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374A -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374A
KR20200124374A KR1020190047565A KR20190047565A KR20200124374A KR 20200124374 A KR20200124374 A KR 20200124374A KR 1020190047565 A KR1020190047565 A KR 1020190047565A KR 20190047565 A KR20190047565 A KR 20190047565A KR 20200124374 A KR20200124374 A KR 20200124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 shaft
shaft
fastened
righ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139B1 (ko
Inventor
이상헌
황진호
차동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39B1/ko
Priority to US16/673,716 priority patent/US11052713B2/en
Priority to CN201911143249.7A priority patent/CN111823794B/zh
Priority to DE102019217947.9A priority patent/DE102019217947B4/de
Publication of KR2020012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48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dapted for being mounted to the wheel axl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483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dapted for being mounted to the side of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2Auxiliary devices involving supply lines, electric circ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91Flee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부가 중공인 축 형상이며, 각각 좌측휠부 및 우측휠부에 연결된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 좌측구동축의 내부 또는 우측구동축의 내부에 마련된 축 형상이고, 타차량과 측방으로의 체결시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축; 및 차량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 마련되며, 타차량과의 체결시 마주하는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휠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CONNECTION SYSTEM FOR MOBILITY}
본 발명은 모빌리티 분야에서, 차량과 타차량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가 발전하게 되면서 초소형의 모빌리티가 제시되고 있다. 초소형 모빌리티는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구성된다. 전기자동차의 엔진 용량의 한계 때문에 초소형 모빌리티는 주로 출퇴근 또는 마트이용 등 근거리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장거리를 운전해야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초소형 모빌리티로 장거리를 운행하는 것은 배터리의 문제 또는 장거리 운전에 따른 피곤함 등 여러가지 부담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초소형 모빌리티가 다른 초소형 모빌리티와 결합되는경우 배터리를 공유할 수 있고, 운전자를 정할 수 있는 점에서 군집주행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초소형 모빌리티의 하드웨어 개발에 대하여만 집중이 되어 있고, 군집주행 또는 결집주행에 대한 개념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8-0047271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빌리티 분야에서, 차량과 타차량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은,
내부가 중공인 축 형상이며, 각각 좌측휠부 및 우측휠부에 연결된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 좌측구동축의 내부 또는 우측구동축의 내부에 마련된 축 형상이고, 타차량과 측방으로의 체결시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축; 및 차량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 마련되며, 타차량과의 체결시 마주하는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휠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축은 우측구동축에 마련되고, 타차량과의 체결시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연결축이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 경우 차량의 우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이 상방으로 상승됨으로써 차량의 우측휠부 및 타차량의 좌측휠부가 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연결축은 좌측구동축에 마련되고, 타차량과의 체결시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타차량의 우측구동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연결축이 타차량의 우측구동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 경우 차량의 좌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우측구동축이 상방으로 상승됨으로써 차량의 좌측휠부 및 타차량의 우측휠부가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휠감지센서는 차량의 좌측휠부 및 우측휠부 각각에 복수개가 마련되고, 타차량과의 체결시 대응되는 휠감지센서간에 전자신호를 상호 송수신하여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휠감지센서는 차량의 좌측휠부 및 우측휠부 상에서 인접한 휠감지센서 상호간에 이루는 각도가 동일할 수 있다.
