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317A -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317A
KR20200124317A KR1020207030051A KR20207030051A KR20200124317A KR 20200124317 A KR20200124317 A KR 20200124317A KR 1020207030051 A KR1020207030051 A KR 1020207030051A KR 20207030051 A KR20207030051 A KR 20207030051A KR 20200124317 A KR20200124317 A KR 2020012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tring
communication terminal
event
programmable display
executabl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히로 하나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은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2)과,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과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실행 파일을 기억하는 외부 기억 장치(3)와,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를 가진다. 통신 단말(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문자열 중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고, 실행 파일을 실행시킨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본 발명은 통신 단말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상 등의 이벤트(事象)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부에 이벤트에 관련되는 문자열을 표시시키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알려져 있다. 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접속된 제어 장치로부터의 상태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화면과 동일 화면을 통신 단말에도 표시시키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 떨어진 장소로부터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상황을 통신 단말로 확인을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50208호
그렇지만, 종래의 기술에서는, 유저는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통신 단말이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계속 시인(視認)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면, 공장에서 작업을 행하는 유저는, 복수의 작업을 행하는 일이 있으므로, 통신 단말이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계속 시인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상 등의 이벤트에 관련되는 문자열을 표시시키는 것 이외의 동작을 통신 단말에 행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해당 이벤트를 유저에게 인식시키는 기술이 제공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벤트에 관련되는 문자열을 표시시키는 것 이외의 동작을 통신 단말에 행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해당 이벤트를 유저에게 인식시키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과,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과,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실행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가진다.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실행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문자열 중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실행 파일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은, 이벤트에 관련되는 문자열을 표시시키는 것 이외의 동작을 통신 단말에 행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해당 이벤트를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이 가지는 외부 기억 장치가 기억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의 동작의 절차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이 가지는 통신 단말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이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통신 단말의 각각이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제1 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이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통신 단말의 각각이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제2 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이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통신 단말의 각각이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제3 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가지는 수신부, 취득부 및 통신부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의 프로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가지는 수신부, 취득부 및 통신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요소가 처리 회로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의 처리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우선,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은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2)을 가진다. 통신 단말(2)의 예는, 태블릿 단말 또는 스마트폰이다. 통신 단말(2)은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과,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더 가진다. 통신 단말(2)이 표시하는 정보의 예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이벤트의 예는, 어느 설비에 마련되어 있는 5개 이상의 복수의 밸브 중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은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과,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실행 파일을 기억하는 외부 기억 장치(3)를 더 가진다. 외부 기억 장치(3)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 등의 데이터는, 고쳐쓰기 가능이다. 외부 기억 장치(3)의 예는, 휴대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이다. 외부 기억 장치(3)가 기억하는 복수의 문자열 및 복수의 실행 파일에 대해서는, 후에 도 2를 이용하여 더 설명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은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를 더 가진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특정 정보를 제어 기기(10)로부터 수신한다. 도 1에는, 제어 기기(10)도 도시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제어 기기(10)는 상기의 5개 이상의 복수의 밸브를 제어함과 아울러, 해당 복수의 밸브 중 어느 것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이상이 발생한 밸브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통신 단말(2), 외부 기억 장치(3) 및 제어 기기(1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와는 물리적으로 다른 기기이다. 덧붙여, 외부 기억 장치(3)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탈착 가능해도 되고, 일례로서는, SD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를 들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41)를 가진다. 표시부(41)의 예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42)와, 수신부(42)에 의해서 수신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43)를 더 가진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취득부(43)에 의해서 취득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통신부(44)를 더 가진다. 수신부(42)와, 취득부(43)와, 통신부(44)는, 후술하는 처리부로서의 프로세서(81) 또는 처리 회로(91)에 포함되어 있다. 즉, 프로세서(81) 또는 처리 회로(91)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수신부(42)와, 취득부(43)와, 통신부(44)의 기능이 실현된다.
