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376A -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376A
KR20200129376A KR1020190053688A KR20190053688A KR20200129376A KR 20200129376 A KR20200129376 A KR 20200129376A KR 1020190053688 A KR1020190053688 A KR 1020190053688A KR 20190053688 A KR20190053688 A KR 20190053688A KR 20200129376 A KR20200129376 A KR 2020012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eropin
undercover
engine room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태
유주열
김문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376A/ko
Priority to US16/680,845 priority patent/US11136075B2/en
Priority to CN201911141909.8A priority patent/CN111907432A/zh
Publication of KR2020012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2Streamlining the under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언더커버 하측면에 장착되어 언더커버 하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로핀이 적용된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Engine room under cover}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언더커버 하측면에 장착되어 언더커버 하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로핀이 적용된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시 언더바디(under body) 하부의 공기 흐름은 서스펜션 및 다양한 샤시 부품들에 부딪혀 유속이 느려지면서 차량 사이드로 퍼지게 되고, 이는 후류의 폭을 크게 만들어 항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언더바디에 언더커버(under cover)를 적용하여 언더바디의 하측면을 평평하게 만들어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언더바디의 하부 유동이 차량 사이드로 퍼지지 않도록 가운데로 모아주는 것이 상당히 유리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언더커버의 하측면에 가이드핀을 적용하여 언더바디 하부의 공기 유동이 차량 사이드로 퍼지지 않도록 하였으나, 요철로 및 과속방지턱을 지날 때 가이드핀이 간섭되어 부품에 변형이 가거나 깨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12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저속 주행 시에는 언더커버 내부에서 접힘 상태를 유지하다가 공력 성능이 중요해지는 고속 주행 시에만 언더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언더바디의 하부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로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의 하면에는,
차량의 정지 또는 일정 속도 이하의 저속 주행 시 언더커버의 내부에 삽입되어 접힘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 속도 이상의 고속 주행 시 주행 속도에 따른 공기력에 의해 언더커버의 외부로 돌출되어 언더커버의 하부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로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로핀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에어로핀의 단면형상은 외측면과 내측면의 굴곡이 서로 다른 에어포일(airfoil)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로핀의 외측면 굴곡은 내측면 굴곡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로핀은 차량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복수 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의 에어로핀은 서로 평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의 에어로핀은 차량의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폭방향으로 에어로핀의 일측에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내부에는 양단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언더커버의 하면에는 에어로핀이 삽입되는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가이드홈의 전후면 각각에는 서로 동축인 고정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홈의 바닥면에는 언더커버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로핀은, 고정홀을 관통하며 양단이 고정핀홈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언더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핀의 양단 중 어느 한 쪽에는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일스프링은 고정핀과 서로 동축이며, 일단이 에어로핀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에어로핀에 스프링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로핀은 상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언더커버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주행 시 언더커버 하부의 공기가 에어로핀을 지날 때, 에어로핀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굴곡 차이에 의해 에어로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속도차 및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압력홀을 통하여 에어로핀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점차 높아지고, 에어로핀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로핀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압력과 에어로핀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총합이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 보다 커졌을 때, 에어로핀은 고정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로핀이 회전하여 가이드홈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에어포일 형상의 단면형상에 의해 에어로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작용하는 양력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로핀에 작용하는 양력과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 사이의 힘의 균형에 따라 에어로핀의 펼침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로핀이 완전히 펼쳐지는 차량의 주행 속도는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 조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더커버의 하면 측에 에어로핀을 적용하여 차량 하부 유동이 퍼지지 않도록 모아줌으로써 공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로핀의 펼침 각도가 차량의 속도에 따른 공기력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과속방지턱이나 험로 등을 지날 때 또는 고압 세차 시에는 에어로핀이 언더커버 내부로 삽입되면서 지면 또는 수압과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며, 공력 성능이 가장 우세하게 요구되는 고속 주행조건에서만 에어로핀이 펼쳐져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속도 센서 및 구동 모터 등의 추가 구성이 불필요하여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유리하며, 부품수가 적어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장 라인 설치비 및 조립비도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에 설치된 에어로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핀의 단면 형상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주행 시 에어로핀의 펼침 상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속 주행 시 에어로핀의 펼침 상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주행 시 에어로핀의 펼침 상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핀의 적용 위치 제1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핀의 적용 위치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핀의 적용 위치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핀의 미 적용 시 언더커버 하부에서의 유동 변화 해석 결과.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핀의 적용 시 언더커버 하부에서의 유동 변화 해석 결과.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언더커버 하측면에 장착되어 언더커버 하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로핀이 적용된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에 설치된 에어로핀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로핀(4)은 상기 엔진룸 언더커버(2)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차량의 정지 또는 일정 속도 이하의 저속 주행 시에는 상기 언더커버(2)의 내부에 삽입되어 접힘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 속도 이상의 고속 주행 시에는 주행 속도에 따른 공기력에 의해 상기 언더커버(2)의 하부 공기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에어로핀(4)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외측면과 내측면의 굴곡이 서로 다른 에어포일(airfoil) 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상기 에어로핀(4)의 외측면 굴곡은 내측면의 굴곡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러한 형상에 따라 차량 하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로핀(4)을 지날 때 상기 에어로핀(4)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속도차 및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에어로핀(4)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복수 개 장착된다.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에어로핀(4)의 일측에는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내부에는 양단을 관통하는 고정홀(8)이 형성되는 고정부(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8)은 고정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고정홀(8)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14)의 양단 중 어느 한 쪽에는 코일스프링(18)이 삽입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8)은 상기 고정핀(14)과 서로 동축이며, 일단이 상기 에어로핀(4)의 외측면(상기 에어로핀의 접힘 시 지면을 향하는 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10)에 고정되어 상기 에어로핀(4)에 스프링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에어로핀(4)은 상기 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언더커버(2)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언더커버(2)의 하면에는 상기 에어로핀(4)이 삽입되는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0)은 상기 언더커버(2)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홈(10)의 전후면 각각에는 서로 동축인 고정핀홈(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8)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14)의 양단은 각각 상기 고정핀홈(12)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로핀(4)과 상기 언더커버(2)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홈(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언더커버(2)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홀(16)이 형성된다.
