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375A - 유지장치 및 유지장치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유지장치 및 유지장치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375A
KR20200126375A KR1020207024638A KR20207024638A KR20200126375A KR 20200126375 A KR20200126375 A KR 20200126375A KR 1020207024638 A KR1020207024638 A KR 1020207024638A KR 20207024638 A KR20207024638 A KR 20207024638A KR 20200126375 A KR20200126375 A KR 20200126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ttern
holding
retaining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미엥 보세
Original Assignee
아플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플릭스 filed Critical 아플릭스
Publication of KR2020012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5Male or hoo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5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8Means for attaching bag to seal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9Body securing means, e.g. bel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면(12A) 및 하부면(12B)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베이스(12)와, 이 베이스(12)의 상부면(12A)으로부터 연장되고 로드(18)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유지요소(16)를 포함하는 유지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12)는 복수의 유지요소(16)가 적어도 하나의 패턴(14)을 형성하도록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지장치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지장치 및 유지장치용 테이프
본 개시는, 예를 들어 후크 및/또는 루프 상대물과 상호작용하도록 의도되는, 로드 및/또는 예비성형물 및/또는 후크와 같은 돌출요소를 포함하는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위생 분야에서, 예를 들어 후크를 갖춘 유지장치가 사용되어, 유지장치의 적용 영역을 형성하는 루프 상대물과 상호작용한다.
사용자가 이 적용 영역에 유지장치를 위치시킬 때, 사용자는 그가 유지장치를 적용 영역에 정확하게 위치시켰는지 의심할 수 있다. 이 적용 영역은 일반적으로 위생 분야에서 "컴포트 웨브(comfort web)"라고 부르거나 "랜딩 영역(landing zone)"이라는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가 유지장치를 적용 영역에 올바르게 위치시켰다는 것을 확신한다는 사실은 유지장치가 적용 영역에 올바르게 고정되어 있다는 사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준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물품을 더욱 양호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및/또는 물품을 제거하기 위해서 적용 영역에 유지장치를 재배치해야 할 수도 있다.
박리력(peeling force)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유지장치를 적용 영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유지장치에 가하는 힘이다. 사용자가 유지장치를 적용 영역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는 용이성은 유지장치가 적용 영역 상에 올바르게 고정되어 있다는 사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준다. 일부 극단적인 경우에, 낮은 박리력으로 인해 유지장치가 예기치 않게 적용 영역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폐쇄 및/또는 개방 방식으로 유지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인식되는 감각/품질 및/또는 실제 감각/품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에게 사용하기 간단하고, 시각적이고, 인지적이며, 직관적 인 유지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는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유지장치는:
-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연속적인 베이스; 및
-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유지요소로서, 각각의 유지요소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복수의 유지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며, CIE L*a*b*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는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다.
"패턴"에 의해, 유지요소의 분포는 전체 베이스에 걸쳐 균일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요소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상에서 균일하게 이격될 수도 있지만, 베이스의 일부 영역에는 유지요소가 없고 패턴이 획정되어 있을 수 있다.
패턴은 평균 피치에 해당하는 반경의 원으로 덮힌 표면에 해당하는 패턴 표면을 포함하며, 각 원의 중심은 위에서 볼 때 유지요소의 중심에 각각 위치하며, 각 원의 원주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유지요소의 중심을 통과한다. 평균 피치는 2개의 인접한 유지요소들을 분리하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패턴 표면으로 덮이지 않은 표면이다.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가 1.0 이상이면, 사용자는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예를 들어 루프 상대물과 같은 적용 영역 상에 패턴을 적절하게 위치시켰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폐쇄 및/또는 개방 방식으로 유지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느낌/품질 및/또는 실제 느낌/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IELAB라고 불리는, CIE L*a*b* 색 공간(color space) 또는 CIE L*a*b* 색채 공간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공간이며 표면 색상을 특징짓기 위해서 국제 조명 위원회(CIE,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에 의해 발행되어 있다. 이 공간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모든 색상을 설명하며 참조용으로 사용되도록 만들어졌다. 이 공간에서 선명도(clarity) L*는 0(=검정색)에서 100(=흰색)까지 변하고, 파라미터 a*는 녹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하는 축선 상의 값을 나타내고, 파라미터 b*는 파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축선 상의 값을 나타낸다.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는 식 (1)에 따라 계산된다.
Figure pct00001
...(1)
L*, a* 및 b*의 값은 예를 들어 흰색 배경(white support) 상에서 x-rite pantone의 모델 RM200QC의 자연광(참조 D65/10°)에서 분광 비색계로 측정된다. 이 분광계는 4㎟ 이상인 표면을 측정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영역이 여럿 있으며,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각 영역은, CIE L*a*b*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를 가지며, 이 색상 차이(ΔE*)는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영역이 여럿 있으며,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각 영역은, CIE L*a*b*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제1 영역과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제2 영역과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를 가지며, 이 색상 차이(ΔE*)는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는 헤드가 얹혀있는 로드를 포함한다.
로드는 베이스에 연결된 하단부와, 이 하단부 반대쪽의 상단부를 포함하며, 헤드는 로드의 상단부 위에 얹힌다.
이러한 유형의 유지요소는 예를 들어 예비성형물 및/또는 후크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의 면적은 베이스의 총 면적의 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유지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유지요소, 즉 유지요소가 베이스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유지요소의 경우에, 유지요소가 없는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웨브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웨브는 직선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패턴을 식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면적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패턴을 획정하는 영역으로서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의 존재를 식별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유지요소의 가장자리에서 웨브를 형성하는 좁은 영역은 유지요소에 의해 각 측면에서 경계가 지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단일 패턴이다.
"단일 패턴"이란, MD 방향으로 25.4mm 또는 30.0mm 또는 35.0mm 그리고 CD 방향으로 13.0mm 또는 25.0mm 또는 25.4mm로 측정되는 베이스의 영역에서 격리되어 있는 패턴을 의미한다.
"Machine Direction"의 약자인 "MD 방향"이란, 유지장치의 제조 동안에 기계에서의 베이스의 이동 방향을 의미하고, "Cross Direction"의 약자인 "CD 방향"이란, MD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의미한다.
이 패턴은, 예를 들어 고유한 기호 또는 상표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반복 패턴이다.
반복 패턴은 예를 들어 단일 패턴에 비해 더 작은 크기일 수 있지만,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복 패턴은 복합 패턴(complex pattern)일 수 있다.
"복합 패턴"이란, 서로 상이할 수 있는 여러 개체(entities)를 포함하는 패턴을 의미하며, 이러한 복합 패턴 자체는 적어도 한 번 반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폐쇄 윤곽을 갖는다.
"폐쇄 윤곽"이란, 양 끝이 만나는 곡선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유지요소가 개방 방식으로 편향될 때, 유지요소에 가해지는 힘이 적어도 박리력으로의 제1 성분과 전단력으로의 제2 성분으로 분해되도록 배열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CIE XYZ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는 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CIE XYZ 색 공간은 국제 조명 위원회에서 정의한 색 공간이다. CIE XYZ 공간의 Y 성분은 표면의 휘도 즉 밝기에 해당한다. ASTM D2805 표준에 따라, 백분율로 표시되는 불투명도는 식 (2)에 따라 계산된다.
Figure pct00002
...(2)
여기서 Yblack background는 검정색 배경(black support) 상에서 수행된 Y의 측정 값이고, Ywhite background는 흰색 배경 상에서 수행된 Y의 측정값이다.
