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111A -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111A
KR20200123111A KR1020207023133A KR20207023133A KR20200123111A KR 20200123111 A KR20200123111 A KR 20200123111A KR 1020207023133 A KR1020207023133 A KR 1020207023133A KR 20207023133 A KR20207023133 A KR 20207023133A KR 20200123111 A KR20200123111 A KR 2020012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air
heating press
area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106B1 (ko
Inventor
안드리아스 스토만
포코 에르드만
Original Assignee
하부르크-프로이덴베르거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부르크-프로이덴베르거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부르크-프로이덴베르거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2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75Controlling the vulcanization processes
    • B29D2030/0677Controlling temperature differences

Abstract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추출된 공기는 하나 이상의 배기 공기 처리 장치에 공급된다. 장치의 영역에서 추출된 공기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변경된다. 특히 가열 프레스로서 타이어 가열 프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추출된 공기에 작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추출된 공기가 공급되는 가열 프레스 영역에서의 공기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추출된 공기에 작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가열 프레스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 추출 장치가 장착된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그린 타이어를 가황처리하기 위하여, 타이어 가열 프레스가 사용된다. 타이어 가열 프레스는 일반적으로 가황처리될 타이어가 삽입되는 몰드를 갖는다. 그린 타이어 및 가황처리된 타이어의 취급과 가황처리 공정으로 인해 많은 가스와 입자가 방출되고 배출된다. 한편으로 이러한 가스는 따뜻하거나 심지어 고온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환경 및/또는 건강에 잠재적으로 해를 끼칠 수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타이어 가열 프레스로부터 가황처리된 타이어를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가스, 입자 및 열이 방출되고, 이들은 고온이고 완전히 가열된 타이어로부터 배출되어 배기를 형성한다.
직원 및 환경 보호와 관련된 규정에 따라 이 배기 공기를 처리해야 한다. 이 규정의 목적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먼지, 에어로졸 및 독성 가스로 인한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작동 모드에 따르면 타이어 가열 프레스는 제조 공장 영역에 설치되고 배기 공기는 공장 천장 영역으로 상승하여 그곳에서 배출 또는 추출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배출 또는 추출되기 전에 독성 물질이 환경으로 방출되도록 유도한다. 다른 한편으로, 열의 형태로 환경에 대한 상당한 에너지 손실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친화성 및/또는 에너지 소비 또는 에너지 효율에 대한 증가된 요구가 만족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열 프레스 영역에서 공기 추출 방법을 개선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적화된 작동 조건이 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공기 추출 장치를 개선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추출 장치, 청구항 12에 기재된 가열 프레스 및 특허 청구항 13에 기재된 공기 추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를 위해, 타이어 가열 프레스 영역에서 공기를 추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 장치를 가지며, 이는 각각의 경우 예를 들어, 배출 파이프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라인을 통해 하나 이상의 공기 전달 장치에 연결된다.
공기 전달 장치는 팬/송풍기 또는 펌프로 구현되며, 이를 통해 추출 장치 영역에서 진공이 생성될 수 있다.
추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 개구를 가지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추출 개구 영역의 주변 공기는 공기 전달 장치의 도움으로 생성된 진공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추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 개구로 흡입된 배기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 라인의 도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처리 장치의 영역으로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 처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프레스 영역의 공기 추출 장치는 적어도 2 개의 배기 처리 장치를 가지며, 이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를 갖는다.
열 교환기는 바람직하게는 핀형 튜브 열 교환기 또는 코일 열 교환기로 설계된다.
적어도 하나의 배기 처리 장치가 배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전달 장치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터는 배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 공기 전달 장치의 상류에 배열되고, 따라서 배기 공기는 필터를 통해 흡입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특히 복수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 또는 이중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추출 공기 처리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전달 장치를 배치하고, 복수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 및/또는 이중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대해 하나 이상의 중심 배기 공기 처리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공기 전달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또한 복수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 및/또는 이중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전달 장치 및/또는 하나의 배기 공기 처리 장치의 중심 배열에 따라 각각의 경우 복수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 또는 이중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전달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 공기 처리 장치의 개별 할당을 조합하는 것이 고려된다.
