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225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225A
KR20210026225A KR1020190106703A KR20190106703A KR20210026225A KR 20210026225 A KR20210026225 A KR 20210026225A KR 1020190106703 A KR1020190106703 A KR 1020190106703A KR 20190106703 A KR20190106703 A KR 20190106703A KR 20210026225 A KR20210026225 A KR 2021002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ase
module
display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진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225A/ko
Priority to EP20173724.4A priority patent/EP3735881B1/en
Priority to US16/994,002 priority patent/US11779160B2/en
Publication of KR2021002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working units, e.g. with a single driving-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며,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구비되는 자; 상기 이너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회전 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서 함몰되는 마운팅부; 및 상기 마운팅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터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마운팅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에 밀착되며, 사용자의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렌더 { A blender }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가루로 분쇄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만드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용기에 식품을 넣은 후 상기 본체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더는 최근 용기의 크기가 큰 대용량의 블렌더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를 이용한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는 다양한 식품의 분쇄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간편한 조작을 통해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국제공개특허 PCT/EP2016074116 에는 컨테이너가 안착되는 베이스 파트 전면에 회전 조작되는 컨트롤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기설정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블렌더가 동작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의 동작 입력이 가능한 블렌더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파트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서 상기 컨트롤 버튼을 통해 선택되는 조리프로그램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블렌더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블렌더의 외부로 노브를 비롯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렌더의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노출로 인한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동작 이상시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노브와 함께 블렌더의 전면으로 배치되어 조작 인식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속으로 된 본체의 외부로 동작의 표시 및 조작이 가능하면서 외관이 개선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조작성과 인식 성능이 개선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지 보수 성능이 향상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며,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구비되는 자; 상기 이너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회전 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서 함몰되는 마운팅부; 및 상기 마운팅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터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마운팅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에 밀착되며, 사용자의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터치 모듈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이너 케이스 면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이너 케이스를 수용하며,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이너 케이스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터치 모듈을 상기 아우터 케이스측으로 가압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모듈과 대응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한 터치 조작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 조작부는 표면 가공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장착된 터치 피시비와; 상기 터치 피시비가 수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는 터치 피시비 케이스와;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터치 조작시 상기 터치 센서로 압력을 전달하는 터치 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조작부와 터치 부스터 및 터치 센서는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케이스 체결 후크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체결 후크가 삽입되어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를 구속하는 체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부스터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터치 부스터가 장착되는 부스터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부스터 개구의 둘레에는 상기 터치 피시비를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블렌더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터치 모듈과 나란히 배치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가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엘이디의 빛이 투과되는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관통 홀들의 조합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의 형태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에 형성된 안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구비되는 자; 상기 이너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함몰되는 마운팅부; 상기 마운팅부에 일측에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터치 조작이 입력되는 터치 모듈; 및 상기 마운팅부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통과하여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위치에서 개구되는 디스플레이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마운팅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접하며, 내측에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을 투과하도록 안내하는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마운팅부의 하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가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관통 홀들의 조합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의 형태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케이스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측에는 케이스 체결부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케이스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모듈과 대응하는 상기 마운팅부 일측에는 터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터치 개구를 통과하는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블렌더의 본체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 아우터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플라스틱 소재로 된 이너 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케이스에는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또는 터치 모듈이 장착되는 마운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의해 이들 구성이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의 외관을 간결하여 외관을 개선 하면서도 상기 블렌더의 동작 입력 및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는 표시부가 다수의 관통홀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 내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조사되는 엘이디의 빛에 의해 상기 관통홀들은 숫자 또는 문자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터치 조작부를 직접 터치 조작하여 상기 터치 모듈의 터치 센서를 통한 조작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외관을 유지하면서 상기 블렌더의 조작 입력과 상태 표시가 모두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터치 모듈은 서로 연속 배치되며, 상기 표시부와 터치 조작부가 연속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성과 인식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의 상면에 표시부와 터치 조작부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의 식별이 용이하고, 상기 터치 조작부로의 접근 및 조작 입력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빛의 투과에 의한 숫자와 문자의 표시로 식별려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고 상기 표시부와 연속 배치되어 상기 표시부를 보면서 보다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마운팅부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며,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에 보다 밀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의 터치 조작시 조작 입력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엘이디가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마운팅부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터치 모듈은 서로 분리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마운팅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협소한 상기 이너 케이스 상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모듈이 서로 독립적인 조립 장착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수명 및 이상 빈도가 다른 두개의 구성의 교체시 독립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터치 모듈은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전선의 배치 및 조립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본체의 일 구성인 이너 케이스와 터치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이너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터치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상태의 본체 내부를 보인 하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터치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확대 도면이다.
