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931A - 유리 분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분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931A
KR20200120931A KR1020207025959A KR20207025959A KR20200120931A KR 20200120931 A KR20200120931 A KR 20200120931A KR 1020207025959 A KR1020207025959 A KR 1020207025959A KR 20207025959 A KR20207025959 A KR 20207025959A KR 20200120931 A KR20200120931 A KR 2020012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ing
actuator
glass
bar
strok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252B1 (ko
Inventor
타이 신 창
쿤 치 첸
잉 하오 첸
찰스 로버트 럼세이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15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ribbon be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35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10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분리시키기 위한 유리 분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하나의 구현 예에서, 시스템은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한 A-표면 노징 바를 포함할 수 있다. A-표면 노징 바의 장축은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유리 분리 시스템은 유리 운송 경로의 제2 측면에 그리고 A-표면 노징 바에 대향하여 위치된 B-표면 노징 바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B-표면 노징 바의 장축은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될 수 있다. A-표면 노징 바와 B-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분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
본 출원은 2018년 2월 13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629,82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병합된다.
본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연속 유리 리본은 퓨전 인발 공정 (fusion draw process) 또는 다른, 유사한 하향 인발 공정과 같은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퓨전 인발 공정은 다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유리 리본과 비교할 때 우수한 평탄도 및 매끄러움을 가진 표면을 가진 연속 유리 리본을 생산한다. 퓨전 인발 공정에 의해 성형된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분할된 개별 유리 시트는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 광전지 디바이스 및 다른 전자 장비 응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 (device)에 사용될 수 있다.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별개의 유리 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리본이 스코어되는 (scored) 동안 연속 유리 리본의 일부를 클램핑 (clamping)하는 것을 포함하며, 별개의 유리 시트는 스코어 라인 (score line)에 대해 굽힘 모멘트 (bending moment)를 적용하여 연속 유리 리본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기술이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별개의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별개의 유리 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대안의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 예에 따라,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분리하기 위한 유리 분리 시스템은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한 A-표면 노징 바 (A-surface nosing bar)를 포함할 수 있다. A-표면 노징 바의 장축은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A-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에 대해 선회 가능할 수 있다. 유리 분리 시스템은 유리 운송 경로의 제2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A-표면 노징 바에 대향하는 B-표면 노징 바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B-표면 노징 바의 장축은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B-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는 성형 용기, 유리 운송 경로, 유리 분리 시스템, 및 스코어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용기는 루트 (root)에서 모이는 제1 성형 표면 및 제2 성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운송 경로는 하향 수직 방향으로 루트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유리 분리 시스템은 성형 용기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고 A-표면 노징 바 및 B-표면 노징 바를 포함할 수 있다. A-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A-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로 결합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및 A-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B-표면 노징 바는 A-표면 노징 바에 대향하는 유리 운송 경로의 제2 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B-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결합된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및 B-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코어링 장치는 A-표면 노징 바로부터 하류의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A-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는 B-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대향할 수 있으며 A-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는 B-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대향할 수 있다. 유리 분리 시스템은 클램핑 모드 및 조절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조절 모드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actuation stroke length)와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서로 독립적이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서로 독립적이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은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으로 연속 유리 리본을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운송 경로는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한 A-표면 노징 바 및 유리 운송 경로의 제2 측면에 위치한 B-표면 노징 바를 포함하는 유리 분리 시스템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방법은 A-표면 회전 축에 대해 A-표면 노징 바를 선회시키고 B-표면 회전 축에 대해 B-표면 노징 바를 선회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선회 단계 이후, A-표면 노징 바와 B-표면 노징 바는 연속 유리 리본의 주 표면과 평행할 수 있다. 이후, A-표면 노징 바와 B-표면 노징 바는 연속 유리 리본을 향해 전진되어 연속 유리 리본이 A-표면 노징 바와 B-표면 노징 바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스코어 라인은 이때 연속 유리 리본에 성형될 수 있고 유리 시트는 상기 스코어 라인에서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유리 분리 시스템의 추가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제시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하거나 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는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 청구 범위 및 첨부된 도면을 실행함으로써 인식될 것이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현 예를 설명하고 청구된 주제의 본질 및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다양한 구현 예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며, 본 명세서로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한다. 도면은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구현 예를 예시하고, 설명과 함께 청구된 주제의 원리 및 동작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원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구현 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의 하나의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는 예시되는 유리 분리 시스템의 A-표면 노징 바와 B-표면 노징 바 사이에 위치한 연속 유리 리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b는 A-표면 노징 바와 B-표면 노징 바가 서로 및 연속 유리 리본과 평행하도록 도 2a의 유리 분리 시스템의 A-표면 노징 바와 B-표면 노징 바의 방향 전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원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구현 예에 따른 유리 분리 시스템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유리 분리 시스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원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구현 예에 따른 도 3 및 4의 유리 분리 시스템의 노징 바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유리 분리 시스템의 컨트롤러 및 본원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구현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가진 유리 분리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상호 연결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기 전 연속 유리 시트의 일부에 부착된 유리 캐리어를 가진 유리 분리 시스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유리 시트가 유리 캐리어를 가진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분리될 때 유리 분리 시스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제 유리 분리 시스템의 다양한 구현 예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그 실시 예는 첨부 도면에 예시된다. 가능한 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것이다. 유리 분리 시스템의 일 구현 예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0)으로 전체에 걸쳐 지칭된다. 유리 분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된 A-표면 노징 바이다. A-표면 노징 바의 장축은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A-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할 수 있다. 유리 분리 시스템은 유리 운송 경로의 제2 측면에 위치되고 A-표면 노징 바에 대향하는 B-표면 노징 바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B-표면 노징 바의 장축은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B-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평행 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노징 바를 포함하는 유리 분리 시스템 및 유리 제조 장치의 다양한 구현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범위는 본원에서 "약" 하나의 특정 값, 및/또는 "약" 다른 특정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될 때, 다른 구현 예는 하나의 특정 값으로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 값까지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이 선행하는 "약"을 사용하여 근사치로 표현될 때, 특정 값이 또 다른 구현 예를 형성함을 이해할 것이다. 각 범위의 끝점은 다른 끝점과 관련하여 그리고 다른 끝점과 독립적으로 모두 중요하다는 것이 더욱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방향 용어 - 예를 들어, 위, 아래, 오른쪽, 왼쪽, 앞, 뒤, 정상, 바닥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해서만 만들어지며 절대적인 배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제시된 임의의 방법은 그 단계가 특정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또는 임의의 장치 특정 배향이 요구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법 청구항이 실제로 그 단계에 따른 순서를 언급하지 않거나, 또는 장치 청구항이 실제로 개별 구성 요소에 대한 순서 또는 배향을 언급하지 않거나, 또는 단계가 특정 순서로 제한된 것으로 청구 범위 또는 설명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장치의 구성요소의 특정 순서 또는 배향이 언급되지 않는 경우, 어떤 점에서든 순서 또는 배향이 유추되게 의도되지 않는다. 이는 다음을 포함하여 해석에 대한 임의의 가능한 비-표현적 근거를 유지한다: 단계 배열, 작동 흐름, 구성 요소 순서, 또는 구성 요소 배향과 관련된 논리 문제; 문법적 구성 또는 구두점에서 파생된 일반 의미; 및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 예의 수 또는 유형.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한", "하나" 및 "일"은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한 언급은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두 개 이상의 그러한 구성 요소를 갖는 관점을 포함한다.
