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788A - 보강사의 시트를 갖는 직물, 및 상기 직물을 포함하는 어닝 - Google Patents

보강사의 시트를 갖는 직물, 및 상기 직물을 포함하는 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788A
KR20200123788A KR1020207024166A KR20207024166A KR20200123788A KR 20200123788 A KR20200123788 A KR 20200123788A KR 1020207024166 A KR1020207024166 A KR 1020207024166A KR 20207024166 A KR20207024166 A KR 20207024166A KR 20200123788 A KR20200123788 A KR 2020012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heet
reinforcing
winding direction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를로스 사이즈
Original Assignee
세흐쥐 페라리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흐쥐 페라리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세흐쥐 페라리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0012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04B21/165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with yarns stitched through one or more layers or tows, e.g. stitch-bonded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2One smooth surface, e.g. laminated or coa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2Alike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22Smooth surfaces, e.g. laminated or coa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 D10B2403/02412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several arrays of unbent yarn, e.g. multiaxial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평행한 셀비지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한 셀비지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권취 방향으로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 있어, 팽팽하게 유지되며 앞면 및 뒷면을 갖는 지지층(5)을 포함하는 직물로서, 상기 직물이, 하나가 다른 것의 위에 배열되며 보강사(reinforcement threads)(1, 2)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시트, 즉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가 뒷면에 배열되며, 보강사(1, 2)가 권취 방향에 대해 5° 내지 85°의 각도(α1, α2)에서 연장되고, 상기 각도(α1, α2)가 권취 방향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사의 시트를 갖는 직물, 및 상기 직물을 포함하는 어닝
본 발명은 팽팽하게 유지되며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 있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태양광선으로부터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요구에 따라 펼쳐지는 직물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기술적 및 심미적 이유로, 이들 직물은 팽팽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어닝(awning)용으로 제조된 직물에 특히 흥미가 있다.
"어닝"이라는 용어에 의해 일반적으로 지정되는 장치는, 파사드(facade) 또는 벽에 설치되도록 의도되며 팽팽한 직물에 의해 그늘 영역을 만들 수 있는 장치이다. 이들 장치는 특히 개인이 직사광선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대피소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닝은, 요구에 따라 펼쳐지며 바람, 비, 눈 또는 우박 등의 기상 조건이 어닝을 요구하는 경우에 직물을 보호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 있는 직물을 나타낸다. 그러기 위해, 직물은 어닝이 설치된 파사드에 연결된 회전축 둘레에 권취되고, 부하 프로파일이 파사드에 대해 가동적으로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직물을 펼치거나 또는 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사드에 대해 평행을 유지하는 옆방향 움직임에서의 가동 부하 프로파일에 의해 직물을 펼쳐 팽팽하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프로파일은 특히 관절식 또는 신축식이어도 되며 부하 프로파일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아암에 의해 지지된다.
이어서, 직물의 2개의 자유단은, 한쪽에서는 회전축으로, 다른쪽에서는 부하 프로파일로 각각 연결된다.
그러나, 현존하는 어닝은 중심부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는 직물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약화로 직물이 눈에 띄는 굴곡 형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직물이 보다 넓어지고 길어진다.
이는 직물이 완전히 팽팽하지 않기 때문에 유해하며, 직물을 푸는 작업을 방해하고, 직물을 다시 펼칠 때에 보기 흉한 주름을 만든다. 이러한 보기 흉한 주름은, 특히 직물이 권취될 때에 추가 두께를 초래하며, 이는 직물에 마모를 일으키는 마찰 현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직물의 봉합의 손실을 야기할 수도 있으며, 이는 직물의 사용을 부적합하게 한다.
따라서, 어닝 권취축 둘레에 주름이 전혀 생기지 않고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도 있는 직물을 얻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 출원인은 지지층 및 적어도 2개의 보강사(reinforcement thread)층을 포함하는 직물을 개발했다.
보강사층을 포함하는 직물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 4 518 640에는 니팅 스티치 또는 체인 스티치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보강사층을 겹침으로써 구성되는 다축 보강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축 보강재는, 예를 들어 기계 부품을 보강하기 위해 단단한 것이며, 따라서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 없다.
