부재(56)는 상기 에어 가이드(72)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사이를 기밀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5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모두 상기 에어 가이드(72) 내측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흡입 가이드(719c)와 토출 가이드(719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가이드(719c)는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의 양측 중 상기 본체(30)의 중심측을 향하는 일측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가이드(719c)의 양단은 상기 본체(3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 커버(74)의 하면은 물론 전후면의 커버 흡입구(744)에서도 공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가이드(719d)는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의 양측 중 상기 본체(30)의 중심측을 향하는 일측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가이드(719d)의 양단은 상기 본체(3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 커버(74)의 전면 하면은 물론 전후면의 커버 토출구(746)에서도 공기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가이드(719c)와 토출 가이드(719d)의 절곡된 양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가이드(719c)와 토출 가이드(719d)는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될 수 있는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가이드(719c)와 토출 가이드(719d)는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의 둘레 양측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흡입 가이드(719c)와 토출 가이드(719d)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블렌더(1)를 무선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 고정 장착되는 코어 브라켓(731)과, 상기 코어 브라켓(731)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페라이트 코어(732) 그리고 상기 페라이트 코어(732)의 하면에 원판 형상으로 권취된 코일(7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브라켓(731)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서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플레이트 토출구(719b) 사이의 나머지 공간 대부분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 브라켓(731)에는 상기 코어 브라켓(73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코어 홈(731b)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 홈(731b)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73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코어 홈(731b)은 상기 페라이트 코어(73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 브라켓(731)의 중심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732)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733)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733)은 상기 코어 브라켓(731)의 중앙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 권취되어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733)은 상기 바텀 커버(74)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브라켓(731)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텀 커버(74)를 제외한 가장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흡입 가이드(719c)와 토출 가이드(719d)의 사이 공간의 대부분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텀 커버(74)를 제외한 실질적인 상기 블렌더(1)의 가장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렌더(1)를 인덕션과 같이 유도 기전력이 발생될 수 있는 가전기기에 위치시킨 후 상기 인덕션이 동작되면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을 통해 상기 블렌더(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 모듈(36)은 상기 인덕션과 무선 통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통신 모듈(36)에 의해 상기 인덕션의 전원 공급을 위한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렌더(1)는 상기 인덕션의 특정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위치에 정렬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무선 동작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를 하방에서 차폐하여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을 차폐함은 물론 상기 블렌더(1)의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판상의 바텀 플레이트(741)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텀 테두리(7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테두리(742)의 상단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테두리(742)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의 둘레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결합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커버 결합홀(7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홀(745)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한쌍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에는 상기 배수관(33)의 단부가 삽입되는 배수관 삽입 홀(74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3)은 상기 안착부 내측의 배수 홀(325h)과 상기 배수관 삽입 홀(747)을 연결하여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블렌더(1)의 하면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바텀 플레이트(741)에는 바텀 서포터(74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서포터(748)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블렌더(1)가 설치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블렌더(1)의 하면 즉,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가 설치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텀 서포터(748)는 좌우 양측에 각각 한쌍씩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의 네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서포터(748)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거나 소음 진동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바텀 서포터(748)는 별도 성형되어 상기 바텀 플레이트(741)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74)에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흡입구(744)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부(711) 일측에 형성되는 바텀 흡입구(744a)와 상기 바텀 테두리(742)에 형성되는 테두리 흡입구(744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토출구(746)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부(711) 