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912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6912A KR20210026912A KR1020190108348A KR20190108348A KR20210026912A KR 20210026912 A KR20210026912 A KR 20210026912A KR 1020190108348 A KR1020190108348 A KR 1020190108348A KR 20190108348 A KR20190108348 A KR 20190108348A KR 20210026912 A KR20210026912 A KR 202100269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blender
- case
- power
- inner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되며,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배치되는 자; 상기 이너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파워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가 관통되는 커넥터 관통구가 개구되며, 상기 커넥터 관통구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파워 커넥터가 고정 장착되는 커넥터 장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가루로 분쇄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만드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용기에 식품을 넣은 후 상기 본체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더는 최근 용기의 크기가 큰 대용량의 블렌더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를 이용한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는 다양한 식품의 분쇄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간편한 조작을 통해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20150265987호 에는 컨테이너가 안착되는 본체의 내부에 모터를 비롯한 전장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블렌더 본체의 바닥에 전원 코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파워코드 연결부재가 구성되는 블렌더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파워 코드가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블렌더의 설치시 상기 파워 코드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코드를 연결 또는 분리시 큰 힘이 가해지게 될 경우 상기 블렌더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들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원 코드의 분리 장착이 용이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원 코드의 연결 부위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 본체의 외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되며,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배치되는 자; 상기 이너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파워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가 관통되는 커넥터 관통구가 개구되며, 상기 커넥터 관통구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파워 커넥터가 고정 장착되는 커넥터 장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둘레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케이스 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관통구는 상기 케이스 홈의 내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홈의 함몰된 내측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둘레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홈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이종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홈을 차폐하는 리어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홈의 깊이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둘레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둘레에는 후크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 및 이너 케이스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플레이트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워 커넥터가 관통되는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는 상기 전원 코드가 삽입 장착되는 커넥터 개구가 형성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부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장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워 커넥터의 외측면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 내측면에 걸림 구속되는 커넥터 구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는, 상기 전원 코드가 삽입 장착되는 커넥터 개구가 형성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전원 코드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 바디부와; 상기 커넥터 바디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와 걸림 구속되어 상기 파워 커넥터를 구속하는 커넥터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커넥터 장착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장착구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 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 구속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는 상기 노출부와 상기 커넥터 구속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상면과 하면, 상기 하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좌우 양 측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좌우 양 측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구속부는, 상기 노출부로부터 이격된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구속부는 상기 좌우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구속부는, 상기 좌우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이드 구속부와, 상기 상면 및 하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하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블렌더의 본체 후면에 전원 코드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파워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전원 코드를 연결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외형은 금속 소재의 아우터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이너 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상기 파워 코드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파워 커넥터의 둘레에는 커넥터 구속부가 돌출되며, 상기 파워 커넥터를 이너 케이스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조립에 의해 상기 파워 커넥터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결합을 위한 도구와 부재가 필요없이 상기 파워 커넥터를 압입장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고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조립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커넥터는 금속 소재의 아우터 케이스는 단순히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고, 실질적인 결합 및 구속은 상기 이너 케이스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 코드의 연결 또는 분리시 많은 힘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전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되며, 외부에서 볼 때 금속 소재의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본체의 일 구성인 이너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파워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본체와 리어 플레이트 및 파워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파워 커넥터가 장착된 상기 본체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2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본체의 일 구성인 이너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파워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본체와 리어 플레이트 및 파워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파워 커넥터가 장착된 상기 본체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2의 XIII-XIII'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방향을 정의한다. 노브(4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파워 커넥터(도 6에서 35)가 연결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체(30)의 바닥의 위치를 하면 또는 하방이라 하고, 자(10)의 상단의 위치를 상면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면 또는 좌측방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우측을 우측면 또는 우측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자(10, jar, 용기 또는 컨테이너라 부를 수도 있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자(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상기 자(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외관은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피시비 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하면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렌더(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로 냉각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상태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3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0a)는 아우터 케이스(31)를 관통하는 미세한 관통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조작부(31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입력 및 설정을 위해 조작되는 상기 노브(40)와 터치 모듈(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부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301)의 일부가 상기 자(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자(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에 상기 자(10)가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자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상기 본체(30)의 중앙에서 다소 치우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자(10)의 손잡이(13)를 포함한 전체 가로 길이와 상기 본체(30)의 가로 길이는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10)의 식품 수용 공간의 중심은 상기 본체(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301)의 중심 또한 상기 자(10)의 중심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40)는 상기 안착부(301) 및 자(10)의 중심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30)의 전면의 편심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 하방의 상기 본체(30) 내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자(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노브(40)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상기 자(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흡입된 