도 13은 2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의 XIV-XIV'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방향을 정의한다. 노브(4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파워 커넥터(도 6에서 35)가 연결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체(30)의 바닥의 위치를 하면 또는 하방이라 하고, 자(10)의 상단의 위치를 상면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면 또는 좌측방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우측을 우측면 또는 우측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자(10, jar, 용기 또는 컨테이너라 부를 수도 있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자(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상기 자(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외관은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피시비 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하면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렌더(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로 냉각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상태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표시부(318)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318)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8)는 아우터 케이스(31)를 관통하는 미세한 관통홀(318a)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관통홀(318a)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 모듈(66)에 장착된 다수의 엘이디(66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문자 또는 숫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662a)의 점등 상태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318)는 다른 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관통홀(318a)의 내부에는 홀 메움부재(filling member)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는 일 예로 실리콘,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한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빛의 투과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662a)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물 또는 이물질이 묻거나 상기 관통홀(318a)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조작부(3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조작부(319)는 상기 표시부(318)의 측방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터치 조작부(319)를 조작하고자 할 때 상기 표시부(318)까지 한 번에 인식 가능하도록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조작부(319)는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 모듈(65)의 터치 센서(65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조작부(319)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인쇄 형성되거나, 에칭 등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319)는 필름의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조작부(319)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 센서(654)에서 인식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터치 조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정확한 터치 위치 또는 조작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입력 및 설정을 위해 조작되는 상기 노브(40)와 터치 모듈(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부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301)의 일부가 상기 자(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자(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에 상기 자(10)가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자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상기 본체(30)의 중앙에서 다소 치우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자(10)의 손잡이(13)를 포함한 전체 가로 길이와 상기 본체(30)의 가로 길이는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10)의 식품 수용 공간의 중심은 상기 본체(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301)의 중심 또한 상기 자(10)의 중심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40)는 상기 안착부(301) 및 자(10)의 중심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30)의 전면의 편심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 하방의 상기 본체(30) 내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자(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노브(40)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상기 자(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흡입된 냉각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상기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10)는 상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1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아우터 자(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자(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자(10)와 아우터 자(11)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자(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자(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자(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자(11)의 외경은 상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자(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30)와 자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자(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상기 아우터 자(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안착부(32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자(10)는 상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자(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가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상기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상기 자(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10)의 내부에는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자(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장착시 상기 뚜껑(2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1,spout)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주둥이(111)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자(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자(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자(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자(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 및 상기 뚜겅 손잡이(2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그리고, 도 8은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30)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 상기 자(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돌출되고, 상기 본체(30)의 전면에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4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 상기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되어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내측에서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모터 어셈블리(50)와 다수의 상기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 상기 본체(30)의 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사각형 형상의 상면과, 상기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311)는 상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결합시 상기 안착부(301)를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가 상기 상면 개구(311)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에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그리고 연결 데코(3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1)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및 연결 데코(317)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 소재 또는 동일한 질감으로 보이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는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상단과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를 연결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및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형성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 및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 장착부(103)에 형성된 자 결합부(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 공간(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에는 상기 자(10)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자 결합부와 결합되는 자 결합 돌기(325b) 및 자 결합 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 결합 돌기(325b)와 자 결합 홈(325c)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면을 따라서 다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10)가 상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자 결합부는 상기 자 결합 돌기(325b) 및 상기 자 결합 홈(325c)과의 형합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40)가 위치되는 노브 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노브 홀(31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후면에는 리어 플레이트(34)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플레이트 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후면에는 통신 모듈(36)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홈(313)에는 상기 본체(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커넥터(35)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34)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의 