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271A -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271A
KR20180047271A KR1020160143211A KR20160143211A KR20180047271A KR 20180047271 A KR20180047271 A KR 20180047271A KR 1020160143211 A KR1020160143211 A KR 1020160143211A KR 20160143211 A KR20160143211 A KR 20160143211A KR 20180047271 A KR20180047271 A KR 20180047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ity
remaining amount
smartphone
rem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박성민 filed Critical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7271A/ko
Publication of KR2018004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B60L11/1857
    • B60L11/18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60L223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비게이션(navigation) 앱(App)이 설치되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서 산출된 거리정보를 수신받아 모빌리티의 배터리 전원 잔량으로 목적지까지 모빌리티가 효율적으로 주행될 수 있도록 모빌리티의 주행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제어되는 주행조건을 영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디케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모빌리티 탑승자가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면, 제어모듈에서 배터리의 남은 전원으로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 모터의 최대 출력 전류 값 및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와 같은 주행조건을 제어하여 모빌리티의 배터리 풀(완전)방전 없이 탑승자를 목적지까지 도착하도록 모빌리티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하여 주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풀(완전)방전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의 남은 전원이 잔량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량(설정수치) 미만으로 형성되면 경보부를 통해 탑승자에게 경보함으로 신속한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여 배터리 풀(완전)방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을 통해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소 위치를 제공함으로 배터리의 편리한 충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의 남은 전원이 잔량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량 미만으로 형성되면 저전압 방전 차단을 위해 BMS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높은 전압을 강제적으로 유지하여 모빌리티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갑자기 컷오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컷오프 방지를 통해 배터리의 전원을 최대한 사용하여 모빌리티의 주행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Mobility mileag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빌리티 탑승자가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면, 제어모듈에서 배터리의 남은 전원으로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 모터의 최대 출력 전류 값 및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와 같은 주행조건을 제어하여 모빌리티의 배터리 풀(완전)방전 없이 탑승자를 목적지까지 도착하도록 모빌리티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하여 주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풀(완전)방전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위 스마트 모빌리티,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으로 불리는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기를 이용한 개인형 이동수단으로 친환경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특성으로 인해 유럽을 중심으로 선진국에서 새로운 이동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퍼스널 모빌리티는 얼리아답터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문화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수요가 점차 증대하고 있다. 특히, 소형으로 소지가 용이한 1인용의 퍼스널 모빌리티의 수요가 대폭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모빌리티 탑승자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대략 추정하고, 배터리의 남은 잔량(용량)을 고려하여 자신의 감으로 도착 가능성을 예상하고 모빌리티를 운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탑승자의 잘못된 예상으로 인해 모빌리티를 타고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풀(완전)방전되어 목적지까지 도착하지 못하여 불편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통상적으로 리튬이온계열의 배터리에는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저전압 방전 차단)하기 위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의해 제어되며, 이러한 BMS은 배터리의 전원이 점차 소모되면서 설정된 전압 미만으로 낮아지면 배터리를 강제적으로 컷오프(cut-off) 시키는데, 이렇게 배터리가 컷오프되면 배터리를 충전할 때까지 배터리의 작동이 안 되는 특성상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위치까지 모빌리티를 이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배터리의 컷오프로 인해 모빌리티의 주행이 갑자기 정지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탑승자가 노출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모빌리티 탑승자가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면, 제어모듈에서 배터리의 남은 전원으로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 모터의 최대 출력 전류 값 및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와 같은 주행조건을 제어하여 모빌리티의 배터리 풀(완전)방전 없이 탑승자를 목적지까지 도착하도록 모빌리티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하여 주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풀(완전)방전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배터리의 남은 전원이 잔량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량(설정수치) 미만으로 형성되면 경보부를 통해 탑승자에게 경보함으로 신속한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여 배터리 풀(완전)방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을 통해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소 위치를 제공함으로 배터리의 편리한 충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배터리의 남은 전원이 잔량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량 미만으로 형성되면 저전압 방전 차단을 위해 BMS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높은 전압을 강제적으로 유지하여 모빌리티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갑자기 컷오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컷오프 방지를 통해 