냉각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상기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10)는 상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1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아우터 자(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자(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자(10)와 아우터 자(11)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자(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자(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자(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자(11)의 외경은 상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자(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30)와 자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자(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상기 아우터 자(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안착부(32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자(10)는 상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자(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가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상기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상기 자(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10)의 내부에는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자(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장착시 상기 뚜껑(2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1,spout)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주둥이(111)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자(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자(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자(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 및 상기 뚜겅 손잡이(2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그리고, 도 8은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30)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 상기 자(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돌출되고, 상기 본체(30)의 전면에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4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 상기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되어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내측에서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모터 어셈블리(50)와 다수의 상기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 상기 본체(30)의 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사각형 형상의 상면과, 상기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311)는 상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결합시 상기 안착부(301)를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가 상기 상면 개구(311)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에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그리고 연결 데코(3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및 연결 데코(317)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 소재 또는 동일한 질감으로 보이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는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상단과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를 연결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및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형성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 및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 장착부(103)에 형성된 자 결합부(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 공간(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에는 상기 자(10)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자 결합부와 결합되는 자 결합 돌기(325b) 및 자 결합 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 결합 돌기(325b)와 자 결합 홈(325c)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면을 따라서 다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가 상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자 결합부는 상기 자 결합 돌기(325b) 및 상기 자 결합 홈(325c)과의 형합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40)가 위치되는 노브 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노브 홀(31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의 상면과,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좌우 양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의 장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전면에는 노브 장착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 장착홀(321)은 상기 노브(40)가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에 장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 홀(3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모서리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마운팅부(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우팅부(322)에는 상기 표시부(310a)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조작부(310b)의 조작시 사용자의 터치 인식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모듈(65)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공간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상기 안착부(301)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 샤프트(53)를 포함하는모터(51)와, 상기 모터(51)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52), 그리고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 구비되는 모터측 연결부(54)와, 상기 모터 샤프트(53) 하단에 구비되는 쿨링 팬(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는 상기 자(10)의 장착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결합되는 모터측 연결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301) 내부의 삽입 공간(325a)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팬(55)은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쿨링 팬(55)의 동작시 상기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72)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쿨링 팬(55)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본체(30)의 내부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에 배치되는 피시비 모듈(60)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쿨링 팬(55)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 경로상에 위치되어 함께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기능별로 분리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과 인접위치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기준으로 바깥쪽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상기 피시비 모듈(60)들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공냉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모듈(60) 중 특히 발열 온도가 높은 피시비로의 냉각 공기 유동이 집중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열 또는 냉각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상기 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피시비 모듈(61), 입력 전원을 컨트롤하는 파워 피시비 모듈(62) 그리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블렌더(1)의 기능에 따라 추가의 피시비 모듈(60)이 더 구비되거나, 일부 피시비 모듈(60)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블렌더(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노브(40)가 장착되어 상기 노브(40)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노브(4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 및 터치 모듈(65)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모듈(65)의 조작시 상기 터치 모듈(65)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상기 블렌더(1)의 내부로 입력되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것으로,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의 내측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통상 에스엠피세스(SMPS : Switching Mode Power Supply)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파워 커넥터(35)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한 안정적인 전원 상태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상기 블렌더(1)가 무선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한 안정적인 전원 상태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모터(51)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터(51)의 회전 속도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가변속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동작 특성상 동작시 고온으로 발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집중적인 냉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에 방열부재(612)가 배치되어 집중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주파수 상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와 마주보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 그리고 인버터 피시비 모듈(61)과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 모듈(60)들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중앙에 두고 전후좌우측의 네 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구성들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둘레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둘레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 사이가 기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플레이트 토출구(719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냉각을 위한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다른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냉각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는 에어 가이드(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로어 홀(523)에서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면서 