상면과,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좌우 양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의 장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전면에는 노브 장착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 장착홀(321)은 상기 노브(40)가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에 장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 홀(3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마운팅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322)는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이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322)는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은 상기 마운팅부(3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대응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는 다수의 미세한 홀들에 의해 7세그먼트 형상으로 형성된 표시부(31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정보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모듈(65)과 대응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터치 조작부(319)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조작부(319)를 터치하여 상기 터치 모듈(65)로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터치 조작부(319)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데 하나의 터치 조작부(319)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 및 종료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터치 조작부(319)는 누르고 있는 동안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동작되고, 누르지 않게 되면되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공간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상기 안착부(301)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 샤프트(53)를 포함하는모터(51)와, 상기 모터(51)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52), 그리고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 구비되는 모터측 연결부(54)와, 상기 모터 샤프트(53) 하단에 구비되는 쿨링 팬(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는 상기 자(10)의 장착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결합되는 모터측 연결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301) 내부의 삽입 공간(325a)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팬(55)은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쿨링 팬(55)의 동작시 상기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72)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쿨링 팬(55)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본체(30)의 내부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에 배치되는 피시비 모듈(60)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쿨링 팬(55)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 경로상에 위치되어 함께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기능별로 분리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과 인접위치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기준으로 바깥쪽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상기 피시비 모듈(60)들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공냉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모듈(60) 중 특히 발열 온도가 높은 피시비로의 냉각 공기 유동이 집중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열 또는 냉각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상기 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피시비 모듈(61), 입력 전원을 컨트롤하는 파워 피시비 모듈(62) 그리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블렌더(1)의 기능에 따라 추가의 피시비 모듈(60)이 더 구비되거나, 일부 피시비 모듈(60)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블렌더(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노브(40)가 장착되어 상기 노브(40)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노브(4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 및 터치 모듈(65)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모듈(65)의 조작시 상기 터치 모듈(65)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상기 블렌더(1)의 내부로 입력되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것으로,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의 내측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통상 에스엠피세스(SMPS : Switching Mode Power Supply)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파워 커넥터(35)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한 안정적인 전원 상태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상기 블렌더(1)가 무선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한 안정적인 전원 상태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모터(51)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터(51)의 회전 속도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가변속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동작 특성상 동작시 고온으로 발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집중적인 냉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에 방열부재(612)가 배치되어 집중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주파수 상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611)와 마주보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상기 파워 피시비 모듈(62), 그리고 인버터 피시비 모듈(61)과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 모듈(60)들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중앙에 두고 전후좌우측의 네 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구성들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둘레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둘레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 사이가 기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플레이트 토출구(719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냉각을 위한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다른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냉각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는 에어 가이드(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로어 홀(523)에서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면서 상기 모터를 냉각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독립된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쿨링 팬(55)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팬(55)의 회전시 상기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하는 공기가 에어 가이드(72)를 따라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홀(721)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71)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 홀(721)의 둘레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721)을 통과하여 상기 쿨링 팬(55)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블렌더(1)의 무선 전원 공급을 위한 것으로, 다수의 페라이트 코어와 코일로 구성되어 유도 기전력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블렌더(1)를 무선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방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본체(30)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서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커버(74)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에는 커버 흡입구(744) 및 커버 토출구(7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통해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상기 본체(30) 내부에서 방열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의 구조 및 그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본체의 일 구성인 이너 케이스와 터치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이너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터치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상태의 본체 내부를 보인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터치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확대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2의 XIII-XII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4의 XIV-XIV'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제 2 안착부(325)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안착부(325)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39)가 장착되는 감지장치 수용부(3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보스(371,375,3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스(371,375,376)는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의 상면에서 개구된 하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상기 마운팅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322)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 중 일측면의 모서리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운팅부(322)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 중 전단과 우측단이 형성하는 모서리 영역에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322)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이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는 크기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322)의 단차진 높이는 상기 터치 모듈(65)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모듈(65)이 상기 마운팅부(3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가 조립되면, 상기 터치 모듈(65)의 