배터리의 전원을 최대한 사용하여 모빌리티의 주행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은 내비게이션(navigation) 앱(App)이 설치되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서 산출된 거리정보를 수신받아 모빌리티의 배터리 전원 잔량으로 목적지까지 모빌리티가 효율적으로 주행될 수 있도록 모빌리티의 주행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제어되는 주행조건을 영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빌리티 탑승자가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모듈에서 배터리의 남은 전원 잔량으로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의 주행조건을 제어하여 모빌리티의 배터리 풀(완전)방전 없이 탑승자를 간편히 목적지까지 도착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모빌리티의 배터리 전원 잔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검출부로 전송하는 잔량측정부와, 상기 잔량측정부에서 전송되는 배터리 전원 잔량 정보와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모터의 최대 출력 전류 값과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 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값을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검출부와, 모빌리티의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속도측정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전송되는 검출 값을 기준으로 모터의 최대 출력 전류 값을 제한하는 동시에, 모빌리티의 주행속도가 검출된 최대 주행속도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속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모빌리티의 주행속도를 기반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모터의 최대 출력 전류 값과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디케이터와 스마트폰 모두 또는 어느 하나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값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전원 잔량이 설정량에 도달하면 경보부를 통해 경보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의 설정량을 설정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설정부와, 상기 잔량측정부의 측정정보를 통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량에 상기 배터리 전원 잔량이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잔량측정부의 측정정보를 통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량에 상기 배터리 전원 잔량이 도달하면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하여 사용자가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명확하게 인지하여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때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소 위치를 제공하여 배터리의 용이한 충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 잔량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량 미만으로 형성되면, 저전압 방전 차단을 위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높은 전압이 유지되도록 모빌리티의 속도 및 배터리의 전류 값을 제어하여 모빌리티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가 갑자기 컷오프(cut-off)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모빌리티 탑승자가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면, 제어모듈에서 배터리의 남은 전원으로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 모터의 최대 출력 전류 값 및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와 같은 주행조건을 제어하여 모빌리티의 배터리 풀(완전)방전 없이 탑승자를 목적지까지 도착하도록 모빌리티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하여 주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풀(완전)방전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의 남은 전원이 잔량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량(설정수치) 미만으로 형성되면 경보부를 통해 탑승자에게 경보함으로 신속한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여 배터리 풀(완전)방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을 통해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소 위치를 제공함으로 배터리의 편리한 충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의 남은 전원이 잔량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량 미만으로 형성되면 저전압 방전 차단을 위해 BMS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높은 전압을 강제적으로 유지하여 모빌리티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갑자기 컷오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컷오프 방지를 통해 배터리의 전원을 최대한 사용하여 모빌리티의 주행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0)과, 제어모듈(20)과, 인디케이터(3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10)은 내비게이션(navigation) 앱(App)이 설치되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설정하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거리 정보를 후설될 상기 제어모듈(2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10)과 상기 제어모듈(20)은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 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여 용이한 정보 송·수신을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20)은 상기 스마트폰(10)에서 산출된 거리정보를 수신받아 모빌리티의 배터리(1) 전원 잔량으로 목적지까지 모빌리티가 효율적으로 주행될 수 있도록 모빌리티의 주행조건을 제어하는 것으로,
모빌리티의 배터리(1) 전원 잔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검출부(22)로 전송하는 잔량측정부(21)와, 상기 잔량측정부(21)에서 전송되는 배터리(1) 전원 잔량 정보와 상기 스마트폰(10)에서 전송되는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모터(2)의 최대 출력 전류 값과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 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값을 컨트롤러(24)로 전송하는 검출부(22)와, 모빌리티의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컨트롤러(24)로 전송하는 속도측정부(23)와, 상기 검출부(22)에서 전송되는 검출 값을 기준으로 모터(2)의 최대 출력 전류 값을 제한하는 동시에, 모빌리티의 주행속도가 검출된 최대 주행속도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속도측정부(23)에서 측정되는 모빌리티의 주행속도를 기반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한 후에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산출되어 상기 검출부(22)로 전송되면, 상기 검출부(22)는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서 전송되는 거리 정보와 함께 상기 잔량측정부(21)에서 측정 전송되는 배터리(1)의 남는 전원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가 목적지까지 주행될 수 있도록 모빌리티 모터(2)의 최대 출력 전류 값과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 값을 검출하여 상기 컨트롤러(24)로 전송한다.
