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342A -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342A
KR20200124342A KR1020190047002A KR20190047002A KR20200124342A KR 20200124342 A KR20200124342 A KR 20200124342A KR 1020190047002 A KR1020190047002 A KR 1020190047002A KR 20190047002 A KR20190047002 A KR 20190047002A KR 20200124342 A KR20200124342 A KR 2020012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teel wire
wire cord
handling performan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132B1 (ko
Inventor
박문철
김선명
강명환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1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9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comprising additional bead cores in the side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07Reinforcements made of metallic elements, e.g. cords, yarns, filaments or fibres made from metal
    • B60C2009/0014Surface treatments of steel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타이어 제조 과정에 있어 새로운 구조를 적용하여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 형성된 블록 및 그루브와, 상기 트레드부 양측의 사이드월부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Steel Wire Co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TIRE FOR VEHICLE PERFORMANCE IMPROVEMENT}
본 발명은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제조 방식에서 새로운 구조를 적용하여 실차 핸들링(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 소경 제조 방식에서 타이어 제조 시에 각 반제품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완성 타이어를 만든다. 소경 방식에서의 큰 특징 중 한가지는 카카스 턴업 에지(Carcass turn up edge)가 사이드월부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하기 때문에, 내구성을 고려하여 사이드월 보강재를 카카스 턴업 에지 아래쪽인 비드(Bead)부쪽에 적용해야 하는 제한적인 설계 구조를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282020호(발명의 명칭: 스틸코드로 보강된 사이드 월부를 가지는 래디알 타이어)에서는, 사이드 월부의 반경방향에 대해서 나란하게 등간격으로 스틸코드를 배열시키며, 상기 사이드 월의 카카스 플라이 부착면과 타이어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그 반대면과의 고무재료 사이에 스틸코드를 삽입시킨 구조다. 그러나 이 또한 사이드월부에 스틸코드를 보강한 것으로서,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한적인 설계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소경 방식에서 트레드부 제조 시 벨트1, 벨트2, 보강벨트가 먼저 조립된 후, 1개의 트레드 압출물이 최종적으로 조립된다. 트레드 압출물에는 고무를 원재료로 하는 파트(cab tread, sub tread, tread wing)만 존재한다. 소경 제조 방식에서 고무만을 사용하는 제한적인 트레드 압출물 반제품 사용 때문에 구조적인 튜닝이 불가능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28202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제약 조건을 새로운 방식의 설계로 해결하고자, 새로운 사이드월부 구조와 트레드부 구조를 적용한 타이어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적용한 타이어를 통해 핸들링 성능의 향상과 소음저감 효과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 형성된 블록 및 그루브와, 상기 트레드부 양측의 사이드월부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Steel Wire Cor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는, 스틸 와이어 한 부위와 다른 부위가 접촉하도록 한 가닥씩 감기는 방식(jointless 방식)으로, 원주상 오버랩(overlap)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일단이 보강 벨트 에지(Belt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단이 비드 필러 에지(Bead filler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단이 비드 필러 에지(Bead filler edge)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구조는, 상기 보강 벨트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는, 10밀리미터(mm) 폭으로 재단된 스틸 반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는, 상기 스틸 와이어의 감기는 횟수에 따라,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길이가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타이어 제조 방식에서 새로운 구조를 적용하여 실차 핸들링(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사이드월부에 벨트(belt)와 같은 재질의 스틸 코드(steel cord)구조를 삽입하여 사이드(side) 강성을 높여, 차량 조정성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하중 차량, 로우 시리즈(Low series) 차량에 새로운 설계 구조를 적용하여 핸들링 성능을 확보 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드부에 벨트(belt)와 같은 재질의 스틸 코드(steel cord)구조를 삽입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트레드 블록 스틸(Tread Block steel)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타이어 단품의 KD 값을 향상 시킬 수 있다. KD 값이 높아짐으로써 노면 핸들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틸 와이어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정특성 해석 결과 비교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KD값 해석 결과 비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틸 와이어 구성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100), 트레드부(100)에 형성된 블록(400) 및 그루브(500)와, 트레드부(100) 양측의 사이드월부(200)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사이드월(200)부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Steel Wire Cord)(300);를 포함한다.
스틸 와이어 코드(300)는, 스틸 와이어(310) 한 부위와 다른 부위가 접촉하도록 한 가닥씩 감기는 방식(jointless 방식)으로, 원주상 오버랩(overlap)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0밀리미터(mm) 폭으로 재단된 스틸 반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틸 반제품은,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진 스트립 와인딩(strip winding)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스트립은 일정 폭(5~10mm)과 두께(0.5~1mm)를 가지며, 적층 방식으로 와인딩되어 사이드월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폭과 두께를 한정한 것은, 이에 미치지 못하면, 적절한 강도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스틸 와이어(310) 사이의 간격이 필요 이상 확대되면서 연선 상태가 불량해지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형태가 왜곡되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가 필요 이상 증가하여 타이어의 경량화에 역행하게 되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모듈러스가 떨어져 타이어 보강재로써의 역할을 하기 어렵게 된다.