이제 도 1을 참고하면, 연속 유리 리본 (204)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의 유리 제조 장치 (2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유리 제조 장치 (200)는 용융 용기 (210), 청징 용기 (215), 혼합 용기 (220), 전달 용기 (225), 성형 장치 (241) 및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을 포함한다. 유리 배치 재료 (batch materials)는 화살표 (212)로 지칭된 바와 같이 용융 용기 (210)로 도입된다. 배치 재료는 용융된 유리 (226)를 성형하도록 용융된다. 청징 용기 (215)는 용융 용기 (210)로부터 용융된 유리 (226)를 수용하고 용융된 유리 (226)로부터 용융된 유리에 혼입된 가스 (즉, 거품)를 제거한다. 청징 용기 (215)는 연결 튜브 (222)에 의해 혼합 용기 (220)에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혼합 용기 (220)는, 결국, 연결 튜브 (227)에 의해 전달 용기 (225)로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운송 용기 (225)는 용융된 유리 (226)를 하향배관 (230, downcomer)을 통해 성형 장치 (241)로 공급한다. 성형 장치 (241)는 유입구 (232), 성형 용기 (235), 및 풀 롤 조립체 (240, pull roll assembly)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현 예에서, 성형 용기 (235)는 퓨전 성형 용기로서 도시되고 설명된다. 그러나, 하향-인발 방법에 의해 연속 유리 리본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용기의 다른 구현 예가 고려되고, 이에 한정하지 않지만, 슬롯-인발 성형 용기를 포함하여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배관 (230)으로부터의 용융된 유리 (226)는 성형 용기 (235)로 이어지는 유입구 (232)로 유동한다. 성형 용기 (235)는 용융된 유리 (226)를 수용하는 개구 (236)를 포함한다. 용융된 유리 (226)는 성형 용기 (235)의 트로프 (237, trough)로 유동하고 이후 오버플로우되고 성형 용기 (235)의 루트 (239)에서 함께 융합되기 전에 성형 용기 (235)의 두 측면 (238a, 238b) 아래로 유동한다. 루트 (239)는 두 측면 (238a, 238b)의 교차지점으로 정의되고 풀 롤 조립체 (240)에 의해 하향으로 인발되어 연속 유리 리본 (204)을 성형하기 전에 용융된 유리 (226)의 두 스트림이 합쳐지는 (예컨대, 퓨전) 위치이다. 연속 유리 리본은 하향 방향으로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좌표축의 -Z 방향) 그리고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을 통해 성형 용기 (235)의 루트 (239)로부터 연장되는 유리 운송 경로 (300)를 따라 인발된다.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유리 운송 경로 (300)를 따라 그리고 유리 분리 시스템 (100)으로 인발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는 유리 분리 시스템 (100)으로 들어갈 때 회전되거나 또는 비틀어져 연속 유리 리본 (204)이 더 이상 유리 운송 경로 (300)의 평면 내에 있지 않거나 또는 평면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도 2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유리 운송 경로 (300)에서 벗어나면, 연속 유리 리본 (204)의 에지 (edge)가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접촉하여 결국 연속 유리 리본 (204)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연속 유리 리본 (204)의 제어되지 않는 파괴 및 분리를 야기할 수도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유리 운송 경로 (300)로부터 벗어날 때, (본원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노징 바는 연속 유리 리본 (204)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노징 바가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동안 연속 유리 리본 (204)과 접촉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에서의 원치 않는 움직임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원치 않는 움직임은 연속 유리 리본 (204)을 통해 전파되어, 잠재적으로 유리 성형 공정을 방해하거나 또는 연속 유리 리본 (204)의 제어되지 않은 파손 및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초래하여 제조 공정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은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으로 인발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의 비틀림을 설명하기 위해 연속 유리 리본 (204)에 대해 방향 전환될 수 있는 노징 바를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완화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를 참고하면,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일부의 하나의 구현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은 일반적으로 유리 운송 경로 (300)의 대향하는 측면 (302, 304) (즉, 유리 운송 경로의 인접한 제1 측면 (302) 및 제2 측면(304))에 위치된 A-표면 노징 바 (102) 및 B-표면 노징 바 (112)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라는 용어는 유리 운송 경로에 대해 물체 또는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향을 나타내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유리 운송 경로의 평면은 두 부분으로 자유 공간을 양분하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각각 양분된 자유 공간의 각 부분을 나타낸다. "A-표면" 및 "B-표면"이라는 용어는 각각의 노징 바가 접촉하는 유리 리본의 주 표면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A-표면은 전자 디바이스 (예컨대, 박막 트렌지스터)가 통상적으로 증착되는 (deposited) 유리 리본 (또는 차후 유리 시트)의 측면을 나타내며 B-표면은 A-표면에 대향되고 평행하다. A-표면의 주어진 유용성을 고려할 때, A-표면과의 접촉은 보통 그 위에 차후 증착되는 박막 트렌지스터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결함을 막기 위해 최소화된다.