차량의 내부 공기는 상기 압력홀(16)을 통하여 상기 에어로핀(4)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상기 압력에 크기에 따라 상기 에어로핀(4)이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하기에서는 도 3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른 상기 에어로핀의 펼침 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베르누이 효과에 따라 공기 유동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압력홀(16)을 통하여 상기 에어로핀(4)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점차 높아지고, 상기 에어로핀(4)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점차 낮아지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저속 주행 구간에서는 상기 에어로핀(4)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착용하는 압력이 상기 에어로핀(4)의 내측면에 작용하는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력 또한 상기 에어로핀(4)을 상기 언더커버(2) 측으로 당기고 있어 상기 에어로핀(4)은 상기 가이드홈(10) 내부에 삽입되어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저속 주행 구간에서는 공기저항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에어로핀(4)의 역할이 크지 않아 상기 에어로핀(4)을 접힌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과속방지턱 또는 험로 등을 통과할 때 상기 에어로핀(4)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속/고속 주행 구간에서는 상기 에어로핀(4)의 외측면에서 공기의 유동이 빨라지면서 압력이 점차 낮아지게 된다.
반면에, 상기 압력홀(16)을 통하여 상기 에어로핀(4)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차량 내부 공기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 에어로핀(4)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압력과 상기 에어로핀(4)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총합이 상기 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력보다 커지게 되고,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로핀(4)이 상기 고정핀(14)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언더커버(2)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오기 시작한다.
상기 에어로핀(4)이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홈(10)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에어포일 형상의 단면형상에 의해 상기 에어로핀(4)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속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상기 에어로핀(4)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작용하는 양력의 크기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로핀(4)에 작용하는 앙력과 상기 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력 사이의 힘의 균형에 따라 상기 에어로핀(4)의 펼침 각도가 조절된다.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에어로핀(4)의 내측면에 작용하는 압력도 점점 증가하게 되며, 상기 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력 조율에 따라 상기 에어로핀(4)이 완전히 펼쳐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핀(4)의 펼침각도는 90도를 최대로 한다.
상기 에어로핀(4)의 위치 및 각도는 조정 가능한 것으로, 차량의 특성에 따라 차량 하부의 공기 유동을 차량의 중심선 측으로 보다 더 효과적으로 모아줄 수 있는 형태로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의 상기 에어로핀(4)이 서로 평행하도록 위치시키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서로 가까워지도록 위치시킬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의 경우, 차량의 프런트 타이어와 리어 타이어 사이의 언더커버 (2)상에서 차량의 조건에 따른 상기 에어로핀(4)의 장착 위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의 경우, 차량의 하부 유동을 차량의 중심선 측으로 보다 더 모아주기 위해 상기 차량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에어로핀(4)이 차량의 중심선을 향하도록 상기 에어로핀(4)의 장착 각도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핀의 미 적용 시 언더커버 하부에서의 유동 변화 해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핀의 적용 시 언더커버 하부에서의 유동 변화 해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로핀(4)의 미 적용 시 차량 하부의 중심선을 지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후부터 차량의 폭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에어로핀(4)의 적용 시 차량 하부의 중심선을 지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후 부분에서도 차량의 폭방향으로 퍼지지 않고 차량의 중심선 측으로 모여 흐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히 펼쳐진 상기 에어로핀(4)은 차량 하부의 공기 유동이 차량의 폭방향으로 퍼지지 않도록 모아주게 되며, 이에 따라 공력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언더커버
4 : 에어로핀
6 : 고정부
8 : 고정홀
10 : 가이드홈
12 : 고정핀홈
14 : 고정핀
16 : 압력홀
18 : 코일스프링

Claims (20)

  1.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의 하면에는,
    차량의 정지 또는 일정 속도 이하의 저속 주행 시 언더커버의 내부에 삽입되어 접힘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 속도 이상의 고속 주행 시 주행 속도에 따른 공기력에 의해 상기 언더커버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언더커버의 하부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로핀이 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핀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에어로핀의 단면형상은 외측면과 내측면의 굴곡이 서로 다른 에어포일(airfoil)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핀의 외측면 굴곡은 내측면 굴곡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핀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복수 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의 상기 에어로핀은 서로 평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의 상기 에어로핀은 차량의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에어로핀의 일측에는,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내부에는 양단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에어로핀이 삽입되는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홈의 전후면 각각에는 서로 동축인 고정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언더커버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핀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며 양단이 상기 고정핀홈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언더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의 양단 중 어느 한 쪽에는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고정핀과 