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534A - 다인승 자전거 - Google Patents

다인승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534A
KR20110047534A KR1020090104204A KR20090104204A KR20110047534A KR 20110047534 A KR20110047534 A KR 20110047534A KR 1020090104204 A KR1020090104204 A KR 1020090104204A KR 20090104204 A KR20090104204 A KR 20090104204A KR 20110047534 A KR20110047534 A KR 2011004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icycle
hollow pipe
sea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성
Original Assignee
김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성 filed Critical 김주성
Priority to KR102009010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7534A/ko
Publication of KR2011004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6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quadricycle, e.g. by coupling together two bicycles side by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 B62K7/04Frames having a carry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6Means for locking the actu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12Tandems
    • B62K2003/125Tandems with side-by-side s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인승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제1자전거 및 제2자전거가 결합된 다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프론트포크에 고정 장착되는 방향조절대, 및 상기 방향조절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으로 결합된 조향가이드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에 결합되는 차체고정기와 상기 차체고정기에 연결형성된 중공파이프가 구비되는 차체고정부, 양단에 상기 차체고정부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 및 상기 중공파이프와 간격유지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간격유지장치;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핸들바와 브레이크 레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레버허브; 및 상기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의 위치를 고정하는 레버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레버허브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결합부에 연결형성된 레버 손잡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를 사용함으로써, 언덕에서도 주차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자전거를 용이하게 해체하고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인승 자전거{MULTI-CONNECTED BICYCLE}
본 발명은 다인승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언덕에서도 주차가 가능하며 자전거의 착탈이 용이한 다인승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인승 자전거는 종방향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기존의 이륜 자전거와 같이 초보 운전자의 경우,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안장이 종방향으로 위치한 다인승 자전거를 운전할 수 없었다. 또한, 원래 이륜 자전거를 운전할 수 있더라도, 다인승 자전거의 종방향 길이와 무게 등으로 인하여 균형을 잡기 어려워 주행 방향을 조정하는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노약자가 상기와 같은 다인승 자전거를 운전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게다가, 종방향으로 연결 형성된 다인승 자전거의 경우, 자전거의 탈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인승 자전거를 탑승한 운전자는 계속 함께 이동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35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자전거가 연결되어 초보 운전자도 운전이 가능한 다인승 자전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횡방향으로 연결된 다인승 자전거의 경우 역시, 페달이 붙어있기 때문에 자전거의 착탈이 불가능했을 뿐만 아니라, 언덕 과 같이 경사진 곳에서는 주차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자전거나, 종방향 다인승 자전거의 경우, 한쪽으로 기울여서 세워 놓음으로써, 자전거의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바퀴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진 곳에서도 주차가 가능하지만, 횡방향으로 연결된 다인승 자전거의 경우, 돌이나 다른 물건을 바퀴에 괴어놓지 않으면 주차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약자나 초보 운전자도 용이하게 균형을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된 각각의 자전거가 용이하게 탈장착 가능하고, 언덕에서도 주차가 가능한 다인승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결합장치가 연결 형성된 자전거를 제조하여, 간격유지빔을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자전거가 용이하게 탈장착 가능하고, 언덕에서도 주차가 가능한 다인승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1자전거 및 제2자전거가 결합된 다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프론트포크에 고정 장착되는 방향조절대, 및 상기 방향조절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으로 결합된 조향가이드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에 결합되는 차체고정기와 상기 차체고정기에 연결형성된 중공파이프가 구비되는 차체고정부, 양단에 상기 차체고정부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 및 상기 중공파이프와 간격유지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간격유지장치;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핸들바와 브레이크 레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레버허브; 및
상기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의 위치를 고정하는 레버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레버허브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결합부에 연결형성된 레버 손잡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차체고정기가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탑 튜브 또는 헤드튜브에 결합되는 전방간격유지장치, 및 상기 차체고정기가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후륜허브에 결합되는 후방간격유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1자전거 및 제2자전거가 결합된 다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프론트포크에 고정 장착되는 방향조절대, 및 상기 방향조절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으로 결합된 조향가이드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상기 제1자전거 및 제2자전거의 탑튜브에 돌출 형성된 전방 중공파이프;
상기 제1자전거 및 제2자전거의 후륜허브에 돌출 형성된 후방 중공파이프;
양 단이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전방 중공파이프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 및 상기 전방 중공파이프 및 간격유지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전방간격유지장치;
양 단이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후방 중공파이프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 및 상기 후방 중공파이프 및 간격유지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후방 간격유지장치;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핸들바와 브레이크 레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이크 레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레버허브; 및
상기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의 위치를 고정하는 레버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레버 허브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결합부에 연결형성된 레버 손잡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자전거에 형성된 전방 중공파이프 및 후방 중공파이프는 상기 제2자전거에 형성된 전방 중공파이프 및 후방 중공파이프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간격유지장치에는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향 절곡 형성된 화물 안착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후방간격유지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후륜허브에는 봉 형상의 발안장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결합부에는 고정홀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레버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막대일 수 있다.