유리 운송 경로 (300)는 도 2a에 나타낸 구현 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좌표축의 -Z 방향인 운송 방향 (306)을 포함한다. -Z 방향은 하향 수직 방향에 상응한다. 운송 방향 (306)은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유리 제조 장치 (200)의 성형 용기 (235)의 루트 (239)로부터 인발되는 방향이다. 연속 유리 리본 (204)은 이후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을 통해 유리 운송 경로 (300)를 따라 운송된다.
A-표면 노징 바 (102)는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제1 측면 (302)에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유리 운송 경로 (300)에 인접하게 위치한 A-표면 노징 부재 (104)를 포함한다. A-표면 노징 바 (102)의 장축 (106) (장축 (106)의 방향을 나타내는 이중 화살표로 표시됨)은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즉, A-표면 노징 바 (102)의 장축 (106)은 일반적으로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이송 방향 (306)에 대해 가로지른다.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에서, A-표면 노징 바 (102)는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A-표면 회전 축 (108)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즉, A-표면 노징 바 (102)는 A-표면 노징 바 (102)의 배향이 수평면 (즉, 도 2b에 도시된 좌표축의 X-Y 평면)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수직 회전 축에 대해 선회 가능하다. 구현 예에서, 회전 축 (108)은 길이 방향 (즉, 장축 (106)의 방향)으로 A-표면 노징 바 (102)의 중심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위치가 고려되고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유사하게, B-표면 노징 바 (112)는 A-표면 노징 바 (102)에 대향하는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제2 측면 (304) 상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유리 운송 경로 (300)에 인접하게 위치한 B-표면 노징 부재 (114)를 포함한다. (장축 (116)의 방향을 나타내는 이중 화살표로 나타낸) B-표면 노징 바 (112)의 장축 (116)은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즉, B-표면 노징 바 (112)의 장축 (116)은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에 대해 일반적으로 가로지른다.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에서, B-표면 노징 바 (112)는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B-표면 회전 축 (118)에 대해 선회 가능하다. 즉, B-표면 노징 바 (112)는 실질적으로 수직의 회전 축에 대해 선회 가능하여 B-표면 노징 바 (112)의 배향이 수평면 (즉, 도 2b에 도시된 좌표축의 X-Y 평면)에서 조절될 수 있다. 구현 예에서, 회전 축 (118)은 길이 방향 (즉, 장축 (116) 방향)으로 B-표면 노징 바 (112)의 중심에 위치한다. 그러나, 다른 위치가 고려되고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는 유리 운송 경로를 따라 인발된 연속 유리 리본 (204)에 클램핑력 (clamping force)을 적용하여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운송 방향 (306)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스코어되고 별개의 유리 시트가 연속 유리 리본 (204)에서 분리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을 고정하기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클램핑력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는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를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즉, 유리 운송 방향 (300)을 향해 그리고 그로 부터 멀어지게) 전진시켜,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운송 방향 (306)의 유리 운송 경로 (300)를 따라 운송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을 클램핑하고 (clamping) 풀어 주는 (releasing) 액추에이터 (도 2a에 도시되지 않음)에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에서,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는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스코어되는 위치의 상류 (즉, 도면에 도시된 좌표축의 +Z 방향)의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 클램핑력을 적용하도록 위치된다. 스코어링 위치의 상류의 연속 유리 리본 (204)을 클램핑하는 것은 스코어링 및 분리 작업 중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 도입되는 기계적 진동의 상류 전파를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결국, 기계적 진동의 상류 전파의 완화는 성형 용기 (235) (도 1)를 통한 연속 유리 리본 (204)의 성형 공정의 중단을 완화시킨다.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가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 클램핑력을 적용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은 A-표면 노징 바 (102)의 A-표면 노징 부재 (104)와 B-표면 노징 바 (112)의 B-표면 노징 부재 (114)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A-표면 노징 부재 (104)와 B-표면 노징 부재 (114)가 연속 유리 리본 (204)의 표면에 직접 접촉할 때, A-표면 노징 부재와 B-표면 노징 부재는 일반적으로 클램핑력이 적용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을 재료로 형성된다. 일부 구현 예에서, A-표면 노징 부재 (104)와 B-표면 노징 부재 (114)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와 같은, 약 50 이상 내지 약 70 이하의 쇼어 A 경도계 (Shore A durometer) 경도를 가진,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다. A-표면 노징 부재 (104)와 B-표면 노징 부재 (114)가 성형될 수 있는 적합한 재료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 예는 쇼어 A 경도계 스케일에서 약 50 이상 내지 약 70 이하의 경도를 가진 실리콘이다. 그러나, 다른 재료가 고려되고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는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에 평행한 A-표면 및 B-표면 회전 축 (108, 118) 각각에 대해 선회 가능하다. 이는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 각각의 배향을 조절하여 연속 유리 리본 (204)의 표면들과 A-표면 노징 바 (102) 및 B-표면 노징 바 (112) 사이의 평행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운송 방향 (306)으로 운송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의 손상에 대한 잠재력을 완화한다.