서로 동축이며, 일단이 상기 에어로핀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에어로핀에 스프링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핀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언더커버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상기 언더커버 하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로핀을 지날 때, 상기 에어로핀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굴곡 차이에 의해 상기 에어로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속도차 및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압력홀을 통하여 상기 에어로핀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점차 높아지고, 상기 에어로핀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핀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압력과 상기 에어로핀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총합이 상기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 보다 커졌을 때, 상기 에어로핀은 상기 고정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핀이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홈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에어포일 형상의 단면형상에 의해 상기 에어로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작용하는 양력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핀에 작용하는 양력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 사이의 힘의 균형에 따라 상기 에어로핀의 펼침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핀이 완전히 펼쳐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 조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KR1020190053688A 2019-05-08 2019-05-08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KR20200129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88A KR20200129376A (ko) 2019-05-08 2019-05-08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US16/680,845 US11136075B2 (en) 2019-05-08 2019-11-12 Engine room undercover assembly for vehicle
CN201911141909.8A CN111907432A (zh) 2019-05-08 2019-11-20 用于车辆的发动机室下护板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88A KR20200129376A (ko) 2019-05-08 2019-05-08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76A true KR20200129376A (ko) 2020-11-18

Family

ID=7304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688A KR20200129376A (ko) 2019-05-08 2019-05-08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36075B2 (ko)
KR (1) KR20200129376A (ko)
CN (1) CN1119074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26370A (ja) * 2020-07-31 2022-02-10 株式会社Subaru 整流装置
CN115214483A (zh) * 2021-06-18 2022-10-2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隔热总成及其控制方法、汽车
CN116198615A (zh) * 2023-03-29 2023-06-0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底护板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229A (ko) 2003-12-18 2005-06-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룸 언더 커버 개폐 장치 및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5709B2 (en) * 2006-10-31 2010-1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actuated flow trips
US20140070564A1 (en) * 2012-09-11 2014-03-13 Hendrickson Usa, L.L.C. Air flow contro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EP2821330B1 (de) * 2013-07-05 2017-01-11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Unterbodenverkleidung
US9932074B2 (en) * 2015-08-31 2018-04-03 Faraday & Future Inc. Active vehicle skirt panel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16010321A1 (de) * 2016-08-25 2018-03-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poil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10421505B2 (en) * 2017-08-01 2019-09-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deflector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229A (ko) 2003-12-18 2005-06-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룸 언더 커버 개폐 장치 및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36075B2 (en) 2021-10-05
CN111907432A (zh) 2020-11-10
US20200353999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9376A (ko) 차량의 엔진룸 언더커버
US7922235B1 (en) Drag reduction system for vehicles
JP6549696B2 (ja) 車輌の空力性能の変更
JP5004254B2 (ja) 自動車のためのフロント部分
DE102014100190A1 (de) Ausfahrbarer Frontspoiler
US20010052717A1 (en) Traveling safety device for motor vehicle
JP2015515410A (ja) 自動車において動的に支持され且つ可動的であって、ダウンフォースを発生させるアンダーボディ
US20220024522A1 (en) Aerodynamic mud flap
US20140252800A1 (en) Speed-adaptive wing for drag reduction
US8113470B1 (en) Variable air foil and spoiler
EP3390208B1 (en) Method for optimizing a position of an air deflector guiding an airflow around a vehicle and an air guiding device
KR20020079001A (ko) 자동차의 에어댐
KR101743762B1 (ko)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JP2018135054A (ja) 車両用空気抵抗低減装置及び車両
KR200381695Y1 (ko) 자동차용 에어댐 장착구조
GB2400585A (en) Air dam / spoiler
EP3793888B1 (en) Twist beam air guided tunnel diffuser
JPH11115830A (ja) 車両の空気抵抗低減装置
WO2003084769A1 (en) System for active decrese in the aerodynamic resistance of vehicles in motion
CN203902705U (zh) 一种汽车导流板
JPH06270849A (ja) エアスポイラ装置
KR20210030020A (ko) 공력 개선을 위한 액티브 휠 디플렉터
Ohno et al. Improvement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passenger car by side–airdams
JP6096823B2 (ja) 整流装置
KR19980042763U (ko) 자동차용 스포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