또, 상기 레버 손잡이부의 단부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고정부는 상기 레버 손잡이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핸들바 단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레버고정부는 상기 레버허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버 결합부의 전방측 면에 형성된 홈에 안착 가능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페달 단부에는 막음판이 상기 페달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체인은 컨베이어벨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약자나 초보 운전자도 용이하게 균형을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 가능하고, 언덕에서도 주차가 가능하며, 구동중에 페달 밖으로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자전거(100A) 및 제2자전거(100B)가 결합된 다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프론트포크(107)에 고정 장착되는 방향조절대(232), 및 상기 방향조절대(23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236)으로 결합된 조향가이드(234)를 포함하는 조향장치(230);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에 결합되는 차체고정기와 상기 차체고정기에 연결형성된 중공파이프가 구비되는 차체고정부, 양단에 상기 차체고정부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 및 상기 중공파이프와 간격유지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간격유지장치(210, 220);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의 핸들바(102)와 브레이크 레버(154)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154)의 일부가 삽입되는 레버허브(152); 및
상기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154)의 위치를 고정하는 레버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154)는 상기 레버허브(152)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바(102)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결합부와, 상기 레버결합부에 연결형성된 레버손잡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를 제공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는,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가 체결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조향장치(2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향장치(230)의 방향조절대(232)는 상기 핸들바(102)를 따라 회 전하는 프론트포크(107)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향가이드(234)는 상기 힌지핀(236)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자전거(100A, 100B)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제1자전거(100A)의 핸들바(102)를 회전시킨다고 하면, 상기 제1자전거(100A)의 프론트포크(107)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자전거(100A)에 장착된 방향조절대(232)가 회전하게 되고, 힌지핀(236)에 의해 상기 방향조절대(232)에 결합된 상기 조향가이드(234)가 이동하면서, 상기 조향가이드(234)를 따라 제2자전거(100B)에 장착된 방향조절대(232)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2자전거(100B)의 핸들바(102) 방향이 상기 제1자전거(100A)의 핸들바(102)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자전거(100A)와 제2자전거(100B)를 연결하는 상기 조향가이드(234)는 힌지핀(236)을 탈착함으로써, 상기 방향조절대(23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장치(210, 220)의 간격유지빔(214, 22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전거(100A) 및 제2자전거(100B) 각각에 결합된 차체고정부(212, 222)의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차체고정부(212, 222)의 중공파이프(212y, 222y)에 상기 간격유지빔(214, 224)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파이프(212y, 222y)와 간격유지빔(214, 224)에 형성된 관통공(217, 218, 227, 228)에 상기 결합핀(216, 226)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중공파이프(212y, 222y)와 간격유지빔(214, 224)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간격유지장치(210, 220)는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전방간격유지장치(210)와 후방간격유지장치(220)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전방간격유지장치(210)의 경우, 상기 차체고정기(212x)가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의 탑튜브(104) 또는 헤드튜브(106)에 결합되고, 후방간격유지장치(220)의 경우, 상기 차체고정기(222x)가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의 후륜허브(108)에 결합된다.