예를 들어, 도 2a는 도면에 도시된 좌표축의 Y-Z 평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리 운송 경로 (300)를 도시한다. 도 2a는 또한 운송 방향 (306)으로 인발되는 연속 유리 리본 (204)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유리 리본 (204)은 유리 운송 경로 (300)와 함께 평면도에서 벗어나 있다. 즉,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수직 축에 대해 약간 비틀어져 있으므로 연속 유리 리본의 오직 일부만이 유리 운송 경로 (300)의 평면에 있다.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유리 운송 경로 (300)에서 벗어나면, 연속 유리 리본 (204)의 에지는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접촉하여, 결국 연속 유리 리본 (204)을 손상시키거나 연속 유리 리본 (204)의 제어되지 않는 파손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유리 운송 경로 (300)에서 벗어날 때, (본원에 더욱 자세히 설명된)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노징 바는 연속 유리 리본 (204)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노징 부재 (104, 114)가 유리 리본으로부터 시트를 분리하는 동안 연속 유리 리본 (204)과 접촉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에서의 원치않는 움직임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원치않는 움직임은 연속 유리 리본 (204)을 통해 전파되어, 유리 성형 공정을 방해하거나 또는 연속 유리 리본 (204)의 제어되지 않은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도 2a 및 2b을 이제 참고하면,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에서, 유리 운송 경로 (300)와의 평면도에서의 연속 유리 리본 (204)의 편차는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가 연속 유리 리본 (204)과 평행하도록 A-표면 회전 축 (108)에 대해 A-표면 노징 바 (102)를 선회시키고 B-표면 회전 축 (118)에 대해 B-표면 노징 바 (112)를 선회시킴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 이는 유리 리본 (204)에 평행하지 않은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로 인해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접촉하는 연속 유리 리본 (204)의 에지의 위험을 완화시킨다. 이는 또한 클램핑력이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를 가진 연속 유리 리본에 적용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 움직임을 가하는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의 위험을 완화시킨다.
이제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도 3은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하나의 구현 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4는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은 일반적으로 도 2a에 대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양측 (302, 304)에 위치한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구현 예에서,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는 캐리지 프레임 (120, carriage frame)에서 지지된다. 특히,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는 A-표면 노징 바 (102)의 제1 단부 (140)에서 A-표면 노징 바 (102)를 캐리지 프레임 (120)으로 결합시키고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는 A-표면 노징 바 (102)의 제2 단부 (142)에서 캐리지 프레임 (120)으로 A-표면 노징 바 (102)를 결합시킨다. A-표면 노징 바 (102)의 제1 및 제2 단부 (140, 142)는 A-표면 노징 바 (102)의 장축의 방향으로 이격된다. 유사하게,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는 B-표면 노징 바 (112)의 제1 단부 (144)에서 B-표면 노징 바 (112)를 캐리지 프레임 (120)으로 결합시키고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는 B-표면 노징 바 (112)의 제2 단부 (146)에서 캐리지 프레임 (120)으로 B-표면 노징 바 (112)를 결합시킨다. B-표면 노징 바 (112)의 제1 및 제2 단부 (144, 146)는 B-표면 노징 바 (112)의 장축의 방향으로 이격된다. 노징 액추에이터 (130, 132, 134, 136)는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를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리 (즉, 유리 운송 경로 (300)를 향해 및 그로부터 멀리) 전진시켜,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운송 방향 (306)으로 유리 운송 경로 (300)를 따라 운송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을 클램핑하고 풀어 주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노징 액추에이터 (130, 132, 134, 136)는 A-표면 및 B-표면 회전 축 (108, 118) 각각에 대해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를 선회시켜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의 방향이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으로 운송된 연속 유리 리본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구현 예에서, 노징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그리고 이에 제한하지 않고, 선형 액추에이터 및/또는 서보 모터와 같은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유압 액추에이터, 공압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서,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은 스코어링 장치 (15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에서, 스코어링 장치 (150)는 A-표면 노징 바 (102)의 하류의 (즉, A-표면 노징 바 (102)에 대해 -Z 방향으로)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제1 측면 (302)에 (즉, A-표면 노징 바 (102)와 같은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측면) 위치되어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는 스코어링 장치 (150)의 상류의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 클램핑력을 적용할 수 있다. 스코어링 장치 (150)는 일반적으로 스코어링 헤드 (152, scoring head), 스코어링 액추에이터 (154), 및 레일 (156, rail)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156)은 캐리지 프레임 (120)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구현 예에서, 스코어링 장치 (150)는 레일 (156)의 길이를 따라 스코어링 장치 (150)를 가로지르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스코어링 액추에이터 (154)와 함께 레일 (156)에 장착된다.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에서, 스코어링 헤드 (152)는 또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어링 액추에이터 (154)에 장착된다. 레일 (156)을 따라 스코어링 헤드 (152)를 가로지르게 하는 것에 더해, 스코어링 액추에이터 (154)는 유리 운송 경로 (300)에 대해 (즉, 도면에 도시된 좌표축의 ±X 방향으로) 스코어링 헤드 (152)를 연장 및 수축시켜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으로 인발된 연속 유리 리본 (204)에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스코어링 헤드 (152)는, 예를 들어, 스코어링 휠 (scoring wheel), 스크라이빙 포인트 (scribing point), 또는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구현 예에서, 스코어링 헤드 (152)눈 스코어링 휠이다. 스코어링 헤드 (152) 및/또는 스코어링 액추에이터 (154)는, 예를 들어, 스코어링 헤드 (152)에 의해 유리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스코어링 장치 (150)와 관련된 컨트롤러는 압력 센서로부터 신호를 활용하고 스코어링 액추에이터 (154)의 작동을 조절하여 스코어링 헤드 (152)가 폭 방향으로 (즉, 도시된 좌표축의 ±Y 방향으로) 유리 리본을 가로지르면서 일정한 압력 및 이에 따른 일정한 스코어링력 (scoring force)이 스코어링 헤드 (152)에 의해 유리 리본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이 스코어링 장치 (150)를 포함하는 구현 예에서, B-표면 노징 바 (112)는 스코어링 장치 (150)의 스코어링 헤드 (152)에 대항하여 위치한 앤빌 노징 (122, anvil nosing)을 더욱 포함한다. 즉, 앤빌 노징 (122)은 B-표면 노징 바 (112)의 B-표면 노징 부재 (114)의 하류에 위치한다. 앤빌 노징 (122)은 스코어 라인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스코어링 장치 (150)의 스코어링 헤드 (152)가 연속 유리 리본 (204)을 관통하거나 파단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스코어링 작업 중 연속 유리 리본 (204)이 가압되는 지지 표면을 제공한다. 구현 예에서, 앤빌 노징 (122)은 A-표면 노징 부재 (104)와 B-표면 노징 부재 (114)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앤빌 노징 (122)은 약 50 이상 또는 70 이하의 쇼어 A 경도계 경도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와 같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앤빌 노징 (122)이 성형될 수 있는 적절한 재료의 하나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약 50 이상 내지 약 70 이하의 쇼어 A 경도계 경도를 가진 실리콘이다. 그러나, 다른 재료가 고려되고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현 예에서, 앤빌 노징 (122)의 쇼어 A 경도계 경도는 A-표면 노징 부재 (104) 또는 B-표면 노징 부재 (114)의 쇼어 A 경도계 경도보다 클 수 있다.