통신 단말(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문자열 중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고, 수신한 실행 파일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2)은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실행 파일은 표시되는 문자열을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실행시키기 위한 파일로서, 통신 단말(2)은 표시하는 문자열을 스피커에 의해 소리로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벤트가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인 경우, 예를 들면, 통신 단말(2)은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표시함과 아울러,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스피커에 의해 소리로 출력한다. 즉, 통신부(44)는, 통신 단말(2)이 소리를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문자열과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 통신 단말(2)은 실행 파일을 실행시킴으로써,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으로서 소리를 출력한다.
덧붙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구체적으로는 통신부(44)는,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하여 실행 파일을 송신하는 것을 통신 단말(2)로부터 요구받은 후에,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해도 된다. 통신 단말(2)은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수신한 후에, 실행 파일을 송신할 것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요구해도 된다.
통신 단말(2)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각각은, 상술한 기능 이외의 기능도 가진다. 상술한 기능 이외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이 가지는 외부 기억 장치(3)가 기억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기억 장치(3)는 이벤트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문자열 파일(31)과,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동작 파일(32)을 기억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문자열 파일(31)은 이벤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로서, (1)제1 밸브 에러, (2)제2 밸브 에러,···, (5)제5 밸브 에러···와 같은 문자열을 포함한다. (1)제1 밸브 에러는 제1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2)제2 밸브 에러는 제2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5)제5 밸브 에러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동작 파일(32)은 동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로서, (a)@#Soundout@, (b)@#Snapshot@,···와 같은 문자열을 포함한다. (a)@#Soundout@는 동작의 내용으로서, 통신 단말(2)에 표시되는 문자열을 소리로 출력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b)@#Snapshot@는, 동작의 내용으로서, 이상 발생 시점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과 문자열을 포함하는 화상을 통신 단말(2)에 표시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외부 기억 장치(3)는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열 중 하나와,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열 중 하나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을 더 기억하고 있다.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이 기억하고 있는 문자열은,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문자열이다.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은 이벤트의 내용과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은 (A)@#Soundout@제1 밸브 에러, (B)@#Soundout@제2 밸브 에러,···, (E)@#Soundout@제5 밸브 에러,···와 같은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을 포함한다.
(A)@#Soundout@제1 밸브 에러는,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1)제1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과,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a)@#Soundout@이라는 문자열을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문자열이다. (B)@#Soundout@제2 밸브 에러는,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2)제2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과,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a)@#Soundout@이라는 문자열을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문자열이다. (E)@#Soundout@제5 밸브 에러는,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5)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과,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a)@#Soundout@이라는 문자열을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문자열이다.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에 포함되어 있는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은, 유저에 의해서 작성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외부 기억 장치(3)가 기억하고 있는 문자열 파일(31) 및 동작 파일(32)에 액세스하여, 해당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과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을 편집한다. 또, 유저는 해당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문자열과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문자열을 조합한다. 유저는 작성한 복수의 문자열을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에 포함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이,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에 포함된다.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과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은, 텍스트 데이터이기 때문에, 숙련도가 낮은 유저라도,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편집 가능하다.
외부 기억 장치(3)는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실행 파일군(34)을 더 기억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실행 파일군(34)은 문자열을 소리로 출력시키는 소리 출력 파일(34a)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과 문자열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 표시 파일(34b)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소리 출력 파일(34a)에는 「Soundout.js」라는 문자열이 부여되어 있고, 화상 표시 파일(34b)에는 「Snapshot.js」라는 문자열이 부여되어 있다.
다음에,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의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의 동작의 절차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에는, 제어 기기(10)의 동작도 나타내져 있다. 제어 기기(10)가 상기의 5개 이상의 복수의 밸브 중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한 것을 상정한다.