스틸 와이어 코드(300)는 보강재 역할을 함으로써 저하중 부여 시 형태가 남아 있게 되면서 고무 침투성이 유지되며, 저하중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주행 중 떠는 현상이 감소하여 타이어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구조는, 상기 보강 벨트(600)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일단이 보강 벨트 에지(Belt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타단이 비드 필러 에지(Bead filler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단이 비드 필러 에지(Bead filler edge)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이어 원주방향으로의 길이는, 스틸 와이어의 감기는 횟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의 사이드월부(200)의 반경방향에 대해서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삽입한다. 그 구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벨트와 비드 필러 사이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삽입한 구조이다. 이때, 사이드월부(200)의 강도가 필요이상으로 강해지면 주행에 따른 충격력이 감쇠되지 않은 채 바로 전달되어 승차감이 나빠지므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서술한 스트립 와인딩 방식을 이용하여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사이드월부(200)로 타이어를 제작하게 되면, 열용량이 큰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주행 시 발생되는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기인하는 손실열을 수용하게 되므로, 고무재료에 축적되는 손실열의 열량을 대폭 줄여, 열입에 의한 고무재료의 열화를 방지하여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타이어에서 가장 취약한 부위인 사이드월부(2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삽입함으로써, 타이어 펑크와 같은 사고도 예방할 수가 있게 되어 주행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타이어는 사이드월부(2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구비함으로써 타이어 단품의 KD, KL, KV 값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이어 강성을 높여 마른 노면에서의 핸들링 성능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조정성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하중 차량에 적용되는 로우 시리즈(Low series) 타이어의 사이드월부(200) 강성을 해결하여 높은 핸들링 성능을 낼 수 있다.
로우 시리즈 타이어(Low Series Tire) 제조 공정 시 통상 소경 성형(flat building)이 적용된다. 여기서 로우 시리즈 타이어란,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를 뜻하며, 로우 프로파일 타이어(Low Profile Tire)라고도 한다. 이는 보통 고출력 차량에 쓰이며, 최근 타이어 트렌드는 갈수록 편평비가 낮은 것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소경 성형을 적용할 경우, 카카스 턴업 에지가 형성이 된다. 이와 같은 공정의 설계 제한을 해결하고자, 기존 소경 성형 방식이 아닌, 새로운 제조 방식으로 카카스 턴업 에지(Carcass turn up edge)가 없는 구조를 갖는 PCR(Passenger Car Radial, 승용차용 레이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정특성 해석 결과 비교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85/35 ZR 19 규격의 공기입 타이어를 공기압 2.5bar, 하중 516kgf의 조건하에 해석한 결과를 알 수 있다. 여기서 KD는 동강성(Dynamic Stiffness), KL은 하중강성(Load Stiffness), 그리고 KV는 수직강성(Vertical Stiffness)을 뜻하며, 사이드월부(200)의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를 각각 90도, 45도로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KD값은 기존 대비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가 90도인 경우, 1%이상 향상되었는데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가 45도인 경우에는 오히려 2%가량 하락하였다. KL값과 KV값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로 모두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가 90도인 경우 기존 대비 KL값이 약 3%, KV값은 약 2% 향상되었으며,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권취 각도가 45도인 경우 기존 대비 KL값이 약 7%, KV값은 약 5%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사이드월부(2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적용한 본 발병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를 실시 할 경우, 사이드월부(200) 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하중에 따른 사이드월부(200)의 변형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차량 주행 시 핸들링 성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 트레드부(100)에 형성된 블록(400) 및 그루브(500)와, 트레드부(100) 양측의 사이드월부(200)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블록(400)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포함한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는 블록(400) 폭의 50 내지 90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그루브(400) 깊이 최하위단부터 마모표시(TWI, Tread wear indicator)(510)의 높이보다 0.5밀리미터(mm) 낮게 블록(400)에 삽입되는 것이 좋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재질 및 경사밀도(EPI, Ends Per Inch)는 보강 벨트(600)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길이와 높이를 한정한 것은, 이에 미치지 못하면, 적절한 강도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스틸 와이어(310) 사이의 간격이 필요 이상 확대되면서 연선 상태가 불량해지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형태가 왜곡되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가 필요 이상 증가하여 타이어의 경량화에 역행하게 되고,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모듈러스가 떨어져 타이어 보강재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스틸 와이어 코드(300)는 보강재 역할을 함으로써 저하중 부여 시 형태가 남아 있게 되면서 고무 침투성이 유지되며, 저하중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주행 중 떠는 현상이 감소하여 타이어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마모표시(510)는, 일반적으로 슬립 사인(slip sign)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타이어 웨어 인디케이터라고도 말한다. 