("트림 거리 (trim distance) DL"로서 본원에 나타내고, 도 4에 예시한) 연속 유리 리본 (204)과 접촉하는 A-표면 노징 부재 (104)의 최상부와 스코어링 헤드 (152)와 유리 운송 경로 (300) 사이의 교차 선 사이의 수직 거리는 25 mm, 예컨대 20 mm 이하, 18 mm 이하, 또는 15 mm 이하일 수 있다. 트림 거리 DL을 최소화시키는 것은 유리 인발 작업 중 기계적 접촉이 가해지는 유리의 양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시트가 유리 리본에서 분리된 후 유리 시트에서 트림되는 유리의 양을 줄인다. (즉, 트림 거리를 최소화하면 폐기 유리를 최소화하고 연속 유리 리본에서 분리된 유리 시트의 가용한 구역을 최대화한다)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에서, A-표면 노징 바 (102)는 진공 라인 (162)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 (16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라인 (162)은진공 라인 (162) 및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 (160)에 음압 (negative pressure)을 공급하는 진공 펌프 (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진공 포트 (160)는 A-표면 노징 부재 (104)의 하류에 위치하고 스코어링 장치 (150)의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구현 예에서, 진공 포트 (160)가 스코어링 장치 (150)를 향해 배향되고 지향되어 연속 유리 리본 (204)에 스코어 라인의 성형 중 및/또는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부터 유리 시트의 분리 중 발생된 임의의 유리 입자 및/또는 다른 파편은 진공 포트 (160)로 수집되고 진공 라인 (162)을 통해 유리 분리 시스템 (100)으로부터 배출된다. 유리 스코어링 및 유리 분리로부터의 유리 입자 및/또는 다른 파편의 배출은 유리 입자 및/또는 파편이 연속 유리 리본 및/또는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분리된 유리 시트로 결함 또는 다른 손상을 야기하는 위험을 완화시킨다. 구현 예에서, 진공 포트가 노징 부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파편은 유리 리본의 폭방향으로 스코어링 부재의 행정 길이 전체에 걸쳐 수집된다.
도 3 및 4를 계속 참고하면, 구현 예에서,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은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으로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캐리지 프레임 (120)이 모터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 (미도시)를 통해 레일 (124)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유리 운송 경로 (300)에 대해, 캐리지 프레임 (120)을 가로질러, 그리고, 이를 통해,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을 가로지르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이 연속 유리 리본 (204)에 대해 위치 및 재위치되어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부터 원하는 치수를 가진 별개의 유리 시트를 분리하게 한다.
이제 도 3 및 6을 참고하면, 구현 예에서,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은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 및 스코어링 액추에이터 (154)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컨트롤러 (170, controller)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70)는 프로세서 (172), 및 프로세서 (172)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에 제어 신호를 보냄으로써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 사이의 공간을 조절하고 A-표면 노징 바와 B-표면 노징 바의 상대적 배향을 조절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하고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174, non-transitory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실행 가능한 명령은 또한 B-표면 노징 바 (112)의 앤빌 노징 (122)에 대한 스코어링 헤드 (152)의 위치를 조절하고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을 가로지르는 레일 (156)을 따라 스코어링 헤드 (152)를 가로지르는 스코어링 액추에이터 (154)로 제어 신호를 보냄으로써 유리 리본에 스코어링 라인을 성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현 예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 및 스코어링 액추에이터 (154)로 보내지는 제어 신호는,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 (17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입력 디바이스 (176)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현 예에서, 입력 디바이스는 키보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마우스, 조이스틱 등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입력 디바이스 (176)는 유리 운송 경로 (300)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유리 운송 경로 (300)에 대해 연속 유리 리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광학 센서와 같은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176)가 센서일 때, 센서는 연속 유리 리본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 (170)로 제공할 수 있다. 연속 유리 리본의 위치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170)는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로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A-표면 노징 바 및/또는 B-표면 노징 바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고하면,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구현 예는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에서, A-표면 노징 바 (102) 및 B-표면 노징 바 (112)의 위치 결정 및 재위치 결정은 액추에이터 (130, 132, 134, 136)의 액추에이터 행정 길이 (LA)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130, 132, 134, 136)는 최대 총 행정 길이 (LTS)를 갖는다. 그러나, 작동 행정 길이 (LA)는 총 행정 길이 (LTS)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재위치 결정 작동에 대해, 액추에이터는 공칭 또는 시작 행정 길이 (LS)에서 시작할 수 있다. 시작 행정 길이 (LS)로부터, 액추에이터는 제2 위치 길이 (L2)로 전진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행정 길이 (LA)는 제2 위치 길이 (L2)와 시작 행정 길이 (LS) 사이의 차이이다. 구현 예에서, 시작 행정 길이 (LS)는 0이며, LA = L2이다.
