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057A -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057A
KR20200123057A KR1020200135366A KR20200135366A KR20200123057A KR 20200123057 A KR20200123057 A KR 20200123057A KR 1020200135366 A KR1020200135366 A KR 1020200135366A KR 20200135366 A KR20200135366 A KR 20200135366A KR 20200123057 A KR20200123057 A KR 20200123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connector
base portion
cooling pipe
connector
shape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027B1 (ko
Inventor
게오르그 아이히베르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23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5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3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냉각파이프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따기된 외주면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O링의 수용을 위한 원주형 홈을 가지는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는 중공관 형태의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을 포함하며, 상기 예각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제1단부를 향하는 꼭지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FOR COOLING PIPE}
본 발명은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는 중공관 형태의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제1단부는 베이스부에서 모따기된 외주면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O링의 수용을 위한 원주형 홈을 가지는 수커넥터에 관한 기술이다.
냉각파이프는 상당히 다양하고 상이한 기기들에 이용된다. 이러한 많은 기기들은 냉각시스템으로부터 냉각파이프를 제공받도록 마련된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시스템은 상기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내부 냉각시스템에 냉매 등의 유체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은 적어도 2개의 나사를 포함하는 냉각접속커넥터를 통해 냉각파이프를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냉각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연결방식은 나사 연결을 위한 부싱을 추가적으로 포함해야 하는 커넥터와 구분되는 기계가공된 하우징이 요구된다. 이것은 제조과정에 대한 추가 소요 및 냉각시스템의 불필요한 비용증가를 야기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나사가 필요 없고,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내부 냉각시스템의 암커넥터로부터 의도치 않게 수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냉각시스템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수커넥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수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는 중공관 형태의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제1단부는 베이스부에서 모따기된 외주면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O링의 수용을 위한 원주형 홈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는 그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은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표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예각은 베이스부의 제1단부를 향하는 꼭지점을 가질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예각의 개방부는 베이스부의 제2단부를 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와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내부 냉각시스템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탄성핀이 미늘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나사가 필요하지 않고, 하우징이나 하우징의 내부 냉각시스템의 암커넥터로부터 의도치 않게 수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는 냉각파이프와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내부 냉각시스템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수커넥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바람직한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주형 홈은 베이스부의 길이를 따라 탄성핀과 모따기된 외주면 모서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수커넥터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내부 냉각시스템의 암커넥터와의 밀봉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수커넥터의 탄성핀이 그와 대응되는 암커넥터의 구성에 장착되기 전에 수커넥터의 베이스부에서 제1단부상의 원주형 홈에 배치된 O링이 암커넥터에 삽입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예각은 α = 5°, to α = 10°, to α = 15° , to α = 20°, to α = 25°, to α = 30°, to α = 35°, to α = 40°, to α = 45°, to α = 50°, to α = 55° or to α = 60°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은 상기 수커넥터 베이스부의 절개부에 의한 결과물일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톱 자국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실질적으로 톱 자국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서, 특히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을 형성하는 절개부가 포함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은 특히 베이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절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 표면의 절개가 용이한 바 탄성핀의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공관 형태의 베이스부는 내경 ri와 외경 ra를 가지며 수커넥터 베이스부의 절개부는 깊이 d를 가지고, d < ra - ri일 수 있다.
절개부는 베이스부의 내경 ri와 교차하지 않으므로(접하지 않으므로) 수커넥터 내부 또는 냉각파이프의 유체가 수커넥터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은 실질적으로 핀(fin)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핀(fin)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탄성핀은 베이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커넥터는 베이스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에 각각 마련되는 2개의 탄성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결상태의 수커넥터는 베이스부에서 2개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상에서 암커넥터와 연결되므로,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간의 연결이 매우 안정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커넥터는 베이스부의 표면상에 T형탄성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커넥터는 베이스부의 표면상에서 탄성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T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T형탄성클립이 추가적으로 암커넥터에 제공된 대응구성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간의 연결이 보다 강화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T형탄성클립은 수커넥터의 중앙선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암과 수커넥터의 중앙선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T형탄성클립은 암커넥터로부터 수커넥터를 용이하게 해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T형탄성클립은 베이스부의 중앙선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암 및 베이스부의 중앙선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T형탄성클립은 암커넥터로부터 수커넥터를 해제하도록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T형탄성클립은 수커넥터의 중앙선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암 및 수커넥터의 중앙선과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과 정렬될 수 있다. 수커넥터는 베이스부의 서로 대항하는 한 쌍의 측면부에 탄성을 가지는 2개의 T형탄성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수커넥터는 베이스부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들상에 탄성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T형인 2개의 T형탄성클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1개가 아닌 2개의 T형탄성클립이 베이스부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에서 암커넥터의 대응구성에 맞물릴 수 있기 때문에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간의 연결 안정성이 보다 강화된다.