상면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과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운팅부(322)는 디스플레이 개구(322b)와 터치 개구(3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322b)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부(32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 중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322b)를 통과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측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개구(322a)는 상기 터치 모듈(65)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개구(322a)는 상기 마운팅부(322)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322b)와 이격된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개구(322a)는 상기 마운팅부(322)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터치 모듈(65)과 상기 마운팅부(322) 하면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을 연결하는 커넥터(664)가 통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개구(322a)의 외측에는 지지 돌기(322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322d)는 상기 터치 모듈(65)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마운팅부(322)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322d)는 상기 터치 모듈(65)을 하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터치 모듈(65)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하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돌기(322d)는 상기 터치 모듈(65)의 상면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에 말밀착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기(322d)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모듈(65)의 하방에서 상기 터치 모듈(65) 하면의 복수의 지점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322)에는 체결 홀(32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홀(322c)은 상기 터치 모듈(65) 및 디스플레이 모듈(66)에 형성되는 체결 후크(651ㅁ)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홀(322c)은 다수개가 형성될 ,661a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부(322)에 고르게 배치되어 상기 터치 모듈(65)과 디스플레이 모듈(66)이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결합부(3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372)는 스크류의 체결이 가능한 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결합부(372)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의 케이스 체결부(661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체결부(661b)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상기 케이스 결합부(372)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은 상기 마운팅부(322)의 하면에서 견고하게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 모듈(65)과 디스플레이 모듈(66)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모듈(65)은 터치 센서(654)가 장착되는 터치 피시비(652)와, 상기 터치 피시비(652)가 수용되는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52)에는 터치 센서(654)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센서(654)는 피에조 타입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터치 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소재의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누름 조작시 상기 터치 센서(65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미세한 변형을 감지하여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654)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조작부(319)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 터치 조작부(319) 조작시 상기 터치 센서(654)는 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는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피시비(652)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는 상기 마운팅부(32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322b)를 가리지 않으면서 상기 마운팅부(322)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터치 케이스 체결 후크(6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스 체결 후크(651a)는 상기 터치 모듈(65)의 장착시 상기 마운팅부(322)에 형성된 상기 체결 홀(322c)에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는 상기 마운팅부(322)에 별도의 구속 결합구조를 가지지 않고 단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의 상면에는 케이스 개구(65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개구(651b)에는 터치 부스터(6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개구(651b)는 상기 터치 센서(654)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개구(651b)에 장착된 상기 터치 부스터(653) 또한 상기 터치 센서(654)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부스터(653)는 상기 터치 센서(654)의 터치 인식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부스터(653)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터치 부스터(653)에 가해지는 압력이 중심부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미세한 변형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밀착된 터치 부스터(653)의 변형이 가능하며, 나아가 상기 터치 부스터(653)에 의한 상기 터치 센서(654)의 가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터치 조작부(319)와 상기 터치 부스터(653) 및 터치 센서(654)는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조작부(319)를 터치 조작하게 되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미세한 변형은 상기 터치 부스터(653)를 통해 상기 터치 센서(654)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터치 센서(654)의 인식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의 상면에는 접착부재(6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655)는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의 상면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착부재(655)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655)는 상기 케이스 개구(651b)를 제외한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 상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모듈(65)의 상면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과 항상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터치 조작시 상기 터치 부스터(653)를 통해 상기 터치 센서(654)가 보다 효과적으로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 피시비(65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치 개구(322a)를 통해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개구(322a)를 통해 상기 커넥터(664)의 일단이 상기 터치 피시비(652)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터(664)의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의 디스플레이 피시비(66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부(322)를 경계로 서로 상하 배치되는 터치 피시비(652)와 디스플레이 피시비(66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652)의 신호 처리 및 전원 공급 등의 동작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서 상기 터치 모듈(65)과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전선 및 전선을 배치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치 않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의 연결을 통해 동작 가능항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은, 엘이디(662a)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662)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가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6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에는 다수개의 상기 엘이디(662a)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엘이디(662a)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표시부(318)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318a)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엘이디(662a)의 온오프에 따라서 빛이 투과되는 상기 관통홀(318a)이 결정될 수 있으며, 빛이 투과되는 상기 관통홀(318a)들에 의해 상기 표시부(318)에서는 글자 또는 숫자의 형태로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에는 라이트 가이드(6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663)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 중 상기 엘이디(662a)가 장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663)는 상기 엘이디(662a)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관통홀(318a)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내측에 상기 엘이디(662a)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라이트 가이드(663)에는 상기 관통홀(318a)의 형상과 대응하는 가이드 홀(663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663a)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66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663a)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홀(318a)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663a)의 하단에는 상기 엘이디(662a)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엘이디(662a)는 상기 가이드 홀(663a) 내측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662a)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가이드 홀(663a)을 따라 해당되는 상과 관통홀을 투과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663a)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318a)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63)는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322b)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는 상기 마운팅부(322)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63)는 상기 마운팅부(322)의 하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322b)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63)의 