다시 도 3 및 4를 참고하면, 유리 분리 시스템 (100)는 이에 한정하지 않지만, 클램핑 모드와 조절 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작동의 모드를 가질 수 있다. 클램핑 모드에서,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는 서로를 향해 그리고 유리 운송 경로 (300)를 향해 전진되어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경로 (306)에 운송된 연속 유리 리본 (204)이 A-표면 노징 바 (102)의 A-표면 노징 부재 (104)와 B-표면 노징 바 (112)의 B-표면 노징 부재 (114) 사이에서 부딪친다. 클램핑 모드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방향과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방향은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방향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방향에 대향된다. 즉, 제1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 132)의 작동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좌표축의 +X 방향에 있을 수 있지만 제1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 136)의 작동 방향은 -X 방향에 있을 수 있다. 클램핑 모드의 일부 구현 예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같거나 심지어 같을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클램핑 모드의 일부 다른 구현 예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행정 길이는 다를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행정 길이와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행정 길이는 다를 수 있다.
클램핑 모드의 일부 구현 예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행정 길이와 독립적이다. 즉, 액추에이터는 특정 액추에이터의 행정 길이가 남아있는 액추에이터로부터 변경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행정 길이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구현 예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속도와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속도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속도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속도가 상이하므로 A-표면 노징 바 (102)의 A-표면 노징 부재 (104) 및 B-표면 노징 바 (112)의 B-표면 노징 부재 (114)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연속 유리 리본 (204)과 접촉한다. 예를 들어,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행정 길이와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행정 길이가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행정 길이보다 더 큰 경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속도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속도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속도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속도보다 클 수 있으므로, A-표면 노징 바 (102)의 A-표면 노징 부재 (104) 및 B-표면 노징 바 (112)의 B-표면 노징 부재 (114)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연속 유리 리본과 접촉할 수 있다.
이제 도 2a-3을 참고하면,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조절 모드는 A-표면 및 B-표면 회전 축 (108, 118)을 중심으로 A-표면 노징 바 (102) 및 B-표면 노징 바 (112)를 선회시킴으로써 A-표면 노징 바 (102)의 배향 및 B-표면 노징 바 (112)의 배향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유리 운송 경로 (300)에 대해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조절 모드가 A-표면 노징 바 (102)의 배향 및 B-표면 노징 바 (112)의 배향을 조절하는데 사용되어 A-표면 노징 바 (102) 및 B-표면 노징 바 (112)는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으로 인발되는 연속 유리 리본의 표면과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모드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행정 길이와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행정 길이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A-표면 노징 바가 A-표면 회전 축 (108)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조절 모드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행정 길이가 상이하므로 A-표면 노징 바는 A-표면 회전 축 (108)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유사하게, 조절 모드에서,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가 서로 독립적이므로 B-표면 노징 바는 B-표면 회전 축 (118)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조절 모드에서, 제1 B-표면 노징 바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제2 B-표면 노징 바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상이하므로 B-표면 노징 바가 B-표면 회전 축 (118)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조절 모드의 일부 구현 예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방향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방향은 A-표면 노징 바 (102)의 각도 배향과 더불어 A-표면 노징 바 (102)와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으로 인발된 연속 유리 리본 (204) 사이의 공간 모두를 조절하기 용이하기 위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는 도면에 예시된 좌표축의 +X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지만,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는 도면에 예시된 좌표축의 -X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방향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방향은 B-표면 노징 바 (112)의 각도 배향과 더불어 B-표면 노징 바 (112)와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으로 인발된 연속 유리 리본 사이의 공간 모두를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상이할 수 있다.
조절 모드의 일부 구현 예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방향은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방향과 동일하다. 유사하게, 이러한 구현 예에서,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방향은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방향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현 예의 일부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행정 길이와 동일하다. 유사하게,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행정 길이와 동일하다. 대안으로서, 조절 모드의 이러한 구현 예의 일부에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0)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6)의 작동 행정 길이와 상이하다. 유사하게,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2)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134)의 작동 행정 길이와 상이하다.