제어 기기(10)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수신부(42)는, 제어 기기(10)로부터 송신된 특정 정보를 수신한다(S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취득부(43)는, 수신부(42)에 의해서 수신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한다(S2). 취득부(43)에 의해서 취득되는 문자열은,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문자열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부(42)에 의해서 수신된 특정 정보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특정한다.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은,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에 대응하고 있다. (E)@#Soundout@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은,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취득부(43)는 외부 기억 장치(3)가 기억하고 있는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에 포함되어 있는 (E)@#Soundout@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취득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통신부(44)는, 취득부(43)에 의해서 취득된 문자열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S3). 통신 단말(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문자열을 수신하고, 수신한 문자열 중에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 이외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3에 도시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의 동작에서는, 통신 단말(2)이 수신한 문자열 중에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 이외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신 단말(2)은 수신한 문자열 중에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 이외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수신한 문자열 중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한다(S4).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이 가지는 통신 단말(2)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신 단말(2)은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표시한다. 덧붙여, 통신 단말(2)은 수신한 문자열 중에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 이외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2)이 수신한 문자열 중에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 이외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신 단말(2)은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수신하여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한 후에,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을 송신하는 것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요구한다(S5).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있어서, 통신부(44)는 통신 단말(2)로부터 송신된 요구를 수신하고, 취득부(43)는 해당 요구를 기초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한다(S6).
구체적으로는, 특정 정보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특정한다.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은,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에 대응하고 있다. (E)@#Soundout@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은,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포함함과 아울러, @#Soundout@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한다. @#Soundout@이라는 문자열은, 동작의 내용으로서, 통신 단말(2)에 문자열을 소리로 출력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통신 단말(2)에 소리로 출력시키는 것은, 소리 출력 파일(34a)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통신 단말(2)에 송신하고, 통신 단말(2)이 소리 출력 파일(34a)을 실행함으로써 행한다. 그 때문에, 취득부(43)는 외부 기억 장치(3)가 기억하고 있는 실행 파일군(34)으로부터 소리 출력 파일(34a)을 취득한다(S6).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통신부(44)는, 취득부(43)에 의해서 취득된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S7). 구체적으로는, 통신부(44)는 소리 출력 파일(34a)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S7).
통신 단말(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실행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실행 파일을 실행시킨다(S8). 구체적으로는, 통신 단말(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소리 출력 파일(34a)을 수신하고,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표시함과 아울러, 소리 출력 파일(34a)을 실행하여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스피커에 의해 소리로 출력한다. 도 4에 있어서의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요소(2a)는, 통신 단말(2)이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스피커에 의해 소리로 출력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외부 기억 장치(3)가 기억하고 있는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더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수신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가 기억하고 있는 실행 파일군(34)으로부터 취득한다. 추가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취득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통신 단말(2)에 표시시킴과 아울러, 이벤트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실행시키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것 이외의 동작을 통신 단말(2)에 행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2)이 행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것 이외의 동작의 예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소리로 출력하는 것이다. 즉,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은 이벤트에 관련되는 문자열을 표시시키는 것 이외의 동작으로서 소리 출력을 통신 단말(2)에 행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해당 이벤트를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파악하기 위해서, 통신 단말(2)이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계속 시인하지 않더라도, 이벤트의 발생을 통신 단말(2)이 발생시키는 소리로 인식할 수 있다.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통신 단말에 송신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와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차이점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하여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점이다. 해당 차이점에 따른 기능을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추가하는 것만으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를 얻을 수 있다. 통신 단말(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되는 실행 파일에 따라서 동작한다. 종래의 통신 단말과 비교하여, 통신 단말(2)에 특별한 기능을 추가할 필요는 없다. 즉,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대해서 근소한 개량을 행함으로써, 이벤트에 관련되는 문자열을 표시시키는 것 이외의 동작을 통신 단말(2)에 행하게 하여 해당 이벤트를 유저에게 인식시키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외부 기억 장치(3)의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로부터 취득하는 정보가 나타내는 문자열에 (b)@#Snapshot@이라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통신부(44)는,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즉, 통신부(44)는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함과 아울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표시부(41)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를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
통신 단말(2)은 실행 파일을 실행시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상기의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한다. 즉,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통신부(44)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표시부(41)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를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표시부(41)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와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 통신 단말(2)은 실행 파일을 실행시킴으로써,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으로서 상기의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통신 단말(2)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와,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다.