상면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엘이디(662a)의 위치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322b)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는 상기 마운팅부(322)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66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661)의 둘레에는 디스플레이 체결 후크(66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체결 후크(661a)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부(322)에 형성된 체결 홀(322c)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이 상기 마운팅부(32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661)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체결부(661b)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 체결부(661b)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372)에 스크류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체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운팅부(322)의 하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661)는 상기 터치 피시비(652)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와 상기 터치 피시비(652)는 상방에서 볼 때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와 상기 터치 피시비(652)의 오버랩되는 부분은 상기 터치 개구(322a)와 대응하는 위치 또는 인접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와 상기 터치 피시비(652)는 상기 커넥터(66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64)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 또는 상기 터치 피시비(65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모듈(65)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의 조립시 자연스럽게 맞은편의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62) 또는 상기 터치 피시비(65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커넥터(664) 연결을 위한 추가 작업 없이 상기 마운팅부(322)에 상기 터치 모듈(65)과 디스플레이 모듈(66)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322)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 및 상기 터치 모듈(65)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를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조립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의 상면과 상기 터치 모듈(65)의 상면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Claims (20)

  1.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며,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구비되는 자;
    상기 이너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회전 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서 함몰되는 마운팅부; 및
    상기 마운팅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터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마운팅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에 밀착되며, 사용자의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블렌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터치 모듈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블렌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이너 케이스 면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블렌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이너 케이스를 수용하며,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이너 케이스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밀착되는 블렌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터치 모듈을 상기 아우터 케이스측으로 가압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블렌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듈과 대응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한 터치 조작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 조작부는 표면 가공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블렌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장착된 터치 피시비와;
    상기 터치 피시비가 수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는 터치 피시비 케이스와;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터치 조작시 상기 터치 센서로 압력을 전달하는 터치 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조작부와 터치 부스터 및 터치 센서는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블렌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케이스 체결 후크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체결 후크가 삽입되어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를 구속하는 체결 홀을 포함하는 블렌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부스터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블렌더.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피시비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터치 부스터가 장착되는 부스터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부스터 개구의 둘레에는 상기 터치 피시비를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블렌더.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블렌더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터치 모듈과 나란히 배치되는 블렌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가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를 포함하는 블렌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블렌더.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엘이디의 빛이 투과되는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관통 홀들의 조합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의 형태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형성하는 블렌더.
  15.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에 형성된 안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구비되는 자;
    상기 이너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함몰되는 마운팅부;
    상기 마운팅부에 일측에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터치 조작이 입력되는 터치 모듈; 및
    상기 마운팅부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통과하여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위치에서 개구되는 디스플레이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마운팅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블렌더.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접하며, 내측에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을 투과하도록 안내하는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마운팅부의 하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가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를 포함하는 블렌더.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관통 홀들의 조합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의 형태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형성하는 블렌더.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 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케이스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측에는 케이스 체결부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케이스 결합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듈과 대응하는 상기 마운팅부 일측에는 터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터치 개구를 통과하는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렌더.
KR1020190106703A 2019-05-08 2019-08-29 블렌더 KR20210026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03A KR20210026225A (ko) 2019-08-29 2019-08-29 블렌더
EP20173724.4A EP3735881B1 (en) 2019-05-08 2020-05-08 Blender
US16/994,002 US11779160B2 (en) 2019-08-29 2020-08-14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03A KR20210026225A (ko) 2019-08-29 2019-08-29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25A true KR20210026225A (ko) 2021-03-10

Family

ID=7468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703A KR20210026225A (ko) 2019-05-08 2019-08-29 블렌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79160B2 (ko)
KR (1) KR202100262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2881A1 (en) * 2021-04-08 2022-10-13 Blendjet Inc. Blender with touchscreen interface
US11659958B1 (en) 2021-07-30 2023-05-30 Blendjet Inc. Blender with built-in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9821B2 (en) * 2001-04-13 2003-08-26 Sunbeam Products, Inc. Blender base with food processor capabilities
US20110222367A1 (en) * 2010-03-15 2011-09-15 Hamilton Beach Brands, Inc. Flexible Touchpad for a Kitchen Appliance
US9398830B2 (en) * 2012-09-18 2016-07-26 Wen Ching Lee Base for food mixer
KR101677334B1 (ko) *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JP6336205B2 (ja) 2015-10-12 2018-06-0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温度センサ付きブレン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79160B2 (en) 2023-10-10
US20210059475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5881B1 (en) Blender
EP3785586B1 (en) Blender
KR20210026225A (ko) 블렌더
CN113784646B (zh) 料理机
WO2017033457A1 (ja) 加熱調理器
US20220322884A1 (en) Blender
US20220400903A1 (en) Blender
US20220361716A1 (en) Blender
KR20220165358A (ko) 블렌더
CN113795183B (zh) 料理机
EP4032447A1 (en) Blender
KR102401757B1 (ko) 블렌더
JP2004039356A (ja) 電磁誘導加熱コンロ
KR20220165357A (ko) 블렌더
KR20220165356A (ko) 블렌더
KR20210026912A (ko) 블렌더
KR20210019792A (ko) 블렌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