좌측구동축 또는 우측구동축 또는 연결축의 동작을 제어하고, 휠감지센서를 통해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판단하는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축이 차량의 우측구동축에 마련된 경우, 타차량과의 체결시 통합제어부는 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우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이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축이 차량의 좌측구동축에 마련된 경우, 타차량과의 체결시 통합제어부는 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좌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우측구동축이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는 휠감지센서를 통해 차량과 타차량의 구동축간 정렬이 된 경우에만 차량의 연결축이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는 휠감지센서를 통해 차량과 타차량의 구동축간 이격거리가 일정거리 이하인 경우에만 차량의 연결축이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는 차량이 운전권한을 보유한 경우 타차량과의 체결시 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는 타차량과의 체결시 타차량이 주행중인 경우, 타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회전속도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 및 타차량의 구동축간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는 차량 및 타차량이 일정거리 또는 일정시간을 함께 직진 주행가능한 경우에만 차량의 연결축이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에 따르면, 차량과 타차량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타차량이 연결되기 전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의 휠감지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의 차량과 타차량의 개념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타차량이 연결되기 전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의 휠감지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의 차량과 타차량의 개념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은, 내부가 중공인 축 형상이며, 각각 좌측휠부(111) 및 우측휠부(121)에 연결된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 좌측구동축(110)의 내부 또는 우측구동축(120)의 내부에 마련된 축 형상이고, 타차량(200)과 측방으로의 체결시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200)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축(130); 및 차량(100)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 마련되며,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마주하는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휠감지센서(1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차량(100)"의 경우는 본인의 차량을 말하는 것이며, "타차량(200)"의 경우에는 체결이 되는 주변의 다른 차량을 말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타차량이 연결되기 전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는 내부가 중공인 축 형상의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이 마련된다.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좌측휠부(111) 및 우측휠부(12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경우 종래의 내연기관 차량 등에도 적용 가능하고,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최신 모빌리티 차량에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좌측구동축은 모터 등에 연결되어, 모터 등의 구동력을 좌측휠부로 전달한다. 이는 우측구동축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 각각에 인휠모터가 마련되어 좌측휠부(111) 및 우측휠부(121)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좌측구동축(110)의 내부 또는 우측구동축(120)의 내부에 마련된 연결축(130)이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축(130)은 좌측구동축(110)의 내부 또는 우측구동축(120)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타차량(200)과 측방으로의 체결시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200)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예를 들어, 차량 및 타차량의 우측구동축의 내부에 연결축이 마련된 경우, 차량이 타차량과 측방으로의 체결시 차량의 우측구동축의 내부에 마련된 연결축이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다. 이는 차량 및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의 내부에 연결축이 마찬가지이다.
도 1 내지 3에서는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의 내부에 연결축(130)이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연결축(130)은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의 내부에도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의 내부에 연결축(130)이 마련되고, 타차량(200)과의 측방으로의 체결시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 경우,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가 비어있으므로,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의 내측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 및 우측구동축(220)의 내측에 나사산이 마련되고, 차량(100)의 연결축(130)은 전자모터에 의해 회동되며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의 나사산을 따라서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나사산을 따라서 삽입되어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0)과 타차량(200)의 체결을 위해 나사산 이외에도 기구적인 로킹장치나 전자석을 이용한 로킹장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타차량(200)의 우측구동축(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차량(100)과 타차량(200)의 체결시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타차량(200)의 구동축 내부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는 휠감지센서(140)가 마련된다. 