흐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전달 장치의 상류에 배열되며, 각각의 연결된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대해 각각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라인 내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플랩이 있다.
플랩을 사용하여 각 추출 라인은 완전히 또는 점진적으로 밀폐되고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랩은 플랩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플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은 각각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랩은 각각 할당된 타이어 가열 프레스의 도움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제조 단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랩은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추출 라인 내의 플랩의 정렬은 추출 라인의 개방이 약 0%, 30%, 50%, 70% 또는 약 100%가 달성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가열 프레스 영역의 공기 추출 장치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움으로, 추출된 배기 공기의 체적 흐름은 할당된 플랩의 개방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전달 장치의 전달 속도에 따라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행되는 각 공정 단계를 고려하면, 배기 공기 중의 가스, 입자 및 열 에너지의 증가된 농도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배기 공기 처리의 효율이 개선된다.
특히 열 에너지 회수 효율이 향상된다.
가열 프레스 영역의 공기 추출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출 장치는 특히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할당된 타이어 가열 프레스 위에 배치되는 추출 후드로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출 장치는 추출 슬롯으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개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추출 슬롯은 하향 개방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출 후드로서 설계된 추출 장치는 추출 장치의 하부 측면에서 외부 주위에 형성되는 추출 슬롯으로서 설계된 추출 개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추출 개구가 추출 장치의 하부 측면에 배열되고, 특히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이들은 외부 주위에서 형성되는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된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를 위해 추출 후드는 이중 벽 설계로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추출 후드의 벽들 사이에 배치된 영역이 추출된 공기의 가이드 구조로 제공된다.
추출 장치의 하부 측면 상에서 에지에서 주변 영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 개구의 배열로 인해, 강화된 추출 효과가 이들 영역에서 달성될 수 있고, 주변 공기 또는 작업장 공기의 영역으로 고온 가스 또는 추출 공기 내에 수용된 독성 가스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상당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배기 공기가 가열 프레스의 개구 영역에서 직접 추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 장치가 타이어 몰드를 보유하거나 또는 이를 둘러싸는 타이어 가열 프레스 요소의 영역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출 장치는 가열 프레스의 개구를 향하는 용기의 측면 및 가열 프레스의 개구를 향하는 몰드 압력 플레이트의 측면 모두에 배치된다.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직접 연결된 추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성 요소의 외부 에지를 따라 이어지는 파이프로 설계되고 구성 요소의 원주를 따라 또는 추출 장치의 종방향으로 분포된 추출 개구를 갖는 파이프로 설계된다.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추출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추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가열 프레스로부터 방금 제거된 타이어의 증착 표면 영역 및/또는 이미 어느 정도 냉각된 타이어가 가열 프레스로부터 멀리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공기 전달 장치의 전달 속도가 제어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공기 전달 장치의 전달 속도는 하나 이상의 할당된 타이어 가열 프레스의 제조 사이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전달 장치의 전달 속도의 제어는 예를 들어 주파수 제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추출 장치에서의 추출 용량은 추출 장치에 연결된 추출 라인의 치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특히, 가열 프레스의 표면 온도가 낮아지더라도 너무 많이 감소되지 않도록 추출 용량도 지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체 시스템의 전력 소비는 수요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는 배기 시스템의 용량의 폐쇄 루프 및/또는 개방 루프 제어를 위한 적절한 제어 유닛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및/또는 압력 스위치 및/또는 온도 센서를 갖는다.
시스템의 효율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폐열이 다른 공정, 예를 들어 가황, 온수 준비 및/또는 건물 난방용으로 열 펌프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추출 장치는 작업장 벽, 작업장 천장 또는 작업장 바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공기 추출 장치를 갖는 가열 프레스도 고려된다.
적어도 하나의 변형에서, 가열 프레스 영역에서의 공기 추출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배기로부터의 열 회수 및/또는 배기 처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타이어 가열 프레스의 도움으로 제조 사이클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방법 단계 중에 시간의 함수로서 방출된 가열 가스, 입자 및 화합물의 양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한다.