통신 단말(2)은 이상 발생 시점의 상기의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를 계속 표시함과 아울러,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계속 표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해당 유저는 통신 단말(2)로부터 떨어져 어떠한 처리를 행해도, 처리를 행한 후에, 통신 단말(2)이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시인함으로써, 해당 이벤트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해당 유저는 통신 단말(2)이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계속 시인하는 것을 중단하더라도, 해당 이벤트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외부 기억 장치(3)의 동작 파일(32)은, 동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로서, (c)이상 발생@#Snapshot@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해도 된다. 외부 기억 장치(3)의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은, 동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로서, (c)이상 발생@#Snapshot@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포함해도 된다. (c)이상 발생@#Snapshot@는, 이상이 발생한 시점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통신 단말(2)에 표시시키기 위한 명령이다. 예를 들면, (c)이상 발생@#Snapshot@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이 중첩된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고 있는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이 중첩된 화상을 통신 단말(2)에 표시시키는 명령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그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는 표시 요소인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표시부(41)는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이상이 발생한 시점의 화상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중첩하여 표시한다. 오브젝트의 예는, 램프, 스위치 또는 그래프 미터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통신부(44)는, 표시부(41)에 의해서 표시되고 있는 화상으로서,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오브젝트에 중첩된 화상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이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 및 통신 단말(2)의 각각이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제1 도이다. 이하에서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상정한다. 도 5의 (A)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이다. 도 5의 (A)에 도시되는 화상은, 제5 밸브를 포함하는 설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되는 화상에는, 「A전류」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41a)과, 「A전압」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41b)과, 「A수압」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41c)과, 「A계수」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41d)과,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점등하는 램프(41e)가 포함되어 있다. 램프(41e)는 오브젝트의 예이다. 도면에서는, 램프(41e)가 점등했을 경우, 사선이 부가된다. 「A전류」, 「A전압」 및 「A계수」는, 해당 설비가 가지는 특정의 것에 대한 전류, 전압 또는 계수이다. 「A수압」은 제5 밸브에 있어서의 수압이다.
도 5의 (B)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도 5의 (A)와 대비하면 분명한 것처럼, 도 5의 (B)에 있어서의 「A수압」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41c)의 값은, 도 5의 (A)가 나타내고 있는 값에 비해 크다. 이에 더하여, 도 5의 (B)에 있어서의 램프(41e)는 점등하고 있다. 또한,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이 램프(41e)에 중첩되어 있다.
도 5의 (C)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통신 단말(2)이 표시하는 화상의 예이다. 도 5의 (B)와 도 5의 (C)를 대비하면 분명한 것처럼,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통신 단말(2)은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시점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표시 화상을 표시한다.
도 5의 (C)의 「A전류」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2b)은 도 5의 (A)의 「A전류」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41a)에 대응하고 있어, 도 5의 (C)의 「A전압」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2c)은 도 5의 (A)의 「A전류」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41b)에 대응하고 있다. 도 5의 (C)의 「A수압」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2d)은 도 5의 (A)의 「A수압」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41c)에 대응하고 있고, 도 5의 (C)의 「A계수」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2e)은 도 5의 (A)의 「A계수」의 수치를 나타내는 란(41d)에 대응하고 있다. 도 5의 (C)의 램프(2f)는, 도 5의 (A)의 램프(41e)에 대응하고 있다.