또한, 출원 PCT WO 02/090644에는 코팅 직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직물은 금속, 특히 강으로 보강된 실층을 포함하는 다축 직물 코어를 포함하여, 코팅한 후에 직물이 칼 등의 날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직물 코어는 PVC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되어 있다. 이 코어는 치수 유지가 전혀 나타내지 않으며, 이는 코팅 후에 얻어진다. 바꿔 말하면, 코팅 전에, 직물 코어는 구성요소인 실 또는 층이 분리되지 않는, 상이한 방향으로의 연장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은 2개의 평행한 셀비지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한 셀비지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권취 방향으로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팽팽하게 유지되고,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이 앞면 및 뒷면을 갖는, 직물로서, 상기 직물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되며 보강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시트, 즉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가 뒷면에 배열되며, 상기 보강사가 권취 방향에 대해 5° 내지 85°의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각도가 권취 방향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직물을 포함하는 어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이점은 직물이 주름을 전혀 생성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이점은, 직물이 팽팽할 때, 보강사를 함유하지 않는 직물과 비교하여 직물의 굴곡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어닝에 사용될 때, 직물의 권취에 의한 압박이 직물 전체에 걸쳐 분산되고, 이것이 직물의 권취와 펼침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추가적인 이점은 권취의 규칙성이며, 이에 따라 마모가 적고, 이는 직물의 심미적 품질의 보다 양호한 보존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지지층을 포함한다. 실제로, 적절하게는, 이 지지층은 직물, 부직포, 그릴(grille) 또는 막(film)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는 치수 저항을 나타낸다. 특히, 이러한 지지체는 보강사가 없어도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 있다. 사실, 보강사 시트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지지체의 연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사 시트는 지지체가 구부러지는 현상을 제한하고, 그것이 권취될 때에 적용되는 힘을 분산시키는데 사용되고, 따라서 지지체는 고유의 치수 저항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앞면 및 뒷면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앞면은 보강사 시트로 코팅되지 않은 지지체의 면에 상응하고, 뒷면은 보강사 시트로 코팅되어 있는 지지체의 면에 상응한다. 직물이 어닝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경우에, 앞면은 하늘을 향해, 뒷면은 지면을 향해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어닝 아래에 대피하고 있는 사람들은 보강사의 뒷면을 보게 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2개의 평행한 셀비지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한 셀비지에 평행하거나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권취 방향으로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 있다. 직물이 어닝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경우에, 직물의 권취 방향은 파사드 또는 벽을 향해 있다.
바꿔 말하면, 직물이 어닝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경우에, 권취 방향은 권취축에 수직인 방향에 상응한다. 물론, 직물이 직사각형의 형태인 경우에, 이 권취축은 2개의 평행한 셀비지에 수직이고, 2개의 다른 평행한 셀비지에 평행하다. 전형적으로, 제조 종료 시에, 제조된 직물은 직사각형의 형태이고, 직사각형의 길이를 나타내는 2개의 셀비지에 평행하며 직사각형의 폭을 나타내는 2개의 셀비지에 수직인 방향으로 자체적으로 권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되며 보강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시트,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뒷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보강사와 지지층을 연결하기 위해, 보강사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지지층에 재봉되거나 또는 접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시트는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연결되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직물이 제조될 때에, 재봉 또는 접착은 두가지 방법으로 행해져도 된다. 첫번째 경우, 시트는, 각각의 시트의 배치 후에 지지층에 연결되며, 즉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지지층에 연결된 후에 상기 제2 시트가 배치된다. 두번째 경우, 2개의 시트는, 조인트를 재봉 또는 접착하는 단계 전에 상기 지지층 상에 배치된다.
보강사는 인접해 있거나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인접한다는 것은, 보강사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보강사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접촉점을 갖는 경우를 의미한다.