여기서, 제조 사이클은 예를 들어, 타이어 가열 프레스 예열/가열, 타이어 가열 프레스 로딩, 타이어 가열 프레스의 밀폐, 타이어의 가황처리, 타이어 가열 프레스의 개방 및 타이어 가열 프레스 언로딩 단계를 포함한다.
제조 사이클의 지속 시간은 약 12분이며, 배기 가스의 주요 양은 제조 사이클의 약 25 %의 시간 창에서 형성되고 방출된다.
종종 대부분의 퓸(fume) 및/또는 배기 가스 형성은 제조 사이클의 처음 2 ~ 4 분 동안 발생한다.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변형예에 따라서,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할당된 플랩 및/또는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할당된 공기 전달 장치의 전달 속도는 배기 가스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고(전달 속도) 또는 증가적으로 밀폐될 수 있고(플랩), 배기 가스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될 수 있고(전달 속도) 또는 증가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한 변형 실시예에서, 가열 프레스 영역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추출 방법은 적어도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1. 공기 전달 장치의 작동에 의해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단계,
2. 가열 프레스 영역에서 추출 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를 추출하는 단계,
3. 현재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제조 단계 및/또는 제조 사이클의 일시적 위치를 판독/인식하는 단계,
4.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의해 현재 수행되고 있는 제조 단계 및/또는 제조 주기의 일시적 위치에 따라 필요한 플랩 위치 조절을 위한 제어 데이터 생성 단계,
5. 단계 3에서 결정된 플랩 위치에 따라 플랩의 영역에서 추출 라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고 추출 라인의 영역에서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할당된 플랩을 제어하는 단계,
6. 필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출 장치에 의해 흡입된 배기 공기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또는
7.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배기 공기로부터 열 에너지를 회수하는 단계.
방법 단계 1, 2, 6 및 7은 방법 단계 3, 4 및 5와 시간면에서 독립적이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수행된다.
단계 3 및 4에서, 플랩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조 사이클에서 임시 위치 및/또는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 의해 현재 수행되는 제조 단계에 종속하여 전달 라인을 제어하기 위하여 공기 전달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가능하다.
방법 단계 3에서, 센서 데이터, 특히 해당 센서의 압력 및/또는 온도 데이터가 판독되고 평가되며 및/또는 제조 사이클에서의 순간적 위치 및/또는 방법 단계가 각각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의 제어 유닛으로부터 판독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열 프레스 영역의 공기 추출 방법은 가열 프레스 영역의 공기 추출 장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 유형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플랩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전달 장치의 전달 속도의 개방 루프 제어 및/또는 밀폐 루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고려되며, 이는 타이어의 유형에 따라 각 제조 사이클에서 배기 가스의 양과 배기 가스가 발생하는 시간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복수의 가열 프레스를 갖는 시스템에서 개별 가열 프레스의 배기 가스 흐름의 중첩 및 각 제조 사이클의 오프셋을 통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비교적 균일 한 배기 가스/배기 공기 흐름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프레스 영역에서 공기를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배기 공기의 양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배기 중의 배기 가스로부터의 오염 물질 및 열 에너지의 농도는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열 교환기에 의해 공급되는 에너지는 제조 공장으로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를 가열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일 목표는 예를 들어 작업장 공기 영역에서 25 ~ 27 ℃의 온도 범위이다.
열대 지역이나 기후가 따뜻한 지역에서는 열 교환기에 의해 공급하는 에너지는 에어컨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 펌프를 공기 조화 시스템으로 직접 통합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타이어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의 구현과 관련된 도면.
도 2는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의 또 다른 설계 구현과 관련된 도면.
도 3은 추가 변형된 설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타이어 가열 프레스에서 직접 추출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공기 추출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도 1의 도면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추출은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 위에 및/또는 인접 또는 뒤에서 수행된다.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는 이중 타이어 가열 프레스로 설계된다.
공기 추출 장치(100)는 추출 후드로 설계되고 각각 추출 라인(120)을 통해 펌프로 설계된 공기 전달 장치(130)에 연결되는 2개의 추출 장치(110)를 갖는다.
각각의 추출 장치(110) 영역의 하단에는 추출 개구(11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추출 장치(110)의 외부 에지를 주위에 있는 추출 슬롯으로 구현된다.