상기 전방간격유지장치(2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고정기(212x)가 탑튜브(104)에 결합되고, 상기 차체고정기(212x)에 돌출 형성된 중공파이프(212y)와 간격유지빔(214)이 요철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간격유지장치(210)는 상기 중공파이프(212y)가 요부(凹部)이고, 상기 간격유지빔(214)이 철부(凸部)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파이프(212y)와 간격유지빔(214)의 요철(凹凸) 구조 상에는 각각 관통공(217, 218)이 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간격유지장치(210)는 상기 관통공(217, 218)에 상기 결합핀(216)이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핀(216)을 뽑기만 하면, 바로 제1자전거와 제2자전거를 결합하는 전방간격유지장치(21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간격유지장치(2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허브(108)에 결합된 차체고정기(222x)에 돌출 형성된 중공파이프(222y)와 간격유지빔(224)이 요철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간격유지장치(220)는, 상기 전방간격유지장치(2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중공파이프(222y)가 요부(凹部)이고 상기 간 격유지빔(224)이 철부(凸部)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파이프(222y)와 간격유지빔(224)의 요철구조 상에는 각각 관통공(227, 228)이 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방간격유지장치(220)는, 상기 관통공(227, 228)에 상기 결합핀(226)이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핀(226)을 뽑기만 하면, 바로 제1자전거와 제2자전거를 결합하는 후방간격유지장치(22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는 상기 전방간격유지장치(210) 및 후방간격유지장치(220)의 차체고정부(212, 222)를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에 각각 장착한 상태에서 주행하다가 필요에 따라 제1자전거(100A) 및 제2자전거(100B)의 결합을 자유자재로 해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상기 제1자전거(100A) 및 제2자전거(100B)의 결합과 해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차체고정기(212x, 222x)는 탑튜브를 감싸며 결합되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해당할 뿐, 상기 차체고정기(212x, 222x)가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에 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 와 같이, 일반적인 자전거를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로 채택하여 차체고정기를 상기 일반적인 자전거에 장착한 뒤, 간격유지빔으로 결합할 수도 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파이프가 차체에 직접 연결형성된 자전거를 제조하여, 제1 및 제2자전거(600A, 600B)로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전거(600A) 및 제2자전거(600B)가 결합된 다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프론트포크(107)에 고정 장착되는 방향조절대(232), 및 상기 방향조절대(23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236)으로 결합된 조향가이드(234)를 포함하는 조향장치(230);
상기 제1자전거(600A) 및 제2자전거(600B)의 탑튜브(104)에 돌출 형성된 전방 중공파이프(712y);
상기 제1자전거(600A) 및 제2자전거(600B)의 후륜허브(108)에 돌출 형성된 후방 중공파이프(722y);
양 단이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600A, 600B)의 전방 중공파이프(712y)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714), 및 상기 전방 중공파이프(712y) 및 간격유지빔(714)을 관통하는 결합핀(716)을 포함하는 전방간격유지장치(710);
양 단이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600A, 600B)의 후방 중공파이프(722y)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724), 및 상기 후방 중공파이프(722y) 및 간격유지빔(724)을 관통하는 결합핀(226)을 포함하는 후방 간격유지장치(720);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600A, 600B)의 핸들바(102)와 브레이크 레버(154)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154)의 일부가 삽입되는 레버허브(152); 및
상기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154)의 위치를 고정하는 레버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154)는 상기 레버허브(152)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결합부와, 상기 레버결합부에 연결형성된 레버손잡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자전거(600A)의 차체에 연결 형성된 전방 중공파이프(712y) 및 후방 중공파이프(722y)는, 제2자전거(600B)의 차체에 연결 형성된 전방 중공파이프(712y) 및 후방 중공파이프(722y)와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간격유지빔(714, 724)의 양단이 상기 제1자전거(600A) 및 제2자전거(600B)의 전방 중공파이프(712y) 및 후방 중공파이프(722y)와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자전거(600A) 및 제2자전거(600B)에 돌출 형성된 상기 전방 중공파이프(712y) 및 상기 후방 중공파이프(722y)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고정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고정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고정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인승 자전거는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가 간격유지장치(210, 220)에 의해 정지 상태에서도 주행 가능하도록 지면에 수직한 상태로 서 있게 된다. 따라서, 언덕과 같이 경사진 곳에 주차해 놓을 경우, 상기 다인승 자전거가 경사면을 따라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인승 자전거에 레버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고정부(252a, 252b, 252c)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154)가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핸들바(102) 쪽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다인승 자전거에 제동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버고정부(25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결합부(154x)에 천공된 고정홀(h)에 삽입되는 막대이다. 상기 레버결합부(154x)는 상기 레버허브(152) 내에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레버손잡이부(154y)를 상기 핸들바(102) 측으로 당기면, 상기 레버허브(152) 외부로 상기 레버결합부(154x)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레버결합부(154x)에 천공된 고정홀(h)에 상기 레버고정부(252a)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레버결합부(154x)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브레이크 장치가 계속 바퀴를 잡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 600A, 600B)의 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버고정부(252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바(102) 단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리이다. 