일측에 형성되는 바텀 토출구(746a)와 상기 바텀 테두리(742)에 형성되는 테두리 토출구(74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텀 흡입구(744a)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흡입구(719a)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흡입구(744a)는 그릴 또는 다수의 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흡입구(744b)는 상기 바텀 테두리(742)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바텀 흡입구(744a)의 위치와 대응하는 측면 그리고 전면과 후면의 일부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흡입구(744b)는 적어도 상기 흡입 가이드(719c)의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의 측방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텀 토출구(746a)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토출구(719b)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토출구(746a)는 그릴 또는 다수의 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토출구(746b)는 상기 바텀 테두리(742)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바텀 토출구(746a)의 위치와 대응하는 측면 그리고 전면과 후면의 일부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토출구(746b)는 적어도 상기 토출 가이드(719d)의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의 측방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내부 공기 유동]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블렌더(1)의 냉각 공기의 유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4는 상기 본체의 공기 흡입 및 토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도 25의 A부 확대 도면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블렌더(1)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출력수단(642)의 음성 출력을 통해 동작 가능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10)는 상기 본체(30)의 안착부(301)에 안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부(40,310b)의 조작을 통해 상기 블렌더(1)를 동작 시키게 된다. 즉, 상기 노브(40)의 조작을 통한 동작 상태의 설정 및 조작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터치 조작부(40,310b)의 조작을 통해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0a)를 통해 상기 블렌더(1)의 설정 상태 및 동작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입력되는 조건에 맞추어 회전 동작하게 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141)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10) 내부의 식품이 분쇄 또는 절단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가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작시 상기 쿨링 팬(55)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팬(5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30)의 내부에는 공기의 강제적인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텀 흡입구(744a)와 테두리 흡입구(744b)를 통해서 상기 본체(3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텀 흡입구(744a)는 지면과 떨어진 상태로 바닥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상기 테두리 흡입구(744b)는 측면과 전후면의 세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렌더(1)의 하부에서는 모두 네 방향에서의 입체적인 공기 흡입 경로가 제공되며 상기 블렌더(1)의 배치 상태와 관계없이 원활한 공기 흡입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흡입구(744a)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를 통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의 수직 상방에는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이 배치되므로,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을 냉각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방열부재(612)가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사이의 유로를 형성하게 되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방열부재(612)를 통과하면서 효과적인 방열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612)의 핀(612b)의 배치가 공기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핀(612b)의 이격된 사이를 따라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핀(612b)의 전체 면과 접하여 방열 성능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을 집중 냉각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의 특성상 고온 발열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상기 블렌더(1) 전체의 발열 및 발열로 인한 이상 동작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면에 형성된 하우징 어퍼 홀(522)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어퍼 홀(522)로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벽면에 배치되는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 파워 피시비 모듈(62) 및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의 공냉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어퍼 홀(522)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쿨링 팬(55)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우징 로어 홀(523)을 통해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모터(51)를 집중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쿨링 팬(55)은 상기 모터(5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므로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기 모터(51)의 동작시에도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로어 홀(523)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가이드 홀(721)을 지나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상기 쿨링 팬(55)의 원주 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7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안내에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를 향하게 되고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를 통해서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를 지나 하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바텀 토출구(746a)와 테두리 토출구(746b)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의 수직 하방에 위치된 바텀 토출구(746a)를 통해 블렌더(1)의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테두리 토출구(746b)를 통해서 측면과 전후면의 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렌더(1)의 하부에서는 모두 네 방향에서의 입체적인 공기 토출 경로가 제공되며 상기 블렌더(1)의 배치 상태와 관계없이 원활한 공기 토출이 보장될 수 있다.