휠감지센서(140)는 차량(100)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 마련되며,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마주하는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한다. 이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의 내부에 마련되어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이 경우,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동일선상에 놓여야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만일, 차량의 우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이 동일선상에 놓이지 않는다면 차량의 연결축이 슬라이딩시 타차량의 좌측휠부와 간섭되어 차량의 연결축 및 타차량의 좌측휠부가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휠감지센서(140)는 차량(100)의 우측방에 마련되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동일선상에 놓여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간의 이격거리가 너무 먼 경우에는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휠감지센서(140)는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간의 이격거리가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슬라이딩되어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거리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는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의 내부에 마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휠감지센서(140)는 카메라, 레이더송수신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도 1과 같이, 연결축(130)은 우측구동축(120)에 마련되고,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 경우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상방으로 상승됨으로써 차량(100)의 우측휠부(121) 및 타차량(200)의 좌측휠부(211)가 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도 1에서 차량과 타차량이 연결된 상태를 보면, 차량의 좌측휠부 및 우측휠부와 타차량의 좌측휠부 및 우측휠부가 동일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차량(100)과 타차량(200)이 연결되어 결합주행하는 경우 동일 선상에 4개의 휠부가 지면과 접하게 되어 차량(100)과 타차량(200)의 결합주행시 조향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우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상방으로 상승됨으로써 차량(100)의 우측휠부(121) 및 타차량(200)의 좌측휠부(211)가 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결국,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에 연결된 차량(100)의 좌측휠부(111) 및 타차량(200)의 우측구동축(220)에 연결된 타차량(200)의 우측휠부(221)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 선상에 2개의 휠부만이 지면과 접하게 되므로 조향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연결축(130)은 좌측구동축(110)에 마련되고,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타차량(200)의 우측구동축(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결축(130)이 타차량(200)의 우측구동축(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 경우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과 타차량(200)의 우측구동축(220)이 상방으로 상승됨으로써 차량(100)의 좌측휠부(111) 및 타차량(200)의 우측휠부(221)가 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차량(100)과 타차량(200)이 연결되어 결합주행하는 경우 동일 선상에 4개의 휠부가 지면과 접하게 되어 차량(100)과 타차량(200)의 결합주행시 조향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과 타차량(200)의 우측구동축(220)이 상방으로 상승됨으로써 차량(100)의 좌측휠부(111) 및 타차량(200)의 우측휠부(221)가 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휠감지센서(140)는 차량(100)의 좌측휠부(111) 및 우측휠부(121) 각각에 복수개가 마련되고,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대응되는 휠감지센서간에 전자신호를 상호 송수신하여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휠감지센서(140)는 차량(100)의 좌측휠부(111) 및 우측휠부(121) 각각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대응되는 휠감지센서간에 전자신호를 상호 송수신하여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의 내부에 연결축(130)이 마련된 경우로 설명한다. 차량(100)과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의 내부로부터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 경우,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 및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정렬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이격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차량(100)의 우측휠부(121)에 마련된 복수의 휠감지센서(140)와 타차량(200)의 좌측휠부(211)에 마련된 복수의 휠감지센서(240)간에 전자신호를 상호 송수신하여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의 내부에 연결축이 마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휠감지센서(140)는 레이저송수신모듈 등이 마련되어 휠감지센서 상호간에 전자신호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복수의 휠감지센서(140)는 차량(100)의 좌측휠부(111) 및 우측휠부(121) 상에서 인접한 휠감지센서 상호간에 이루는 각도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차량의 우측휠부에 복수의 휠감지센서가 마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복수의 휠감지센서(140)는 총 5개(140a, 140b, 140c, 140d, 140e)가 도시된다. 