통신 단말(2)이 표시하는 화상에 있어서, 램프(2f)가 점등함과 아울러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이 램프(2f)에 중첩하므로, 통신 단말(2)의 유저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명확하게 시인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이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 및 통신 단말(2)의 각각이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제2 도이다. 도 6의 (A)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이다. 도 6의 (A)에 도시되는 화상은, 제5 밸브를 포함하는 설비에 대한 조작을 유저에게 행하게 하기 위한 화상이다. 해당 화상에는, 유저가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가 「A전류」, 「A전압」, 「A수압」 및 「A계수」의 각각의 항목에 대응해서 포함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는 오브젝트의 예이다.
도 6의 (B)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도 6의 (A)와 대비하면 분명한 것처럼, 도 6의 (B)에 있어서의 「A수압」의 현재값은, 도 6의 (A)이 나타내고 있는 현재값에 비해 크다. 이에 더하여, 도 6의 (B)에서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이, 「A수압」의 항목에 대응하고 있는 조작 스위치에 중첩되어 있다.
도 6의 (C)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통신 단말(2)이 표시하는 화상의 예이다. 도 6의 (B)와 도 6의 (C)를 대비하면 분명한 것처럼,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통신 단말(2)은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시점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표시 화상을 표시한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이, 「A수압」의 항목에 대응하고 있는 조작 스위치에 중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신 단말(2)의 유저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시인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1)이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 및 통신 단말(2)의 각각이 표시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제3 도이다. 도 7의 (A)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이다. 도 7의 (A)에 도시되는 화상은, 그래프 미터(41f)를 포함한다. 그래프 미터(41f)는 오브젝트의 예이다.
도 7의 (B)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도 7의 (A)와 대비하면 분명한 것처럼, 도 7의 (B)에 있어서의 「A수압」의 현재값은, 도 7의 (A)이 나타내고 있는 현재값에 비해 크다. 이에 더하여, 도 7의 (B)에서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이, 그래프 미터(41f)에 중첩되어 있다.
도 7의 (C)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통신 단말(2)이 표시하는 화상의 예이다. 도 7의 (B)와 도 7의 (C)를 대비하면 분명한 것처럼,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통신 단말(2)은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시점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표시 화상을 표시한다.
도 7의 (C)에 도시되는 것처럼,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이, 그래프 미터에 중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신 단말(2)의 유저는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시인할 수 있다.
통신 단말(2)이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즉,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통신부(44)가,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에 포함되어 있는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 중 제5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통신 단말(2)이 표시하는 오브젝트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명령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하기 때문이다. 또한, 통신 단말(2)이 해당 명령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명령에 따라서 해당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오브젝트에 중첩하여 표시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이상 발생 시점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화상 정보를 통신 단말(2)이 표시하거나, 또는 계속 표시하는 형태를 대신하여, 통신 단말(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한 화상을 로그 정보로서 축적해도 된다. 즉,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통신부(44)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표시부(41)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를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표시부(41)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와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해도 된다. 통신 단말(2)은 실행 파일을 실행시킴으로써,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으로서 수신한 화상 정보를 로그 정보로서 기억해도 된다.
이에 더하여, 통신 단말(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와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화상을 로그 정보로서 축적해도 된다. 통신 단말(2)은 기억한 화상을 해당 유저의 조작을 기초로 표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해당 유저는 화상의 기억이 종료된 후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와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화상을 로그 정보로서 언제라도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파악하기 위해서, 통신 단말(2)이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계속 시인하지 않더라도, 통신 단말(2)에 기억된 상술의 화상(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와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억 장치(3)의 동작 파일(32)에 포함된 동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인 @#Snapshot@는, 이상이 발생한 시점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통신 단말(2)에 기억 유지시키기 위한 명령에 해당하고, 실행 파일(34b)인 「Snapshot.js」는 이상이 발생한 시점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통신 단말(2)에 기억 유지시키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파일에 해당한다.