수커넥터는 예컨대 2개의 손가락으로 T형탄성클립들을 동시에 작동시켜 수행될 수 있는 핀치 이동을 통해 암커넥터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냉각파이프 및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시스템이 제공된다. 연결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가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암커넥터는 하우징의 표면에서 개구를 가지는 관 형상의 원형체결부를 포함한다. 관 형상의 원형체결부는 수커넥터의 베이스부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원형체결부는 수커넥터 베이스부의 일부가 암커넥터에 삽입될 때 수커넥터의 탄성핀이 장착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시스템에 의해 냉각파이프와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내부냉각시스템간에 안정적인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암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과 수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은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한다.
상기의 끼워맞춤 결합은 수커넥터의 베이스부 일부가 암커넥터에 삽입될 때 결합상태가 된다.
끼워맞춤결합 방식은 강한 결합이지만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시스템에서, 수커넥터를 연결시스템의 암커넥터에 결합시키거나 다시 해제하기 위해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추가적인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원형체결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상에 각각 2개의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수커넥터의 2개의 T형탄성클립은 암커넥터의 2개의 고정홀에 각각 강한 결합력을 형성하며 맞물릴 수 있다.
하우징 표면은 수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에 대한 지지면이고, T형탄성클립이 맞물리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수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은 하우징의 지지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수단에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시스템이 연결상태일 때 T형탄성클립 및 블로킹수단은 체결상태가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암커넥터내의 수커넥터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수단은 지지면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돌기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을 수용하기 위한 갭이 형성된다.
2개의 돌기는 T형탄성클립 및 블로킹수단이 체결상태일 때 T형탄성클립을 반경방향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커넥터가 T형탄성클립이 2개의 돌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암커넥터에 삽입되는 경우 T형탄성클립이 블로킹부재에 쉽게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암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이 작동됨과 동시에 수커넥터가 회전되면 수커넥터를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암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이 작동됨과 동시에 수커넥터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되면 수커넥터를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커넥터는 하우징의 암커넥터에 안전하게 연결 가능하고, 동시에 암 커넥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수커넥터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수커넥터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커넥터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암커넥터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핀 및/또는 T형탄성클립은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핀 및/또는 T형탄성클립은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일 수 있다.
암커넥터의 블로킹부재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암커넥터의 블로킹부재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일 수 있다.
암커넥터의 원형체결부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일 수 있고, 암커넥터의 원형체결부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커넥터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수커넥터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암커넥터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핀 및/또는 T형탄성클립은 수커넥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핀 및/또는 T형탄성클립은 수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나사가 필요없고 하우징이나 하우징의 내부 냉각시스템의 암커넥터로부터 의도치 않게 수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바, 냉각파이프와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내부냉각시스템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수커넥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시스템에서 암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상태에 있는 연결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상태에 있는 연결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100)의 사시도이다. 수커넥터(100)는 냉매 등 유체의 이송을 위한 중공관 형태의 베이스부(80)를 포함한다.
수커넥터(100)는 제1단부(1) 및 제2단부(2)를 가진다. 베이스부(80)는 실질적으로 길이 L, 내경 ri 및 외경 ra를 가지는 중공관의 형태를 가진다.
도 1에서, 상기 중공관은 베이스부(80)의 제2단부(2)에서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 절단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수커넥터 (100)는 냉각파이프 등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커넥터(100)는 다른 커넥터를 통해 냉각파이프 등에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커넥터(100)의 제1단부(1)는 베이스부(80)의 모따기된 외주면 모서리(5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O링(60)의 수용을 위한 원주형 홈(70)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베이스부(80)는 베이스부(80)의 표면(81)에 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부 (80)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상에 각각 배치된 탄성핀(55)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핀(55)은 베이스부(80)의 표면(81)에 대해 예각(α)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예각(α)은 베이스부(80)의 제1단부(1)를 향하는 꼭지점을 가진다.