차량에 마련된 복수의 휠감지센서(140)가 타차량(200)에 마련된 복수의 휠감지센서(240)와 상호간에 전자신호를 상호 송수신하여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5개의 휠감지센서(140) 상호간에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축(130)을 기준으로 "140a"의 휠감지센서 및 "140b"의 휠감지센서가 이루는 각도와 "140b"의 휠감지센서 및 "140c"의 휠감지센서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 경우, 타차량(200)의 좌측휠부(211)에 복수의 휠감지센서(240)도 총 5개가 마련됨으로써 차량(100)의 휠감지센서(140)와 타차량(200)의 휠감지센서(240)간에 전자신호를 상호 송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타차량(200)의 복수의 휠감지센서(24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총 5개(240a, 240b, 240c, 240d, 240e)는 각각 차량(100)의 복수의 휠감지센서(140a, 140b, 140c, 140d, 140e)와 매칭된다. 따라서, 차량(100)의 "140a"의 휠감지센서와 타차량(200)의 "240a"의 휠감지센서 상호간에 대응되고, 이는 나머지 차량(100)의 휠감지센서(140b, 140c, 140d, 140e)와 타차량(200)의 휠감지센서(240b, 240c, 240d, 240e)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차량(100)의 복수의 휠감지센서(140)는 각각 매칭되는 타차량(200)의 복수의 휠감지센서(240)와 전자신호를 상호 송수신하게 된다. 차량(100)의 5개의 휠감지센서(140)가 각각 매칭되는 타차량(200)의 5개의 휠감지센서(240) 상호간에 이격된 거리 5개가 모두 같은 경우,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정렬되었으므로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타차량(200)과의 체결을 위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도 타차량(200)의 좌측휠부(211)와 간섭될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100) 및 타차량(200)에 마련된 복수의 휠감지센서(140, 240)를 통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간에 이격거리가 일정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슬라이딩되어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의 내부에 마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를 위한 도면이며, 본 발명의 경우 휠감지센서가 5개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5개 이외에도 복수의 휠감지센서를 통해 차량의 구동축과 타차량의 구동축간에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2개의 휠감지센서 또는 3개의 휠감지센서 등으로 차량의 구동축과 타차량의 구동축간에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도 2 및 5와 같이 좌측구동축(110) 또는 우측구동축(120) 또는 연결축(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휠감지센서(140)를 통해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판단하는 통합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부(15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에 마련된 경우,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통합제어부(150)는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에 마련된 경우,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통합제어부(150)는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과 타차량(200)의 우측구동축(220)이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과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차량(100)이 타차량으로 접근하는 경우 통합제어부(150)가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차량(100)과 타차량(200)의 구동축이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에 마련된 경우로 설명하면, 차량(100)이 타차량(200)의 좌측 측방으로 접근하면서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이 타차량(200)의 좌측 측방에 인접된 경우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에 마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통합제어부(150)는 휠감지센서(140)를 통해 차량(100)과 타차량(200)의 구동축간 정렬이 된 경우에만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200)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에 마련된 경우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동일선상에 놓이지 않은 경우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된다면 차량(100)의 연결축(130)과 타차량(200)의 좌측휠부(211) 또는 좌측방의 차체와 간섭되어 각기 파손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차량(100)과 타차량(200)이 주행중인 경우라면 이와 같은 간섭으로 인해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우 휠감지센서(140)를 통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이 정렬된 경우에만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에 마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통합제어부(150)는 휠감지센서(140)를 통해 차량(100)과 타차량(200)의 구동축간 이격거리가 일정거리 이하인 경우에만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200)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에 마련된 경우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간에 거리가 너무 먼 경우에는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되더라도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없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100)의 우측구동축(120)과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의 이격거리가 일정거리 이하인 경우에만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에 마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통합제어부(150)는 차량(100)이 운전권한을 보유한 경우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차량(100) 및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110, 210) 및 우측구동축(120, 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차량(100)과 타차량(200)이 연결되어 결합주행을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소셜네트워크, 모바일 앱, 온라인플랫폼 등을 통해 차량의 탑승자와 타차량의 탑승자가 매칭이 가능하다. 그리고, 차량(100)의 탑승자와 타차량(200)의 탑승자는 운전권한을 가지는 자를 사전에 정할 수 있다. 