상기 모터를 냉각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독립된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쿨링 팬(55)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팬(55)의 회전시 상기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하는 공기가 에어 가이드(72)를 따라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홀(721)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71)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 홀(721)의 둘레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721)을 통과하여 상기 쿨링 팬(55)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블렌더(1)의 무선 전원 공급을 위한 것으로, 다수의 페라이트 코어와 코일로 구성되어 유도 기전력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블렌더(1)를 무선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방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본체(30)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서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커버(74)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에는 커버 흡입구(744) 및 커버 토출구(7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통해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상기 본체(30) 내부에서 방열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3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미도시)가 연결되는 파워 커넥터(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코드의 일단은 상기 파워 커넥터(35)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30)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30)의 이동 또는 상기 본체(30)의 미사용시 상기 전원 코드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35)는 상기 전원 코드가 삽입되는 면이 상기 본체(30)의 외측면을 통해 노출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본체(30)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35)는 반복적인 상기 전원 코드의 삽입 및 분리 과정에도 상기 본체(30)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커넥터(35)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금속 소재의 상기 아우터 케이스(31)가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후면에는 리어 플레이트(34)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케이스 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후면에는 통신 모듈(36)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홈(313)에는 상기 본체(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35)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홈(313) 내부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35)와 대응하는 위치에 커넥터 관통구(313a)가 형성되고, 상기 통신 모듈(36)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신 모듈 개구(313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홈(313) 내부에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플레이트 체결돌기(342)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체결홀(313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와 대응하는 위치에 플레이트 개구(3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파워 커넥터(35)의 장착을 위한 상기 본체(30) 후면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본체의 일 구성인 이너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파워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본체와 리어 플레이트 및 파워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제 2 안착부(325)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안착부(325)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39)가 장착되는 감지장치 수용부(3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보스(371,375,3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스(371,375,376)는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의 상면에서 개구된 하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홈(313)과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후면에는 커넥터 장착구(326)와, 플레이트 구속홀(32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홈(313)의 내측에는 통신 모듈 개구(313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홈(313)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 홈(313)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홈(313)의 깊이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장착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후면과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듈(36)이 금속 소재의 아우터 케이스(31) 내부에 구비되더라도, 통신 신호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를 통과하여 투과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홈(313)과 대응하는 이너 케이스(32)의 후면에는 상기 플레이트 체결홀(313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체결홀(313c)은 상기 플레이트 구속홀(327)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상기 이너 케이스(32)가 수용 장착되면, 상기 플레이트 구속홀(327)과 상기 플레이트 체결홀(313c)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장착시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플레이트 체결돌기(342)가 상기 플레이트 구속홀(327)을 통과하여 상기 플레이트 체결홀(313c)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체결돌기(342)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구속홀(327) 및 상기 플레이트 체결홀(313c)은 상기 플레이트 체결돌기(34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플레이트 구속홀(327) 및 상기 플레이트 체결홀(313c)은 상기 케이스 홈(313)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홈(313)과 대응하는 이너 케이스(32)의 후면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되는 커넥터 장착구(3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313a)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파워 커넥터(35)의 커넥터 바디부(353)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는 상면과 하면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과 양측면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방향성을 가지고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워 커넥터(35)는 상기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30)의 후방에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케이스 홈(313)에 상기 리어 플레이트(34)가 장착된 상태에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 커넥터 관통구(313a) 및 커넥터 장착구(326)는 정렬되어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삽입 장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일 예로,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 커넥터 관통구(313a) 및 커넥터 장착구(326)는 중심부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35)는 판상의 노출부(351)와, 상기 노출부(35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바디부(353) 그리고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에서 돌출되는 커넥터 구속부(355,3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노출부(351)는 상기 파워 커넥터(35)의 장착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형성하며,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노출부(351)의 크기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본체(30)의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351)에는 상기 커넥터 개구(3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개구(351a)는 상기 전원 코드가 삽입되는 입구 부분으로 상기 전원 코드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개구(351a)는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 내부의 수용 공간(352)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는 상기 노출부(35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내측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3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352)은 상기 노출부에 형성된 커넥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본체(3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 코드를 상기 파워 커넥터(35)에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는 상기 노출부(351)보다는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출부(351)는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단면 형상은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둘레는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의 내측면과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는 상기 전원 코드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는 서로 평행한 상면(353a)과 하면(353b) 그리고, 상기 하면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좌우 양측면(353c)과, 상기 상면(353a)의 양측단과 상기 좌우 양측면(353c)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면(353d)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종단면은 5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352) 또한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는 방향성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파워 커넥터(35)의 오장착을 방지하고, 정확한 배치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352) 또한 방향성을 가지게 되어 대응하는 형상의 상기 전원 코드가 올바르게 삽입 장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에는 커넥터 구속부(355,3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는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상기 본체(3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의 둘레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는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좌우 양측면(353c)과 상면(353a)과 하면(353b)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는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좌우 양측면(353c)에서 돌출되는 사이드 구속부(355)와,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상면(353a) 및 하면(353b)에서 돌출되는 상하 구속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는 상기 사이드 구속부(355)와 상하 