바꿔 말하면, 탄성핀(55)은 베이스부(80)의 표면(81)에 대해 예각(α)을 이루는 방향으로 베이스부(80)의 표면(81)에서 각각 돌출된다. 상기 예각(α)의 개방부는 상기 베이스부 (80)의 제2단부(2)를 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O링(60)이 수용되는 원주형 홈(70)은 베이스부 (80)의 길이 L을 따라 탄성핀(55)과 모따기된 외주면 모서리(5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100)에서, 상기 탄성핀(55)은 수커넥터(100)의 베이스부(80)에 형성된 각 절개부(30)의 결과물이다.
절개부(30)는 각각 베이스부(80)의 표면(81)에 대해 각을 이루는 톱 자국 형상을 가지며, 탄성핀(55)으로서 상기 톱 자국의 상부측에 상기 베이스부(80)의 표면(81)에 해당하는 상부 소재를 남겨 탄성핀을 형성한다.
각각의 탄성핀(55)은 베이스부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높은 유동성을 가지는 탄성 스프링 부재에 해당한다. 탄성핀(55)은 편평한 핀(fin)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 베이스부(80)의 표면(81)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커넥터(100)는 2개의 탄성핀(5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2개 이상의 탄성핀, 예컨대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또는 8개 이상의 탄성핀(55)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커넥터(100)는 베이스부(80)의 표면(81)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상에 각각 T형탄성클립(2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핀(55) 및 원주형 홈(70)은 베이스부(80)의 길이 L을 따라 T형탄성클립(20)과 모따기된 외주면 모서리(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T형탄성클립(20)은 수커넥터(100)의 중앙선 C에 수직한 방향 D1을 따라 연장된 제1암부재(21) 및 수커넥터(100)의 중앙선 C에 평행한 방향 D2를 따라 연장된 제2암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T형탄성클립(20)은 탄성의 T형 구조를 형성하는 2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커넥터(100)는 2개의 T형탄성클립(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2개 이상의 T형탄성클립(20), 예컨대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또는 8개 이상의 T형탄성클립(2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커넥터(100)와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면, 수커넥터(100) 베이스부(80)의 절개부(30)는 각각 깊이 d를 가지며, d < ra - ri일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30)의 깊이 d는 베이스부(80)의 내경(r1)과 교차하지 않으므로 수커넥터(100)내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도 3은 냉각파이프와 하우징(150)의 연결을 위한 연결시스템(200)의 실시예에 따른 암커넥터(140)의 사시도이다. 연결시스템(2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100, 미도시)와 암커넥터(140)가 마련된 하우징 (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시스템(200)에서, 암커넥터(140)는 냉각이 요구되는 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150)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암커넥터(140) 만을 수용하는 하우징(150)을 가지는 연결시스템(200)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암커넥터(140)는 하우징(150)의 표면(110)에서 개구(120)를 가지는 관 형상의 원형체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체결부(130)는 원형체결부(13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연결파이프(135)에 의해 좁아지고, 이러한 실시예는 하우징(150)내에 마련된 내부 냉각시스템의 단부를 나타낸다.