덧붙여, 외부 기억 장치(3)는 휴대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이외의 외부 기억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클라우드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외부 기억 장치(3)는 해당 클라우드 상의 기억 장치여도 된다. 외부 기억 장치(3)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와 접속되어 있은 퍼스널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억 장치여도 된다. 외부 기억 장치(3)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고,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과,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실행 파일을 기억하고 있으면 된다. 덧붙여, 외부 기억 장치(3)가 SD 카드와 같이 탈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인 경우, 외부 기억 장치(3)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장착되어도 된다.
외부 기억 장치(3)의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에 포함되어 있는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의 각각은,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문자열과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문자열이 조합된 것이면 된다. 즉, 편집 후 문자열 파일(33)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열의 각각은,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문자열이 먼저 기재되고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문자열이 후에 기재된 것이어도 되고,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문자열이 먼저 기재되고 문자열 파일(31)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문자열이 후에 기재된 것이어도 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구체적으로는 통신부(44)는,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할 때,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처럼,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송신하여 실행 파일을 송신할 것을 통신 단말(2)로부터 요구받은 후에 실행 파일을 송신해도 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구체적으로는 통신부(44)는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동시에 송신해도 된다. 어느 쪽이든,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구체적으로는 통신부(44)는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한다. 통신 단말(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송신된 문자열 중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한 후에 실행 파일을 송신하는 것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요구해도 되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기 전에 실행 파일을 송신할 것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요구해도 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가지는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프로세서(81)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의 처리부로서의 프로세서(8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은, 메모리(82)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81)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프로세서(8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도 8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기억부로서의 메모리(82)도 나타내져 있다.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프로세서(81)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 해당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은, 프로세서(81)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프로그램으로서 기술(記述)되어, 메모리(82)에 격납된다. 즉, 메모리(82)는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처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다. 프로세서(81)는 메모리(8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프로세서(81)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는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서 실행되는 스텝이 결과적으로 실행되게 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기 위한 메모리(82)를 가진다. 내부 기억부로서의 메모리(82)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은,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실행하는 절차 또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 메모리(8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인스톨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유저에 의해서 작성된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서 작성된 제어 프로그램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도입되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메모리(82)에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제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화면 표시, 제어 기기(10)로부터의 입력값의 처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터치 패널 화면 상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일종인 버튼을 유저가 접촉했을 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로부터 외부로 출력 신호를 송신하는 등의 다양한 처리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에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이다. 이 제어 프로그램이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처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메모리(82)에 기억되는 제어 프로그램이 작성되는 것으로부터, 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사람은 전용 소프트웨어를 적절히 사용하는 능력을 가지는 숙련도가 높은 유저에게 한정된다. 그에 대해, 외부 기억 장치(3)가 기억하고 있는 문자열 파일(31) 및 동작 파일(32)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은, 텍스트 데이터이기 때문에, 숙련도가 낮은 유저라도,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편집 가능하다. 즉, 통신 단말(2)에 표시하는 「제5 밸브 에러」 등의 문자열의 변경이나, 통신 단말(2)에 소리 출력 동작을 행하게 하는 실행 파일을 취득하기 위한 「@#Soundout@」 등의 문자열을 변경할 때, 메모리(8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문자열의 편집을 할 수 있다.
덧붙여, 내부 기억부로서의 메모리(82)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쉬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등록상표)(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혹은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이다.
메모리(82)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표시부(41)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를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수신부(42)가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부(41)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와 실행 파일을 통신 단말(2)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해도 된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가지는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를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요소가 처리 회로(91)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의 처리부로서의 처리 회로(9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처리 회로(91)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처리 회로(91)는 전용의 하드웨어이다. 처리 회로(91)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된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이다.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일부는, 나머지와는 별개의 전용의 하드웨어여도 된다.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복수의 기능에 대해서, 해당 복수의 기능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복수의 기능의 잔여부가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수신부(42), 취득부(43) 및 통신부(44)의 복수의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 조합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가 가지는 표시부(41), 수신부(42) 및 취득부(43)를 가진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는 취득부(43)에 의해서 취득된 문자열에 대해 취득부(43)에 의해서 취득된 실행 파일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실행부(45)를 더 가진다. 도 10에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외부 기억 장치(3) 및 제어 기기(10)도 도시되어 있다.