추출 라인(120)에서, 추출 라인(120)이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의 중심에 배치된 추출 장치(110)에 연결되는 영역에 플랩(150)이 배치되며, 여기서 추출 라인(120)은 상기 라인 내의 플랩 위치에 의해 점진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공기 전달 장치(130)의 영역에는 필터(141)와 열 교환기(142)를 모두 갖는 배기 처리 장치(140)가 배치된다.
제2 추출 장치(110)는 컨베이어 벨트(240) 위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완전히 가황처리되고 다소 냉각된 타이어가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로부터 이격되게 이송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은 마찬가지로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 위에, 이에 인접하게, 또는 뒤에서 수행된다. 여기서도 플랩(150)을 제어하여 추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가열 프레스(200) 영역의 공기 추출 장치(100)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배기 처리 장치(140) 영역에 히트 펌프(143)를 갖는다.
공기 추출 장치(100)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프레스(200) 위에, 이에 인접하게 또는 뒤에 추출이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공기 추출 장치(100)는 5개의 추출 장치(110)를 갖는다.
2개의 추출 장치(110)는 또한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 위와 컨베이어 벨트(240) 위에 중심에 배치된다. 추가 추출 장치(110)가 증착 표면(230) 위에 배열되며, 여기에 완전히 가황 처리된 타이어가 컨베이어 벨트(240)로 운반되기 전에 냉각을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2개의 추가 추출 장치(110)가 가열 프레스(200)에 직접 설치되며, 추출 장치(110) 중 하나는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의 하부 측면 상에서 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다른 추출 장치(110)는 개구의 영역에서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의 상부 측면에 배치된다.
모든 추출 장치(110)는 추출 라인(12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전달 장치(130)에 연결된다. 3개의 추출 라인(120) 각각의 영역에 플랩(150)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플랩(150)은 현재 수행 중인 제조 단계 또는 현재 수행 중인 제조들 단계에 따라 제어되어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의 대응 영역에서 추출 가스의 국부 발생에 따라 더 많거나 또는 적은 공기가 추출된다.
타이어가 현재 가황되거나 또는 각각의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가 후속 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방법 및 장치의 발명에 따른 변형에서,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 위에서 중심에 배열된 추출 장치(110)에 할당된 플랩(150)은 국부적 추출 능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넓게 또는 최대로 개방된다.
가황처리된 타이어가 증착 표면(230)에 장착되면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의 중심에 배치된 추출 장치(110)에 할당된 플랩(150)이 다소 더 밀폐되고 증착 표면(230) 위에 배열된 추출 장치(110)에 할당된 플랩(150)은 추가로 개방된다.
가황처리된 타이어가 컨베이어 벨트(240)에 장착되면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의 중심에 배치된 추출 장치(110)에 할당된 플랩(150)이 다소 더 밀폐될 수 있으며 증착 표면(230) 위에 배열된 추출 장치(110)에 할당된 플랩(150)은 재치 밀폐되고, 컨베이어 벨트(240) 위에 배치된 추출 장치(110)에 할당된 플랩(150)은 넓게 개방된다.
가황처리된 타이어가 컨베이어 벨트(240)의 도움으로 이송되면, 컨베이어 벨트(240) 위에 배치된 추출 장치(110)에 할당된 플랩(150)이 재차 밀폐된다.
플랩 위치의 제어와 관련하여, 공기 전달 장치(130)의 전달 속도의 수요 의존적 제어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현된다.
도 4는 각각 펌프로 설계된 2개의 공기 전달 장치(130)를 사용할 때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에서 직접 추출을 사시 상세도에 도시하며 관련 필터(141) 및 열 교환기(142)를 도시한다.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 상부 부분에서 용기(220) 하부 단부 영역에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추출 장치(110)가 배치된다. 링 형태로 형성되는 추출 장치(110)는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의 하부 부분에서 몰드 압력 플레이트(210)의 영역에 배열된다.
그 정도에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는 추출 장치(110)는 배기 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추출 개구(111)를 갖는다.