동일한 시트의 모든 보강사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 보강사가 모두 인접하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 보강사의 양이 많다. 그 결과, 직물이 권취될 때에, 압박이 직물 전체에 걸쳐 분산되며, 이는 각 보강사에 적용되는 힘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 보강사가 모두 인접하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 직물의 중량이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중량은 보강사의 배치 및 수에 따라 최적화되어도 된다. 사실, 보강사의 수가 많을수록, 기술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실의 수가 적다. 따라서, 보강사가 많을수록, 2개의 보강사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여 주름이 동일하게 감소하고 권취 시에 적용되는 힘이 동일하게 분산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보강사는 50데시텍스(dtex) 내지 1,200데시텍스, 적절하게는 150데시텍스 내지 900데시텍스, 보다 더 유리하게는 250데시텍스 내지 550데시텍스의 수치를 갖는다. 당업자는 필요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보강사의 틈과 수를 연관지을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하게는, 단일 시트는 인접하는 보강사의 개별 또는 분리된 군으로 이루어진다. 바꿔 말하면, 시트는, 예를 들면 2개 또는 3개의 보강사를 포함하는 각각의 군과 함께, 보강사의 개별군으로 이루어져도 되고,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는 직물이 권취될 때에,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힘이 동일한 군의 실에 분산되고, 모든 보강사가 인접해 있는 경우에 비해 직물의 중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특징은 보강사 증착 작업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사실, 직물의 총 중량은 보강사의 수와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보강사가 모두 인접하고 있지 않은 시트를 사용하면 직물의 총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하게는, 시트의 보강사는 모두 인접하고 있지 않다.
보강사군을 사용하는 경우, 중량은 더 감소될 수도 있다. 사실, 동일한 보강 효과를 위해, 군마다 배치된 경우에는 보다 질량이 적은 실을 사용해도 되며, 상기 군은 서로 떨어져 있어도 된다.
따라서, 적절하게는, 보강사는 280데시텍스 내지 550데시텍스의 수치를 갖는다.
유체, 특히 우수 및 결로에 대한 밀폐를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완전히 그늘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즉 태양광선이 직물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상기 앞면 및/또는 상기 뒷면 상에 코팅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을 코팅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아크릴, 또는 플라스티솔 등의 PVC이다.
코팅층은 상기 보강사가 배치된 후에 직물 상에 증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보강사가 재봉된 경우에 지지층에 구멍이 생성되며, 코팅층이 이들 구멍을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뒷면 상의 코팅은 보강사가 지지체 상에서 차단되고, 보강사가 팽팽한 경우에 지지체의 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직물은, 보강사 시트가 배치된 후에 뒷면에 코팅되고,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뒷면과 앞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재차 코팅된다. 첫번째 코팅은 보강사 시트의 양호한 코팅을 가능하게 한다. 이 특정 실시형태에서, 첫번째 코팅은 폴리우레탄에 의해 유리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사는 상기 권취 방향과 5° 내지 85°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각도는 상기 권취 방향에 대칭이다.
이러한 보강사는 직물의 압박을 직물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직물이 팽팽할 때에, 직물에 적용되는 압박은 팽팽한 직물의 무게 중심을 향해 굴곡을 만든다. 따라서, 직사각형 형태의 직물의 특정 경우에 압박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대각선에 적용되고, 직사각형의 중심이 붕괴되는 경향이 있다. 최적의 권취 방향과 보강사의 각도는 직물의 형태 및 치수에 따라 다르다. 2개의 시트의 각도가 권취 방향에 대해 대칭이라는 사실은, 압박이 직물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직물의 굴곡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지지체의 형태는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물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지지체는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태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직물은 직사각형의 형태이다.