구속부(356)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 구속부(355)는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좌우 양측면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구속부(355)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313a)의 양측단이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하 구속부(356)는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한쌍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 구속부(356)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 구속부(356)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313a)의 상하단이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는 상기 노출부(351)로부터 떨어진 일측에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삽입되는 방향 즉,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낮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워 커넥터(35)는 상기 본체(30)의 외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와 상기 커넥터 관통구(313a) 및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를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의 단부와 상기 노출부(351)의 사이 거리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외측면과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와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돌출된 후면에는 복수의 단자(354)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단자(354)는 전선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352)의 내측에서 상기 전원 코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파워 커넥터(35)의 장착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파워 커넥터가 장착된 상기 본체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2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워 커넥터(35)는 상기 본체(30)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30)의 후측면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내부에 이너 케이스(32)가 배치되며, 적어도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후면과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후면은 서로 밀착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는 상기 케이스 홈(313)에 장착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플레이트 체결돌기(342)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플레이트 체결홀(313c)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구속홀(32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34)의 장착에 의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이너 케이스(32)가 한층 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와 커넥터 관통구(313a) 및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는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와 상기 커넥터 관통구(313a)는 동일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노출부(35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노출부(351)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를 차폐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와 상기 커넥터 관통구(313a) 및 커넥터 장착구(326)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와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형상이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는 방향성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둘레는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에 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에 돌출된 커넥터 구속부(355,356)가 압입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커넥터 바디부(353)의 외측면과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는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는 상기 커넥터 장착구(326)와 접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으로 압입된다. 그리고,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완전히 삽입되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출부(351)와 상기 커넥터 구속부(355,356)의 사이에는 리어 플레이트(34)와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압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이와 같은 구조로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원 코드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코드의 장착 및 분리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분리되거나, 금속 소재로 된 아우터 케이스(31)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Claims (20)
-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되며,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배치되는 자;
상기 이너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파워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가 관통되는 커넥터 관통구가 개구되며,
상기 커넥터 관통구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파워 커넥터가 고정 장착되는 커넥터 장착구가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삽입되는 블렌더.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되는 블렌더.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둘레는 서로 이격되는 블렌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케이스 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관통구는 상기 케이스 홈의 내측에 관통 형성되는 블렌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홈의 함몰된 내측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둘레면과 접하는 블렌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홈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이종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홈을 차폐하는 리어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블렌더.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홈의 깊이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둘레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블렌더.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둘레에는 후크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 및 이너 케이스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플레이트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블렌더.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워 커넥터가 관통되는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커넥터는 상기 전원 코드가 삽입 장착되는 커넥터 개구가 형성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부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블렌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장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워 커넥터의 외측면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 내측면에 걸림 구속되는 커넥터 구속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커넥터는,
상기 전원 코드가 삽입 장착되는 커넥터 개구가 형성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전원 코드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 바디부와;
상기 커넥터 바디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와 걸림 구속되어 상기 파워 커넥터를 구속하는 커넥터 구속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커넥터 장착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장착구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상기 커넥터 관통구 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블렌더.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 구속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는 상기 노출부와 상기 커넥터 구속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렌더.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상면과 하면,
상기 하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좌우 양 측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좌우 양 측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블렌더.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구속부는,
상기 노출부로부터 이격된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구속부는 상기 좌우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블렌더.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구속부는,
상기 좌우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이드 구속부와,
상기 상면 및 하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하 구속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348A KR20210026912A (ko) | 2019-09-02 | 2019-09-02 | 블렌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348A KR20210026912A (ko) | 2019-09-02 | 2019-09-02 | 블렌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912A true KR20210026912A (ko) | 2021-03-10 |
Family
ID=7514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8348A KR20210026912A (ko) | 2019-09-02 | 2019-09-02 | 블렌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26912A (ko) |
-
2019
- 2019-09-02 KR KR1020190108348A patent/KR202100269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785586A1 (en) | Blender | |
US10750907B2 (en) | Food processor | |
US20220225839A1 (en) | Blender | |
CN114302660B (zh) | 料理机 | |
EP3427620B1 (en) | Food processor | |
KR20210026912A (ko) | 블렌더 | |
KR20210026225A (ko) | 블렌더 | |
EP4032447A1 (en) | Blender | |
US20220322884A1 (en) | Blender | |
US20220361716A1 (en) | Blender | |
JP4637193B2 (ja) | 加熱調理器 | |
JP5679934B2 (ja) | 誘導加熱調理器 | |
KR101735112B1 (ko) | 조리기기 | |
CN209610914U (zh) | 电机组件、机座和料理机 | |
CN219229247U (zh) | 一种无线吹风机 | |
CN212394666U (zh) | 料理机 | |
CN214804268U (zh) | 料理机主机及料理机 | |
JP5677241B2 (ja) | 誘導加熱調理器 | |
CN215272189U (zh) | 料理机 | |
CN211834074U (zh) | 机座及搅拌机 | |
KR200337675Y1 (ko) | 전자레인지의 전선 연결구조 | |
EP2755444A2 (en) | Coo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13054864A (ja) | 誘導加熱調理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