한편, 운전권한은 주행중에도 차량(100)의 탑승자와 타차량(200)의 탑승자 상호간에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차량(100)이 운전권한을 가지는 경우 차량(100)의 통합제어부(150)는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 및 우측구동축(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의 탑승자가 운전권한을 가지고 조향을 하는 경우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 및 우측구동축(220)의 동작을 함께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합제어부(150)는 타차량(200)과의 체결시 타차량(200)이 주행중인 경우,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 및 우측구동축(220)의 회전속도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과 타차량(200)의 구동축이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타차량(200)이 주행중인 경우 타차량(200)의 좌측구동축(210) 및 우측구동축(220)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차량(100)이 타차량(200)의 측방으로 접근하면서 차량(100)의 좌측구동축(110) 및 우측구동축(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이 타차량(200)의 측방에 위치된 경우 차량(100)과 타차량(200)의 구동축이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통합제어부(150)는 차량(100) 및 타차량(200)이 일정거리 또는 일정시간을 함께 직진 주행가능한 경우에만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200)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차량(100)이 타차량(200)과의 체결을 위해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동작시에 차량(100) 또는 타차량(200)이 직진 주행을 하지 못하고 커브 또는 곡선주행을 하게 된다면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타차량(200)의 측방과 간섭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합제어부(150)는 차량(100) 및 타차량(200)이 일정거리 또는 일정시간을 함께 직진 주행가능한 경우에만 차량(100)의 연결축(130)이 차량(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차량(100) 및 타차량(200)에 마련된 전방주시카메라 또는 GPS 등을 이용하여 차량(100) 및 타차량(200)이 일정거리 또는 일정시간을 함께 직진 주행가능한 경우인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빌리티 연결시스템에 따르면, 차량과 타차량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차량
110 : 좌측구동축
120 : 우측구동축
130 : 연결축
140 : 휠감지센서
150 : 통합제어부
200 : 타차량

Claims (15)

  1. 내부가 중공인 축 형상이며, 각각 좌측휠부 및 우측휠부에 연결된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
    좌측구동축의 내부 또는 우측구동축의 내부에 마련된 축 형상이고, 타차량과 측방으로의 체결시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축; 및
    차량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 마련되며, 타차량과의 체결시 마주하는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휠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축은 우측구동축에 마련되고, 타차량과의 체결시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축이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 경우 차량의 우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이 상방으로 상승됨으로써 차량의 우측휠부 및 타차량의 좌측휠부가 지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축은 좌측구동축에 마련되고, 타차량과의 체결시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타차량의 우측구동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연결축이 타차량의 우측구동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 경우 차량의 좌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우측구동축이 상방으로 상승됨으로써 차량의 좌측휠부 및 타차량의 우측휠부가 지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휠감지센서는 차량의 좌측휠부 및 우측휠부 각각에 복수개가 마련되고, 타차량과의 체결시 대응되는 휠감지센서간에 전자신호를 상호 송수신하여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복수의 휠감지센서는 차량의 좌측휠부 및 우측휠부 상에서 인접한 휠감지센서 상호간에 이루는 각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좌측구동축 또는 우측구동축 또는 연결축의 동작을 제어하고, 휠감지센서를 통해 구동축간의 정렬여부 또는 이격거리를 판단하는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연결축이 차량의 우측구동축에 마련된 경우, 타차량과의 체결시 통합제어부는 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우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좌측구동축이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연결축이 차량의 좌측구동축에 마련된 경우, 타차량과의 체결시 통합제어부는 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좌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우측구동축이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통합제어부는 휠감지센서를 통해 차량과 타차량의 구동축간 정렬이 된 경우에만 차량의 연결축이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통합제어부는 휠감지센서를 통해 차량과 타차량의 구동축간 이격거리가 일정거리 이하인 경우에만 차량의 연결축이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통합제어부는 차량이 운전권한을 보유한 경우 타차량과의 체결시 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과 타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통합제어부는 타차량과의 체결시 타차량이 주행중인 경우, 타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회전속도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차량의 좌측구동축 및 우측구동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과 타차량의 구동축이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통합제어부는 차량 및 타차량이 일정거리 또는 일정시간을 함께 직진 주행가능한 경우에만 차량의 연결축이 차량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측방에 인접하는 타차량의 구동축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KR1020190047565A 2019-04-23 2019-04-23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KR10226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5A KR102262139B1 (ko) 2019-04-23 2019-04-23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US16/673,716 US11052713B2 (en) 2019-04-23 2019-11-04 Mobility connection system