이때, 상기 레버손잡이부(154y)의 단부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 600A, 600B)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레버손잡이부(154y)의 단부에 고리 형상의 상기 레버고정부(252b)가 걸리면서, 상기 레버결 합부(154x)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바퀴에 가해진 제동력이 계속 유지되면서 자전거 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버고정부(252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허브(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레버고정부(252c)는 상기 레버결합부(154x)의 전방측 면을 지탱함으로써, 상기 레버결합부(154x)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가 계속 바퀴에 제동력을 가하게 되어 자전거 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결합부(154x)의 전방측 면에 걸림턱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레버 고정부가 상기 레버결합부(154x)의 전방측 면을 더욱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상기 레버고정부(252a, 252b, 252c)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 600A, 600B)의 바퀴에 제동력이 계속 가해지기 때문에, 언덕과 같은 경사진 장소에 본 발명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를 주차하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상기 다인승 자전거가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과 후방은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의 사시도가 도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에는,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향절곡 형성된 화물안착부(310)가 상기 후방간격유지장치(220, 7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화물안착부(310)를 장착함으로써, 소지품을 신체에 매거나 상기 핸들바(102)에 걸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물건을 소지한 상태에서도 상기 다인승 자전거를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다. 상기 화물안착부(3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칸 결합핀(316)에 의해 상기 후방간격유지장치(220, 720)로부터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다. 즉, 화물을 소지하지 않고, 제1자전거(100A, 600A) 및 제2자전거(100B, 600B)를 분리하고자 할 때 별도의 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상기 다인승 자전거로부터 상기 화물안착부(310)를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후륜허브(108) 외측에는 봉형상의 발안장(32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간격유지장치(220, 720)의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후륜허브(108)에 상기 발안장(320)을 결합함으로써, 제1 및 제2자전거(100A, 100B, 600A, 600B)의 뒷자석(미도시)에 착석한 탑승자가 편리하게 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전거(100A, 600A) 및 제2자전거(100B, 600B)의 뒷자석은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생략하였다.
또, 상기 페달(110)의 단부에는, 상기 페달(110)의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막음판(330)을 더 결합함으로써, 상기 다인승 자전거 운전자가 페달(110)을 돌리다가 발이 페달(110)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노약자와 같이, 족부에 힘이 충분하지 않은 운전자의 경우, 상기 페달(110)의 단부에 상기 막음판(330)을 더 결합함으로써, 발 등을 가로막는 장치가 없이도, 발이 페달(110)에 안착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을 페달(110)에 안착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발을 페달(110) 밖으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인승 자전거는 구동장치인 체인은 컨베이어 벨트(340)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스프라켓(350)의 형상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와 상기 체인 스프라켓(350)의 형상이 접하는 위치가 각각 요철(凹凸)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체인을 컨베이어 벨트(340)로 형성하게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는 고무재질이기 때문에, 금속의 체인을 장착했을 때보다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중량이 가벼워질 뿐만 아니라, 금속의 체인과 금속의 체인 스프라켓이 서로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360은 상기 체인스프라켓(350)의 양측 폭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벨트(340)가 상기 체인 스프라켓(35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후륜허브(108)에도 마찬가지로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340)가 상기 후륜허브(108)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의 간격유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제1자전거 100B: 제2자전거
102: 핸들바 104: 탑튜브
106: 헤드튜브 107: 프론트포크
108: 후륜허브 110: 페달
152: 레버허브 154: 브레이크 레버
210, 710: 전방간격유지장치 212, 222: 차체고정부
212x, 222x: 차체고정기 212y, 222y, 712y: 중공파이프
214, 224, 714: 간격유지빔 216, 226, 716: 결합핀
220, 720: 후방간격유지장치 230: 조향장치
232: 방향조절대 234: 조향가이드
236: 힌지핀 252a, 252b, 252c: 레버고정부

Claims (11)

  1. 제1자전거 및 제2자전거가 결합된 다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프론트포크에 고정 장착되는 방향조절대, 및 상기 방향조절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으로 결합된 조향가이드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에 결합되는 차체고정기와 상기 차체고정기에 연결형성된 중공파이프가 구비되는 차체고정부, 양단에 상기 차체고정부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 및 상기 중공파이프와 간격유지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간격유지장치;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핸들바와 브레이크 레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레버허브; 및
    상기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의 위치를 고정하는 레버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레버허브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결합부에 연결형성된 레버 손잡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차체고정기가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탑 튜브 또는 헤드튜브에 결합되는 전방간격유지장치, 및 상기 차체고정기가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후륜허브에 결합되는 후방간격유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다인승 자전거.