Yblack background 및 Ywhite background의 값은 예를 들어 흰색 배경 및 검정색 배경에서 x-rite pantone의 모델 RM200QC의 자연광(기준 D65/10°아래)으로 분광 비색계로 측정된다.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에 대하여 얻어진 불투명도 값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얻어진 불투명도 값과의 차이의 절대값과 같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영역이 여럿 있으며,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각 영역은, CIE XYZ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를 가지며, 이 불투명도 차이는 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영역이 여럿 있으며,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각 영역은, CIE XYZ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제1 영역과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제2 영역과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를 가지며, 이 불투명도 차이는 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및 복수의 유지요소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열가소성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플라스토머, 특히 폴리에틸렌계 플라스토머의, 그리고 모노모달 또는 멀티모달(예컨대, 바이모달) 분자량, 특히 LLDPE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분포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LLDPE(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m-PE(메탈로센 폴리에틸렌),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PP(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PA), 폴리락틱산(PLA),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PVOH, PBS, 폴리에스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및 복수의 유지 부재는 염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염료는 예를 들어 흰색 염료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ABOT에 의해 판매되고 50 질량%의 TiO2로 로딩된 참조번호 50PP를 들 수 있다. 다른 염료로서, COLOR SERVICE에서 제조한 참조번호 UN55206을 들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다.
염료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과의 사이의 시각적 대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및 복수의 유지요소는 최대 2 질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 질량%의 염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로부터 가장 먼 유지요소 각각의 일단부는 착색 코팅을 포함한다.
따라서, 착색 코팅은, 베이스로부터 가장 먼 유지요소 각각의 단부에 착색 코팅을 침착(deposit)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플렉소 인쇄 및/또는 패드 인쇄 및/또는 윤전 그라비어 및/또는 실크스크린 인쇄 및/또는 헬리오그래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잉크 또는 염료로 침착될 수 있다. 잉크는 용제형 또는 수성 잉크이거나 자외선 교차-결합될 수 있다.
잉크는 일반적으로 다음 3가지 성분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착색 물질, 특히 안료 또는 염료; 잉크의 유체 상을 형성하는 비히클, 예를 들어 폴리머, 희석제 및/또는 용제 또는 물의 혼합물; 그리고 잉크의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분산제, 소포제 등과 같은 첨가제.
폴리머의 혼합물로서,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및 그 혼합물과 같은 다양한 아세테이트를 최대 50 질량%까지 및/또는 알코올을 최대 10 질량%까지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 또는 무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디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크 산텐, 아진 등, 이산화티타늄, 카본블랙, 산화철, 산화크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잉크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참조 "Type Series 30,000 ALC polyamide"로 ULTRA 잉크에서 시판되는 잉크 또는 참조 "Type Series EURO-Film PXA"로 DOMECK EUROFLEX에서 시판되는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착색 코팅은,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과의 사이의 대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무색 또는 착색된 열가소성 재료에 침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잉크 롤러는 잉크 또는 염료로 코팅되고 유지요소는 유지요소 만이 잉크 롤러와 접촉하도록 구동됩니다. 따라서 각각의 유지요소의 베이스로부터 가장 먼 단부는 패턴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색 코팅으로 덮인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박리 방향으로 반복적이며, "180°박리" 방법에 따라 측정된 박리력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피크 및 2개의 피크 사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골을 가지며, 피크의 최대값은 개방 스트로크와 함께 증가하며, 적어도 하나의 골의 최소값은 박리력의 최대값의 85% 이하의 값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의 값을 갖는다.
"180°박리" 방법은 박리력, 즉 유지요소와 적용 영역을 분리하기 위한 힘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샘플의 컨디셔닝 - 테스트할 샘플은 상대 습도 50% +/- 5%로 23℃ +/- 2℃에서 2h(시간) 동안 컨디셔닝 된다.
유지요소의 준비 - 유지요소는 일반적으로 CD 방향으로 사용된다. 유지요소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MD 방향으로 긴 테이프 형태이다. MD 방향으로의 테이프 일부는 80g/㎠의 종이에 접착되고, 2kg(킬로그램)의 롤러가 테이프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방향으로 그리고 그 다음에 다른 방향(왕복)으로 유지장치 상에 적용 즉 회전된다. 종이 및 유지요소는 가위를 이용하여 약 700mm/min(분 당 밀리미터)의 속도로 25.4mm(밀리미터)의 CD 방향으로의 폭을 갖는 스트립으로 절단된다. 각각의 종이 스트립은 210mm의 길이를 가지며 유지요소는 이 스트립의 중앙에 배치된다.
적용 영역의 준비 - 적용 영역의 샘플은 MD 방향으로 50mm의 폭을 가지며 길이는 최대 200mm이고 이 샘플은 길이를 따라 절반으로 절단된다.
조립 - 스트립은, 유지장치가 적용 영역의 샘플 중앙에 위치하도록, 적용 영역의 샘플 상에 배치된다. 2kg(킬로그램)의 롤러가 약 700mm/min의 속도로 스트립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방향으로 그리고 그 다음에 다른 방향(왕복)으로 스트립 상에 적용 즉 회전된다. 적용 영역의 샘플은 갤로스(gallows)의 클램프에 배치되고, 절단부가 클램프 내에 배치되고 1kg의 웨이트가 10s(초) 동안 스트립의 하단 부분에 매달린다. 그런 다음 웨이트가 제거된다. 이 단계는 적용 영역의 샘플과 유지요소와의 정확한 조립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측정 - 조립체는 100N(뉴턴) 측정 셀을 포함하는 인장 시험기 내에 배치된다. 스트립은 상부(이동식) 턱 내로 삽입된다. 힘 측정 셀의 판독 값은 영으로 설정된다. 적용 영역의 샘플은 하부(고정식) 턱 내로 삽입되고 약간의 장력이 생성된다. 힘은 0.02N 내지 0.05N 이어야 한다. 설치 도중에, 이들 턱은 서로 50mm만큼 이격되어 있다. 조립체는 2개의 턱 사이에서 중심에 위치된다. 테스트는 305mm/min의 속도로 일정한 변위로 수행되며 테스트 스트로크는 50mm 이다. 이 테스트 스트로크는 테스트할 유지장치의 폭에 따라 조정된다.
골은 2개의 이어지는 피크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박리 곡선은 매끄럽지 않으므로, 하나의 피크를 다른 피크와 구별하기 위해서, 2개의 피크의 최대값에 있어서의 차이가 측정된 가장 큰 힘의 최대값의 적어도 10%일 때, 즉, 가장 큰 피크의 최대값의 10%보다 클 때, 새로운 피크가 있다고 간주한다. 피크와 골은 정점과 베이스를 가지며,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1mm보다 큰 폭, 특히 2mm보다 큰 폭, 일부 경우에 3mm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골로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피크를 갖는 박리력으로 인하여, 개방 스트로크를 따라 박리력의 피크 값이 증가하므로, 사용자는 적용 영역으로부터 유지요소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이와 같이 증가하는 힘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지장치가 적용 영역에서 잘 유지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나아가서, 박리력의 최대값은 유지요소가 원치 않는 방식으로 적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180°박리"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박리력은, 1.8N 이상이면 유지요소와 적용 영역의 예기치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유지요소 및 적용 영역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박리 방향을 따라 반복적이며, "180°박리" 방법에 따라 측정된 박리력은 적어도 3개의 피크와 적어도 2개의 골을 가지며, 각각의 골은 2개의 이어지는 피크 사이에 있으며, 피크의 최대값은 개방 스트로크와 함께 증가하고, 골의 최소값은 박리력의 최대값의 85%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의 값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장치는 박리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리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은, 박리 방향으로 측정된 유지요소의 2열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박리 방향으로 측정된 유지요소의 3열 이상의, 박리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을 갖는다.
유지요소가 없는 이러한 연속하는 영역은 작은 폭을 갖지만, 유지요소에 의해 각각의 측면에서 경계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리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은, 박리 방향으로 측정된 베이스의 폭의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박리 방향으로 측정된 폭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는 직조물 또는 부직물 웨브(web) 또는 열가소성 필름 또는 탄성 필름 또는 복합 필름을 포함한다.
이러한 직조물 또는 부직물 웨브 또는 열가소성 필름 또는 탄성 필름 또는 복합 필름은 베이스에 대한 지지체로서 기능한다.