이제 도 1, 7 및 8을 참고하면, 작동 중, 연속 유리 리본 (204)은 성형 용기 (235)의 루트 (239)로부터 인발되고 유리 분리 시스템 (100)으로 풀 롤 조립체 (240)를 통해 유리 운송 경로 (300)의 운송 방향 (306)으로 운송된다.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을 통해 통과할 때,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조절 모드는 A-표면 및 B-표면 회전 축에 대해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를 선회시켜 A-표면 노징 바 (102)와 B-표면 노징 바 (112)가 실질적으로 연속 유리 리본 (204)의 표면과 평행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A-표면 노징 바 (102) 및 B-표면 노징 바 (112)의 배향이 연속 유리 리본 (204)의 배향과 상응하도록 조절되었을 때,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클램핑 모드는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부터 별개의 유리 시트 (205)를 분리하기 전에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 클램핑력을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A-표면 노징 바 (102) 및 B-표면 노징 바 (112)는 연속 유리 리본 (204)이 A-표면 노징 바 (102)의 A-표면 노징 부재 (104)와 B-표면 노징 바 (112)의 B-표면 노징 부재 (114) 사이에 클램핑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을 향해 전진된다.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은 클램핑력이 연속 유리 리본 (204)에 적용될 때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운송 방향 (306)으로 운송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하향 수직 방향으로 레일 (124)을 따라 움직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력이 연속 유리 리본 (204)에 적용되면, 스코어링 장치 (150)의 스코어링 헤드 (152)는 연속 유리 리본 (204)을 향해 전진되고 연속 유리 리본 (204)은 스코어링 헤드 (152)와 B-표면 노징 바 (112)의 앤빌 노징 (122) 사이에서 부딪친다. 스코어링 헤드 (152)는 이때 운송 방향 (306)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속 유리 리본 (204)을 가로질러 가로지르며, 이로 인해 연속 유리 리본 (204)에 스코어를 성형한다. 스코어링 작업 및 이후 분리 작업 중, 음압은 스코어링 작업 및/또는 이후 분리 작업으로부터의 임의의 유리 입자 또는 다른 파편이 진공 포트 (160)로 인발되고 유리 분리 시스템 (10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진공 라인 (162)으로 적용된다.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스코어되기 전, 이와 동시에, 스코어된 이후, 유리 캐리지 (180, glass carriage)는 유리 분리 시스템 (100)의 하류에 연속 유리 리본 (204)의 B-표면에 부착된다. 유리 캐리지 (180)는 로보트 아암 (robotic arm)(미도시)을 통해 장소로 조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흡입 컵을 통해 연속 유리 리본 (204)에 부착될 수 있다. 연속 유리 리본 (204)이 스코어되면, 유리 캐리지 (180)는 로보트 아암으로 조종되어 스코어 라인에 대해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 굽힘 모멘트를 적용하여,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부터 유리 시트 (205)를 분리시킨다. 유리 시트 (205)가 연속 유리 리본 (204)에서 분리된 후, A-표면 노징 바 (102) 및 B-표면 노징 바 (112)는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부터 철수되어, A-표면 노징 바 (102)의 A-표면 노징 부재 (104) 및 B-표면 노징 바 (112)의 B-표면 노징 부재 (114)를 연속 유리 리본 (204)으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것에 기초하면, 본원에 설명된 유리 분리 시스템이 유리 운송 경로 및 운송 방향에 대해 연속 유리 리본의 배향의 변화를 보상하여, 연속 유리 리본으로의 손상의 위험을 완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본원에 설명된 유리 분리 시스템이 회전 축에 대해 선회될 수 있는 A 및 B-표면 노징 바를 포함하므로 A 및 B-표면 노징 바는 실질적으로 연속 유리 리본의 표면과 평행하여, 유리 운송 경로에 대해 연속 유리 리본의 배향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청구된 주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설명된 구현 예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는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제공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구현 예의 수정 및 변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9)

  1.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분리하기 위한 유리 분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리 분리 시스템은: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한 A-표면 노징 바; 및
    상기 유리 운송 경로의 제2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A-표면 노징 바에 대향하는 B-표면 노징 바;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A-표면 노징 바의 장축은 실질적으로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직교하고,
    상기 A-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에 대해 선회 가능하고,
    상기 B-표면 노징 바의 장축은 실질적으로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직교하며,
    상기 B-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에 대해 선회 가능한, 유리 분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결합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와 상기 A-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및
    상기 B-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결합된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와 상기 B-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를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A-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는 B-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대향하고 A-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는 B-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대향하며;
    상기 유리 분리 시스템은 조절 모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서로 독립적이며,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서로 독립적인, 유리 분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상이하며;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상이한, 유리 분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동일한, 유리 분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 분리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동일한, 유리 분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 분리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클램핑 모드를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대향되는, 유리 분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 분리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독립적이며;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와 독립적인, 유리 분리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표면 노징 바는 A-표면 노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B-표면 노징 바는 상기 A-표면 노징 부재에 대향하는 B-표면 노징 부재 및 상기 B-표면 노징 부재의 하류에 위치한 앤빌 노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유리 운송 경로는 A-표면 노징 부재와 B-표면 노징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유리 분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되고 B-표면 노징 바의 앤빌 노징에 대향하는 스코어링 장치를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스코어링 장치는 유리 운송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레일에 위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스코어링 장치를 가로지르기 위한 스코어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리 분리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 장치는 스코어링 휠 또는 스크라이빙 포인트를 포함하는, 유리 분리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표면 노징 바는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는 A-표면 노징 부재의 하류 및 스코어링 장치의 상류에 위치하는, 유리 분리 시스템.