직물이 직사각형의 형태인 경우, 직사각형의 폭에 평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직사각형의 길이에 수직인 권취 방향을 따라 직물이 권취된다. 이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출원인은 보강사 또는 보강사군이 상기 직사각형의 2개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되도록, 보강사를 배치하는 것이 유리한 것에 주목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직물은 2개의 추가적인 보강사의 시트, 즉 제3 시트 및 제4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사는 5° 내지 85°의 각도(α3, α4)로 상기 권취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각도는 권취 방향에 대해 대칭이다. 이 특정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권취 시에 보강사에 적용되는 압박이, 권취 과정의 진행에 따라 분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유리하다. 사실, 직물이 직사각형의 형태인 경우, 길이는 권취 과정 중에 동일한 치수를 나타내지만, 폭은 감소한다. 따라서, 계속 권취되어 있는 직물의 직사각형의 대각선은, 직물의 권취에 의해 직선형으로 변화하는 각도를 나타낸다. 보강사의 이론적 배치에 최적인 각도 또한 변화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서, 직물은 사다리꼴의 형태이다. 이 경우, 권취 방향은 상기 평행한 셀비지에 수직이며, 이는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을 형성하고, 실질적인 이유로, 권취축은 상기 2개의 평행한 셀비지 사이의 최대 셀비지측, 바꿔 말하면 사다리꼴의 아랫변측에 위치한다. 이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출원인은, 한 부분이 윗변과 아랫변을 연결하는 사다리꼴의 변 중 하나에 평행하고, 다른 부분이 윗변과 아랫변을 연결하는 사다리꼴의 다른 변에 평행하도록, 보강사를 배치하는 것이 유리한 것에 주목했다. 사실, 사다리꼴 형태의 직물이 어닝에 포함되는 경우, 윗변과 아랫변을 연결하는 사다리꼴의 변은 완전히 팽팽하지 않기 때문에 붕괴되는 경향이 있고, 이에 따라 보강사에 의해 직물의 가장자리에서의 굴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적절하게는, 보강사 시트들은 시트들간에 상이한 보강사 밀도를 나타낸다. 이는, 직물이 어닝에 포함되는 경우, 직물을 자체적으로 권취하는데 공급되는 작용력이 권취 과정의 진행에 의존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따라서, 각 시트의 보강사의 밀도는 직물에 적용되는 압박에 따라 조정해도 된다.
따라서, 적절하게는, 상기 시트들은 독립적으로 1cm당 2개 내지 8개의 보강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직물을 포함하는 어닝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닝이 적어도 2개의 직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직물은 납땜한 후에 캘린더링함으로써 래빗(rabbet)에서 조립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직물의 조립 영역에서 추가 두께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유리하며, 추가 두께는 조립 영역의 가장자리에서 직물에 장력을 발생시키고, 이는 주름을 야기하며 상술한 문제들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이 알려진 사실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 또한 그에 수반되는 이점은, 첨부된 도면의 뒷받침에 의해, 하기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여기서: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직물의 투시도이고;
-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3개의 특정 경우에 따른 직물의 상면도이며;
-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조립 전 및 후를 나타내는, 래빗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직물의 조립 영역의 횡단면이다.
물론, 도 1 내지 도 5b에 나타낸 요소의 치수 및 비율은, 현실에 비해 과장되었을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화살표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권취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직물은 지지체(5), 보강사(1)를 포함하는 시트, 및 보강사(2)를 포함하는 제2 시트를 포함한다.
보강사(1)를 포함하는 시트는 지지층(5) 상에 배치되고, 보강사(2)를 포함하는 시트는 보강사(1)를 포함하는 시트 상에 배치된다. 보강사는 평평하게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보강사(1)는 제1 시트의 평면을 규정하고, 보강사(2)는 제2 시트의 평면을 규정한다. 도 1에 나타낸 직물은 3개의 개별적이며 평행한 평면을 포함하고, 제1 평면은 지지층으로 나타내어지며, 제2 평면은 보강사(1)를 포함하는 제1 시트로 나타내어지고, 제3 평면은 보강사(2)를 포함하는 제2 시트로 나타내어지는 결과를 야기한다.
따라서, 보강사(1 및 2)는 전혀 수축하지 않는다. 이것의 효과는, 압박이 적용되자마자, 보강사가 이미 직선을 이루며 그들의 작용력을 즉시 전달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직물의 상면도이며, 봉사(sewing threads)(6)가 나타내어져 있다.