실행부(45)는 통신 단말(2)과 통신하는 기능 이외의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취득부(43)가 수신부(42)에 의해서 수신된 특정 정보에 대응함과 아울러 이벤트의 내용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문자열과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을 외부 기억 장치(3)로부터 취득한다. 그 후, 실행부(45)는 취득부(43)에 의해서 취득된 문자열 및 실행 파일에 기초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의 표시부(41)에 이벤트의 내용에 관한 문자열을 표시함과 아울러,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파일을 실행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oundout@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취득했을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의 표시부(41)에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표시하고, 「@#Soundout@」이라는 문자열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의 하나인 소리 출력 파일(34a)을 실행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에 접속된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46)로부터 소리 출력을 행한다. 또, 「@#Snapshot@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취득했을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의 표시부(41)에 「제5 밸브 에러」라는 문자열을 표시하고, 실행 파일(34b)을 실행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의 표시부(41)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 정보를 내부 기억부로서의 메모리(82)에 기억한다. 이 실시 형태 2에서는, 실행 파일(34b)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의 표시부(41)의 표시 화상을 내부 기억부로서의 메모리(82)에 기억하는 처리를 행하는 실행 파일이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가 가지는 수신부(42), 취득부(43) 및 실행부(45)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프로세서(81)와 동등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해당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는 수신부(42), 취득부(43) 및 실행부(45)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서 실행되는 스텝이 결과적으로 실행되게 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기 위한 메모리를 가진다. 해당 메모리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기억부로서의 메모리(82)와 동등한 메모리이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에 있어서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의 표시부(41)에 표시하는 「제5 밸브 에러」 등의 문자열의 변경이나, 음성 출력 장치(46)에 소리 출력 동작을 행하게 하는 실행 파일을 취득하기 위한 「@#Soundout@」 등의 문자열을 변경할 때, 메모리(8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문자열의 편집을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A)가 가지는 수신부(42), 취득부(43) 및 실행부(45)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 회로(91)와 동등한 처리 회로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또는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2: 통신 단말
2a: 문자열을 포함하는 요소 3: 외부 기억 장치
4, 4A: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0: 제어 기기
31: 문자열 파일 32: 동작 파일
33: 편집 후 문자열 파일 34: 실행 파일군
34a: 소리 출력 파일 34b: 화상 표시 파일
41: 표시부 42: 수신부
43: 취득부 44: 통신부
45: 실행부 81: 프로세서(처리부)
82: 메모리(내부 기억부) 91: 처리 회로(처리부)

Claims (16)

  1.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과,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과,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실행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실행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문자열 중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실행 파일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여 실행 파일을 송신할 것을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요구받은 후에,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수신한 후에, 실행 파일을 송신할 것을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 중 상기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상기 통신 단말이 표시하는 표시 요소인 오브젝트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명령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명령을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서 상기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상기 오브젝트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상기 통신 단말이 소리를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및 상기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과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실행 파일을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으로서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는 물리적으로 다른 외부 기억 장치이며,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상기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외부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내부 기억부와, 상기 내부 기억부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와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실행 파일을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으로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와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실행 파일을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으로서 상기 수신한 화상 정보를 로그 정보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억부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와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9.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과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실행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실행 파일을,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여 실행 파일을 송신할 것을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요구받은 후에,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 중 상기 이벤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상기 통신 단말이 표시하는 표시 요소인 오브젝트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명령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 단말이 소리를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및 상기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과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내부 기억부와,