"부직물(non-woven)"은 통합(consolidated)된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시트(lap)의 형성 마지막에 얻어진 제품을 의미한다. 통합은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 사이의 결합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통합은, 직접, 다시 말해서 웰딩(weldiing)에 의해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 사이에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거, 또는 간접,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접착제 층 또는 결합제 층과 같은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 사이의 중간층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용어 "부직물"은 불균일, 불규칙 또는 무작위 방식으로 짜여진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테이프 또는 시트 형상의 구조물을 지칭한다. 부직물은 단일-층 구조 또는 다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직물은 라미네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또 다른 재료와 결합될 수도 있다. 부직물은 다양한 합성 및/또는 천연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천연 재료는 예를 들어 면, 황마, 린넨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이며, 레이온 또는 비스코스와 같은 재-처리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직물 재료를 위한 천연 섬유는 카딩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준비될 수 있다.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합성 재료는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티렌 등; 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0, 폴리아미드 12 등;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틱산 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비닐 폴리머,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 를 포함하는 섬유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합성 플라스틱 폴리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직물은 Spunbond, Spunmelt, carded thermally-bonded, SMS, SMMS, SS, SSS, SSMMS, SSMMMS, Air through 등과 같은 유형의 부직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직물은 Spunbond "S"의 층 및 Meltblown "M"의 층의 상이한 조합을 포함하는 부직물일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다.
웨브는 부직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일반적으로 직조물 재료, 편직물 재료 또는 이들 재료의 다양한 조합일 수 있다.
"열가소성 필름"이란 탄성 재료 또는 비탄성 재료일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필름을 의미한다.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열가소성 필름"이란, 측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신장력의 영향 아래에서 파단되지 않고 신장될 수 있는, 그리고 이러한 신장력을 이완시킨 후 그 형상 및 최초 치수를 실질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필름을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어 신장 및 이완 후에 실온(23℃)에서 (신장 전의) 최초 치수의 100% 신장에 대하여 20%보다 작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보다 작은 잔류 또는 잔여 변형(영구 세트 즉 SET라고도 하는 잔류 변형)을 유지하는 필름이다.
"비탄성 재료의 열가소성 필름"이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열가소성 필름의 정의에 속하지 않는 필름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는 웨브 상에 오버몰딩 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는, 이 베이스의 상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되는,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7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인 두께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는, 이 베이스의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사이, 예를 들어 CD 또는 MD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 가장자리 사이에서 일정한 또는 일정하지 않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는, 이 베이스의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사이, 예를 들어 CD 또는 MD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의 상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유지요소의 높이는 베이스의 두께의 3배 내지 10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는, 이 베이스의 상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10 내지 700㎛의 두께를 가지며, 베이스의 상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유지요소의 높이는, 베이스의 두께의 3배 내지 10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의 높이는 35㎛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예를 들어, 유지요소의 높이는 80 내지 350㎛ 또는 55 내지 120㎛ 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평면도에서, 유지요소에 대해 직각으로) 유지요소가 내접(inscribed)하는 직경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이고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0㎛ 이하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유지요소 사이의 최소 거리는 0.1mm 내지 10mm 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 당 유지요소 20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 당 유지요소 50개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 당 유지요소 100개 이상이고 ㎠ 당 유지요소 25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 당 유지요소 200개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 당 유지요소 150개 이하의 유지요소 밀도를 갖는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는 또한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유지장치는:
-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연속적인 베이스; 및
-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유지요소로서, 각각의 유지요소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복수의 유지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은 박리 방향으로 반복적이며, "180°박리" 방법에 따라 측정된 박리력은 적어도 2개의 피크와 이들 2개의 피크 사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골을 가지며, 상기 피크의 최대값은 개방 스트로크와 함께 증가하고 적어도 하나의 골의 최소값은 박리력의 최대값의 85%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의 값을 갖는다.
"패턴"에 의해, 유지요소의 분포는 전체 베이스에 걸쳐 균일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요소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상에서 균일하게 이격될 수도 있지만, 베이스의 일부 영역에는 유지요소가 없고 패턴이 획정되어 있을 수 있다.
패턴은 평균 피치에 해당하는 반경의 원으로 덮힌 표면에 해당하는 패턴 표면을 포함하며, 각 원의 중심은 위에서 볼 때 유지요소의 중심에 각각 위치한다. 평균 피치는 2개의 인접한 유지요소들을 분리하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패턴 표면으로 덮이지 않은 표면이다.
골로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피크를 갖는 박리력으로 인하여, 개방 스트로크를 따라 박리력의 피크 값이 증가하므로, 사용자는 적용 영역으로부터 유지요소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이와 같이 증가하는 힘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지장치가 적용 영역에서 적절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나아가서, 박리력의 최대값은 유지요소가 원치 않는 방식으로 적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폐쇄 및/또는 개방 방식으로 유지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느낌/품질 및/또는 실제 느낌/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피크와 골은 정점과 베이스를 가지며,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1mm보다 큰 폭, 특히 2mm보다 큰 폭, 일부 경우에 3mm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180°박리"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박리력은, 1.8N 이상이면 유지요소와 적용 영역의 예기치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유지요소 및 적용 영역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박리 방향을 따라 반복적이며, "180°박리" 방법에 따라 측정된 박리력은 적어도 3개의 피크와 적어도 2개의 골을 가지며, 각각의 골은 2개의 이어지는 피크 사이에 있으며, 피크의 최대값은 개방 스트로크와 함께 증가하고, 골의 최소값은 박리력의 최대값의 85%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의 값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장치는 박리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리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은, 박리 방향으로 측정된 유지요소의 2열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박리 방향으로 측정된 유지요소의 3열 이상의, 박리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리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은, 박리 방향으로 측정된 베이스의 폭의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박리 방향으로 측정된 폭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CIE L*a*b*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는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영역이 여럿 있으며,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각 영역은, CIE L*a*b*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를 가지며, 이 색상 차이(ΔE*)는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영역이 여럿 있으며,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각 영역은, CIE L*a*b*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제1 영역과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제2 영역과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를 가지며, 이 색상 차이(ΔE*)는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는 헤드가 얹혀있는 로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의 면적은 베이스의 총 면적의 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단일 패턴이다.
"단일 패턴"이란, MD 방향으로 25.4mm 또는 30.0mm 또는 35.0mm 그리고 CD 방향으로 13.0mm 또는 25.0mm 또는 25.4mm로 측정되는 베이스의 영역에서 격리되어 있는 패턴을 의미한다.
이 패턴은, 예를 들어 고유한 기호 또는 상표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반복 패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복 패턴은 복합 패턴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폐쇄 윤곽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유지요소가 개방 방식으로 편향될 때, 유지요소에 가해지는 힘이 적어도 박리력으로의 제1 성분과 전단력으로의 제2 성분으로 분해되도록 배열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CIE XYZ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는 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영역이 여럿 있으며,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각 영역은, CIE XYZ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복수의 유지요소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를 가지며, 이 불투명도 차이는 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영역이 여럿 있으며,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각 영역은, CIE XYZ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제1 영역과 유지요소를 구비하는 제2 영역과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를 가지며, 이 불투명도 차이는 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및 복수의 유지요소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및 복수의 유지요소는 일체로 만들어진다.