보강사(1)는 직물의 권취 방향과 각도 α1을 형성하고, 이 각도 α1은 5° 내지 85°이다. 보강사(2)는 권취 방향에 대해 각도 α1과 대칭인 각도 α2를 형성한다. 각도 α1과 α2가 대칭이라는 사실은 직물이 팽팽할 때 또는 권취 상태일 때에 직물에 압박이 균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봉사(6)는 보강사를 포함하는 시트가 지지층에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사는 보강사(2)를 포함하는 제2 시트가 배치된 후에 재봉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사를 포함하는 시트는 접착되어 재봉되지 않아도 되며, 또는 하나씩 재봉되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특정 실시형태는 4개의 보강사의 시트를 나타낸다.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보강사(1) 및 보강사(2)는 직물의 권취 방향과 각각 각도 α1 및 각도 α2를 형성한다. 보강사(3) 및 보강사(4)를 각각 포함하는 제3 및 제4 시트는 보강사의 제2 시트 위에 배치된다. 보강사(3)는 권취 방향과 각도 α3을 형성하고, 보강사(4)는 권취 방향과 각도 α4를 형성하며, 각도 α3 및 α4는 권취 방향에 대해 대칭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이한 시트는 개별적이며 평행한 평면에 있다.
보강사(3 및 4)의 흥미로운 점은, 보강사에 적용되는 작용력의 분산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보강사(3)는 각도 α1보다 큰 각도 α3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한쪽에서는 각도 α1 및 α2가, 다른쪽에서는 각도 α3 및 α4가 서로 대칭이라는 사실때문에, 각도 α4가 각도 α2보다 크다.
직물이 권취 상태인 동안, 로드 바(load bar)와 권취축 사이에 위치한 팽팽한 부분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직물이 권취되면 직물에 적용되는 힘이 방향을 바꾼다. 따라서, 적용되는 압박은, 직물이 권취됨에 따라 변화하고, 보강사(1 및 2)의 작용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보강사(3 및 4)에 보다 많은 요구가 있고, 보강사(1 및 2)에 적용되는 압박이 감소하며, 이는 작용력이 권취 과정 전체에 걸쳐 분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에 나타낸 특정 실시형태는 직물이 사다리꼴의 형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권취 방향은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을 형성하는 직물의 2개의 평행한 셀비지에 수직이다.
직물의 다른 특성, 즉 보강사 각도의 대칭성, 및 보강사 시트와 지지층의 개별적인 평면 상의 배치는 유사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사는 윗변과 아랫변을 연결하는 사다리꼴의 변과 평행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는, 사다리꼴의 아랫변보다 짧은 로드 바에 의해 장력이 적용될 때에 사다리꼴의 측면 영역에서 장력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직물 자체적으로 사용되는데 폭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몇개의 직물을 조립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적절하게는, 조립 영역에서 추가 두께가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물이 래빗에 의해 조립된다.
조립 영역에서 추가 두께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의 흥미로운 점은,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사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가 두께는 조립 영역의 가장자리에서 직물에 장력을 발생시키고, 이는 주름을 발생시키며, 상술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2개의 직물(7 및 8)이 조립된다. 직물(7 및 8)은 적어도 하나의 셀비지에, 뒷면측 또는 앞면측에, 두께의 일부에 걸쳐, 돌출부(71, 81)를 나타낸다(도 5a). 실제로, 돌출부(71, 81)를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직물(7)과 직물(8) 사이에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 5b). 바꿔 말하면, 돌출부(71)는 직물(7 및 8)의 두께에 있어서 돌출부(81)와 상호 보완적이다.
적절하게는, 직물(7)의 돌출부(71)는 직물(7)의 직물 코어(72)를 포함하고, 직물(8)의 돌출부(81)는 직물(8)의 직물 코어(82)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적절하게는, 돌출부(71)는 직물(7)의 두께의 대략 2/3와 같은 두께를 나타내고, 돌출부(81)는 직물(8)의 두께의 대략 1/3과 같은 두께를 나타낸다.