CN201911143249.7A CN111823794B (zh) 2019-04-23 2019-11-20 移动体连接系统
DE102019217947.9A DE102019217947B4 (de) 2019-04-23 2019-11-21 Mobilitätseverbindung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5A KR102262139B1 (ko) 2019-04-23 2019-04-23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374A true KR20200124374A (ko) 2020-11-03
KR102262139B1 KR102262139B1 (ko) 2021-06-10

Family

ID=7284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65A KR102262139B1 (ko) 2019-04-23 2019-04-23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52713B2 (ko)
KR (1) KR102262139B1 (ko)
CN (1) CN111823794B (ko)
DE (1) DE102019217947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746A (ko) * 2021-03-04 2022-09-14 김용호 차량에 분리 결합이 가능한 스마트 모빌리티 및 이를 포함한 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992U (ja) * 1992-03-27 1993-10-19 マツダ株式会社 連結・分離自動車
CN101670869A (zh) * 2009-10-20 2010-03-17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双体车
KR20110047534A (ko) * 2009-10-30 2011-05-09 김주성 다인승 자전거
CN206579728U (zh) * 2015-12-03 2017-10-24 工程服务公司 移动车辆
KR20180047271A (ko) 2016-10-31 2018-05-10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589A (en) * 1977-12-05 1980-10-14 Chika John J Combined engine and pedal powered vehicles
US5511809A (en) * 1994-06-27 1996-04-30 Sagi; David P. Pedal-powered four-wheel vehicle
DE102005057652A1 (de) * 2005-12-01 2007-08-16 Kuka Roboter Gmbh Fahrzeugverbund
KR101210497B1 (ko) * 2005-12-19 2012-12-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변형 현상을 이용한 초소형 이동체
US20100121509A1 (en) * 2007-06-25 2010-05-13 Nagae Takeshima Vehicle and traffic system
CN101992825A (zh) * 2009-08-18 2011-03-30 卢菊其 电动四轮车
TWI461324B (zh) * 2010-05-13 2014-11-21 Hon Hai Prec Ind Co Ltd 組合式電動車
CN102241261B (zh) 2010-05-14 2014-04-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组合式电动车
CN202754083U (zh) 2012-07-31 2013-02-27 邓秋波 一种车体可倾斜式组合车辆
CN114590348A (zh) 2022-01-31 2022-06-07 刘鑫 一种组合型摩托车及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992U (ja) * 1992-03-27 1993-10-19 マツダ株式会社 連結・分離自動車
CN101670869A (zh) * 2009-10-20 2010-03-17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双体车
KR20110047534A (ko) * 2009-10-30 2011-05-09 김주성 다인승 자전거
CN206579728U (zh) * 2015-12-03 2017-10-24 工程服务公司 移动车辆
KR20180047271A (ko) 2016-10-31 2018-05-10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746A (ko) * 2021-03-04 2022-09-14 김용호 차량에 분리 결합이 가능한 스마트 모빌리티 및 이를 포함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217947A1 (de) 2020-10-29
CN111823794A (zh) 2020-10-27
CN111823794B (zh) 2024-07-09
US11052713B2 (en) 2021-07-06
US20200338939A1 (en) 2020-10-29
KR102262139B1 (ko) 2021-06-10
DE102019217947B4 (de)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72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teering and device therefor
US11628881B2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US20190130198A1 (en) Traveling control device
CN109515430B (zh) 行驶控制系统以及车辆的控制方法
US20170088167A1 (en) Automated driving apparatus and automated driving system
US5913376A (en) Automatic steering control apparatus
US99104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JP2011221653A (ja) 追従対象車特定装置
US11249476B2 (en) Steering holding determination device and autonomous driving system
US20190100110A1 (en) Real-Time Nonlinear Receding Horizon Control of Batteries for Power Systems
US11511805B2 (en) Vehicle guidance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1577776B2 (en) Managing redundant steering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JP2017140857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11150335B2 (en) Processing unit and processing method for forward recognition system, forward recognition system, and motorcycle
KR102262139B1 (ko)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EP3583480B1 (en) A sensing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 displacement of a vehicle with respect to an electrical road system
CN113335303B (zh) 车辆控制装置以及车辆
US20190306149A1 (en) Secure vehicle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US11250707B2 (en) Collision avoidance assistance device
JPH05134036A (ja) 車載用レーダ装置
JP2019139696A (ja) 車両制御装置
US11823463B2 (en)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CN206938669U (zh) 基于惯性测量单元的驾驶辅助系统
CN113748646A (zh) 车载网络系统
JP7026493B2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