다시 말해서, 베이스 및 복수의 유지요소는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베이스와 복수의 유지요소 사이의 접합부에는 재료에 있어서 계면(interface)이 없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및 복수의 유지요소는 염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및 복수의 유지요소는 최대 2 질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 질량%의 염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로부터 가장 먼 유지요소 각각의 일단부는 착색 코팅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는 직조물 또는 부직물 웨브 또는 열가소성 필름 또는 탄성 필름 또는 복합 필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는 웨브 상에 오버몰딩 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는, 이 베이스의 상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되는,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7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인 두께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는, 이 베이스의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사이, 예를 들어 CD 또는 MD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 가장자리 사이에서 일정한 또는 일정하지 않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는, 이 베이스의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사이, 예를 들어 CD 또는 MD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의 상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유지요소의 높이는 베이스의 두께의 3배 내지 10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는, 이 베이스의 상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10 내지 700㎛의 두께와, 이 베이스의 상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베이스의 두께의 3배 내지 10배인 유지요소의 높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의 높이는 35㎛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예를 들어, 유지요소의 높이는 80 내지 350㎛ 또는 55 내지 120㎛ 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평면도에서, 유지요소에 대해 직각으로) 유지요소가 내접(inscribed)하는 직경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이고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0㎛ 이하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유지요소 사이의 최소 거리는 0.1mm 내지 10mm 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은 ㎠ 당 유지요소 20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 당 유지요소 50개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 당 유지요소 100개 이상이고 ㎠ 당 유지요소 25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 당 유지요소 200개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 당 유지요소 150개 이하의 유지요소 밀도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는 위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유지장치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테이프는 복수의 유지장치로 절단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의 주제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다음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o는 상이한 패턴을 갖는 본 개시에 따른 유지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절단면 II-II를 따른 도 1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유지장치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직조물 또는 부직물 웨브(web)를 포함하는 유지장치를 제조하기위한 장비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유지장치용 테이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유지장치용 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c의 패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착색된 코팅을 포함하는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패턴 1k 내지 1o에 대해 각각 밀리미터로 나타낸 개방 스트로크의 함수로서 뉴턴으로 나타낸 박리력을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박리력 측정에 사용되는 장비의 개략도이다.
모든 도면에서, 공통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도 1a는 연속적인 베이스(12) 및 솔리드 디스크 형태의 패턴(14)을 포함하는 유지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는 상부면(12A) 및 하부면(12B)을 포함하며 패턴(14)은 베이스(12)의 상부면(12A)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유지요소(16)는 로드(18)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12), 특히 베이스(12)의 상부면(12A)은 유지요소(16)가 없는 영역(20)을 포함한다. 단순화를 위해, 유지요소(16)는 도 1a 내지 도 1o 및 도 6에서 빗름으로 표시된다.
도 1a의 실시형태에서, 유지장치(10)는 부직물(또는 직조물) 웨브(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12)는 부직물 웨브(22) 상에 오버몰딩 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는 부직물 웨브(22)에 접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해 공통인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도 1b 내지 도 1o는 유지장치(10), 특히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패턴(14)은 단일 패턴(도 1a 내지 도 1e 및 도 1g) 또는 반복 패턴(14)(도 1f 및 도 1h 내지 도 1g)일 수 있다. 패턴(14)은 폐쇄 윤곽(closed contour)(14A) (도 1a 내지 도 1f, 도 1h 내지 도 1j, 및 도 1m 내지 도 1o)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g에서, 유지요소(16)가 없는 영역(20)은 유지장치의 2개의 가장자리에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영역(20)은 패턴(14)을 규정하는 물결 모양의 가장자리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요소(16)는 헤드(24)가 얹혀 있는 로드(18)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8)는 베이스(12)에 연결된 하단부 및 하단부에 대향하는 상단부를 포함하며, 헤드(24)는 로드(18)의 상단부에 얹혀 있다. 베이스(12)와 복수의 유지장치(16)는 일체이다. 따라서 베이스(12) 및 복수의 유지요소(16)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베이스와 복수의 유지요소 사이의 접합부에는 재료에 있어서 계면(interface)이 없음이 이해된다. 이러한 유형의 유지요소(16)는 일반적으로 용어 '후크' 또는 '예비성형물'로 지칭되며, 이는 예를 들어 캘린더링에 의해 변형되어 최종 후크를 얻을 수 있다. 예비성형물을 변형시키는 방법의 일례가 문헌 FR 3050620 (참조로서 통합됨)에 설명되어 있다.
유지장치(1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비(100)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장비(100)는 유지장치용 테이프(26)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후 테이프(26)는 복수의 유지장치(10)로 절단될 수 있다. 테이프(26)는 연속적인 베이스(12) 및 복수의 유지장치(16)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형태에서, 유지장치(16)는 후크이고, 각각의 후크는 헤드(24)가 얹혀 있는 로드(1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장비(100)는 회전 구동 수단(104) 상에 위치되는 몰딩 웨브(102)를 포함하며, 여기서 회전 구동 수단은 2개의 롤러(104A, 104B)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 및/또는 탄성 재료와 같은 성형 재료의 주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재료 분배 수단(106), 예를 들어 인젝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몰딩 웨브(102) 및 회전 구동 수단(104)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는 몰딩 장치를 형성한다.
2개의 롤러(104A, 104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 실시예는 제한되지 않으며, 롤러(들)의 개수 및 배열은 특히 몰딩 웨브(102)의 길이 및 장비의 상이한 스테이션에 적응하기 위해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롤러들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몰딩 웨브가 단일의 롤러의 주변에 배열되어 슬리브를 형성하도록 단지 하나의 롤러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2개의 롤러 중 하나, 예를 들어 롤러(104A)만이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으며, 다른 롤러(104B)는 자유롭게, 즉 구동 수단 없이, 자체적으로 구동되는 롤러(104A)에 의해, 몰딩 웨브를 통하여,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 웨브(102)는 내부면(102A) 및 외부면(102B)을 포함하며, 내부면(102A)은 회전 구동 수단(104)과 접촉한다.
재료 분배 수단(106)은 몰딩 웨브(102)의 외부면(102B) 상에 성형 재료를 주입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료 분배 수단(106)은 몰딩 웨브(102)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도 3에 표시된 에어 갭(e)을 규정하도록 몰딩 웨브(10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면부호 A는, 몰딩 웨브(102)의 이동 방향에 대해 몰딩 웨브(102)에 주입되는 재료의 후방에 대응하는, 몰딩 웨브(102)의 외부면(102B)에 대해 주입되는 재료의 한계를 표시한다.
몰딩 웨브(102)는 후크 유지장치의 후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공동(102C)을 구비한다.
공동(102C)은, 각각, 몰딩 웨브(102)의 외부면(102B)으로부터 내부면(102A)을 향하여 연장되는 로드부(102C1) 및 몰딩 웨브(102)의 내부면(102A)과 로드부(102C1)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헤드부(102C2)를 규정하도록 형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공동(102C)의 헤드부(24)는 몰딩 웨브(102)의 내부면(102A)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공동(102C)은 관통구멍이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공동(102C)은 또한 블라인드 일 수도 있고 그에 따라 몰딩 웨브(102)의 내부면(102A)으로부터 개방되지 않고 및/또는 공동(102C)은 로드부(102C1)만을 가질 수 있다.
로드부(102C1)를 형성하는 공동(102C)의 부분은 일반적으로 몰딩 웨브(102)의 외부면(102B)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로드부(102C1)를 형성하는 공동(102C)의 부분은, 몰딩 웨브(102)의 외부면(102B)에 수직인 축선 주위에서 회전대칭인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몰딩 웨브(102)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 및/또는 몰딩 웨브(102)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칭 평면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헤드부(102C2)를 형성하는 공동(102C)의 부분은 일반적으로 몰딩 웨브(102)의 외부면(102B)에 수직인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몰딩 웨브(102)의 외부면(102B)에 대해 수직인 이 축선 주위에서 회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헤드부(102C2)를 형성하는 공동(102C)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 또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헤드부(102C2)를 형성하는 공동(102C)의 부분은, 예를 들어 로드부(102C1)를 형성하는 공동(102C)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몰딩 웨브(102)의 외부면(102B)을 향해 또는 내부면(102A)을 향해 만곡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직선 또는 만곡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02C2)를 형성하는 공동(102C)의 부분은 일정하거나 가변적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헤드부(102C2)를 형성하는 공동(102C)의 부분은로드부(102C1)를 형성하는 공동(102C)의 부분 주위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일반적인 디스크의 형상을 갖는다.