2개의 직물(7 및 8)은 그들의 돌출부(71, 81)를, 직물(7 및 8)의 뒷면 및 앞면과 일치하도록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조립된다(도 5b). 실제로, 돌출부(71, 81)가 겹쳐서 배치되면, 2개의 직물(7 및 8)이 그들 사이에 납땜된다.
실제로, 직물(7 및 8)의 돌출부(71, 81)는 다른 방법으로 얻어져도 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돌출부(71, 81)는 시트의 나머지 표면 상에 존재하는 층을 증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진다. 바꿔 말하면, 직물 코어가 코팅 상태일 때, 몇개의 기본층이 연속적으로 증착된다. 하나 이상의 이들 기본층은 특유의 스트립 영역에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기 위해, 이들 기본층의 일부로부터의 액체 PVC가 스트립 영역에서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코팅층이 나머지 표면에 비해 두께가 얇은 스트립을 제조하도록, 코팅기에 마스크가 추가되어도 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서, 돌출부(71, 81)는 시트의 표면에 존재하는 코팅층의 일부를 잘라냄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작업은 코팅층의 일부를 하나 이상의 스트립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2개의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기 면 중 하나에 코팅되어 있지 않은 직물(8)의 천 부분은 잘라냄으로써 제거된다.

Claims (12)

  1. 2개의 평행한 셀비지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한 셀비지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권취 방향으로 자체적으로 권취될 수 있어, 팽팽하게 유지되며 지지층(5)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5)이 앞면 및 뒷면을 갖는, 직물로서,
    상기 직물이, 하나가 다른 것의 위에 배열되며 보강사(reinforcement threads)(1, 2)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시트, 즉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가 뒷면에 배열되며, 상기 보강사(1, 2)가 권취 방향에 대해 5° 내지 85°의 각도(α1, α2)로 연장되고, 상기 각도(α1, α2)가 권취 방향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층(5)이 직물, 부직포, 그릴(grille) 또는 막(fil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강사(1, 2)를 포함하는 상기 시트가 상기 지지층(5)에 재봉되거나 또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의 보강사(1, 2)가 모두 인접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사(1, 2)가 50데시텍스(dtex) 내지 1,200데시텍스의 수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이 상기 앞면 및/또는 상기 뒷면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사(3, 4)의 2개의 추가 시트, 즉 제3 시트 및 제4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사(3, 4)가 상기 권취 방향에 대해 5° 내지 85°의 각도(α3, α4)로 연장되며, 상기 각도(α3, α4)가 권취 방향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사 시트(1, 2, 3, 4)들은 시트들간에 상이한 보강사 밀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들은, 독립적으로 1cm당 2개 내지 8개의 보강사(1, 2, 3, 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5)이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어닝(awning).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적어도 2개 포함하고, 상기 직물이, 결합시킨(soldering) 후에 캘린더링(calendering) 또는 래빗(rabbet)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
KR1020207024166A 2018-02-23 2019-02-21 보강사의 시트를 갖는 직물, 및 상기 직물을 포함하는 어닝 KR20200123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1595 2018-02-23
FR1851595A FR3078346B1 (fr) 2018-02-23 2018-02-23 Textile avec nappes de fils de renfort
PCT/FR2019/050405 WO2019162627A1 (fr) 2018-02-23 2019-02-21 Textile avec nappe de fils de renfort et store banne comprenant ledit text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788A true KR20200123788A (ko) 2020-10-30

Family

ID=6216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166A KR20200123788A (ko) 2018-02-23 2019-02-21 보강사의 시트를 갖는 직물, 및 상기 직물을 포함하는 어닝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079570A1 (ko)
EP (1) EP3755834A1 (ko)
KR (1) KR20200123788A (ko)
CN (1) CN111757951B (ko)
AU (1) AU2019223287A1 (ko)
CA (1) CA3092135A1 (ko)
FR (1) FR3078346B1 (ko)
SG (1) SG11202007547UA (ko)