  3. 제1자전거 및 제2자전거가 결합된 다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프론트포크에 고정 장착되는 방향조절대, 및 상기 방향조절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으로 결합된 조향가이드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상기 제1자전거 및 제2자전거의 탑튜브에 돌출 형성된 전방 중공파이프;
    상기 제1자전거 및 제2자전거의 후륜허브에 돌출 형성된 후방 중공파이프;
    양 단이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전방 중공파이프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 및 상기 전방 중공파이프 및 간격유지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전방간격유지장치;
    양 단이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후방 중공파이프와 요철 결합하는 간격유지빔, 및 상기 후방 중공파이프 및 간격유지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후방 간격유지장치;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핸들바와 브레이크 레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이크 레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레버허브; 및
    상기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의 위치를 고정하는 레버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레버 허브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결합부에 연결형성된 레버 손잡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전거에 형성된 전방 중공파이프 및 후방 중공파이프는 상기 제2자전거에 형성된 전방 중공파이프 및 후방 중공파이프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간격유지장치에는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향 절곡 형성된 화물 안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간격유지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후륜허브에는 봉 형상의 발안장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결합부에는 고정홀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레버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막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손잡이부의 단부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고정부는 상기 레버 손잡이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핸들바 단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인승 자전거의 레버고정부는 상기 레버허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버 결합부의 전방측 면에 형성된 홈에 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페달 단부에는 막음판이 상기 페달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전거의 체인은 컨베이어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KR1020090104204A 2009-10-30 2009-10-30 다인승 자전거 KR20110047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204A KR20110047534A (ko) 2009-10-30 2009-10-30 다인승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204A KR20110047534A (ko) 2009-10-30 2009-10-30 다인승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534A true KR20110047534A (ko) 2011-05-09

Family

ID=4423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204A KR20110047534A (ko) 2009-10-30 2009-10-30 다인승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75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508A1 (ko) * 2018-07-06 2020-01-09 주식회사 쿨런바이크 자전거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다인승 자전거
KR20200124374A (ko) * 2019-04-23 2020-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CN113830216A (zh) * 2021-08-24 2021-12-24 浙江工业大学 一种可实现横向拼接的模块化单车结构及其横向拼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508A1 (ko) * 2018-07-06 2020-01-09 주식회사 쿨런바이크 자전거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다인승 자전거
KR20200124374A (ko) * 2019-04-23 2020-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US11052713B2 (en) 2019-04-23 2021-07-06 Hyundai Motor Company Mobility connection system
DE102019217947B4 (de) 2019-04-23 2023-10-26 Hyundai Motor Company Mobilitätseverbindungssystem
CN113830216A (zh) * 2021-08-24 2021-12-24 浙江工业大学 一种可实现横向拼接的模块化单车结构及其横向拼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73026U (zh) 踏板车和组合
US10150529B2 (en) Vertically folding bicycle with locking mechanism
US10392079B2 (en) Snowmobile frame structure
KR20110047534A (ko) 다인승 자전거
US20160251052A1 (en) Bicycle with detachable head-tube subassembly
JP4708047B2 (ja) 軌陸兼用移動車装置
US9738301B2 (en) Snowmobile footrests
KR101973606B1 (ko) 1개의 구동 휠을 포함한 2개의 뒷바퀴를 구비한 틸팅 삼륜자전거
JP5122537B2 (ja) 前輪操舵装置及び三輪車
JPH11180369A (ja) 多機能自転車
US20060066075A1 (en) Towing trailer for two or three wheeled vehicles
US20230312034A1 (en) Bicycle with integrated anti-theft system
JP5485963B2 (ja) 車両用牽引装置
US5727801A (en) Tandem tricycle
WO2020075404A1 (ja) 不整地走行車両
BR102015005085B1 (pt) Veículo para montar
KR20150098044A (ko) 자전거 견인 짐받이
KR100830346B1 (ko) 광고홍보용 이륜구동형 삼륜 자전거
JP2022078545A (ja) 幼児用乗物
JP7042534B1 (ja) 自転車
TWI682869B (zh) 自行車
CN207683253U (zh) 一种带有拖拉结构的双人观览车
KR100781765B1 (ko) 광고홍보용 1인승 이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KR20130107664A (ko) 2인승자전거연결장치
KR200420087Y1 (ko) 포크형 전륜조향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