몰딩 웨브(102)는, 그 내부면(102A) 또는 외부면(102B)에, 슬롯, 홈 네트워크(groove network) 또는 벤트나 스파이크를 형성하는 통로 네트워크(passage network)와 같은 특정 텍스처링(texturing)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울 수 있다.
몰딩 웨브(102)는 여러 웨브의 중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반드시 단일-편 또는 단일-재료일 필요는 없다.
재료 분배 수단(106)은 일반적으로 구동 롤러, 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 롤러(104A)에 대해 안착되는 몰딩 웨브(102)의 섹션에서 성형 재료를 몰딩 웨브(102) 내로 주입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구동 롤러는 공동(102C)을 위한 바닥을 형성한다.
몰딩 웨브(102)가 구동 롤러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형 재료의 주입이 수행되는 경우, 재료 분배 수단(106)은 몰딩 웨브(102)의 다른 쪽 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어서, 재료의 주입이 수행될 때 몰딩 웨브(102)의 내부면(102A)은 베이스에 안착되게 되고, 여기서 베이스는 몰딩 웨브(102)의 공동(102C)을 위한 바닥을 형성한다.
몰딩 공동이 직접적으로 생성되어 있는 롤러와 같은 종래의 성형 수단의 사용에 비해 구동 수단(104)과 관련된 몰딩 웨브(102)를 사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유리하다.
몰딩 웨브(102)의 사용은 모듈화 측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분해 및 재장착 작업이 특히 복잡한 솔리드 롤러와 달리, 몰딩 웨브는 구동 수단에서 쉽게 제거 및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2개의 롤러(104A, 104B)가 하나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몰딩 웨브를 자유롭게 도입/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될 때 특히 관찰된다. 또한 몰딩 웨브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 몰딩 웨브의 도입 및/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몰딩 공동을 포함하는 롤러의 생산에 비해, 몰딩 웨브의 생산이 크게 단순화된다. 실제로 이러한 롤러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슬라이스를 적층시킴으로써 생산되므로 여러 가공 작업이 필요하고, 조립 중 그리고 후크 참조(hook reference)가 변경 될 때마다 상당한 응력이 발생하며, 2개의 끝부분으로 인해 이들 롤러의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며, 교체가 복잡해진다.
몰딩 웨브(102)의 공동(102C)은 유지요소(16)를 형성하고자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에칭 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공동(102C)이 전체 몰딩 웨브(102)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몰딩 웨브(102)를 생산하고, 유지요소(16)가 없는 구역(20)을 형성하기를 원하는 위치에서 공동(102C)을 막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도면부호 C는 테이프(26)와 몰딩 웨브(102) 사이의 분리를 나타내며, 이 지점은 예를 들어 테이프(26)의 베이스(12)가 몰딩 웨브(102)와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 레벨에 해당한다. 몰딩 웨브(102)는 탈형(demolding) 롤러(108)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탈형 롤러(108)는 예비성형물 및/또는 후크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몰딩 웨브(102)에 레버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몰딩 웨브(102)의 공동(102C)은 관통구멍이다. 여기서, 장비는 필요하다면 잉여의 성형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몰딩 웨브(102)의 내부면(102A)을 긁어내도록 위치되는 스크레이퍼(110)와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injection)"이란 용융된 성형 재료를 성형하는 작용, 예를 들어 분배, 공급, 몰딩, 주입, 압출을 의미한다.
또한 위에서 제시된 장비 및 관련 방법은 부직물(또는 직조물) 웨브(22)를 베이스(12)와 결합시키는 수단 및 단계를 가질 수 있다.
유지요소(16)를 포함하는 베이스(12)에 대한 웨브(22)의 이러한 결합은 전형적으로 접착제에 의해 또는 베이스나 웨브의 용융을 통해 달성된다.
유지장치(10)의 베이스(12)에, 예를 들어 부직물 웨브(22)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안된 장비(100)는, 재료 분배 수단(106)의 하류에 있는 베이스(12)의 하부면(12B)에 대해 웨브 공급을 달성하고 웨브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웨브(22)의 구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그러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비(100)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시된 장비는 도 3을 참조하여 이전에 제시된 장비와 유사하며; 따라서 공통의 요소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시된 장비는 웨브 구동 수단(112)을 포함하고, 여기서는 재료 분배 수단(106)의 하류에서 웨브(22)의 공급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롤러(112A, 112B)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웨브(22)는 부직물 재료, 열가소성 필름, 탄성 필름 또는 복합 필름의 층, 또는 열적으로 결합된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세트이다. 웨브(22)는 예를 들어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시트(lap)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웨브는 부직물 재료의 층으로서 나타나 있다.
기판(substrate) 구동 수단(110)은 장비에 웨브(22)를 공급하고, 이 웨브(22)를 재료 분배 수단(106)의 하류에서 베이스(12)의 하부면(12B)에 대해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기판 구동 수단(110)은 이러한 적용이 베이스(12)의 고화 전에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적용은 베이스(12)의 하부면(12B)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을 넘어 웨브(22)의 적어도 부분적인 침투를 야기한다. 도면에서의 도면부호 B는 베이스(12)와 웨브(22) 사이의 접촉점으로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2)의 하부면(12B)은 실질적으로 평평하여, 평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면에 대한 기판의 적용은, 웨브(22)가 베이스(12) 내의 부직물 재료의 층인 경우, 예를 들어, 부직물 재료의 층의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와 같은 웨브(22)의 일부의 침투를 야기하여, 베이스(12)의 하부면(12B)을 통과한다.
베이스(12)의 고화 전에 그러한 적용이 수행되는 한, 이러한 결합을 이루기 위해서 베이스(12) 및/또는 웨브(22)를 가열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베이스(12)를 고려하면, 베이스(12)의 하부면(12B)에 대한 기판의 적용은 일반적으로, 베이스(12)의 하부면(12B)이 베이스를 구성하는 재료의 용융 온도와 베이스를 구성하는 재료의 비캇 (Vicat) 연화 온도 B 마이너스 30℃(섭씨)와의 사이의 온도, 또는 베이스를 구성하는 재료의 용융 온도와 베이스를 구성하는 재료의 비캇 연화 온도 A와의 사이의 온도를 가질 때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가 폴리프로필렌계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베이스(12)의 하부면(12B)은 75℃ 내지 150℃의 온도, 전형적으로 105℃ 정도의 온도를 가지며, 이 온도는 일반적으로 적외선 또는 레이저 카메라에 의해서 측정된다. "비캇 연화 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란, 50℃/h의 가열 속도와 VICAT B에 대해 50N의 정규화 부하(normalized load) 및 VICAT A에 대해 10N의 정규화 부하로, ISO 306 또는 ASTM D 1525 표준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에 따라 얻어진 온도를 의미한다.
웨브(22)는 베이스(12)의 하부면(12B)에 대해 균일 또는 불균일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웨브(22)와 베이스(12) 사이의 결합은 균일 또는 불균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웨브(22)가 열적으로 통합된(consolidated)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세트인 경우, 베이스(12)와의 결합은 또한 웨브(22)의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일부를 베이스(12) 내로 침투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웨브(22)가 열적으로 통합된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세트, 열가소성 필름, 탄성 필름 또는 복합 필름인 경우, 베이스(12)의 냉각 동안에 베이스의 수축 현상이 베이스와의 결합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축은 테이프의 베이스와 기판과의 사이의 결합 표면을 촉진시킨다. 이 수축은 최종 사용자의 시각적 모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웨브(22)가 부직물 재료의 층인 경우, 후크의 탈형은 질량(grammage)이 80 g/㎡ (부직물 재료의 평방미터 당 그램 단위의 질량)보다 작은 부직물 재료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직물의 질량은 5 g/㎡ 내지 120 g/㎡, 또는 25 g/㎡ 내지 100 g/㎡, 또는 10g/㎡ 내지 70 g/㎡ 일 수 있다.