  15.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루트에서 모이는 제1 성형 표면 및 제2 성형 표면을 포함하는 성형 용기;
    하향 수직 방향으로 상기 루트로부터 연장되는 유리 운송 경로;
    상기 성형 용기의 하류에 위치한 유리 분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한 A-표면 노징 바;
    상기 유리 운송 경로의 제2 측면에 위치한 B-표면 노징 바; 및
    상기 A-표면 노징 바로부터 하류의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한 스코어링 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A-표면 노징 바는 A-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결합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및 A-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B-표면 노징 바는 B-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결합된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및 B-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A-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는 B-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대향하고 A-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는 B-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대향하며,
    상기 유리 분리 시스템은 클램핑 모드 및 조절 모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서로 독립적이며,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서로 독립적인,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상이하며;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상이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대향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독립적이며;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와 상이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24.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A-표면 노징 바는 A-표면 노징을 포함하고;
    상기 B-표면 노징 바는 상기 A-표면 노징에 대향하는 B-표면 노징 및 상기 B-표면 노징의 하류에 위치한 앤빌 노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유리 운송 경로는 A-표면 노징과 B-표면 노징 사이에 위치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A-표면 노징 바는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의 유입구는 상기 스코어링 장치의 상류에 위치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2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 장치는 유리 운송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레일에 위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스코어링 장치를 가로지르기 위한 스코어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27.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으로 연속 유리 리본을 운송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유리 운송 경로는 유리 운송 경로의 제1 측면에 위치한 A-표면 노징 바 및 유리 운송 경로의 제2 측면에 위치한 B-표면 노징 바를 포함하는 유리 분리 시스템을 통해 연장됨;
    선회 이후, 상기 A-표면 노징 바 및 B-표면 노징 바는 연속 유리 리본의 주 표면과 평행해지도록 상기 A-표면 회전 축에 대해 A-표면 노징 바를 선회시키고 B-표면 회전 축에 대해 B-표면 노징 바를 선회시키는 단계;
    성가 연속 유리 리본이 A-표면 노징 바와 B-표면 노징 바 사이에 클램핑되도록 연속 유리 리본을 향해 A-표면 노징 바 및 B-표면 노징 바를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연속 유리 리본에 스코어 라인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코어 라인에서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코어 라인에 대해 연속 유리 리본에 굽힘 모멘트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29.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라인 성형 단계 및 스코어 라인에서 연속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단계 도중 유리 분리 시스템으로부터 유리 입자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0. 청구항 27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에 대해 선회 가능하며;
    B-표면 노징 바는 유리 운송 경로의 운송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에 대해 선회 가능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1. 청구항 27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분리 시스템은:
    상기 A-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결합된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및 A-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상기 B-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결합된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 및 B-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A-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는 B-표면 노징 바의 제1 단부에 대향하고 A-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는 B-표면 노징 바의 제2 단부에 대향하며;
    상기 유리 분리 시스템은 상기 A-표면 노징 바 및 B-표면 노징 바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는 조절 모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서로 독립적이며,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서로 독립적인,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상이하며;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상이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5.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7.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은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대향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39.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드에서: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는 상기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행정 길이와 독립적이며;
    상기 제1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 및 제2 A-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는 제1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 및 제2 B-표면 노징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와 독립적인,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KR1020207025959A 2018-02-13 2019-02-05 유리 분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 KR102585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29829P 2018-02-13 2018-02-13
US62/629,829 2018-02-13
PCT/US2019/016655 WO2019160709A1 (en) 2018-02-13 2019-02-05 Glass separation systems an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e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931A true KR20200120931A (ko) 2020-10-22
KR102585252B1 KR102585252B1 (ko) 2023-10-05

Family

ID=6549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959A KR102585252B1 (ko) 2018-02-13 2019-02-05 유리 분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407261A1 (ko)
JP (1) JP7208247B2 (ko)
KR (1) KR102585252B1 (ko)
CN (1) CN111836789B (ko)
TW (1) TWI791766B (ko)
WO (1) WO201916070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098A (ja) * 2000-12-19 2002-07-02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脆性基板の分断方法及びその装置
US6576149B1 (en) * 1999-07-08 2003-06-10 Nec Lcd Technologies, Ltd. Method and device for parting laminated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cell
EP2159016A2 (en) * 2008-08-29 2010-03-03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Brittle material breaking device
WO2010051410A1 (en) * 2008-10-31 2010-05-06 Corning Incorporated Glass sheet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150087277A (ko) * 2012-11-16 2015-07-2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1118A1 (en) * 2005-05-17 2006-11-23 Cox Judy K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pane of brittle material from a moving ribbon of the material
US7895861B2 (en) * 2007-05-09 2011-03-01 Corning Incorporated Conformable nosing device for reducing motion and stress within a glass sheet while manufacturing the glass sheet
US20110126593A1 (en) * 2009-11-30 2011-06-02 Rashid Abdul-Rahm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glass sheet
US8146385B2 (en) * 2010-04-29 2012-04-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separating glass sheets from continuous glass ribbons
TWI530461B (zh) * 2010-12-13 2016-04-21 康寧公司 用於分離玻璃板的設備及方法
US9126857B2 (en) * 2012-11-15 2015-09-08 Corning Incorporated Separation apparatuses for separating sheets of brittle material and methods for separating sheets of brittle material
KR102154544B1 (ko) * 2012-12-07 2020-09-1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시트 평탄화를 위한 장치 그리고 유리의 시트를 평탄화하는 방법
CN105492396B (zh) * 2013-06-25 2018-07-10 康宁股份有限公司 从移动玻璃带分离玻璃板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6149B1 (en) * 1999-07-08 2003-06-10 Nec Lcd Technologies, Ltd. Method and device for parting laminated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cell
JP2002187098A (ja) * 2000-12-19 2002-07-02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脆性基板の分断方法及びその装置
EP2159016A2 (en) * 2008-08-29 2010-03-03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Brittle material breaking device
WO2010051410A1 (en) * 2008-10-31 2010-05-06 Corning Incorporated Glass sheet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150087277A (ko) * 2012-11-16 2015-07-2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2844A (ja) 2021-05-20
CN111836789A (zh) 2020-10-27
KR102585252B1 (ko) 2023-10-05
TW201936529A (zh) 2019-09-16
TWI791766B (zh) 2023-02-11
CN111836789B (zh) 2022-11-11
US20200407261A1 (en) 2020-12-31
JP7208247B2 (ja) 2023-01-18
WO2019160709A1 (en)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4185B2 (ja) 動いている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6351715B2 (ja) 移動している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装置
TWI593637B (zh) 用於從玻璃帶體分離出玻璃片的分離裝置及方法
JP5649658B2 (ja) 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5568051B2 (ja) 連続した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割する方法
JP6862356B2 (ja) 機械的応力が低減された可撓性ガラスリボンの連続加工
KR102154544B1 (ko) 유리 시트 평탄화를 위한 장치 그리고 유리의 시트를 평탄화하는 방법
JP7114475B2 (ja) ガラス基板の輸送の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
TW201714841A (zh) 處理玻璃帶的方法與系統
JP6945454B2 (ja) ガラス製造装置における張力制御
KR102585252B1 (ko) 유리 분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
TWI530461B (zh) 用於分離玻璃板的設備及方法
US11760683B2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a glass ribbon
KR20210091821A (ko) 유리 시트의 주변 영역을 취급하여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4269667B (zh) 用于从玻璃带分离及运输玻璃板的方法
JP2021008371A (ja)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及び分断方法
KR20100131640A (ko) 기판 절단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