    상기 내부 기억부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는 물리적으로 다른 외부 기억 장치이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외부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취득부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와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부 기억부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수신부가 상기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 정보와 상기 실행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6. 이벤트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실행 파일을, 이벤트 및 동작의 내용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자열과 이벤트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실행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문자열에 대해 상기 취득부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실행 파일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실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KR1020207030051A 2018-04-27 2018-04-27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KR20200124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7304 WO2019207791A1 (ja) 2018-04-27 2018-04-27 プログラマブル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317A true KR20200124317A (ko) 2020-11-02

Family

ID=6642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051A KR20200124317A (ko) 2018-04-27 2018-04-27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09468B1 (ko)
KR (1) KR20200124317A (ko)
CN (1) CN112041770A (ko)
WO (1) WO2019207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6940A1 (ja) * 2020-02-04 2021-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プログラム作成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作成支援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0208A (ja) 2001-11-12 2003-05-23 Digital Electronics Corp 制御用表示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1110A (ja) * 1995-03-06 1996-09-17 Amada Metrecs Co Ltd 工作機械の制御装置
JP3155259B1 (ja) * 1999-10-14 2001-04-09 株式会社デジタル 報知システム、報知方法および報知の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3085175A (ja) * 2001-09-06 2003-03-20 Digital Electronics Corp 制御用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267267A (ja) * 2004-03-18 2005-09-29 Digital Electronics Corp 制御用表示装置、画面データ生成装置、並びに、それら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0370416C (zh) * 2005-01-04 2008-02-20 凌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编程控制装置及其方法
JP2008009499A (ja) * 2006-06-27 2008-01-17 Win System:Kk 表示器
JP2008040651A (ja) * 2006-08-03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とそのファイル変換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6231362B2 (ja) * 2013-11-25 2017-11-15 アズビル株式会社 プラント監視サーバーおよびプラント監視方法
JP2016126483A (ja) *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6474609B2 (ja) * 2014-12-26 2019-02-27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及びplc表示システム
CN107533323B (zh) * 2015-04-21 2020-03-10 三菱电机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以及信息处理程序
CN104950756B (zh) * 2015-06-12 2017-11-07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高温高压流变仪远程监控方法及远程监控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0208A (ja) 2001-11-12 2003-05-23 Digital Electronics Corp 制御用表示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09468B1 (ja) 2019-05-08
JPWO2019207791A1 (ja) 2020-05-07
CN112041770A (zh) 2020-12-04
WO2019207791A1 (ja)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63400B (zh) 移动应用的热更新方法及终端设备
JP2008191989A (ja) 数値制御装置
CN103049432A (zh) 用于受限显示设备的公式输入
CN104049122A (zh) 具有可选选项的手持测量系统
US20170083017A1 (en) Ladder diagram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additionally displaying operation situation of cnc in comment
CN101443639B (zh) 电子秤及用于操作电子秤的方法
KR20200124317A (ko) 프로그래머블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JP2009122936A (ja) 異常調査用表示機能を備えたシーケンスプログラムモニタ装置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97851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in SCADA system
JP2017117115A (ja) 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コンテンツ制御装置、及びコンテンツ表示装置
US101520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play of multiple errors on a human-machine interface
CN111427738B (zh) 展示方法、应用监控模块、字节码增强模块及展示系统
US7705249B2 (en) Electronic scales configured to determine a profile and perform a weighing operation, and associated method
JPWO2018158815A1 (ja) 点検支援装置、点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137968B2 (en) Screen-creation assistance device, display system, screen-creation assistan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398808B2 (ja) 表示装置
US1133440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esenting diagnostic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t diagnostic equipment
JP2007041846A (ja) プログラム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5970080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プログラム
WO2016031414A1 (ja) 電子機器と接続方法
CN110764681A (zh) 应用界面的显示方法、设备、客户端装置及电子设备
JP201812480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2202296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Module of Virtual Reality Equipment Based on Computer Terminal
JP2005090959A (ja) 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測定システム
CN104076764A (zh) 发射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