웨브(22)가 부직물 재료의 층인 경우, 장비는 기판 구동 수단(112)의 상류에 캘린더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베이스(12)에 적용하기 전에 부직물 재료의 층에 대해 캘린더링 단계를 국부적으로 또는 비-국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유지요소(16)를 포함하는 베이스(12)에 웨브(12)를 고정하는 이 방법은, 베이스(12)의 변형을 야기하지 않으며, 따라서 주입 단계 동안에 얻어지는 베이스(12)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며, 특히 전술한 방법 및 장비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직선 가장자리를 유지한다.
기판을 테이프에 고정하는 이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형성 방법에 적용될 수 있거나, 보다 일반적으로 후크와 같은 유지요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또 다른 테이프 형성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장비(100)에 의해서 얻어진 테이프(26)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테이프(26)는 복수의 유지장치(10)로 절단되도록 의도된다. 절단 위치는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테이프(26) 및 각 유지장치(10)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연속적인 베이스(12) 및 패턴(14)을 형성한 유지 요소(16)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패턴(14)은 도 1c의 패턴(14)이다.
도 7은 테이프(26)를 평면도로 도시하며, 이 테이프(26)는 베이스(12) 및 유지요소(16)를 포함하며, 여기서 유지요소는 예비성형물 또는 후크이다. 단순화를 위해, 유지요소(16)는 확대되어 있고 베이스(12) 상에 균일하게 분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3의 장비(100)로 얻어진 테이프(26)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테이프(26)는, MD 방향에 평행한 도 7에서의 축선(XX)으로 표시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 7에는 CD 방향에 평행한 축선(YY)으로 표시되는 횡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이 테이프(26)의 경우, MD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26A)가 규정되어 있고, 이 가장자리(26A)는 CD 방향으로 테이프(26)의 2개의 단부 중 하나를 규정한다.
헤드(24)가 얹혀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로드(8)를 포함하는 유지요소(16)는 일반적으로 가장자리(26A) 부근에 배열된다. 유지요소(16)는 일반적으로, 유지요소 사이의 피치의 2 내지 3 피치(P), 일반적으로 유지요소의 2 또는 3 피치(P)와 동일한, 가장자리(26A)로부터의 거리(D)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거리(D)는 도 7에서 축선(XX)으로 표시된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측정된다. 2개의 유지요소(16) 사이의 피치(P)는 길이방향에서 2개의 연속하는 유지요소의 중심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요소(16)는 축선(XX)으로 표시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열 내에 배열되며, 이들 열은 횡방향으로 동일하게 반복된다.
도 7은 축척에 대한 표현이 아님에 주의하라. 실제로, 가장자리(26A)와 첫 번째 유지요소(16)와의 사이의 거리(D)는 평균 피치에 대응하는 원(28)의 반경(R)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된다. 각 원의 중심은, 위에서 볼 때, 각 유지장치의 중심 위에 위치하며 하나의 원의 원주는 인접한 유지장치의 중심을 통과한다. 평균 피치는 2개의 인접한 유지요소를 분리하는 거리, 즉 원(28)의 반경(R)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거리(D)는 일반적으로 2 또는 3개의 평균 피치와 동일하다. (위에서 볼 때, 유지요소에 대해 직각인) 유지요소가 가지는 직경(반경(R)의 두 배임)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이고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0㎛ 이하이다.
도 7의 좌측에서, 유지장치(10)는 본 개시에 있어서 유지요소(16)가 없는 구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라. 실제로, 거리(D)는 유지요소가 없는 베이스(12)의 가장자리(26A)를 따라 직선 웨브를 규정한다. 그러나, 이 웨브가 유지장치에 의해, 가장자리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각 측면에서 경계가 지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웨브는 본 개시에 있어서 패턴을 규정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유지요소(16)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유지요소의 열을 이동(shifting)시킴으로써, 엇갈리게 또는 "허니콤(honeycomb)"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면의 좌측에 단지 몇 개의 원만이 도시되어 있다.
몰딩 웨브(102)는 도 8에서 패턴(14)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공동(102C)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유형의 유지장치(10)는 몰딩 웨브(102)를 갖는 장비 이외의 장비에 의해 얻어질 수 있음이 이해된다. 그러나, 유지요소(16)가 베이스(12) 상에 패턴(14)을 형성하도록 분포되는 공동(102C)을 포함하는 몰딩 웨브(102)의 생산은, 예를 들어, 롤의 생산보다 용이하다. 게다가, 다른 패턴(14)을 생성하고자 할 때 도 3 내지 도 5의 장비(100)의 몰딩 웨브(102)을 변경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베이스(12) 및 유지요소(16)를 형성하기 위해 재료 분배 수단(106)에 의해 주입되는 재료는 무색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염료를 갖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은 특히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염료는, 예를 들어, CABOT에서 시판하는 참조번호 50PP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TiO2의 50 질량%로 로딩되는 흰색 염료일 수 있다. 또 다른 염료로는 COLOR SERVICE에서 제조한 참조번호 UN55206의 보라색 염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들 예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다.
언급된 모든 예에 있어서, 패턴(들)(14)의 유지요소(16)의 밀도는 베이스(2)의 ㎠ 당 280개의 유지요소(16)의 값과 동일하며, 유지요소(16)들은 0.64mm와 동일한 2개의 유지요소 사이의 피치(2개의 인접한 유지요소들의 중심간 거리)를 갖는다. 이러한 유지요소의 밀도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다. 베이스(12)는, 이 베이스(12)의 상부면(12A)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되는, 60㎛와 동일한 값의 두께(E)를 갖는다(도 2 참조). 유지요소(16)는, 베이스(12)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되는, 베이스(12)의 두께에 대해 5배인 높이(H)를 갖는다.
유지요소의 높이(H)는 35㎛이상,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예를 들어, 유지요소의 높이(H)는 80 내지 350㎛ 또는 55 내지 120㎛일 수 있다.
(위에서 볼 때 유지요소에 대해 직각인) 유지요소의 직경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이고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0㎛ 이하이다.
실시예 1: CABOT에서 시판하고 50 질량%의 TiO2로 로딩된 참조번호 50PP의 흰색 염료와 폴리프로필렌과의 혼합물이 주입될 수 있다. 주입된 혼합물은 99.2 질량%의 폴리프로필렌 및 0.8 질량%의 흰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 COLOR SERVICE에서 제조한 참조번호 UN55206의 보라색 염료 및 CABOT에서 시판하고 50 질량%의 TiO2로 로딩된 참조번호 50PP의 흰색 염료의 혼합물이 주입될 수 있다. 주입된 혼합물은 99.2 질량%의 폴리프로필렌, 0.4 질량%의 흰색 염료 및 0.4 질량%의 보라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가지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검정색 잉크와 같은, 플렉소 인쇄 및/또는 패드 인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잉크 및/또는 염료를 사용하여 유지요소(16) 상에 침착되는 착색 코팅을 포함한다.
실시예 4 : 실시예 4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을 가지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검정색 잉크와 같은, 플렉소 인쇄 및/또는 패드 인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잉크 및/또는 염료를 사용하여 유지요소(16) 상에 침착되는 착색 코팅을 포함한다.
CIE L*a*b* 공간에서, 파라미터 L*, a* 및 b*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 및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부분에 대하여 각각 측정된다. L*, a* 및 b*의 값은, 예를 들어 흰색 서포트 상의 x-rite pantone의 모델 RM200QC의 분광 비색계로 자연광(참조 D65/10°아래)에서 측정되며,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과 복수의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는 식 (1)에 따라 계산된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색상 차이(ΔE*)는 1.606 이고; 실시예 2에 있어서 색상 차이(ΔE*)는 5.493 이고; 실시예 3에 있어서 색상 차이(ΔE*)는 7.352 이고; 실시예 4에 있어서 색상 차이(ΔE*)는 7.911 이다.