타이어 트레드가 규정 깊이로 얕게 마모되면 트레드 패턴의 일부분이 연결되어 보이는데, 타이어의 수명 한계를 알리도록 한 것으로, 통상의 승용차에서는 잔여 홈 깊이가 1.6mm에 달하면 타이어의 둘레 4개소 이상의 표면에 나타나도록 되어 있고, 그 위치를 나타내는 「△」 기호가 근처의 사이드월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는, 스틸 와이어(310) 한 부위와 다른 부위가 접촉하도록 한 가닥씩 감기는 방식(jointless 방식)으로, 원주상 오버랩(overlap)이 없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4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원주 방향에 접한 접선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트레드부(100)의 강도가 필요이상으로 강해지면 주행에 따른 충격력이 감쇠되지 않은 채 바로 전달되어 승차감이 나빠지므로 스틸 와이어 코드(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서술한 jointless 방식을 이용하여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트레드부(100)로 타이어를 제작하게 되면, 열용량이 큰 스틸 와이어 코드(300)가 주행 시 발생되는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기인하는 손실열을 수용하게 되므로, 고무재료에 축적되는 손실열의 열량을 대폭 줄여, 열입에 의한 고무재료의 열화를 방지하여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트레드부(1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삽입함으로써, 타이어 펑크와 같은 사고도 예방할 수가 있게 되어 주행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는, 트레드 블록 스틸(Tread Block steel)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타이어 단품의 KD값을 향상시킬 수 있다. KD값이 높아짐으로써 마른 노면에서의 핸들링 성능과, 차량 조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일반 소경 방식에서 KD값 향상을 위해 사이드월부(200) 구조 튜닝을 해야 하지만,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 사이드월부(200)의 튜닝 없이 KD값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KD값 해석 결과 비교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285/35 ZR 19 규격의 공기입 타이어를 공기압 2.5bar, 하중 516kgf의 조건하에 해석한 결과를 알 수 있다. 여기서 KD는 동강성(Dynamic Stiffness)을 뜻하며 그 결과, KD값은 기존 대비 약 20%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트레드부(100)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적용한 본 발병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를 실시 할 경우, 트레드부(100) 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하중에 따른 트레드부(100)의 변형을 방지하고 핸들링 성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일반 소경 제조 방식에서는 고무만을 재료로 사용하는 트레드 압출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핸들링 성능 향상을 위해 튜닝 시에 트레드 고무 화합물(Tread rubber compound)와 고무 게이지(Rubber gauge)만을 가지고 튜닝이 가능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약 조건을 해결하여, 트레드부(100) 반제품을 일정폭과 두께를 가진 스트립 와인딩(strip winding) 방식으로 제조한다. 스트립은 일정 폭(5 내지 10mm)과 두께(0.5 내지 1mm)를 가지며, 적층 방식으로 와인딩되어 트레드 구조를 만든다. 이렇게 제조된 타이어는 블록에 스틸 와이어 코드(300)를 갖추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트레드부
200 : 사이드월부
300 : 스틸 와이어 코드
310 : 스틸 와이어
400 : 블록
500 : 그루브
510 : 마모표시(TWI)
600 : 보강 벨트
700 : 비드 필러
800 : 카카스

Claims (8)

  1.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에 형성된 블록 및 그루브와, 상기 트레드부 양측의 사이드월부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감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Steel Wire Co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는, 스틸 와이어 한 부위와 다른 부위가 접촉하도록 한 가닥씩 감기는 방식(jointless 방식)으로, 원주상 오버랩(overlap)이 없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일단이 보강 벨트 에지(Belt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단이 비드 필러 에지(Bead filler edge)와 5밀리미터(mm)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단이 비드 필러 에지(Bead filler edge)에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구조는, 상기 보강 벨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는, 10밀리미터(mm) 폭으로 재단된 스틸 반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의 타이어 원주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스틸 와이어의 감기는 횟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KR1020190047002A 2019-04-23 2019-04-23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KR10221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02A KR102218132B1 (ko) 2019-04-23 2019-04-23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02A KR102218132B1 (ko) 2019-04-23 2019-04-23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342A true KR20200124342A (ko) 2020-11-03
KR102218132B1 KR102218132B1 (ko) 2021-02-24

Family

ID=7319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02A KR102218132B1 (ko) 2019-04-23 2019-04-23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1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020B1 (ko) 1997-12-13 2001-02-15 신형인 스틸코드로 보강된 사이드 월부를 가지는 래디알 타이어
JP4802101B2 (ja) * 2004-09-29 2011-10-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020B1 (ko) 1997-12-13 2001-02-15 신형인 스틸코드로 보강된 사이드 월부를 가지는 래디알 타이어
JP4802101B2 (ja) * 2004-09-29 2011-10-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132B1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5171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US10046606B2 (en) Run-flat tire
JP3645277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8939185B2 (en) Pneumatic radial tire
US9981510B2 (en) Pneumatic Tire
KR20090017486A (ko) 공기 주입 타이어
US8146339B2 (en) Steel cord for reinforcing rubber article and pneumatic radial tire
JPWO2009063913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3942649B2 (ja)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US9272582B2 (en) Pneumatic tire
CN108248299B (zh) 充气轮胎
KR102218132B1 (ko)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KR102253936B1 (ko)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JP201813097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9248751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383125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0491143C (zh) 充气子午线轮胎
JP4997861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11795586B2 (en) Composite cord and tire using same
JP2000079806A (ja)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US20200108664A1 (en) Reinforcement member and tire using same
JP373061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S6310610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350216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2521630B1 (ko) 중하중용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