Claims (15)

  1. 가열 프레스(200)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장치(100)로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장치(110), 하나 이상의 추출 라인(120), 하나 이상의 공기 전달 장치(130), 하나 이상의 추출 공기 처리 장치(140),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추출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추출 개구(111)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플랩(150)은 제어 유닛의 도움으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플랩에 의해 각각의 추출 라인(120)은 완벽히 및/또는 점진적으로 밀폐 및 개방되고, 하나 이상의 추출 라인(120)의 영역에 배열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기 처리 장치(140)는 하나 이상의 필터(141)를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기 처리 장치(140)는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142)를 갖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수의 추출 장치(110)를 가지며, 복수의 추출 장치(110)는 가열 프레스(200)에 개별적으로 할당되고 각각의 가열 프레스(200)의 영역에 배열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출 장치(110)는 추출 후드로서 설계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출 장치(110)는 추출 장치(110)의 하부 영역에 외부 영역 내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개구(111)를 갖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출 장치(110)의 하나 이상의 추출 개구(111)는 추출 슬롯으로 설계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프레스(200)에 할당된 다양한 추출 장치(110)에서의 추출 용량은 하나 이상의 공기 전달 장치(130)의 전달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및/또는 복수의 플랩(150)을 제어함으로써 개방 루프 및/또는 밀폐 루프 제어가 개별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이 설계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프레스(200)에 할당된 추출 장치(110)의 개별 추출 용량은 가열 프레스(200)를 이용하여 현재 수행되는 제조 단계 및/또는 다음의 단계에 종속하여 개방 루프 및/또는 밀폐 루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압력 및/또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가지며, 이 센서로부터의 측정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추출 장치(110)에서의 추출 용량의 현재의 요구 및/또는 가열 프레스(200)로 현재 수행되는 제조 단계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 유닛의 도움으로 평가될 수 있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프레스(200)는 타이어 가열 프레스 또는 이중 타이어 가열 프레스로 설계되는 장치.
  12. 타이어를 가황처리하기 위한 가열 프레스(200)로서,
    상기 가열 프레스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 추출 장치(100)를 갖는 가열 프레스.
  13. 가열 프레스(200)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배기 가스 및 공기는 하나 이상의 가열 프레스(200)의 영역에서 공기 전달 장치(110)의 도움으로 추출되고, 배기 가스 및 공기로 구성된 배출 공기는 하나 이상의 배기 처리가 수행되고, 추출 용량은 가열 프레스(200)로 수행되는 제조 단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배기 공기 내에 존재하는 열 에너지의 회수는 배기 공기 처리의 일부로서 수행되는 방법.
  15. 제13항 및 제14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공기 추출 장치(100)가 사용되는 방법.
KR1020207023133A 2018-02-16 2019-02-14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흡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90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001333.3 2018-02-16
DE102018001333 2018-02-16
PCT/DE2019/000036 WO2019158146A1 (de) 2018-02-16 2019-02-1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uftabsaugung im bereich einer heizpre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111A true KR20200123111A (ko) 2020-10-28
KR102590106B1 KR102590106B1 (ko) 2023-10-16

Family

ID=6581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133A KR102590106B1 (ko) 2018-02-16 2019-02-14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흡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00406319A1 (ko)
EP (1) EP3752299A1 (ko)
JP (1) JP7194742B2 (ko)
KR (1) KR102590106B1 (ko)
CN (1) CN111727086A (ko)
BR (1) BR112020016329B1 (ko)
DE (1) DE102019103739A1 (ko)
MX (1) MX2020008532A (ko)
RU (1) RU2020130262A (ko)
WO (1) WO2019158146A1 (ko)