그러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검출부(22)에서 전송되는 검출 값을 기준으로 모빌리티의 모터(2)가 최대 출력 전류 값 이하로 출력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속도측정부(23)의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가 상기 검출부(22)에서 검출된 최대 주행속도 값 이하로 주행되도록 제어하여 모빌리티가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모빌리티의 주행조건을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검출부(22)에서 검출된 모터(2)의 최대 출력 전류 값과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디케이터(30)와 스마트폰(10) 모두 또는 어느 하나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검출부(22)에서 검출된 검출 값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20)은 상기 스마트폰(10) 또는 모빌리티 상에 형성되어 구체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모듈(2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각각이 상기 스마트폰(10) 또는 모빌리티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구체화될 수 있다.
도 1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30)는 상기 제어모듈(20)을 통해 제어되는 주행조건을 영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검출부(20)에서 검출된 검출 값에 대한 정보와 모빌리티의 배터리 잔량 및 주행속도 등과 같은 정보가 출력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 전원 잔량이 설정량에 도달하면 경보부(42)를 통해 경보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1)의 설정량을 설정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와, 상기 잔량측정부(21)의 측정정보를 통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에 상기 배터리(1) 전원 잔량이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경보부(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잔량측정부(21)의 측정정보를 통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에 상기 배터리(1) 전원 잔량이 도달함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부(42)를 통해 경보하여 사용자가 배터리(1)의 전원 잔량을 명확하게 인지하게 하여 신속한 배터리 충전을 통해 배터리의 방전을 안전하게 방지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경보부(42)가 경보되면 상기 스마트폰(10)은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소 위치를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제공하여 배터리의 용이한 충전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되는 배터리(1)의 설정량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지만, 배터리(1)의 방전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고 용이한 충전을 유도하기 위해 배터리(1) 전체 용량의 30 내지 40% 정도로 설정하여 모빌리티가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적합하게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배터리(1)의 전원 잔량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 미만으로 형성되면, 저전압 방전 차단을 위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높은 전압이 유지되도록 상기 배터리(1)의 전압을 제어하여 모빌리티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1)가 갑자기 컷오프(cut-off)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동시에, 컷오프 방지를 통해 배터리(1) 전원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어 모빌리티의 주행거리를 대폭 연장하여 목적지까지 모빌리티의 주행을 유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1)의 전원이 점차 소모되면 전압이 다운되며, 또 소비전류에 비례하여 배터리(1) 내부 저항 값에 의해 전압 강하가 함께 일어난다. 전압을 통해 배터리(1)의 잔량을 검출해 낼수 있으며 과도한 소비전류일 경우 전압 강하가 많이 생겨 배터리(1) 잔량이 충분함에도 BMS에 의한 컷오프 현상이 생겨난다. 배터리(1)의 완전 방전과 배터리(1) 셀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인 BMS는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낮아지면 배터리(1)가 컷오프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24)는 모빌리티의 속도를 줄여 배터리(1)의 소비전류를 절감함으로써 소비전류에 의한 배터리(1)의 전압강하를 줄여 강제적으로 높은 전압을 유지한다.