관 형상의 원형체결부(130)는 도 1 및 2(도 3에는 미도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0)를 통해 수커넥터(100)의 베이스부(80)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형체결부(130)는 수커넥터(100)의 베이스부(80) 일부가 암커넥터(140) 내부로 삽입될 때, 원형체결부(130)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상에서 각각 마련되어, 수커넥터(100)의 탄성핀(55)과 각각 맞물리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고정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고정홀(131) 중 하나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다른 고정홀(131)은 도 3의 도시 각도에 의해 도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개구(120)를 포함하는 하우징(150)의 표면(110)은 수커넥터(100)의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20)에 대한 지지면이고,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100)의 T형탄성클립(20)과 맞물리도록 마련된 2개의 블로킹수단(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로킹수단(111)은 각각 2개의 돌기(111-1; 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블로킹수단(111)의 돌기들(111-1; 111-2)은 지지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돌기(111-1; 111-2) 사이에는 T형탄성클립(20)의 수용을 위한 갭(112)이 형성된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수커넥터가 연결된 도 3의 암커넥터(1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연결시스템 (200)의 연결상태에서 수커넥터(100)의 T형탄성클립(20)이 어떻게 각각의 제2암부재(22)를 통해 하우징(150)의 지지면에 지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T형탄성클립(20)의 제2암부재(22)가 블로킹수단(111)의 갭(112)상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즉, 수커넥터(100)의 T형탄성클립(20)은 블로킹수단(111)과 체결상태에 있고, 블로킹수단(111)의 돌기(111-1; 111-2)는 T형탄성클립(20) 및 수커넥터(100)가 암커넥터(14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3 및 4의 연결시스템 (200)이 연결상태에 있는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연결시스템(200)의 연결상태에서, 베이스부(80)의 일부(85)는 암커넥터(140)의 원형체결부(130)에 수용된다. 수커넥터(100)의 탄성핀(55)은 암커넥터(140)에서 대응하는 고정홀(131)에 맞물리며 각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고정홀(131)과 맞물린 탄성핀(55)은 수커넥터(100)를 길이방향(베이스 부(80)의 길이를 따라)으로 구속하는 미늘 또는 걸림부재로서 기능한다.
다만,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고정홀(131)은 원형체결부(130)의 내측면에 대해 깊이를 가지도록 만입되지만, 원형체결부(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그 깊이가 감소하면서 그 단부가 원형체결부(130)의 내측면과 편평해지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홀(131)에 맞물린 탄성핀(55)은 수커넥터(100)와 함께 고정홀(131)에서 상기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허용된다.
이에 따라, 고정홀(131)에 맞물린 탄성핀(55)이 암커넥터(140)에 대해 회전하게 되면, 탄성핀(55)이 고정홀(131)의 만입된 부분에서 단부측의 편평한 부위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홀로부터 벗어나면서 수커넥터(100)의 길이방향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은 연결시스템(200)의 연결상태와 같이 수커넥터(100)의 T형탄성클립(20)이 암커넥터(140)의 블로킹수단(111)과 맞물린 경우에는 금지된다.
이러한 이유로, 암커넥터(140)는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20)이 작동됨과 동시에 수커넥터 (100)가 회전될 때 수커넥터(100)를 해제하도록 마련된다.
T형탄성클립(20)의 작동은, 예컨대 도 5에서 2개의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T형탄성클립(20)의 제2암부재(22) 끝단을 가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제2암부재(22)가 블로킹수단(111)의 돌기(111-1; 111-2) 사이에 형성된 갭에서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수커넥터(100)의 회전을 허용하며, 탄성핀(55)을 고정홀로부터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된 위치에 있을 때, 수커넥터(100)는 암커넥터(140)로부터 해제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커넥터(100) 및 암커넥터(140)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재료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암수커넥터(100, 140)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20 : T형탄성클립 21 : 제1암부재
22 : 제2암부재 55 : 탄성핀
70 : 원주형 홈 80 : 베이스부
100 : 수커넥터 111 : 블로킹수단
130 : 원형체결부 140 : 암커넥터
150 : 하우징 200 : 연결시스템

Claims (15)

  1. 모따기된 외주면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O링을 수용하는 원주형 홈을 가지는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는 중공관 형태의 베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 각을 이루도록 절개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핀을 포함하며,
    상기 예각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제1단부를 향하는 꼭지점을 가지는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 홈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를 따라 상기 탄성핀과 상기 모따기된 외주면 모서리의 사이에 배치된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핀이 마련되는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내경 ri 및 외경 ra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의 절개부는 상기 깊이 d를 가지며, d < ra - ri인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핀은 핀(fin)의 형상을 가지는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상에 각각 상기 탄성핀이 마련된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T형탄성클립을 더 포함하는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T형탄성클립은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암부재를 포함하는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상에 각각 상기 T형탄성클립이 마련된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개구를 가지는 관 형상이며 상기 수커넥터의 상기 베이스부 일부를 수용하는 원형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체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가 상기 암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수커넥터의 상기 탄성핀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의 상기 고정홀과 상기 수커넥터의 상기 탄성핀은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는 냉각파이프 연결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원형체결부의 내측면에 대해 깊이를 가지도록 만입되되, 상기 원형체결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그 깊이가 감소하면서 그 단부가 상기 원형체결부의 내측면과 편평해지는 냉각파이프 연결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원형체결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상에 각각 상기 고정홀이 마련된 냉각파이프 연결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표면은 상기 수커넥터의 상기 T형탄성클립을 위한 지지면이고, 상기 T형탄성클립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수단을 포함하는 냉각파이프 연결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수단은 상기 지지면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돌기 사이에 T형탄성클립을 수용하는 갭이 형성된 냉각파이프 연결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T형탄성클립이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수커넥터가 회전될 때 상기 수커넥터를 해제하는 냉각파이프 연결시스템.