유지요소(16)가 없는 영역(20)을 베이스(12)가 포함하자마자 색상 차이가 유지요소에 대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과 복수의 유지장치(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차이는, 사용자가 유지장치를 폐쇄 및/또는 개방 방식으로 사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느낌/품질 및/또는 실제 느낌/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점은 패턴(14)의 형상과 무관하게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IE XYZ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과 복수의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는, 예를 들어 x-rite pantone의 모델 RM200QC의 자연광 분광 비색계(참조 D65/10°아래)로 측정된다. Yblack background 및 Ywhite background의 값은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 및 복수의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각각 흰색 서포트 상에서 그리고 검정색 서포트 상에서 측정되며, %로 표시되는 불투명도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과 복수의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각각 식 (2)에 따라 계산된다.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과 복수의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에 대하여 그리고 복수의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얻어진 불투명도 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과 동일하다.
실시예 1에 있어서 불투명도 차이는 0.45 이고; 실시예 2에 있어서 불투명도의 차이는 3.67 이고; 실시예 3에 있어서 불투명도 차이는 1.87 이고; 실시예 4에 있어서 불투명도 차이는 12.00 이다.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불투명도 차이는 사용자에 의해 인식되는 색상 차이(ΔE*)에 대한 인식을 강화할 수 있다. 실제로, 실시예 1에 있어서, 색상 차이(ΔE*)가 1보다 크고, 사용자는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과 패턴(14)과의 사이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과 패턴(14)과의 사이의 차이는, 색상 차이(ΔE*)가 5.493 이고 불투명도 차이가 3.67 인 실시예 2에 있어서 더욱 양호하다.
도 1a 내지 도 1o의 패턴(14)은 일반적으로 CD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루프 적용 구역으로부터의 유지장치(10)의 박리 즉 분리는 CD 방향에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d의 패턴(14)은 90도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1e의 패턴(14)은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실제로, 이 패턴(14)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V"자와 같은 형상이고, 적용 구역의 유지장치(10)의 분리는 박리력 성분(component) 및 전단력 성분으로 적용 구역으로부터 유지장치(10)를 제거 즉 분리하기 위해 CD 방향으로 적용되는 힘을 변형시킨다. 도 1e의 패턴(14)은, 유지장치(10)가 개방 방식으로 편향될 때 유지장치(10)에 가해진 힘이 적어도 박리력으로의 제1 성분과 전단력으로의 제2 성분으로 분해되도록 배열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f의 패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k 내지 도 1o의 패턴(14)은, CD 방향으로 유지요소(16)가 없는 영역(20) 및 패턴(14)이 번갈아 있으며, 또한 MD 방향으로 유지요소(16)가 없는 영역(20)이 연속된다.
도 1k 내지 1o의 패턴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4는, 카드식 열-접합 유형(carded thermally-bonded type)의 루프 부직물 및 핫 캘린더링(hot calendering)에 의해 조립된 SMS 부직물을 포함하는, 참조 "SoftLoop Premium by APLIX"로 APLIX에서 시판하는 적용 영역(30)을 사용함으로써 "180°박리" 방법으로 얻어진 박리 곡선을 각각 나타낸다.
박리 곡선은 밀리미터(가로좌표)로 표시되는 개방 스트로크의 함수로서 N(세로좌표)으로 표시되는 박리력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4에 표시된 곡선은 상이한 샘플의 20회 측정으로 이루어진 평균이다. 박리 방향은 테스트된 모든 유지장치에 대하여 CD 방향과 평행하다.
도 1k 내지 도 1o의 패턴에 따른 유지장치(10)는 전술한 "180°박리" 방법에 따라서 준비된다.
도 15는 테스트할 유지장치(10)를 포함하는 스트립(32)을 도시하며, 유지장치는 적용 영역(30)에 조립된다. 적용 영역(30)으로부터의 샘플은 브래킷(200)의 클램프(202)에 배치되며, 절단 단부(30a)는 클램프(202) 내에 있고 1kg의 웨이트(204)가 10s(초) 동안 스트립(32)의 하부(32b)로부터 매달린다. 그 다음, 웨이트(204)가 제거된다.
그 다음, 조립체는 100N의 측정 셀을 포함하는 인장 시험기(210)에 배치된다. 스트립(32)의 단부(32a), 즉 하부(32b)에 대향되는 단부는 상부 턱(212) 내로 삽입된다. 힘 측정 셀의 판독 값은 영으로 설정된다. 적용 영역(30)으로부터의 샘플의 절단 단부(30a)(즉, 절단되지 않은 쪽의 단부(30b)의 반대쪽 단부)는 하부 턱(214) 내로 삽입되고 약간의 장력이 발생한다. 힘은 0.02N 내지 0.05N 이어야 한다. 설치 동안에, 턱(212, 214)은 50mm 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조립체는 2개의 턱(212, 214) 사이의 중심에 있다. 테스트는 305mm/분(분 당 밀리미터)의 속도로 일정한 변위로 수행되며 테스트 스트로크는 50mm 이다. 이 테스트 스트로크는 유지장치와 적용 영역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테스트할 유지장치의 폭에 따라 조정된다.
도 10 내지 도 14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박리 곡선은 이어지는 피크(P1 내지 P4)를 가지며, 각 피크는 개방 스트로크의 방향으로 선행하는 피크의 최대값보다 큰 최대값을 가지며, 즉 2개씩 취해진 2개의 연속하는 피크 사이에서, 보다 큰 가로 좌표를 갖는 피크의 최대값은 보다 작은 가로 좌표를 갖는 피크의 최대값보다 크고, 역으로, 보다 작은 가로 좌표를 갖는 피크의 최대값은 보다 큰 가로 좌표를 갖는 피크의 최대값보다 작다. 따라서, 도 10에서, 피크(P1)의 최대값은 피크(P2)의 최대값보다 작고; 피크(P2)의 최대값은 피크(P3)의 최대값보다 작고; 피크(P3)의 최대값은 피크(P4)의 최대값보다 작다. 또한, 골(V1 내지 V3)의 최소값은 박리력의 최대값, 즉 피크(P4)의 최대값의 50%보다 작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1l 내지 도 1n의 패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피크 및 골은 선단 및 베이스를 가지며,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1mm보다 큰 폭, 더욱 특히 2mm보다 큰 폭, 일부 경우에 3mm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골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연이은 피크를 갖는 박리력 덕분에, 개방 스트로크에 따라 박리력의 피크 값이 증가하고, 사용자는 적용 영역으로부터 유지장치를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이러한 증가하는 힘을 느낀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지장치가 적용 영역에 잘 유지되어 있음을 인식한다. 나아가서, 박리력의 최대값은 유지장치가 원치 않는 방식으로 적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도 10의 패턴에 대하여, 골(V2)의 최소값은 피크(P3)의 최대값의 50%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이한 피크(P1 내지 P3)가 또 다른 곡선(도 10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식별 가능한 방식으로 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MD 방향으로 연속적인 유지요소(16)가 없는 영역(20)의 CD 방향으로 측정된 폭(L)에 연관된다.
박리 곡선은 또한 적용 영역(30)의 특성에 의존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렇지만, 박리력의 값이 적용 영역에 따라 다를 수 있긴 하지만, 참조 "SoftLoop Premium by APLIX"로 APLIX에서 시판하는 적용 영역과는 상이한 적용 영역은 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 박리 곡선을 부여할 것이다.