WO (1) WO20191626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8364A (en) * 1982-06-04 1983-06-14 Milliken Research Corportion Heat set warp knit weft inserted fabric and coating thereof
DE3304345C2 (de) * 1983-02-09 1986-04-10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Kettenwirkware mit Verstärkungsfäden
USRE32387E (en) * 1983-05-09 1987-03-3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Athletic support fabric
US4682480A (en) * 1985-10-04 1987-07-28 Burlington Industries, Inc. Warp-knit, weft-inserted fabric with substrate and method and apparatus to produce same
US5809805A (en) * 1996-09-03 1998-09-22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Warp/knit reinforced structural fabric
US6027615A (en) * 1997-05-06 2000-02-22 Albany International Corp. Belts for compliant calendering
DE19853591A1 (de) * 1998-11-20 2000-05-25 Schmitz Werke Markisentuch
ITUD20010059A1 (it) * 2001-03-30 2002-09-30 Alpe Adria Textil Srl Griglia tessile multiassiale per impiego tecnico o geotecnico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WO2002089617A2 (en) * 2001-05-03 2002-11-14 Eric Hazan Anti-vandalism and cut resistant fabric
FR2877368A1 (fr) * 2004-11-02 2006-05-05 Paul Riedel Complexes de protections solaires decoratifs au travers ou en dessous desquels les gens ou les choses ne soient ni trop a l'ombre, ni eblouis, ni surchauffes mais proteges des intemperies legeres
DE102008000419A1 (de) * 2008-02-27 2009-09-03 Basf Se Mehrschichtige Verbundmaterialien, die ein textiles Flächengebilde umfass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2753758B1 (en) * 2011-09-09 2020-10-21 Nicolon Corporation doing business as Tencate Geosynthetics North America Multi-axial fabric
PL2659800T3 (pl) * 2012-01-18 2018-10-31 Mrm Hk Limited Wzmocniony materiał tekstylny
CN103114380A (zh) * 2013-02-18 2013-05-22 常州市宏发纵横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双向增强织物生产方法
CN103374788A (zh) * 2013-05-16 2013-10-30 江南大学 一种预氧丝绑缚的准全碳碳纤维多轴向经编织物
CN104389085A (zh) * 2014-10-28 2015-03-04 常州市宏发纵横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遮阳用多轴向增强织物的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57951B (zh) 2023-05-12
SG11202007547UA (en) 2020-09-29
AU2019223287A1 (en) 2020-08-27
CN111757951A (zh) 2020-10-09
WO2019162627A1 (fr) 2019-08-29
CA3092135A1 (fr) 2019-08-29
US20210079570A1 (en) 2021-03-18
EP3755834A1 (fr) 2020-12-30
FR3078346A1 (fr) 2019-08-30
FR3078346B1 (fr)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5808B2 (en) Multi-directional reinforcing drywall tape
US5654073A (en) Treated fabric panel
US7279436B2 (en) Grid fabric
DK3201381T3 (en) Masonry Reinforcement Structure Including Parallel Components Of Grouped Metal Filaments And A Polymer Coating
JPH01314751A (ja) 構造体を造るための織物およびこの織物を造るための方法
KR20200123788A (ko) 보강사의 시트를 갖는 직물, 및 상기 직물을 포함하는 어닝
KR102227785B1 (ko) 내진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 띠형 섬유보강재
DK2799657T3 (en) Lead-through device, curtain fabric for protection from the sun and the arrangement of such a transfer device
US2842472A (en) Non-woven cloth
JP2652213B2 (ja) 超軟弱地盤覆土工法
JP2652219B2 (ja) 超軟弱地盤覆土工法
JP6895661B2 (ja) 目地テープ
JP2592292B2 (ja) 土木用網
JP2897087B2 (ja) 建築工事用メッシュ状シート
CN216579566U (zh) 一种复合土工布
JP3378947B2 (ja) タフテッド人工芝生
JP3848425B2 (ja) メッシュシート
JPH0226965Y2 (ko)
JPS60208518A (ja) ネット材
JPH0230477Y2 (ko)
JPH0117511B2 (ko)
SU870521A1 (ru) Нитепрошивное полотно
JP2019112862A (ja) 透水性繊維強化シート
JPH04119140A (ja) 芯入二重織物
JPH02274919A (ja) 盛土用補強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