KR1020200135366A 2016-11-01 2020-10-19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KR102224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96697.3A EP3315843B1 (en) 2016-11-01 2016-11-01 A male connector for a cooling pipe and a connection system
EP16196697.3 2016-11-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70A Division KR20180048378A (ko) 2016-11-01 2017-10-30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057A true KR20200123057A (ko) 2020-10-28
KR102224027B1 KR102224027B1 (ko) 2021-03-08

Family

ID=572408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70A KR20180048378A (ko) 2016-11-01 2017-10-30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KR1020200135366A KR102224027B1 (ko) 2016-11-01 2020-10-19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70A KR20180048378A (ko) 2016-11-01 2017-10-30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77383B2 (ko)
EP (1) EP3315843B1 (ko)
KR (2) KR20180048378A (ko)
CN (1) CN108006348B (ko)
HU (1) HUE058041T2 (ko)
PL (1) PL331584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6608S1 (en) * 2017-03-14 2019-04-23 M&M Machinery Services, Inc. Receiver for a bottling machine
EP3894090A1 (en) * 2018-12-12 2021-10-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spray gun, connector ring, liquid spraying apparatus and adapter system
CN109692389B (zh) * 2019-01-04 2021-05-18 李丽 一种多功能内科临床用呼吸装置
DE102019124830B3 (de) * 2019-09-16 2020-12-3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luidstutzen sowie Schnellkupplung
CN113404959B (zh) * 2021-06-25 2022-07-26 深圳市新昌晶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的高密封性制冷设备管道连接装置及更换方法
WO2023144587A1 (en) * 2022-01-28 2023-08-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Connection arrangement device and method for fluid line
KR102559527B1 (ko) 2022-05-26 2023-07-26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면역 조절 및 면역 항상성 기능을 갖는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435A (ja) * 2006-06-30 2008-01-17 Nitta Moore Co 管継手
KR20150030931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커플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5703A (en) * 1963-10-28 1966-04-12 Robert S Manly Quick detachable pipe coupling
US3328054A (en) * 1964-07-10 1967-06-27 Whirlpool Co Panel mounted hose connector
US3394954A (en) * 1966-05-06 1968-07-30 Sarns Inc Tube coupling for medical appliances
US4610468A (en) * 1984-08-14 1986-09-0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
US4758023A (en) * 1987-05-14 1988-07-19 The Singer Company Removable connection assembly
JPH0712797Y2 (ja) 1988-05-18 1995-03-29 株式会社ナブコ 雌型配管継手
MX173202B (es) * 1989-03-17 1994-02-08 Baxter Int Sitio para colocar inyecciones con pre-hendidura y canula ahusada
US5123677A (en) * 1990-05-31 1992-06-23 Swagelok-Quick Connect Co. All plastic quick-connect coupling
DE4119642A1 (de) * 1991-06-14 1992-12-17 Grohe Armaturen Friedrich Loesbare rohranschlussverbindung
US5171164A (en) * 1991-12-04 1992-12-15 Arlington Industries, Inc. Quick-connect fitting for electrical junction box
DE19644337A1 (de) * 1996-10-25 1998-04-30 Valeo Gmbh Schnelllösekupplung mit Ablaßvorrichtung
FR2795803B1 (fr) * 1999-06-30 2001-08-17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a joint protege d'un tube a un element rigide
US6688654B2 (en) * 2000-12-08 2004-02-10 Newfrey Llc One piece quick connector
US7303553B2 (en) 2002-06-24 2007-12-04 Berlin Heart Gmbh Device for connecting a cannula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ith a tube
DE10250421A1 (de) * 2002-10-30 2004-05-13 A. Raymond & Cie Verbindungselement
US7044506B2 (en) * 2003-08-07 2006-05-16 Xiamen Lota International Co., Ltd. Quick connector assembly
US20050082828A1 (en) * 2003-09-12 2005-04-21 Wicks Jeffrey C. Releasable connection assembly for joining tubing sections
JP2006090493A (ja) 2004-09-27 2006-04-06 Toyoda Gosei Co Ltd コネクタ具備ホース
JP4894404B2 (ja) * 2006-08-10 2012-03-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配管用継手
FR2909715A1 (fr) * 2006-12-11 2008-06-13 Renault Sas Dispositif et procede de connexion entre un module de filtration et de refroidissement d'huile et l'entree de la pompe a liquide de refroidissement dans le carter cylindres.