박리 곡선은 유지요소가 없는 영역(20)과 복수의 유지장치(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및/또는 색상 차이(ΔE*)와 무관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은, 사용자가 폐쇄 및/또는 개방 방식으로 유지장치를 사용할 때, 실제 느낌/품질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인식되는 느낌/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설명은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더욱이, 언급된 다양한 실시형태의 개별적인 특징들은 추가 실시형태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설명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닌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위생, 기저귀, 성인 실금, 예를 들어 식품 포장과 같은 포장 산업, 개구 수술(ostomy), 빌딩 등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유지장치(10)로서,
    - 상부면(12A) 및 하부면(12B)을 갖는 연속적인 베이스(12); 및
    - 상기 베이스(12)의 상부면(12A)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유지요소(16)로서, 각각의 유지요소(16)는 로드(18)를 포함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2)는 복수의 유지요소(16)가 적어도 하나의 패턴(14)을 형성하도록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20)을 포함하며, CIE L*a*b*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20)과 복수의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색상 차이(ΔE*)는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인, 유지장치(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14)은 단일 패턴인, 유지장치(1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14)은 반복 패턴인, 유지장치(10).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패턴(14)은 폐쇄 윤곽(14A)을 갖는, 유지장치(10).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IE XYZ 색 공간에서, 유지요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20)과 복수의 유지요소(16)에 의해 형성된 패턴(14)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의 불투명도 차이는 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인, 유지장치(10).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 및 상기 복수의 유지요소(16)는 염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유지장치(10).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12)로부터 가장 먼 유지요소(16) 각각의 일단부는 착색 코팅을 포함하는, 유지장치(10).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턴(14)은 박리 방향으로 반복적이며, "180°박리" 방법에 따라 측정된 박리력은 적어도 2개의 피크(P1 내지 P4)와 이들 2개의 피크(P1 내지 P4) 사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골(V1 내지 V3)을 가지며, 피크의 최대값은 개방 스트로크와 함께 증가하고 적어도 하나의 골의 최소값은 박리력의 최대값의 85%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의 값을 갖는, 유지장치(10).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조물 또는 부직물 웨브(22) 또는 열가소성 필름 또는 탄성 필름 또는 복합 필름을 포함하는, 유지장치(10).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는, 상기 베이스(12)의 상부면(12A)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10 내지 700㎛의 두께(E)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12)의 상부면(12A)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상기 유지요소(16)의 높이(H)는, 상기 베이스(12)의 두께의 3배 내지 10배인, 유지장치(10).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지장치용 테이프로서,
    상기 테이프(26)는 복수의 유지장치(10)로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유지장치용 테이프(26).
KR1020207024638A 2018-01-26 2019-01-25 유지장치 및 유지장치용 테이프 KR202001263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0645A FR3077186B1 (fr) 2018-01-26 2018-01-26 Dispositif de retenue et ruban pour dispositif de retenue
FR1850645 2018-01-26
PCT/FR2019/050162 WO2019145646A1 (fr) 2018-01-26 2019-01-25 Dispositif de retenue et ruban pour dispositif de reten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375A true KR20200126375A (ko) 2020-11-06

Family

ID=617639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639A KR20200126376A (ko) 2018-01-26 2019-01-25 유지장치 및 유지장치용 테이프
KR1020207024638A KR20200126375A (ko) 2018-01-26 2019-01-25 유지장치 및 유지장치용 테이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639A KR20200126376A (ko) 2018-01-26 2019-01-25 유지장치 및 유지장치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210015688A1 (ko)
EP (2) EP3743031A1 (ko)
JP (2) JP2021511180A (ko)
KR (2) KR20200126376A (ko)
CN (2) CN111655215A (ko)
BR (2) BR112020014616A2 (ko)
ES (1) ES2930409T3 (ko)
FR (1) FR3077186B1 (ko)
MX (2) MX2020007877A (ko)
WO (2) WO2019145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1168B2 (en) 2019-11-15 2023-10-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Tape-type absorbent article with belt structure
US11793685B2 (en) 2019-11-15 2023-10-2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astening system
US20230027363A1 (en) 2019-12-11 2023-01-26 Aplix Improved self-adhesive device and associated molding device
FR3104387B1 (fr) * 2019-12-11 2023-04-28 Aplix Sa Bande de moulage et procédé de formation amélioré.
FR3104388B1 (fr) 2019-12-11 2023-04-28 Aplix Sa Dispositif auto-agrippant amélioré et dispositif de moulage associé.
BR112023018462A2 (pt) 2021-03-12 2023-10-10 Aplix Sa Laminado extensível para dispositivo incontinente
FR3140522A1 (fr) 2022-10-11 2024-04-12 Aplix Dispositif de retenue amélior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0069B2 (en) * 2001-07-05 2004-05-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oth-like mechanical fastener
JP4354232B2 (ja) * 2003-08-29 2009-10-28 Ykk株式会社 静音面ファスナー材
US7172008B2 (en) * 2003-09-18 2007-02-06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636988B2 (en) * 2006-09-11 2009-12-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making fasteners
JP2009119201A (ja) * 2007-11-09 2009-06-04 Yuko Yoshino 衣類、布製品用の縫い代付きデザイン面ファスナー
US8051540B2 (en) * 2008-02-29 2011-11-08 Velcro Industries B.V. Releasable fastening arrangement
US9138957B2 (en) * 2010-06-21 2015-09-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lit hook strips and laminates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JP5886576B2 (ja) * 2011-09-16 2016-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止着部材及び止着片
DE112014002592T5 (de) * 2013-05-28 2016-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ptionsartikel mit elastisch verlängerbarem Feld
MX363938B (es) * 2013-06-13 2019-04-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inta de sujecion y sujetador mecanico que incluyen una pelicula microporosa.
FR3050620B1 (fr) 2016-04-29 2019-08-02 Aplix Dispositif de retenue ameliore comprenant des elements de retenue renfo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5647A1 (fr) 2019-08-01
US20200352800A1 (en) 2020-11-12
KR20200126376A (ko) 2020-11-06
EP3743031A1 (fr) 2020-12-02
WO2019145646A1 (fr) 2019-08-01
CN111655215A (zh) 2020-09-11
EP3743030A1 (fr) 2020-12-02
BR112020014616A2 (pt) 2020-12-08
FR3077186B1 (fr) 2020-01-31
MX2020007877A (es) 2020-09-07
ES2930409T3 (es) 2022-12-12
US20210015688A1 (en) 2021-01-21
EP3743030B1 (fr) 2022-08-24
CN111655214A (zh) 2020-09-11
FR3077186A1 (fr) 2019-08-02
JP2021511180A (ja) 2021-05-06
JP2021511179A (ja) 2021-05-06
BR112020014619A2 (pt) 2020-12-08
MX2020007878A (es) 2020-09-07
CN111655214B (zh)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6375A (ko) 유지장치 및 유지장치용 테이프
RU274427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усиленные удерживающие элементы
CN1144671C (zh) 具有改进的撕裂强度的非织造幅面料和薄膜层压件及其制造方法
DE69838395T2 (de) Atmungsfähige mehrschichtfolie, die eine füllstoff enthaltende folie enthält
DE10360845A1 (de) Weiches Vlies auf Basis von Polyethylen
DE602005002542T2 (de) Übertragung von harz zum formen von befestigungselementen
BRPI0905765B1 (pt) Método para formar um compósito elástico impresso, e, compósito elástico
KR20040093099A (ko) 배향 필름의 크로스 라미네이트, 그 제조방법, 및 방법에적합한 공압출 다이
KR20140139075A (ko) 개구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TWI633219B (zh) 用於製造結構化的微絲非織造物的方法
DE19806452C2 (de) Thermoplastische Folie mit elastischen Eigenschaften
CN111885989A (zh) 层压组件、包括这种组件的尿布和用于制造这种组件的方法
DE19812097C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berflächenstrukturierten, folienartigen Halbzeugs aus einem Thermoplasten
CN111372765B (zh) 表皮材
DE2140091C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verstreckten, spleißfreudigen Folienbahn aus Kunststoff
JP5329285B2 (ja) 擬似藺草の製造方法
DE10352958B4 (de) Verwendung eines hochreißfesten Verbundstoffes als Verhakungsteil eines mechanischen Verschlusssystems
US20210339500A1 (en) Laminate comprising a support element and an element having loops which are fixed to one another, in particular calendered to one another
US11161321B2 (en) Composite elastic nonwoven fabric
JP2015224403A (ja) 繊維布帛
CN112556851A (zh) 装饰纤维片
KR20130131075A (ko) 거칠고 불규칙한 열가소성수지 사상체의 제조방법 및 그 사상체를 사용한 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