즉, 모빌리티의 속도가 높을수록 배터리(1)의 소비전류가 높고 소비전류가 높으면 배터리(1)의 전압강하가 많이 발생함으로 상기 컨트롤러(24)는 강제적으로 모빌리티의 속도와 배터리(1)의 소비전류를 낮게 형성함으로 배터리(1)의 전압을 높게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와 같은 배터리(1)의 전류 제어를 통해 배터리(1)의 전압이 BMS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강제적으로 높게 형성 제어함으로 배터리(1)의 컷오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빌리티(1)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배터(1)리 전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통해 모빌리티의 주행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100)은 모빌리티 탑승자가 상기 스마트폰(10)의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모듈(20)에서 배터리(1)의 남은 전원으로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 모터(2)의 최대 출력 전류 값 및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와 같은 주행조건을 제어하여 모빌리티의 배터리(1) 풀(완전) 방전이 되기 전에 탑승자를 목적지까지 도착하도록 모빌리티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하여 주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1)가 풀(완전)방전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1)의 남은 전원이 상기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설정수치)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경보부(42)를 통해 탑승자에게 배터리(1)의 잔량 정보를 경보함으로 신속한 배터리(1) 충전을 유도하여 배터리(1) 풀(완전)방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소 위치를 제공함으로 배터리(1)의 편리한 충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1)의 남은 전원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 미만으로 형성되면 저전압 방전 차단을 위해 BMS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높은 전압을 강제적으로 유지하여 모빌리티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배터리(1)가 갑자기 컷오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컷오프 방지를 통해 배터리(1)의 전원을 최대한 사용하여 모빌리티의 주행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모빌리티의 주행을 제어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을 통해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설정하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산출되고, 그 산출된 거리 정보는 제어모듈(20)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20)의 검출부(22)는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서 전송되는 거리 정보와 함께 잔량측정부(21)에서 측정 전송되는 배터리(1)의 남는 전원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가 목적지까지 주행될 수 있도록 모빌리티 모터(2)의 최대 출력 전류 값과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 값을 검출하여 컨트롤러(24)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24)로 전송된 검출 값에 대한 정보는 인디게이터(30)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지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검출부(22)에서 검출된 검출 값을 기준으로 모빌리티의 모터(2)가 최대 출력 전류 값 이하로 출력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속도측정부(23)의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를 검출된 최대 주행속도 값 이하로 주행되도록 제어하여 모빌리티가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4)는 모빌리티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잔량측정부(21)를 통해 측정되는 배터리(1)의 잔량이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 이하로 감지되면 경보부(42)를 통해 경보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배터리(1)를 충전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의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소 위치를 영상으로 제공하여 배터리의 용이한 충전을 유도한다. 이때, 상기 경보부를 통한 경보는 경보음 또는 경보등을 통해 구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의 설정량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다.
한편,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배터리(1)의 전원 잔량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 미만으로 형성되면, 배터리(1)의 전류 제어를 통해 배터리(1)의 전압이 BMS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강제적으로 높게 형성 제어하여 배터리(1)의 컷오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빌리티(1)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배터(1)리 전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통해 모빌리티의 주행거리를 연장하도록 한다.
일 예로, BMS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 30V이면 상기 컨트롤러(24)는 전류 제어를 통해 상기 배터리(1)의 전압이 30V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배터리 2. 모터
10. 스마트폰 20. 제어모듈
21. 잔량측정부 22. 검출부
23. 속도측정부 24. 컨트롤러
30. 인디케이터 41. 배터리 잔량 설정부
42. 경보부
100.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Claims (4)

  1. 내비게이션(navigation) 앱(App)이 설치되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스마트폰(10);
    상기 스마트폰(10)에서 산출된 거리정보를 수신받아 모빌리티의 배터리(1) 전원 잔량으로 목적지까지 모빌리티가 효율적으로 주행될 수 있도록 모빌리티의 주행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0); 및
    상기 제어모듈(20)을 통해 제어되는 주행조건을 영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디케이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빌리티 탑승자가 상기 스마트폰(10)의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모듈(20)에서 배터리(1)의 남은 전원 잔량으로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의 주행조건을 제어하여 모빌리티의 배터리(1) 풀(완전)방전 없이 탑승자를 간편히 목적지까지 도착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20)은,
    모빌리티의 배터리(1) 전원 잔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검출부(22)로 전송하는 잔량측정부(21)와,
    상기 잔량측정부(21)에서 전송되는 배터리(1) 전원 잔량 정보와 상기 스마트폰(10)에서 전송되는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모터(2)의 최대 출력 전류 값과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 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값을 컨트롤러(24)로 전송하는 검출부(22)와,
    모빌리티의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컨트롤러(24)로 전송하는 속도측정부(23)와,