JP5153418B2 (ja) 2008-04-02 2013-02-27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可撓性ホース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DE102009035222A1 (de) * 2008-08-14 2010-02-1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Steckverbindungsanordnung
FR2942862B1 (fr) * 2009-03-05 2014-04-25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transfert de fluide,circuit l'incorporant et son procede de montage/demontage.
DE102010026100A1 (de) * 2010-07-05 2012-01-05 Veritas Ag Schnellkupplung für Fluidleitungen
DE102013001389B4 (de) 2013-01-25 2015-10-29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Kurbelgehäuseentlüf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Tankentlüftungsleitung und Verbindungssytem hierfür
EP3060838A4 (en) 2013-10-24 2017-06-14 Entegris, Inc. Anti-rotation device for hydraulic connectors
FR3017689B1 (fr) 2014-02-17 2016-03-11 Staubli Sa Ets Raccord a baionnette adapte pour la jonction amovible de canalisations
FR3045772B1 (fr) * 2015-12-18 2018-06-01 Stelia Aerospace Raccord de connexion pour canalisation de circuit de fluide d’aeronef, canalisation et procede de raccordement
KR102199268B1 (ko) * 2016-07-29 2021-01-06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435A (ja) * 2006-06-30 2008-01-17 Nitta Moore Co 管継手
KR20150030931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커플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378A (ko) 2018-05-10
US10677383B2 (en) 2020-06-09
US20180119861A1 (en) 2018-05-03
EP3315843A1 (en) 2018-05-02
EP3315843B1 (en) 2022-01-05
CN108006348A (zh) 2018-05-08
KR102224027B1 (ko) 2021-03-08
PL3315843T3 (pl) 2022-04-25
HUE058041T2 (hu) 2022-06-28
CN108006348B (zh)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027B1 (ko)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US10077791B2 (en) Coupling device
JP2016106200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EP3771855B1 (en)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EP1717506A1 (en) Resin pipe joint unit
WO2012001894A1 (ja) 燃料タンクの配管構造体
JP2018512520A (ja) 水栓スプレイヘッドの磁気ドッキングシステム
JP2003120879A (ja) 溝を備えたエンドフォームを有する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4537696A (ja) パイプカップリング
JP2006118714A (ja) 接続要素
JP2010261590A (ja) 流体パイプ結合装置
WO2022188476A1 (zh) 一种钢丝线与传动轴连接结构、手术机器人及方法
JP2003021287A (ja) スピゴット継手
EP0462971A1 (en) FEMALE FITTING IN TWO PIECES.
JP2014202310A (ja) 管継手
JP2012087837A (ja) 管継手
JP474021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2010096230A (ja) 管継手
US11566738B2 (en) Fluid couplings
EP1724511B1 (en) Quick connector with a retainer
JP2002013683A (ja) 管継手
KR20170052891A (ko) 배관 커플러
JP2000218821A (ja) 流体カップリング及び取り付け構造体
JP2015025476A (ja) 管継手構造
JP2005106121A (ja) 管継手の接続管理用チェッ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