Claims (20)

  1.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배치되는 자;
    상기 자가 안착되며, 하면이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회전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축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시 회전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쿨링팬;
    상기 본체의 둘레면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피시비 모듈;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플레이트 흡입구와 상기 본체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플레이트 토출구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여 공기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의 상방에 배치되어 흡입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상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면에 더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와 플레이트 토출구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가변속 회전을 제어하는 인버터 피시비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통되는 가이드 홀;
    상기 에어 가이드의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연장되어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하는 둘레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팬은 상기 가이드 홀을 통과하여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는 상기 둘레면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는 상기 둘레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와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면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의 둘레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에어 가이드의 사이를 기밀 시키는 서포팅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회전축이 되는 모터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어퍼 홀;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개구되며, 상기 에어 가이드와 연통되는 로어 홀;을 포함하며,
    상기 쿨링 팬은 상기 로어 홀의 하방에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시 상기 어퍼 홀과 로어 홀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홀은 상기 모터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 홀은 상기 모터 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장착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결합되되 상기 어퍼 홀이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떨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 모듈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피시비 모듈 중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속 제어하는 인버터 피시비 모듈이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은,
    일면에 소자가 실장된 피시비;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피시비의 방열을 위한 방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재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핀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와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방에는 바텀 커버 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바텀 커버는,
    지면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부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면의 둘레와 결합되는 바텀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 및 플레이트 토출구와 대응하는 상기 바텀 커버에는 커버 흡입구 및 커버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흡입구는,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 수직 하방의 상기 바텀 플레이트부에 개구되는 바텀 흡입구와, 상기 바텀 흡입구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바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토출구는,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 수직 하방의 상기 바텀 플레이트부에 개구되는 바텀 토출구와, 상기 바텀 토출구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바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테두리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KR1020190053929A 2019-05-08 2019-05-08 블렌더 KR10258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29A KR102584608B1 (ko) 2019-05-08 2019-05-08 블렌더
PCT/KR2020/006018 WO2020226433A1 (ko) 2019-05-08 2020-05-07 블렌더
CN202080033372.8A CN113784646B (zh) 2019-05-08 2020-05-07 料理机
US17/609,196 US20220225839A1 (en) 2019-05-08 2020-05-07 Blender
EP20802437.2A EP3967193A4 (en) 2019-05-08 2020-05-07 MIXER
EP20801841.6A EP3967192A4 (en) 2019-05-08 2020-05-08 MIXER
US17/608,423 US11944238B2 (en) 2019-05-08 2020-05-08 Blender
CN202080033362.4A CN113784650A (zh) 2019-05-08 2020-05-08 料理机
AU2020269750A AU2020269750B2 (en) 2019-05-08 2020-05-08 Blender
PCT/KR2020/006131 WO2020226463A1 (ko) 2019-05-08 2020-05-08 블렌더
EP20802995.9A EP3967194A4 (en) 2019-05-08 2020-05-08 Blender
EP20173724.4A EP3735881B1 (en) 2019-05-08 2020-05-08 Blender
AU2020269749A AU2020269749B2 (en) 2019-05-08 2020-05-08 Blender
CN202080034273.1A CN113795183B (zh) 2019-05-08 2020-05-08 料理机
PCT/KR2020/006113 WO2020226459A1 (ko) 2019-05-08 2020-05-08 블렌더
US17/609,352 US20220160177A1 (en) 2019-05-08 2020-05-08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29A KR102584608B1 (ko) 2019-05-08 2019-05-08 블렌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77A true KR20200129477A (ko) 2020-11-18
KR102584608B1 KR102584608B1 (ko) 2023-10-05

Family

ID=7305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929A KR102584608B1 (ko) 2019-05-08 2019-05-08 블렌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20225839A1 (ko)
EP (2) EP3967193A4 (ko)
KR (1) KR102584608B1 (ko)
CN (2) CN113784646B (ko)
AU (1) AU2020269750B2 (ko)