ZA (1) ZA2020049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5960A (zh) * 2020-11-07 2021-02-26 台州聚合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活络模具
CN114497676B (zh) * 2022-01-17 2022-10-18 深圳市中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生产电芯入料工装夹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5669A (ja) * 2009-06-23 2011-01-13 Bridgestone Corp 加硫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加硫装置
KR20110005779A (ko) * 2008-01-18 2011-01-19 엠피씨 인크. 배기 가스 팬 시스템용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942A (ja) * 1982-09-02 1984-03-09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加硫方法
DE3248486A1 (de) * 1982-12-29 1984-07-05 Franz Dipl.-Ing. 8943 Babenhausen Bejbl Absaughaube mit strahlungswaermeabsorber
US5085133A (en) * 1990-10-29 1992-02-04 Diesel Equipment Limited Exhaust extraction system for welding site
JPH0938996A (ja) * 1995-07-31 1997-0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加硫機
JP3983378B2 (ja) * 1998-05-18 2007-09-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方法及びタイヤ加硫機
JP4571348B2 (ja) * 2001-08-10 2010-10-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2003245923A (ja) * 2002-02-25 2003-09-02 Bridgestone Corp ゴム成型品加硫モールド
JP4772027B2 (ja) * 2006-12-05 2011-09-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
JP4984897B2 (ja) * 2007-01-10 2012-07-2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装置
CN102284220B (zh) * 2011-06-14 2013-10-09 苏州市协力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热压机废气处理方法及设备
JP2013035213A (ja) * 2011-08-08 2013-02-21 Bridgestone Corp 加硫装置
CN203862656U (zh) * 2013-11-21 2014-10-08 攀枝花钢城集团有限公司 热压机废气收集系统
CN205074323U (zh) * 2015-10-30 2016-03-09 陈少泉 用于板材生产领域的热压机气体处理装置
CN105479649A (zh) * 2015-12-19 2016-04-13 重庆市丹翼工贸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除尘功能的汽车内饰件热压设备
CN107538655A (zh) * 2016-06-28 2018-01-05 重庆市鑫勇灯饰厂 一种橡胶硫化设备
CN206373142U (zh) * 2016-11-29 2017-08-04 山东荣创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轮胎硫化机废气收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779A (ko) * 2008-01-18 2011-01-19 엠피씨 인크. 배기 가스 팬 시스템용 제어 시스템
JP2011005669A (ja) * 2009-06-23 2011-01-13 Bridgestone Corp 加硫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加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406319A1 (en) 2020-12-31
ZA202004940B (en) 2022-01-26
RU2020130262A (ru) 2022-03-16
JP7194742B2 (ja) 2022-12-22
DE102019103739A1 (de) 2019-08-22
WO2019158146A9 (de) 2020-07-16
EP3752299A1 (de) 2020-12-23
BR112020016329B1 (pt) 2023-10-10
BR112020016329A2 (pt) 2020-12-15
CN111727086A (zh) 2020-09-29
WO2019158146A1 (de) 2019-08-22
JP2021514312A (ja) 2021-06-10
KR102590106B1 (ko) 2023-10-16
MX2020008532A (es)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3111A (ko)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추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090651A1 (en) Temperature adjustment apparatus for high temperature oven
CN206715525U (zh) 一种光纤预制棒生产线细颗粒物干法净化回收装置
CN205664606U (zh) 一种真空烤箱的风冷降温系统
CN106723190A (zh) 一种香菇烘干装置
CN202129007U (zh) 生物制药行业干燥系统烘干尾气治理装置
CN205403452U (zh) 电池片烘干炉排气装置
CN107677094A (zh) 具有除尘功能的多层循环式热泵烘干机
CN205570280U (zh) 一种沸腾制粒干燥机
CN211668211U (zh) 干燥处理系统
CN105716383A (zh) 一种多功能密封干燥槽
CN211626008U (zh) 干燥处理设备
CN207197207U (zh) 多层循环式热泵除尘烘干机
CN107224831A (zh) 一种喷雾干燥塔废气除尘处理设备
CN211651262U (zh) 一种排烟热能再利用装置
CN104890142A (zh) 一种塑料颗粒干燥设备
CN103519327A (zh) 具调温模块的热风式咖啡豆烘培机结构及其调温模块
CN209978613U (zh) 一种新型网带式电阻炉
CN214178932U (zh) 一种改进型的茶叶烘干机
CN210396275U (zh) 一种蜂胶的提纯车间
CN208382920U (zh) 一种新型陶瓷窑炉节能系统
CN204854291U (zh) 热能回收机
CN211036444U (zh) 一种涤纶坯布定型装置
CN211926321U (zh) 一种烘干均匀的电热鼓风干燥箱装置
CN210417145U (zh) 粉料冷却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