    상기 검출부(22)에서 전송되는 검출 값을 기준으로 모터(2)의 최대 출력 전류 값을 제한하는 동시에, 모빌리티의 주행속도가 검출된 최대 주행속도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속도측정부(23)에서 측정되는 모빌리티의 주행속도를 기반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24)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검출부(22)에서 검출된 모터(2)의 최대 출력 전류 값과 모빌리티의 최대 주행속도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디케이터(30)와 스마트폰(10) 모두 또는 어느 하나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검출부(22)에서 검출된 검출 값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 전원 잔량이 설정량에 도달하면 경보부(42)를 통해 경보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1)의 설정량을 설정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와,
    상기 잔량측정부(21)의 측정정보를 통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에 상기 배터리(1) 전원 잔량이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경보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잔량측정부(21)의 측정정보를 통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에 상기 배터리(1) 전원 잔량이 도달함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부(42)를 통해 경보하여 사용자가 배터리(1)의 전원 잔량을 명확하게 인지하여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때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소 위치를 제공하여 배터리의 용이한 충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배터리(1)의 전원 잔량이 상기 배터리 잔량 설정부(41)에 설정된 설정량 미만으로 형성되면, 저전압 방전 차단을 위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설정된 저전압 수치보다 높은 전압이 유지되도록 모빌리티의 속도 및 배터리(1)의 전류 값을 제어하여 모빌리티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1)가 갑자기 컷오프(cut-off)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KR1020160143211A 2016-10-31 2016-10-31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KR20180047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11A KR20180047271A (ko) 2016-10-31 2016-10-31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11A KR20180047271A (ko) 2016-10-31 2016-10-31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71A true KR20180047271A (ko) 2018-05-10

Family

ID=6218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211A KR20180047271A (ko) 2016-10-31 2016-10-31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72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626A (ko) 2018-12-12 2020-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18293A (ko) 2019-04-04 2020-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유닛
KR20200124374A (ko) 2019-04-23 2020-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KR102255771B1 (ko) 2021-02-24 2021-05-26 이온어스(주) 충전 스테이션을 통한 차량의 충방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4602A (ja) * 2001-06-14 2002-12-26 Yazaki Corp 車両用電源装置
KR20150116248A (ko) * 2014-04-07 2015-10-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주행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4602A (ja) * 2001-06-14 2002-12-26 Yazaki Corp 車両用電源装置
KR20150116248A (ko) * 2014-04-07 2015-10-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주행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963901호(2016.07.08.) 1부.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626A (ko) 2018-12-12 2020-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69022A (ko) 2018-12-12 202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69021A (ko) 2018-12-12 202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577566B2 (en) 2018-12-12 2023-02-14 Hyundai Motor Company Combinable and detachabl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118293A (ko) 2019-04-04 2020-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유닛
US11554824B2 (en) 2019-04-04 2023-01-17 Hyundai Motor Company Mobility unit
KR20200124374A (ko) 2019-04-23 2020-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연결시스템
US11052713B2 (en) 2019-04-23 2021-07-06 Hyundai Motor Company Mobility connection system
KR102255771B1 (ko) 2021-02-24 2021-05-26 이온어스(주) 충전 스테이션을 통한 차량의 충방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7271A (ko)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제어 시스템
KR101942908B1 (ko) 배터리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4972925B (zh) 用于控制包括马达的电动车辆的驱动的系统和电动车辆
US9610853B1 (en) Identification of acceptable vehicle charge stations
CN102859324B (zh) 信息提供装置和信息提供方法
EP3246215B1 (en) Vehicular starter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1679823B1 (ko) 무인비행체 및 이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1147447B1 (ko) 도로공사 교통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370195B (zh) 用于对车辆的驾驶员进行支持的方法和设备
JP2013021914A5 (ko)
KR20150066961A (ko) 전기차량에서 외부 차량과 상호 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9156369B2 (en) BEV life support system and method
CN103226345A (zh) 功率的远程信息处理主机
EP3427994B1 (en) Battery pack monitoring system
KR102538544B1 (ko) 지오-펜스 기반 차량 과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180039B2 (en) On-travel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facility, and electric vehicle
CN109747455B (zh) 可移动体救援系统和可移动体救援方法
KR20150044201A (ko) 차량용 배터리 소모전류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CN103738190A (zh) 一种电动汽车救援系统及方法
JP2014023354A (ja) 電池制御装置、および電池パック
CN203773743U (zh) 道路交通信息监控预警系统
US10583745B2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05966245B (zh) 一种智能提示系统
CN108327578B (zh) 一种电动车监控系统及其控制方法
CN204586666U (zh) 客车的预警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