WO (2) WO2020226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914A (ko) * 2019-10-24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KR20220165357A (ko) * 2021-06-08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EP4292484A1 (en) * 2022-06-13 2023-12-20 BSH Hausgeräte GmbH Housing for a food proces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831683U (zh) * 2016-04-21 2016-12-2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破壁机
CN206565829U (zh) * 2016-10-28 2017-10-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风道结构、底座组件和食物料理机
CN208192974U (zh) * 2018-03-16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效果好的食品加工机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3358A (en) * 1992-04-13 1993-12-28 Vita-Mix Corporation Quiet and efficient motor cooling fan assembly for a blender
US6609821B2 (en) * 2001-04-13 2003-08-26 Sunbeam Products, Inc. Blender base with food processor capabilities
WO2009049355A1 (en) * 2007-10-15 2009-04-23 Ian Geoffrey Wilson Blender base module
DE102010060650A1 (de) * 2009-11-25 2011-05-26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
US20110222367A1 (en) * 2010-03-15 2011-09-15 Hamilton Beach Brands, Inc. Flexible Touchpad for a Kitchen Appliance
US9084512B2 (en) * 2011-05-16 2015-07-21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Blender base
KR20130000329U (ko) 2011-07-05 2013-01-15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공랭식 믹서기
US9700177B2 (en) * 2013-03-01 2017-07-11 Whirlpool Corporation Food processing device jar lock
US9855535B2 (en) * 2013-03-01 2018-01-02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Blending system
US20140301155A1 (en) * 2013-04-04 2014-10-09 Adam Lee Montgomery Portable Battery Operated Blender
US20150044344A1 (en) * 2013-08-07 2015-02-12 Tribes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blender with noise damping elements
CN204071831U (zh) * 2014-10-10 2015-01-07 顾宣丰 一种改进电机散热的料理机的主机
KR101816544B1 (ko) * 2016-02-01 2018-02-21 김홍배 식품 가공 조리기기
US10111558B2 (en) * 2015-03-06 2018-10-30 Blendtec, Inc. Mixer apparatus and method
US20160374515A1 (en) * 2015-06-24 2016-12-29 Rodney Joseph Stuart Removable Blender Pad
CN205286123U (zh) * 2015-11-20 2016-06-08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奶泡机
KR101794249B1 (ko) 2016-04-26 2017-11-08 (주)리큅 이중 공기 냉각 방식의 블랜더
CN205753782U (zh) * 2016-05-06 2016-11-3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的离心风道系统和具有其的料理机
CN107788841B (zh) * 2016-09-06 2023-09-0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料理机
CN107951413A (zh) * 2016-10-14 2018-04-24 中山市峻国电器有限公司 真空食品加工机
US10786796B2 (en) * 2016-11-01 2020-09-29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on blender system
CN108011565B (zh) * 2016-11-02 2022-02-01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电机应用设备及其控制方法
CN108309093B (zh) * 2017-01-18 2021-01-2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料理机
CN108784430A (zh) * 2017-05-05 2018-11-13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和料理机的界面显示控制方法
CN107951417A (zh) * 2017-12-30 2018-04-24 中山市科立信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搅拌器主机的螺旋排风风道
KR101829813B1 (ko) * 2018-01-05 2018-02-19 김홍배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CN108245045A (zh) * 2018-03-24 2018-07-06 佛山市聚成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便于远程开启的智能果泥设备
KR101971101B1 (ko) * 2018-04-19 2019-04-2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CN108402929A (zh) * 2018-04-24 2018-08-17 中山市科立信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搅拌器主机的隐藏式风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831683U (zh) * 2016-04-21 2016-12-2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破壁机
CN206565829U (zh) * 2016-10-28 2017-10-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风道结构、底座组件和食物料理机
CN208192974U (zh) * 2018-03-16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效果好的食品加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84646B (zh) 2024-04-09
WO2020226433A1 (ko) 2020-11-12
CN113784650A (zh) 2021-12-10
AU2020269750B2 (en) 2024-03-07
EP3967193A4 (en) 2023-07-19
KR102584608B1 (ko) 2023-10-05
CN113784646A (zh) 2021-12-10
EP3967192A4 (en) 2023-08-23
EP3967193A1 (en) 2022-03-16
US20220225839A1 (en) 2022-07-21
WO2020226463A1 (ko) 2020-11-12
EP3967192A1 (en) 2022-03-16
AU2020269750A1 (en) 2022-01-06
US20220160177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69750B2 (en) Blender
EP3620088B1 (en) Blender base
KR20110044904A (ko) 식품 처리장치를 위한 밀봉 엔클로저
EP3785586B1 (en) Blender
EP3735881B1 (en) Blender
KR20210026225A (ko) 블렌더
EP4023120A1 (en) Blender
US20220361716A1 (en) Blender
JP685810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526525B2 (ja) 加熱調理器
CN113795183B (zh) 料理机
KR20220165358A (ko) 블렌더
CN209883912U (zh) 机座和料理机
US20220322880A1 (en) Blender
CN110115526B (zh) 食物料理机
CN211834073U (zh) 机座及搅拌机
CN211834074U (zh) 机座及搅拌机
CN212089172U (zh) 电饭锅
KR20210026912A (ko) 블렌더
CN218105641U (zh) 烹饪设备
CN216554536U (zh) 一种用于空炸烤箱的风机组件
CN214017234U (zh) 料理机的主机及料理机
CN214804268U (zh) 料理机主机及料理机
KR20220165357A (ko) 블렌더
KR20210053726A (ko) 블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